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563B1 -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563B1
KR101893563B1 KR1020170114372A KR20170114372A KR101893563B1 KR 101893563 B1 KR101893563 B1 KR 101893563B1 KR 1020170114372 A KR1020170114372 A KR 1020170114372A KR 20170114372 A KR20170114372 A KR 20170114372A KR 101893563 B1 KR101893563 B1 KR 10189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ire
similarity
reference data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근
Original Assignee
(주)심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심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심플랫폼
Priority to KR102017011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기 및 공간의 센서 데이터와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재 위험을 예측하며,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화재 발생 후에도 화재 발생 지점과 발생 원인을 빠르게 파악하여 조기에 진화가 가능하도록 하며, 화재보험사에 화재 블랙박스 설치여부 및 화재 위험 정보를 전송하고, 화재보험사에서 이를 기반으로 화재보험료 할인 등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Black-box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based on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간 및 공간에 배치된 기기들의 상태를 센서를 통해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기초로 화재 발생 전에 화재 상황을 예측하고, 화재가 발생된 후에는 발화지점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 규모를 최소화하며, 화재보험사와의 연계 상품을 통해 화재보험에 대한 보험료 할인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달하면서 가정이나 공장에서 다양한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기기나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특히, 공장 등에서는 기기의 이상으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이 존재하며,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 화재 위험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0361595호는 "전기화재 감식용 블랙박스 시스템"으로, 전기 분전반에 설치되어 전기의 전압과 전류 및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 발생시 화재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더라도, 단순히 현재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화재 사고 발생시 이를 분석하여 원인을 찾아내는 것에 그치고 있어, 사고 발생 이전 또는 발생 직후 이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61595호
본 발명은 센서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화재 발생 전에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화재 위험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재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해 화재보험료 할인 등의 연계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 넓은 공간의 다양한 기기들 중 어느 원인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 발화지점 또는 발화원인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화재발생위치가 아닌 별도의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에 발화지점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화재 상황 데이터 모델링 작업 없이 바로 적용이 가능하여 센서 데이터 패턴 추이로 메타 데이터를 만들어 일반적 패턴을 찾아 낼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어 보다 빠르게 화재 위험을 발견하여 이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를 계산하고,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를 결합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오류 대응 동작 수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종합 유사도로 보다 화재 위험에 대한 판단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유사도 계산부에서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를 판단하여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모델링 작업없이 간단한 계산으로 화재 위험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2유사도 계산부에서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수식으로 계산하고 계산결과의 평균을 제2유사도로 계산함으로써 모델링 작업없이 간단한 계산으로 화재 위험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와 관련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오류 발생 직전 시점의 센서 정보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고, 예비 기준 데이터 중 유사한 패턴을 가진 예비 기준 데이터를 그루핑하고, 그루핑된 예비 기준 데이터 중 기준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그루핑된 그룹에서 가장 정확도가 높은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유사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관한 센서 데이터 및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신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 상기 모니터링 대상 기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환경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유사도 계산부; 및 상기 유사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화재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재 위험 경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은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유사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중 어느 위치에서 화재 발생이 시작되었는지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를 예상 발화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는 추정된 예상 발화 지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 화재 원인 분석시 데이터로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저장된 예상 발화 지점에 관한 정보는 감시 대상지역이 아닌 원격지의 서버 또는 클라우드 상에 저장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에도 화재 발생 지점의 발생 원인에 관한 정보가 안전하게 남게 되어 추후 화재 원인을 분석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험사 등에서 화재 원인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화재 원인에 따른 조치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보험사와의 연계시 보험료 할인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는 추정된 예상 발화 지점에 관한 정보를 소방 관제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도 계산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1유사도를 계산하는 제1유사도 계산부,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2유사도를 계산하는 제2유사도 계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위험 경보부는 상기 제1유사도 및 상기 제2유사도를 결합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화재 발생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사도 계산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가 +인지, 0인지, -인지 판단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상기 제1유사도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사도 계산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식을 계산하고,
Figure 112017086912963-pat00001
상기 수식의 계산결과의 평균을 상기 제2유사도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은 복수의 기기와 관련된 센서 데이터 및 복수의 공간과 관련된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정보로 수집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상기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의 개수의 시점의 센서 데이터 및 상기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 개수의 시점의 환경 데이터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 중 상호 유사도가 높은 상기 복수 예비 기준 데이터를 그루핑하고, 상기 그루핑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관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2개씩 짝지은 조합을 생성하고, 각각의 조합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유사도 계산부에서 상기 유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같은 그룹으로 그루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화재 발생 전에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여 화재 위험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재 보험사와의 연계를 통해 화재보험료를 할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에 넓은 공간의 다양한 기기들 중 어느 원인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었는지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에 발화지점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에 발화지점 또는 발화원인을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화재발생위치가 아닌 별도의 서버 또는 클라우드에 저장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화재 상황 데이터 모델링 작업 없이 바로 적용이 가능하여 센서 데이터 패턴 추이로 메타 데이터를 만들어 일반적 패턴을 찾아 낼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이 절감되어 보다 빠르게 화재 위험을 발견하여 이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를 계산하고,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를 결합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오류 대응 동작 수행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종합 유사도로 보다 화재 위험에 대한 판단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유사도 계산부에서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를 판단하여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모델링 작업없이 간단한 계산으로 화재 위험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유사도 계산부에서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수식으로 계산하고 계산결과의 평균을 제2유사도로 계산함으로써 모델링 작업없이 간단한 계산으로 화재 위험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기와 관련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오류 발생 직전 시점의 센서 정보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고, 예비 기준 