KR101895926B1 -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926B1
KR101895926B1 KR1020180058907A KR20180058907A KR101895926B1 KR 101895926 B1 KR101895926 B1 KR 101895926B1 KR 1020180058907 A KR1020180058907 A KR 1020180058907A KR 20180058907 A KR20180058907 A KR 20180058907A KR 101895926 B1 KR101895926 B1 KR 10189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frequency band
control signal
corr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영
황민수
Original Assignee
트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트루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equalizing of an audio device, a de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The device for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easuring signal to transmit to the audio device, analyzes a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a response signal to extract at least on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and compares analysis information of the extracted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any on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thereby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device. Als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reliable correction process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band step by step.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본 발명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for an audio signal,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and a recording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for an audio signal, And a recording medium.

음향기기의 핵심 구성 중 하나인 오디오 장치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킴으로써 음파를 방사하는 음향장치이다.An audio device, which is one of the core components of a sound device, is a sound device that emits a sound wave by generating a compact wave by converting an electric signal into vibration of a diaphragm.

오디오 장치는 특정 주파수 대역만 통과시키는 대역 통과 필터와 같은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대역 통과 필터의 성능을 변경함으로써 저음 영역 또는 고음 영역을 강조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오디오 장치의 출력 특성을 조절하는 이퀄라이징(EQ) 과정을 통하여 오디오 장치의 출력을 최적화할 수 있다.The audio devic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such as a band pass filter that passes only a specific frequency band and the user can emphasize or attenuate the low or high range by changing the performance of such band pass filter, The output of the audio device can be optimized through an equalization (EQ) process that adjusts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same audio device.

하지만, 오디오 장치는 사용 용도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며 그 특성 또한 다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오디오 장치의 출력을 적절하게 조절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오디오 장치의 출력 특성 측정 방법에 따르면, 측정자가 오디오 장치의 출력 특성을 수동으로 보정해야 하며, 측정자별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도록 오디오 장치가 보정되기 때문에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의 출력 특성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술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since the audio device has a different size and shape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device are also different, so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user to appropriately adjust the output of the audio devic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measur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audio apparatus, the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audio apparatus must be manually corrected by the measurer, and the reliability of the audio apparatus is degraded because the audio apparatus is calibrated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measur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n audio apparatus according to a certain criterion.

한국등록특허 제10-0902701호Korean Patent No. 10-0902701 한국등록특허 제10-0401675호Korean Patent No. 10-0401675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음향을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오디오 장치의 이퀄라이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for an audio signal, which automatically controls equalization of an audio device by stepwise controll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n audio device outputting sou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장치는,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장치로 전송하는 측정 신호 생성부,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측정 신호에 대한 음향을 응답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감지부,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상기 측정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과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별로 비교하여,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이 발생된 주파수 대역을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하고,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비교분석부 및 상기 분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자동 설정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correc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measuremen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signal to an audio device, An output signal detecting unit for compar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measurement signal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o extract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s generated as a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for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on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and an automatic setting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device step by step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미소 구간별 기울기의 평균 기울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비교분석부는, 주파수 대역별로 생성되는 상기 평균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기울기를 나타내는 전체 분석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Wherein the analysis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n average slope of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the response signal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and the average slope for each frequency band, The total analys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averag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entire frequency band of the response signal can be further generated.

상기 자동 설정부는, 상기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를 1회 카운팅하고, 상기 비교분석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보정된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재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기초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재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The automatic setting unit may analyze the analysis information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and count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onc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device is corrected step by step by re-execut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re-received from the audio device in whic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is corrected by the control signal .

상기 자동 설정부는, 재수행 과정에서 생성된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이전에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다른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automatic setting unit analyzes th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e-execution process, and if th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is found to be the same as the previously extracted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nother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상기 자동 설정부는,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서, 상기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보정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초기화한 후, 상기 분석 정보를 재분석하여 가장 작은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Wherein the automatic setting unit determines that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b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at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number, After initializ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device, the analysis information may be re-analyz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having the smallest average slope value.

