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978B1 - 가상 운동장 - Google Patents

가상 운동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978B1
KR101891978B1 KR1020180026027A KR20180026027A KR101891978B1 KR 101891978 B1 KR101891978 B1 KR 101891978B1 KR 1020180026027 A KR1020180026027 A KR 1020180026027A KR 20180026027 A KR20180026027 A KR 20180026027A KR 101891978 B1 KR101891978 B1 KR 101891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conveyor belt
virtual reality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철
송가영
Original Assignee
강원철
송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철, 송가영 filed Critical 강원철
Priority to KR102018002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78B1/ko
Priority to PCT/KR2018/016601 priority patent/WO20191725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driven by a mo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A63B22/022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on the frame supporting the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022/027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omnidirectio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2Walk-in-place systems for allowing a user to walk in a virtual environment while constraining him to a given position in the physical enviro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운동장에 관한 것으로서, 이용자가 VR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되는 가상현실에 따라 2차원 내지는 3차원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볼 타입의 중앙 베어링(10)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의 순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하부에 구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의 상면에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20)의 회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셀 롤러(40)와; 이용자의 몸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착용대(50)와; 상기 착용대(50)에 연결되어 이용자가 컨베이어 벨트(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장력을 갖는 지지와이어(60)와; 상기 지지와이어(60)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0)과; 이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가상현실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는 VR기기(80);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상 운동장{VIRTUAL PLAYGROUND}
본 발명은 가상현실 체험용 운동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VR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운동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체험용 시뮬레이터는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가상 환경에 따른 동적 변화를 재현함으로써 이용자가 가상 현실의 움직임을 마치 현실 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게임장용 의자 등으로 널리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터에서 이용자가 가상적인 환경을 보다 실감있게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의자를 다채롭게 진동시켜 동적 변화를 생동적으로 재현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최근에는 360도 영상 기술의 발달과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 마운트(head mount) 기기의 발달로 가상현실 장치(virtual reality device;VR기기)의 상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VR기기는 이용자의 대부분의 시야를 가상의 화면으로 메워 이용자가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가상현실 장치와 보조 기구들을 결합하여 가상 롤러코스터 체험과 같은 가상현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VR기기를 이용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체험장치의 종래 일 예로, 특허공개 제2010-77938호(2010.07.08. 공개)에서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런닝머신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VR기기를 머리에 착용하고 런닝머신을 달리는 방식으로서, 1차원 적인 가상현실을 체험하는데 만족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금까지의 가상현실 체험장치는 가상현실 소프트웨어의 내용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느끼고 제한적인 운동 자유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다시 말해, 사용자의 자유의지에 따라 소프트웨어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따라 사용자가 반응할 수 밖에 없는 수동적 체험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360도 방향으로 이동을 경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체험용 운동장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을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무한한 공간에서 움직이는 것처럼 느낄 수 있고, 거리나 달리는 속도 및 방향에 제한이 없도록 하며, 가상 공간 안에서 넘어져서 부상당하지 않도록 안전성이 확보되고, 움직인 거리와 속도를 가상현실 소프트웨어가 알고 그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가상 운동장은, 볼 타입의 중앙 베어링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순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하부에 구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의 회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셀 롤러와; 이용자의 몸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착용대와; 상기 착용대에 연결되어 이용자가 컨베이어 벨트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장력을 갖는 지지와이어와; 상기 지지와이어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이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가상현실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는 VR기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상 운동장은, 이용자가 VR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구현되는 가상현실에 따라 무한한 운동장에서의 2차원 또는 3차원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현실감 있는 가상현실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운동장 평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 가상 운동장의 평면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가상 운동장의 컨베이어 벨트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셀 