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924B1 -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 - Google Patents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924B1
KR101891924B1 KR1020170093808A KR20170093808A KR101891924B1 KR 101891924 B1 KR101891924 B1 KR 101891924B1 KR 1020170093808 A KR1020170093808 A KR 1020170093808A KR 20170093808 A KR20170093808 A KR 20170093808A KR 101891924 B1 KR101891924 B1 KR 101891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code
data
response
h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전
Original Assignee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연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무선인식 리더기는 무선인식 리더기는 태그 통신부, 패킷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무선인식 동작을 수행하고, 무선인식 동작은 패킷 통신부를 통해 태그리드명령패킷이 수신되면 태그 통신부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고, 구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드명령응답패킷을 패킷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구비한다. 따라서 블록단위로 리드된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불필요한 무효 데이터를 제거하여 호스트에서 요청한 태그 데이터만을 전송함으로써 호스트 저장공간에 무효 데이터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호스트의 처리동작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and Method of conrtolling thereof, and Packet of System}
본 발명은 무선식별(RFID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시스템의 호스트와 무선인식 리더기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을 개선할 수 있는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인식 즉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인터페이스 가운데 하나이며, RFID 시스템의 이용도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RFID는 물품 등에 태그를 부착함과 동시에, 이 태그내의 정보를 판독/기록함으로써 물품 등을 관리하는 것 등에 적용되고 있다.
RFID는 제조 분야, 물류/유통 분야, 오락 분야, 대여 ·임대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RFID 시스템은 이동 대상물에 대한 적용 요구도 많다. RFID 시스템은, 예컨대 물류/제조 공장으로서는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제품이나 제조 부재의 관리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반도체 제조라인에서는 트레이에 적재된 반도체 패키지를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이송할 때 트레이 위치를 파악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어한다. 기존에는 트레이에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부착하고 이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트레이 위치를 파악하였다. 그러나 바코드 또는 QR코드는 표면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경우 코드 판독이 곤란하고 코드값 변경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코드값 변경이 가능하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RFID기술을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인식 리더기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호스트와 통신하고 트레이에 부착되는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하여야 한다. 무선인식 태그는 통상 트레이 제조사들이 부착하기 때문에 트레이 교체시 무선인식 태그도 교체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13.56MHz 태그는 ISO/IEC 15693으로 표준화되어 있지만 태그 제조사 별로 사양이 서로 다르거나 태그의 메모리 용량의 차이 등으로 다양한 태그들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호스트의 통신사양도 시리얼 통신, PROFIBUS, CC-Link, Devicenet, Ethernet 등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무선인식 리더기의 통신사양은 호스트 통신 인터페이스 및 태그 통신 인터페이스 양자 모두에 대해 호환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무선인식 리더기 제조회사에서는 다양한 호스트 및 태그 통신환경에 적응적이고 호환성이 좋은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공개번호 10-2006-0043166 공개번호 10-2010-0070799 공개특허 10-2015-001003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스트의 프로그램 변경을 최소하면서 다양한 통신 환경에 적응적으로 설치 가능한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호스트의 저장 공간에 무효 데이터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근센서가 없는 설치 환경에서 인식범위내로 무선인식태그의 진입 및 퇴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호스트의 처리동작 효율화를 위하여 태그인식명령 수행시작 후 일정 시간동안 인식범위 내의 태그인식이 없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타임아웃상태를 결정하고 호스트에 에러 응답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선인식 리더기는 무선인식 리더기는 태그 통신부, 패킷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무선인식 동작을 수행하고, 무선인식 동작은 패킷 통신부를 통해 태그리드명령패킷이 수신되면 태그 통신부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고, 구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드명령응답패킷을 패킷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구비한다.
