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315B1 - 차단기의 접점부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접점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315B1
KR101895315B1 KR1020170030224A KR20170030224A KR101895315B1 KR 101895315 B1 KR101895315 B1 KR 101895315B1 KR 1020170030224 A KR1020170030224 A KR 1020170030224A KR 20170030224 A KR20170030224 A KR 20170030224A KR 101895315 B1 KR101895315 B1 KR 101895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or
protrusio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상현
임정재
함승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의 접점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접점을 사용하지 않는 가동접촉자가 구비된 차단기의 접점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접점부는 고정접점이 구비되는 고정접촉자 및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를 갖는 차단기의 접점부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은 각각 일단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단기의 접점부{Contacts of Curcuit Breaker}
본 발명은 차단기의 접점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접점을 사용하지 않는 가동접촉자가 구비된 차단기의 접점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는 송,변전선이나 전기 회로의 일부에 설치되어 부하를 개폐하거나, 과전류 또는 사고 전류 발생시 회로를 차단하여 전원, 부하 및 주변 기기를 보호하고 인명이나 기타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전기 기기이다.
이러한 차단기 중에서 특히 소형 차단기(가정용 차단기)는 교류 110/220V의 저압회로(15∼30A)를 이루는 선로 상에 설치되어 과전류 보호, 단락 보호를 위하여 사용되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저압기기용 스위치로 분전반 내에 복수 개 내장되어 한 곳에서 다수의 부하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 공작기계, 공장 설비 등에 기기의 전원을 개폐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소형 차단기는 산업용으로 쓰이는 일반적인 회로차단기와 마찬가지로 고정접촉자와 상기 고정접촉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로 구성되는 접점부, 상기 접점부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개폐기구부, 이상전류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부, 과전류나 단락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 개폐기구부를 개방시킴으로써 선로나 부하를 보호하도록 하는 트립부, 차단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 및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는 소호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에는 각각 접점이 구비되어 접촉이 잘 일어나고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해 쉽게 용융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접점은 접촉 저항이 작아야 하고 재료의 마모, 전이가 적어야 하며, 불꽃이 생기지 않고 경도나 가공성이 적당해야 하는 조건이 요구된다. 사용 목적에 따라 백금·이리듐 합금, 은·텅스텐 합금, 은·산화카드뮴 합금 등이 쓰인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에는 도 1에서 접점부, 기구부 및 트립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원측 또는 부하측 단자부(8,9), 접점부, 개폐기구부, 트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접점부는 고정접촉자(15), 상기 고정접촉자(15)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촉자(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개폐기구부는 케이스(10)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측판(1)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바(5),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핸들(2), 일단이 핸들(2)에 결합되고 타단이 레버(4)에 결합되는 링크(3), 상기 링크(3)에 연결되고 일단이 크로스바(5)에 접촉하여 상기 크로스바(5)를 구속 또는 해제하는 레버(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트립부는 개폐기구에 연결되어 개폐기구를 트립시킬 수 있는 트립바(11), 회로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만곡되어 트립바(11)를 움직이게 하는 바이메탈(12), 바이메탈(12)이나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13), 철재로 구성되어 회로에 대전류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의해 마그넷(13)에 흡인되는 아마추어(armature)(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가동접촉자(16)는 바이메탈(12) 및 마그넷(13)과 함께 고정볼트(17)에 의해 케이스(10)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는 회로 내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에는 가동접촉자(16)에 결합되어 있는 바이메탈(12)에도 열이 발생한다. 이 열에 의해 바이메탈(12)은 만곡되어 트립바(11)를 건드리게 되고, 트립바(11)는 레버(4)를 해제하여 크로스바(5)는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가동접촉자(16)를 고정접촉자(15)로부터 분리시켜 회로가 개방(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회로상에 급격한 과전류 또는 사고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바이메탈(12)에 열뿐 아니라, 전류의 증가가 발생된다. 이러한 전류의 증가는 마그넷(13)의 자속밀도를 증대시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마그넷(13)의 전자기력에 의해 아마추어(14)는 마그넷(13)이 있는 방향으로 끌려오게 된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14)가 바이메탈(12)을 밀면서 트립바(11)를 동작시켜 전술한 트립 작동이 일어난다.
