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540B1 -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540B1
KR101893540B1 KR1020160102219A KR20160102219A KR101893540B1 KR 101893540 B1 KR101893540 B1 KR 101893540B1 KR 1020160102219 A KR1020160102219 A KR 1020160102219A KR 20160102219 A KR20160102219 A KR 20160102219A KR 101893540 B1 KR101893540 B1 KR 10189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bubble generating
generating member
beverage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817A (ko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601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540B1/ko
Priority to PCT/KR2016/014703 priority patent/WO2018030591A1/ko
Publication of KR2018001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65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use of drinking cups or glasse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버블생성부재가 음료 이송관 또는 노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음료의 특성에 따라 버블생성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Nozzle assembly for bottom up fi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버블생성부재가 음료 이송관 또는 노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에 비교적 많은 양을 따라 마시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500cc, 1000cc의 맥주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맥주잔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생맥주는 맥아즙을 발효, 숙성시켜 여과만 하고, 가열, 살균과정을 거치지 않은 맥주를 말하며, 이러한 생맥주는 생맥주 주입 장치를 통해 제공된다.
그리고 맥주 전문점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생맥주 주입 장치는 생맥주통에 공급관을 연결하고, 공급관에 구비된 밸브를 이용하여 관로를 개폐하므로 음료 용기에 맥주를 공급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그런데 주류에서도 맥주는 낮은 알코올 도수에 간편하고 부담 없이 누구라도 즐길 수 있는 것으로서, 음료 주입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 음료에 비하여 맥주를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됨에 따라 주입 압력에 의하여 맥주 거품이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거품을 일일이 제거해주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맥주 주입 장치로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주로 상측에서 공급하므로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실용공보 제2016-0001967호에 하부로 음료를 주입하는 음료 주입 장치 및 음료 용기가 나타나 있다.
한편, 종래에는 기네스 맥주와 같이 거품을 많이 발생시켜서 주입해야 하는 경우에는 노즐에 모세관이 형성된 저항막을 부착하였다. 그러나, 거품이 필요 없는 음료를 공급할 때에는 저항막을 제거해야 하거나 음료 주입 장치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62598호에는 하부로 음료를 주입하는 장치의 노즐 내부에 미세거품을 만들 수 있는 다수의 회전체를 구비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구조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62598호 한국공개실용공보 제2016-000196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64671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블생성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는, 음료 이송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노즐과, 상기 노즐 내부에 배치되며 미세홀이 형성되는 버블생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생성부재는 상기 음료 이송관 또는 상기 노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음료 이송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블생성부재는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홀은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일측보다 타측에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부는 노즐상면에 의해 막히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노즐의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상면은 상기 관통공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버블생성부재가 음료 이송관 또는 노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음료의 특성에 따라 버블생성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버블생성부재는 노즐 내부에 배치되어, 버블생성부재를 제거하게 되면 이송되는 음료에 가해지는 저항이 최소한으로 유지되어 거품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노즐을 거품비생성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음료 이송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상기 버블생성부재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을 상기 음료 이송관으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버블생성부재도 이탈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탈착이 더욱 단순한 과정을 통해 될 수 있다.
상기 버블생성부재는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홀은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적절한 저항이 생겨서 물리적으로 거품이 효과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상기 버블생성부재를 상기 노즐에 탈착시킬 때 파이프 형상으로 된 상기 버블생성부재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분리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는, 음료 이송관(55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45)가 형성되는 노즐(540)과, 상기 노즐(540) 내부에 배치되며 미세홀(621)이 형성되는 버블생성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생성부재(6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음료 이송관(550)과 상기 노즐(540)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6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료 이송관(550)은 수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5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음료 이송관(550)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음료의 이송경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음료 이송관(550)은 하부에 잘록한 부분(미도시)이 형성된 벤츄리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음료 이송관(550)은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음료 이송관(550)은 상부 외주면에 관 플랜지(552)가 형성된다. 관 플랜지(552)는 지지부(510)의 하부에 배치된다. 관 플랜지(552)와 지지부(510)의 하면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된다.
음료 이송관(550)은 상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부(551)가 형성된다. 체결부(551)는 관 플랜지(552)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체결부(551)는 지지부(510)의 상부로 노출되게 된다.
노즐(540)은 지지부(5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노즐(540)은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즐(540)은 수직하게 배치된다.
노즐(540)은 음료 이송관(550)의 끝단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노즐(540)은 음료 이송 경로의 가장 끝단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노즐(540)은 손쉽게 탈착가능해진다.
