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645B1 -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645B1
KR101892645B1 KR1020170140038A KR20170140038A KR101892645B1 KR 101892645 B1 KR101892645 B1 KR 101892645B1 KR 1020170140038 A KR1020170140038 A KR 1020170140038A KR 20170140038 A KR20170140038 A KR 20170140038A KR 101892645 B1 KR101892645 B1 KR 101892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ayer
fiber
sheet
staple
stapl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소공주
Original Assignee
소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공주 filed Critical 소공주
Priority to KR102017014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6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6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8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mposite panel for a load structure having enhanced water resistance, durability and airtightness. In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bubble) generated in a curing process of a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voids formed in a short fiber assembly, so that the composite panel is not peeled off even after frequent vibration or time. The short fiber assembly includes polyester short fibers, glass fiber short fibers, and carbon fiber short fibers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composite panel. Further, joints of a plurality of foaming foams forming an inner layer of the composite panel are not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formed in a combined for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forming a combining part or bridging layer) to enhance the airtightness to reduce cold air leakage or inflow of outside air, thereby enhancing insulation efficiency.

Description

내침습성, 내구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0001]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anel for a building structure having improved invasiveness, durability and airtightness.

본 발명은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습되어도 손상율이 낮고(높은 내침습성) 내구성 및 기밀성이 향상된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panel for a load structure having a low damage rate (high resistance to intrusion) and improved durability and airtightness even when invasive.

물류산업 시장은 날이 갈수록 성장하고 있다. 수요 중심적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공급자들은 보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물품을 공급하게 되었고, 물류 경쟁력은 중요한 경쟁요소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적재구조물을 갖춘 특수 차량들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차량들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개발 역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The logistics industry market is growing day by day. As demand-driven markets have grown significantly, suppliers have been supplying goods through a wider variety of channels, and logistics competitiveness has become an important competitive element. As a result, the demand for special vehicles with stacked structures is also increasing,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improving the functions of these vehicles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택배나 화물 운송을 위해 적재구조물을 갖춘 특수 차량들에 있어서, 적재구조물의 기능과 성능은 이들 차량을 운용하는 주체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또한 안정적인 수익을 거두기 위해서는 서비스 단가와 직결되는 적재구조물의 내구성과 경량성도 중요하다. 따라서 적재구조물에 관한 연구개발은 적재구조물의 기능, 성능의 향상뿐만 아니라 내구성, 경량성 등을 함께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For special vehicles equipped with loading structures for courier or cargo transport,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the loading structure is crucial to the operators operating these vehicles. In addition, the durability and light weight of the load structu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rvice unit price is also important for stable profitability. Therefor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n the load structure is progressing not only to improve th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the load structure, but also to improve durability and light weight.

일반적으로 적재구조물은 복합패널을 박스형으로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 복합패널은 종이나, 발포 플라스틱과 같은 심재(core materials)와, 상기 심재의 양면에 목재 합판(주로 플라이우드)을 부착하고 다시 목재 합판의 외측면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형태로 제조된다. 상기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의 부착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Generally, the stacking structure is formed by assembling the composite panel into a box shape. At this time, the composite panel is manufactured by attaching core materials such as paper or foam plastic, wood plywood (mainly plywood) to both sides of the core material, and attaching a finishing material to the outer side of the wood plywood . The core material, the wood plywood, and the finishing material are attached using an adhesive.

그런데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복합패널의 경우 몇 가지 문제가 있다.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case of a composite panel manufactured in this manner.

첫째, 목재 합판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문제다. 적재구조물은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적재된 화물이 식료품 등 인 경우, 적재구조물 내부 온도를 낮게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적재구조물의 내외부 온도차는 결로를 발생시킨다. 적재구조물은 복수의 복합패널이 조립된 형태를 가지므로 결로에 의해 목재 합판으로 수분이 침투하기 쉽다. 목재 합판은 수분에 취약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목재가 ?거나 목재가 수분에 의해 뒤틀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목재 합판은 주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유지 보수 비용 내지 교체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한다. First,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wood plywood. There i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stacked structure. If the loaded cargo is food, etc.,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rgo structure should be kept low.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load structure causes condensation. Since the stacked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composite panels assembled, moisture is likely to penetrate into the wood plywood by condensation. Wood plywood is vulnerable to moisture. Over time, there is mold, wood, or wood that is twisted by moisture. Therefore, timber plywood should be periodically replaced. Maintenance costs or replacement costs are excessive.

둘째, 내구성이 약하다.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를 상호 부착시키는 접착제는 열경화성 접착제다. 이러한 접착제들은 가열되면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가 상호 접합되어 형성되는 적재구조물에서 이러한 기포들이 외부로 배출되기가 어렵다. 기포들이 기공 형태로 접착제에 존재하는 이유다. 기공들은 온도 변화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한다. 수축, 팽창의 반복은 접착력과 접착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지역적 요인(비포장 도로, 산간 지역 등)에 따라 진동이 잦아지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재, 목재 합판, 마감재가 접착력 저하로 인해 박리된다(소위 뜸 불량 현상). 또한 목재 합판은 딱딱하여 진동 흡수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바, 진동이 잦아짐에 따라 체결부위(볼트, 리벳 등)가 헐거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유지 보수 비용 내지 교체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한다.Second, the durability is weak. The adhesive that bonds the core, the wood plywood, and the finish material together is a thermosetting adhesive. These adhesives are generally heated while bubbles are genera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these bubbles to the outside in the stacked structure formed by mutually joining the core material, the wood plywood, and the finishing material. This is why bubbles are present in the adhesive in the form of pores. The pores repeat shrinkage and expansion as the temperature changes are repeated. Repeated shrinkage and expansion are factors that decrease the adhesive strength and adhesive strength. As a result, vibration often occurs due to local factors (unpacked roads, mountainous areas, etc.), and the core material, wood plywood and finishing material are peeled off due to deterioration of adhesiveness (so-called mooring phenomenon). In addition, since the wood plywood is hard and its vibration absorbing ability is relatively low, problems such as loosening of fastening parts (bolts, rivets, etc.) occur due to frequent vibration. Similarly, maintenance costs or replacement costs are excessive.

셋째, 복수의 심재의 접합 부위에서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되어 단열효율이 낮아지는 문제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적재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심재(core materials)를 측면끼리 접하도록 배치시킨다. 이 때, 심재와 심재 사이의 접합 부위는 완전히 기밀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접합 부위를 통해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는 단열효율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Third, it is a problem that cool air leaks from the joint part of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or the outside air flows in, resulting in low insulation efficiency. In order to form a relatively large-sized load structure, a plurality of core materials ar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since the joint between the core and the core is not completely airtight, cold air may leak through the joint, or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which may lead to deterioration of heat insulation efficiency.

상술한 문제들은 차량 운용 주체들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이다. 개선이 필요한 이유다.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the main factors that increase the cost of vehicle operators. That's why we need to improve.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64919호(2002.02.21 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64919 (published on Feb. 21, 2002)

