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518B1 - Micro current generator - Google Patents

Micro current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518B1
KR101892518B1 KR1020170113791A KR20170113791A KR101892518B1 KR 101892518 B1 KR101892518 B1 KR 101892518B1 KR 1020170113791 A KR1020170113791 A KR 1020170113791A KR 20170113791 A KR20170113791 A KR 20170113791A KR 101892518 B1 KR101892518 B1 KR 101892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voltage
battery
current
outpu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유곤
Original Assignee
김유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곤 filed Critical 김유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20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for promoting a biological proc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 current generat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micro current generator, which is normally connected to a battery without adding a special operating switch, and provides a circuit for being able to periodically determine whether the micro current generator touches a physical body portion of a user by applying current only in a single direction with voltage lower than boosted voltage used when compared with a case of applying conventional micro curren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it making a signal generator supply power to remaining circuit elements only in the case that the physical body portion is tou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 current generator not directly connects and supplies power, supplied to a voltage boosting unit, to a battery, but performs buffering by using output terminals of a semiconductor chip, thereby reducing leaked current in a standby stat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and blocks a noise, caused by impulsive voltage because of a choke coil constituting a voltage boosting unit,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ignal generator, thereby enhancing circuit durability.

Description

미세전류발생기{MICRO CURRENT GENERATOR}[0001] MICRO CURRENT GENERATOR [0002]

본 발명은 미세전류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별도 스위치를 사용함이 없이 건전지 전원과는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전력 소비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미세전류발생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current gen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cro-current generator capable of maintaining power consumption at a minimum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always connected to a battery power source without using a separate switch.

최근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많은 스트레스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있어,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health has increased, and people who are exposed to a lot of stress are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stress relief and health maintenance.

이러한 추세에 따라, 치료나 마사지용으로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미세전류라는 것은 인체에 손상이나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흘릴 수 있는 마이크로 크기의 전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실험에 의하면 신체에 실제 흐르는 전류량을 기준으로 100㎂ 이하 전류를 의미한다.With this trend, the use of microcurrents for therapy and massaging is increasing. The term micro current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micro-sized current that can be flowed without damaging or impacting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 experiment, it refers to a current of 100 μA or less based o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o the body.

미세전류를 인체의 특정부위(발이나 손목 등)에 공급하면, ATP 효소가 활성화되고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마사지나 치료효과가 있다는 것이 알려져있다. 이러한 미세전류의 유용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미세전류발생기를 신발, 양말, 버선, 복대, 거들 및 아대 등를 부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미세전류발생기는 일반적으로 신체에 착용하는 물품(양말, 버선 등)에 부착되어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은 부피를 가져야 하며, 적은 용량의 건전지로 동작되므로 소비 전력을 적게 유지하여야 한다.It is known that when micro current is su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foot or wrist), ATP enzyme is activated and blood circulation becomes smooth, and massage or therapeutic effect is obtained. In order to utilize the usefulness of such micro current,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use a micro current generator with shoes, socks, socks, a bag, a girdle and a child. Since the micro current generator generally has to be attached to articles (socks, socks, etc.) to be worn on the body, it must have a small volume, and it is operated with a small capacity battery, so the power consumption should be kept low.

도 1 및 도 2는 특허문헌 1에 제시된 종래 미세전류발생기의 회로도이다. 먼저 도 1에 제시된 회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특허문헌 1의 도 8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1에 제시된 회로는 건전지에 의해 구동되며, 건전지 전원 소모를 줄이기 위해 사용시에만 건전지 전원을 사용하도록 별도의 전원 스위치(S/W1)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건전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LED(D1)를 채용하고 있는데 LED(D1)에 의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필요시에만 사용자에 의해 LED(D1)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 스위치(S/W2)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물리적 스위치(S/W1, S/W2)는 부피를 많이 차지하고, 또한 부피를 줄이기 위해 작은 크기의 스위치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스위치가 너무 작아지면 사용자가 온/오프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부피의 최소화하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스위치를 부착하면 미세전류발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온 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프시켜야 하므로 불편하고,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스위치를 오프 시키는 것을 잊어버릴 때가 있다. 사용하지 않을 때도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잊어버리고 켠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에 제시된 회로에서는 사용자 신체에 인가되는 미세전류량을 사용하기 위해서 저항 R1과 저항 R2을 이용하여 분배전압을 구하고 이를 피드백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저항 R1과 저항 R2에 의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IG. 1 and FIG. 2 are circuit diagrams of a conventional micro current generator shown in Patent Document 1. FIG. First, the circuit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For reference, FIG. 1 corresponds to FIG. 8 of Patent Document 1. The circuit shown in FIG. 1 is driven by a battery, and a separate power switch (S / W1) is used to use the battery power only when it is used to reduce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order to check the state of the battery, an LED (D1) is employed.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the LED (D1), a separate operation switch (S / W2) is used. However, these physical switches (S / W1, S / W2) occupy a large volume and use a small-sized switch to reduce the volume. If the switch is too small,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turn on / off, There is also a limit. In addition, when the switch is attached, it is inconvenient that the user turns on only when the micro current generator is used and turns off when not used, and sometimes forgetting to turn off the switch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micro current generator. Even when not in use, there is a problem that turning off the switch is forgotten, an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use time is reduced. In the circuit shown in FIG. 1, a distribution voltage is obtained by using a resistor R1 and a resistor R2 in order to use a minut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a user's body, and is fed back to use a power supply by the resistor R1 and the resistor R2 .

다음으로 도 2에 제시된 회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제시된 미세전류발생 회로는 스위치 소자를 사용할 경우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 등을 없애기 위해 스위치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건전지를 상시 연결하여 사용하는 회로이다. 참고적으로 도 2는 특허문헌 1의 도 10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사용자 신체부위가 접촉되었을 경우에만 건전지 전원을 공급하고,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건전지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1에 제시된 회로보다 도 2에 제시된 회로는 항상 건전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전력 소모를 훨씬 더 적게 소모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Next, the circuit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The micro current generation circuit shown in FIG. 2 is a circuit that uses a battery at all times without using a switch element to eliminate the problem of increasing the volume when a switch element is used. For reference, FIG. 2 corresponds to FIG. 10 of Patent Document 1. The battery is supplied only when the user's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and the battery power is not used when not in contact. Therefore, the circuit shown in FIG. 2 is designed to be connected to the battery more than the circuit shown in FIG. 1, so that it is designed to consume much less power.

도 2에 제시된 미세발생기는 컨트롤부(310a), 승압부(320b) 및 미세전류 출력부(330a)로 구성된다. 승압부(320b)는 건전지의 + 극성과 초크코일(L1)의 입력단과 상시 연결되고, 건전지의 - 극성은 접지라인과 연결되므로 제1캐패시터(C1)와 제2캐패시터(C2) 및 스위치소자(Q7)의 에미터 단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에 제시된 종래 회로는 별도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신체부위가 두 개의 전극(P1, P2)에 접촉되었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신체부위에 두 개 전극(P1, P2)이 접촉되었을 경우에만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최소가 되도록 유지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도 2에 제시된 종래 회로는 승압부(320a)가 상시 건전지와 연결되므로, 미세전류를 공급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도 건전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초크코일(L1), 다이오드(D1) 및 미세전류 출력부(330a)로 형성되는 폐회로를 형성하므로 누설전류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미세전류발생기의 사용시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The fine generator shown in FIG. 2 includes a control unit 310a, a boost unit 320b, and a fine current output unit 330a. Since the positive polarity of the battery 320b is alway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hoke coil L1 and the positive polarity of th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the first capacitor C1, the second capacitor C2, Q7, respectively. The conventional circuit shown in FIG. 2 does not use a separate switch, so it periodically checks whether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two electrodes P1 and P2, and only when the two electrodes P1 and P2 are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The current should be generated, and if not, the standby state should be maintained such that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ircuit shown in FIG. 2, since the boosting unit 320a is always connected to the dry battery, even if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is not supplied to the choke coil L1, the diode D1, The leakage current is continuously generated due to the formation of the closed circuit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330a. As a result, the use time of the micro-current generator is reduced.

도 2에 제시된 종래 회로는 신체부위가 두 개의 전극(P1, P2)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U2)는 주기적으로 승압부(320a)를 승압시킨 후, 미세전류 출력부(330a)를 통해 P1전극, 신체부위, P2전극 방향(제1방향)과 P2전극, 신체부위, P1전극 방향(제2방향)으로 전류를 흘려주고, 이러한 전류 흐름에 의해 저항 R8, R9로 분배되는 전압을 피드백 받은 후, 신체와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신체 감지 방식은 너무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The conventional circuit shown in Fig. 2 periodically checks whether or not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two electrodes P1, P2.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U2 periodically boosts the voltage-up unit 320a, and then, through the minute current output unit 330a, the P1 electrode, the body part, the P2 electrode direction (first direction) The body part, and the P1 electrode direction (second direction). After receiving the voltage distributed to the resistors R8 and R9 by the current flow, the method proceed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ody. However, such a body detection method has a problem of consuming too much power.