노즐(540)은 축경부(541)와, 상기 축경부(541)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542)를 포함한다.
축경부(541)는 확경부(542)보다 외경이 작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는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노즐(540)의 상부인 축경부(541)는 노즐상면(544)에 의해 막힌다. 노즐상면(544)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544a)이 형성된다. 관통공(544a)의 직경은 노즐(540)의 유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노즐상면(544)은 상기 관통공(544a)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노즐상면(544)에 있는 음료가 관통공(544a)으로 안내된다.
노즐상면(544)의 저면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노즐상면(544)은 관통공(544a)을 향할수록 상하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에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45)가 형성된다.
배출부(545)는 축경부(541)의 상부의 측부에 형성된다.
배출부(545)는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다. 배출부(545)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배출부(545)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음료 주입시, 노즐(540)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91714호 등에 나타나 있는 음료 용기의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고,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45)는 음료 용기 내부에 연통된다.
축경부(541)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의 수평단면적은 배출부(545)를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확경부(542)의 상면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은 축경부(541)의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확경부(542)의 양측 외주면에는 평편부(542a)가 형성된다. 이러한 평편부(542a)로 인해 사용자가 노즐(540)을 음료 이송관(550)에 대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노즐(540)의 탈착이 용이해진다.
확경부(542)의 하면에도 실링부재가 안착되는 실링부재 안착홈(542b)이 형성되어 노즐(540)과 지지부(510) 사이로 음료가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링부재 안착홈(542b)은 확경부(542)의 하면의 내측단과 외측단 사이에 배치된다.
확경부(542)의 내주면 상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버블생성부재(600)의 플랜지(610)가 걸리는 걸림턱(543)이 내주면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또한, 확경부(542)의 내주면 하부에는 체결부(551)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542c)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산(542c)으로 인해 노즐(540)은 음료 이송관(550)에 나사결합된다.
나사산(542c)은 걸림턱(543)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공간은 플랜지(610)가 안착되는 플랜지안착홈 역할을 한다.
버블생성부재(600)는 노즐(540) 내부에 배치되며, 미세홀(621)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블생성부재(600)는 거품을 물리적으로 유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버블생성부재(600)는 상부가 막힌 노즐(540)의 내부에 배치되어, 버블생성부재(6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버블생성부재(600)는 온둘레가 노즐(540) 및 음료 이송관(550)에 의해 둘러싸여서, 버블생성부재(6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미세홀(621)은 노즐(540)의 배출부(545)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버블생성부재(60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버블생성부재(600)는 일측(620)이 막히고 타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버블생성부재(600)는 하부가 막히고 상부가 개방된다. 버블생성부재(600, 600')의 상하 길이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의 양과 질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버블생성부재(600)는 음료가 이송되는 방향에 수직한 판(일측)이 형성된다.
버블생성부재(600)의 외경은 음료 이송관(550) 및 노즐(540)의 내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버블생성부재(600)의 외주면은 음료 이송관(550) 및 노즐(54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버블생성부재(600)의 상단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미세홀(621)은 버블생성부재(600)의 일측(62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미세홀(621, 621')의 직경 및 개수는 거품의 양과 질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블생성부재(600)가 형성되어,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거품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세척이 용이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버블생성부재(600)의 외주면에는 음료 이송관(550)과 노즐(540)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610)가 형성된다.
플랜지(610)는 버블생성부재(600)의 일측(620)보다 타측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즉, 플랜지(610)는 버블생성부재(60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다.
플랜지(610)는 노즐(540)의 나사산(542c)과 걸림턱(543) 사이의 이격공간에 끼워진다. 상기 이격공간의 상하 높이는 플랜지(610)의 상하높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610)의 외경은 노즐(540)의 내경과 동일 또는 유사하여 플랜지(610)를 노즐(540)에 끼워넣으면 버블생성부재(60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플랜지(610)의 상부는 걸림턱(543)을 통해 지지하고, 플랜지(610)의 하부는 음료 이송관(550)의 체결부(551)를 통해 지지하여 버블생성부재(60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노즐(540)에 버블생성부재(600)를 조립하면, 노즐(540)의 하단보다 버블생성부재(600)의 하단이 아래로 돌출되게된다. 즉, 걸림턱(543)의 높이는 버블생성부재(600)의 상하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버블생성부재(600)의 하단은 지지부(51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음료 이송관(550)을 통해 이송되는 음료는 버블생성부재(600)의 미세홀(621)을 통과하면서 물리적인 저항이 커지게 되어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거품이 발생된 음료는 버블생성부재(600)의 타측을 통과한 후에 노즐(540) 상부로 이송되어 배출부(545)로 배출되어 음료 용기에 주입된다.