본 발명은 침습되어도 손상율이 낮고, 뜸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수명, 내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목재 합판 보강재와 대비할 때 우수한 단열성과 경량성을 갖는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panel for a load structure that has low damage rate and does not cause faulty mending, thereby improving life and durability as well as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on and light weight in comparison with a wood lumber reinforcem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내층과, 제1 내층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는 제2 내층을 포함하며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을 포함하고,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은, 상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제1 돌기부와, 제1 돌기부와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및 하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제2 돌기부와, 제2 돌기부와 타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내층의 제1 돌기부가 제2 내층의 제2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 내층의 제1 수용부가 제2 내층의 제2 돌기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1 내층의 일측과 제2 내층의 타측이 접합하고, 제1 내층의 제2 돌기부가 제2 내층의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 내층의 제2 수용부가 제2 내층의 제1 돌기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1 내층의 타측과 제2 내층의 일측이 접합하며,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은,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minated sheet comprising: an inner layer comprising a first inner layer and a second inner layer bond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layer respectively and formed of foamed polyethylene foam, foamed polyurethane foam, expanded polystyrene foam or compressed styrofoam; And the first inner layer and the second inner layer each have a first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protruding downwardly, and a second protrud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the one side surface A first engag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other portion and having a shape protruding upward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jecting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On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are bonded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protrusions are receiv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rst inner layer accommodates the second protrusions of the second inner layer, The second protrusions of the inner layer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rst inner layer accommodates the first protrusions of the second inner layer so that on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and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are bonded Wherein the outer layer comprises a first sheet bonded to one side of the inner layer and a second sheet laminated to the first sheet and formed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Bonded short-fiber bonded body is thermosetting Wherein the short fiber bonded body has a web formed of a first staple fiber which is a polyester fiber, a web formed by a second staple fiber which is a glass fiber, and a third staple fiber which is a carbon fiber Wherein the web comprises a formed web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is less than the content of the first staple fibers and the content of the third staple fibers is less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내층과, 제2 내층과,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을 상호 연결시키는 브릿지층을 포함하며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을 포함하고, 제1 내층의 측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 내층의 측부에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브릿지층은 단면이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제2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을 상호 연결시키며,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은,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first inner layer, a second inner layer, and a bridge layer interconnecting the first inner layer and the second inner layer and comprising a foamed polyethylene foam, a foamed polyurethane foam, a foamed polystyrene foam, A first inner groove formed on a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a second insertion groove formed on a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and a bridge layer having a cross section The first and second inner lay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end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and a second end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o connect the first inner layer and the second inner layer, And a second sheet laminated on the first sheet and formed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wherein the first sheet is a laminate in which the short-fiber bonded body in which the webs formed by the short fibers are mutually bonded is thermosetting adhesive And the short fiber bonded body is formed by a web formed of a first staple fiber which is a polyester fiber, a web formed by a second staple fiber which is a glass fiber, and a web formed by a third staple fiber which is a carbon fib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is less than the content of the first staple fibers and the content of the third staple fibers is less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taple fibers, A composite panel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복합패널은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가 단섬유 결합체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바, 잦은 진동이나 시간이 지나도 박리되지 않으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단섬유, 유리 섬유 단섬유, 탄소 섬유 단섬유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바 복합패널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composite panel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s (bubbles) generated in the curing process of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ores formed in the short fiber assembly, so that the composite panel is not peeled off even after frequent vibration or time. The durability of the bar composite panel formed by including the short staple fiber of polyester, the short fiber of glass fiber, and the short fiber of carbon fiber can be improved.

또한 복합패널의 외층을 이루는 제1 시트는 수분이 침투하여도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거나 뒤틀리지 않는 바, 종래 목재 합판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품 수명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목재 합판 대비 경량이므로 적재구조물 형성시에 공차중량을 낮출 수 있어 적재구조물이 탑재된 차량의 연비효율성을 증가시킨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sheet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of the composite panel does not cause mold generation or distortion even when moisture penetrates, the life of the product can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conventional wood plywood. Further, It is possible to lower the tolerance weight at the time of forming the structure, thereby increas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on which the load structure is mounted.

또한 복합패널의 내층을 이루는 복수의 발포 폼들의 이음매는 수직 방향의 직선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바(결합부 형성 또는 브릿지층 매개), 기밀성이 강화되어 냉기 누출 또는 외기 유입을 줄이게 되는 바 단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joints of a plurality of foamed foams constituting the inner layer of the composite panel are not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re formed in a combination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forming a joining portion or bridging layer) The cold air leakage or the inflow of outside air can be reduced, and the insula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anel for a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panel for a stack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hickness, size, etc. of each member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r direction is based on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공간에 대한 설명이나 위치관계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공간에는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의 "상부에" 또는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함을 언급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위치하는 경우까지를 포함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of the space and the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mean the relative positions betwe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lso, unless otherwise stated,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the space between one component and another. For example, when reference is made herein to the presence of "on top" or "on top" of one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not only is there a case where another component is located directly on top of one component, Until the element and another element are located between the other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1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mposite panel 100 for a stack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복합패널(100)은 내층(110)과, 내층(110)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1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composite panel 100 includes an inner layer 110 and an outer layer 120 that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110, respectively.

내층(110)은 일정 규격을 갖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내층(110)은 보온, 차음, 방음, 단열 등의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110)은 압출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110)의 밀도는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일 수 있다. 내층(110)의 두께는 약 3cm - 5cm 일 수 있다.The inner layer 110 may be selected from expanded polyethylene foam, foamed polyurethane foam, expanded polystyrene foam, or compressed styrofoam having a certain standard. The inner layer 110 functions and functions as heat insulation, sound insulation,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In one embodiment, the inner layer 110 may have the shape of an extruded board. In one embodiment, the density of the inner layer 110 is 30-60 kg / m < 3 >,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may be greater than 10 N / cm < 2 >. The thickness of the inner layer 110 may be about 3 cm to 5 cm.

내층(110)에서 외측(120) 방향의 면(즉, 도 1에서 내층(110)의 상하부면)에는 복수의 슬롯(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슬롯(a)은 V자 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롯(a)은 폭이 1mm, 깊이가 2-3mm 가량의 'V자 홈'형상일 수 있다. 슬롯(a) 사이의 간격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5-10cm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롯(a)은 내층(110)에 외층(120)을 접합함에 있어, 내층(110)의 양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내층(110)의 양면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슬롯(a)을 채우게 됨으로써, 내층(110)과 외층(12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 A plurality of slots a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inner layer 110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ide 120 (i.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layer 110 in Fig. 1). In one embodiment, the slot a may be formed in a V-shaped groove. For example, the slot (a) may be a 'V-shaped groove' shape having a width of 1 mm and a depth of about 2 to 3 mm. The spacing between slots a is not specified, and may be, for example, 5-10 cm. In the slot (a), gas (bubbles) generated in the curing process of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11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joining the outer layer 120 to the inner layer 110. In addition, since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110,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layer 110 is filled with the slots a, so that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inner layer 110 and the outer layer 120 can be increased.

내층(110)은 제1 내층(111)과 제2 내층(112)을 포함한다. 제1 내층(111)과 제2 내층(112)은 길이방향으로 접합한다. 구체적으로 제1 내층(111)의 일측면에 제2 내층(112)의 타측면이 접한다. 제1 내층(111)과 제2 내층(112)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 또는 유사하다. The inner layer 110 includes a first inner layer 111 and a second inner layer 112.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bo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buts against on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The shapes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the same or similar as shown in Fig.

제1 내층(111) 및 제2 내층(112)은 제1 결합부(113)와, 제2 결합부(115)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113)는 제1 내층(111) 및 제2 내층(112)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2 결합부(115)는 제1 내층(111) 및 제2 내층(112)의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1 내층(111) 및 제2 내층(112)은 제1,2 결합부(113,115)를 통해 접합한다. 여기에서 "일측"은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한다. "타측"은 도 1을 기준으로 우측을 의미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이하에서도 마찬가지다.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15.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respectivel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respectively.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join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3 and 115. Here, "one side" means the left side with reference to Fig. The "other side " means the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unless otherwise stated.

제1 내층(111) 및 제2 내층(112)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3)와 제2 결합부(115)는 동일한 형태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내층(111)에 형성된 제1 결합부(113) 및 제2 결합부(115)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Since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formed on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have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formed on the first inner layer 111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15 will be mainly described.

