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762B1 - 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 Google Patents

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762B1
KR101895762B1 KR1020170019127A KR20170019127A KR101895762B1 KR 101895762 B1 KR101895762 B1 KR 101895762B1 KR 1020170019127 A KR1020170019127 A KR 1020170019127A KR 20170019127 A KR20170019127 A KR 20170019127A KR 101895762 B1 KR101895762 B1 KR 101895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housing
blade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1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3279A (en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70019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762B1/en
Publication of KR20180093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3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7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44Wiper blades equipped with means to indicate wear or usage of bla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센서부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인지부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 sensor unit loc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And a recognition unit which is position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forms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unit measures the wiping frequency of the wiper blade through the sensor unit, By informing the recognition part, the driver can easily judg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wiper blade.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운전자에게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that measures the number of times a wiper blade is wiped and informs a driver of replacement timing of the wiper blade.

일반적으로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에는 비, 눈 또는 이물질등을 닦아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퍼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windshield glass of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per device for wiping rain, snow, or foreign matter to enable a front view of a driver to be secured.

상기 와이퍼 장치는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와이퍼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와이퍼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은 와이퍼 암이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와이퍼 암이 회전을 할 때에 와이퍼 암에 결합된 고무 재질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실드글래스를 닦아주게 된다.When the wiper motor is driven by the switch operation of the driver, the wiper arm, which has received the power of the wiper motor, rotates the other end about one end, and when the wiper arm rotates, A wiper blade of rubber material wipes the windshield glass.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소모품으로 일정 기간 사용하면 고무가 마모됨에 따라 닦임 성능이 점차 떨어지게 되는 바, 운전자는 와이퍼 장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 또는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을 보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게 된다.When the wiper blade is used as a consumable it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erformance of the wiping operation gradually decreases due to wear of the rubber. The driver views the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wiper device or the water flow pattern on the windshield glass, .

그러나,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서는 소음에 민감하지 않거나,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음으로 인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로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평소 사용하지 않음으로 성능 저하가 된 것을 미쳐 확인하지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작동시킬 경우 낮은 전방 시야 확보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driver's tendency, the wiper blade may not be judged as a replacement time because it is not sensitive to noise or does not properly check the water flow pattern formed on the windshield glass. In particular, When the wiper blade is suddenly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not confirmed that the wiper blade has been opened, an accident occurs due to low front view securing.

즉, 일반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정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교체시기를 기간으로는 6개월, 횟수로는 30만회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 시기를 초과할 경우, 와이퍼 고무의 노후로 인해 차량의 앞유리가 잘 닦이지 않고, 소음이 발생하는 등 점점 성능이 저하되며,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That is, generally, in order to maintain normal performance, the wiper blade is set to a replacement period of 6 months and a number of times of 300,000 times. When the wiper blade is over this period, The glass is not wiped well, the noise is generated, and the performance is gradually deteriorated, which acts as an obstacle to the safe driving of the driver.

특히, 여름 장마철의 경우, 악천후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교환주기를 초과한 와이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또한, 비가 많이 내리지 않는 경우에는 고속 주행을 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럴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의 성능저하로 인한 미세한 시야 방해만으로도 매우 위험한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Especially, in the case of summer rainy season, since bad weather frequently occurs, a safety accident frequently occurs due to wipers exceeding the exchange period, and in the case where the rain does not decrease much, there is a tendency to run at a high speed, In such a case, a very dangerous situation may occur even if the blurring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wiper blade occurs.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000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300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로 하여금 손쉽게 인지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that allows a driver to easily recognize when a wiper blade is to be replaced so that a driver can safely driv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A sensor unit loc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And a recognition unit which is located on a second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forms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indicating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wherein the first surface is a front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nd the second surface is a rear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한 버튼부;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n attachment unit for attaching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to the windshield glass in the vehicle; A button unit for controlling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는, 고주파 발전식 또는 정전 용량식 또는 자기식(양방향) 또는 광전식(수광 센서) 센서와 같은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unit is constituted by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uch as a high-frequency power generation type, a capacitive type, a magnetic type (bidirectional) or a photoelectric type (light receiving sensor) Lt; / RTI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인지부는, 디스플레이 방식, 경고음 방식, 경고등 방식, 또는 차량의 블루투스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display method, a warning sound method, a warning light method, or a remote alarm method using a Bluetooth of a vehicle and a smartphone ap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부는, 와이핑 횟수가 1회만 측정 되도록 와이퍼 블레이드의 반전위치 또는 정지위치에 일치하게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ttached to the sensor unit so as to match the inversion position or the stop position of the wiper blade so that the wiping frequency is measured only o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s located at the left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he left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is 100 mm or less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and the lower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is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cowl of the vehicl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 태양광 충전방식 또는 시거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battery supply system, a solar charging system, or a sighting jack.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 및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를 병행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의 전력은 상기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상기 인지부의 전력은 상기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supply type power supply unit and a solar charging type power supply unit in parallel, and the power of the sensor unit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battery supply typ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인지부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wiping times of the wiper blade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he wiper blade is informed to the recognition unit, so that the driver can accurately and easily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wiper bl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부착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including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face of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D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lection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source unit of a first example of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source unit of a second exampl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Quot;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 RTI ID = 0.0 >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And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rrelation between an element and other elem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including the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at the time of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The components can also b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so that spatially relative terms can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vehicle including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100)은 윈드실드 글래스(105)를 포함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에는 비, 눈 또는 이물질등을 닦아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103)를 포함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100 including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shield glass 105, and a rain, snow, or foreign matter is wiped on the windshield glass, And includes a wiper blade 103 for enabling a view to be secured.