데이터 중 유사한 패턴을 가진 예비 기준 데이터를 그루핑하고, 그루핑된 예비 기준 데이터 중 기준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그루핑된 그룹에서 가장 정확도가 높은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유사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의 클라우드와 사물인터넷간의 전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유사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2개씩 짝지은 조합으로 상호 유사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기기 관리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Memory, 기억장치)를 구비하고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중앙처리장치 및 메모리 등의 구성에 의해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기기 관리 시스템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장치에 분산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101)은 모니터링 대상 공간(102)의 환경 데이터 및 모니터링 대상 기기들의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대상 공간(102) 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위험이 감지되거나 실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소방 관제 시스템(103)에 이 사실을 즉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101)은 단순히 특정 공간 전체의 화재 위험이나 화재 상황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되어 있는 개별 기기들의 상태를 하나씩 모니터링하다가 위험 발생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전체 공간 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서 어떤 원인으로 화재가 발생했는지 빠르게 판단하고 이 결과를 소방 관제 시스템(103)에 전송하거나 사용자에게 즉시 알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화재를 파악하는 것 이외에 화재의 발생 위치, 화재 발생 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라지 않은데, 대형 공장 시설 등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첫째로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빠르게 특정하기 어려워 소화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고, 둘째로 누전에 의한 화재인지, 기름이나 가스 등의 유출에 의한 화재인지 등 화재 원인에 따라 진화 방법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화재 원인을 초기에 파악하기가 매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101)을 이용하면, 화재의 발생 위치, 발생 원인 등을 빠르게 추정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화재 피해 발생시에도 기기의 결함이나 전기공사의 문제 등 화재 원인을 입증하여 화재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화재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원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101)은 화재보험 상품과 연계되어 화재 위험성을 낮춰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는 상품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기기 관리 시스템은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210),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 유사도 계산부(230), 화재 위험 경보부(240),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250),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260), 기준 데이터 생성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유사도 계산부(230)는 제1 유사도 계산부(231)과 제2 유사도 계산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관한 센서 데이터 및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신한다.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차량, 신호등,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이 주 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 또는 기계적인 장치일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사용자가 고장 또는 오류를 감지하고자 하는 기기로써, 고장을 미리 감지하여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포함되거나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센서는 기기의 상태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 데이터는 전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누수 정보 등과 같이 센서로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일 수 있으며, 센서는 일정 간격으로 센서 정보를 인식하여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은 공장과 같이 다양한 기기들이 설정된 장소일 수 있으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공간이 될 수도 있다. 환경 데이터는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온도의 급격한 변화나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공간이 넓을 경우 공간을 여러 구역으로 구역화하여 각각의 구역에서의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 등의 환경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세부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210)에서는 이와 같이 센서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신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대한 정보 및 공간의 환경 정보를 종합하여 처리함으로써, 화재 예측 및 화재 원인 분석의 정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기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환경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한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기기의 종류, 기기 제품번호, 기기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 종류 등과 같이 기기가 갖고 있는 특징 또는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중복 분류 될 수 있다.
센서는 일정 간격으로 센서 정보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으며, 기기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한 직전의 일정 시계열 센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추출된 센서 정보를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는 기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서는 화재 상황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 데이터를 저장해 둠으로써, 향후 실제 모니터링된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가 유사한 경우 화재 발생 위험이 있음을 빠르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복잡한 모델링 과정 없이도 빠르고 정확한 화재 예측과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서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는 모니터링 데이터와 비교가 가능하도록 각종 기기들에 대한 센서 데이터와 여러 공간에 대한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중 센서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 중 환경 데이터와 각각 비교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서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는 아래에서 설명할 기준 데이터 생성부(270)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일 수 있는데, 구체적인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의 기준 데이터 생성부(270)에 대한 설명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유사도 계산부(230)는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유사도 계산부(230)에서 사용하는 모니터링 데이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수신하는 센서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사도 계산부(230)에서 사용하는 기준 데이터는 센서 데이터와 비교 대상이 되는 데이터로써, 이미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기 직전에 시계열적으로 센서 정보가 어떤 변화가 있는지 기록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A라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는 세탁기이며 제품번호는 'AB-100'일이라고 하면, 기준 데이터 저장부(102)는 카테고리가 세탁기이고 제품번호는 'AB-100'인 기기의 고장 발생 직전의 일정 시계열 센서 정보에 대하여 저장할 것이며, 이는 기준 데이터가 될 것이다. 기기의 고장은 갑자기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고장이 발생하기까지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에서 어떤 패턴을 보일 것이다. 따라서 고장 발생 직전의 센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보는 것도 이전의 전조 증상과 모니터링 대상 기기와 비교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만약 A라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이상이 생겨 곧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경우 기기의 센서는 이를 측정할 것이며, 시계열적으로 기록된 센서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기준 데이터의 오류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정보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면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이며, 센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를 계산할 수 있다.
유사도 계산부(230)는 모티프(Motif) 알고리즘 기반의 패턴 매칭 분석 시스템의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모티프(Motif) 알고리즘 방식이란 구글 검색 엔진과 같은 직관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여 사물인터넷 데이터의 일반적 패턴을 찾아 낼 수 있으며, 산업용 애플리케이션들에서 해당 패턴의 출현을 감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DNA 패턴을 찾는데 활용하는데 사용되었던 분석법을 사물인터넷 서비스에서 전조 현상 예측 모델로 적용한 기술이다.
모티프(Motif) 알고리즘 코어 기능 개발은 스파크(Spark) 기반의 데이터 수집 및 기초적인 데이터 분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파크(Spark)는 범용 분산 플랫폼으로 하둡(Hadoop)과 같이 맵리듀스(Map&Reduce)만 돌리는 것이 아니고, 스톰(Storm)과 같이 스트리밍 처리만 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된 여러대의 노트에서 연산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범용 분산 클러스터링 플랫폼으로, 맵리듀스(Map&Reduce)나 스트리밍 처리등의 모듈을 추가 올려서 그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본적인 빅데이터 관리를 위한 베이스(Base)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패턴 서치(Pattern Search) 기능은 센서 데이터간에 변화 추이를 라이브러리화 한 메타 데이터를 시계열 센서 데이터 속에서 찾아가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러 데이터 중에서 CACGTG를 하나의 메타 데이터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기능일 수 있다.
