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307B1 -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 Google Patents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307B1
KR101893307B1 KR1020170119514A KR20170119514A KR101893307B1 KR 101893307 B1 KR101893307 B1 KR 101893307B1 KR 1020170119514 A KR1020170119514 A KR 1020170119514A KR 20170119514 A KR20170119514 A KR 20170119514A KR 101893307 B1 KR101893307 B1 KR 101893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learance
rotation
piston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회경
Original Assignee
양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회경 filed Critical 양회경
Priority to KR102017011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에 있어서, 지게차의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 회동하는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이 개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제1 방향(W)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일측에 회동축으로부터 편심되어 힌지 결합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를 안내하며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부; 상기 함체의 상기 제1 회동모드로 조절하는 함체회동조절수단; 중공형 통형상체로서 상기 제1 방향(W)과 대향되는 제2 방향(E)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상에 구비되는 제2 함체; 및 상기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의 적어도 일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용기 내부에 밀접하게 수용되어 용기에 끼워진 상태로 존재하는 스크랩을 일시에 배출하여 추가적인 잔존 스크랩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SWING TYPE BOX FOR COLLECTING SCRAP}
본 발명은 소성가공 시 발생하는 스크랩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내부에 밀접하게 수용되어 용기에 끼워진 상태로 존재하는 스크랩을 일시에 배출하여 추가적인 잔존 스크랩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에 관한 것이다.
소성 가공에 있어서 제품을 생산하고 남는 부분인 스크랩이 다량으로 발생 되며, 이러한 스크랩을 재활용하기 위한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이 작업장에 설치된다. 수집함은 상방으로 개방된 박스로서 작업자의 동선을 짧게 하기 위하여 투척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에 설치된다. 상기 수집함에 스크랩이 소정의 양 이상 모이면 작업자가 직접 수집함을 들고 적재함으로 가서 스크랩을 쏟아 부었다. 그러나, 수집함에 모아진 스크랩은 비중이 큰 금속으로 된 소재이므로 작업자가 인력으로 수집함을 직접 들 경우 무게가 과다하여 작업자의 허리에 부담을 주어 요통 등의 산업재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랩이 수집된 수집함을 작업자가 인력으로 옮기어야 하므로 수집함의 크기를 크게 하는 데 한계가 있어 수집함의 빈번한 이송작업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집함에 수용되어 있는 스크랩을 쏟아부음에 따라 스크랩이 배출되면서 날카로운 모서리에 손을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집합에 수집된 스크랩이 블랭크를 따내고 남은 길이가 긴 스크랩일 경우 스크랩이 서로 엉켜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배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97978호
본 발명은, 용기 내부에 밀접하게 수용되어 용기에 끼워진 상태로 존재하는 스크랩을 일시에 배출하여 추가적인 잔존 스크랩 제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에 있어서, 지게차의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 회동하는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이 개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제1 방향(W)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일측에 회동축으로부터 편심되어 힌지 결합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를 안내하며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부; 상기 함체의 상기 제1 회동모드로 조절하는 함체회동조절수단; 중공형 통형상체로서 상기 제1 방향(W)과 대향되는 제2 방향(E)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함체 상에 구비되는 제2 함체; 및 상기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의 적어도 일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프레임에 지게차의 포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를 형성하고, 프레임에 함체를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일시에 스크랩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수작업이 필어 요통 등의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함체를 회동가능하도록 설치하여 일시에 스크랩을 기구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수집함의 크기를 크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일시에 스크랩을 기구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 날카로운 스크랩에 의해 손이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함체를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함으로써 함체의 전복시 길이가 길어 서로 엉켜있는 스크랩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다섯째, 다량의 스크랩이 수집함 상에 밀집하여 채워져 고정되는 경우에도 잔존하는 스크랩의 용이한 탈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의 회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지게차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업상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100)은 지게차(200)의 포크(P)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12)가 형성된 프레임(10)과,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함체(20)와, 함체(2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회동바(30)와, 회동바(30)를 안내하며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안내부(14)와, 함체(20)의 회동을 조절하는 함체회동조절수단을 포함한다. 프레임(10)은 하부에 지게차(200)의 포크(P)가 수용될 수 있도록 채널형상의 수용부(12)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측면 상부에는 함체(2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베어링(16)이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측면 하부에는 회동바(30)를 안내하며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안내부(14)가 형성된다. 함체(20)는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함체의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 또한 함체(20)는 베어링(16)에 축지지되어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동바(30)는 함체(20)의 일측에 회동축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회동바(30)는 안내부(14)에 의해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받는다. 함체회동조절수단은 프레임(10)의 함체(20)와 마주보는 측에 형성된 수용함(40)과, 함체(20)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돌기(22)와, 상기 수용함(40)을 관통하며 탄성설치되어 일단이 함체(20)의 안착돌기(22)를 지지하여 함체(20)가 자중에 의하여 회동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는 연장봉(42)을 포함한다.