또한, 도 2에 제시된 종래 회로는 건전지가 상시 연결되므로 건전지 상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의 + 단자(Vcc 단자와 동일함)와 제어부(U2)의 일 단자(11번 핀)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동작 다이오드(D2)를 배치하였다. 이러한 회로 배치에서는 동작 다이오드(D2)를 오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제어부(U2)의 11번 핀을 높은 전압(High)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battery shown in FIG. 2 is connected at all times, it is required to provide a function for the user to visually check the state of the battery.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2, an operation diode D2 conn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is disposed between a + terminal (same as the Vcc terminal) of the battery and a terminal (the 11th pin) of the control unit U2. In this circuit arrangement, since the pin 11 of the control unit U2 must be maintained at a high voltage (High) state in order to keep the operation diode D2 in the off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unnecessary power is consumed.

또한, 도 1 및 도 2에 제시된 종래 회로는 신체부위에 공급되는 미세전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로 인한 전압강하를 체크하기 위해 도 1에서는 저항 R1 및 저항 R2를 사용하고, 도 2에서는 저항 R8 및 저항 R9을 사용하는데 두 개의 저항에 의한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The conventional circuit shown in FIGS. 1 and 2 uses a resistor R1 and a resistor R2 in FIG. 1 to check a voltage drop due to a current flowing in a body part in order to keep a minut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a body part constant, In FIG. 2, the resistor R8 and the resistor R9 have a problem that power consumption is caused by two resistors.

마지막으로 도 1 및 도 2에 제시된 종래 회로는 초크 코일을 사용한 DC-DC 변환기(converter)를 사용하는데 초크 코일로 인해서 순간적으로 건전지 전압의 몇 배로 상승하는 전압(임펄스 전압) 형태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불안정한 전압이 제어부(도 1의 control chip, 도 2의 U2)에 주기적으로 충격을 주므로 회로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Lastly, in the conventional circuit shown in FIGS. 1 and 2, a DC-DC converter using a choke coil is used. However, a voltage (impulse voltage) type in which the choke coil instantaneously rises several times as much as the battery voltage appears. The control chip (U2 in Fig. 2) periodically impacts the control unit (Fig. 1),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durability of the circuit.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94208호 (2010.11.08. 등록)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0994208 (registered on November 11, 2010)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95614호 (2010.11.15. 등록)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0995614 (registered on November 15, 2010) 특허문헌 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5789호 (2013.02.15. 등록)Patent Document 3: Korean Patent No. 10-1235789 (Registered on February 23, 2013) 특허문헌 4: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5783호 (2013.02.15. 등록)Patent Document 4: Korean Patent No. 10-1235783 (Registered on February 23, 2013) 특허문헌 5: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5786호 (2013.02.15. 등록)Patent Document 5: Korean Patent No. 10-1235786 (registered on February 23, 2013) 특허문헌 6: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5788호 (2013.02.15. 등록)Patent Document 6: Korean Patent No. 10-1235788 (Registered on February 23, 2013) 특허문헌 7: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35790호 (2013.02.15. 등록)Patent Document 7: Korean Patent No. 10-1235790 (Registered on February 23, 201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기 상태에서 누설 전류를 최소화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대기 상태에서 신체부위와 접촉되는지 여부를 최소 전력으로 체크할 수 있으며, 보다 적은 전력으로 신체부위에 흐르는 미세전류량을 체크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높은 미세전류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minimizing a leakage current in a standby state and to check whether the body is in contact with a body part in a standby state with a minimum pow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ute current generator having a high dur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전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하는 별도 스위치를 부가하지 않은 상시 연결 상태를 유지하며 미세전류를 공급받는 제품과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적은 부피를 갖는 미세전류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e current generator having a small volume which can be conveniently combined with a product which is maintained in a normally connected state without adding a separate switch for turning on /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접속되어 제1방향 또는 그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신체부위에 100㎂이하의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에 있어서, 건전지의 제1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상기 건전지의 제2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1전압을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4전압을 출력하는 제2출력핀과, 내부 연산에 따른 주기에 따라 PWM신호를 출력하는 제3출력핀과, 제1타이밍에 따라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출력핀과, 제2타이밍에 따라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출력핀과, 신체부위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감지전압을 인가받는 제1입력핀을 포함하는 반도체칩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와, 입력단은 반도체칩에 구비되는 제1출력핀과 연결되며 출력단에는 충전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제1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압을 제3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충전 캐패시터를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 또는 제3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와, 충전 캐패시터로부터 공급되는 제2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하며,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각각 접속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과, 제1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제1전극, 신체부위 및 제2전극으로 흐르는 상기 제1방향으로 공급하고, 제2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제2전극, 신체부위 및 제1전극으로 흐르는 제2방향으로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부와, 제1전극, 신체부위 및 제2전극를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한 감지전압을 감지하여 제1입력핀으로 피드백하는 감지신호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cro current supply device connected to two separated body parts to supply micro currents of less than 100 mu A to the body part in a first direction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first power pin having a buffer therein and outputting a first voltage to the outside, and a second output pin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in, A third output pin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in accordance with a first timing and a second output pin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in response to a first timing; And a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a semiconductor chip including an output pin, a fifth output pin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at a second timing, and a first input pin receiving a sensing voltage by a current supplied to a body part A signal generator for inputting Wherein the first output pin is connected to a first output pin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output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harge capacitor and the first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output pin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PWM signal applied from the third output pin, A boosting unit that boosts the first voltage to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higher than the first voltage and a second electrode that is a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tha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body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troller for supplying the charge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in the first direction flowing to the first electrode,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supplying the charge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A micro-current supplying unit for supplying the micro-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the body region, and the first electrode in a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electrode for sensing the sensed voltage by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a detection signal measuring unit for feeding back the input signal to the input pi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미세전류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신체부위에 100㎂이하의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승압부를 제3전압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제1방향 및 제2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서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제1단계의 감지 결과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승압부를 제2전압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전류를 공급하는 제2단계와, 감지신호측정부를 통해 피드백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제2전압을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제3단계에서 피드백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제1전극 및 2전극에 신체부위가 접촉되지 않았다고 판별될 때까지 제2단계 및 제3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제3전압은 상기 제2전압의 평균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2전압 평균은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시간동안 가해지는 제2전압의 평균 전압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공급방법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upplying a minute current of 100 μA or less to a body part using the micro current supply device, A first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body part is contacted while supplying an electric current in any one direction selected from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A second step of alternately supplying a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hile the voltage is raised by a voltage, and a second step of controlling the second voltage by using a voltage fed back through the sense signal measuring unit The second and third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body part is judged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y using the voltage fed back in the third step. Wherein the third voltage is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second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average is an average voltage of the second voltage applied during the time of supplying the microcurrent. ≪ / RTI >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는 승압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건전지와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공급하지 않고, 반도체칩의 출력단자를 이용하여 버퍼링을 시키는 구조를 가지므로 대기 상태에서 누설 전류를 줄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승압부를 구성하는 초크코일에 의한 임펄스성 전압으로 인한 노이즈가 신호생성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회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The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supplied to the boosting unit is buffered using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miconductor chip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he battery to the battery, thereby reducing the leakage current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noise caused by the impulse voltage caused by the choke coil constituting the voltage step-up portion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ignal generating portion, whereby the circuit durabi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미세전류발생기에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함에 있어서, 승압부를 최대 전압으로 승압시키고, 제1전극, 신체부위 및 제2전극 순으로 흐르는 방향(제1방향) 또는 제2전극, 신체부위 및 제1전극 순으로 흐르는 방향(제2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전류를 공급하면서 체크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periodically checking whether a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a micro-current generator in a standby state, the step-up part is stepped up to a maximum voltage, and the first electrode, the body part, Or the second electrode, the body part, and the first electrode (second direction),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또한,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분배 저항을 형성할 때 신체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등가 저항을 분배 저항의 일부로 사용함으로써 저항을 하나 줄임으로써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를 보다 낮은 전력을 소모하면서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when forming a distribution resistor to measu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ody part, an equivalent resistance formed by the body part is used as a part of the distribution resistor, thereby reducing the resistance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ody part is consumed at a lower pow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는 건전지와 상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건전지가 정상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동작 표시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작 표시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신호생성부를 구성하는 반도체칩으로 구성되는 제어부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동작 LED를 순방향으로 연결하여 동작 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is always connected to a battery, it provides an operation display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battery normally supplies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orming the operation display unit,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by forming the operation display unit by connecting the operation LEDs in the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trol unit constituted by the semiconductor chip constituting the signal generation unit and the ground.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으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해당 내부공간에 버튼셀 형상의 건전지와 인쇄회로기판을 건전지 클립으로 연결하고, 상부 하우징에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스냅버튼을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하고,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형성하고, 제1전극과 제2전극을 두 개의 스냅버튼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적은 부피를 가지면서 신체에 착용하는 물품(양말, 버선 등)과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nally, the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 button cell-shaped battery and a printed circuit boar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battery clips, The snap button is partially expose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wo snap buttons, respectively, (Socks, socks, etc.) to be worn on the body.