회로의 통전 및 차단은 비주기성을 갖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데 궁극적으로 회로가 연결 또는 분리되는 부분은 접점부이다. 차단기에서 전류가 차단될 경우 대기(air) 중에서 소호동작을 하게 되는데, 전류가 끊어지는 부위에는 아크(arc)가 발생한다. 아크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방출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 열, 압력, 빛, 이온 등이다. 이러한 아크를 견딜 수 있고 통전시에는 접촉이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고정접촉자(15) 및 가동접촉자(16)에는 각각 접점(15a,16a)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접점(15a) 및 가동접점(16a)은 고온/고압에 견딜 수 있는 금속화합물로 구성된 재료를 사용하여 차단기의 전기적 개폐 수명을 보장한다.
도 4에 가동접촉자(16)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동접점(16a)은 가동접촉자(16)의 일단에 형성된 접점홀(16b)에 끼워져 리벳 고정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지그에 의해 가동접촉자(16)에 결합된다.
그런데, 접점(15a,16a)은 화합물의 구조, 제조 방법, 형상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이하며 특히 차단기 제조 원가에서 접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제조업에서는 전기 접점의 제조 원가를 낮춰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접점을 사용하지 않는 가동접촉자가 구비된 차단기의 접점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접점부는 고정접점이 구비되는 고정접촉자 및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를 갖는 차단기의 접점부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은 각각 일단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동접촉자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배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단조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은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가동접촉자판, 제1 가동접촉자판에 인접한 제2 가동접촉자판, ... , 제n-1 가동접촉자판에 인접한 제n 가동접촉자판의 n개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n개의 가동접촉자판에 각각 형성되는 n개의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n개의 가동접촉자판에 각각 형성되는 n개의 삽입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n 개의 돌기부의 크기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가동접촉자판의 제1 돌기부 > 제2 가동접촉자판의 제2 돌기부 >, ... ,> 제n 가동접촉자판의 제n 돌기부의 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돌기부 내지 제n 돌기부는 인접한 하부의 제1 삽입홈 내지 제n-1 삽입홈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동접촉자판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돌기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돌기부의 외면에는 은(Ag) 또는 산화은(AgO) 도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n 삽입홈에는 보강재료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가동접촉자판의 타단에는 고정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접점부에 의하면 가동접촉자의 형상 변경에 따른 돌기부를 가짐으로써 가동접점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이다.
도 3은 도 1에서 접점부, 개폐기구부 및 트립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소형 차단기에 적용되는 가동접촉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차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이다.
도 7은 도 5에서 접점부, 개폐기구부 및 트립부만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차단기에 적용되는 가동접촉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차단기에 적용되는 가동접촉자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접점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차단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일부 구성요소가 분해된 상태, 도 7은 도 5에서 접점부, 개폐기구부 및 트립부만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접점부는 고정접점(fixed contact or tip)(46)이 구비되는 고정접촉자(fixed contactor)(45) 및 상기 고정접점(46)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movable contactor)(40)를 갖는 차단기의 접점부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40)는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movable contactor plate)(41,42,43)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41,42,43)은 각각 일단에 돌기부(41a,42a,43a)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41a,42a,43a)가 상기 고정접점(46)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스(20)는 차단기의 외형을 이루고, 각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고 설치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케이스(20)의 내부는 각 구성요소들을 설치 및 지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주조(casting) 공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일반적으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이기 위하여 상부 케이스는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케이스(20)의 양측면(도면상 좌,우측)에는 전원 또는 부하로 연결될 수 있는 단자부(28,29)가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상(two phases)으로 구성된 차단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부나 접점부 등은 각 2개씩 구성된 예가 나타난다.
측판(21)은 개폐기구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측판(21)은 케이스(2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측판(21)은 상부 및 하부의 일부가 연결된 두개의 판으로 형성되며, 개폐기구부의 각 부품이 설치되고 가동될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한다.
측판(21)의 상단부에는 핸들(2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22)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차단기가 차단(Off)되거나 투입(On)되도록 한다.
핸들(22)의 하부에 링크(23)가 결합된다. 링크(23)의 일단은 핸들(22)에 연결되고, 링크(23)의 타단에는 레버(24)가 연결된다. 링크(23)는 핸들(22)의 조작력을 레버(24)에 전달한다.
레버(24)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24)의 중간부에는 링크(23)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레버(24)는 링크(23)를 통해 전달된 핸들(22)의 조작력에 의해 크로스바(25)를 구속하게 된다.