상기 자동 설정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과 이웃하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평균 기울기와 상기 이웃하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평균 기울기가 동일한 극성값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되, 추가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의 카운팅에서 제외할 수 있다.Wherein the automatic setting unit sets the average slope of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and the average slope of the neighboring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to have the same polarity A control signal for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is additionally generated and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may be excluded from the count of the number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은,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측정 신호에 대한 음향을 응답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상기 측정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과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별로 비교하여,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이 발생된 주파수 대역을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하고,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performed by an apparatus for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a measuremen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signal to the audio device; Conver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into a response signal, compar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measurement signal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and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device stepwise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frequency, .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미소 구간별 기울기의 평균 기울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주파수 대역별로 생성되는 상기 평균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기울기를 나타내는 전체 분석 정보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rein the analysis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n average slope of a slope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with respect to the response signal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by a micro section and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And further generates total analysis information indicating an averag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entire frequency band.

상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것은, 상기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를 1회 카운팅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보정된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재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기초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재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generating of the control signal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may include analyzing the analysis information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and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once And re-execut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signal re-received from the audio device in whic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is corrected by the control signal, To be corrected.

상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것은, 재수행 과정에서 생성된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이전에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다른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is performed by analyzing th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re-execution process and if th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is found to be the same as the previously extracted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nother frequency band to be calibrated that is closest to the frequency band to be calibrated.

상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것은,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서, 상기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보정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초기화한 후, 상기 분석 정보를 재분석하여 가장 작은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 values between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b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number, Wherei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device corrected by the control signal is initialized and then the analysis information is re-analyz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ny on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ing the smallest average slope valu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for perform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보정이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별로 단계적으로 보정하여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신뢰성 있게 보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n audio device can be reliably corrected by gradually correc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device by frequency bands requiring cor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장치에서 생성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system for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of the audio signal of FIG.
3 is a graph show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apparatus for correc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signal of FIG.
4 and 5 are flowcharts showing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of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system for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시스템(1)은 오디오 장치(100)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장치(200, 이하 보정 장치)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system for correc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n audio sig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apparatus 100 and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ng apparatus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rrecting apparatus) for an audio signal.

오디오 장치(100)는 전기적인 신호를 진동시켜 음파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오디오 장치(100)는 디지털 신호 처리가 가능한 모듈이 구비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 과정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 장치(100)는 기 공지되는 다양한 음향 장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audio device 100 is a device that vibrates an electric signal to convert it into a sound wave. The audio device 100 includes a module capable of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can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through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 The audio device 100 may be any one of various known sound devices.

보정 장치(200)는 오디오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오디오 장치(100)의 성능을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오디오 장치(100)의 주파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보정 장치(200)는 연결된 오디오 장치(100)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장치(100)로 전송하면, 오디오 장치(100)는 입력된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정 장치(200)는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원래의 신호인 측정 신호와 비교하여 오디오 장치(100)의 출력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보정 장치(200)는 성능 측정 결과에 따라 오디오 장치(100)의 출력 특성을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rrection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audio device 10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audio device 100 and to control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device 100 using the measured results. That is, when the correction device 200 generates a measurement signal for measuring the connected audio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 signal to the audio device 100, the audio device 100 can convert the input signal into sound and output the sound . The correction device 200 can measure the output performance of the audio device 100 by comparing the sound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100 with a measurement signal that is an original signal. The correction device 2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utomatically changing the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audio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asurement result. In this regard, FIG. 2 will be described together.

도 2는 도 1의 보정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correction device 200 of FIG.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200)는 측정 신호 생성부(210), 출력 신호 감지부(220), 비교분석부(230) 및 자동 설정부(24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asurement signal generation unit 210, an output signal detection unit 220, 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and an automatic setting unit 240.