버블생성부재(60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노즐(540)을 돌려서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음료 이송관(55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노즐(540)을 음료 이송관(550)으로부터 빼내면 노즐(540)에 끼워진 버블생성부재(600)도 같이 음료 이송관(550)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어서, 버블생성부재(600)를 노즐(540)로부터 빼내면 된다.
버블생성부재(600)를 조립할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대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단순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버블생성부재(600)를 음료공급장치에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0 : 지지부
540 : 노즐 541 : 축경부
542 : 확경부 542a : 평편부
542b : 실링부재 안착홈 542c : 나사산
543 : 걸림턱 544 : 노즐상면
544a : 관통공 545 : 배출부
550 : 음료 이송관
551 : 체결부 552 : 관 플랜지
600 : 버블생성부재 610 : 플랜지
620 : 일측 621 : 미세홀

Claims (6)

  1. 음료 이송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며 하부로 음료를 주입하는 노즐;
    상기 노즐 내부에 배치되며 미세홀이 형성되는 버블생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버블생성부재는 상기 음료 이송관 또는 상기 노즐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노즐은 상부는 노즐상면에 의해 막히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노즐의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노즐상면은 상기 관통공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단면적은 상기 배출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음료 이송관과 상기 노즐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생성부재는 일측이 막히고 타측이 개방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홀은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버블생성부재의 일측보다 타측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KR1020160102219A 2016-08-11 2016-08-11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KR10189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19A KR101893540B1 (ko) 2016-08-11 2016-08-11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PCT/KR2016/014703 WO2018030591A1 (ko) 2016-08-11 2016-12-15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219A KR101893540B1 (ko) 2016-08-11 2016-08-11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817A KR20180017817A (ko) 2018-02-21
KR101893540B1 true KR101893540B1 (ko) 2018-08-30

Family

ID=6116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219A KR101893540B1 (ko) 2016-08-11 2016-08-11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3540B1 (ko)
WO (1) WO201803059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03Y1 (ko) * 2006-05-10 2006-07-20 이양준 생맥주 인출장치
WO2012149612A1 (en) 2011-05-02 2012-11-08 Dispack-Projects Nv Fixation of a fitting on a container
KR200473800Y1 (ko) * 2012-09-27 2014-07-31 김진원 맥주잔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3164A1 (en) * 2008-05-20 2009-11-26 Grinon Industries Fluid transfer assembly and methods of fluid transfer
KR101667353B1 (ko) * 2015-01-26 2016-10-18 엔피씨(주) 음료 용기
KR101577386B1 (ko) * 2015-05-20 2015-12-14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하부 주입형 음료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003Y1 (ko) * 2006-05-10 2006-07-20 이양준 생맥주 인출장치
WO2012149612A1 (en) 2011-05-02 2012-11-08 Dispack-Projects Nv Fixation of a fitting on a container
KR200473800Y1 (ko) * 2012-09-27 2014-07-31 김진원 맥주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591A1 (ko) 2018-02-15
KR20180017817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440B2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8807358B2 (en) Within bottle aerator
RU2701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а напитков для несколь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US8517350B2 (en) Venturi apparatus for pouring and aereating beverages
EP3168170A1 (en) Beverage container for injecting beverage through bottom thereof
US9399197B2 (en) Aeration method
US20070251955A1 (en) Liquid container valve system
US9676508B2 (en) Within bottle aerator
WO2003099704A1 (fr) Dispositif, unite et systeme d'extraction de liquide
DK3189000T3 (en) VALVE FOR DELIVERING A LIQUID AND EVENTLY PROMISED THIS
US20190292032A1 (en) Reconstitution of independent beverage flows
US20130202757A1 (en) Apparatus for aerating and filtering wine
US20170267510A1 (en) Beverage preservation and dispensing device
KR200473800Y1 (ko) 맥주잔
KR101893540B1 (ko) 하부주입 음료공급장치용 노즐 어셈블리
KR20160001967U (ko)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JP2016216080A (ja) 注出装置
US9932219B1 (en) Counter water bottle dispenser
JP3114418U (ja) 漏斗受け具
WO2013162373A1 (en) Device for preventing or at least limiting exposure of a liquid in a bottle to ambient air
US11548694B1 (en) Liquid dispenser for a bottle
US10266386B1 (en) Easy clean water bottle dispenser
US20200062575A1 (en) Gravity tapping system and method
US10259625B2 (en) Cold shot serving apparatus
JP3201839U (ja) コ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