롤러 단면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가상 운동장 측단면 구조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가상 운동장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완충다리부 단면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볼 타입의 중앙 베어링(10)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의 순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하부에 구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의 상면에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20)의 회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셀 롤러(40)와, 이용자의 몸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낙하산 조끼와 같은 형태의 착용대(50)와, 상기 착용대(50)에 연결되어 이용자가 컨베이어 벨트(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장력을 갖는 지지와이어(60)와, 상기 지지와이어(60)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0)과, 이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가상현실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는 VR기기(80)로 구성된다. 이때, 장치 일측에는 이용자의 운동정보를 가상소프트웨어로 전달하는 센서(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셀 롤러(40)는 지지축(11)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축(11)에는 셀 롤러(40)의 위치 지지를 위한 지지돌부(42)가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20)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20)를 완충지지하기 위한 탄성재질의 완충다리부(90)가 구비된다. 이때, 완충다리부(90)는 컨베이어 벨트(20)와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컨베이어 벨트(20)를 받쳐주는 별도의 베이스판(미도시)을 지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프레임(70)에는 지지와이어(60)의 장력 조절을 위한 구동모터(72)가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72)는 VR기기(80)와 연동되어 구동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며, 지지프레임(70)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수직지주(71)에는 구동모터(72)의 구동에 따른 지지와이어(60)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2개의 제한고리(73,74)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와이어(60)에는 제한고리(73,74)에 의해 걸려질 수 있는 걸림구(75)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지지와이어(6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됨과 함께 사용자가 넘어져도 지지와이어(60)의 최대 허용길이가 사용자의 무릎이 땅에 닿지 않는 길이로 설정됨으로서, 부상 발생이 방지되는 등 안전사고 발생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6은 지지와이어(60)의 안내를 위한 도르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가상현실 체험용 가상 운동장치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6 및 도 7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자는 조끼 형태의 착용대(50)를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20) 위에 올라서게 된다.
그리고, 머리에 VR기기(8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원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선택함으로서 시각적인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VR기기(80)를 통해 구현되는 가상현실에 따라 이용자는 방향을 돌리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실제 발걸음을 옮기게 되면, 방사방향으로 다수개가 촘촘하게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20) 및 셀 롤러(40) 위를 걷게 되면서 실제 지면을 걷고 이동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하게 된다.
즉, 이때에는 컨베이어 벨트(20)가 가이드롤러(30)에 의해 순환 구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이룸으로서 실제 이용자는 컨베이어 벨트(20) 구간을 벋어나지 않지만, 이용자가 느끼는 시뮬레이션은 걷거나 뛰면서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게 되는데, 사용자가 컨베이어 벨트(20) 위에서 움직인 운동정보는 컨베이어 벨트(20) 또는 셀 롤러(40)의 초당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여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가상현실 소프트웨어에 전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소프트웨어가 반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20)는 V자 형태로 중앙으로 갈수록 가운데로 몰리게 되는데, 주판알 형태의 셀 롤러(40)가 컨베이어 벨트(20) 상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360도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활동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용자는 활동 과정에서 지지와이어(60)에 의해 지지됨으로서 일정 영역을 벋어나지 않는 가운데,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짐으로서 넘어지거나 컨베이어 벨트(20)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72)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VR기기(80)와 연동되어지게 되는데, VR기기(80)상에 구현되는 가상현실 내용에 따라 신호 전달이 이루어짐으로서 구동모터(72)의 구동이 이루어지면서 지지와이어(60)가 당겨지거나 풀어짐으로서 이용자로 하여금 3차원적인 가상현실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20) 하부에는 완충 기능의 완충다리부(90)가 구성되어져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걷거나 뛰면서 발생되는 충격의 흡수가 이루어지게 됨으로, 보다 안전한 시뮬레이션 체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용 시뮬레이션 장치는 기존 런닝머신 형태의 1차원적인 가상현실 체험에서 벋어나서 한정된 공간을 2차원 내지는 3차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현실감 있게 VR기기(80)를 통해 구현되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완충다리부(90)는 상부패드(91)와 하부패드(92)가 상호 탄성스프링(9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하부패드(92)에는 상부패드(91)의 승하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하우징(92a)이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컨베이어 벨트(20)에서의 충격은 완충다리부(90)의 탄성스프링(93)에 의해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부패드(91)의 상하강 구동이 하부패드(92)에 구비된 가이드 하우징(92a)에 의해 가이드 되어짐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완충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가이드 하우징(92a)에 의해 탄성스프링(93)의 외부 노출이 방지됨으로서 이물질 유입에 따른 작동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가상현실 체험장치의 구성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중앙 베어링 20 : 컨베이어 벨트
30 : 가이드롤러 31 : 지지축
32 : 지지돌부 40 : 셀 롤러
50 : 착용대 60 : 지지와이어
70 : 지지프레임 71 : 수직지주
72 : 구동모터 73,74 : 제한고리
75 : 걸림구 76 : 도르레
80 : VR기기 90 : 완충다리부

