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362B1 -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362B1
KR101893362B1 KR1020180037571A KR20180037571A KR101893362B1 KR 101893362 B1 KR101893362 B1 KR 101893362B1 KR 1020180037571 A KR1020180037571 A KR 1020180037571A KR 20180037571 A KR20180037571 A KR 20180037571A KR 101893362 B1 KR101893362 B1 KR 101893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ollow
fixed
wi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학
Original Assignee
이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학 filed Critical 이상학
Priority to KR102018003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3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wound-up and unwound during exercise, e.g. from a r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용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를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인출입가능하게 구성되고, 케이싱의 측면에 마그네틱을 구비한 권취부와; 권취부 상에서 회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는 신축부;를 구비하는데, 권취부에서 길이연장된 와이어를 신축부를 통해 다양한 위치로 변위시켜 하방으로 늘려뜨려 사용자의 운동시 수직 기준선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Posture correction device for exercise}
본 발명은 운동용 자세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 요가, 필라테스 등과 같은 운동시 사용자의 올바른 수직 자세를 확인하고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돕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스쿼트(squat)는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일어났다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하체 근육을 단련시키는 웨이트 트레이닝의 가장 대표적인 운동이다. 이러한 스쿼트는 기구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기구없이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올바른 자세로 운동하지 못할 수도 있다.
특히, 척추가 휘어진 상태 또는 골반의 균형이 무너진 상태로 운동을 계속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으며, 트레이너가 이러한 오류를 지적해 줄 때에서도 운동자가 자신의 자세를 시각적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웨이트 트레이닝, 요가, 필라테스 등과 같은 운동시 사용자의 올바른 수직 자세를 확인하고 유지시키는 데 이용할 수 있는 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좌우방향으로의 선회이동과 전후방향으로 활주이동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눈앞으로 용이하게 변위를 보장할 수 있는 자세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를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인출입가능하게 구성되고, 케이싱의 측면에 마그네틱을 구비한 권취부와; 내부영역에서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중공축을 갖춘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상면에서 힌지결합된 고정 붐대, 이 고정 붐대에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조절가능한 다단의 신축 붐대, 및 베이스와 고정 붐대 사이에 배치되는 실린더를 구비한 제1 신축부;로 이루어지는데, 권취부는 마그네틱을 수단으로 하여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될 수 있는 한편 제1 신축부는 권취부의 케이싱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의 변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권취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면에 관통공을 구비한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된 고정축;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선하는 권취드럼; 및 고정축과 권취드럼 사이에 개재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신축부는 베이스의 중공축을 케이싱의 관통공에 끼움결합시켜, 케이싱 상에서 제1 신축부의 회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고정 붐대는 중공축과 대응되는 후방 단부에 안내공을 형성할 수 있다.
덧붙여서, 다단의 신축 붐대는 전단에 배치된 신축 붐대의 자유단에 풀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를 케이싱의 관통공을 통해 인출입가능하게 구성되고, 케이싱의 측면에 마그네틱과 내부에 힌지공을 형성하고 관통공 둘레에서 외부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3 브라켓을 구비한 권취부와;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조절가능한 다단의 신축 중공관과, 후단에 배치된 신축 중공관에 힌지공을 형성한 제4 브라켓, 제3 브라켓의 힌지공과 제4 브라켓의 힌지공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구비한 제2 신축부;로 이루어지는데, 권취부는 마그네틱을 수단으로 하여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될 수 있는 한편 제2 신축부는 권취부의 케이싱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어의 변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권취부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일 측면에 관통공을 구비한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된 고정축;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선하는 권취드럼; 및 고정축과 권취드럼 사이에 개재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은 케이싱의 관통공과 다단의 신축 중공관의 내부 구멍을 동일 높이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신축부는 전단에 배치된 신축 중공관의 자유단에 풀리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취가능하게 구성되고, 고정 케이싱과 이 고정 케이싱에서 회동가능하게 볼트로 결합된 기동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권취부와; 고정 중공관과 이 고정 중공관에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조절가능한 다단의 신축 중공관으로 이루어져 기동 케이싱에 삽입결합된 제3 신축부;를 포함하여, 제3 신축부는 고정 케이싱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기동 케이싱을 통해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와이어의 변위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고정 케이싱은 제1 본체와; 제1 본체의 내부영역에서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제1 중공부; 제1 중공부에서 동축선상으로 길이연장된 중공의 고정축; 고정축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한쌍의 반원통형상부; 중공의 고정축을 중심으로 제1 본체의 내부면에 형성된 내치 기어; 고정축과 내치 기어 사이에 배치된 C자형상의 원호부; 제1 중공부 내부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 중량추에 연결된 와이어를 권선하는 권취드럼; 및 중공의 고정축과 권취드럼 사이에 개재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구비하고, 기동 케이싱은 제2 본체와; 제2 본체의 내부면에서 외부로 길이연장되고 내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제2 중공축; 제2 중공축을 중심으로 제2 본체의 내부면에 형성된 외치 기어; 제3 신축부의 고정 중공관을 수용하는 삽통공; 외치 기어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걸림돌기; 삽통공과 걸림돌기를 상호 연통하는 제1 안내공;을 구비할 수 있다.