유사도 계산부(230)는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고, 모니터링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데이터를 각각 비교하여 각각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둘 모두 높은 유사도를 보이는 경우 화재 위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사도 계산부(230)는 정확한 유사도 계산을 위하여 제1유사도 계산부(231)와 제2유사도 계산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유사도 계산부(231)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1유사도를 계산한다.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는 시계열 데이터 중 한 시점의 데이터 일 수 있으며, 센서가 기기의 정보를 특정 간격으로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데이터 중 하나의 간격에 해당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라고 하면 15, 15, 25, 0, 30, 5, 20 등에 해당하는 각각의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 특정 데이터는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거나 일정한 수준의 데이터 값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화재가 발생하기 직전 모니터링 데이터 또는 기준 데이터 상으로 일반적인 경우와 다른 데이터가 도출될 것이다.
제1유사도 계산부(231)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가 +인지, 0인지, -인지 판단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상기 제1유사도로 계산한다.
제1유사도 계산부(231)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이며, 모니터링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2, 3, 35, 3, 20, 7, 15, 15, 15, 15, 15}이라고 하면, 각각의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을 계산해보면 2시점 앞이 없는 특정 데이터의 앞의 2시점을 제외하고 기준 데이터는 {0, 0, 0, 10, -15, 5, 5, -10, 5, -5, 5, 0, 0, 0}이며, 2시점 앞이 없는 특정 데이터의 앞의 2시점을 제외하고 모니터링 데이터는 {0, 0, 0, 7, -12, 13, 0, -15, 4, -5, 8, 0, 0, 0}이다. 그런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는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모두 특정 데이터인 15가 이어지는 부분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모두 시작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의 데이터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추정되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는 {10, -15, 5, 5, -10, 5, -5, 5}이며,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는 {7, -12, 13, 0, -15, 4, -5, 8}이다. 즉 기준 데이터 기준으로 {0, 0, 0, 10, -15, 5, 5, -10, 5, -5, 5, 0, 0, 0}과 {10, -15, 5, 5, -10, 5, -5, 5}은 동일한 값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센서 데이터 기준으로 {0, 0, 0, 7, -12, 13, 0, -15, 4, -5, 8, 0, 0, 0}와 {7, -12, 13, 0, -15, 4, -5, 8}는 동일한 값으로 취급하여 오류 또는 고장과 관련없다고 판단되는 특정데이터는 제외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이 증가하면 + 또는 1, 변화가 없으면 0, 감소하면 - 또는 -1로 표시할 수 있으며, 즉 증가, 유지, 감소의 여부를 부호로 표시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는 {1, -1, 1, 1, -1, 1, -1, 1}이며,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는 {1, -1, 1, 0, -1, 1, -1, 1}이다.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로 제1유사도를 계산하며,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부호 유사도는 {동일, 동일, 동일, 비동일, 동일, 동일, 동일, 동일}로 8개의 배열 중 7개 같으므로 제1유사도는 (7/8)*100=87.5%로 계산할 수 있다.
제2유사도 계산부(232)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2유사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이며, 모니터링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2, 3, 35, 3, 20, 7, 15, 15, 15, 15, 15}이라고 하고,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면, 기준 데이터는 {0, 0, 0, 0, 10, -25, 30, -25, 15, -10, 5, 0, 0, 0, 0}이며, 모니터링 데이터는 {0, 0, 0, 0, 7, -19, 32, -32, 17, -13, 8, 0, 0, 0, 0}이다.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화재와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제외하면 기준 데이터는 {10, -25, 30, -25, 15, -10, 5}이며, 모니터링 데이터는 {7, -19, 32, -32, 17, -13, 8}이다.
제2유사도 계산부(232)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식을 계산하고,
Figure 112017086912963-pat00002
상기 수식의 계산결과의 평균을 제2유사도로 계산한다.
제2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 수식을 이용한 결과 값은 {70, 76, 93.3, 72, 86.6, 70, 40}으로 평균은 72.56으로 평균값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제2유사도는 72.56%이다.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상기 유사도 계산부(230)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화재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화재 발생 위험 정보는 화재 발생 이전에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알리기 위한 정보일 수 있고, 화재 발생시 화재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는 일반 사용자뿐 아니라 소방 관제 시스템에 자동 전송되어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를 결합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오류 대응 동작 수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유사도 계산부(230)에서 계산한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를 결합하여 종합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계산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일정 기준이상이 되면 화재 위험이 감지 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종합 유사도를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될 수 있으며,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이를 기초로 화재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의 설치 여부 및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화재보험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전송부는 이와 같이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이 설치되었음을 화재보험 서버에 전송하고, 화재보험 서버는 이 정보를 기초로 화재보험 요금의 할인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의 위험을 미리 감지하여 화재 발생 확률을 낮추고, 화재 발생시 원인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보험료까지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화재보험 서버는 상기 설치 여부 및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기초로 화재보험료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것
종합유사도는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 모두 기준값 이상인 경우를 판단하여 종합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유사도는 87.5%이고, 제2유사도는 72.56%라고 가정하고, 기준값은 70%라고 가정한다.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는 모두 기준값 70%이상으로 판단되어,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화재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준값이 80%라고 가정하면 제1유사도는 기준값이상이나 제2유사도는 기준값 미만으로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 모두 기준값이상이 아니므로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화재 위험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종합유사도는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의 평균으로 종합유사도를 계산하여 평균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화재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유사도는 87.5%이고, 제2유사도는 72.56%라고 가정하면, 화재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하는 기준값은 80%라고 가정한다.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의 평균은 80.03%이며, 기준값은 80%로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오류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종합유사도는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중 하나 이상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를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화재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유사도는 87.5%이고, 제2유사도는 72.56%라고 가정하고, 기준값은 80%라고 가정한다. 제2유사도는 기준값 이상이 아니지만 제1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으로 판단되어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화재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준값이 90%라고 가정하면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 모두 기준값이 미치지 못하므로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화재 위험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종합 유사도는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 각각에 가중치를 두어 종합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 중 더 비중이 높다고 판단되는 유사도에 높은 비중을 두어 종합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제어부(104)는 종합 유사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화재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유사도는 87.5%이고, 제2유사도는 72.56%라고 가정하고, 제1유사도와 제2유사도의 가중치는 각각 70%:30%으로 가정하고, 화재 위험 경보부(240)가 화재 위험으로 판단하는 기준값은 80%이상으로 가정한다. 