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433B1 -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based on LTE-R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based on 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433B1
KR101895433B1 KR1020160176547A KR20160176547A KR101895433B1 KR 101895433 B1 KR101895433 B1 KR 101895433B1 KR 1020160176547 A KR1020160176547 A KR 1020160176547A KR 20160176547 A KR20160176547 A KR 20160176547A KR 101895433 B1 KR101895433 B1 KR 10189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train
emergency broadcasting
room
l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5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2530A (en
Inventor
김동운
조은제
구정환
김봉식
권영재
Original Assignee
(주)케이원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원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케이원정보통신
Publication of KR2018002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5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4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은, 비상방송 관제서버에서 본선에 진입한 열차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비상방송 관제서버에서 LTE-R 네트워크를 통해 열차의 차상용 비상방송장치로 열차 본선 진입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 차상용 비상방송장치에서 차량의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 및 검사 결과,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 방송 운영 모드로 동작하여, 객실 비상방송을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LTE-R 기반의 시스템에서 철도차량의 분리, 열차 방송 장치 장애, 차량 이동국 장치의 장애, 전원 공급 불가능한 상태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객실 비상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TE-R-based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The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based on the LTE-R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rain entering the main line from an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a process of providing a train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for a train through an LTE- A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cut off by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a case where power is disconnected from the vehicle. And providing a room emergency broadc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separation of a railway vehicle, a train broadcasting device failure, a failure of a vehicle mobile station, or a power supply failure state in an LTE-R based system.

Figure R1020160176547
Figure R1020160176547

Description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based on LT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evacuation based on LTE-R,

본 발명은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에서 철도차량의 객실로 비상 방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LTE-R-based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LTE-R-based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n emergency broadcasting function as a room of a railway vehicle in an emergency situation .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철도의 선로 위를 운행할 목적으로 제조된 동력차, 객차, 화차 및 특수차 등을 말한다. 철도차량은 수많은 전기장치와 기계장치가 결합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진 시스템으로, 대량 수송에 따른 안정선의 확보가 중요하며, 장기간 수명주기를 갖기 때문에 초기 건설비용보다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은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Generally, a railway vehicle refers to a power car, a coach, a car, and a special car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operating on a railway line. Railway vehicles are very complex structures that combine many electric devices and mechanical devices. It is important to secure stable lines for mass transport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higher than initial construction costs because they have a long life cycle .

현재 국내 철도차량과의 통신에 적용하는 철도 무선통신기술은 150MHz 대역의 VHF(Very High Frequency) 네트워크를 음성통신 용도로, 800MHz 대역의 TRS(주파수공용통신) 네트워크를 음성 및 데이터 통신 용도로 지역별 또는 노선별로 서로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열차의 운영과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사용중인 철도통신기술은 초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하여 갈수록 높아지는 서비스 요구를 충족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Currently, railway radio communication technology applied to communication with domestic railway vehicles uses a 150 MHz band VHF (Very High Frequency) network for voice communications and an 800 MHz band TRS (Frequency Shared Communication) network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Different routes are used differently.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train is poor. In addition, there is a inherent limitation in the current railway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can not satisfy the service requirement which is increasingly high because the transmission of the high speed data is impossible.

이에 따라, 기존의 철도 무선통신방식을 일원화하여 운영과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초고속데이터 전송을 통한 다양한 융합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 LTE-R(LTE-Railway)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LTE-R 시스템은 고속 및 대용량 무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 기술을 활용하여 철도에 특화시킨 기술이다. 전 세계적으로 LTE를 이용한 철도통합무선망, 즉 LTE-R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LTE-R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상-차상 간 통신을 하기 위한 열차제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Accordingly, an LTE-R (LTE-Railway) system is being developed to unify existing railway radio communication method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and to realize various convergence services through high-speed data transmission. The LTE-R system is a railway-specific technology that utilizes LTE (Long Term Evolution) technology to transmit high-speed and large-capacity wireless data.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LTE-R integrated wireless network, ie LTE-R, is being carried out globally,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voice and image services using LTE-R system, The train control data may be transmitted.