특허문헌 1의 도 10(본 출원서 도 2)에 제시된 회로로 구현된 종래 미세전류발생기의 경우 사용자 신체부위에 전극이 접촉되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 누설 전류로 인해 소비되는 전류는 1,000㎂가 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전류발생기의 경우 대기 상태에서 누설전류로 인해 소비되는 전류는 20㎂ 이하(최소 실측정치는 11㎂)인 특성을 나타낸다. 통상의 건전지의 경우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 중에 방치할 경우 자연적으로 소비되는 전류는 10㎂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미세전류발생기는 자연적으로 소비되는 전류와 비교하더라도 크게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icro-current generator implemented with the circuit shown in FIG. 10 of the Patent Document 1 (the present application FIG. 2), the current consumed due to the leakage current in the standby state where the electrode is not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s measured to be more than 1,000 μA .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micro-current generato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consumed due to the leakage current in the standby state is less than 20 μA (11 μA minimum actual limit).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attery, a current naturally consumed when left in air without being used is known to be about 10 을, and the micro-current generato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 naturally consumed current Able to know.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를 하루 8시간씩 신체부위와 접촉하여 사용하고, 신체부위와 접촉시 공급되는 미세전류량이 60㎂~80㎂ 범위이고, 건전지로는 모델명 'CR2450'(3V, 600mAH)을 사용하면, 대략 365일 동안 건전지 교체 없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The micro 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for 8 hours per day, the amount of minute current supplied when the body part is contacted is in the range of 60 μA to 80 μA, the model name is 'CR 2450' (3V, 600 mAH) It was found that the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replacing the battery for about 365 days.

도 1 및 도 2는 특허문헌 1에 제시된 종래 미세전류발생기의 회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미세전류발생기의 회로구성부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미세전류발생기를 구성하는 미세전류구동회로부에 대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신호생성부의 구체적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승압부의 구체적인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미세전류공급부 및 감지신호측정부의 구체적인 실시 회로도.
도 9는 도 8의 미세전류공급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동작표시부의 구체적인 실시 회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의 신체접촉 여부를 검사하는 타이밍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전체 동작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
FIG. 1 and FIG. 2 are circuit diagrams of a conventional micro current generator shown in Patent Document 1. FIG.
FIG.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icro 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above. FIG.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current genera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a downward direction. FIG.
3C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 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circuit constituent part of a micro current generator is mounted.
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unit constituting a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 signal generating unit constituting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 boosting section constituting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 microcurrent supply unit and a sense signal measuring unit that constitute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current supply unit of Fig. 8; Fig.
10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n operation display unit constituting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timing chart for checking whether or not the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dy.
1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flow of a micro 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 상에 또는 ~ 상부에" 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또는 상부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above or above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objec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gravitational direction.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such as a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above or above another portion ", this applies not only to the presence or spacing of another portion &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상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하부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미세전류발생기의 회로구성부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current generato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upper direction,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icro-current generator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a circuit component of the micro-current generator is mounted. FIG.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100)는 상부 하우징(10), 미세전류구동회로부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0), 버튼셀(button cell) 형태의 건전지(30), 건전지(30)와 인쇄회로기판(20)을 결합시키는 건전지 클립(31) 및 하부 하우징(40)으로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40)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이며, 상부 하우징(10)은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양자가 결합하여 내부 수용공간(43)이 형성된다. 건전지 클립(31)에 의해 결합된 인쇄회로기판(20)과 건전지(30) 결합체는 내부 수용공간(43)에 수용된다. 버튼셀 형태의 건전지 외에도 부피가 작고 얇은 두께를 갖는 박막형 2차전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박막형 2차전지는 원형 외에도 사각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micro-current generato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housing 10, a printed circuit board 20 on which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is mounted, a battery 30 in the form of a button cell, a battery 30 And a lower housing 40 for coupl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to each other. The lower housing 4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ed upper surface, and the upper housing 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wer surface opened. The combinatio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the battery 30, which are joined by the battery clip 31,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43.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thin film secondary battery having a small volume and a small thickness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button cell type battery. The thin-film secondary battery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상부 하우징(10)에는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1)와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3)가 상부 하우징(10)의 상부 및 하부로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스냅단추는 일명 똑딱이 단추라 부르는 것으로 캡(cap)과 아이렛(eyelet)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의상의 한쪽 면에 캡 부분을 설치하고, 상대면에 아이렛 부분을 설치하여 단추로 이용하는 부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10)는 도선이 형성된 양말 등의 물품과 결합하여 신체부위에 미세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양말 등의 물품과 빈번하게 결합 및 분리가 필요하므로 간단한 편리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냅단추의 캡 부분이나 아이렛 부분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양말 등의 물품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고, 미세전류발생기(10)에는 두 개의 스냅단추의 나머지 대향 부분을 설치하였다. 물품에 설치되는 제1스냅단추 및 제2스냅단추는 반드시 동일한 구성부로 설치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물품에는 제1스탭단추의 캡 부분과 제2스냅단추의 아이렛 부분을 설치하고, 미세전류발생기(10)에는 제1스탭단추의 아이렛 부분과 제2스냅단추의 캡 부분을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1)와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3)는 모두 동일한 부분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면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1)는 캡 부분을 지칭하고,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3)는 아이렛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는 물품에 여러 종류의 스냅단추를 적용하여 보았다. 예를 들어, 전도성 실로 이루어지는 두 개의 이격된 전극이 형성된 양말 등의 물품에 스냅단추를 장착시키고, 미세전류발생기에는 반대 형상의 끼움부를 갖는 스냅단추를 설치하고, 양자를 서로 맞끼워서 미세전류가 정상적으로 인가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여 보았다. 그런데 일부 종류의 스냅단추는 양말 등의 물품에 형성되는 전극과 밀착시킬 수 없어 접속 저항이 높아지는 문제가 나타났고, 작은 전극 부위에 스냅단추를 박음질로 매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웠다. 이에 본원 발명자는 스냅단추 중에서 바늘질로 봉제하는 타입이 아닌 압착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가시도트타입이 가장 적합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가시도트타입 스냅단추를 사용할 경우 낮은 저항을 유지하면서 스냅단추와 도전 부위를 접속시킬 수 있고, 무엇보다 짧은 시간 내 물품에 스냅단추를 장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The upper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first component 11 of the first snap button and a first component 13 of the second snap button partially expos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pper housing 10. The snap button is a so-called ticking button, consisting of two parts: a cap and an eyelet. The cap has a cap on one side of the garment and an eyelet on the other side. The micro-current gen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supplying a micro current to a body part in combination with an article such as a sock formed with a wi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rm a simple and convenient structure because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connect and separate with articles such as socks.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cap portion and the eyelet portion of the snap button is selec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uch as socks, and the minute current generator 10 is provided with the remaining opposite portions of the two snap buttons. The first snap button and the second snap button provided on the article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provided with the same component. For example, the article may be provided with a cap portion of a first step button and an eyelet portion of a second snap button, and the micro current generator 10 may be provided with an eyelet portion of a first step button and a cap portion of a second snap button Of course it is. The first component 11 of the first snap button and the first component 13 of the second snap button do not all refer to the same part, And the first component 13 of the second snap button can also be interpreted to refer to the eyelet portion. The present inventors have applied various kinds of snap buttons to an article. For example, a snap button may be mounted on an article, such as a sock, having two spaced-apart electrodes of conductive thread formed thereon, a snap button with an opposing-shaped fitting in the micro-current generator, I tested whether I was authorized or not. However, some kinds of snap buttons can 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lectrodes formed on articles such as hosiery, so that the connection resistance is increased.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stuck snap buttons on small electrode parts.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a snap dot type that can be coupled with a snap-fit type rather than a needle-type sewn button is most suitable. The use of a visible dot type snap button allows connection of the snap button and the conductive part while maintaining a low resistance, and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snap button to the article in a short time.

본 발명에서는 상부 하우징(10)을 사출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데 스냅단추의 일부 측면 테두리가 사출 플라스틱 내에 끼워지도록 사출(인서트 사출이라 알고 있음)하였다. 상부 하우징(10)의 하면에는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1)와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3)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20) 상면에는 상부 하우징(10)의 하면에 노출된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1) 하면과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3) 하면과 각각 접촉하기 위한 P1 전극(P1)과, P2 전극(P2)이 형성된다. P1 전극(P1)과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1)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체부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1전극으로 사용되며, P2 전극(P2)과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1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체부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2전극으로 사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using 10 is formed of injection plastic so that some side edges of the snap button are injection (known as insert injection) to fit within the injection plastic.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 is formed such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mponent part 11 of the first snap butt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mponent part 13 of the second snap button are exposed.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is provided with a first component portion 11 of the first snap button exposed on the undersurface of the upper housing 10 and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mponent portion 13 of the second snap button A P1 electrode P1 and a P2 electrode P2 are formed. The P1 electrode P1 and the first component 11 of the first snap butt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serve as a first electrode for supplying a current to the body part and the P2 electrode P2 and the first The constituent section 13 is used as a secon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supply a current to the body part.

건전지(30)는 버튼셀(button cell) 형태의 건전지를 사용하였다. 버튼셀 형태의 건전지는 - 단자(제2극성)가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접촉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쇄회로기판(20)과 하면에 제2접속전극(c2)을 형성하고 건전지의 - 단자(제2극성)과 접촉되도록 구성하였다. 인쇄회로기판(20) 상면에는 제1스냅단추(snap fastner)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1전극 및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2전극을 형성하였다. 스냅단추는 니켈 성분을 가지므로 전기 이동로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었다.The battery 30 uses a battery in the form of a button cell.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force, the battery of the button cell type is formed so that the terminal (second polarity) slightly protrudes outwardly.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c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nd the negative terminal The second polarit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nap fastener first constituent portion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stituent portion of the second snap button were formed. The Snap button has a nickel content, so there is no problem in using it as an electric path.