중공의 고정축은 중공의 고정축 끝단에 배치된 O-링을 구비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의 중심 단부는 중공의 고정축과 한쌍의 반원통형상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선택가능하기로, 중심 단부는 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케이싱은 후면에 마그네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웨이트 트레이닝, 요가, 필라테스 등과 같은 운동시 사용자의 올바른 수직 자세를 확인하고 유지시키는 데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마그네틱을 장착함으로써 헬스기구, 철 구조물 등의 다양한 기구 및 구조물에 탈부착가능하고, 상하/좌우방향으로의 선회이동과 전후방향으로 활주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눈앞으로 용이하게 변위를 보장할 수 있어서, 다양한 장소에서 수직 기준선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일 방향에서 바로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8의 A-A 선으로 절취한 기동 케이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기동 케이싱을 타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의 일 사용상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헬스, 요가, 필라테스, 운동치료, 재활운동, 교정운동, 모델 등이 행하는 자세교정 등에 이용되는 것을 포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권취부(1)와 이 권취부(1)의 관통공(19)에서 다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신축부(2)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부착한 스미스 머신(smith machine)을 사용하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도면으로, 사용자는 바벨을 어깨 위에 올리고서 본 발명의 운동용 자세교정장치에서 신체의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늘어뜨려진 와이어(14;wire)를 수직 기준선으로 지정하여 앉았다 섰다 하는 승강(昇降)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사용자는 수직 기준선을 직접 볼 수도 있으나, 거울(미도시)을 통하여 자신의 모습과 수직 기준선(와이어)를 겹쳐 보는 방법이 선호된다.
스미스 머신과 같은 운동기구를 사용하면서, 덤벨과 같은 운동기구를 독립적으로 이용하면서, 또는 운동기구등이 전혀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취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하였듯이, 권취부(1)는 운동시 사용자의 눈 앞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와이어(14)를 수직 기준선으로 하여 척추, 골반 등이 틀어지지 않고 신체의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량추(15)에 연결된 와이어(14)의 인출입을 허용하는 구성부재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공간(예컨대, 폭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된 고정축(11), 중량추(15)에 연결된 와이어(14)를 권선하는 권취드럼(12), 고정축(11)과 권취드럼(12) 사이에 개재되어 권취드럼(12)을 권회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13;spiral spring)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스파이럴 스프링(13)의 중심 단부는 고정축(11)에 결합하고 외측 단부는 권취드럼(12)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4)의 일단은 도시되었듯이 권취드럼(12)에 결합되고 권취드럼(12)의 외주면 둘레에 권선될 수 있으며, 이의 타단은 중량추(15)에 결합된다.