제1 결합부(113)는 제1 돌기부(113a)와 제1 수용부(113b)를 포함한다. 제1 돌기부(113a)는 제1 내층(111)의 상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돌기부(113a)는 "ㄱ"이 180도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제1 수용부(113b)는 제1 돌기부(113a)와 제1 내층(111)의 일측면 사이에 상부쪽으로 인입된 형태를 갖는다.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includes a first protruding portion 113a and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3b. The first protrusion 113a extend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in one direction and protrudes downward.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first protrusion 113a has a shape in which the "a" is 180 degrees symmetrical.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3b has a shape of being drawn upwar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on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

제2 결합부(115)는 제2 돌기부(115b)와 제2 수용부(115a)를 포함한다. 제2 돌기부(115b)는 제1 내층(111)의 하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돌기부(115b)는 "ㄴ"이 180도 대칭된 형상을 갖는다. 제2 수용부(115a)는 제2 돌기부(115b)와 제1 내층(111)의 타측면 사이에 하부쪽으로 인입된 형태를 갖는다.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115b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5a. The second protrusion 115b extends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to the other side and protrudes upward. 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second protrusion 115b has a shape in which "b" is 180 degrees symmetrical.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5a is drawn downwar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115b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

제1,2 결합부(113,115)를 통한 제1,2 내층(111,112)의 결합에 대해 설명한다.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layers 111 and 112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13 and 115 will be described.

제1 내층(111)의 제1 돌기부(113a)가 제2 내층(112)의 제2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 내층(111)의 제1 수용부(113b)가 제2 내층(112)의 제2 돌기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1 내층(111)의 일측과 제2 내층(112)의 타측이 접합한다. 그리고 제1 내층(111)의 제2 돌기부(115b)가 제2 내층(112)의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 내층(111)의 제2 수용부(115a)가 제2 내층(112)의 제1 돌기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1 내층(111)의 타측과 제2 내층(112)의 일측이 접합한다. 즉, 제1 내층(111)의 제1 결합부(113)와 제2 내층(112)의 제2 결합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제1 내층(111)의 일측과 제2 내층(112)의 타측이 접합하며, 제1 내층(111)의 제2 결합부(115)와 제2 내층(112)의 제1 결합부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제1 내층(111)의 타측과 제2 내층(112)의 일측이 접합한다. 이와 같이 서펜틴(serpentine) 형태의 제1 결합부(113) 및 제2 결합부(115)의 맞물림에 의해 제1 내층(111) 및 제2 내층(112)의 접합부위가 단순히 수직 방향의 직선형이 아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이 복합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들 접합부위의 기밀성이 강화되는 바, 상기 접합부위를 통해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따라서 단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2 내층(111,112)의 측면 접합성이 구조적으로 향상되므로 보다 적은 양의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제1,2 내층(111,112)이 보다 견고한 접합을 이룰 수 있다. The first protrusion 113a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3b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ner layer 112, On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bonded to each other. The second protrusions 115b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15a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ner layer 112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one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bond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orm on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first engag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ne side of the inner layer 112 is bonded. The joining portions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112 are formed by merely engaging the serpentine first engag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with each other,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mbined. Accordingly, the airtightness of these joints is strengthen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that cool air leaks through the joints or outside air is introduced. Therefore, the heat insulat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ide bonding properties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layers 111 and 112 are structurally improved, the first and second inner layers 111 and 112 can be more firmly bonded even if a smaller amount of adhesive is used.

외층(120)은 제1 시트(121)와, 제1 시트(121)에 적층되는 제2 시트(122)를 포함한다. The outer layer 120 includes a first sheet 121 and a second sheet 122 laminated to the first sheet 121.

제1 시트(121)는 내층(110)의 일면에 접합한다.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2b)를 포함한다. 제1 시트(121)의 두께는 약 1.5mm - 3.0mm 일 수 있으며,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의 두께 역시 상기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The first sheet 121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layer 110. The first sheet 121 includes a short fiber assembly 121a and a sheet body 122b. The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121 may be about 1.5 mm to 3.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hort fiber aggregate 121a and the sheet body 121b may also be within the above range.

단섬유 결합체(121a)는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web)와,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섬유, 제2 단섬유, 제3 단섬유는 상이한 단섬유다. The short fiber assembly 121a is formed on a surface where a web formed of a first staple fiber, a web formed of a second staple fiber, and a web formed of a third staple fiber are mutually coupled. The first staple fiber, the second staple fiber and the third staple fiber are different staple fibers.

제1 단섬유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를 방사 및 연신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섬유 직경이 약 1 - 8 마이크로미터, 섬유 길이가 20 - 120mm 범위의 섬유 길이를 갖는 단섬유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일 수 있다. The first staple fiber can be obtained by spinning and stretching a polymer obtained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ple fibers may be short fibers having a fiber length in the range of about 1-8 micrometers in fiber diameter and 20-120 mm in fiber length. In one embodiment, the web formed of the first staple fibers has a weight of 200 - 500 g / m 2 , a melting point of 254 - 284 ° C, a breaking elongation of 200 - 500%, a dry heat shrinkage at 160 ° C of 20 - 60% , And the fiber thickness may be 2 - 10 denier.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ple fiber may be a polyester fiber.

제2 단섬유는 유리 섬유일 수 있다. 제2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121)의 강도를 보강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단섬유의 길이는 10mm 내지 100mm의 길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90mm의 길이,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8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단섬유의 길이가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단섬유와의 결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 staple fiber may be a glass fiber. The second staple fibers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ingle-stitched fibers 121.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econd staple fiber can have a length of 10 mm to 100 mm, more specifically 10 mm to 90 mm, and more specifically 10 mm to 80 mm. In particular,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staple fibers is less than 10 mm, there may arise a problem in bonding with the first staple fibers.

제3 단섬유는 탄소 섬유일 수 있다 .제3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121)의 내구성을 보강한다. The third staple fiber may be carbon fiber. The third staple fiber reinforces the durability of the short fiber aggregate 121.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섬유 결합체(121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1 단섬유는 50-70wt%, 제2 단섬유는 10-20wt%, 제3 단섬유는 10-40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단섬유의 함량은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은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ple fibers comprise 50-70 wt%, the second staple fibers 10-20 wt%, and the third staple fibers 10-4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filament assembly 121a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may be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first staple fibers, and the content of the third staple fibers may be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단섬유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타공 벨트 상에 열풍과 함께 분사하고, 상기 타공 벨트의 하부에서는 에어 석션을 하여 상기 단섬유들이 상기 타공 벨트 상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b is formed by ejecting the staple fibers together with hot air on a continuously circulating perforated belt, and air sucking at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belt to cause the staple fibers to stick onto the perforated belt .

단섬유 결합체(121a)는 3 종의 단섬유로 형성된 각 웨브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 공극을 갖는다. 이 때,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의 평균 기공크기(pore size)는 1 내지 6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기공크기가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시트체(121b)를 이루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하기 어렵고, 반대로 상기 기공크기가 6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단섬유 결합체(121a)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은 랜덤(random) 형상을 갖는다. 공극률은 25% - 60% 정도일 수 있다. The short fiber bundle 121a is formed by mutually combining the webs formed of the three short fibers, and has a void. At this time,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 fiber aggregate 121a may be 1 to 6 micrometers. When the pore size is less than 1 micrometer,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constituting the sheet body 121b hardly penetrates through the pores. On the contrary, when the pore size exceeds 6 micrometers, the shor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str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portions 121a. On the other hand,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 fiber aggregate 121a have a random shape. The porosity may be between 25% and 60%.

시트체(121b)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sheet body 121b can be formed by curing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may be selected from a polyurethane resin, an epoxy resin, and an acrylic resin.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60 - 80℃ 상에서 열 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제인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분자량 350 - 400 가량의 메틸렌 비스페닐을 함유한 디페닐메탄 디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상기 경화제는 중량비로 100:23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4,000 mPa.s의 점도, 약 1.5 - 1.7 가량의 비중(g/cm3), ASTM-D297로 측정된 인장 강도가 12MPa 이상이고, ASTM-D1002로 측정된 전단 강도는 약 10 MPa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may be a liquid polyurethane resin which is cured by a thermal reaction at 60-80 占 폚. Specifically, the liquid type polyurethane resin may include a polyether polyol, which is a subject, and a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curing agent containing methylenebisphenyl in a molecular weight of about 350-400. The polyether polyol and the curing agent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0: 23. The liquid polyurethane resin has a viscosity of about 4,000 mPa.s, a specific gravity (g / cm 3 ) of about 1.5-1.7, a tensile strength of 12 MPa or more as measured by ASTM-D297, a shear strength measured by ASTM-D1002 Can be about 10 MPa.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가 시트체(121b)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에 시트체(121b)를 구성하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한 후에 경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가 시트체(121b)에 파묻힌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sheet 121 has a shape in which the short fiber aggregate 121a is integrated with the sheet body 121b. Concretely,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constituting the sheet body 121b may penetrate through the pores and be cured after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fiber binding body 121a. That is, the first sheet 121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hort fiber assembly 121a is embedded in the sheet body 121b.