건전지 클립(31)을 사용하여 건전지(30)의 - 단자가 인쇄회로기판(20) 하면에 구비되는 제2접속전극(c2)과 밀착 접속되도록 건전지(30)와 인쇄회로기판(20)을 결합하여 수용공간(43)에 수용되도록 구성하였다. 건전지 클립(31)은 건전지의 + 단자(제1극성)와 연결되는 전기적 도선 기능을 제공하며, 인쇄회로기판(20) 상면에 형성되는 제1접속전극(c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battery 3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battery 30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c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by using the battery clip 31 So as to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43. The battery clip 31 provides an electrical lead function to be connected to the + terminal (first polarity) of the batter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electrode c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회로소자들은 제1접촉전극(c1), 제2접촉전극(c2), P1 전극(P1) 및 P2 전극(P2)이 형성되고 남는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의 여분의 공간에 실장하였다. 이론적으로는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회로소자들을 제1접촉전극(c1), 제2접촉전극(c2), P1 전극(P1) 및 P2 전극(P2)이 형성되고 남는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 및 하면의 여분의 공간에 나누어서 실장할 수 있으나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에 회로소자를 실장한 후,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에 회로소자를 실장(마운트)할 때 인쇄회로기판(20)의 하면에 실장된 회로소자가 떨어지는 불량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실제 구현된 제품에서는 인쇄회로기판(20)의 상면에만 회로소자를 실장하도록 구현하였다.The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the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on which the first contact electrode c1,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c2, the P1 electrode P1 and the P2 electrode P2 are formed, And mounted in an extra space. Theoretically, the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the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ar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on which the first contact electrode c1, the second contact electrode c2, the P1 electrode P1 and the P2 electrode P2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mount the circuit element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while mounting the circuit elem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Thereafter, The circuit element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20 fell off. Therefore, in actual products, the circuit elements are mounted on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는 P1 전극(P1)과 P2 전극(P2)만을 형성하고, 건전지 및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회로소자들은 인쇄회로기판의 타면에 실장하도록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3A to 3C and FIG. 4, only the P1 electrode P1 and the P2 electrode P2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elements constituting the dry battery and the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ar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invention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미세전류발생기를 구성하는 미세전류구동회로부에 대한 회로도이다. 미세전류구동회로부는 신호생성부(21), 승압부(23), 미세전류공급부(25), 감지신호측정부(27) 및 동작표시부(29)로 구성되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반도체칩 또는 저항, 캐패시터 등과 같은 회로소자로 실장된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unit constituting a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current driving circuit part is composed of a signal generating part 21, a boosting part 23, a fine current supplying part 25, a sensing signal measuring part 27 and an operation display part 29, A semiconductor chip, or a circuit element such as a resistor, a capacitor, or the like.

신호생성부(21)는 내부에 타이머를 구비하는 제어부이며, 하나의 반도체칩으로 구현하였다. 신호생성부(21)는 미세전류를 생성하거나 두 개의 전극(P1, P2)이 신체부위에 접촉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필요한 승압관련 제어신호와 구동전압(제1전압)을 승압부(23)에 공급하고, 제1타이밍에 따른 제1제어신호 및 제2타이밍에 따른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미세전류공급부(25) 및 감지신호측정부(27)에 공급하며, 주기적으로 동작표시부(29)에 구동전원(제4전압)을 공급하고, 감지신호측정부(27)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전압을 이용하여 신체접촉 여부와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회로소자이다. 어떤 회로소자를 이용하여 승압부(23)와 동작표시부(29)를 구현하느냐에 따라 승압부(23)에 공급되는 제1전압과 동작표시부(29)에 공급되는 제4전압은 동일한 전압 레벨일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일 수도 있다.The signal generation unit 21 is a control unit having a timer therein and implemented as one semiconductor chip.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generates a micro current and outputs a voltage-related control signal and a driving voltage (first voltage) require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wo electrodes P1 and P2 are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timing and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timing and supplies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fine current supplying unit 25 and the sensing signal measuring unit 27, (Fourth voltage), and measures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body part by using the sensing voltage inputted from the sensing signal measuring part 27. The sensing voltage The first voltage supplied to the voltage up unit 23 and the fourth voltage supplied to the operation display unit 29 may be the same voltage level depending on which circuit element is used to implement the voltage up unit 23 and the operation display unit 29 Or may be at different voltage levels.

구체적으로 신호생성부(21)에는 건전지의 제1극성(+ 전원)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건전지의 제2극성(- 전원)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1전압을 출력하여 승압부(23)에 공급하는 제1출력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4전압을 출력하여 동작표시부(29)에 공급하는 제2출력핀과, 내부 연산에 따른 주기에 따라 PWM신호를 생성하여 승압부(23)로 공급하는 제3출력핀과, 제1타이밍에 따른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미세전류공급부(25)와 감지신호측정부(27)에 공급하는 제4출력핀과, 제2타이밍에 따른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미세전류공급부(25)와 감지신호측정부(27)에 공급하는 제5출력핀과, 감지신호측정부(27)로부터 신체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분배전압에서 감지되는 전압을 입력받는 제1입력핀이 구비된다. 도 5에서 점선 및 일점 쇄선은 공급전원이 인가되는 라인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signal generator 21 is provided with a + power supply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 power supply) of the battery, a power supply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olarity (- power supply) A first output pin which has a buffer in the output buffer 23 and outputs a first voltage to the outside and supplies the first voltage to the boosting unit 23, A third output pin for generating a PWM signal according to a cycle according to an internal operation and supplying the generated PWM signal to the boosting unit 23 and a second control signal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timing, A fifth output pin for outputting a fourth control signal to the measurement unit 27 and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econd timing and supplying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micro current supply unit 25 and the detection signal measurement unit 27, A first input for receiving a voltage sensed at a distribution voltage through a current flowing from the signal measuring unit 27 to the body; It is provided. In Fig. 5, the dotted line and the dashed dotted line indicate the line to which the power supply is applied.

승압부(23)는 입력단이 제1출력핀과 연결되어 제1전압을 인가받고 출력단에는 충전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제1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압을 제3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충전 캐패시터를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미세 전류를 공급할 시) 또는 제3전압(신체접촉 여부를 판별할 시)으로 승압하는 회로소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승압부(23)를 초크코일을 사용한 DC-DC 변환기로 구현하였으나 차지 펌프 등의 여러 가지 다양한 회로 등으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oosting unit 23 has an inpu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in to receive a first voltage, and an output terminal to have a charge capacitor. The first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output pin is connected to the PWM signal applied from the third output pin To boost the charge capacitor to a second voltage (when supplying a minute current) higher than the first voltage or a third voltage (when determining whether to contact the body). Although the voltage step-up unit 23 is implemented by a DC-DC converter using a choke coil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realized by various circuits such as a charge pump.

미세전류공급부(25)는 승압부(23)로부터 공급되는 제2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하며,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각각 접속되는 P1 전극 및 P2 전극과, 제1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P1 전극, 신체부위 및 제2전극으로 흐르는 제1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제2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제2전극, 신체부위 및 제1전극으로 흐르는 제2방향으로 공급하는 회로소자이다.The fine current supply unit 25 has a P1 electrode and a P2 electrode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body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second voltage supplied from the voltage-up unit 23 as an operation power source, A body part and a second electrode flowing in a first direction flowing to the P1 electrode,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or the charge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in accordance with a second control signal is supplied to the second electrode, Direction.

대기 상태에서 접촉판별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미세전류공급부(25)는 승압부(23)로부터 공급되는 제3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하며,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각각 접촉되는 P1 전극 및 P2 전극과, 제1제어신호에 따라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P1 전극, 신체부위 및 제2전극으로 흐르는 제1방향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contact is discriminated in the standby state, the fine current supplying part 25 uses the third voltage supplied from the step-up part 23 as the operating power source, and the P1 electrode and the P2 electrode which respectively contact the two separated body parts, And supplies the charge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to the P1 electrode, the body part, and the first electrode in the first dir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I will explain this again.