한편, 철도차량의 분리, 열차 방송장치 장애, 열차 이동국 장치의 장애, 전원 공급 불가능한 상태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철도차량의 객실 내 승객에게 안내 방송을 할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관제소 등에서 객실 상황의 파악이 불가능하며, 승객과 관제소와의 통화가 불가능하여, 신속하게 비상 상황에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없다. On the other hand,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separation of a railway vehicle, failure of a train broadcasting device, failure of a train mobile station device, or inability to supply power to a passenger in a passenger room of a railway vehicle, In addition, when such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room situation at the control station, and the passenger can not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station, and the necessary measures for the emergency situation can not be quickly performed.

따라서, 새로 개발되고 있는 LTE-R 시스템에서는 비상 상황에서도 객실로 비상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the newly developed LTE-R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emergency broadcasting in a room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분리, 열차 방송 장치 장애, 차량 이동국 장치의 장애, 전원 공급 불가능한 상태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객실로 비상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based on LTE-R, which enables an emergency broadcasting to a room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separation of a railway vehicle, failure of a train broadcasting device, failure of a vehicle mobile station device, And a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비상방송 관제서버에서 본선에 진입한 열차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상방송 관제서버에서 LTE-R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열차의 차상용 비상방송장치로 열차 본선 진입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에서 차량의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결과,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 방송 운영 모드로 동작하여, 객실 비상방송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room broadcasting method based on 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rain entering a main line from an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livering train finishing information to an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for the train; checking whether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shut off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and, Receiving emergency power from the battery, and operating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to provide emergency room broadcasting.

그리고,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가 상기 비상방송 운영 모드에서, 객실 승객을 위한 비상인터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n emergency interphone service for the passenger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또한,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가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객실 비상조명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operating the room emergency lighting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또한,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가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객실내 비상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한 영상을 관제조작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transmitting an image captured by operating an emergency camera in a room to the control panel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시스템은, 본선에 진입한 열차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LTE-R 네트워크를 통해 열차 본선 진입 정보를 전달하는 비상방송 관제서버, 및 상기 열차 본선 진입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전원의 차단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 결과,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파악된 경우,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 방송 운영 모드로 동작하여, 객실 비상방송을 제공하는 차상용 비상방송장치를 포함한다.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room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an LTE-R, the system comprising: an emergency broadca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rain entering a main line and transmitting train entry information through an LTE- The control server receives information on the entrance to the train terminal and checks whether the power source of the vehicle is shut off.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wer source is cut off, , And a car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that provides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본 발명에 따르면, LTE-R 기반의 시스템에서 철도차량의 분리, 열차 방송 장치 장애, 차량 이동국 장치의 장애, 전원 공급 불가능한 상태 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객실 비상 방송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상 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올바르게 상황에 대응이 가능하므로, 비상 상황에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func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separation of a railway vehicle, a train broadcasting device failure, a failure of a vehicle mobile station device, or a power supply failure state in an LTE-R based syste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and correctly when an emergency occur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from occurr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improve the st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비상 방송 방법이 적용되는 LTE-R 기반의 시스템에 대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비상방송 관제서버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1에서 차상용 비상방송장치의 블럭 구성도, 그리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LTE-R based system to which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in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ar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in FIG. 1, and FIG.
FIGS. 4 to 8 are views referencing a description of a method of evicting a room based on 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비상 방송 방법이 적용되는 LTE-R 기반의 시스템에 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FIG. 1 shows an example of a LTE-R based system to which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지상시스템인 종합관제소에는, 콜 서버(call server)(110), PTT 서버(Push-to-Talk server)(120), 지령 서버(command server)(130), 주제어 장치(140), 관제조작반(150), 및 비상방송 관제서버(160) 등이 배치된다. 1, a general control station, which is a ground system, includes a call server 110, a push-to-talk server 120, a command server 130, 140, a control operation panel 150, an emergency broadcast control server 160, and the like.

콜 서버(110)는 VolP(Voice over IP) 또는 VoLTE(Voice over LTE) 음성통화를 지원한다. 콜 서버(110)는 열차가 고속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고품질의 음성 통화를 지원할 수 있다. The call server 110 supports Voice over IP (VoIP) or Voice over LTE (VoLTE) voice calls. The call server 110 can support a high-quality voice call even when the train is moving at a high speed.