측정 신호 생성부(210)는 오디오 장치(100)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측정 신호는 핑크 노이즈(pink noise) 및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측정 신호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정 환경 및 오디오 장치(10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디지털 신호로도 대체될 수 있다. 측정 신호 생성부(210)는 생성된 측정 신호를 오디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ion unit 210 may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for measuring the audio device 100. [ The measurement signal may be any one of pink noise and white noise. However, the type of the measurement signal is not limited thereto. The measurement signal may have various frequenc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apparatus 100 It can also be replaced by a digital signal.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ion unit 210 may transmit the generated measurement signal to the audio device 100. [

출력 신호 감지부(220)는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측정 신호에 대한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 신호 감지부(22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의 형태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출력 신호 감지부(220)는 보정 장치(200)와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출력 신호 감지부(220)는 감지된 음향을 디지털화하여 응답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The output signal sensing unit 220 may sense the sound of the measurement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100. The output signal sensing unit 220 may be a microphone, and in some cases, the output signal sensing unit 22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rrection device 200. The output signal sensing unit 220 may convert the sensed sound into a response signal.

비교분석부(230)는 응답 신호 및 측정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ay generate a graph represen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signal and the measurement signal. In this regard, FIG. 3 will be described together.

도 3은 비교분석부(230)에 의해 생성된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graph show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generat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As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분석부(230)는 응답 신호 및 측정 신호를 퓨리에 변환하여 주파수에 대한 신호 세기를 나타내는 주파수 특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측정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고, 실선으로 표시된 그래프는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이상적인 경우에 응답 신호는 측정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특성을 가져야 하나, 오디오 장치(100)의 제조 환경 및 제조 기술 등의 영향으로 오디오 장치(100)는 입력 신호(측정 신호)를 왜곡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200)는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응답 신호)를 분석하여 오디오 장치(100)의 출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ay convert the response signal and the measurement signal into a frequency characteristic indicating a signal strength with respect to frequenc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ashed line represent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measurement signal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In an ideal case, the response signal should have the same frequency characteristics as the measurement signal, but the audio device 100 may output the input signal (measurement signal) in a distorted form due to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of the audio device 100, . At this time,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an output characteristic of the audio apparatus 100 by analyzing an output signal (respon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이를 위해, 비교분석부(230)는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측정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비교분석부(230)는 주파수 대역을 미리 설정된 구간(제1 대역 내지 제6 대역)으로 분할하여, 분할된 주파수 대역별로 측정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분할된 주파수 대역의 구간 크기는 특정되지 않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오디오 장치(100)의 특징 또는 측정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ay compar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measurement signal. At this tim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ay divide the frequency band into a predetermined interval (first to sixth bands), and compar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ment signal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signal for each of the divided frequency bands. Here, the segment size of the divided frequency bands is not specified, and may be variably se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r measurement environment of the audio device 100 to be measured.

비교분석부(230)는 분할된 주파수 대역별로 측정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하여,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이 기준값 이상 발생된 주파수 대역을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설정부(240)는 제1 구간에 포함된 측정 신호의 평균 신호 세기(진폭)와 응답 신호의 평균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그 차이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차이값 이상으로 확인되면 제1 구간을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자동 설정부(240)는 분할된 모든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주파수 대역 중 평균 신호 세기의 차이값이 기준 차이값 이상인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하나 추출할 수 있다.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compares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ment signal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signal for each of the divided frequency bands and extracts the frequency band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s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For example,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compares the average signal strength (amplitude) of the measurement signal included in the first section with the average signal strength of the response signal, and if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difference value The first section can be extracted as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the divided frequency bands to extract at least on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whose difference value of average signal intensity among all the frequency band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difference value.

비교분석부(230)는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분석부(230)는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의 평균 기울기를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비교분석부(230)는 해당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에 대하여 미소(微小)구간별 기울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미소구간별 기울기의 평균 기울기를 산출하여 이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ay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extracted frequency band to be calibrated. Specificall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ay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indicating an average slope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response signal included in the extracted frequency band to be calibrated. That i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easures the slope of the micro-interval with respect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calculates the average slope of the measured slope of the micro-interval, Can be generated.