감지신호측정부(27)는 신호생성부(21)로부터 입력되는 제1제어신호 및 제2신호를 제어신호로 하여 P1 전극, 신체부위 및 P2 전극를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한 전압강하를 감지하여 신호생성부(21)의 제1입력핀으로 피드백하는 회로소자이다.The sensing signal measuring unit 27 senses a voltage drop due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1 electrode, the body part, and the P2 electrode by using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as a control signal, And feeds back to the first input pin of the generation unit 21. [

동작 표시부(29)는 신호생성부(21)의 제2출력핀과 접지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신호생성부(21)로부터 주기적으로 공급되는 제4전압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시켜 건전지의 정상 동작 유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소자이다.The operation display unit 29 is composed of a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output pin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and the ground,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battery normally operate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신호생성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신호생성부는 하나의 반도체칩(예로서, 모델명 'HT46R01N' CONTROLLER)으로 구성하였으며, 건전지의 +전원 및 -전원과 각각 연결되는 + 전원핀 및 - 전원핀과, 제1출력핀 내지 제5출력핀과, 하나의 제1입력핀을 구비한다.6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 signal generator constituting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generator is composed of one semiconductor chip (for example, model name 'HT46R01N' CONTROLLER) and includes a + power source and a - power source pin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 power source and the - power source of the dry battery and the first to fifth output pins And a first input pi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승압부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승압부는 쵸크코일(L1), 제2스위치소자(Q2), 쇼트키 다이오드(D1) 및 충전캐패시터(C2)로 구성된다. 승입부는 신호생성부의 제3출력핀과 연결되며 PWM 신호에 의해 제2스위치소자(Q2)가 온/오프 동작을 반복하면서 쵸크코일(L1)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제1전압을 이보다 높은 레벨의 제2전압(Vout) 또는 제3전압(접촉여부 판별시)으로 충전캐패시터(C2)를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7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a step-up unit constituting a micro-current drive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sting section is constituted by a choke coil L1, a second switch element Q2, a Schottky diode D1 and a charge capacitor C2. The charging unit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pin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first voltage input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hoke coil L1 while the second switching device Q2 repeats on / And charges the charging capacitor C2 with the second voltage Vout or the third voltage (when the contact is determin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를 구성하는 미세전류공급부(25) 및 감지신호측정부(27)의 구체적인 회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미세전류공급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8 is a specific circuit diagram of the fine current supply unit 25 and the sense signal measuring unit 27 constituting the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icrocurrent supply unit of FIG. .

도 8에 제시된 회로는 다수 개 저항과 제3트랜지스터(Q3), 제4트랜지스터(Q4), 제5트랜지스터(Q5), 제6트랜지스터(Q6), 제7스위치소자(Q7) 및 제8스위치소자(Q8)로 이루어지는 하프 브리지 회로로 구현하였다.The circuit shown in FIG. 8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a third transistor Q3, a fourth transistor Q4, a fifth transistor Q5, a sixth transistor Q6, a seventh switch element Q7, (Q8). ≪ / RTI >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미세전류공급부(25)와 감지신호측정부(27)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시간에 따른 제1제어신호의 전압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9(b)는 시간에 따른 제2제어신호의 전압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9(c)는 P1 전극에서 P2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 상태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신호생성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는 도 9(a) 및 도 9(b)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주기(T1)에 따라 HIGH 신호가 인가되며, 제1제어신호가 LOW 상태로 전환된 후 Δt 만큼의 간격을 두고 제2제어신호가 HIGH 상태로 전환되는 형태를 갖는다. 주기 T는 신호생성부에 따라 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operation of the fine current supplying unit 25 and the sense signal measuring unit 2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FIG. 9 (a) shows the voltage waveform of the first control signal with respect to time, FIG. 9 (b) shows the voltage waveform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with time, To the P2 electrode.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signal generator are applied with a HIGH signal according to a certain period T1 as shown in Figs. 9 (a) and 9 (b)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switched to the HIGH state with an interval of? T after switching to the LOW stat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eriod T can be controlled to vary according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먼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신호가 LOW 인 상태에서 제1제어신호가 HIGH 상태로 전환하면, 제5트랜지스터(Q5), 제3트랜지스터(Q3) 및 제8스위치소자(Q8)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승압부에서 공급되는 제2전압(Vout), 제3트랜지스터(Q3), P1 전극(P1), 신체부위, P2 전극(P2), 제8스위치소자(Q8) 및 제9저항(R9) 방향의 전류 흐름이 형성되면서 신체부위에 미세전류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류 흐름 방향을 설명의 편의상 제1방향으로 칭하기로 한다. 이때, 제6트랜지스터(Q6), 제4트랜지스터(Q4), 제7스위치소자(Q7)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9 (a) and 9 (b),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changes to the HIGH state while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LOW, the fifth transistor Q5 and the third transistor Q3 And the eighth switch element Q8 are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Accordingly, the second voltage Vout, the third transistor Q3, the P1 electrode P1, the body part, the P2 electrode P2, the eighth switch element Q8, and the ninth resistor R9 And the micro current is supplied to the body part. This current flow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t this time, the sixth transistor Q6, the fourth transistor Q4, and the seventh switch element Q7 are maintained in the off state.

이후, 제1제어신호가 LOW 상태로 전환되면, 제5트랜지스터(Q5), 제3트랜지스터(Q3) 및 제8스위치소자(Q8)도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Δt 시간 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신호가 HIGH 신호로 전환되면, 제6트랜지스터(Q6), 제4트랜지스터(Q4) 및 제7스위치소자(Q7)는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승압부에서 공급되는 제2전압(Vout), 제4트랜지스터(Q4), P2 전극(P2), 신체부위, P1 전극(P1), 제7스위치소자(Q7) 및 제9저항(R9) 방향의 전류 흐름이 형성되면서 신체부위에 미세전류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류 흐름 방향을 제2방향이라 칭하기로 하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의 전류 흐름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제5트랜지스터(Q5), 제3트랜지스터(Q3), 제8스위치소자(Q8)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first control signal is switched to the LOW state, the fifth transistor Q5, the third transistor Q3, and the eighth switch element Q8 are also turned off. 9 (b), when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switched to the HIGH signal, the sixth transistor Q6, the fourth transistor Q4 and the seventh switching device Q7 are turned off State. Accordingly, the second voltage Vout, the fourth transistor Q4, the P2 electrode P2, the body portion, the P1 electrode P1, the seventh switching element Q7, and the ninth resistor R9 And the micro current is supplied to the body part. This current flow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and it can be seen that a current flow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fth transistor Q5, the third transistor Q3, and the eighth switch element Q8 maintain the OFF state.

신체부위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 감지신호측정부(27)를 구성하는 제7스위치소자(Q7) 또는 제8스위치소자(Q8) 중 하나는 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9저항(R9)에는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류 흐름에 의해 제9저항(R9)에서 감지되는 전압은 신호생성부(21)의 제1입력단으로 인가되어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량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제시된 회로에서는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하기 위해서 두 개의 저항(도 1에서는 R1 및 R2, 도 2에서는 R8 및 R9)을 사용하였다. 이에 비해서 도 8에 제시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저항(R9)만을 이용하여 구성함을 알 수 있다. 신호생성부(21)는 승압부(23)에 가해지는 PWM 신호를 파악하고 있으므로 승압부(23)를 통해 미세전류공급부(25)에 공급되는 전압치를 알 수 있으며, 제9저항(R9)으로부터 피드백되는 감지전압을 통해서 신체부위에 흐르는 전류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One of the seventh switching element Q7 or the eighth switching element Q8 constituting the sensing signal measuring part 27 is kept in the ON state while the current flows in the body part, The same current as the current flowing in the body part flows. The voltage sensed by the ninth resistor R9 is appli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of the signal generator 21 by the current flow so tha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body part can be discriminated. In the circuit shown in Figs. 1 and 2, two resistors (R1 and R2 in Fig. 1, R8 and R9 in Fig. 2) are used to detec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 the body part. 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8, only one resistor R9 is used. Since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grasps the PWM signal applied to the step-up unit 23, it can know the voltage value supplied to the fine current supplying unit 25 through the step-up unit 23,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body part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through the feedback voltage.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는 건전지와 미세전류구동회로부가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함이 없이 상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신체부위와 접촉하지 않을 경우)에는 미세전류를 신체부위에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소 전력을 소모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지 여부(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신체부위와 접촉하는지 여부)를 체크한 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미세전류를 신체부위에 공급하도록 하여야 한다. 대기 상태에서는 신호생성부(21)는 제1출력핀 및 제2출력핀으로 전압 공급을 중단하고,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접촉판별시기가 도달되는지 여부만을 주기적으로 체크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 상태에서는 승인부(23), 미세전류공급부(25), 감지신호측정부(27) 및 동작표시부(29)에 의한 전력소모가 발생되지 않는다.The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battery and a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are connected at all times without a switch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In the case where the user does not us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wh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not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the microcurrent to the body part.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and then supply the micro current to the body par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uses the microcurrent. In the standby state,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stops supplying the voltage to the first output pin and the second output pin, and periodically checks whether or not the contact discrimination timing is reached using the internal timer. Therefore, in the standby state, power consumption by the acknowledgment unit 23, the fine current supply unit 25, the detection signal measurement unit 27, and the operation display unit 29 does not occur.