시트체(121b)를 경화시켜 제1 시트(12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경화 과정에서 열경화성 접착수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기포)는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21)의 시트체(121b)에는 상기 가스가 배출되지 못해 발생하는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잦은 진동이나 시간이 지나도 제1 시트(121)와 제2 시트(122)가 박리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 뜸 불량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In forming the first sheet 121 by curing the sheet body 121b, the gas (bubbles) generated from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n the curing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formed in the short-fiber body 121a . Therefore, no pores are formed in the sheet body 121b of the first sheet 121 because the gas can not be discharged. Therefore, the first sheet 121 and the second sheet 122 are not peeled off even after frequent vibration or tim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In other words, the moor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제1 시트(121)는 ASTM-D5470에 따라 측정된 열저항이 0.085 m2K/W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 시트(121)는 목재 합판의 평균 열저항인 0.01-0.02 m2K/W 보다 5배 이상의 열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단열성이 목재 합판 대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The first sheet 121 may have a thermal resistance measured according to ASTM-D5470 of 0.085 m 2 K / W or higher. That is, the first sheet 121 has a thermal resistance five times or more higher than the average thermal resistance of the wood plywood of 0.01-0.02 m 2 K / W. Therefore, heat insul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wood plywood.

또한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침습에 강하다. 수분이 침투하여도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거나 뒤틀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합패널(100)의 수명이 크게 늘어난다.Also, since the first sheet 121 is formed of the short fiber assembly 121a and the sheet body 121b, it is resistant to invasion as compared with the wood plywood. This is because even if water penetrates, molds do not occur or are not distorted. Therefore, the life span of the composite panel 100 is greatly increased.

또한 제1 시트(121)는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경량이다. 따라서 복합패널(100)로 적재구조물을 형성하여 차량에 설치하였을 때에 공차중량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차량의 연비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sheet 121 is formed of the short-fiber-bonded body 121a and the sheet body 121b, the first sheet 121 is lighter than the wood-based plywood. Accordingly, when the cargo structure is formed in the composite panel 100 and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weight of the cargo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한편, 제2 시트(122)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시트(122)의 소재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섬유유리(fibrous glass)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25 내지 75 중량%, 섬유유리(fibrous glass) 25 내지 75 중량%, 첨가제 0 내지 5 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시트(122)의 두께는 약 0.8mm - 1.6mm 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heet 122 can be selected from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materials.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sheet 122, a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is more preferable. Th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may comprise polypropylene, fibrous glass and additives. In one embodiment, th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may comprise 25-75 wt% polypropylene, 25-75 wt% fibrous glass, and 0-5 wt% additiv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heet 122 may be about 0.8 mm to 1.6 mm.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적재구조물용 복합패널(2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composite panel 200 for a stack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복합패널(200)은 내층(210)과, 내층(210)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2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mposite panel 200 includes an inner layer 210 and an outer layer 220 that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210, respectively.

내층(210)은 일정 규격을 갖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내층(210)은 보온, 차음, 방음, 단열 등의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210)은 압출보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내층(210)의 밀도는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일 수 있다. 내층(210)의 두께는 약 3cm - 5cm 일 수 있다.The inner layer 210 can be selected from foamed polyethylene foam, foamed polyurethane foam, expanded polystyrene foam, or compressed styrofoam having a certain standard. The inner layer 210 functions and functions as thermal insulation, sound insulation, sound insulation, and insulation. In one embodiment, the inner layer 210 may have the shape of an extruded board. In one embodiment, the density of the inner layer 210 is 30-60 kg / m 3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may be 10 N / cm 2 or higher. The thickness of the inner layer 210 may be about 3 cm to 5 cm.

내층(210)에서 외측(220) 방향의 면(즉, 도 2에서 내층(210)의 상하부면)에는 복수의 슬롯(a)이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슬롯(a)은 V자 형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슬롯(a)은 폭이 1mm, 깊이가 2-3mm 가량의'V자 홈'형상일 수 있다. 슬롯(a) 사이의 간격은 특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5-10cm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롯(a)은 내층(210)에 외층(220)을 접합함에 있어, 내층(210)의 양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경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기포)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내층(210)의 양면에 도포되는 과정에서 일부가 슬롯(a)을 채우게 됨으로써, 내층(210)과 외층(220)의 접합력을 높일 수 있다.A plurality of slots a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inner layer 210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ide 220 (i.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inner layer 210 in Fig. 2). In one embodiment, the slot a may be formed in a V-shaped groove. For example, the slot (a) may be a 'V-shaped groove' shape having a width of 1 mm and a depth of about 2 to 3 mm. The spacing between slots a is not specified, and may be, for example, 5-10 cm. The slot a discharges gas (bubbles) generated in the curing process of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applied on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210 to the outside in joining the outer layer 220 to the inner layer 210. In addition, since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210, a part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inner layer 210 and the outer layer 220 can fill the slot a.

내층(210)은 제1 내층(211), 제2 내층(213), 브릿지층(212)을 포함한다.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3)은 브릿지층(212)을 매개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접합한다. 브릿지층(212)은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3)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내층(211) 및 제2 내층(213)을 상호 연결시킨다. The inner layer 210 includes a first inner layer 211, a second inner layer 213, and a bridge layer 212.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are jo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ia the bridge layer 212. The bridge layer 212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to interconnect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제1 내층(211)의 측부에는 제1 삽입홈(211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삽입홈(211a)은 제1 내층(211)의 양측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제1 내층(211)의 내측으로 소정 정도 인입된 형태를 갖는다. A first insertion groove 211a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211. [ Specifically, the first insertion grooves 211a are formed at both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have a shape drawn inwardly of the first inner layer 211 to a predetermined extent.

제2 내층(213)의 측부에는 제2 삽입홈(213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삽입홈(213a)은 제2 내층(213)의 양측 중앙 부분에 형성되며, 제2 내층(213)의 내측으로 소정 정도 인입된 형태를 갖는다. And a second insertion groove 213a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213. [ Specifically,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3a is formed at both central portions of the second inner layer 213, and has a shape drawn into the second inner layer 213 to a predetermined extent.

브릿지층(212)은 전체적으로 단면이 십자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브릿지층(212)의 양측 중앙 부분은 외측으로 소정 정도 돌출되어 있다. 이 때, 브릿지층(212)의 상기 돌출된 부분의 형태 및 크기는 제1 삽입홈(211a) 및 제2 삽입홈(213a)에 의해 형성된 인입 공간에 상응한다. 브릿지층(212)의 돌출된 일측부가 제1 내층(211)의 제1 삽입홈(211a)에 삽입되고, 브릿지층(212)의 돌출된 타측부가 제2 내층(213)의 제2 삽입홈(213a)에 삽입된다. 브릿지층(212)의 상하부는 제1 내층(211) 및 제2 내층(213)의 이격공간을 메우는 형태로 배치된다. The bridge layer 212 is formed in cross-section as a whole. Specifically, both side central portions of the bridge layer 212 protrude outward by a predetermined degree. At this time, the shape and size of the protruded portion of the bridge layer 212 correspond to the lead-in space formed by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1a and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3a. The protruding one side of the bridge layer 2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11a of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other side of the bridge layer 212 protrud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211b of the second inner layer 211, (213a).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ridge layer 212 are disposed so as to fill the spacing spaces of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즉, 제1 내층(211)과 제2 내층(213)이 브릿지층(212)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형태를 가지며, 제1 내층(211)과 브릿지층(212)의 이음매 부분, 그리고 제2 내층(213)과 브릿지층(212)의 이음매 부분은 기밀성이 강화된다. 상기 이음매 부분이 단순히 수직 방향의 직선형이 아니고, 브릿지층(212)의 외형(외윤곽)을 따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이 복합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접합부위의 기밀성이 강화되는 바, 상기 접합부위를 통해 냉기가 누출되거나 외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따라서 단열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2 내층(211,213)의 측면 접합성이 구조적으로 향상되므로 보다 적은 양의 접착제를 사용하더라도 제1,2 내층(211,213)이 보다 견고한 접합을 이룰 수 있다.That is,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bridge layer 212, and the joints of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bridge layer 212, 2 inner layer 213 and the bridge layer 212 are tightened. This is because the joint portion is not a straight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a composit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ontour (outline contour) of the bridge layer 212. Accordingly, the airtightness of these joints is strengthen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that cool air leaks through the joints or outside air is introduced. Therefore, the heat insulat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ide bonding properties of the first and second inner layers 211 and 213 are structurally improved, the first and second inner layers 211 and 213 can be more firmly bonded even if a smaller amount of adhesive is used.