이때,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3)는 운전자 측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전방시야측(106a)을 와이핑하기 위한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 및 조수석의 전방시야측(106b)을 와이핑하기 위한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wiper blade 103 is positioned on the driver side and includes a first wiper blade 103a for wiping the front view side 106a of the driver and a second wiper blade 103b for wiping the front view side 106b of the passenger seat. And a wiper blade 103b.

다만, 도면에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3)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차량에 따라서는 1개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경우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although there are two wiper blades 103 shown in the drawing, one wiper blade may be driven depending on the vehicle. Therefore, the number of the wiper blade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차량(100)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3)와 연결되는 와이퍼 암부(104)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암부(104)는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와 연결되는 제1와이퍼 암부(104a) 및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와 연결되는 제2와이퍼 암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includes a wiper arm 104 connected to the wiper blade 103. The wiper arm 104 includes a first wiper arm 104a connected to the first wiper blade 103a, And a second wiper arm portion 104b connected to the second wiper blade 103b.

또한, 상기 차량(100)은 상기 와이퍼 암부(10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모터부(101)는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와 연결되어,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를 구동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motor unit 101 for driving the wiper arm unit 104. The motor unit 10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wiper arm unit 104a, The first wiper arm portion 104a can be driven.

또한, 상기 차량(100)은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 및 상기 제2와이퍼 암부(104b)를 연결하는 연결부(1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가 상기 모터부(101)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제1와이퍼 암부(104a)의 구동력을 상기 연결부(102)가 상기 제2와이퍼 암부(104b)로 전달함에 의하여, 상기 제2와이퍼 암부(104b)가 작동할 수 있다.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102 connecting the first wiper arm portion 104a and the second wiper arm portion 104b and the first wiper arm portion 104a may be connected to the motor portion 104a, The second wiper arm portion 104b can be operated by operating the first wiper arm portion 104a by driving the first wiper arm portion 104a and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first wiper arm portion 104a to the second wiper arm portion 104b. have.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은 당업계에서 자명한 것으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작동관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of such a wiper blade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Therefore, the working relationship of the wiper blade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차량(100)은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일정 영역에 배치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포함한다.1, a vehicle 100 including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dispos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windshield glass 105, .

이때,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일정 영역은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이거나,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정지위치(B)이거나, 또는,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의 정지위치(C)일 수 있다.At this time, a certain area of the windshield glass 105 may be a reversal position A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a stop position B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And the stop position C of the wiper blade 103b.

즉,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배치위치는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정지위치(B), 또는,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의 정지위치(C)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좌측부 또는 하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200 is determined by the reversing position A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the stopping position B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It is preferable that the wiper blade 103b is disposed in an area which does not disturb the front view of the driver based on the stop position C of the wiper blade 103b.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r the lower side.