본 발명에 따른 미세전류발생기는 별도의 동작 스위치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건전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 및 건전지 교체 여부를 알리기 위해 사용자에게 건전지 동작 유무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BLE, Zigbee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동작제어 및 상태전송, 로그(log) 등을 남겨 사용자 사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표시부의 회로도이다. 동작표시부는 신호생성부(21)의 제2출력핀과 접지 사이에 순방향으로 발광 다이오드(D2)로 구성하였다. 신호생성부(21)는 제2출력핀을 통해 주기적으로 제4전압을 출력하고, 제4전압이 인가되면 발광 다이오드(D2)가 발광된다. 사용자는 발광 다이오드(D2)가 주기적으로 발광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건전지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또한, 내부에 건전지 제1설정전압값을 저장하고, 건전지 전압이 제1설정전압값보다 낮은 레벨로 떨어지면 건전지를 교체할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깜박임의 주기를 빨리하여 사용자가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Since the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a separate operation switch, it is necessary to indicate whether the battery operates normally or not to inform the user whether the battery is operating or not. In addition, operation control, status transmission, log, and the like can be left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E, Zigbee, and the like to help the user. 10 is a circuit diagram of an operation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display unit includes the light emitting diode D2 in the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output pin of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and the ground. The signal generator 21 periodically outputs the fourth voltage through the second output pin, and the light emitting diode D2 emits light when the fourth voltage is applied.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battery is operating normally by checking whether the light emitting diode D2 periodically emits light. In addition, if the first set voltage value of the battery is stored therein and the battery voltage drops to a level lower than the first set voltage value, a flicker cycle is quickly performed to notify the user that it is time to replace the battery .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구동회로부의 신체접촉 여부를 검사하는 타이밍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1(a)는 시간에 따른 제1제어신호의 전압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b)는 시간에 따른 제2제어신호의 전압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도 11(c)는 P1 전극에서 P2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 상태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11 is a timing chart for checking whether the microcurrent driving circuit uni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ontact with the body. 11 (a) shows the voltage waveform of the first control signal with time, FIG. 11 (b) shows the voltage waveform of the second control signal with time, and FIG. 11 And the current flowing from the P1 electrode to the P2 electrode is shown.

대기 상태에서 일정한 주기(T2)마다 접촉판별(wp) 시기가 도래하면, 제1출력핀에는 제1전압을 공급하고, 제2출력핀에는 제4전압을 공급한다. 제2출력핀에 공급되는 제4전압은 발광 다이오드를 켜기 위한 짧은 시간 동안만 유지된다. 이에 비해 제1출력핀에 공급되는 제1전압은 제4전압보다 장시간 공급되어야 한다. 신호생성부(21)는 제1출력핀을 통해 제1전압을 승압부(23)에 공급하여 구동시키며, 제3출력핀을 통해 PWM 신호를 인가하여 승압부(23)를 제3전압까지 충전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3전압은 제1방향과 제2방향의 미세전류를 신체부위에 주기적으로 공급할 때 승압시키는 제2전압보다는 높게 설정하였다. 실질적으로 본원 발명자의 다양한 실험에 의하여 파악한 바에 의하면 제3전압으로는 승압부에서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압을 사용하였다. 그 이유는 사람에 따라 그리고 동일인이라 하더라도 피부 상태에 따라 피부 저항이 달라지고 어떤 피부 저항을 가진 사람이 이용하고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낮은 전압을 인가하였다가 피부가 접촉된 상태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는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를 없애고, 제3전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짧은 시간 동안에만 공급되는 것이므로 전력소모가 작기 때문이다. 이후, 승압부(23)로부터 제3전압이 미세전류공급부(25)에 공급되면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신호가 미세전류공급부(25)에 인가된다. 접촉판별 여부를 판별할 때에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어신호는 비활성화시켰음을 알 수 있다. 미세전류공급부(25)에 의해 제1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감지신호측정부(27)는 제9저항(R9)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생성부(21)의 제1입력핀으로 피드백한다. 신호생성부(21)는 피드백되는 감지전압을 이용하여 신체부위가 P1 전극 및 P2 전극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9저항(R9)에 감지되는 감지 전압이 신호생성부(21)의 제1입력핀으로 인가되면, 신호생성부(21) 내부에 구비되는 ADC(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이용하여 이를 디지털 값으로 수치화한다. 디지털 값이 일정한 값이상으로 감지되면 신체가 접촉되었다고 판별하는 것이다. 구현 예에서는 미세전류공급부(25)는 3V 건전지에 의해 구동되며, 12bit ADC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이러한 구현예에서는 12bit ADC는 0V~3V를 4,096 단계로 디지털화하게 된다. 따라서 제9저항(R9)으로 피드백되는 전압은 3V를 넘지 않게 설계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자에 의하면 제9저항(R9)으로는 구동전압으로 5V 건전지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최대 10㏀ 까지 형성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즉, 제9저항(R9)은 10㏀이하로 형성하여야 하며, 그보다 큰 값을 저항을 사용하면 ADC에서 판별할 수 없게 된다.Supplies a firs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pin and a fourth voltage to the second output pin when a contact determination (wp) time arrives every predetermined period (T2) in the standby state. The fourth voltage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pin is maintained only for a short time to turn on the light emitting diode. In contrast, the first voltage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pin must be suppli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fourth voltage. The signal generator 21 supplies the first voltage to the voltage boosting unit 23 through the first output pin and drives the PWM signal through the third output pin to charge the voltage boosting unit 23 to the third voltage . At this time, the third voltage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second voltage for boosting the microcurrent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en the microcurrent is periodically supplied to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various experiments of the present inventors, the maximum voltage that can be output from the voltage step-up unit is used as the third voltag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ven if the person is the same person, the skin resis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skin condition, and the user does not know what skin resistance is used, And the third voltage is supplied only for a short time as shown in FIG. 11,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 Thereafter, a third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voltage-up unit 23 to the minute current supply unit 25, and a first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the minute current supply unit 25 as shown in FIG. 11 (a).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as shown in FIG. 11 (b) in order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when the contact discrimination is discriminated. The current is suppli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fine current supplying part 25 and the sensing signal measuring part 27 senses the voltage applied to the ninth resistor R9 and outputs it to the signal generating part 21 1 feedback to the input pin.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P1 electrode and the P2 electrode using the feedback voltage.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nse voltage sensed by the ninth resistor R9 is applied to the first input pin of the signal generator 21,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And digitizes it as a digital value. If a digital value is detected above a certain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is in contact. In an embodiment, the microcurrent supply 25 is driven by a 3V battery and implemented using a 12 bit ADC. In this embodiment, the 12-bit ADC digitizes 0V to 3V in 4,096 steps. Therefore, the voltage fed back to the ninth resistor R9 should be designed not to exceed 3V. According to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ninth resistor R9 can be formed up to 10 k ?, even if a 5V battery is used as a driving voltage. That is, the ninth resistor R9 should be formed at 10 k? Or less, and if a resistor having a larger value is used, it can not be discriminated by the ADC.

신체부위가 P1 전극 및 P2 전극에 접촉된 경우에만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의 전류 흐름이 형성되며 특정 범위 내의 감지전압이 신호생성부(21)로 피드백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신호생성부(21)는 신체부위가 P1 전극 및 P2 전극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urrent flow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and the sensing voltage within a specific range is fed back to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only when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P1 electrode and the P2 electrode, The signal generating unit 21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P1 electrode and the P2 electrode.

도 11에서는 대기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신체부위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때, 제1방향으로만 전류 흐름을 형성하는 방식을 제시하였으나 제1제어신호를 비활성화시키고, 제2방향만의 전류 흐름을 이용하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압 레벨은 '제1전압 < 제2전압 < 제3전압'의 관계를 형성하며, 제4전압은 제2전압보다 작은 값으로 형성되며 발광 다이오드의 임계 전압에 따라 제1전압보다 작은 레벨로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전압, 제3전압 및 제4전압은 고정된 특정 전압레벨을 갖는 반면, 제2전압은 신체부위에 동일한 크기의 미세전류를 계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압이므로 신체부위의 상태에 따라 변동되는 전압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젖은 발바닥에 미세전류를 인가할 경우에는 신체부위가 낮은 저항값을 가지므로 낮은 제2전압(예를 들어, 10V)까지 승압부를 승압시켜도 무방하다. 이에 비해 건조한 발바닥에 미세전류를 인가할 경우에는 신체부위가 높은 저항값을 갖는 특성이 있으므로 높은 제2전압(예를 들어, 50V)까지 승압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제2전압은 특정된 전압으로 고정되지 않고 신체부위의 상태에 따라 변화는 전압으로 표현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 구현에 사용한 반도체 소자는 대부분 약전에 사용하는 용도이므로 제2전압은 60V 이하의 값으로 인가되도록 회로를 설계하여 회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었다. 여기서 '제2전압의 평균 전압'은 일정한 시간동안 인가되는 제2전압의 적분값을 해당 시간으로 나눈 평균 전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FIG. 11 shows a method of forming a current flow only in the first direction when checking whether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periodically in the standby state, but the first control signal is inactivat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design the current flow only in the direction. In addition, the voltage leve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elation of 'first voltage, second voltage, third voltage', the fourth voltag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cond voltag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have a level lower than 1 voltage. The first voltage, the third voltage and the fourth voltage have a fixed specific voltage level, while the second voltage is a voltage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same minute microcurrent to the body part. Therefore, the voltage . For example, when a minute current is applied to the wet sole, the body part has a low resistance value, so that the step-up part can be boosted to a low second voltage (for example, 10 V). On the other hand, when a micro current is applied to the dry soles, the body part has to have a high resistance value, so it has to be boosted to a high second voltage (for example, 50V).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voltage is not fixed to the specified voltage, but the change is expressed by the voltage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body part. Since most of the semiconductor device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for use in pharmacopoeia, the circuit is designed to be applied with a second voltage of 60 V or less, thereby improving the circuit stability. Here, the 'average voltage of the second voltage' should be understood to mean an average voltage obtained by dividing the integral value of the second voltage applie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corresponding time.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자는 접촉 여부를 판별할 때 생길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제3전압으로는 승압부가 출력할 수 있는 최고전압을 사용하였다. 또한, 대기 상태에서 접촉여부를 판별하는 주기(T2)와 동작 표시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4전압을 인가하는 주기는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used the highest voltage that can be outputted from the boosting portion as the third voltage in order to reduce an error that may occur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make contac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ycle T2 for discriminating the contact state in the standby state and the cycle for applying the fourth voltage for operating the operation display unit need not always be the sam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세전류발생기의 전체 동작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대기 상태(ST10) 유지하다가 주기적으로 접촉판별시기(Tc)가 도달되면(ST 20), 신체부위가 접속된 상태인지 여부를 파악한다(ST 30). 미접촉 상태로 판별되면 다시 대기 상태(ST 10)를 다시 수행하고,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다고 판별되면 미세전류를 신체부위에 공급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T 40). 미세전류를 신체부위에 공급하면서 미세전류량을 감지하고(ST 50), 감지된 미세전류량을 이용하여 신체부위가 접촉된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ST 60), 미접촉 상태로 판별되면 다시 대기 상태(ST 10)를 수행한다.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다고 판별되면 미세전류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면서 ST 40단계부터 다시 수행한다(ST 70).FIG.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verall operation flow of a micro-current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ntact determination time Tc is reached periodically (ST20),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body part is connected (ST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tact state is not yet established, the standby state (ST10) is performed agai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part is in contact, a step of supplying a microcurrent to the body part is performed (ST40). (ST 50). The micro-current is supplied to the body part (ST 50). The micro-current is used to check whether or not the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the body part (ST 60) ST 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part is in contact,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icro current is generated and the process is repeated from ST 40 (ST 70).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using specific terms, such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the invention,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 It will be obvious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상부 하우징 11: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
13: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 20: 인쇄회로기판
21: 신호생성부 23: 승압부
25: 미세전류공급부 27: 감지신호측정부
29: 동작표시부
30: 건전지 31: 건전지 클립
40: 하부 하우징 43: 수용공간
C1: 제1접속전극 C2: 제2접속전극
P1: P1 전극 P2: P2 전극
10: upper housing 11: first component of first snap button
13: first component 20 of the second snap button 20: printed circuit board
21: Signal Generation Unit 23:
25: fine current supply unit 27: detection signal measuring unit
29: Operation indicator
30: Battery 31: Battery clip
40: lower housing 43: accommodation space
C1: first connection electrode C2: second connection electrode
P1: P1 electrode P2: P2 electrode