도 5와 같은 차단(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22)을 조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23)가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링크(23)의 타단에 연결된 레버(24)도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크로스바(25)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7과 같은 통전(On) 상태에서 사용자가 핸들(22)을 조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23)가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링크(23)의 타단에 연결된 레버(24)도 상방으로 움직이게 되어 크로스바(25)에 대한 구속이 해제된다.
측판(21)의 일측에는 크로스바(25)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로스바(25)는 대체적으로 나비 모양으로 형성된다. 크로스바(25)는 전후면이 케이스(20)에 지지되어 상하로 운동 가능하게 된다. 크로스바(25)의 중앙 상부에는 레버(24)의 일단이 접촉된다. 크로스바(25) 레버(24)의 힘이 하방으로 작용하는 경우 하강한 위치에 놓여있다가 레버(24)의 힘이 제거되면 크로스바(25)의 하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복귀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핸들(22)을 On위치로 투입시키면 핸들(22)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는 링크(23)가 따라서 회전하는 동시에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링크(23)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24)도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레버(24)가 하강함에 따라 크로스바(25)를 눌러 하강시키게 된다.
크로스바(25)의 양 측면 중간부에 형성된 홈에는 가동접촉자(40)가 배치된다. 크로스바(25)의 운동에 따라 가동접촉자(40)는 크로스바(25)와 함께 승강 운동하게 된다. 즉, 크로스바(25)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가동접촉자(40)는 고정접촉자(45)에 접촉하여 회로를 통전시키고, 크로스바(25)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가동접촉자(40)는 고정접촉자(45)로부터 분리되어 회로를 차단하게 된다.
개폐기구부의 일부 또는 후방부에는 트립부(트립장치)가 설치된다. 트립부는 개폐기구에 연결되어 개폐기구를 트립시킬 수 있는 트립바(31), 가동접촉자(40) 또는 회로의 일부에 결합되어 회로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만곡되어 트립바(31)를 움직이게 하는 바이메탈(32), 바이메탈(32)이나 회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넷(33), 철재로 형성되어 마그넷(33)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될 수 있는 아마추어(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립바(31)의 상부에는 전류량에 따라 트립동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자(35)(통상적으로 조절나사로 구성)가 결합되어, 바이메탈(32)이 트립바(31)를 작동시키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바이메탈(32)이 가동접촉자(40)의 타단에 결합된다. 바이메탈(32)은 회로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생하는 열에 의해 회동하여 상기 트립바(31)(구체적으로는 조정자(35))를 밀어내어 트립 동작이 발생하도록 한다.
마그넷(33)은 바이메탈(32)과 함께 가동접촉자(40)의 타단에 결합되어, 주변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자화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회로 또는 바이메탈(3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마그넷(33)은 자기력을 발생시켜, 아마추어(34)를 끌어당기게 된다.
바이메탈(32)과 마그넷(33)은 가동접촉자(40)와 함께 고정볼트(36)에 의해 케이스(20)의 일부에 고정 설치된다.
아마추어(34)는 케이스(20)의 일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마추어(34)는 철심 또는 철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아마추어(34)는 바이메탈(32) 또는 회로에 급격한 이상전류(대전류)가 흐르는 경우 마그넷(33)에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해 흡인되어 트립 작동을 일으키도록 한다.
고정접촉자(fixed contactor)(45)는 어느 하나의 단자부(28)(통상적으로 전원과 연결되는 측의 단자부)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접촉자(45)는 일단(1st end)이 단자부(28)에 연결되고, 타단(2nd end)에는 고정접점(fixed contact, tip)(46)이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접점(46)은 가동접촉자(40)와의 접촉이 용이하여 회로에 통전이 잘 일어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접점(46)은 차단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아크 가스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즉, 고정접점(46)은 전도성 및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재질로는 AgCdO, AgSnO2, AgZnO, Ag-W, Pt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접점은 재질, 표면상태, 전류량, 접촉압력, 단위시간당 작동횟수, 사용장소, 접점부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가동접촉자(Movable Contactor)(40)는 일단이 고정접촉자(45)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40)는 타단이 바이메탈(32) 및 마그넷(33)과 함께 케이스(20)의 일부에 고정 설치된다.