자동 설정부(240)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별로 생성된 분석 정보를 기초로 오디오 장치(100)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오디오 장치(100)의 디지털 신호 처리 모듈의 출력 특정을 제어하는 신호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오디오 장치(10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특정 대역 필터의 출력 또는 특성이 변경되어 보정 장치(200)에 의해 보정된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stepwise correc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apparatus 100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The control signal may be defined as a signal that controls the output specification of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module of the audio device 100. That is, the audio device 100 may have the output characteristics corrected by the correction device 200 by changing the output or characteristic of the specific band filt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자동 설정부(240)는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중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one of the extracted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구체적으로, 자동 설정부(240)는 비교분석부(230)에 의해 생성된 분석 정보들을 비교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석 정보는 평균 기울기가 수치적으로 표현된 정보이므로, 자동 설정부(240)는 분석 정보를 이용하여 어느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큰 기울기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주파수 특성의 평균 기울기값이 크다는 것은 해당 주파수 대역의 진폭 변화가 비교적 크다는 의미하고, 이는 오디오 장치(100)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불안정한 출력을 나타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동 설정부(240)는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search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by comparing th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alysis information is information expressed by an average slope numerically,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can use the analysis information to check which frequency band the largest slope change has occurred. The large average slope valu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means that the amplitude variation of the frequency band is relatively large, which means that the audio apparatus 100 exhibited an unstable output in the corresponding frequency band. Therefore,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can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 신호에 의해 변경된 오디오 장치(100)의 주파수 특성이 적절하게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측정 신호 생성부(210)는 자동 설정부(240)에서 제어신호가 생성된 것으로 확인되면 동일한 측정 신호를 오디오 장치(100)로 재전송하고, 출력 신호 감지부(220)는 동일한 측정 신호에 대하여 재출력되는 음향을 응답 신호로 다시 변환할 수 있다. 비교분석부(230)는 재측정된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다시 비교하여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새롭게 추출하고, 새롭게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apparatus 100 changed by the control signal have been appropriately changed. In this case, the measurement signal generator 210 retransmits the same measurement signal to the audio device 100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in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and the output signal detector 220 performs the same measurement The sound re-outputted to the signal can be converted back to the response signal. The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230 may compar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measured response signal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measurement signal to newly extract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and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on the newly extracted frequency band to be calibrated .

이때, 자동 설정부(240)는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예컨대, -0.5dB)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또는, 자동 설정부(240)는 검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보정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band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for example, -0.5 dB),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terminate the correction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 Alternatively,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terminate the correction process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detected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반면, 자동 설정부(240)는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새롭게 생성된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재검색하고, 이에 대한 제어 신호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자동 설정부(240)는 검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새롭게 생성된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재검색하고, 이에 대한 제어 신호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자동 설정부(240)는 가장 큰 변화가 감지되는 주파수 대역을 기점으로 오디오 장치(100)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m of the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b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analyzes the newly generated analysis information to obtain a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And can again generate a control signal therefor. Alternative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of detected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analyzes the newly generated analysis information to re-search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The control signal for this can be generated again. In this way,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can gradually control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apparatus 100 from the frequency band where the largest change is detected.

이 과정에서,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를 1회 카운팅 할 수 있다.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제어 신호를 반복하여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process,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count the number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once.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can repeatedl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until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reaches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이때,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 신호의 반복 생성 횟수가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를 초과한 후에도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거나 검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개수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단계적으로 생성된 복수의 제어 신호에 의해 단계적으로 보정된 오디오 장치(100)의 주파수 특성을 초기화할 수 있다. 이후, 자동 설정부(240)는 최초로 생성된 분석 정보를 다시 검색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분석대상 주파수 대역이 아닌, 가장 작은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분석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200)는 기울기의 변화 폭이 가장 큰 주파수 대역부터 단계적으로 보정하는 대신, 기울기의 변화 폭이 가장 작은 주파수 대역부터 다시 단계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b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even after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frequency, If it is confirmed that the numb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threshold valu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device 100 that has been corrected stepwise by the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generated stepwise can be initialized. Thereafter,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searches the first generated analysis information again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the analysis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smallest average slope value, not the analysis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 In other words,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rrect stepwise from the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variation width of the gradient, stepwise from the frequency band having the smallest variation width of the gradient.