Claims (14)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접속되어 제1방향 또는 그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신체부위에 100㎂이하의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과,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의 측면 테두리는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는 노출되면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와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건전지와,
상면에는 제1스냅단추(snap fastner)의 상기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1전극 및 제2스냅단추의 상기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건전지의 제1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상기 건전지의 제2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1전압을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4전압을 출력하는 제2출력핀과, 내부 연산에 따른 주기에 따라 PWM신호를 출력하는 제3출력핀과, 제1타이밍에 따라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출력핀과, 제2타이밍에 따라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출력핀과, 신체부위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감지전압을 인가받는 제1입력핀을 포함하는 반도체칩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와,
입력단은 상기 반도체칩에 구비되는 상기 제1출력핀과 연결되며 출력단에는 충전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압을 상기 제3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충전 캐패시터를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 또는 제3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2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하며,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각각 접속되는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상기 제1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2전극으로 흐르는 상기 제1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상기 제2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1전극으로 흐르는 상기 제2방향으로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부 및
상기 제1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2전극를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한 상기 감지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1입력핀으로 피드백하는 감지신호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신호생성부와, 상기 승압부와, 상기 미세전류공급부 및 상기 감지신호측정부가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전류공급장치.
A fine current supplying device connected to two separated body parts and supplying a minute current of 100 μA or less to the body part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lower housing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in an opened cylindrical shape.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first component of a first snap button and a second component of a second snap button, the first component of the first snap butt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using,
A battery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stituent portion of the second snap button an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stituent portion of the first snap button,
A power supply pi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of the battery at all times; a power pi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olarity of the battery at all times; a first output A second output pin having a buffer therein and outputting a fourth voltage to the outside, a third output pin for outputting a PWM signal in accordance with a period according to an internal calculation, and a second output pin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A fifth output pin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at a second timing, and a first input pin for receiving a sensing voltage by a current supplied to a body part A signal generation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to be controlled,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in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outpu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charge capacitor, and the first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output pin is switched according to the PWM signal applied from the third output pin A boosting unit boosting the charge capacitor to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higher than the first voltag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e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body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econd voltage supplied from the charge capacitor as an operation power supply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harged to the charge capacitor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supplying the charge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electrode,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electrode, A fine current supplying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nsing signal measuring unit for sensing the sensing voltage due to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feeding back to the first input pin,
Wherein the signal generating unit, the voltage raising unit, the fine current supplying unit, and the sense signal measuring unit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접속되어 제1방향 또는 그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신체부위에 100㎂이하의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과,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적어도 일부의 측면 테두리는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는 노출되면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와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건전지와,
상면에는 제1스냅단추(snap fastner)의 상기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1전극 및 제2스냅단추의 상기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고, 하면에는 상기 건전지의 제2극성과 접속하는 제2접속전극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건전지의 상기 제2극성과 상기 제2접속전극이 밀착 접속되도록 상기 건전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결합시키며, 상기 건전지의 제1극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 기능을 제공하는 건전지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건전지는 버튼셀(button cell) 형태를 가지며,
상기 건전지의 제1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상기 건전지의 제2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1전압을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4전압을 출력하는 제2출력핀과, 내부 연산에 따른 주기에 따라 PWM신호를 출력하는 제3출력핀과, 제1타이밍에 따라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출력핀과, 제2타이밍에 따라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출력핀과, 신체부위에 공급되는 전류에 의한 감지전압을 인가받는 제1입력핀을 포함하는 반도체칩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와,
입력단은 상기 반도체칩에 구비되는 상기 제1출력핀과 연결되며 출력단에는 충전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제3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충전 캐패시터를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 또는 제3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로부터 공급되는 제2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하며,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각각 접속되는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상기 제1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2전극으로 흐르는 상기 제1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상기 제2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1전극으로 흐르는 상기 제2방향으로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부 및
상기 제1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2전극를 경유하여 흐르는 전류에 의한 상기 감지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1입력핀으로 피드백하는 감지신호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신호생성부와, 상기 승압부와, 상기 미세전류공급부 및 상기 감지신호측정부가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미세전류공급장치.
A fine current supplying device connected to two separated body parts and supplying a minute current of 100 μA or less to the body part in a first direction or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lower housing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in an opened cylindrical shape.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first component of a first snap button and a second component of a second snap button, the first component of the first snap butt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using,
A battery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stituent portion of the second snap button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stituent portion of the first snap button, And 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olarity,
And a battery clip that couples the battery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such that the second polarity of the battery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and provides a lead func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of the battery,
The battery has a button cell shape,
A power supply pi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of the battery at all times; a power pi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olarity of the battery at all times; a first output A second output pin having a buffer therein and outputting a fourth voltage to the outside, a third output pin for outputting a PWM signal in accordance with a period according to an internal calculation, and a second output pin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A fifth output pin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at a second timing, and a first input pin for receiving a sensing voltage by a current supplied to a body part A signal generation unit including a control unit to be controlled,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utput pin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in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output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charge capacitor. The first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output pin is switched A boosting unit boosting the charge capacitor to a second voltage or a third voltage higher than the first voltag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e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body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second voltage supplied from the charge capacitor as an operation power supply;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supply the charge in the first direction flowing to the first electrode,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charge the charge capacitor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electrode, A fine current supplying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nsing signal measuring unit for sensing the sensing voltage due to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electrode, the body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feeding back to the first input pin,
Wherein the signal generating unit, the voltage raising unit, the fine current supplying unit, and the sense signal measuring unit ar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내부 타이머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제1주기마다 상기 제1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전압을 상기 제3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승압부의 충전 캐패시터를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3전압으로 승압시키고, 상기 제1제어신호 및 상기 제2제어신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만 상기 신체부위에 전류를 제공하고, 상기 제1입력핀으로 피드백되는 감지전압을 이용하여 신체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3전압은 상기 제2전압보다 높은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timer,
Wherein the control unit switches the first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output pin in accordance with the PWM signal applied from the third output pin in every first period using the internal timer so that the charge capacitor of the voltage- Boosting to a high third voltage and providing a current to the body part in only one direction selected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by one signal selected from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detecting a physical contact by using a sensing voltage fed back to the first input pin,
Wherein the third voltage is higher than the second voltag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출력핀과 접지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동작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operation display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output pin and the groun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주기마다 상기 제2출력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output pin every second perio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측정부는 일 단이 접지와 연결되는 제9저항과,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9저항의 타 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7스위치소자와,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9저항의 타 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8스위치소자로 구성되며,
상기 제7스위치소자는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며, 상기 제8스위치소자는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ensing signal measuring unit includes a ninth resis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ground, a seventh switch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ninth resistor and the first electrode, and a seventh switch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ninth resistor. And an eighth switch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s,
Wherein the seventh switch elemen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and the eighth switch element is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9저항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ninth resistor is 10 k [Omega]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건전지와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upper housing.
제1항 또는 제2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미세전류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신체부위에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를 상기 제3전압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을 통해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서 상기 신체부위가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승압부를 제2전압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제2단계와,
상기 감지신호측정부를 통해 피드백되는 상기 감지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전압을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피드백되는 상기 감지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상기 신체부위가 접촉되지 않았다고 판별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공급방법.
A method for supplying a micro current to a body part using a micro current supply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body portion is supplied with a current throug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 a direction selected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ile the voltage-up portion is raised to the third voltage, A first step of sensing whether the electrode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when the body part is determi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oltage- A second step of supplying current,
And a third step of adjusting the second voltage using the sensing voltage fed back through the sensing signal measuring unit,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par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using the sensing voltage fed back in the third step / RTI &g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주기마다 상기 제2출력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출력핀과 접지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주기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공급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output pin every second period,
And a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output pin and grou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urth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t the second period after the first step.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의 미세전류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신체부위에 100㎂이하의 미세 전류를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승압부를 제3전압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면서 상기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감지 결과 상기 신체부위가 접촉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상기 승압부를 제2전압으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번갈아 가면서 전류를 공급하는 제2단계와,
상기 감지신호측정부를 통해 피드백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전압을 조절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에서 피드백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에 상기 신체부위가 접촉되지 않았다고 판별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제3전압은 상기 제2전압의 평균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전압 평균은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시간동안 가해지는 제2전압의 평균 전압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공급방법.
A method for supplying a minute current of 100 μA or less to a body part using the micro current supply device of claim 1 or 2,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in any one direction selected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oltage step-up unit is raised to the third voltage, A first step of,
Wherein when the body part is determin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turned o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while the voltage-up unit is raised to the second voltage, And a second step of supplying,
And a third step of adjusting the second voltage using a voltage fed back through the sensing signal measuring unit,
The second step and the third step are repeatedly performed until it is determined that the body part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using the voltage fed back in the third step,
Wherein the third voltage is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second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average is an average voltage of the second voltage applied during the time of supplying the microcurrent.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주기마다 상기 제2출력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출력핀과 접지 사이에 순방향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단계로서, 상기 제2주기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 공급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trol unit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output pin every second period,
And a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in a forward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output pin and ground,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urth step of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diode at the second period after the first step.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접속되어 제1방향 또는 그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미세전류를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하부 하우징과,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과 맞물리도록 체결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일부의 측면 테두리는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부 및 하부는 노출되면서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와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는 건전지와,
상기 건전지와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의 상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1스냅단추(snap fastner)의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1전극 및 제2스냅단추의 제1구성부의 하면과 접속하는 제2전극을 구비하고, 하면에는 상기 건전지의 제2극성과 접속하는 제2접속전극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건전지의 상기 제2극성과 상기 제2접속전극을 밀착 접속되도록 상기 건전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결합시키며, 상기 건전지의 제1극성과 연결되는 전기적 도선 기능을 제공하는 건전지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서는 상기 건전지 클립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접속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건전지의 제1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상기 건전지의 제2극성과 전기적으로 항상 연결되는 -전원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1전압을 출력하는 제1출력핀과, 내부에 버퍼를 가지며 외부로 제4전압을 출력하는 제2출력핀과, 내부 연산에 따른 주기에 따라 PWM신호를 출력하는 제3출력핀과, 제1타이밍에 따른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4출력핀과, 제2타이밍에 따른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5출력핀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분배전압을 인가받는 제1입력핀을 포함하는 반도체칩으로 구성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신호생성부와,
입력단은 상기 반도체칩에 구비되는 상기 제1출력핀과 연결되며 출력단에는 충전 캐패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상기 제1전압을 상기 제3출력핀으로부터 인가되는 PWM 신호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충전 캐패시터를 상기 제1전압보다 높은 제2전압으로 승압하는 승압부와,
상기 충전 캐패시터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제2전압을 동작 전원으로 하며, 이격된 두 군데의 신체부위에 각각 접속되는 상기 제1전극 및 상기 제2전극과, 상기 제1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상기 제1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2전극으로 흐르는 상기 제1방향으로 공급하고, 상기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충전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상기 제2전극, 상기 신체부위 및 상기 제1전극으로 흐르는 상기 제2방향으로 공급하는 미세전류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류공급장치.
A fine current supplying device connected to two body parts spaced apart to supply a minute current in a first direction or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lower housing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hose upper surface is opene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in an opened cylindrical shape. An upper housing coupled to the lower housing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A first component of a first snap button and a second component of a second snap button, the first component of the first snap button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upper housing,
A battery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a first component of a first snap fastener and a lower surface of a first component of a second snap button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a second connection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olarity of the dry cell,
And a battery clip that couples the battery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olarity of the battery and the second connection electrode and provides an electrical lead function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of the battery,
And a first connection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lip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ower supply pi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larity of the battery at all times; a power pin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polarity of the battery at all times; a first output A second output pin having a buffer therein and outputting a fourth voltage to the outside, a third output pin for outputting a PWM signal according to a period according to an internal calculation, and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first timing, A fifth output pin for outputting a seco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second timing and a first input pin for receiving a distribution voltage applied from the outside, A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ignal,
Th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output pin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pin of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output capacitor is connected to the charge capacitor. The first voltage applied from the first output pin is switched A boosting unit boosting the charge capacitor to a second voltage higher than the first voltag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be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wo body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econd voltage supplied from the charge capacitor as an operation power supply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charged to the charge capacitor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control signal,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supplying the charge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electrode, the body region, and the second electrode, And a fine current supplying unit for supplying the fine current in the second direction flowing to the first electrode.
KR1020170113791A 2017-07-03 2017-09-06 Micro current generator KR10189251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37 2017-07-03
KR20170084237 2017-07-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385A Division KR20190027318A (en) 2018-08-21 2018-08-21 Micro current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518B1 true KR101892518B1 (en) 2018-08-29