PTT 서버(120)는 일반적인 열차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지원하는 Push to Talk 그룹 통화 기능과 통화중 SMS 메시지 전송 기능 등을 지원한다. The PTT server 120 supports a Push to Talk group call function and an SMS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in a common tra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지령 서버(130)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 장비 데이터 관리, 사용자 그룹 관리, 사용자 장비 상태 감시, 통화 기록 관리, 여객방송 인터페이스, 여객용 비상 인터페이스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지령 서버(130)는 hot-standby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ot-standby 모드로 운영시, 두 개의 지령 서버(130) 중 한 서버는 현용 서버로, 다른 서버는 대기 서버로 운영된다. 현용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대기 서버가 자동으로 현용 서버의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현용 서버에서 관리하던 동적 정보들은 자동으로 대기 서버로 이전되므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다. The command server 130 provides functions such as user data management, equipment data management, user group management, user equipment status monitoring, call record management, passenger broadcast interface, and emergency interface for passengers. The command server 13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 hot-standby mode. When operating in the hot-standby mode, one of the two command servers 130 operates as an active server and the other server operates as a standby server. If the current server fails, the standby server automatically takes over the role of the current server. The dynamic information managed by the active server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standby server, so that the data managed by the server can be maintained consistently.

주제어 장치(140)는 종합관제소에 배치된 서버와 각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종합관제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main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general control statio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s and various devices disposed in the general control station.

관제조작반(150)은 관리자가 열차, 역, 휴대 단말기 등에 대한 관리 및 통제와,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운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이를 위해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panel 150 provides a function for administrators to manage and control trains, stations, mobile terminals, and the like, and to operate voice and data services. For this purpose, various GUIs and screens can be provided have.

비상방송 관제서버(160)는 제1 내지 제n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a ~ 300n)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160 provides a function of managing the first to nth-th emergency commercial broadcasting apparatuses 300a to 300n.

LTE-R 네트워크(50)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표준에 따른 네트워크로, 패킷교환방식으로 음성, 데이터,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LTE-R 네트워크(50)는 하향 링크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상향 링크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고, 변조방식으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을 사용한다. The LTE-R network 50 is a network conforming to the 3GPP LTE (Long Term Evolution) standard, and transmits and receives voice, data, and image data in a packet exchange manner. The LTE-R network 50 use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as a downlink,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as an uplin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and 64QAM.

기지국/중계기 장치(200)는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하여 열차에 설치되는 차상 장치(300)와 LTE-R 네트워크(50)를 연결한다.The base station / repeater device 200 connects the LTE-R network 50 with the onboard device 300 installed in the trai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제1 내지 제n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a ~ 300n)는 철도차량의 각 객실마다 하나씩 설치되며, 비상 상황시 객실 비상 방송 및 이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한다.The first to nth-th commercial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es 300a to 300n are installed for each room of the railway vehicle, and provide emergency room-related broadcasting and related functions in an emergency situation.

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기관사나 역무원 등이 LTE-R 네트워크(50)를 통해 통신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미도시)를 소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VolP 또는 VoLTE 음성통화 기능, 비디오 PTT 기능, 멀티미디어 그룹통신 기능, SMS와 MMS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capable of communicating through an LTE-R network 50, such as an engineer or a station employee, may have a VolP or VoLTE voice call function, a video PTT function, Multimedia group communication function, SMS and MMS function.

이와 같은 구성의 LTE-R 시스템은, LTE 기반의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철도 및 공공통합망에서 필요로 하는 개별, 그룹, 비상, 우선통화, 방송 등을 포함하는 음성 서비스, 영상회의, CCTV, 객차감시 등을 포함하는 영상 서비스, 제어신호, 대용량 파일 전송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모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The LTE-R system with this structure is a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TE. It is a next-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LTE, and it can be used for voice services, video conferencing, CCTV, A data service including a video service including a car attendant monitoring, a control signal, and a large-capacity file transmission, and the like.

도 2는 도 1에서 비상방송 관제서버의 블럭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emergency broadcast control server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비상방송 관제서버(160)는 차상 인터페이스 처리부(161), 열차위치 처리부(163), 관제조작반 인터페이스부(165), 비상방송장치 관리부(167), 및 관제서버 메인 제어부(16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2, the emergency broadcast control server 160 includes an on-board interface processor 161, a train position processor 163, a control panel interface 165, an emergency broadcast controller 167, 169), and the like. When such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practic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차상 인터페이스 처리부(161)는 열차에 설치되는 차상 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vehicle interface processor 161 may provide a function for interfacing with an on-vehicle device installed in a train, and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vehicle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300.