케이싱(10)은 일 측면에 와이어(14)의 내부 및/또는 외부 이동을 허용하는 관통공(19)을 형성하는 한편, 관통공(19)을 형성한 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중 하나 이상의 측면에 마그네틱(16)을 구비할 수 있으며, 마그네틱(16)은 2개 이상의 측면에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16)을 수단으로 하여 금속재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다양한 피트니스 구조물(운동기구)이나 천장에 별도로 설치되는 금속 구조물 등의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사용자가 중량추(15)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권취드럼(12)에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14)를 관통공(19)과 제1 신축부(2)를 지나 수직하방으로 인출되어 수직 기준선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중량추(15)를 들어올리면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 복원력으로 권취드럼(12)을 강제로 권회(회전)시켜 와이어(14)를 권취드럼의 외주면에 다시 권선시킬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 복원력은 중량추(15)의 무게(혹은 중량추가 하방으로 당기는 힘)보다 작고 와이어(14)의 경로상에 정지 마찰력이 가해져서 중량추(15)가 와이어(14)에 매달려 하방으로 늘어뜨려진 상태 하에서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권취부(1)에서 각회전가능하게 제1 신축부(2)를 결합한다. 제1 신축부(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차의 사다리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케이싱(10)의 일 측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베이스(20)와, 이 베이스(20)에서 상하방향으로 각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고정 붐대(21), 고정 붐대(21)에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의 신축 붐대(22), 및 베이스(20)와 고정 붐대(21)에서 힌지결합되어 고정 붐대(21)의 각도를 유지하는 실린더(2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시되었듯이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U자 단면형상의 고정 붐대(21)와 다단의 신축 붐대(22)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반원통형상의 부재, 사각 단면형상의 덕트, 혹은 원형 단면형상의 파이프형상일 수도 있다. 고정 붐대와 다단의 신축 붐대는 폭 길이가 상이한 다수의 붐대를 다단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내부영역에서 하방으로 길이연장된 중공축(20a)을 구비하는데, 중공축(20a)은 케이싱(10)의 관통공(19)에 끼움결합되어 케이싱(10)에 대해 베이스(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중공축(20a)은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회동가능한 축결합 뿐만 아니라 권취드럼(12)에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14)를 권취부(1)의 케이싱(10)에서 제1 신축부(2)로의 안내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고정 붐대(21)는 베이스(20)의 상부면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각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한편 베이스(20)의 중공축(20a)과 대응되는 후방 단부에 안내공(21a)을 형성할 수 있다. 중공축(20a)을 통해 인출된 와이어(14)는 안내공(21a)을 가로질러 고정 붐대(21)에서 다단으로 신축가능하게 중첩배치된 다단의 신축 붐대(22) 상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관통공(19)과, 베이스(20)의 중공축(20a), 및 고정 붐대(21)의 안내공(21a)을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인출입시 와이어의 편이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고정 붐대(21)는 정지 마찰력을 가진 실린더(23)를 통해 베이스(20)와 고정 붐대(21) 사이에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승강운동시 중량추(15)로 수직하방으로 늘어뜨려진 와이어(14)를 설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붐대의 힌지 결합을 위해서, 고정 붐대(21)는 후방 하부에 힌지공(참조부호 없음)을 구비한 제2 브라켓(28)을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베이스(20)는 중공축(20a)에 인접하게 제1 브라켓(27)을 배치하고, 제1 브라켓의 내부영역에 힌지공(참조부호 없음)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브라켓(27)의 힌지공과 제2 브라켓(28)의 힌지공 사이에 힌지축(29)을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제1 브라켓(27)의 힌지공과 제2 브라켓(28)의 힌지공 사이에 힌지축(29)을 삽입하여 베이스(20)에 대해 고정 붐대 및 신축 붐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23) 대신 접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2개의 암(arm)을 구성하되, 노브를 가진 볼트로써 두 암의 접철부위를 가압 결속함으로써 각도를 고정하는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실린더(23) 대용 요소를 아예 구성하지 않고 힌지축(29) 대신 노브를 가진 볼트를 구성하며 양쪽 제 1 브라켓(27)중 한쪽의 힌지공에 암나사를 구성하며, 상기한 볼트를 돌려 잠금으로써 양쪽의 제 1 브라켓(27)이 협지된 제 2 브라켓(28)을 가압하여 제 1 신축붐대(2)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외력으로 다단의 신축 붐대(22)를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권취부(1)와 전단에 배치된 신축 붐대 사이의 이격 거리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다시 말하자면, 와이어(14)는 권취드럼(12)에서 케이싱(10)의 관통공(19), 베이스(20)의 중공축(20a), 고정 붐대(21)의 안내공(21a)을 통해 다단의 신축 붐대(22)을 지나 사용자의 눈 앞까지 길이연장된다. 