한편,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 신호를 단계적으로 생성하는 재수행 과정에서, 현재 주기에서 생성된 분석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른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이전 주기에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다른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예를 들면,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제2 대역, 제4 대역 및 제5 대역으로 추출되었을 때, 자동 설정부(240)는 n번째 주기에서 가장 큰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제4 대역이고, n-1번째 주기에서 가장 큰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 또한 제4 대역으로 확인되면, n번째 주기에서는 제4 대역이 아닌 제5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제2 대역, 제4 대역 및 제6 대역으로 추출되었을 때, 자동 설정부(240)는 n번째 주기에서 가장 큰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제4 대역이고, n-1번째 주기에서 가장 큰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 또한 제4 대역으로 확인되면, n번째 주기에서는 제4 대역이 아닌 제2 대역 또는 제6 대역에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자동 설정부(240)는 제2 대역과 제6 대역이 제4 대역과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대역이므로, 제2 대역의 평균 기울기값과 제6 대역의 평균 기울기값을 비교하여 평균 기울기값이 큰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re-execution process of stepwise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extracts th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nalysis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urrent perio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nother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closest to th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Referring again to FIG. 3, for example, when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is extracted into the second band, the fourth band and the fifth band,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sets th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slope value If the frequency band is the fourth band and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slope value in the (n-1) th cycle is also identified as the fourth band, the control signal for the fifth band other than the fourth band is generated can do. When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is extracted into the second band, the fourth band, and the sixth band,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determines that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slope value in the nth cycle is the fourth band, If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slope value in the (n-1) -th period is also identified as the fourth band, the control signal for any one of the second band or the sixth band Lt; / RTI > Since the second and sixth bands are separated by the same distance as the fourth band,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compares the average slope value of the second band with the average slope value of the sixth band, A control signal for a large band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신호의 생성 대상으로 결정된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과 이웃하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존재하는 경우, 이웃하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함께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신호의 생성 대상으로 결정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평균 기울기와 이웃하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평균 기울기가 동일한 극성값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면, 이웃하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추가로 생성하되, 추가 생성된 제어 신호는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의 카운팅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즉, 자동 설정부(240)는 제어신호 생성 대상으로 결정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이웃하는 주파수 대역을 함께 보정함으로써 보정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and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neighboring to the frequency band determined as the target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performs control Signals can be generated together.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verage slope of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and the average slope of the neighboring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have the same polarity value determined as the generation target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for additional generation may be excluded from the count of the number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That is, the automatic setting unit 240 may correct the frequency band adjacent to the target frequency band, which is determined to be the control signal generation target,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calibration proces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200)는 오디오 장치(100)의 주파수 특성을 구간별로 제어하여 신뢰성 있는 보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reliable correction process by controll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udio apparatus 100 for each section.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and 5 are flowcharts showing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of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오디와 장치(100)와 보정 장치(200)간 수행되는 최초 보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an initial correction process performed between the audi and the apparatus 100 and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FIG.

보정 장치(200)는 측정 대상 오디오 장치(100)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410). 보정 장치(200)는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측정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420).The correction device 200 may generate a measurement signal for measuring the audio device 100 to be measured (410). The correction device 200 may receive a response signal to the measurement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100 (420).

보정 장치(200)는 응답 신호와 측정 신호를 비교하여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추출할 수 있다(430). 구체적으로, 보정 장치(200)는 응답 신호 및 측정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하고,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별로 주파수 특성의 진폭값의 차이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차이값 이상인 주파수 대역을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보정 장치(200)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평균 기울기값을 나타내는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rrection device 200 may compare the response signal and the measurement signal to extract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430). Specifically,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generate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signal and the measurement signal, and generates a frequency band in which a difference value of the amplitude valu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difference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Band.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can generate analysis information indicating an average slope value of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이후, 보정 장치(200)는 생성된 분석 정보를 비교하여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440). 일 예로, 보정 장치(200)는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의 평균 기울기가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Thereafter,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can compare any of the generated analysis information and select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440). For example, the correction apparatus 200 can select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in which the averag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se signal exhibits the largest value.