열차위치 처리부(163)는 열차의 위치정보를 지상서버로부터 수신하여 관제서버 메인 제어부(169)로 전달하며, 열차의 본선 진입 여부 등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rain position processing unit 163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from the ground server and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main control unit 169 and determines whether the train is entering the main line or the like.

관제조작반 인터페이스부(165)는 열차의 본선 진입 여부와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 등에 대한 정보를 관제조작반(15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차상 용 비상방송장치(300)의 승객 비상 인터폰 관제사령 요청에 대한 정보를 관제조작반(15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console interface unit 165 provi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train has entered the main line and information about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 apparatus 300 or the like to the control panel 15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on the request for the intercom system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panel 150.

비상방송장치 관리부(167)는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의 관리와 관련된 기능을 제공한다.Th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management unit 167 provides function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for the secondary use.

관제서버 메인 제어부(169)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 부의 기능을 제어하여, 비상방송 관제서버(1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server main control unit 169 generally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mergency broadcast control server 160.

도 3은 도 1에서 차상용 비상방송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emergency broadcast apparatus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는 LTE-R 모뎀부(310), 지상 인터페이스 처리부(315), 영상전송 처리부(320), 비상 카메라 처리부(325),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330), 비상음성통화 처리부(340), 비상방송 처리부(350), 비상인터폰 인터페이스부(360), 비상인터폰 음성통화 처리부(370), 비상조명 처리부(380), 및 방송장치 메인 제어부(3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3, the mobil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includes an LTE-R modem unit 310, a ground interface processing unit 315, an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320, an emergency camera processing unit 325,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unit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340, an emergency call processing unit 350, an emergency interphone interface unit 360, an emergency interphone voice call processing unit 370, an emergency lighting processing unit 380, and a broadcast apparatus main control unit 390, And the like. When such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practic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LTE-R 모뎀부(310), LTE-R 네트워크(50)를 통한 통신을 위한 LTE-R 모뎀 기능을 제공하며, LTE-R 네트워크(50)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영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R modem module 310 and an LTE-R modem function for communication via the LTE-R network 50. In the LTE-R network 50,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지상 인터페이스 처리부(315)는 지상 장치와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비상방송 관제서버(160)와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과 관제조작반(150)과 휴대용 단말기 등과 음성통화를 위한 지상 음성통화 서버 인터페이스 기능 등을 제공한다. The terrestrial interface processor 315 may provide a function for interfacing with the terrestrial apparatus and may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160 and a terrestrial voice call server interface for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console 150, Function and so on.

영상전송 처리부(320)는, 비상 카메라 처리부(325)로 카메라 동작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비상 카메라 처리부(325)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처리하여 LTE-R 네트워크(50)롤 통해 전송 가능한 패킷 데이터로 변환한다.The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320 transmits the camera operation control signal to the emergency camera processing unit 325 and processe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emergency camera processing unit 325 to generate packet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LTE- Conversion.

비상 카메라 처리부(325)는 객실마다 설치되는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영상전송 처리부(32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emergency camera processing unit 32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mera installed in each room and can transmit the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to the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320. [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330)는 지상 장치로부터 열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본선 진입 여부에 따라, 비상방송장치 전원부 사용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본선 진입 이외의 차량에 대해서는 차량입력 전원 차단 시,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를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로 동작하고, 본선 진입 차량에서 차량 입력전원 차단 시는 열차에 배치된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control unit 33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from the ground device and provides a function of controlling whether or not to use th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whether the ship enters the main line or not.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 apparatus 300 is operated in a power off mode. When the vehicle is powered off from the main entrance vehicle,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 apparatus 300 receives operating power from a battery disposed on the train, And the like.

비상음성통화 처리부(340)은 비상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SIP기반의 음성 처리 기능을 제공하며, PTT 그룹 통화를 위해 지상 PTT 서버(130)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mergency voice call processing unit 340 provides a SIP-based voice processing function for performing emergency broadcasting and can provide an interface function with the terrestrial PTT server 130 for a PTT group call.