이때,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 상부측에 위치하되,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이하의 범위내인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windshield glass 105 is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 pillar of the vehic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nd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105 and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105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 pilla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중앙부에 위치하되,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내인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하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히다.Preferably,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shield glass 105 is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cowl of the vehicl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shield glass 105 is loca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windshield glass 105 and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105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cowl of the vehicl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저면도이다.FIG.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surface of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surface of a wiper blade replacement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first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D is a schematic bottom view showing a second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먼저,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하우징(20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1)의 제1면(203)을 포함한다.2A and 2C,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1 and includes a first surface 203 of the housing 201.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1면(203)은 상기 하우징(201)이 상기 차량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를 향하는 면에 해당하며, 상기 제1면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203 corresponds to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1 facing the windshield glass in the vehicle, and the first surface may be defined as the front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상기 제1면(203)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부착부(208)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208 position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surface 203.

상기 부착부(208)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상기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양면테이프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부착부(208)의 재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attachment portion 208 is for attaching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to the windshield glass inside the vehicle. The attachment portion 208 may be a general double-sided tape.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not limited to.

계속해서,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상기 제1면(203)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207)를 포함한다.2A and 2C,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207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203 and measuring the number of wiping operations of the wiper blade 207 ).

상기 센서부(207)는 근접 센서(proximate sensor)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근접 센서는 비접촉 동작으로 스위칭 작용을 하게 하는 센서에 해당한다.The sensor unit 207 may use a proximate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corresponds to a sensor that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in a non-contact operation.

이때, 상기 근접 센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주파 발진식, 정전용량식, 자기식(양방향 센서), 광전식(수광 센서)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부(207)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proximity sensor can use various sensors such as a high-frequency oscillation type, a capacitive type, a magnetic type (bidirectional sensor) and a photoelectric type (light receiving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계속해서, 도 2b 및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하우징(20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01)의 제2면(202)을 포함한다.2B and 2D,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1 and includes a second surface 202 of the housing 201. As shown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203)은 상기 하우징(201)이 상기 차량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를 향하는 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면(203)을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제2면(202)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이거나, 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측면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rface 203 may correspond to a surface of the housing 201 facing the windshield glass in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first surface 203 may contact the windshield glass inside the vehicle,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is defined, the second surface 202 may be a rear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ing device or a side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ing device.

한편, 상기 제2면(202)은 일정정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205)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second surface 202 includes predetermined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a recognition unit 205 indicat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즉, 상기 제2면(202)의 상기 인지부(205)에 나타나는 정보를 통해, 운전자는 현재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That is, the driver can easily grasp the number of wiping operations of the current wiper blade through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recognition unit 205 of the second surface 202.

또한, 상기 제2면(202)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rface 202 may include a button portion 206 for controlling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이때,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원 on/off하거나, 와이핑 횟수 초기화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부가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utton unit can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evice, initialize the wiping frequency, or adjust the additional function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가 제1면, 즉, 전면에 위치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except that the sensor section for measuring the number of wiping times of the wiper blade is located on the first surface, that is, It may be located on the side surface.

즉, 도 2b 및 도 2d에서는 상기 인지부(205) 및 버튼부(206)부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즉, 제2면(202)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측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지부(205) 및 버튼부(206)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즉, 상기 인지부(205) 및 버튼부(206)는 상기 하우징(201)의 일정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2B and 2D, the recognition unit 205 and the button unit 206 are shown on the rear surface, that is, the second surface 202,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unit 205 and the button unit 206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recognition unit 205 is not limited, And the button unit 206 may be located in a certain area of the housing 201. [

한편,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제2면(202)에 위치하는 인지부(205)는 디스플레이 방식 또는 경고음 방식 또는 경고등 방식 또는 차량의 블루투스 및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unit 205 located on the second surface 202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200 may be a display system, a warning system, a warning system, or a remote alarm system using a Bluetooth or a smartphone application Lt; / RTI >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지부(205)를 상기 제2면에 위치시킴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205)가 디스플레이 방식인 경우,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아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바라보았을 때, 쉽게 상기 디스플레이를 인지하기 위하여, 상기 인지부(205)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ognition unit 205 is in the display mode in placing the recognition unit 205 on the second surface, when the driver sits in the driver's seat and looks at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In order to easily recognize the display, the recognition unit 205 is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는 소모품으로 일정 기간 사용하면 고무가 마모됨에 따라 닦임 성능이 점차 떨어지게 되는 바, 운전자는 와이퍼 장치의 작동시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을 보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per blade is used as a consumable produc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erformance of the wiping operation gradually decreases as the rubber wears. The driver views the water flow pattern on the windshield glass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per device and judge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wiper blade And the wiper blade must be replaced.