와이어(14)는 후단에 배치된 신축 붐대(22)의 자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만곡되는데, 신축 붐대(22)의 자유단과의 마찰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단에 배치된 신축 붐대(22)의 자유단에는 풀리(22a;pulley)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안내공(21a)의 상방 또는 근방에 풀리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덧붙여서, 풀리(22a)는 V자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풀리 상에서 와이어를 풀리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마그네틱(16)을 수단으로 하여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가능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힌지결합된 고정 붐대(21)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축결합된 베이스(20)를 통해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붐대(21)에서 신축가능하게 연결된 다단의 신축 붐대(22)를 수단으로 하여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될 와이어(1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각이동, 및 활주이동을 통해부착될 권취부의 위치 여건에 상관없이 와이어를 변위시켜 사용자의 눈 앞으로 늘어뜨릴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권취부(1)와 이 권취부(1)의 관통공(19)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2 신축부(3)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권취부(1)는 스쿼트 운동시 사용자의 눈 앞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와이어(14)를 수직 기준선으로 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량추(15)에 연결된 와이어(14)의 인출입을 돕는 구성부재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된 고정축(11), 중량추(15)에 연결된 와이어(14)를 권선하는 권취드럼(12), 고정축(11)과 권취드럼(12) 사이에 개재되어 권취드럼(12)을 권회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13)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스파이럴 스프링(13)의 중심 단부는 고정축(11)에 결합하고 외측 단부는 권취드럼(12)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4)의 일단은 도시되었듯이 권취드럼(12)에 결합되고 권취드럼(12)의 외주면 둘레에 권선될 수 있으며, 이의 타단은 중량추(15)에 결합된다.
케이싱(10)은 일 측면에 와이어(14)의 이동을 허용하는 관통공(19)을 형성하는 한편, 관통공(19)을 형성한 일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마그네틱(16)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16)을 수단으로 하여 금속재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다양한 피트니스 구조물(운동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사용자가 중량추(15)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권취드럼(12)에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14)를 관통공(19)을 지나 제2 신축부(3)를 따라 길이연장되서 수직하방으로 인출되어 수직 기준선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중량추(15)를 들어올리면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 복원력으로 권취드럼(12)을 강제로 권회(회전)시켜 와이어(14)를 권취드럼의 외주면에 다시 권선시킨다.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 복원력은 중량추(15)의 무게(혹은 중량추가 하방으로 당기는 힘)보다 작고 와이어(14)의 경로상에 정지 마찰력이 가해져서 중량추(15)가 와이어(14)에 매달려 하방으로 늘어뜨려진 상태 하에서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권취부(1)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제2 신축부(3)를 결합한다. 제2 신축부(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의 신축 중공관(32)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여서, 신축 중공관(32)은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다단의 파이프 조립체로서,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관 부재를 다단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신축부(3)는 권취부(1)의 케이싱(10)의 관통공(19) 상에 힌지결합되되, 케이싱(10)의 관통공(19)과 다단의 신축 중공관(32)의 내부 구멍을 동일 높이(혹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할 수 있다. 힌지 결합을 위해서, 후단에 배치된 신축 중공관(32)은 힌지공(참조부호 없음)을 구비한 제4 브라켓(38)을 구비한다. 이와 대응되게, 케이싱(10)은 관통공(19) 둘레에서 외부방향으로 뻗어 있는 제3 브라켓(18)을 구비하고, 제3 브라켓(18)의 내부영역에 힌지공(참조부호 없음)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3 브라켓(18)의 힌지공과 제4 브라켓(38)의 힌지공 사이에 힌지축(39)을 삽입하여 케이싱(10)에 대해 제2 신축부(3)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힌지축(39) 대신 노브를 가진 볼트를 구성하며 양쪽 제 3 브라켓(18)중 한쪽의 힌지공에 암나사를 구성하며, 상기한 볼트를 돌려 잠금으로써 양쪽의 제 3 브라켓(18)이 협지된 제 4 브라켓(38)을 가압하여 제 2 신축붐대(3)가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와이어(14)는 권취드럼(12)에서 케이싱(10)의 관통공(19), 다단의 신축 중공관(32)의 내부 구멍을 지나 사용자의 눈 앞까지 길이연장된다. 와이어(14)는 전단에 배치될 신축 중공관(32)의 자유단에서 수직하방으로 만곡되는데, 신축 중공관(32)의 자유단과의 마찰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단에 배치된 신축 중공관(32)의 자유단에는 풀리(32a)를 구비할 수 있다. 덧붙여서, 풀리(32a)는 V자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풀리 상에서 와이어를 풀리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마그네틱(16)을 수단으로 하여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가능하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힌지결합된 신축 중공관(32)을 통해 좌우방향(혹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축가능하게 연결된 다단의 신축 중공관(32)을 수단으로 하여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와이어(14)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및 활주이동을 통해 부착될 권취부의 위치 여건에 상관없이 와이어를 변위시켜 사용자의 눈 앞으로 늘어뜨릴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와이어(32)를 다단의 신축 중공관 내부를 따라 길이연장시켜 신축 중공관에서 와이어의 불필요한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개략적으로 도해되어 있는데,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권취부(1)와 이 권취부(1)에 삽통되어 있는 와이어(14)를 안내하는 제3 신축부(4)로 이루어진다.