수용함(40)은 박스형상으로 포크가 진입하는 측에 설치된다. 상기 수용함(40)은 연장봉(42)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전후면의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다. 연장봉(42)은 수용함(40)을 관통하며 일단은 함체(20)의 회동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타단에는 걸림돌기(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함(40)이 수용되는 구간에 스톱파(46)가 설치된다.
압축스프링(48)은 수용함(40)의 타단방향의 내측벽과 연장봉(42)의 스톱파(46) 사이에 설치되어 연장봉(42)이 함체(20)의 회동축방향으로 탄성설치되도록 한다. 동작편(50)은 연장봉(42)의 걸림돌기(44)와 수용함(40)의 타측방향 외측벽 사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장공(52)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52)이 형성됨에 따라 동작편(50)과 연장봉(42)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이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지게차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업상태도이다. 스크랩이 발생하는 장소에 인접하여 설치된 수집함(100)은 함체(20)의 안착돌기(22)가 탄성설치된 연장봉(42)의 일단에 의해 걸려 있으므로 함체(20)가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집함(100)에 스크랩이 소정의 양 이상으로 수집되면 지게차(200)를 작업장 내로 진입시킨 후 포크(P)를 프레임(10)의 수용부(12)에 삽입한다. 지게차(200)의 포크(P)가 수용부(12)에 삽입되면 수집함(100)을 상승시킨 후 수집함(100)을 수집장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다. 통상적으로 수집장에는 차량에 의하여 운반하는 것이 가능한 적재함이 설치되어 있다.
지게차(200)가 수집장에 도달하면 지게차(200)를 전진시켜 동작편(50)이 적재함의 걸림턱에 접촉되도록 한다. 동작편(50)과 적재함의 걸림턱이 접촉한 상태에서 지게차(200)를 전진시키면 동작편(50)이 이동하면서 연장봉(42)을 잡아당기게 된다. 연장봉(42)이 잡아 당겨지면 안착돌기(22)와 접촉되어 함체(20)가 회동하는 것을 막고 있는 연장봉(42)의 일단이 후퇴하여 함체(20)는 자중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함체(20)가 회동하면 함체(20)에 담겨져 있는 스크랩이 적재함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함체(20)는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므로 길이가 길어서 서로 엉켜있는 스크랩도 용이하게 배출된다.
함체(2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스크랩이 모두 낙하하게 되면 지게차(200)를 회동바(30)의 하단부도 높이 상승시킨 후 후진한다. 지게차(200)가 후진하여 수집함(100)이 적재함의 상부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면 수집함(100)을 하강시킨다. 수집함(100)을 하강시키면 회동바(30)의 하단과 지면이 접촉하여 스크랩을 배출하기 위하여 함체(20)를 회동시켰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함체(20)를 회동시킨다.
이때 함체(20)의 안착돌기(22) 하부는 테이퍼져 있으므로 함체(20)가 회동함에 따라 함체(20)의 안착돌기(22)는 연장봉(42)을 후퇴시킨다. 함체(20)가 계속 회동하여 안착돌기(22)의 선단이 연장봉(42)의 일단을 지나면 탄성지지되어 있던 연장봉(42)은 앞으로 전진하여 안착돌기(22)가 함체(20)의 자중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은 프레임(110), 함체(120), 회동바(130), 안내부, 함체회동조절수단,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지게차의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다. 함체(120)는 회동하는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상부측이 개방되며 프레임(110)에 제1 방향(W)(즉,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치된다. 회동바(130)는 함체(120)의 일측에 회동축으로부터 편심되어 힌지 결합된다.
안내부는 회동바(130)를 안내하며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프레임(110)에 형성된다. 함체회동조절수단은 함체(120)의 제1 회동모드로 조절하며, 제2 함체(160)는 중공형 통형상체로서 전술한 제1 방향(W)과 대향되는 제2 방향(E)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함체(120) 상에 구비된다. 제어모듈은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의 적어도 일부 동작을 제어한다. 제2 함체(160)는 회동모듈(170)에 의하여 함체(120)와 상호 결속된다.
회동모듈(170)은 제2 함체(160)의 저면 테두리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함체(160)가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방 회동부(171)와, 상방 회동부(171)에 토오크를 공급하는 구동부(173)를 포함한다.