따라서 호스트에서 요청한 태그 데이터만을 전송함으로써 호스트 저장 공간에 무효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호스트의 처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태그리드명령패킷은 출발지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시작어드레스코드/데이터길이코드/에러검출코드를 구비하고, 정상 응답시 리드명령 응답패킷은 시작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가변길이 태그 데이터/종료코드를 포함한다. 비정상 응답시 리드명령 응답패킷은 비정상응답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에러상태코드/종료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상 및 비정상 응답패킷들의 맨 처음 코드와 마지막 코드는 1바이트 헥사코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은 호스트에서 응답 패킷의 맨 처음과 마지막 바이트 구별을 용이하게 하여 처리동작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인식 동작은 리드명령동작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정상응답이 곤란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타임아웃상태로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상태코드는 타임아웃상태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호스트의 태그리드동작 대기시간을 줄여줄 수 있어서 호스트의 처리동작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태그리드동작을 종료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설계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호스트에서 무선인식 리더기들을 IP주소로 관리할 경우에는 호스트에 연결된 모든 무선인식 리더기들의 목적지 코드를 특정 코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은 IP 주소에 의해 개별 무선인식 리더기의 구별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호스트에서 별도로 목적지 코드를 해석하여 무선인식 리더기를 개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게 한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길이코드는 1바이트에서 최대 112바이트까지의 길이 값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좋다. 가변길이 태그 데이터는 1바이트에서 최대 112바이트까지의 임의의 바이트들의 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와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인식 동작은 리셋복구환경설정에 응답하여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명령 레지스터 값을 불휘발성 메모리에 복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은 정전 또는 시스템 리셋 후 재동작시 환경설정을 하지 않아도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환경 설정 값에 의해 자동적으로 복구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무선인식 동작은 연속리드모드 환경 설정시 태그인식이 되는 순간부터 태그가 인식되지 않을 때까지 설정된 시작어드레스와 데이터 길이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고,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고, 구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태그리드응답패킷을 패킷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연속리드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속리드동작은 무선인식 태그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이동 중이거나 센서가 없는 위치에서 태그부착물체의 진입 및 퇴출을 검출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무선인식 동작은 연속리드동작에서 태그가 인식되었다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태그없음상태’를 에러상태코드로 하는 비정상상태의 응답패킷을 송신하는 것에 의해 연속리드동작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호스트에서는 태그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면 무선인식 리더기의 인식범위 내에 태그부착물체가 진입하여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태그없음상태’의 에러상태코드가 수신되면 무선인식 리더기의 인식범위 내에서 태그부착물체가 퇴출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태그 통신부는 태그송수신부,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무선인식 동작은 명령코드에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의 안테나를 지정하는 안테나 채널정보를 포함하고, 안테나 채널정보에 응답하여 제어부는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여 선택된 안테나를 통하여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인식 동작은 연속리드동작시 복수의 안테나들을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면서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고, 정상 응답시 응답패킷의 명령코드에 선택된 안테나 채널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명령코드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상위 4비트는 리드명령정보를 포함하고, 하위 4비트는 안테나 채널선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인식 동작은 프로토콜 환경설정에 응답하여 바이너리 패킷 통신 프로토콜 및 ASC Ⅱ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인식 동작은 에어 프로토콜 커맨드 환경설정에 응답하여 ISO/IEC-15693프로토콜 및 제조사 프로토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인식 동작은 태그 리드 데이터영역 환경설정에 응답하여 유저 메모리 영역 및 UID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에러검출코드는 체크섬(Check Su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선인식 동작은 패킷 통신부를 통해 태그라이트명령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라이트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라이트 데이터를 태그 통신부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에 라이트하고, 라이트 동작이 정상으로 수행되면 라이트명령응답패킷을 패킷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라이트명령패킷은 출발지코드/목적지코드/라이트명령코드/시작어드레스코드/데이터길이코드/라이트데이터/에러검출코드를 구비하고, 정상 응답시 라이트명령응답패킷은 시작코드/목적지코드/라이트명령코드/가변길이 태그 데이터/종료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은 호스트로부터 태그리드명령이 수신되면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와,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는 