도 8을 추가로 참조하기로 한다. 가동접촉자(40)는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이 적층된 상태로 포개어져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가동접촉자판(41,42,43)으로 구성된 가동접촉자(40)의 예를 도시하였다. 가동접촉자판의 갯수는 차단기의 용량이나 설계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판(41,42,43)은 얇은 판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판(41,42,43)은 구리(Cu) 등의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판(41,42,43)은 일부가 벤딩(bending)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벤딩부를 갖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1차 벤딩부와 2차 벤딩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가동접촉자판(41,42,43)은 2개의 벤딩부에 의해 3개의 평면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를 각각 좌측면, 중간면, 우측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최하단의 가동접촉자판(41)의 경우 도면상 좌측으로부터 좌측면(41a), 중간면(41b), 우측면(41c)이 된다(이하, 최하단의 가동접촉자판(41)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은 특별히 구분하여 설명하지 않는 한 다른 가동접촉자판(42,43)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좌측면(41a)은 가동접촉자판(41)의 일단이 되고, 우측면(41c)은 가동접촉자판(41)의 타단이 된다. 중간면(41b)의 경사각은 좌측면(41a)이나 우측면(41c)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된다.
가동접촉자(40)는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41,42,43)으로 구성되어 단일한 판으로 형성되는 가동접촉자에 비해 휨(구브러짐) 현상이 잘 일어나고 전류통전 성능이 향상된다. 즉, 가동접촉자(40)는 복수 개의 얇은 가동접촉자판(41,42,43)으로 구성되어 고정접촉자(45)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휨 현상이 잘 일어나고, 표면적이 증대하므로 전류 통전이 원활하게 일어난다.
가동접촉자판(41)의 일단(1st end), 즉 좌측면(41a)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부(41d)가 형성된다. 돌기부(41d)는 좌측면(41a)의 일부가 단조(forging)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부(41d)는 좌측면(41a)의 일부가 아래로 눌러져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좌측면(41a)에는 돌기부(41d)의 배면에 삽입홈(41e)이 형성된다.
가동접촉자(40)를 구성하는 가동접촉자판을 좀 더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은 n개로 구성되고, 가동접촉자판의 일단에 형성되는 돌기부는 상기 n 개의 가동접촉자판에 각각 형성되는 n개의 돌기부로 구성된다. 최하단에 위치하는 가동접촉자판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가동접촉자판, 제2 가동접촉자판, ... , 제n 가동접촉자판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n 개의 돌기부의 크기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가동접촉자판의 제1 돌기부 > 제2 가동접촉자판의 제2 돌기부 >, ... ,> 제n 가동접촉자판의 제n 돌기부의 순으로 구성된다.
제1 가동접촉자판(41)에는 제1 돌기부(41d)와 상기 제1 돌기부(41d)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홈(41e)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가동접촉자판(42)에는 제2 돌기부(42d)와 상기 제2 돌기부(42d)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홈(42e)이 형성되고, 제3 가동접촉자판(43)에는 제3 돌기부(43d)와 상기 제3 돌기부(43d)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3 삽입홈(43e)이 형성된다.
가동접촉자판(41,42,43)이 결합될 때, 상기 n개의 돌기부는 서로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제2 가동접촉자판(42)의 제2 돌기부(42d)는 제1 가동접촉자판(41)의 제1 삽입홈(41e)에 끼워지고, 제3 가동접촉자판(43)의 제3 돌기부(43d)는 제2 가동접촉자판(42)의 제2 삽입홈(42e)에 끼워진다. 일반적으로 확장하여 설명하면, 제n 가동접촉자판의 제n 돌기부는 제n-1 가동접촉자판의 제n-1 삽입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각 돌기부는 각 삽입홈에 압입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즉,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즉, 제n 돌기부의 외경은 제n-1 삽입홈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아주 미세한 차이로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각 돌기부가 인접한 하부의 가동접촉자판의 삽입홈에 압입되므로 가동접촉자(40)의 일단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제1 돌기부(41d)의 외경은 고정접점(46)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돌기부(41d,42d,43d)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각 돌기부(41d,42d,43d)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돌기부(41d,42d,43d)는 상기 각 가동접촉자판(41,42,43)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돌기부(42d,43d)가 인접한 하부의 각 삽입홈(41e,42e)에 결합되었을 때, 인접한 상,하 돌기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고 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돌기부(41d,42d,43d)의 강도가 충분히 보장되도록 한다.