종합 유사도를 계산하면 (87.5X0.7)+(72.56X0.3)=83.02로 기준값 80%이상으로 화재 위험 경보부(240)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오류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 감지부가 모니터링 대상 공간에 설치되어 본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화재 발생 감지 장치들 중 어떤 것을 적용해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화재 감지부에서 실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유사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중 어느 위치에서 화재 발생이 시작되었는지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를 예상 발화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는 실제로 화재가 발생된 경우, 화재 발생 시점과 가장 가까운 시점에서 모니터링 대상 기기들의 센서 데이터 또는 환경 데이터 중에서 화재 상태와 관련성이 높은 곳을 찾아내고, 찾아낸 위치를 특정하여 발화 지점으로 예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에서 이와 같이 발화 지점을 예측하게 되면 화재의 조기 진화나 화재 원인의 빠르고 정확한 파악이 가능해진다.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는 유사도 정보뿐 아니라, 어느 지역의 센서와의 연결이 화재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빠르게 해제되었는지 확인하여 화재로 인해 센서와의 연결이 끊어지는 상황을 통해 화재 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250)는 복수의 기기와 관련된 센서 데이터 및 복수의 공간과 관련된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정보로 수집한다.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250)에서 수집하는 센서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는 다른 공간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101)의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른 공간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의 센서 데이터 및 환경 데이터의 패턴을 파악하여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26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250)에서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상기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의 개수의 시점의 센서 데이터 및 상기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 개수의 시점의 환경 데이터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 중 화재 발생 직전의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함으로써, 이와 비교하여 다른 지역에서 유사한 화재 발생 상황을 빠르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재 발생 직전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감지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클라우드 시스템 등에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직전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모두 기준데이터로 생성할 경우 너무나 다양한 경우와 실제 모니터링 데이터를 지속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분석이 가능하다는 본 발명의 장점이 희석될 수 있어서, 이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만 저장하고, 추후 이 중에서 실제 적용할 기준 데이터를 선별하도록 한다.
기준 데이터 생성부(270)는 이와 같이 실제 적용할 기준 데이터를 선별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기준 데이터 생성부(270)는 상기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260)에 저장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 중 상호 유사도가 높은 상기 복수 예비 기준 데이터를 그루핑하고, 상기 그루핑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관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공간 및 기기들에 대한 모니터링 데이터를 모두 기준데이터로 설정하게 되면 기준 데이터가 너무 많아져 이를 빠르게 비교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다양한 예비 기준 데이터 중에서 유사한 것들을 묶어 대표되는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하여 유사도 계산부(230)에서 기준 데이터로 활용하도록 한다.
기준 데이터 생성부(109)는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2개씩 짝지은 조합을 생성하고, 각각의 조합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유사도 계산부(103)에서 상기 유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같은 그룹으로 그루핑한다.
다양한 기기의 오류 발생 직전 시점의 센서 정보가 저장된 예비 데이터는 다양한 패턴이 있으며, 다양한 패턴 중 유사한 패턴끼리 그루핑을 할 수 있다. 그루핑된 예비 기준 데이터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들과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의 합계가 가장 높은 예비 기준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유사도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된 유사도는 일정값인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값일 경우 같은 그룹으로 그루핑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값이 70이라고 하면 같은 그룹내의 모든 예비 기준 데이터를 2개씩 짝지어서 유사도를 비교한다고 했을 때 유사도가 70이상이 되어야 해당 그룹이 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A에는 예비 기준 데이터가 4개인 예비 기준 데이터 1, 예비 기준 데이터 2, 예비 기준 데이터 3, 예비 기준 데이터 4가 그루핑 되었다. 예비 기준 데이터 1은 예비 기준 데이터 2와 유사도가 90, 예비 기준 데이터 3과 유사도가 80, 예비 기준 데이터 4와 유사도가 70으로 합계는 240이며, 예비 기준 데이터 2는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유사도가 90, 예비 기준 데이터 3과 유사도가 70, 예비 기준 데이터 4와 유사도가 75으로 합계는 235이며, 예비 기준 데이터 3은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유사도가 80, 예비 기준 데이터 2와 유사도가 70, 예비 기준 데이터 4와 유사도가 70으로 합계는 220이며, 예비 기준 데이터 4는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유사도가 70, 예비 기준 데이터 2와 유사도가 75, 예비 기준 데이터 3과 유사도가 70으로 합계는 215으로 예비 기준 데이터 1이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들과의 유사도 합계가 가장 높아 그룹 A의 기준 데이터는 예비 기준 데이터 1이 되어 예비 기준 데이터 1은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가 그루핑된 상태에서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가 이미 그루핑된 그룹에 집입할 수 있는지 판단할 경우 기준 데이터로 생성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이미 그루핑된 그룹에 새로운 예비 기준 데이터가 그루핑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 그루핑된 그룹에 진입할 수 있는 소정의 값이 90이라고 한다면, 그룹 A로 그룹핑 된 상태에서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 10이 그룹 A에 그루핑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야하는 경우 기준 데이터로 생성된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예비 기준 데이터 10의 유사도가 90이상인 경우 그룹 A에 그루핑 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를 종합합하여 그루핑된 예비 기준 데이터와 유사도가 높은 가상의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B에는 예비 기준 데이터가 4개인 예비 기준 데이터 1, 예비 기준 데이터 2, 예비 기준 데이터 3, 예비 기준 데이터 4가 그루핑 되었으며, 4개의 예비 기준 데이터 모두와 유사도가 80이상인 가상의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의 클라우드와 사물인터넷간의 전체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클라우드에서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250) 는 사물인터넷2, 사물인터넷 3과 같은 다양한 사물인터넷의 기기들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는 화재가 발생하기 직전의 시점의 센서 정보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예비 기준 데이터 중 상호 유사도가 높은 예비 기준 데이터끼리 그루핑되고 그루핑된 예비 기준 데이터 중에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기준 데이터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를 포함하고 있는 사물인터넷 1의 센서 정보와 기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오류 대응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화재 위험 경보부(240)에서 판단할 수 있다. 화재 위험 경보부(240)에서 화재 위험이 감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 또는 통신기기에 위험 감지가 되었다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유사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모니터링 데이터 중 센서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센서 데이터와 비교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환경 데이터 또한 기준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기의 오류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정보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한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기기의 종류, 기기 제품번호, 기기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 종류 등과 같이 기기가 갖고 있는 특징 또는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 될 수 있다.