단계와, 블록단위로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와, 구성된 데이터를 포함한 태그리드응답패킷을 호스트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태그리드명령이 수신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정상응답이 곤란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타임아웃에러를 발생하고, 호스트에 타임아웃상태코드를 포함하는 비정상 태그리드응답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리셋복구환경설정에 응답하여 휘방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환경설정 값을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연속리드동작 환경 설정시 태그인식이 되는 순간부터 태그가 인식되지 않을 때까지 설정된 시작어드레스와 데이터 길이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고,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여 태그리드응답패킷을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방법은 연속리드동작에서 태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태그없음상태’를 에러상태코드로 하는 비정상상태의 응답패킷을 송신하고 연속리드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태그리드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의 안테나를 지정하는 안테나 채널정보에 응답하여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를 통하여 태그 데이터를 리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연속리드동작시 복수의 안테나들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면서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고, 정상 응답시 응답패킷에 선택된 안테나 채널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은 호스트로부터 태그라이트명령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라이트 데이터를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에 라이트하고, 라이트 동작이 정상으로 수행되면 상기 호스트로 라이트명령응답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킷은 호스트에서 무선인식 리더기로 송신되는 하향 패킷과 무선인식 리더기에서 호스트로 송신되는 상향 패킷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하향패킷은 출발지코드/목적지코드/명령코드/에러검출코드를 구비한다. 상향패킷은 응답상태코드/목적지코드/명령코드/종료코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하향패킷의 명령코드는 명령필드/어드레스필드/데이터길이필드 및 명령필드/어드레스필드/데이터길이필드/가변길이 데이터필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향패킷의 명령코드는 명령필드, 명령필드/에러상태필드 및 명령필드/가변길이 데이터필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향패킷의 가변길이 데이터필드에는 대응하는 하향패킷의 데이터길이필드에서 지정한 데이터길이를 가진 데이터로만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인식태그로부터 리드된 블록단위의 태그 데이터들 중 무효 데이터가 제거되고 호스트에서 요구한 데이터만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리드 및 라이트 명령필드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상위 4비트는 명령식별정보를 포함하고, 하위 4비트는 안테나 채널선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향패킷들의 맨 처음 코드와 마지막 코드는 1바이트 헥사코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향패킷의 응답상태코드는 리드명령 정상응답상태, 라이트명령 정상응답상태 및 비정상 응답상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인식 리더기는 블록단위로 리드된 태그 데이터에 포함된 무효데이터를 제거하여 호스트에서 요청한 태그 데이터만을 전송함으로써 호스트 저장 공간에 무효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호스트의 처리동작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무인인식 리더기(100)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식 리더기(100)의 호스트(10) 및 무선인식 태그(200) 사이의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스트와 무선인식 리더기 사이의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하향 패킷의 명령코드의 필드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의 상향 패킷의 명령코드의 필드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저장부의 메모리 영역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환경설정 레지스터 영역(134A)에 저장되는 환경설정 레지스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CFG1 레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1024bits 용량을 가진 무선인식 태그(200)의 저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블록단위로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식 리더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Verbose Mode 에서의 태그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13는 본 발명에 의한 태그 라이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Continuous Mode에서의 태그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무선인식’ 용어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전파인식, 전자인식, 무선인식, 무선식별, 전자식별, 전파식별, 또는 IC 식별 등의 의미를 포괄적으로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무인인식 리더기(1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인인식 리더기(100)는 태그 통신부(110), 패킷 통신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태그 통신부(110)는 태그 송수신부(112), 스위칭수단(114) 및 4개의 안테나들(AT1, AT2, AT3, AT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 수는 시스템 설계에 따라 1 내지 다수의 안테나들로 구성할 수 있다. 태그 송수신부(112)는 무선인식 태그(200)를 인식하기 위하여 예컨대 13.56MHz 대역의 캐리어 주파수를 위상변조 또는 진폭변조 하여 고주파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주파신호는 안테나를 통하여 공중에 전파된다. 또한 태그 송수신부(112)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복조하여 태그 데이터를 출력한다. 태그 데이터는 제어부(140)에 전달된다. 태그 통신부(110)와 무선인식 태그(200) 사이의 통신 규정은 기본적으로 국제 표준규격인 ISO-15693 에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한편 태그 제조사에 따른 제조사 규격을 사용하기도 한다.