각 가동접촉자판(41,42,43)의 타단, 즉 우측면(41c,42c,43c)에는 나사홀(41f,42f,43f)이 형성된다. 나사홀(41f,42f,43f)에는 고정볼트(36)가 결합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촉자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돌기부(41d1)의 외면에 코팅처리가 된 것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코팅은 은(Ag)이나 산화은(AgO) 도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41d1)에 코팅재가 덮이므로 통전 성능과 내아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접촉자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접촉자(40)의 최상단에 위치하는 가동접촉자판(43)의 삽입홈(43e)에는 보강부재(44)가 삽입된다. 보강부재(44)는 가동접촉자판(41,42,43)의 강도 및 경도보다 높은 강도 및 경도를 갖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44)는 분말야금기법에 의해 삽입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접점부에 의하면 가동접촉자가 형상 변경에 따른 돌기부를 가짐으로써 가동접점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케이스 21 측판
22 핸들 23 링크
24 레버 25 크로스바
28,29 단자부 31 트립바
32 바이메탈 33 마그넷
34 아마추어 35 조정자
36 고정볼트 40 가동접촉자
41,42,43 가동접촉자판 41a,42a,43a 좌측면
41b,42b,43b 중간면 41c,42c,43c 우측면
41d,42d,43d 돌기부 41e,42e,43e 삽입홈
41f,42f,43f 나사홀 45 고정접촉자
46 고정접점

Claims (12)

  1. 고정접점이 구비되는 고정접촉자 및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는 가동접촉자를 갖는 차단기의 접점부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촉자는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은 각각 일단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되고,
    상기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은 전도성이 있는 금속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의 배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인접한 하부의 삽입홈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동접촉자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단조 가공 또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동접촉자판은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가동접촉자판, 제1 가동접촉자판에 인접한 제2 가동접촉자판, ... , 제n-1 가동접촉자판에 인접한 제n 가동접촉자판의 n개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n개의 가동접촉자판에 각각 형성되는 n개의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n개의 가동접촉자판에 각각 형성되는 n개의 삽입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n 개의 돌기부의 크기는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 가동접촉자판의 제1 돌기부 > 제2 가동접촉자판의 제2 돌기부 >, ... ,> 제n 가동접촉자판의 제n 돌기부의 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 내지 제n 돌기부는 인접한 하부의 제1 삽입홈 내지 제n-1 삽입홈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가동접촉자판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9.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돌기부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외면에는 은(Ag) 또는 산화은(AgO) 도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n 삽입홈에는 보강재료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동접촉자판의 타단에는 고정볼트가 결합될 수 있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의 접점부.
KR1020170030224A 2017-03-09 2017-03-09 차단기의 접점부 KR101895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24A KR101895315B1 (ko) 2017-03-09 2017-03-09 차단기의 접점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24A KR101895315B1 (ko) 2017-03-09 2017-03-09 차단기의 접점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315B1 true KR101895315B1 (ko) 2018-10-24

Family

ID=64132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224A KR101895315B1 (ko) 2017-03-09 2017-03-09 차단기의 접점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3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385B1 (ko) * 2012-06-01 2013-10-04 이래범 전기 개폐용 접촉단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385B1 (ko) * 2012-06-01 2013-10-04 이래범 전기 개폐용 접촉단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625B2 (en) Switching contactor
EP2251887B1 (en) Electromagnetic trip device
EP1914766B1 (en) Movable contactor of circuit breaker and fabrication method for finger thereof
US20150035631A1 (en) Electromagnetic switch
KR101895315B1 (ko) 차단기의 접점부
EP0148746B1 (en) Circuit breaker with undervoltage release device
WO2013126061A1 (en) Circuit breaker heaters and translational magnetic systems
US10483054B2 (en) Mono or bidirectional contactor
US20070085639A1 (en) Circuit breaker intermediate latch stop
CN101292313B (zh) 具有90度偏移部的接触臂
US11348753B2 (en) Contactor having fixed and movable iron cores and a movable contact
US7205871B1 (en) Circuit breaker intermediate latch
CA1085006A (en) Current limiting resistor for circuit breaker
CN117882162A (zh) 薄型断路器
JP2023056796A (ja) 遮断器
US7238909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line conductor having bend portion to increase contact gap
KR20180002910U (ko) 가정용 회로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