권취부(1)는 스쿼트 등의 운동시 사용자의 눈 앞에 수직방향으로 길이연장된 와이어(14)를 수직 기준선으로 하여 신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량추(15)에 연결된 와이어(14)의 인출입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신축부(4)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돕는 구성부재로, 고정 케이싱(10a)과, 이 고정 케이싱(10a)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기동 케이싱(10b), 중량추(15)에 연결된 와이어(14)를 권선하는 권취드럼(12), 고정 케이싱(10a)의 고정축(11)과 권취드럼(12) 사이에 개재되어 권취드럼(12)을 권회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13)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스파이럴 스프링(13)의 중심 단부(13a)는 중공의 고정축(11) 외주면 둘레에 배치되고 외측 단부는 권취드럼(12)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13)의 중심 단부(13a)의 안착을 돕기 위해, 고정 케이싱(10a)은 중공의 고정축(11)과 함께 이 고정축(11)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게 이격배치된 한쌍의 반원통형상부(114)를 내부면에 구비한다. 따라서, 스파이럴 스프링(13)의 중심 단부(13a)는 고정축(11)과 한쌍의 반원통형상부(114) 사이에 개재되어 스파이럴 스프링(13)을 고정 케이싱(10a) 내부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덧붙여서, 중심 단부(13a)는 고정축(11)과 한쌍의 반원통형상부(1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기로 한쌍의 반원통형상부(114) 사이에 중심 단부의 일부를 삽입시킬 수 있는 Ω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14)의 일단은 권취드럼(12)에 결합되고 권취드럼(12)의 외주면 둘레에 권선될 수 있으며, 이의 타단은 중량추(15)에 결합된다.
권취부(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내부영역에 내치 기어(115)를 구비하고 좌측에 배치되는 고정 케이싱(10a)과 내치 기어(115)에 대응될 수 있도록 좌측 내부영역에 외치 기어(125)를 구비하고 우측에 배치되는 기동 케이싱(10b)를 상호 치합가능하게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케이싱(10a)은 제1 본체(110)와, 제1 본체(110)의 내부영역 중심에서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제1 중공부(111), 기동 케이싱(10b)과 면접되는 내부면에서 제1 중공부(111)와 동축선상으로 외부를 향해 길이연장된 중공의 고정축(11), 중공의 고정축(11)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원주 상에 배치된 C자형상의 원호부(112), C자형상의 원호부(112) 내측에서 중공의 고정축(11)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한쌍의 반원통형상부(114), 고정 케이싱(10a)과 기동 케이싱(10b)을 상호 결합하는 볼트(113), 중공의 고정축(11)을 중심으로 하고 제1 본체(110)의 내부영역에 형성된 내치 기어(115), 및 제1 중공부(111) 내부에 배치될 코일 스프링(17)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코일 스프링(17)은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기동 케이싱(10b)의 제2 중공축(12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 중공부(111)와 중공의 고정축(11)을 일직선으로 연통되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중공의 고정축(11)은 고정축의 끝단을 마감처리하는 O-링(11a)을 구비한다. 여기서, O-링(11a)은 고정축(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공의 고정축(11) 외경보다 확장된 크기와 형상을 갖춰 스파이럴 스프링(13)을 기동 케이싱 방향으로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7)은 볼트(113)의 숫나사산 둘레에 배치되고, 볼트(113)의 헤드와, 제1 중공부(111), 중공의 고정축(11), 및 O-링(11a)으로 한정된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전술된 O-링(11a)은 중공의 고정축(11) 내부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17)을 기동 케이싱 방향으로 불필요한 이동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기동 케이싱(10b)의 제2 중공축(121)의 관통을 허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상의 원호부(112)는 내치 기어(115)와 중공의 고정축(11) 사이에 배치되는 동심원일 수 있으며, 권취드럼(12)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반경을 갖는다.