외층(220)은 제1 시트(221)와, 제1 시트(221)에 적층되는 제2 시트(222)를 포함한다. The outer layer 220 includes a first sheet 221 and a second sheet 222 laminated to the first sheet 221.

제1 시트(221)는 내층(210)의 일면에 접합한다.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2b)를 포함한다. 제1 시트(221)의 두께는 약 1.5mm - 3.0mm 일 수 있으며,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1b)의 두께 역시 상기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The first sheet 221 is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layer 210. The first sheet 221 includes a short fiber bundle 221a and a sheet body 222b. The thickness of the first sheet 221 may be about 1.5 mm to 3.0 mm, and the thickness of the short fiber coupling body 221a and the sheet body 221b may also be within the above range.

단섬유 결합체(221a)는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web)와,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으로 형성된다. 제1 단섬유, 제2 단섬유, 제3 단섬유는 상이한 단섬유다. The short fiber assembly 221a is formed on a surface where a web formed of a first staple fiber, a web formed of a second staple fiber, and a web formed of a third staple fiber are mutually coupled. The first staple fiber, the second staple fiber and the third staple fiber are different staple fibers.

제1 단섬유는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의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를 방사 및 연신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섬유 직경이 약 1 - 8 마이크로미터, 섬유 길이가 20 - 120mm 범위의 섬유 길이를 갖는 단섬유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1 단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일 수 있다. The first staple fiber can be obtained by spinning and stretching a polymer obtained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of terephthalic acid and ethylene glycol.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ple fibers may be short fibers having a fiber length in the range of about 1-8 micrometers in fiber diameter and 20-120 mm in fiber length. In one embodiment, the web formed of the first staple fibers has a weight of 200 - 500 g / m 2 , a melting point of 254 - 284 ° C, a breaking elongation of 200 - 500%, a dry heat shrinkage at 160 ° C of 20 - 60% , And the fiber thickness may be 2 - 10 denier.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ple fiber may be a polyester fiber.

제2 단섬유는 유리 섬유일 수 있다. 제2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221)의 강도를 보강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단섬유의 길이는 10mm 내지 100mm의 길이, 더욱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90mm의 길이, 더욱 더 구체적으로는 10mm 내지 80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 단섬유의 길이가 10mm 미만인 경우에는 제1 단섬유와의 결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second staple fiber may be a glass fiber. The second staple fibers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hort fiber joined body 221.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second staple fiber can have a length of 10 mm to 100 mm, more specifically 10 mm to 90 mm, and more specifically 10 mm to 80 mm. In particular, when the length of the second staple fibers is less than 10 mm, there may arise a problem in bonding with the first staple fibers.

제3 단섬유는 탄소 섬유일 수 있다 .제3 단섬유는 단섬유 결합체(221)의 내구성을 보강한다. The third staple fiber may be carbon fiber. The third staple fiber reinforces the durability of the staple fiber composite 221.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섬유 결합체(221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1 단섬유는 50-70wt%, 제2 단섬유는 10-20wt%, 제3 단섬유는 10-40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단섬유의 함량은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은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ple fibers comprise 50-70 wt%, the second staple fibers 10-20 wt%, and the third staple fibers 10-4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filament assemblies 221a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may be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first staple fibers, and the content of the third staple fibers may be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웨브는 상기 단섬유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타공 벨트 상에 열풍과 함께 분사하고, 상기 타공 벨트의 하부에서는 에어 석션을 하여 상기 단섬유들이 상기 타공 벨트 상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b is formed by ejecting the staple fibers together with hot air on a continuously circulating perforated belt, and air sucking at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belt to cause the staple fibers to stick onto the perforated belt .

단섬유 결합체(221a)는 3 종의 단섬유로 형성된 각 웨브가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바, 공극을 갖는다. 이 때,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의 평균 기공크기(pore size)는 1 내지 6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상기 기공크기가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인 경우에는 시트체(221b)를 이루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하기 어렵고, 반대로 상기 기공크기가 6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단섬유 결합체(221a)의 강도를 확보하기 어렵다. 한편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은 랜덤(random) 형상을 갖는다. 공극률은 25% - 60% 정도일 수 있다. The short fiber assemblies 221a are formed by mutually joining the webs formed of the three short fibers, and have voids. At this time, the average pore size of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 fiber bundle 221a may be 1 to 6 micrometers. When the pore size is less than 1 micrometer,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constituting the sheet body 221b hardly penetrates through the por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re size exceeds 6 micrometers, 221a. On the other hand,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 fiber composite body 221a have a random shape. The porosity may be between 25% and 60%.

시트체(221b)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경화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The sheet body 221b can be formed by curing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may be selected from a polyurethane resin, an epoxy resin, and an acrylic resin.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60 - 80℃ 상에서 열 반응에 의해 경화되는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주제인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분자량 350 - 400 가량의 메틸렌 비스페닐을 함유한 디페닐메탄 디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상기 경화제는 중량비로 100:23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4,000 mPa.s의 점도, 약 1.5 - 1.7 가량의 비중(g/cm3), ASTM-D297로 측정된 인장 강도가 12MPa 이상이고, ASTM-D1002로 측정된 전단 강도는 약 10 MPa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may be a liquid polyurethane resin which is cured by a thermal reaction at 60-80 占 폚. Specifically, the liquid type polyurethane resin may include a polyether polyol, which is a subject, and a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curing agent containing methylenebisphenyl in a molecular weight of about 350-400. The polyether polyol and the curing agent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0: 23. The liquid polyurethane resin has a viscosity of about 4,000 mPa.s, a specific gravity (g / cm 3 ) of about 1.5-1.7, a tensile strength of 12 MPa or more as measured by ASTM-D297, a shear strength measured by ASTM-D1002 Can be about 10 MPa.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가 시트체(221b)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에 시트체(221b)를 구성하는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기공을 통해 침투한 후에 경화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가 시트체(221b)에 파묻힌 형태일 수 있다. The first sheet 221 has a shape in which the short fiber composite body 221a is integrated with the sheet body 221b. Concretely,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constituting the sheet body 221b may penetrate through the pores and may be cured after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 fiber composite body 221a. That is, the first sheet 221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hort fiber bundle 221a is buried in the sheet body 221b.