하지만,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서는 윈드실드 글래스에 생긴 물줄기 패턴으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로 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이러한 교체시기의 판단이 객관적인 근거에 의한 것이 아닌, 경험에 의해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epending on the driver's tendency, the water flow pattern on the windshield glass may not determin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e. In particular, the determination of such a replacement time should be replaced by experience, not based on objective ground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er can not accurately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wiper blade.

하지만,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로 하여금 손쉽게 인지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센서부(207)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여, 이를 상기 인지부(205)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가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for the driver to easily recogniz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wiper blade,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travel safely. The number of wiping of the wiper blade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207, By informing the recognition unit 205, the driver can easily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wiper blade.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지부(205)는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성되어 와이핑 횟수를 운전자에게 보여줄 수 있으며, 또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와이핑 횟수를 보여 주는 것 이외에, 정해진 횟수 또는 기간이 지나면, 소리나 빛을 통해 와이퍼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경고등 방식 또는 경고음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unit 205 may be configured in a display manner to show the number of wiping operations to the driver. In addition to displaying the number of wiping operations in a display mod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periods After that, it can be configured as a warning light or a warning sound to indicate when to replace the wiper through sound or ligh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차량의 블루투스 및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으로 교체시기를 유도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induce a replacement tim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remote alarm using a bluetooth and a smartphone app of a vehicle.

즉,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의 블루투스 및 스마트폰 설치된 전용 앱에 등록하고, 상기 앱의 구동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와이핑 횟수를 상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앱을 통해 운전자로 하여금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That is,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can be registered in a dedicated Bluetooth-enabled and smartphone-installed application of the vehicle, and the number of wiping times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can be constantly confirmed through driving of the application. Thereby inducing the driver to replace the wiper bla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부(207)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시기를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wiping of the wiper blade is measured through the sensor unit 207, and the wiper blade can be informed to the driver of the replacement time of the wiper blade by various methods.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차량의 구입시, 차량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시스템이 아닌, 운전자 또는 소비자가 필요에 의하여, 임의로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driver or a consumer can arbitrarily attach and detach the wiper blade when the vehicle is purchased, rather than a syste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the vehicle.

즉,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차량의 구입시, 기본 사양으로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하더라도, 운전자가 시중에서 구입하여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quipped with such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s a basic specification at the time of purchase of the vehicle, This is possible.

또한,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의 기본사양으로 장착하는 경우, 차량의 구입가격이 크게 상승할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낮은 가격으로 구입하여 차량에 임의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s mounted as a basic specification of the vehicle, the purchase price of the vehicle will be greatly increased. However,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rchased at a low price, It is very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cos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부착위치를 선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election of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운전자가 시중에서 구입하여 간단하게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by a driver in the market.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직접 차량에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가 차량에 부착되는 위치가 결정이 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driver must attach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directly to the vehicle. Therefore, the position at which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is attached to the vehicle must be determ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105)의 일정 영역인,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에 위치, 즉, 운전석의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positioned at a reversal position (A)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which is a certain region of the windshield glass 105,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dshield glass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left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the A pillar of the vehicle .

이때, 일반적인 와이퍼 블레이드 작동은 open/close고 부르는데, 즉, 와이퍼 블레이드가 정지위치에서 반전위치(도 3의 A)로 가는 것을 open, 반전위치(도 3의 A)에서 다시 정지 위치로 오는 것을 close라고 하며, open/close가 완료되어야 1회 작동했다라고 지칭한다.At this time,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wiper blade is called open / close, that is, when the wiper blade moves from the stop position to the reverse position (A in FIG. 3) And it means that it has operated once after the open / close has been completed.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센서부(207)가 정확히 반전위치(A)에 있지 않으면, 와이퍼 블레이드 작동 시, 2회로 카운트가 되기 때문에, 정확한 교체주기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다.3, when the sensor unit 207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s not in the reversing position A, the counting of the two wiper blades is performed.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confirm.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센서부(207)의 위치와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의 open/close가 완료된 1회를 상기 인지부(205)에 1회로 측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ensor unit 207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coincides with the inverted position A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it is possible to measure one time of completion of open / close to the recognition unit 205 once.

한편,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반전위치(A)뿐만 아니라, 상기 제1와이퍼 블레이드(103a)의 정지위치(B), 또는, 상기 제2와이퍼 블레이드(103b)의 정지위치(C)에도 부착할 수 있다.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may display not only the reversal position A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but also the stop position B of the first wiper blade 103a or the second wiper blade 103a 103b.