선택가능하기로, 고정 케이싱(10a)은 제1 본체(110)의 후면 상단에 다양한 유형의 위치고정수단을 수용하는 결합부(11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기동 케이싱(10b)는 제2 본체(120)와, 고정 케이싱(10a)과 면접되는 제2 본체(120)의 내부면에서 외부를 향해 길이연장되고 내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제2 중공축(121), 내치 기어(115)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2 중공축(121)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본체(120)의 내부영역에 형성된 외치 기어(125), 제3 신축부(4)를 수용할 수 있게 제2 본체(120)의 직경방향으로 천공된 삽통공(126), 외치 기어(125)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걸림돌기(127), 및 외치 기어(125)의 내부와 삽통공(126)을 연통하여 와이어(14)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 안내공(128)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자면, 제1 안내공(128)은 걸림돌기(127)로부터 삽통공(126)을 관통하여 와이어의 관통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중공축(121)은 고정축(11)의 O-링(11a)을 관통할 수 있는 크기와 외경을 갖는다.
걸림돌기(12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치 기어(125)의 내주면과 제2 본체(120)의 내부면의 교차지점에 형성되되, C자형상의 원호부(112)와 동일 원주 상에 배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C자형상의 원호부(112)는 외치 기어(125)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별하기로, 걸림돌기(127)는 C자형상의 원호부(112)의 개방부 사이에 배치시켜 고정 케이싱(10a)에 대해서 기동 케이싱(10b)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권취부(1)는 기동 케이싱(10b)의 제2 중공축(121)을 O-링(11a)을 가로질러 일렬로 배열된 고정축(11)의 중공부와 제1 중공부(111) 내에 배치하고서, 볼트(113)의 숫나사산 둘레에 코일 스프링(17)을 끼운 다음에, 볼트(113)를 제1 중공부(111)에 정렬시켜 제2 중공축(121)과 나사체결되어 기동 케이싱(10b)와 고정 케이싱(10a)를 상호 결합하면서 코일 스프링(17)의 위치선정을 돕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고정 케이싱(10a)를 기준으로 하여 기동 케이싱(10b)를 제1 중공부(111), 고정축(11), 및/또는 제2 중공축(121)와 동축방향으로 외부(더욱 구체적으로, 우측)을 향해 강제로 잡아당기면 고정 케이싱(10a)의 내치 기어(115)로부터 기동 케이싱(10b)의 외치 기어(125)를 분리시켜 기동 케이싱(10b)를 원하는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라 함은 C자형상의 원호부(112)의 개방부 사이의 사잇각으로 걸림돌기(127)의 이동 범위일 수 있다. 권취부(1)는 기동 케이싱(10b)에서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코일 스프링(17)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기동 케이싱(10b)을 강제로 고정 케이싱(10a)를 향해 잡아당겨 외치 기어(125)와 내치 기어(115)를 치합(齒合)시켜 기동 케이싱(10b)의 불필요한 회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사용자가 중량추(15)를 하방으로 잡아당겨 권취드럼(12)에 권선되어 있는 와이어(14)를 걸림돌기(127)에 형성된 제1 안내공(128)을 지나 삽통공(126)으로 안내되고, 삽통공(126) 내에 삽입된 제3 신축부(4)를 따라 길이연장되고 수직하방으로 인출되어 수직 기준선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중량추(15)를 들어올리면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 복원력으로 권취드럼(12)을 강제로 권회(회전)시켜 와이어(14)를 권취드럼의 외주면에 다시 권선시킨다. 스파이럴 스프링(13)의 탄성 복원력은 중량추(15)의 무게(혹은 중량추가 하방으로 당기는 힘)보다 작고 와이어(14)의 경로상에 정지 마찰력이 가해져서 중량추(15)가 와이어(14)에 매달려 하방으로 늘어뜨려진 상태 하에서는 수직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권취부(1)의 삽통공(126) 내에 제3 신축부(4)를 결합한다. 제3 신축부(4)는 삽통공(126) 내에 삽입되는 고정 중공관(41)과, 고정 중공관(41)에서 상호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단의 신축 중공관(42)으로 이루어진다. 덧붙여서, 신축 중공관(42)은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다단의 파이프 조립체로서,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관 부재를 다단으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단의 신축 중공관(42)은 최선단에 배치된 신축 중공관의 자유단에 풀리(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3 신축부(4)는 권취부(1)의 기동 케이싱(10b)의 삽통공(126) 내에 배치되되, 고정 중공관(41)의 끝단에 인접하게 제2 안내공(418)을 형성하여 제1 안내공(128)을 통해 삽입공(126)으로 안내된 와이어(14)를 제2 안내공(418)으로 인입하여 제3 신축부(4) 내부를 따라 길이연장시켜 와이어를 사용자의 눈 앞으로 늘어뜨릴 수 있게 된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권취부(1)와 제3 신축부(4) 사이의 양호한 체결상태를 보장할 수 있도록 삽통공(126)의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턱(126a)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게 고정 중공관(41)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걸림홈(41b)을 형성할 수 있다.