시트체(221b)를 경화시켜 제1 시트(221)를 형성함에 있어, 상기 경화 과정에서 열경화성 접착수지로부터 발생되는 가스(기포)는 단섬유 결합체(221a)에 형성되는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221)의 시트체(221b)에는 상기 가스가 배출되지 못해 발생하는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잦은 진동이나 시간이 지나도 제1 시트(221)와 제2 시트(222)가 박리되지 않아 내구성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 뜸 불량 현상이 일어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In forming the first sheet 221 by curing the sheet body 221b, the gas (bubbles) generated from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during the curing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 fiber composite body 221a . Therefore, no pores are generated in the sheet body 221b of the first sheet 221 because the gas can not be discharged. Therefore, the first sheet 221 and the second sheet 222 are not peeled off even after frequent vibration or tim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In other words, the moor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제1 시트(221)는 ASTM-D5470에 따라 측정된 열저항이 0.085 m2K/W 이상일 수 있다. 즉, 제1 시트(221)는 목재 합판의 평균 열저항인 0.01-0.02 m2K/W 보다 5배 이상의 열저항을 갖는다. 따라서 단열성이 목재 합판 대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The first sheet 221 may have a thermal resistance measured according to ASTM-D5470 of 0.085 m 2 K / W or higher. That is, the first sheet 221 has a thermal resistance five times or more higher than the average thermal resistance of the wood plywood of 0.01-0.02 m 2 K / W. Therefore, heat insul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wood plywood.

또한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침습에 강하다. 수분이 침투하여도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거나 뒤틀리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합패널(200)의 수명이 크게 늘어난다.Further, since the first sheet 221 is formed of the short fiber composite body 221a and the sheet body 221b, it is resistant to invasion as compared with the wood plywood. This is because even if water penetrates, molds do not occur or are not distorted. Therefore, the life span of the composite panel 200 is greatly increased.

또한 제1 시트(221)는 단섬유 결합체(221a)와 시트체(221b)로 형성되므로, 목재 합판에 비해 경량이다. 따라서 복합패널(100)로 적재구조물을 형성하여 차량에 설치하였을 때에 공차중량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차량의 연비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first sheet 221 is formed of the short fiber composite body 221a and the sheet body 221b, the first sheet 221 is lighter than the wood plywood. Accordingly, when the cargo structure is formed in the composite panel 100 and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weight of the cargo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한편, 제2 시트(222)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소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2 시트(222)의 소재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섬유유리(fibrous glass)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은 폴리프로필렌 25 내지 75중량%, 섬유유리(fibrous glass) 25 내지 75중량%, 첨가제 0 내지 5중량%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시트(222)의 두께는 약 0.8mm - 1.6mm 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heet 222 can be selected from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materials.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sheet 222, a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is more preferable. Th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may comprise polypropylene, fibrous glass and additives. In one embodiment, the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may comprise 25-75 wt% polypropylene, 25-75 wt% fibrous glass, and 0-5 wt% additiv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sheet 222 may be about 0.8 mm to 1.6 mm.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패널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composite pan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에 도시된 복합패널(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외층(120)을 먼저 제조한다.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제2 시트(122)의 일면에 액상의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도포한다. 다음으로 3종의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121a)를 제2 시트(122)의 상기 일면에 배치한다. 단섬유 결합체(121a)를 배치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단섬유 결합체(121a)에 형성된 공극에 침투된다. 이에 따라 단섬유 결합체(121a)는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 내로 파묻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경화시킨다. 구체적으로, 60 - 80℃ 상에서 핫프레싱 함으로써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경화시킬 수 있다.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경화되면 시트체(121b)를 형성하게 된다. 단섬유 결합체(121a)와 시트체(121b)는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이를 제1 시트(121)로 칭한다.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panel 10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First, the outer layer 120 is first fabricated. A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n liquid phase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second sheet (122) selected from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Next, the short-fiber assemblies 121a in which the webs formed of the three types of short fibers are mutually bonded are disposed on the above-mentioned one surface of the second sheet 122. The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permeated into the voids formed in the short-fiber binding body 121a after the short-fiber binding body 121a is disposed. As a result, the short-fiber-bonded body 121a is buried in the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Next, the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cured. Specifically, the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can be cured by hot pressing at 60 - 80 占 폚. When the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cured, the sheet body 121b is formed. The short fiber aggregate 121a and the sheet body 121b have an integrated form and are referred to as a first sheet 121. [

한편, 단섬유 결합체(121a)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단섬유 결합체(121a)는 단섬유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타공 벨트 상에 열풍과 함께 분사하고, 상기 타공 벨트의 하부에서는 에어 석션을 하여 상기 단섬유들이 상기 타공 벨트 상에 달라붙게 함으로써 웨브를 형성하는 단계; 니들펀칭(Needle Punching)을 통해 상기 웨브를 기계적으로 상호 결합시켜 면상의 결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체를 열압처리하여 상기 결합체의 평활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hort fiber aggregate 121a will be described. The short fiber bundle 121a forms a web by blowing short fibers together with hot air on a continuously circulating perforated belt and by air sucking at the bottom of the perforated belt so that the short fibers adhere to the perforated belt step; Mechanically interconnecting the webs via needle punching to form a planar assembly; And elevating the smoothness of the joined body by subjecting the joined body to heat treatment.

이 때, 중요한 것은 상기 니들펀칭을 통해 면상의 결합체를 형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추가적으로 열압처리함으로써 결합체의 평활도를 높이는 공정이 추가된다는 점이다. 니들펀칭은 섬유 웨브의 표면에 대해 양방향으로 니들(Needle)을 상하 운동시켜 상기 웨브를 기계적으로 상호 결합하는 공정이다. 니들펀칭을 통해 웨브는 면상의 결합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니들펀칭만을 거쳐 형성된 면상 결합체의 경우 평활도가 매우 떨어진다. 니들의 상하 운동에 의해 결합체 표면에 굴곡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상의 결합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섬유 결합체에 열경화성 접착수지가 침투함에 있어서, 불균일하게 침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21)의 부위에 따라 다른 물성(예컨대 열저항)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본 구체예에서와 같이, 니들펀칭을 통해 면상의 결합체를 형성한 후에 추가적으로 열압처리하는 경우에는 면상 결합체의 평활도가 증가하므로, 이후 열경화성 접착수지의 침투가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21)의 부위에 따른 물성 차이가 매우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add not only the planar bonded body through the needle punching but also a step of further increasing the smoothness of the bonded body by further subjecting it to a hot-pressing treatment. Needle punching is a process of mechanically interconnecting the webs by moving needles up and down in both directions relative to the surface of the fiber web. Through needle punching, the web can be a planar assembly. However, the smoothness of the planar assemblies formed only by needle punching is very low.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needle increases the degree of bending on the surface of the bonded body. In the case where such a bonded body is used as it is,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can permeate nonuniformly into the single-fiber bonded body. Therefor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thermal resistance) may appear depending on the portion of the first sheet 121. However, as in the present specific example, in the case of performing additional pressure treatment after forming a planar bonded body through needle punching, the smoothness of the planar bonded body is increased, so that penetration of the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can be made uniform.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depending on the region of the first sheet 121 is greatly reduced.

상기 단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 유리 섬유인 제2 단섬유, 탄소 섬유인 제3 단섬유를 포함한다. 제1 단섬유, 제2 단섬유 및 제3 단섬유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하였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단섬유 결합체(121a)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1 단섬유는 50-70wt%, 제2 단섬유는 10-20wt%, 제3 단섬유는 10-40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제2 단섬유의 함량은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은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을 수 있다.The staple fiber includes a first staple fiber which is a polyester fiber, a second staple fiber which is a glass fiber, and a third staple fiber which is a carbon fiber. The detailed contents of the first staple fiber, the second staple fiber and the third staple fiber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one embodiment, the first staple fibers comprise 50-70 wt%, the second staple fibers 10-20 wt%, and the third staple fibers 10-4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monofilament assembly 121a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may be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first staple fibers, and the content of the third staple fibers may be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s.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로서, 수지는 주제인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분자량 350 - 400 가량의 메틸렌 비스페닐을 함유한 디페닐메탄 디아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탄산칼슘 등의 필러가 일정량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상기 경화제는 중량비로 100:23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이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약 4,000 mPa.s의 점도, 약 1.5 - 1.7 가량의 비중(g/cm3), ASTM-D297로 측정된 인장 강도가 12MPa 이상이고, ASTM-D1002로 측정된 전단 강도는 약 10 MPa일 수 있다.The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a liquid polyurethane resin, and the resin may be prepared by including a polyether polyol as a main component and a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curing agent containing methylenebisphenyl in a molecular weight of about 350-400. In some cases, a certain amount of a filler such as calcium carbonate may be added. The polyether polyol and the curing agent may be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0: 23. The liquid polyurethane resin has a viscosity of about 4,000 mPa.s, a specific gravity (g / cm 3 ) of about 1.5-1.7, a tensile strength of 12 MPa or more as measured by ASTM-D297, a shear strength measured by ASTM-D1002 Can be about 10 MPa.