센서는 일정 간격으로 센서 정보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으며, 기기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한 직전의 일정 시계열 센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추출된 센서 정보를 기준 데이터 저장부(102)는 기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유사도 계산부(230)는 센서 데이터 및 기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센서 데이터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와 관련된 센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대비하여 지속적으로 기기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 일정 간격 별로 지속적으로 센서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일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센서 데이터와 비교 대상이 되는 데이터로써, 이미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기 직전에 시계열적으로 센서 정보가 어떤 변화가 있는지 기록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A라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는 세탁기이며 제품번호는 'AB-100'일이라고 하면,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는 카테고리가 세탁기이고 제품번호는 'AB-100'인 기기의 고장 발생 직전의 일정 시계열 센서 정보에 대하여 저장할 것이며, 이는 기준 데이터가 될 것이다. 기기의 고장은 갑자기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고장이 발생하기까지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에서 어떤 패턴을 보일 것이다. 따라서 고장 발생 직전의 센서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보는 것도 이전의 전조 증상과 모니터링 대상 기기와 비교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만약 A라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이상이 생겨 곧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경우 기기의 센서는 이를 측정할 것이며, 시계열적으로 기록된 센서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기준 데이터의 오류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정보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면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이며, 센서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를 계산할 수 있다.
제1유사도 계산부(231)는 기준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1유사도를 계산한다.
기준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는 시계열 데이터 중 한 시점의 데이터 일 수 있으며, 센서가 기기의 정보를 특정 간격으로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데이터 중 하나의 간격에 해당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라고 하면 15, 15, 25, 0, 30, 5, 20 등에 해당하는 각각의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 특정 데이터는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거나 일정한 수준의 데이터 값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기 직전 센서 데이터 또는 기준 데이터 상으로 일반적인 경우와 다른 데이터가 도출될 것이다.
제1유사도 계산부(231)는 기준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가 +인지, 0인지, -인지 판단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상기 제1유사도로 계산한다.
제1유사도 계산부(231)는 기준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이며, 센서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2, 3, 35, 3, 20, 7, 15, 15, 15, 15, 15}이라고 하면, 각각의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을 계산해보면 2시점 앞이 없는 특정 데이터의 앞의 2시점을 제외하고 기준 데이터는 {0, 0, 0, 10, -15, 5, 5, -10, 5, -5, 5, 0, 0, 0}이며, 2시점 앞이 없는 특정 데이터의 앞의 2시점을 제외하고 센서 데이터는 {0, 0, 0, 7, -12, 13, 0, -15, 4, -5, 8, 0, 0, 0}이다. 그런데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는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 모두 특정 데이터인 15가 이어지는 부분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 모두 시작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의 데이터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추정되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는 {10, -15, 5, 5, -10, 5, -5, 5}이며,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는 {7, -12, 13, 0, -15, 4, -5, 8}이다. 즉 기준 데이터 기준으로 {0, 0, 0, 10, -15, 5, 5, -10, 5, -5, 5, 0, 0, 0}과 {10, -15, 5, 5, -10, 5, -5, 5}은 동일한 값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센서 데이터 기준으로 {0, 0, 0, 7, -12, 13, 0, -15, 4, -5, 8, 0, 0, 0}와 {7, -12, 13, 0, -15, 4, -5, 8}는 동일한 값으로 취급하여 오류 또는 고장과 관련없다고 판단되는 특정데이터는 제외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이 증가하면 + 또는 1, 변화가 없으면 0, 감소하면 - 또는 -1로 표시할 수 있으며, 즉 증가, 유지, 감소의 여부를 부호로 표시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는 {1, -1, 1, 1, -1, 1, -1, 1}이며,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는 {1, -1, 1, 0, -1, 1, -1, 1}이다.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로 제1유사도를 계산하며,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부호 유사도는 {동일, 동일, 동일, 비동일, 동일, 동일, 동일, 동일}로 8개의 배열 중 7개 같으므로 제1유사도는 (7/8)*100=87.5%로 계산할 수 있다.
제2유사도 계산부(232)는 기준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2유사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이며, 센서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2, 3, 35, 3, 20, 7, 15, 15, 15, 15, 15}이라고 하고,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트이 1시점 앞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면, 기준 데이터는 {0, 0, 0, 0, 10, -25, 30, -25, 15, -10, 5, 0, 0, 0, 0}이며, 센서 데이터는 {0, 0, 0, 0, 7, -19, 32, -32, 17, -13, 8, 0, 0, 0, 0}이다.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오류 및 고장과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제외하면 기준 데이터는 {10, -25, 30, -25, 15, -10, 5}이며, 센서 데이터는 {7, -19, 32, -32, 17, -13, 8}이다.
제2유사도 계산부(232)는 기준 데이터 및 센서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식을 계산하고,
Figure 112017086912963-pat00003
상기 수식의 계산결과의 평균을 제2유사도로 계산한다.