패킷 통신부(120)는 호스트(10)와 무선인식 리더기(100) 사이의 패킷 통신을 수행한다. 패킷통신규정은 호스트의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프로토콜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높은 설치환경을 가진 호스트뿐만 아니라 PLL 인터페이스와 같은 낮은 설치환경을 가진 컨베이어 시스템의 호스트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기본적인 바이트 단위로 교신하는 프로토콜을 기본으로 한다. 제어부(140)는 수신된 태그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 데이터에서 무효 데이터를 제거하고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만 구성하여 호스트(10)에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식 리더기(100)의 호스트(10) 및 무선인식 태그(200) 사이의 프로토콜을 정리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인식 리더기(100)와 호스트(10) 사이의 통신규정은 본 출원인이 발명한 CAP(Ceyon reader Access Protocol)1.3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CAP1.3 프로토콜은 ascⅡ통신 규정이고 CAP1.3s 프로토콜은 바이너리 통신 규정을 나타낸다. CAP1.3 프로토콜은 컴퓨터로 구성된 네트워크 통신 호스트와 asc Ⅱ통신을 사용하기 위하여 1워드, 즉 2바이트를 코드 기본 단위로 한다. CAP1.3s 프로토콜은 PLL 인터페이스로 구성된 시리얼 통신 호스트와 바이너리 통신을 사용하기 위하여 1바이트를 코드 기본 단위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호스트와 무선인식 리더기 사이의 패킷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패킷은 호스트(10)에서 무선인식 리더기(100)로 전송되는 하향 패킷(DP)과 무선인식 리더기(100)에서 호스트(10)로 전송되는 상향 패킷(UP)으로 구분된다.
하향 패킷(DP)은 응답요구코드(DP1), 목적지코드((DP2), 명령코드(DP3), 에러검출코드(DP4) 및 종료코드(DP5)를 포함한다. 상향 패킷(UP)은 응답상태코드(UP1), 목적지코드(UP2), 명령코드(UP3) 및 종료코드(UP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패킷들의 응답요구코드(DP1), 종료코드(DP5), 응답상태코드(UP1), 종료코드(UP4)는 1바이트 헥사코드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은 패킷의 처음과 끝부분을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한다.
목적지코드((DP2)는 무선인증 리더기(100)의 고유식별코드를 포함한다. 호스트에서 복수의 무선인증 리더기들(100)을 IP 주소로 관리할 경우에는 무선인증 리더기(100)의 고유식별코드의 구별이 의미 없으므로 모두 공통적으로 동일한 값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IP 주소로 관리할 경우 목적지코드((UP2)가 고정된 값과 다를 경우 호스트에서는 에러 처리하게 된다.
하향 패킷의 명령코드(DP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필드들로 구성된다. 명령코드(DP31)는 1바이트 명령필드(DP311), 1바이트 어드레스필드(DP312) 및 1바이트 데이터 길이필드(DP313)의 3필드로 구성된다. 명령코드(DP31)의 일예로는 태그리드명령코드[80h(CMD) 00h(ADD) 08h(LEN)]가 있다. 명령코드(DP32)는 1바이트 명령필드(DP321), 1바이트 어드레스필드(DP322) 및 1바이트 데이터 길이필드(DP323), n 바이트 가변길이 데이터 필드(DP324)의 3+n 필드로 구성된다. 명령코드(DP32)의 일예로는 태그라이트명령코드[90h(CMD) 00h(ADD) 08h(LEN)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가 있다.
상향 패킷의 명령코드(UP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이상의 필드들로 구성된다. 명령코드(UP31)는 1바이트 명령필드(UP311)의 1필드로 구성된다. 명령코드(UP31)의 일예로는 정상상태의 태그라이트응답명령코드[90h(CMD)]가 있다. 명령코드(UP32)는 1바이트 명령필드(UP311), 1바이트 에러상태필드(UP312)의 2필드로 구성된다. 명령코드(UP32)의 일예로는 비정상 상태의 태그라이트명령코드[80h(CMD) 16h(ERR)]가 있다. 명령코드(UP33)는 1바이트 명령필드(UP331), n 바이트 가변길이 데이터 필드(UP332)의 1+n 필드로 구성된다. 명령코드(UP33)의 일예로는 태그리드응답명령코드[80h(CMD) 08h(LEN)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가 있다.
상향 패킷(UP)의 응답상태코드(UP1)는 리드명령 정상응답상태(STX), 라이트명령 정상응답상태(ACK), 비정상응답상태(NAK)를 포함한다.