Family

ID=6343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91A KR101892518B1 (en) 2017-07-03 2017-09-06 Micro current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5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49A (en) * 2020-11-23 2022-05-31 한경민 Current generating device and current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208B1 (en) 2009-07-28 2010-11-12 이지훈 Socks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0995614B1 (en) 2010-03-26 2010-11-22 이지훈 Apparatus for micro current generating
JP2011194173A (en) * 2010-03-24 2011-10-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smetic apparatus
KR101235789B1 (en) 2009-06-01 2013-02-21 이지훈 Bootees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83B1 (en) 2009-06-01 2013-02-21 이지훈 Abdominal band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88B1 (en) 2009-06-01 2013-02-21 이지훈 Brace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90B1 (en) 2009-07-29 2013-02-21 이지훈 Footwear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86B1 (en) 2009-06-01 2013-02-28 이지훈 Girdle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JP2014124476A (en) * 2012-12-27 2014-07-07 Hitachi Maxell Ltd Cosmetic system
KR101473443B1 (en) * 2014-02-07 2014-12-18 (주)와이브레인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89B1 (en) 2009-06-01 2013-02-21 이지훈 Bootees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83B1 (en) 2009-06-01 2013-02-21 이지훈 Abdominal band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88B1 (en) 2009-06-01 2013-02-21 이지훈 Brace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86B1 (en) 2009-06-01 2013-02-28 이지훈 Girdle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0994208B1 (en) 2009-07-28 2010-11-12 이지훈 Socks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101235790B1 (en) 2009-07-29 2013-02-21 이지훈 Footwear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JP2011194173A (en) * 2010-03-24 2011-10-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smetic apparatus
KR100995614B1 (en) 2010-03-26 2010-11-22 이지훈 Apparatus for micro current generating
JP2014124476A (en) * 2012-12-27 2014-07-07 Hitachi Maxell Ltd Cosmetic system
KR101473443B1 (en) * 2014-02-07 2014-12-18 (주)와이브레인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049A (en) * 2020-11-23 2022-05-31 한경민 Current generating device and current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
KR102462466B1 (en) * 2020-11-23 2022-11-02 한경민 Current generating device and current gener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7606B2 (en) Functional shoe
TWI659761B (en)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device
US6567695B1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stimulation electrode assembly
CN110603074B (en) Sinus treatment device with adaptive circuit
US8214030B2 (en) Iont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EP1294443B1 (en) Microcurrent therapy device
US6408211B1 (en) Microcurrent therapy device
US8585619B2 (en) Advanced handable skin car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892518B1 (en) Micro current generator
CN109420257A (en) Beauty appliance
US10722705B2 (en) Nerv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US20040044383A1 (en) Status indicator for implantable systems
KR100558764B1 (en) Functional shoes
KR101235783B1 (en) Abdominal band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KR20190027318A (en) Micro current generator
JP2016202796A (en) Muscle electrostimulator
KR101235784B1 (en) Mat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JP2016209118A (en) Muscle electrostimulator
CN109419616A (en) Beauty appliance
JP5786797B2 (en) Biological stimulator
EP1902749A2 (en) Iontophoresis apparatus
KR101235785B1 (en) Pillow for micro current stimulation
JP2017006215A (en) Muscular electrostimulation device
KR20050043094A (en) Electroacupuncture and skin beauty apparatus
US20240033500A1 (en) Evaluating method for useful lifespan of conductive gel and non-implantable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