권취부(1)는 도시되었듯이 고정 케이싱(10a)의 후면에 마그네틱(16)을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네틱(16)은 제1 본체의 후면에 접합방식, 삽입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그네틱(16)을 수단으로 하여 금속재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금속재질로 제작된 다양한 피트니스 구조물(운동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할 수 있다.
덧붙여서, 권취부(1)는 고정 케이싱(10a)의 후면 하단에 스트랩(strap;미도시)의 장착하는 고정홈(119)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력 이외에도 피트니스 구조물의 다양한 위치에 스트랩으로 매듭지어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를 다양한 위치에 탈부착가능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a)는 고정 케이싱(10a)의 후면 상단에 탈부착가능한 마그네틱 모듈(M)을 배치하는데, 마그네틱 모듈(M)은 고정 케이싱(10a)의 결합부(110a)에 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블록(M1)과 블록(M1)의 측면에 배치된 마그네틱(M2)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M1)은 고정 케이싱(10a)의 후면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마그네틱(M2)과 수직방향으로 확장된 마그네틱(16)을 통해 피트니스 구조물의 2면에 이중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11(b)는 고정 케이싱(10a)의 후면 상단에 결합부(110a)를 통해 탈부착가능하게 그립 모듈(G)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립 모듈(G)은 탄성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봉 타입의 피트니스 구조물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자세교정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권취부,
10, 10a, 10b ----- 케이싱,
14 ----- 와이어,
15 ----- 중량추,
2 ----- 제1 신축부,
20 ----- 베이스,
21 ----- 고정 붐대,
22 ----- 신축 붐대,
3 ----- 제2 신축부,
32 ----- 신축 중공관,
4 ----- 제3 신축부.

Claims (18)

  1. 중량추(15)에 연결된 와이어(14)를 권취가능하게 구성되고, 고정 케이싱(10a)과 상기 고정 케이싱(10a)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기동 케이싱(10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권취부(1)와;
    고정 중공관(41)과 상기 고정 중공관(41)에서 신축가능하게 연결되어 길이조절가능한 다단의 신축 중공관(42)을 포함하고 상기 기동 케이싱(10b)에 삽입결합된 신축부(4);를 포함하여,
    상기 신축부(4)는 상기 고정 케이싱(10a)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기 기동 케이싱(10b)을 통해 수직하방으로 길이연장된 상기 와이어(14)의 변위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와이어(14)는 운동시 수직 기준선으로 이용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케이싱(10a)은,
    제1 본체(110)와;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부영역에서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제1 중공부(111);
    상기 제1 중공부(111)에서 동축선상으로 길이연장된 중공의 고정축(11);
    상기 중공의 고정축(11) 외주면 둘레에 배치된 한쌍의 반원통형상부(114);
    상기 중공의 고정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본체(110)의 내부면에 형성된 내치 기어(115);
    상기 고정축(11)과 상기 내치 기어(115) 사이에 배치된 C자형상의 원호부(112);
    제1 중공부(111) 내부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17);
    상기 중량추(15)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14)를 권선하는 권취드럼(12); 및
    상기 중공의 고정축(11)과 상기 권취드럼(12) 사이에 개재되는 스파이럴 스프링(13);을 구비하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동 케이싱(10b)은,
    제2 본체(120)와;
    상기 제2 본체(120)의 내부면에서 외부로 길이연장되고 내부에 암나사산을 형성한 제2 중공축(121);
    상기 제2 중공축(121)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본체(120)의 내부면에 형성된 외치 기어(125);
    상기 신축부(4)의 상기 고정 중공관(41)을 수용하는 삽통공(126);
    상기 외치 기어(125)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걸림돌기(127);