보정 장치(200)는 선택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450) 오디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460).The correction device 2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the selected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450 and transmit the control signal to the audio device 100 (460).

도 5는 제어 신호를 최초로 생성한 이후 수행되는 단계적인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a stepwise control process performed after the control signal is first generated.

보정 장치(200)는 상술한 도 4에 의해 생성된 제어 신호에 의해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이 보정된 오디오 장치(100)로 측정 신호를 재전송하고(510),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응답 신호를 재수신할 수 있다(520).The correction device 200 retransmits (510) the measurement signal to the audio device 100 in which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is correc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above-described FIG. 4, The signal may be re-received (520).

보정 장치(200)는 재수신된 응답 신호의 주파수 특성과 반복 전송된 측정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530). 이때, 보정 장치(20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540의 YES), 오디오 장치(100)의 출력 특정을 보정하는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반면, 보정 장치(20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540의 NO), 도 4의 430 내지 450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제어 신호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550 내지 570).The correction apparatus 200 may compar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received response signal wit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repeatedly transmitted measurement signal (530). At this time, if the sum of the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YES in 540), the correction device 200 can end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output specification of the audio device 10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m of the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NO in 540), the correcting device 2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by performing a method similar to 430 to 450 in FIG. 4 (550 to 570).

이때, 제어 장치(200)는 제어 신호의 반복 생성 횟수가 기준 횟수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580의 YES), 현재까지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신호에 따라 보정된 오디오 장치(100)의 보정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581). 이후, 제어 장치(200)는 보정 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582). 제어 장치(200)는 초기화 이후의 보정 과정에서는 최초 보정과는 다른 기준으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하였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repetitive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number (YES in 580), the control device 200 initializes the correction of the audio device 100 corrected according to at least one control signal generated so far An initialization signal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audio device 100 (581).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200 may perform the calibration process again from the beginning (582). The control device 200 can select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with a reference different from the initial correction in the correction process after initialization. Detailed contents related thereto have been described above, so repeat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즉, 제어 장치(200)는 제어 신호의 반복 생성 횟수를 확인(580)하여, 제어 신호의 반복 생성 횟수가 기준 횟수 미만인 경우(580의 NO)에만 생성된 제어 신호를 오디오 장치로 재전송 할 수 있다(583). 이후, 제어 장치(200)는 510 단계로 돌아가 상술한 보정 과정을 단계적으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device 200 confirms the number of repetitive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580), and can retransmit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only when the number of repetitive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is less than the reference number (NO in 580) to the audio device (583). Thereafter, the control device 200 returns to step 510 and repeats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process step by step.

이와 같은,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Such a technique for provid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of an audio signal can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or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one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0: 오디오 장치
200: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장치
100: Audio device
200: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device of audio signal