제2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 수식을 이용한 결과 값은 {70, 76, 93.3, 72, 86.6, 70, 40}으로 평균은 72.56으로 평균값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제2유사도는 72.56%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예비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2개씩 짝지은 조합으로 상호 유사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준 데이터 생성부(270)는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260) 에 저장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 중 상호 유사도가 높은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를 그루핑하고, 그루핑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관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기준 데이터 생성부(270)는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2개씩 짝지은 조합을 생성하고, 각각의 조합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유사도 계산부(230)에서 상기 유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같은 그룹으로 그루핑한다.
다양한 기기의 오류 발생 직전 시점의 센서 정보가 저장된 예비 데이터는 다양한 패턴이 있으며, 다양한 패턴 중 유사한 패턴끼리 그루핑을 할 수 있다. 그루핑된 예비 기준 데이터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들과 유사도를 비교하여 유사도의 합계가 가장 높은 예비 기준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유사도 계산부(230)를 통해 계산된 유사도는 일정값인 소정의 기준값 이상의 값일 경우 같은 그룹으로 그루핑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값이 70이라고 하면 같은 그룹내의 모든 예비 기준 데이터를 2개씩 짝지어서 유사도를 비교한다고 했을 때 유사도가 70이상이 되어야 해당 그룹이 속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A에는 예비 기준 데이터가 4개인 예비 기준 데이터 1, 예비 기준 데이터 2, 예비 기준 데이터 3, 예비 기준 데이터 4가 그루핑 되었다. 예비 기준 데이터 1은 예비 기준 데이터 2와 유사도가 90, 예비 기준 데이터 3과 유사도가 80, 예비 기준 데이터 4와 유사도가 70으로 합계는 240이며, 예비 기준 데이터 2는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유사도가 90, 예비 기준 데이터 3과 유사도가 70, 예비 기준 데이터 4와 유사도가 75으로 합계는 235이며, 예비 기준 데이터 3은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유사도가 80, 예비 기준 데이터 2와 유사도가 70, 예비 기준 데이터 4와 유사도가 70으로 합계는 220이며, 예비 기준 데이터 4는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유사도가 70, 예비 기준 데이터 2와 유사도가 75, 예비 기준 데이터 3과 유사도가 70으로 합계는 215으로 예비 기준 데이터 1이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들과의 유사도 합계가 가장 높아 그룹 A의 기준 데이터는 예비 기준 데이터 1이 되어 예비 기준 데이터 1은 기준 데이터 저장부(220)에 저장될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가 그루핑된 상태에서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가 이미 그루핑된 그룹에 집입할 수 있는지 판단할 경우 기준 데이터로 생성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소정의 값 이상이 되면 이미 그루핑된 그룹에 새로운 예비 기준 데이터가 그루핑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 그루핑된 그룹에 진입할 수 있는 소정의 값이 90이라고 한다면, 그룹 A로 그룹핑 된 상태에서 다른 예비 기준 데이터 10이 그룹 A에 그루핑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해야하는 경우 기준 데이터로 생성된 예비 기준 데이터 1과 예비 기준 데이터 10의 유사도가 90이상인 경우 그룹 A에 그루핑 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예비 기준데이터가 수집되었을 경우에도 그룹에 있던 모든 예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지 않아 보다 빠르게 처리되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를 종합합하여 그루핑된 예비 기준 데이터와 유사도가 높은 가상의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룹 B에는 예비 기준 데이터가 4개인 예비 기준 데이터 1, 예비 기준 데이터 2, 예비 기준 데이터 3, 예비 기준 데이터 4가 그루핑 되었으며, 4개의 예비 기준 데이터 모두와 유사도가 80이상인 가상의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운용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 S601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관한 센서 데이터 및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신한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차량, 신호등,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이 주 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인터넷과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사용자가 고장 또는 오류를 감지하고자 하는 기기로써, 고장을 미리 감지하여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센서는 기기의 모든 상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센서 정보는 전류 정보, 온도 정보, 습도 정보, 누수 정보 등과 같이 센서로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정보일 수 있으며, 센서는 일정 간격으로 센서 정보에 관하여 기록할 수 있다.
단계 S602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기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환경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한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기기의 종류, 기기 제품번호, 기기가 포함하고 있는 센서 종류 등과 같이 기기가 갖고 있는 특징 또는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복수의 카테고리로 분류 될 수 있다.
센서는 일정 간격으로 모니터링 데이터에 관하여 기록하고 있으며, 기기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한 직전의 일정 시계열 모니터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추출된 모니터링 데이터를 단계 S602는 기준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603는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한다.
기준 데이터는 모니터링 데이터와 비교 대상이 되는 데이터로써, 이미 화재가 발생한 경우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화재가 발생하기 직전에 시계열적으로 센서 정보가 어떤 변화가 있는지 기록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A라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카테고리는 세탁기이며 제품번호는 'AB-100'일이라고 하면, 단계 S602는 카테고리가 세탁기이고 제품번호는 'AB-100'인 기기의 고장 발생 직전의 일정 시계열 센서 정보에 대하여 저장할 것이며, 이는 기준 데이터가 될 것이다. 기기의 고장은 갑자기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고장이 발생하기까지 센서에서 수집한 정보에서 어떤 패턴을 보일 것이다. 따라서 고장 발생 직전의 모니터링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보는 것도 이전의 전조 증상과 모니터링 대상 기기와 비교하기 위함일 수 있다.