비상방송 처리부(350)는 지상에서 요청하는 비상방송 요청에 대해, 객실 스피커(seaker)를 통해 비상 방송이 나가도록 비상음성통화 처리부(370)를 통해 입력되는 비상방송 음성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emergency broadcast processing unit 350 provides a function of processing an emergency broadcast voice inputted through the emergency voice call processing unit 370 so that the emergency broadcast is allowed to be transmitted through a room speaker to a request for an emergency broadcast on the ground .

비상인터폰 음성통화 처리부(360)은 객실마다 설치되는 비상 인터폰 장치와 지상 관제사령간의 비상 인터폰 통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SIP기반의 음성 처리 기능을 제공하며, 승객과 관제사령간 개별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해 지상 PTT서버(120)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mergency interphone voice call processing unit 360 provides an SIP-based voice processing function for performing the emergency interphone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emergency interphone device installed in each room and the ground control command, and forms a privat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control unit And may function as an interface with the terrestrial PTT server 120.

비상인터폰 인터페이스부(360)는 비상 인터폰 장치를 통해 승객이 요청하는 비상인터폰 통화 요청에 대해, 비상인터폰 음성통화 처리부(370)로 통화 요청을 수행하는 기능과, 승객과 관제사령간 개별 통화로가 형성되었을 때, 비상 인터폰 음성통화 처리부와 승객 비상 인터폰을 연결해주기위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emergency interphone interface unit 360 has a function of performing a call request to the emergency interphone voice call processing unit 370 with respect to an emergency intercom call request requested by the passenger through the emergency interphone apparatus and a function of performing a private call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control command When it is formed, it performs the function to connect the emergency interphone voice call processing unit and the passenger emergency interphone.

비상조명 처리부(380)은 본선 진입 차량이 차량 입력전원 차단 시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사용 비상방송장치(300)가 동작하는 비상 모드에서 비상조명 LED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mergency lighting processor 38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emergency lighting LED in the emergency mode in which the car using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300 operates when the main entrance vehicle is powered off from the battery when the vehicle input power is cut off.

방송장치 메인 제어부(390)는 상기 각 부의 기능을 제어하여,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The broadcasting apparatus main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units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for the vehicle.

다음의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비상 방송 방법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4 to 8 are diagrams referred to in explaining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객실 비상 방송 방법에서 비상 상황의 발생시, 관제조작반과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간의 통화(①), 기관사용 휴대용 단말기와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간의 통화(②), 및 역무원용 휴대용 단말기와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간의 통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in the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①) between the control operation panel and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an emergency portable broadcasting terminal 300, (2), and a communica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station staff and th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for the car.

즉, 비상 상황 대응을 전 노선 범위 내에서 처리하기 위한 관제사령을 통한 비상방송, 해당 기관사의 사고 객실의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를 통한 객실비상방송, 역무원들의 비상 상황 대응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객실 비상방송 등이 가능하다. 또한, LTE-R 네트워크(50)를 이용한 멀티 패스(multi path) 객실 비상 방송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erform emergency broadcasting through a control command for handling emergency situations within the range of all routes, emergency room broadcasting through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of the accident room of a corresponding engineer, Room emergency broadcasts are possible. Also, multi-path room emergency broadcasting using the LTE-R network 50 is also possible.

도 5를 참조하면, 본선에 진입한 열차의 위치 정보를 지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비상방송 관제서버(160)는 본선 진입 여부 정보를 해당 열차의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160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rains entering the main line from the terrestrial server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arrival of the main line to the secondar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of the train.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에서 무정전 전원장치 제어부(330)는 차량의 전원 차단 유무를 감시하고, 차량에서 공급하는 입력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방송운영 모드로 전환하여, 객실 비상방송 및 비상 인터폰 장치를 비상 운영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unit 330 monitors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powered off, and when the input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is cut off,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control unit 330 receives the operating power from the battery and switches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So that the room emergency broadcasting and emergency interphone device can be operated in the emergency operation mode.

이와 같이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는 비상방송 관제서버(160)로부터 열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본선 진입 차량에서 입력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비상운영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ar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in from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160, and can switch to the emergency operation mode when the supply of the input power is interrupted in the main entrance vehicle.