회동모듈(170)의 상기 상방 회동부(171)는 제2 함체(160)의 하부측 테두리부 상에 결속되며 회동모듈(170)의 하방 회동부(172)는 함체(120)의 상부측 테두리부 상에 결속된다. 구동부(173)는 상방 회동부(172)와 하방 회동부(172)의 양측 단부 상에 구비되어 상방 회동부(172)또는 하방 회동부(172)에 대하여 토오크를 공급한다.
회동모듈(170)은 함체(120)와 제2 함체(160) 상호 간의 회동을 위한 것이다. 예컨데, 함체(120)가 제1 방향(W)으로 기울어지는 상기 제1 회동모드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더불어 제2 함체(160)는 상기 제1 회동모드에 대응하여 제1 방향(W)과 대향하는 제2 방향(E)으로 기울어지도록 제2 회동모드로 동작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함체(160)는 제2 회동모드를 통해 함체(120)를 가격하게 되고, 함체(120)의 내부에 빽빽하게 수용된 스크랩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컨데 회동모듈(170)은 제2 함체(160)의 저면 테두리부 상에 구비되는 상방회동부(171)와 함체(120)의 상면 테두리부 상에 구비되는 하방회동부(172)를 매개로 함체(120)로부터 제2 함체(160)가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함체(120)로부터 제2 함체(160)의 회동을 위해 하방 회동부(172)는 회동이 제한되고, 구동부(173) 상에서 상방 회동부(171)만이 동작되어 제2 함체(160)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제어모듈은 회동모듈(170)을 통해 함체(120)를 제1 방향(S)으로 회동되도록 제1 회동모드로 동작시키며 제2 함체(160)를 제2 방향(E)으로 회동되도록 제2 회동모드로 동작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회동모듈(270)은 자체적인 동작 외에도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외부 구동수단(280)에 연동되어 토오크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외부구동수단(270)은 제1 함체(220)로 부터 제2 함체(260)의 용이하고 안정적 동작을 위한 것이다. 외부구동수단(270)은 상방 회동부(271)에 연동되는 제1 외부구동부(281)와, 하방 회동부(272)에 연동되는 제2 외부구동부(282)를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함체(360)는 설정 각도를 향하여 진퇴형으로 동작하는 진퇴형 가격모듈(390)이 구비된다. 진퇴형 가격모듈(390)은 제2 함체(360)의 내부를 향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1 진퇴형 가격모듈(391)과, 제2 함체(360)의 외부를 향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2 진퇴형 가격모듈(392)을 포함한다.
제1 진퇴형 가격모듈(391)은 소정의 제1 실린더부(3912)와 실린더부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제1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제1 피스톤부는 제1-1 피스톤부(3913)와, 제1-1 피스톤부(3913)를 경유하여 돌출되는 제1-2 피스톤부(3914)와, 제1-2 피스톤부(3914)를 경유하여 돌출되는 제1-3 피스톤부가 구비된다.
제2 진퇴형 가격모듈(392)은 소정의 제2 실린더부(3921)와 실린더부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제2 피스톤부는 제2-1 피스톤부(3922)와, 제2-1 피스톤부(3922)를 경유하여 돌출되는 제2-2 피스톤부(3923)와, 제2-2 피스톤부(3923)를 경유하여 돌출되는 제2-3 피스톤부가 구비된다.
제1-1 피스톤부(3913) 내지 제1-3 피스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진동수단이 내장되며, 제2-1 피스톤부(3922) 내지 제2-3 피스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진동수단이 내장된다.