Claims (5)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에 있어서,
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측정 신호에 대한 음향을 응답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을 상기 측정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과 미리 정해진 주파수 대역별로 비교하여,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이 발생된 주파수 대역을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 추출하고,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반복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포함된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미소 구간별 기울기의 평균 기울기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주파수 대역별로 생성되는 상기 평균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주파수 특성의 전체 주파수 대역에 대한 평균 기울기를 나타내는 전체 분석 정보를 더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A method for correct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n audio signal performed by an apparatus for correc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n audio signal,
Generating a measurement signal and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signal to an audio device;
Converting the sound for the measurement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into a response signal;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is compared with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measurement signal by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o extract a frequency band in which the difference between frequency characteristics is generated as a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Generating analysis information; And
And repeatedl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apparatus stepwise based on the analysis information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of times,
Wherein the analysis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an average slope of the slope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the response signal included in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further generates total analysis information indicating an average slope of a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signal with respect to the entire frequency band using the average slope gene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A method for correcting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를 1회 카운팅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특성이 보정된 상기 오디오 장치로부터 재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기초로 상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재수행하여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단계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comprises:
The analysis information is analyz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counts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onc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device is corrected step by step by re-executing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analysis information based on the response signal re-received from the audio device in which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frequency band to be corrected is corrected by the control signal And correc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audio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수행 과정에서 생성된 분석 정보를 분석하여 가장 큰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이 이전에 추출된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다른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compris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having the largest average slope value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extracted correction target frequency band, Wherein the control signal for the frequency band of the audio signal is genera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횟수만큼 생성하는 단계는,
주파수 대역별로 산출된 주파수 특성간 차이값의 합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서, 상기 제어 신호의 생성 횟수가 상기 기준 횟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보정된 상기 오디오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초기화한 후, 최초 분석 정보를 재분석하여 가장 작은 평균 기울기값을 갖는 어느 하나의 보정대상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number comprise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m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calculated for each frequency b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the number of times of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exceeds the reference number, And then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any one of the frequency bands to be corrected having the smallest average slope value by re-analyzing the initial analysis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frequency characteristic correction method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20180058907A 2018-05-24 2018-05-24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895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07A KR101895926B1 (en) 2018-05-24 2018-05-24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907A KR101895926B1 (en) 2018-05-24 2018-05-24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641A Division KR101895934B1 (en) 2018-03-16 2018-03-16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926B1 true KR101895926B1 (en) 2018-09-07

Family

ID=6359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907A KR101895926B1 (en) 2018-05-24 2018-05-24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92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675B1 (en) 2001-12-06 2003-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peaker having a modulation member for a frequency characteristic
KR20050017509A (en) * 2003-08-14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he characteristic of speaker automatically
KR100902701B1 (en) 2001-02-14 2009-06-15 톰슨 라이센싱 Method for adjus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digital audio process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wo band audio processor adjusted by the method
KR20130078921A (en) * 2012-01-02 2013-07-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The car audio system having the acoustic compensation function and acoustic compens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701B1 (en) 2001-02-14 2009-06-15 톰슨 라이센싱 Method for adjust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a digital audio processor and electronic device with two band audio processor adjusted by the method
KR100401675B1 (en) 2001-12-06 2003-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Speaker having a modulation member for a frequency characteristic
KR20050017509A (en) * 2003-08-14 2005-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he characteristic of speaker automatically
KR20130078921A (en) * 2012-01-02 2013-07-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The car audio system having the acoustic compensation function and acoustic compensation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4874B2 (en) Sound detection and specific system
CN102469382B (en) Loud speaker exports and controls
RU2596592C2 (en) Spatial audio processor and method of providing spatial parameters based on acoustic input signal
US6655212B2 (en) Sound field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CN100549638C (en) Measur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impulse response and the method and the sound field correcting apparatus of rising edge
US10061034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noise strength determining method
EP2949133B1 (en) Automatic loudspeaker polarity detection
US9883303B2 (en) Sound field measur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EP25916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validating the occlusion effect of a hearing aid user
US201500714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n audio signal
KR101997402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895926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895934B1 (en) Method for compensating frequency of audio sig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TWI393453B (en) Tone detector and method of detecting a tone suitable for a robot
US9983317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radiation measurement device
US9357322B2 (en) Loudspeaker polarity detector
KR1013074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time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speaker system considering power response of listening room
KR101575128B1 (en) Voice activity detecting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
JP6793307B2 (en) Signal analyzers, signal analysis programs, program storage media and signal analysis methods.
JP5691224B2 (en) Parameter setting method and sound processing apparatus
KR101459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the sound source signal acquired through the microphone array
US9628892B2 (en) Method of determining operation mode of hearing device and hearing device
CN117354676B (en) Sound superposition amplifying method based on long distance
US1072866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ducer excursion prediction
JP2012216924A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