다음으로, 내층(110)을 마련한다. 내층(110)은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테린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내층(110)은 상기 나열한 소재 및 그의 변형예들 중에서 밀도가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의 물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정 규격을 갖는 내층(110)을 복수개 마련한 뒤에, 개개의 내층(110)의 일측부에는 제1 결합부(113)를 형성하고, 타측부에는 제2 결합부(115)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113) 및 제2 결합부(115)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내층(110)을 CNC 가공장치의 작업대에 배치하고 내층(110)의 일측에 제1 결합부(113)를 가공 형성한다. 제1 결합부(113)의 형성을 위한 각 부위의 치수 등은 CNC 가공장치의 제어부에 기 입력되고, CNC 가공장치가 입력된 내용에 따라 구동하여 내층(110)이 일측을 깎아 내는 방식으로 제1 결합부(113)가 가공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13)가 형성 완료되면 내층(110)을 반대 방향으로 작업대에 재배치하고 내층(110)의 타측에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결합부(115)를 가공 형성한다. Next, an inner layer 110 is provided. The inner layer 110 can be selected from foamed polyethylene foam, foamed polyurethane foam, foamed polystyrene foam, or compressed styrofoam. The inner layer 1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30-60 kg / m 3 and a compressive strength of 10 N / cm 2 or more among the materials listed above and their modifications. After a plurality of inner layers 110 having a predetermined standard are prepared, a first engaging portion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inner layers 110,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11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ince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have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example, the inner layer 110 is disposed on a workbench of a CNC machining apparatus,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1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inner layer 110. The dimensions and the like of each part for forming the first engaging part 113 are inputted to the control part of the CNC machining device and are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contents of the CNC machining device so that the inner layer 110 scrapes one side 1 engaging portion 113 can be machined.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is formed, the inner layer 110 is relocated to the work table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layer 110.

한편, 내층(110)의 양면에는 복수의 슬롯(a)을 소정 간격을 두어 형성한다. 슬롯(a)은 V 컷팅기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slots a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inner layer 110. The slot (a) can be formed using equipment such as a V-cutter.

제1 결합부(113) 및 제2 결합부(115)가 형성된 내층(110) 복수개가 마련되면, 내층(110)내층의 외면을 따라 제2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도포하고, 인접한 제1 내층(111)의 제1 결합부(113)를 제2 내층(112)의 제2 결합부(115)에 끼워 맞추고, 제1 내층(111)의 제2 결합부(115)를 제2 내층(112)의 제1 결합부(113)에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복수의 내층(110)들을 수평방향으로 접합시킨다. 한편, 제2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앞서 언급한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와 동일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inner layers 110 form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are provided, the second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appli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layer 110 and the adjacent first inner layer 111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of the first inner layer 111 is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15 of the second inner layer 112, The plurality of inner layers 110 are bo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manner to fit in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13. [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다음으로, 내층(110)의 양면에 외층(120)을 위치시킨다. 외층(120)의 제1 시트(121)가 내층(110)의 양면에 접하도록 외층(1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110) 및 외층(120)을 가열 압착하여 제1 열경화성 접착수지, 제2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경화시켜 복합패널(100)을 제조할 수 있다. 제1,2 열경화성 접착수지는 동일하므로, 복합패널(100)이 일체화 된 형태를 갖게 된다. Next, the outer layer 120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layer 110. The outer layer 120 may be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sheet 121 of the outer layer 120 contacts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110. Next, the inner panel 110 and the outer panel 120 are heated and pressed to cure the first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and the second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to produce the composite panel 100. [ Since the first and second thermosetting adhesive resins are the same, the composite panel 100 has an integrated form.

한편, 본 제조방법에 따르면, 외층(120)을 별도로 제작하고, 마련된 내층(110)의 각 양면에 외층(120)을 접합하는 방법을 이용하게 되는 바, 공정 시간이 절감되고 공정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복합패널을 제조할 때에는 코어층을 기준으로 코어층의 양면에 다른 층들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공정이 복잡해질 뿐더러 공정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manufacturing method, the outer layer 120 is formed separately and the outer layer 120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110, which reduces the process time and simplifies the process. . Generally, when a composite panel is manufactured, a method of sequentially laminating different layers on both sides of a core layer with reference to the core layer is used. In this case, the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cess time becomes longer.

도 2에 도시된 복합패널(2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외층(220)을 먼저 제조한다. 외층(220)은 도 1에 도시된 복합패널(100)의 외층(1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mposite panel 200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First, the outer layer 220 is first prepared. The outer layer 220 can be manufactur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outer layer 120 of the composite panel 100 shown in FIG. 1, and redundant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으로, 내층(210)을 마련한다. 내층(210)은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내층(210)은 상기 나열한 소재 및 그의 변형예들 중에서 밀도가 30-60kg/m3이고, 압축강도는 10N/cm2 이상의 물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정 규격을 갖는 내층(210)을 복수개 마련한 뒤에, 각 내층(210)을 가공함으로써 제1 내층(211), 브릿지층(212) 및 제2 내층(213)을 형성한다. 제1 내층(211) 및 제2 내층(213)은 양측부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브릿지층(212)은 십자 형태로 가공 형성한다. 예를 들어 내층(210)을 CNC 가공장치의 작업대에 배치하고 내층(210)의 양측에 삽임홈을 각각 형성한다. 이는 내층(210)의 양측부 일부를 깎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릿지층(212) 역시 내층(210)을 깎아내는 방식으로 형성한다. 이들 가공을 위한 각 부위의 치수 등은 CNC 가공장치의 제어부에 기 입력되고, CNC 가공장치가 입력된 내용에 따라 구동하여 내층(210)을 깎아 내는 방식으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내층(211), 브릿지층(212) 및 제2 내층(213)이 형성 완료되면 내층(210)의 외면을 따라 열경화성 접착수지를 도포하고, 제1 내층(211)에 형성된 삽입홈에 브릿지층(212)의 측부 돌출된 부분을 삽입시켜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제1 내층-브릿지층-제2 내층 순서로 배치되도록 접합시킨다. Next, an inner layer 210 is provided. The inner layer 210 can be selected from foamed polyethylene foam, foamed polyurethane foam, foamed polystyrene foam, or compressed styrofoam. The inner layer 21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density of 30-60 kg / m 3 and a compressive strength of 10 N / cm 2 or more among the materials listed above and their modifications. A plurality of inner layers 210 having a predetermined standard are prepared and then the inner layer 210 is processed to form the first inner layer 211, the bridge layer 212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The first inner layer 211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have insertion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the bridge layer 212 is processed into a cross shape. For example, the inner layer 210 is disposed on a workbench of a CNC machining apparatus and an insert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layer 210, respectively. This can be done in such a way that a part of both sides of the inner layer 210 is shaved. The bridge layer 212 is also formed by scraping the inner layer 210. The dimensions and the like of each part for the machining can be inpu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NC machining apparatus, and the machining can be performed by driving the CNC machin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contents to cut the inner layer 210. When the first inner layer 211, the bridge layer 212 and the second inner layer 213 are formed, a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is appli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layer 210, The second inner layer, the second inner layer, and the second inner layer in such a manner that the side projected portions of the layer 212 are inserted and fitted.