제1 진퇴형 가격모듈(391)은 제1 실린더부(3912)와 제2 함체(360)의 내벽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3911)를 더 포함하며, 제1 진퇴형 가격모듈(391)들의 각 제1 실린더부(3912)들은 구동부재(3911) 상에서 순차 또는 비순차로 상호 간에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유동된다. 한편, 제어모듈의 제어 하에 제1 회동모드 동작을 위하여 함체(320)회동조절수단을 유동시키는 유동모듈(355)이 구비된다. 유동모듈(355)은 함체(320)회동조절수단의 물리적 접촉 방식 또는 기타 방식의 구동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함체(120)와 상기 제2 함체(160) 상에 대량의 스크랩이 밀집되어 적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함체(120)와 상기 제2 함체(160)의 회동 만으로는 신속하고 완벽한 스크랩의 배출이 어려워 잔여 스크랩이 남게되나, 전술한 제1 진퇴형 가격모듈(391)과 제2 진퇴형 가격모듈(392)의 가격 동작을 통해 제1 함체(120)와 제2 함체(160) 내부의 한정된 공간 상에 밀집하여 끼워져 잔존하는 스크랩들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것은 본 명세서 전반의 구성적 특징들을 참고하면 충분히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방 회동부(472) 및 상방 회동부(4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방과 하방간에 제1 유동이(예 : 승강과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제2 함체(460)는 제1 유동에 기반하는 움직임인 제2 유동(예: 승강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방 회동부(471) 및 하방 회동부(472)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제1 유격모듈(474)이 구비되며, 제1 유격모듈(474)은 상방 회동부(471)와 하방 회동부(472)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유격조절구(4741)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유격조절구(4741)는 상방 회동부(471)와 베어링 등을 매개로 결속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측이 재1 유격조절구(4741)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상방 회동부(471)에 결속되는 베어링 형태의 제1-1 고정구(4742)와, 일측이 제1 유격조절구(4741)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하방 회동부(472)에 결속되는 베어링 형태의 제1-2 고정구(4743)를 포함한다. 제어모듈은 제1 유격조절구(4741)를 통해 제1-1 고정구(4742) 및 제1-2 고정구(47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473)는 상방 회동부(471)와 연동되는 제1 구동부(4731)와, 제1 구동부(4731)와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하방 회동부(472)와 연동되는 제2 구동부(4732)와, 제1 구동부(4731)와 제2 구동부(4732)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제2 유격모듈(4733)을 포함한다.
제2 유격모듈(4733)은 제1 구동부(4731)와 제2 구동부(4732)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유격조절구(4733a)와, 일측이 제2 유격조절구(4733a)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상방 회동부(471)가 결속되는 제2-1 고정구(4733b)와, 일측이 제2 유격조절구(4733a)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하방 회동부(472)가 결속되는 제2-2 고정구(4733c)를 포함한다.
제어모듈은 제1 유격조절구(4741)의 동작에 대응하여 제2 유격조절구(4733a)를 통해 제2-1 고정구(4733b) 및 제2-1 고정구(4733b)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예들은 개별적인 실시외에도 각 실시예들 상호간의 선택적이거나 전체적인 구성적 특징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10. 210. 310. 410 : 프레임
20, 120, 220, 320, 420 : 함체
30, 130, 230, 330, 430 : 회동바
40, 140, 240, 340, 440 : 수용함
42, 142, 242, 342, 442 : 연장봉
160, 260, 360, 460 : 제2 함체
261 : 엘라스토머 완충패드
170, 270, 370, 470 : 회동모듈
171, 271, 371, 471 : 상방 회동부
172, 272, 372, 472 : 하방 회동부
173, 273, 373, 473 : 구동부
280 : 외부구동수단
281 : 제1 외부구동부
282 : 제2 외부구동부
155, 255, 355, 455 : 유동모듈
390 : 진퇴형 가격모듈
391 : 제1 진퇴형 가격모듈
3911 : 구동부재
3912 : 제1 실린더부
3913 : 제1-1 피스톤부
3914 : 제1-2 피스톤부
392 : 제2 진퇴형 가격모듈
3921 : 제2 실린더부
3922 : 제2-1 피스톤부
3923 : 제2-2 피스톤부

Claims (17)

  1.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에 있어서,
    지게차의 포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프레임;
    회동하는 회동축으로부터 대향하는 측이 개방되며 상기 프레임에 제1 방향(W)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함체;
    상기 함체의 일측에 회동축으로부터 편심되어 힌지 결합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를 안내하며 회동하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안내부;
    상기 함체의 상기 제1 회동모드로 조절하는 함체회동조절수단;
    중공형 통형상체로서 상기 제1 방향(W)과 대향되는 제2 방향(E)으로 회동하여 상기 함체를 가격하도록 제2 회동모드로 동작되도록 상기 함체 상에 구비되는 제2 함체; 및
    상기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의 적어도 일부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함체는 회동모듈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며,
    상기 회동모듈은 상기 제2 함체의 저면 테두리 상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함체가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방 회동부와, 상기 상방 회동부에 토오크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모듈은 상기 함체의 상면 테두리부 상에 구비되는 하방 회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방 회동부에 토오크를 공급하며,
    상기 하방 회동부 및 상기 상방 회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방과 하방간에 제1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 함체는 상기 제1 유동에 기반하여 제2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상방 회동부 및 상기 하방 회동부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제1 유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유격모듈은,
    상기 상방 회동부와 상기 하방 회동부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유격조절구와,