도 6을 참조하면, 비상 상황 발생시, 객실 상황 파악과 승객과 관제사령간 통화를 위하여, 차상용 비상방송장치(300)의 비상인터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승객이 객실에 배치된 비상인터폰으로 통화 요청 시. 비상인터폰 음성통화 처리부(370)에서 비상방송 관제서버(160)로 통화 요청을 한다. 관제조작반(150)에 수신된 비상 요청을 관제사령이 수락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과 관제사령관 간에 통화로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emergency interphone service of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300 can be provided for grasping the room condition an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control command. When the passenger requests a call with the emergency interphone placed in the room. The emergency interphone voice call processing unit 370 requests the emergency call control server 160 to make a call. When the control command is accepted by the control operating unit 150, the communication route is formed between the passenger and the control commander, as shown in FIG. 6

이와 같이 철도차량의 분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 사고 객실 상황을 파악하고 비상 상황 대응을 위한 비상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When an emergency such as separation of a railway car occur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accident room situation and provide an emergency broadcasting for 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도 7을 참조하면, 객실 차량 전원 차단으로 인한 객실 조명 가동 불가 상황에서 승객의 불안감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승객 대응을 위해 비상조명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비상방송 메인 제어부(390)에서는 비상 상황이 발생 한 경우 비상조명 처리부(380)를 제어하여, 객실 비상 조명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order to minimize the anxiety of passengers in the situation that the lighting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is not possible due to the power off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emergency lighting service is provided for safe passenger response. The emergency broadcast main control unit 390 can control the emergency lighting processing unit 380 to increase the room emergency lighting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이와 같이 비상 상황으로 인한 객실 차량 조명의 차단시, 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위해 비상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emergency lighting can be controlled to safely evacuate passengers when the vehicle light is switched off due to an emergency situation.

도 8을 참조하면, 철도차량의 분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방송 관제서버(16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방송장치 메인 제어부(390)는 영상전송 처리부(320)로 카메라 동작 명령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영상전송 처리부(320)는 비상 카메라 처리부(325)로 카메라 동작 신호를 전송하고, 비상 카메라 처리부(325)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비상방송 관제서버(16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제조작반(150)의 모니터를 통해 객실 화면을 보면서 객실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separation of a railway vehicle occurs, the broadcasting apparatus main control unit 390 instructs the video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320 to issue a camera operation comman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160 send. Accordingly, the image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320 may transmit the camera operation signal to the emergency camera processing unit 325, process the image received from the emergency camera processing unit 325, and transmit the processed image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16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guest room while viewing the guest room screen through the monitor of the control panel 150.

이와 같이 철도차량의 분리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상 카메라를 통하여 객실 상황의 영상을 전송하여, 사고 객실의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여 비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separation of a railway car occurs, the image of the room situ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emergency camera, and the accurate situation of the accident room can be grasped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effectivel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LTE-R-based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various implementations All or some of the example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 콜 서버 120 : PTT 서버
130 : 지령 서버 140 : 주제어 장치
150 : 관제조작반 160 : 비상방송 관제서버
200 : 기지국/중계기 장치 300 : 차상용 비상방송장치
110: Call server 120: PTT server
130: command server 140:
150: control operation panel 160: emergency broadcast control server
200: base station / repeater device 300: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for car

Claims (6)