만약 A라는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이상이 생겨 곧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경우 기기의 센서는 이를 측정할 것이며, 시계열적으로 기록된 모니터링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 대상 기기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기준 데이터의 오류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정보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이며, 모니터링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이를 계산할 수 있다.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1유사도를 계산한다.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는 시계열 데이터 중 한 시점의 데이터 일 수 있으며, 센서가 기기의 정보를 특정 간격으로 시계열적으로 기록한 데이터 중 하나의 간격에 해당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라고 하면 15, 15, 25, 0, 30, 5, 20 등에 해당하는 각각의 데이터가 특정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일반적인 경우 특정 데이터는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거나 일정한 수준의 데이터 값을 유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화재가 발생하기 직전 센서 데이터 또는 기준 데이터 상으로 일반적인 경우와 다른 데이터가 도출될 것이다.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가 +인지, 0인지, -인지 판단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상기 제1유사도로 계산한다.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이며, 모니터링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2, 3, 35, 3, 20, 7, 15, 15, 15, 15, 15}이라고 하면, 각각의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을 계산해보면 2시점 앞이 없는 특정 데이터의 앞의 2시점을 제외하고 기준 데이터는 {0, 0, 0, 10, -15, 5, 5, -10, 5, -5, 5, 0, 0, 0}이며, 2시점 앞이 없는 특정 데이터의 앞의 2시점을 제외하고 센서 데이터는 {0, 0, 0, 7, -12, 13, 0, -15, 4, -5, 8, 0, 0, 0}이다. 그런데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는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 모두 특정 데이터인 15가 이어지는 부분임을 추정할 수 있으며,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모두 시작되는 부분과 끝나는 부분의 데이터의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추정되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기준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는 {10, -15, 5, 5, -10, 5, -5, 5}이며, 센서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는 {7, -12, 13, 0, -15, 4, -5, 8}이다. 즉 기준 데이터 기준으로 {0, 0, 0, 10, -15, 5, 5, -10, 5, -5, 5, 0, 0, 0}과 {10, -15, 5, 5, -10, 5, -5, 5}은 동일한 값으로 취급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데이터 기준으로 {0, 0, 0, 7, -12, 13, 0, -15, 4, -5, 8, 0, 0, 0}와 {7, -12, 13, 0, -15, 4, -5, 8}는 동일한 값으로 취급하여 화재와 관련없다고 판단되는 특정데이터는 제외할 수 있다.
또한,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이 증가하면 + 또는 1, 변화가 없으면 0, 감소하면 - 또는 -1로 표시할 수 있으며, 즉 증가, 유지, 감소의 여부를 부호로 표시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는 {1, -1, 1, 1, -1, 1, -1, 1}이며, 모니터링 데이터의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는 {1, -1, 1, 0, -1, 1, -1, 1}이다.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로 제1유사도를 계산하며, 기준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의 부호 유사도는 {동일, 동일, 동일, 비동일, 동일, 동일, 동일, 동일}로 8개의 배열 중 7개 같으므로 제1유사도는 (7/8)*100=87.5%로 계산할 수 있다.
제2유사도 계산하는 단계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2유사도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기준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5, 0, 30, 5, 20, 10, 15, 15, 15, 15, 15}이며, 모니터링 데이터는 {15, 15, 15, 15, 15, 22, 3, 35, 3, 20, 7, 15, 15, 15, 15, 15}이라고 하고,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의 차이를 계산하면, 기준 데이터는 {0, 0, 0, 0, 10, -25, 30, -25, 15, -10, 5, 0, 0, 0, 0}이며, 센서 데이터는 {0, 0, 0, 0, 7, -19, 32, -32, 17, -13, 8, 0, 0, 0, 0}이다. 기준 데이터와 모니터링 데이터의 화재와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데이터를 제외하면 기준 데이터는 {10, -25, 30, -25, 15, -10, 5}이며, 센서 데이터는 {7, -19, 32, -32, 17, -13, 8}이다.
유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기준 데이터 및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식을 계산하고,
Figure 112017086912963-pat00004
상기 수식의 계산결과의 평균을 제2유사도로 계산한다.
제2유사도를 계산하기 위해 수식을 이용한 결과 값은 {70, 76, 93.3, 72, 86.6, 70, 40}으로 평균은 72.56으로 평균값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제2유사도는 72.56%이다.
단계 S604는 단계 S603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오류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오류 대응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오류 대응 동작은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전원을 껐다 키는 동작 또는 시스템을 점검하는 동작과 같이 기기의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기 전에 오류 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동작일 수 있으며, 모니터링 대상 기기의 오류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모니터링 대상 기기를 껐다 키는 동작 또는 시스템 점검을 하는 동작 등과 같은 오류 대응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604는 제1유사도 및 제2유사도를 결합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화재 위험 경보 수행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운용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 220: 기준 데이터 저장부
230: 유사도 계산부 240: 화재 위험 경보부
231: 제1유사도 계산부 232: 제2유사도 계산부
250: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 260: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
270: 기준 데이터 생성부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관한 센서 데이터 및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신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부;
    상기 모니터링 대상 기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환경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저장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유사도 계산부; 및
    상기 유사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화재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재 위험 경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도 계산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1유사도를 계산하는 제1유사도 계산부;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2유사도를 계산하는 제2유사도 계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위험 경보부는
    상기 제1유사도 및 상기 제2유사도를 결합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화재 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의 설치 여부 및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화재보험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보험 서버는 상기 설치 여부 및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기초로 화재보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유사도 계산부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중 어느 위치에서 화재 발생이 시작되었는지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를 예상 발화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발화 지점 추정부는
    추정된 예상 발화 지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사도 계산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가 +인지, 0인지, -인지 판단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상기 제1유사도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사도 계산부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식을 계산하고,
    Figure 112017086912963-pat00005

    상기 수식의 계산결과의 평균을 상기 제2유사도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기와 관련된 센서 데이터 및 복수의 공간과 관련된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정보로 수집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상기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의 개수의 시점의 센서 데이터 및 상기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 개수의 시점의 환경 데이터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
    상기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2개씩 짝지은 조합을 생성하고, 각각의 조합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유사도 계산부에서 유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같은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상기 그루핑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관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9. 삭제