    일측이 상기 제1 유격조절구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상기 상방 회동부에 결속되는 제1-1 고정구와,
    일측이 상기 제1 유격조절구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상기 하방 회동부에 결속되는 제1-2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기 제1 유격조절구를 통해 상기 제1-1 고정구 및 상기 제1-2 고정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방 회동부와 결속되는 제1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하방 회동부와 결속되는 제2 구동부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제2 유격모듈을 포함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격모듈은,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 상호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유격조절구와,
    일측이 상기 제2 유격조절구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상기 상방 회동부가 결속되는 제2-1 고정구와,
    일측이 상기 제2 유격조절구에 설치되고 타측으로 상기 하방 회동부가 결속되는 제2-2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 유격조절구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유격조절구를 통해 상기 제2-1 고정구 및 상기 제2-1 고정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체는 설정 각도를 향하여 진퇴형으로 동작하는 진퇴형 가격모듈이 구비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퇴형 가격모듈은,
    상기 제2 함체의 내부를 향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1 진퇴형 가격모듈과, 상기 제2 함체의 외부를 향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제2 진퇴형 가격모듈을 포함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진퇴형 가격모듈은,
    소정의 제1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제1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스톤부는,
    제1-1 피스톤부와, 상기 제1-1 피스톤부를 경유하여 돌출되는 제1-2 피스톤부가 구비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진퇴형 가격모듈은,
    소정의 제2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로부터 진퇴 유동되는 제2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피스톤부는,
    제2-1 피스톤부와, 상기 제2-1 피스톤부를 경유하여 돌출되는 제2-2 피스톤부가 구비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1 피스톤부 내지 상기 제1-2 피스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제진동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 내지 상기 제2-2 피스톤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진동수단이 내장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진퇴형 가격모듈은,
    상기 제1 실린더부와 상기 제2 함체의 내벽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진퇴형 가격모듈들의 상기 각 제1 실린더부들은 상기 구동부재 상에서 순차 또는 비순차로 상호 간에 근접 또는 이격되도록 유동되는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19514A 2017-09-18 2017-09-18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KR101893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14A KR101893307B1 (ko) 2017-09-18 2017-09-18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514A KR101893307B1 (ko) 2017-09-18 2017-09-18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307B1 true KR101893307B1 (ko) 2018-10-04

Family

ID=6386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514A KR101893307B1 (ko) 2017-09-18 2017-09-18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3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792A (ko) 2022-03-02 2023-09-11 강귀동 스크랩 수거 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69Y1 (ko) 2006-08-21 2006-11-02 양회경 스크랩 수집함
JP2011057382A (ja) 2009-09-10 2011-03-24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汚物処理装置
KR101196133B1 (ko) 2012-02-02 2012-10-30 이영식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69Y1 (ko) 2006-08-21 2006-11-02 양회경 스크랩 수집함
JP2011057382A (ja) 2009-09-10 2011-03-24 Aprica Children's Products Kk 汚物処理装置
KR101196133B1 (ko) 2012-02-02 2012-10-30 이영식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94114 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9792A (ko) 2022-03-02 2023-09-11 강귀동 스크랩 수거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731B2 (en) Apparatus for feeding screws
US9428092B2 (en) Sliding and removable cup holder assembly for vehicle
KR101893307B1 (ko) 회동식 스크랩 수집함
KR200489944Y1 (ko) 광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쓰레기통
US6776570B1 (en) Refuse receptacle having a charging hopper and moving floor and method therefor
US9205769B2 (en) Hidden wastebasket
KR101936997B1 (ko) 차량용 러기지 룸의 화물 적재장치
KR101336664B1 (ko) 폐자재 수거용 이동식 덤프장치
EP2150478B1 (en) Debris storage tank with emptying system
CN102161117B (zh) 带锯机的切屑去除装置
CN109703954A (zh) 一种垃圾桶
CN110562755B (zh) 一种运输装置
JP4513442B2 (ja) ステープラーのステープル脚切断屑処理装置
KR200430069Y1 (ko) 스크랩 수집함
CN101848632A (zh) 电子部件供给装置
CN211496075U (zh) 一种自卸式运输装置
DE102008043638A1 (de) Objekthalter eines Kraftfahrzeugs
JP4544795B2 (ja) ごみ収集車
JP6360333B2 (ja) 収納容器付き塵芥収集車
KR101349971B1 (ko) 차량 장착용 길어깨 예초장치
CN106429125B (zh) 具大小推铲联合压缩装置的车箱及垃圾车
CN214783093U (zh) 一种石屑铺撒机
CN213801573U (zh) 移动式地表喂料机
CN217832887U (zh) 一种机床加工用排废屑机构
CN220811900U (zh) 一种油水分离提升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