다음으로, 내층(210)의 양면에 외층(220)을 위치시킨다. 외층(220)의 제1 시트(221)가 내층(210)이 양면에 접하도록 외층(2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내층(210) 및 외층(220)을 가열 압착함으로써 복합패널(200)을 제조할 수 있다. Next, the outer layer 220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layer 210. [ The outer layer 220 can be positioned such that the first sheet 221 of the outer layer 220 contacts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210. Next, the composite panel 200 can be manufactured by hot-pressing the inner layer 210 and the outer layer 220.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in the invention, and that such modification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복합패널 110: 내층
111: 제1 내층 112: 제2 내층
113: 제1 결합부 115: 제2 결합부
120: 외층 121: 제1 시트
121a: 단섬유 결합체 121b: 시트체
122: 제2 시트 200: 복합패널
210: 내층 211: 제1 내층
212: 브릿지층 213: 제2 내층
220: 외층 221: 제1 시트
221a: 단섬유 결합체 221b: 시트체
100: composite panel 110: inner layer
111: first inner layer 112: second inner layer
113: first coupling portion 115: second coupling portion
120: outer layer 121: first sheet
121a: Short fiber bonded body 121b: Sheet body
122: second sheet 200: composite panel
210: inner layer 211: first inner layer
212: bridging layer 213: second inner layer
220: outer layer 221: first sheet
221a: short fiber bonded body 221b: sheet body

Claims (4)

제1 내층과, 제1 내층의 양측면에 각각 접합되는 제2 내층을 포함하며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을 포함하고,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은, 상부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제1 돌기부와, 제1 돌기부와 일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1 결합부; 및 하부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제2 돌기부와, 제2 돌기부와 타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 내층의 제1 돌기부가 제2 내층의 제2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 내층의 제1 수용부가 제2 내층의 제2 돌기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1 내층의 일측과 제2 내층의 타측이 접합하고, 제1 내층의 제2 돌기부가 제2 내층의 제1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 내층의 제2 수용부가 제2 내층의 제1 돌기부를 수용하는 형태로 제1 내층의 타측과 제2 내층의 일측이 접합하며,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은,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An inner layer formed of a foamed polyethylene foam, a foamed polyurethane foam, a foamed polystyrene foam or a compressed styrofoam, and an outer layer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inner layer, each of which includes a first inner layer and a second inner layer bond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inner layer, Including,
The first inner layer and the second inner layer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part to one side and protruding downwardly and a first coupling part including a first receiving part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part and one side surfac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other and protruding upward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and the other side,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of the first inner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rst inner layer accommodates the second protrud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And the second protrusion of the first inner layer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first inner layer receives the first protrusion of the second inner layer, 2 inner layer are bonded to each other,
Wherein the outer layer comprises a first sheet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layer and a second sheet laminated to the first sheet and formed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The first sheet has a form in which a sheet-shaped short-fiber bonded body, in which webs formed of short fibers are mutually bonded, is integrated with a sheet body formed of a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and the short-fiber bonded body is formed of a web A web formed of a second staple fiber which is a glass fiber and a web formed of a third staple fiber which is carbon fib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taple fiber composite, And the content of the third staple fiber is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이고, 제2 단섬유는 10mm 내지 80mm의 섬유 길이를 갖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b formed of the first staple fibers has a weight of 200 to 500 g / m 2 , a melting point of 254 to 284 ° C, a breaking elongation of 200 to 500%, a dry shrinkage at 160 ° C of 20 to 60% 10 denier, and the second staple fiber has a fiber length of 10 mm to 80 mm.
제1 내층과, 제2 내층과,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을 상호 연결시키는 브릿지층을 포함하며 발포 폴리에틸렌 폼, 발포 폴리우레탄 폼, 발포 폴리스티렌 폼 또는 압축 스티로폼으로 형성되는 내층과, 내층의 양면에 각각 접합되는 외층을 포함하고,
제1 내층의 측부에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 내층의 측부에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되며, 브릿지층은 단면이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단부가 제1 삽입홈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제2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제1 내층 및 제2 내층을 상호 연결시키며,
외층은, 내층의 일면에 접합하는 제1 시트와, 제1 시트에 적층되고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제2 시트를 포함하고,
제1 시트는,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가 상호 결합된 면상의 단섬유 결합체가 열경화성 접착수지로 형성된 시트체와 일체화 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단섬유 결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인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유리섬유인 제2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와, 탄소섬유인 제3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단섬유 결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제2 단섬유의 함량이 제1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고, 제3 단섬유의 함량이 제2 단섬유의 함량보다 작은,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An inner layer comprising a first inner layer, a second inner layer, and a bridge layer interconnecting the first inner layer and the second inner layer and formed of foamed polyethylene foam, foamed polyurethane foam, expanded polystyrene foam or compressed styrofoam, Respectively,
A first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inner layer, a second insertion groov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inner layer, and the bridge layer is formed in a cross shape in cross section so that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to interconnect the first inner layer and the second inner layer,
Wherein the outer layer comprises a first sheet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layer and a second sheet laminated to the first sheet and formed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aluminum,
The first sheet has a form in which a sheet-shaped short-fiber bonded body, in which webs formed of short fibers are mutually bonded, is integrated with a sheet body formed of a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and the short-fiber bonded body is a web formed of a first staple fiber A web formed of a second staple fiber which is a glass fiber and a web formed of a third staple fiber which is carbon fib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taple fiber composite, And the content of the third staple fiber is smaller than the content of the second staple fiber.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단섬유로 형성된 웨브는 중량이 200 - 500 g/m2, 융점이 254 - 284℃, 파단신도가 200 - 500%, 160℃ 에서의 건열수축율이 20 - 60%, 섬유 굵기는 2 - 10 데니어이고, 제2 단섬유는 10mm 내지 80mm의 섬유 길이를 갖는, 적재구조물의 복합패널.
The method of claim 3,
The web formed of the first staple fibers has a weight of 200 to 500 g / m 2 , a melting point of 254 to 284 ° C, a breaking elongation of 200 to 500%, a dry shrinkage at 160 ° C of 20 to 60% 10 denier, and the second staple fiber has a fiber length of 10 mm to 80 mm.
KR1020170140038A 2017-10-26 2017-10-26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KR1018926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8A KR101892645B1 (en) 2017-10-26 2017-10-26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038A KR101892645B1 (en) 2017-10-26 2017-10-26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645B1 true KR101892645B1 (en) 2018-08-28

Family

ID=63454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038A KR101892645B1 (en) 2017-10-26 2017-10-26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6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17A1 (en) * 2019-07-22 2021-01-28 소공주 Loading structure composite panel having improved adhesive force and dur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800B1 (en) 2009-07-09 2009-11-02 (주)폴머 Panel wall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800B1 (en) 2009-07-09 2009-11-02 (주)폴머 Panel wall struc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5317A1 (en) * 2019-07-22 2021-01-28 소공주 Loading structure composite panel having improved adhesive force and dur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4082A (en) Reinforced foam cores and method and apparatus of production
US6824851B1 (en) Panels utilizing a precured reinforced co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518796A (en) Near-surface enhancement of honeycomb sandwich structures to improve durability using a foaming fiber-filled adhesive
KR101892648B1 (en) Composite panel for container loading structure
US5462623A (en) Method of production of reinforced foam cores
CN109153807B (en) Fiber-reinforced reactive foams obtained by the twin-strand or slabstock foaming process
US11613620B2 (en) Fibre reinforcement of reactive foams obtained by a moulding foam method
KR101801560B1 (en) Composit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US985571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anel
US6509078B1 (en) Composite material
US20140295725A1 (en) Composite prof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rofile
MXPA02001171A (en) Method of producing vehicle interior material having sandwich structure.
KR101672722B1 (en) Method for producing sandwich composition article
KR101892645B1 (en)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EP1295713B1 (en) Honeycomb insulating panels
KR101885578B1 (en)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US20200317879A1 (en) Fiber-reinforcement of foam materials
US11938691B2 (en) Thermoplastic prepreg based foam product
JP6137853B2 (en) panel
EP0844929A1 (en) Reinforced foam cores
KR102114835B1 (en) Composite panel for loading structure with improved adhesion and dur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49855B1 (en) 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 for automotive interior
KR100524404B1 (en) Fiber formed stuff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5431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panel for loding structure
CN101791863A (en) Sleeper forming m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