비상방송 관제서버에서 열차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상방송 관제서버에서 LTE-R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열차의 차상용 비상방송장치로 상기 열차의 본선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가 차상용 비상방송장치에서 상기 본선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열차의 본선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열차의 본선 진입의 경우에는, 차량 입력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파악되면,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방송 운영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열차의 본선 진입 이외의 경우에는,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가 객실 비상방송, 관제조작반과의 통화, 상기 열차의 기관사용 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및 역무원용 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rain from an emergency broadcast control serve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train enters the main line to the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of the train through the LTE-R network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control server;
The commercial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train enters the main line,
In the case of the entry of the train into the main line, when it is judged that the vehicle input power is cut off,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operates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Operating in a power off mode if the train is not in the main line; And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the secondar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performs at least one of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a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panel, 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train, and a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for a station employee ; And an LTE-R-based room emergency broadcast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가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객실 승객을 위한 비상인터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providing an Emergency Interphone Service for a passenger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가,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객실 비상조명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더 포함하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perating the room emergency lighting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by the secondar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in the 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가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객실내 비상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한 영상을 관제조작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Device operating the emergency camera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on mode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ATC.
본선에 진입한 열차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LTE-R 네트워크를 통해 열차 본선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비상방송 관제서버; 및
상기 본선 진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열차의 본선 진입 여부에 따라,
상기 열차의 본선 진입의 경우에, 차량 입력 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파악되면,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아 비상방송 운영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열차의 본선 진입 이외의 경우에는 파워 오프(power off)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객실 비상방송, 관제조작반과의 통화, 상기 열차의 기관사용 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및 역무원용 휴대 단말기와의 통화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차상용 비상방송장치;를 포함하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시스템.
An emergency broadcast control server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rain entering the main lin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o enter the train main line through the LTE-R network; And
Th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train enters the main line is receiv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hicle input power is cut off in the case of entering the train on the main line,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operates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And operates in a power off mode when the train is not in the main line,
And a car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a room emergency broadcasting, a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panel, 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train, and a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for a station employee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LTE-R-based room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용 비상방송장치는, 상기 비상방송 운영모드에서, 객실 승객을 위한 비상인터폰 서비스, 객실 비상조명의 동작, 및 객실 내 비상 카메라를 동작시켜 촬영한 영상의 전송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TE-R 기반의 객실 비상 방송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emergency Emergency Broadcasting apparatus may further execute at least one of an emergency interphone service for a passenger in a room, an operation of a room emergency light, and a transmission of an image captured by operating an emergency camera in a room in the emergency broadcasting operating mode LTE-R-based room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KR1020160176547A 2016-08-23 2016-12-22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based on LTE-R KR1018954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07145 2016-08-23
KR1020160107145 2016-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530A KR20180022530A (en) 2018-03-06
KR101895433B1 true KR101895433B1 (en) 2018-09-06

Family

ID=61727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547A KR101895433B1 (en) 2016-08-23 2016-12-22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based on 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4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019B1 (en) * 2020-10-23 2021-01-11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에이치(Shh) System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for passengers in railway vehicle in real ti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877B1 (en) * 2013-06-03 2013-12-05 박재범 Ict convergence supervisory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for railway
KR101480017B1 (en) * 2014-06-09 2015-01-09 고구려엔지니어링(주) Imformaing Emergency Broadcastingsystem for Rail Ca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519A (en) * 2012-10-19 2014-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rai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m2m communication
KR101599368B1 (en) * 2014-06-05 2016-03-03 주식회사 알에프컴 Emergency announc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877B1 (en) * 2013-06-03 2013-12-05 박재범 Ict convergence supervisory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for railway
KR101480017B1 (en) * 2014-06-09 2015-01-09 고구려엔지니어링(주) Imformaing Emergency Broadcastingsystem for Rail Car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530A (en)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837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link availability for IAB node, and node using same method
KR101534761B1 (en) Integrated railway radio set and system thereof
KR101895424B1 (en) Failure diagnostic method and system based on LTE-R
WO2013016014A2 (en) Using a push to talk over cellular infrastructure for radio communications
CN109068295B (en) Trai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895433B1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broadcasting based on LTE-R
US8208448B2 (en) Dedicated channel entry method
KR1019055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in based on LTE-R
CN109218040A (en) Track transportation industry communication system of data transmission and method based on LTE technology
KR101882794B1 (en) Method for dual controlling using front and rear TRIU based on LTE-R
CN114499790A (en) Method and equipment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4075890A1 (en) Method for iab multiplexing and timing relationship, and node using method
CN112637815B (en) Unmanned aerial vehicle digital image transmission communication equipment supporting 4G/5G dual-mode online
EP4075889A1 (en) Method for configuring timing alignment for iab node, and node using same method
JP2009021652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13938841B (en) Method and device used in node of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56456B1 (en) Train radio interfce device in LTE-R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895426B1 (en) Integrated radio transceiver controller for railway vehicl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78923A (en) Room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LTE-R
CN114765745A (en) Method and equipment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4095873A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nod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180079674A (en) Method for broadcast and call based on LTE-R
CN220023076U (en) Digital train shunting station radio station device
CN216982134U (en) Fusion networking system and rail transit system
WO2023014171A1 (en) Operation method related to paging monitoring in sidelink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