하향 패킷(DP)의 에러검출코드(DP4)는 체크 섬 코드로 DP1+DP2+DP3의 합을 코드 값으로 가진다. 일예를 들면 [05h(DP1) + 01h(DP2) + {08h + 01h}(DP3)]이라면 체크 섬 코드값은 1Ah으로 생성된다.
도 6은 도 1의 저장부의 메모리 영역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장부(130)는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와 EEPROM과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140)에서는 메모리 어드레스 제어를 위하여 휘발성 메모리 영역(132)과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134)을 구분한다. 휘발성 메모리 영역(132)은 데이터 저장영역(132A)과 명령 레지스터 영역(132B)으로 구분되고 데이터 저장영역(132A)은 호스트 데이터 영역(132a)과 태그 데이터영역(132b)로 구분된다. 호스트 데이터 영역(132a)에는 호스트로부터 다운로드된 데이터 또는 호스트에 업로드할 데이터가 저장된다. 태그 데이터영역(132b)에는 무선인식 태그(20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 또는 무선인식 태그(200)에 라이트할 데이터가 저장된다. 명령 레지스터 영역(132B)에는 수신된 현재 명령필드 값이 저장된다.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134)은 환경설정 레지스터 영역(134A)과 리셋복구 명령 레지스터 영역(134B)으로 구분된다. 리셋복구 환경 설정이 된 경우 리셋복구 명령 레지스터 영역(134B)에는 명령 레지스터 영역(132B)의 값이 복사된다.
도 7은 도 6의 환경설정 레지스터 영역(134A)에 저장되는 환경설정 레지스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환경설정 레지스터는 ACH, CFG0, CFG1, ITS, 층0, RTB, RTA, VT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CH 레지스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안테나들(AT1, AT2, AT3, AT4)의 사용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 안테나 채널은 인에이블로 설정되고 불사용 안테나 채널은 디스에이블로 설정된다.
도 8은 도 7의 CFG1 레지스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CFG1 레지스터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b7은 버저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설정 비트이고, b6은 프로토콜 설정 비트로 “1” 이면 PLL연동을 위한 바이너리 통신 프로토콜(CAP1.3s)이 설정되고 “0”이면 ASC Ⅱ 통신 프로토콜(CAP1.3)이 설정된다. b4는 TRC(Tag Read in Continuous mode) 설정 비트로 “1”이면 태그의 유저 메모리 영역이 설정되고 “0”이면 태그의 UID 메모리 영역이 설정된다. b1은 리드모드설정비트로 “1”이면 Verbose Mode가 설정되고, “0”이면 Continuous Mode가 설정된다.
CMD0 레지스터는 APC(Air Protocol Command) 설정 비트를 포함하고 비트 값이 “1”이면 ISO/IEC-15693 프로토콜이 설정되고 “0”이면 Philips 프로토콜이 설정된다. 또한 CMD0 레지스터는 CSE(COMMAND SAVE EEPROM) 설정 비트를 포함하고 CSE가 설정되면 휘발성 메모리 영역(132)에 저장된 현재의 명령 레지스터 값을 불휘발성 메모리영역(134)에 저장함으로써 무선인식 리더기(100)가 리셋 되어도 리셋 복구시 저장된 현재 명령 레지스터 값을 실행하는 상태로 복구가 가능하다.
RTB 레지스터는 Continuous Mode에서 태그로부터 리드할 데이터 길이 값을 설정하는 레지스터이다, RTA는 Continuous Mode에서 태그로부터 리드할 데이터의 시작 어드레스 값을 설정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Continuous Mode 설정시에는 태그가 인식되면 자동적으로 RTA에 설정된 시작 어드레스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여 RTB에 설정된 데이터 길이 값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리드한다.
ITS(Interface Type) 레지스터는 인터페이스 타입을 설정하는 레지스터로 시리얼 인터페이스 또는 Ethernet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레지스터이다. ITS의 설정 값을 변경하면 무선인식 리더기(100)는 장치 재시작 후 설정 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VTO(Verbose mode Time Out) 레지스터는 Verbose mode일 때 Reading Time out을 설정하기 위한 레지스터이다. VTO 조정단위는100ms이며 예컨대 VTO값을 1Eh로 설정하였다면 Time out은 3초가 된다. 따라서 무선인식 리더기(100)에서는 3초가 넘어서도 Tag ID가 인식되지 않으면 Time out 에러를 발생하여 호스트에 리드명령에 대한 에러응답패킷을 송신한다.