Claims (6)

  1. 볼 타입의 중앙 베어링(10)을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벨트(2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의 순환을 가이드하기 위해 하부에 구성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30)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0)의 상면에 구성되어 컨베이어 벨트(20)의 회동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셀 롤러(40)와; 이용자의 몸에 착용이 이루어지는 착용대(50)와; 상기 착용대(50)에 연결되어 이용자가 컨베이어 벨트(2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정 장력을 갖는 지지와이어(60)와; 상기 지지와이어(60)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70)과; 이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가상현실을 시각적으로 체험하는 VR기기(80);를 포함하고,
    상기 셀 롤러(40)는 지지축(11)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지지축(11)에는 셀 롤러(40)의 위치 지지를 위한 지지돌부(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장.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70)에는 지지와이어(60)의 장력 조절을 위한 구동모터(72)가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72)는 VR기기(80)와 연동되어 구동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70)을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수직지주(71)에는 구동모터(72)의 구동에 따른 지지와이어(60)의 유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2개의 제한고리(73,74)가 높이를 달리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와이어(60)에는 제한고리(73,74)에 의해 걸려질 수 있는 걸림구(7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장.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20)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20)를 완충지지하기 위한 완충다리부(90)가 구성되며,
    상기 완충다리부(90)는 상부패드(91)와 하부패드(92)가 상호 탄성스프링(93)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하부패드(92)에는 상부패드(91)의 승하강을 가이드함과 함께 탄성스프링(9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하우징(92a)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운동장.
  6. 삭제
KR1020180026027A 2018-03-05 2018-03-05 가상 운동장 KR101891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27A KR101891978B1 (ko) 2018-03-05 2018-03-05 가상 운동장
PCT/KR2018/016601 WO2019172513A1 (ko) 2018-03-05 2018-12-24 가상 운동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27A KR101891978B1 (ko) 2018-03-05 2018-03-05 가상 운동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978B1 true KR101891978B1 (ko) 2018-08-27

Family

ID=6345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27A KR101891978B1 (ko) 2018-03-05 2018-03-05 가상 운동장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1978B1 (ko)
WO (1) WO2019172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5697B (zh) * 2021-09-01 2023-07-07 邵晓杰 一种vr交互设备及vr场景交互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829A (ja) * 1996-08-27 2000-12-19 イー イー カーメイン,デイヴィッド 全方向性トレッドミル
KR20140001057U (ko) * 2011-05-10 2014-02-18 엠에스이 옴니피니티 에이비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걸을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달릴 수 있게 하는 장치
KR101802449B1 (ko) * 2016-11-16 2017-11-29 주식회사 엔티에스 전방향 트레드밀
KR20180005024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보행 가능한 가상 현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015B1 (ko) * 2015-01-06 2017-03-13 한국과학기술원 운동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6829A (ja) * 1996-08-27 2000-12-19 イー イー カーメイン,デイヴィッド 全方向性トレッドミル
KR20140001057U (ko) * 2011-05-10 2014-02-18 엠에스이 옴니피니티 에이비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걸을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달릴 수 있게 하는 장치
KR20180005024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인디고엔터테인먼트 보행 가능한 가상 현실 장치
KR101802449B1 (ko) * 2016-11-16 2017-11-29 주식회사 엔티에스 전방향 트레드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513A1 (ko)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3647A (en) Motion apparatus
US10010756B2 (en) Friction reducing assembly in an exercise machine
EP2435140B1 (en) Balance perturbation system and trainer
US10493317B2 (en) Omnidirectional mo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123601B2 (en) Apparatus for omnidirectional locomotion
JP6363170B2 (ja) 人を収容し、人の動作の自由を部分的に制限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9239616B1 (en) Apparatus for simulating mo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KR101297753B1 (ko) 전방향 이동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가상현실용 도보 시스템
KR101891978B1 (ko) 가상 운동장
US10890976B2 (en) Pressure controlled kinetic feedback platform with modular attachments
US20040033869A1 (en) Exercise apparatus having a user interface which can move arcuately in three dimensions
KR20190020435A (ko) 가상현실 게임용 트레드밀 시스템
Wang et al. Gaiters: exploring skin stretch feedback on legs for enhancing virtual reality experiences
Iwata Locomotion interfaces
KR102064183B1 (ko) 가상 현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시스템
CN104984520A (zh) 盘式跑步运动器械
JP2020146344A (ja) 状態検知装置、状態検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48427B1 (ko) 사이클 거치형 무동력 시뮬레이션 장치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GB2311976A (en) Omni-directional Treadmill
AU767788B2 (en) Motion apparatus
CN114748847A (zh) 一种虚拟现实运动装置
CA2249309C (en) Motion apparatus
KR101939809B1 (ko) 보행 역감을 생성하는 햅틱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KR102539476B1 (ko) 노약자를 위한 전방향 vr 운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