    상기 삽통공(126)과 상기 걸림돌기(127)를 상호 연통하는 제1 안내공(128);을 구비하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고정축(11)은 상기 중공의 고정축(11) 끝단에 배치된 O-링(11a)을 구비하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13)의 중심 단부(13a)는 상기 중공의 고정축(11)과 상기 한쌍의 반원통형상부(114) 사이에 개재되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심 단부(13a)는 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케이싱(10a)은 후면에 마그네틱(16)을 구비하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케이싱(10a)에 형성된 내치 기어(115)와 상기 기동 케이싱(10b)에 형성된 외치 기어(125)가 서로 치합할 수 있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17)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상기 기동 케이싱(10b)을 강제로 상기 고정 케이싱(10a)를 향해 잡아당겨 상기 외치 기어(125)와 상기 내치 기어(115)를 치합시켜 상기 기동 케이싱(10b)의 불필요한 회동을 방지하는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80037571A 2018-03-30 2018-03-30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KR10189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571A KR101893362B1 (ko) 2018-03-30 2018-03-30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571A KR101893362B1 (ko) 2018-03-30 2018-03-30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362B1 true KR101893362B1 (ko) 2018-08-30

Family

ID=6345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571A KR101893362B1 (ko) 2018-03-30 2018-03-30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3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108B1 (ko) 2019-06-20 2019-10-18 이상학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KR102239135B1 (ko) * 2020-11-10 2021-04-12 이상학 영상을 이용한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CN113873980A (zh) * 2019-03-22 2021-12-31 邱比特有限公司 运动辅助器具以及该运动辅助器具的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36Y1 (ko) * 2002-01-29 2002-05-18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936Y1 (ko) * 2002-01-29 2002-05-18 (주)신성엔지니어링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개의 폴을 슬라이드식으로 한 폴결합체를 이용한 규준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3980A (zh) * 2019-03-22 2021-12-31 邱比特有限公司 运动辅助器具以及该运动辅助器具的使用方法
CN113873980B (zh) * 2019-03-22 2024-03-15 邱比特有限公司 运动辅助器具以及该运动辅助器具的使用方法
US11964183B2 (en) 2019-03-22 2024-04-23 Jupiter Limited Liability Company Exercise assisting tool and method for using exercise assisting tool
KR102034108B1 (ko) 2019-06-20 2019-10-18 이상학 원격제어가 가능한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KR102239135B1 (ko) * 2020-11-10 2021-04-12 이상학 영상을 이용한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362B1 (ko) 운동용 자세교정장치
US6770015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sliding pulley
US8968164B2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with sliding handle assembly
US7614984B1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US4564193A (en) Exercising device for lifting weights
US8876676B2 (en) Portable fitness chair
US7766804B2 (en) Abdominal exerciser and method
US7922634B1 (en) Pull exerciser
US9498675B2 (en) Neck therapy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9675836B2 (en) Exercise apparatus and kit
US3089700A (en) Shoulder exercising machines
US9694224B1 (en) Integrated step and jump exercise device
KR101875512B1 (ko) 손잡이 각도가 조절되는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US10456619B2 (en) Exercise device and related methods thereof
EP3881908B1 (en) Exercise apparatus
US20090306553A1 (en) Portable therapeutic support handle
US20090325770A1 (en) Exercise ball and similar stationary exercise equipment
US20210060381A1 (en) 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WO2012170500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US8617038B2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JP2018000910A (ja) 運動器具
US11052280B1 (en) Weight bearing exercise system
US20050239619A1 (en) Muscle stretch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16084785A1 (ja) 運動器具
AU2021103236A4 (en) Exercise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