상기 정지위치(B, C)는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ortion of the windshield glass is positioned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a cowl of the vehicle, and the stop positions B and C ar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1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제2예의 전원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 4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source unit of a first example of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wer source unit of a second exampl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는 센서부(207)와 인지부(205)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09, 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4A and 4B,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207 and power sources 209 and 2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ing unit 205 .

상기 전원부는 일반적인 건전지 또는 태양광 충전방식 또는 시거잭 등 다양한 전력 공급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력 공급 방식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The power unit may be a general battery, a solar charging system, or a cigarette charg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power supply scheme.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제1면, 즉,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be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이때, 상기 전원부(209)는 태양광 충전방식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를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 시, 상기 제1면은 태양광을 마주하는 면에 해당하므로, 상기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is attached to the windshield glass in the vehicle,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be a solar charging syste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solar charging system can be easily charged.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209)가 태양광 충전방식인 경우,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제1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ource unit 209 is a solar charging system, the power source unit 209 is preferably position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한편, 상기 전원부(209)가 제1면에 위치하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부착부(208) 측에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센서부(207)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4A,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be located on the side of the attachment unit 208.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attachment unit 208,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be located on the sensor unit 207 side, but does not limit the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부(21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하우징(20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4B, the power unit 210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201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이때, 상기 전원부(210)는 건전지 공급방식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원부(210)를 건전지로 구성할 경우,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으면서, 센서부(207) 또는 인지부(205)에 전력 공급이 용이하도록 하우징(201)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when the power source unit 210 is a dry battery, the sensor unit 207 or the sensing unit 205 may be powered And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the housing 201 so as to be easily supplied.

한편, 상기 전원부(209)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하우징(201)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부(210)는 상기 부착부(208) 측에 위치할 수 있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전원부(209)는 상기 센서부(207)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부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4B, when the power source unit 209 is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201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the power source unit 210 may be mounted on the attachment unit 208 sid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unit 209 may be located on the sensor unit 207 side, but the posi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전원부는 상술한 도 4a의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와 상술한 도 4b의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를 병행하여 구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solar charging system of FIG. 4A and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battery supply system of FIG. .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207)의 전력은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상기 인지부(205)의 전력은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of the sensor unit 207 may b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battery supply system, and the power of the sensing unit 205 may be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solar charging system.

이러한 이유는, 상기 센서부(207)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동작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시 측정 대기상태이어야 하며, 상기 인지부(205)는 운전자의 기호에 따라, 상시 작동상태일 수 있고, 작동이 잠시 중단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인지부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원을 상호 달리함으로써, 각 구성요소별 효율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200)의 전력 수명이 길어지는 이점이 있다.This is because the sensor unit 207 has to measure the operation of the wiper blade and therefore must be in a standby state at all times and the sensing unit 205 may be in an always-on state according to the driver's preference, It is possible to supply power efficiently to each component by differentiating the sensor unit and the supply source of the electric power to be supplied to the sensing unit. Therefore, the electric power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ife is long.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200 :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201 : 하우징 205 : 인지부
206 : 버튼부 207 : 센서부
208 : 부착부
200: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201: housing 205:
206: button unit 207: sensor unit
208:

Claims (10)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차량 내부의 윈드실드 글래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 sensor unit loc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And
A wiper blade located on a second side of the housing and indicating the number of wiping of the wiper blade;
Further comprising an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or to a windshield glass inside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전면이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의 후면 또는 측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rface is a front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ing device and the second surface is a rear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indica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위한 버튼부;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button unit for controlling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고주파 발전식 또는 정전 용량식 또는 자기식(양방향) 또는 광전식(수광 센서) 센서와 같은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d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uch as a high frequency generating type or a capacitance type or magnetic type (bidirectional) or a photoelectric type (light receiving sensor)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부는,
디스플레이 방식, 경고음 방식, 경고등 방식, 또는 차량의 블루투스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원격 알람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ognition unit,
A display method, a warning sound method, a warning light method, or a remote alarm method using a vehicle Bluetooth and a smartphone app.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와이핑 횟수가 1회만 측정 되도록 와이퍼 블레이드의 반전위치 또는 정지위치에 일치하게 부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 sensor unit loc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And
A wiper blade located on a second side of the housing and indicating the number of wiping of the wiper blade;
The sensor unit includes:
Wherein the wiper blade is attached at an inversion position or a stop position of the wiper blade so that the wiping frequency is measured only once.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좌측부는 상기 차량의 A 필러(pillar)를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 sensor unit loc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And
A wiper blade located on a second side of the housing and indicating the number of wiping of the wiper blad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ncludes:
The front side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Wherein a left side portion of the windshield glass is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an A pillar of the vehicle.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제1면에 위치하고,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와이핑 횟수를 알려주는 인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전방을 기준으로,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윈드실드 글래스의 하측부는 상기 차량의 카울(cowl)을 기준으로 100mm 이하의 범위 내인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A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A sensor unit loc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housing and measuring the number of times the wiper blade is wiped; And
A wiper blade located on a second side of the housing and indicating the number of wiping of the wiper blade;
The wiper blade replacement tim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windshield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shield glass with respect to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of the vehicle,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windshield glass is within a range of 100 mm or less with respect to a cowl of the vehic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 태양광 충전방식 또는 시거잭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wer supply unit,
A battery supplying method, a solar charging method, or a cigar jac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 및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를 병행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부의 전력은 상기 건전지 공급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고, 상기 인지부의 전력은 상기 태양광 충전방식의 전원부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시기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of a battery supply type and a power supply unit of a solar charge type,
Wherein the power of the sensor unit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battery supply system and the power of the sensing unit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solar charging system.
KR1020170019127A 2017-02-13 2017-02-13 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KR101895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27A KR101895762B1 (en) 2017-02-13 2017-02-13 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9127A KR101895762B1 (en) 2017-02-13 2017-02-13 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79A KR20180093279A (en) 2018-08-22
KR101895762B1 true KR101895762B1 (en) 2018-09-05

Family

ID=6345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127A KR101895762B1 (en) 2017-02-13 2017-02-13 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7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4007B2 (en) 2021-07-27 2023-12-05 Cap Corporation Indicator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KR20230166222A (en) 2022-05-30 2023-12-07 (주)대한솔루션 Wiper blades for vehicle indicating when to replace th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26B1 (en) * 2013-04-12 2014-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A black-box device using external sensor for the power efficienc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22B1 (en) * 2009-05-19 2011-08-01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Wiper blade alarm system with wiper blade, driving method and alarm device
KR20150130004A (en) 2014-05-13 2015-11-23 주식회사 만도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ing deterioration of wiper bla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7626B1 (en) * 2013-04-12 2014-07-08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A black-box device using external sensor for the power efficienc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4007B2 (en) 2021-07-27 2023-12-05 Cap Corporation Indicator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KR20230166222A (en) 2022-05-30 2023-12-07 (주)대한솔루션 Wiper blades for vehicle indicating when to replace th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3279A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0919B (en) Warning indicator for use with wiper blades,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wiper blade with a warning indicator
KR101895762B1 (en) A display device of changing period of A Wiper Blade Assembly
CN100484781C (en) Tire condition detecting device
JP3683763B2 (en) Weather detection device
US11130472B2 (en) Wiping device for motor vehicle windows, comprising a windscreen wiper frame and a piezoelectric film
EP2048047A3 (en) Wiper controller
JP6623143B2 (en) Battery-assisted bicycle and battery state monitoring method for battery-assisted bicycle
CN207241580U (en) A kind of new automobile rearview mirror and front door side glass wiper
CN203869843U (en) Detection apparatus for fault of electric outer rearview mirror of automobile
KR100444019B1 (en) System Informing Wiper Blade Exchange-Time and Method thereof
KR100445157B1 (en) Apparatus for cleaning wind shield glass of automobiles
Chapakanade et al. Automatic rain operated wiper and dimmer for vehicle
JP7362661B2 (en) Device for remotely warning about the wear condition of at least one wiper blade of a windshield wiping system
US20230386274A1 (en) Wiper blade for vehicle notifying of replacement timing
CN205365535U (en) Automobile rearview mirror rainwater scaler
CN205554043U (en) Automobile exterior rearview mirror
CN203293994U (en) Quick drying rearview mirror with large view field and windshield wiper
CN210526484U (en) Cleaning device for vehicle sensing component and vehicle with same
KR20100059008A (en) Rain sensing method
KR100431970B1 (en) Rear Wiper Operation Method of Vehicle
KR200330152Y1 (en) Apparatus for alarming variation air pressure in tire
KR20220045963A (en) How to display warning messages
CN115534871A (en) Rainfall sensor, vehicl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2013184490A (en) Tire information obtaining device
EP4363279A1 (en) Device for determining a state of wear of a wiper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