  10.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에 관한 센서 데이터 및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신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모니터링 대상 기기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센서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이 속하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시계열 환경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저장 단계;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및 상기 기준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유사도 계산 단계; 및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상기 모니터링 대상 공간의 화재 위험이 감지되는 경우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재 위험 경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1유사도를 계산하는 제1유사도 계산 단계;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값들 사이의 유사도를 이용하여 제2유사도를 계산하는 제2유사도 계산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 위험 경보 단계는
    상기 제1유사도 및 상기 제2유사도를 결합한 종합 유사도를 기초로 화재 발생 위험을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운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의 설치 여부 및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화재보험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재보험 서버는 상기 설치 여부 및 화재 발생 위험 정보를 기초로 화재보험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운용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 단계 및
    상기 화재 감지 단계에서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유사도 계산 단계에서 계산된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하나 이상의 모니터링 대상 기기 또는 모니터링 대상 공간 중 어느 위치에서 화재 발생이 시작되었는지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위치를 예상 발화 지점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예상 발화 지점 추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운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발화 지점 추정 단계는
    추정된 예상 발화 지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운용 방법.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사도 계산 단계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2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의 부호가 +인지, 0인지, -인지 판단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와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의 차이값의 부호가 동일한 경우의 비율을 상기 제1유사도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운용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사도 계산 단계는
    상기 기준 데이터 및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시계열 데이터 중 특정 데이터와 상기 특정 데이터의 1시점 앞 데이터와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식을 계산하고,
    Figure 112018046867565-pat00006

    상기 수식의 계산결과의 평균을 상기 제2유사도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운용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기와 관련된 센서 데이터 및 복수의 공간과 관련된 환경 데이터를 모니터링 데이터로 수집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
    상기 모니터링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수집된 모니터링 데이터 중 상기 기기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의 개수의 시점의 센서 데이터 및 상기 공간의 화재 발생 직전의 소정 개수의 시점의 환경 데이터를 예비 기준 데이터로 저장하는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 단계;
    상기 예비 기준 데이터 저장 단계에 저장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대하여 2개씩 짝지은 조합을 새성하고, 각각의 조합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시 유사도 계산 단계에서 상기 유사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값 이상인 경우 같은 그룹으로 그루핑하고, 상기 그루핑된 복수의 예비 기준 데이터에 관한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기준 데이터 저장 단계에 저장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운용 방법.
  18. 삭제
  19. 제10항 내지 제13항 및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170114372A 2017-09-07 2017-09-0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893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72A KR101893563B1 (ko) 2017-09-07 2017-09-0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72A KR101893563B1 (ko) 2017-09-07 2017-09-0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563B1 true KR101893563B1 (ko) 2018-10-04

Family

ID=63863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372A KR101893563B1 (ko) 2017-09-07 2017-09-07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5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12A (ko) * 2019-01-18 2020-07-28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02500A1 (ko) * 2019-07-02 2021-01-07 양경옥 건설현장 사물인터넷 비콘을 이용한 화재위험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21117987A1 (ko) * 2019-12-13 2021-06-17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배전반의 화재 보험료 할인율 산정 장치
KR20220014748A (ko) * 2020-07-29 2022-02-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화재모니터링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177592A4 (en) * 2020-07-06 2024-01-17 Panasonic Ip Man Co Ltd CHARACTER DETERMINATION SYSTEM, INTEGRATED SYSTEM, CHARACTER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22B1 (ko) * 2016-02-17 2016-10-25 (주)대연씨앤아이 화재 감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22B1 (ko) * 2016-02-17 2016-10-25 (주)대연씨앤아이 화재 감지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012A (ko) * 2019-01-18 2020-07-28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0217B1 (ko) * 2019-01-18 2021-03-22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센싱기술 융합의 지능형 화재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1002500A1 (ko) * 2019-07-02 2021-01-07 양경옥 건설현장 사물인터넷 비콘을 이용한 화재위험 평가 방법 및 장치
WO2021117987A1 (ko) * 2019-12-13 2021-06-17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배전반의 화재 보험료 할인율 산정 장치
EP4177592A4 (en) * 2020-07-06 2024-01-17 Panasonic Ip Man Co Ltd CHARACTER DETERMINATION SYSTEM, INTEGRATED SYSTEM, CHARACTER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KR20220014748A (ko) * 2020-07-29 2022-02-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화재모니터링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44941B1 (ko) * 2020-07-29 2022-09-1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화재모니터링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56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화재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111436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omaly detection in an electrical network
US9389946B2 (en) Operation management apparatus,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9483049B2 (en) Anomaly detection and diagnosis/prognosis method, anomaly detection and diagnosis/prognosis system, and anomaly detection and diagnosis/prognosis program
JP2018170006A (ja) 電力グリッドにおけるサイバー脅威を検出する汎用フレームワーク
WO2014208002A1 (ja) システム分析装置、システム分析方法、及びシステム分析プログラム
CN105787248A (zh) 基于时间序列数据的分析的异常感测和预测系统及方法
US8874963B2 (en) Operations management apparatus, operations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thereof
JP6183450B2 (ja) システム分析装置、及び、システム分析方法
WO2013043170A1 (en) Automated detection of a system anomaly
US20160369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omaly conditions of sensor attached devices
KR102440335B1 (ko) 이상 감지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5637432A (zh) 识别被监控实体的异常行为
EP2963552B1 (en) System analysis device and system analysis method
KR20170030201A (ko) 경보의 오류율 계산 방법
CN113516820B (zh) 一种火灾预警方法和预警系统
US11640459B2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CN110570544A (zh) 飞机燃油系统故障识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u et al. Online temporal-spatial analysis for detection of critical events in cyber-physical systems
CN106652393B (zh) 假警报确定方法及装置
CN112380073B (zh) 一种故障位置的检测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101971553B1 (ko) 사물인터넷 기반 기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890815B2 (ja) プラントの異常診断装置
KR20160039078A (ko) 발전소 배관 운전신호 분석 방법
KR102512089B1 (ko) 인공지능 기반 인지-제어기능이 적용된 디젤형 발전기 자동운용 제어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