도 6의 태그 데이터 영역(132b)에는 무선인식 태그(200)로부터 리드된 데이터가 저장된다. 무선인식 태그(200)는 통상 불휘발성 메모리인 EEPROM를 포함하고 블록단위로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고 라이트 한다.
도 9는 1024bits 용량을 가진 무선인식 태그(200)의 저장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1024 bits 저장용량을 가진 무선인식 태그(200)의 저장공간은 32비트 길이를 가진 32블럭들로 구성된다. 상위 28블록(Block4~Block31)은 유저 데이터 공간으로 할당되고 나머지 하위 4블럭(Block0~Block3)은 UID 데이터 공간으로 할당된다. 따라서 무선인식 태그(200)는 리드명령이 수신되면 블록단위로 데이터를 리드하여 무선인식 리더기(100)로 송신한다. 그러므로 무선인식 리더기(100)에서는 수신된 블록단위의 태그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블록단위로 저장한다.
통상 무선인식 리더기(100)에서는 무선인식 태그(200)로부터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저장하고 저장된 블록단위 태그 데이터(RD)를 그대로 호스트(10)에 전송한다. 따라서 호스트(10)에서 요청한 유저 데이터가 4의 배수가 아닌 경우에도 4의 배수단위 그대로 호스트로 전달되게 된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10)에서 요청한 데이터의 길이가 5 바이트인 경우에 2개 블록에 해당하는 8바이트 데이터(UD1)가 전송된다. 그러므로 호스트에서는 불필요한 3바이트를 일단 수신한 다음에 불필요한 3바이트 부분은 버리고 나머지 5바이트만 활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호스트의 저장 공간에 불필요한 무효 바이트들에 쌓이게 되고 호스트는 필요한 5바이트를 추출하여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환경은 호스트 프로그램 설계를 복잡하게 하고 호스트 처리동작에 부담을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인식 리더기(100)에서 리드된 블록단위의 태그 데이터(RD)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바이트 수인 5 바이트 열의 데이터(UD2)로 구성하여 호스트로 전송함으로써 호스트의 저장 공간에 불필요한 무효 데이터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호스트 프로그램 설계 부담을 낮출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인식 리더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Verbose Mode 에서의 태그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의한 태그 라이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Continuous Mode에서의 태그 리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인식 리더기(100)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전원이 투입되면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저장부(130)의 레지스트리 값에 따라 시스템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시스템이 설정된 상태에서 먼저 제어부(140)는 CFG1 레지스터의 동작모드 설정 비트 값에 따른 설정동작모드를 판단한다(S102). S102단계에서 CFG1 레지스터의 b1값이 “1”이면 Verbose Mode가 설정되고, “0”이면 Continuous Mode가 설정된다.
Verbose Mode 조건에서 응답요청 패킷이 호스트로부터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104), 수신된 응답요청 패킷의 명령코드가 리드명령인지(S106) 아니면 라이트 명령인지(S122) 아니면 기타 다른 명령인지(S132)를 판단하고 각 명령에 응답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S106단계에서 리드명령이 수신되면 태그 리드동작을 수행한다(S108)
도 11을 참조하면, 리드명령 응답요청패킷 [05h(ENQ) 01h(RID) 80h(CMD) 00h(ADD) 05h(LEN) 8Eh(CS) 03h(ETX)]이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수신된 CS 값과 합산된 [05h(ENQ) 01h(RID) 80h(CMD) 00h(ADD) 05h(LEN)]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제어부(140)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에러를 호스트(10)에 송신한다. 일치하면 80h(CMD) 명령을 수행하여 [00h(ADD) 05h(LEN)] 값을 태그(200)에 전송한다. 이에 태그(200)로부터 대응하는 2블록 태그 데이터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 가 수신된다(S110). 수신된 2블록 태그 데이터는 저장부(130)의 태그 데이터 영역(132b)에 저장된다. 제어부(140)는 태그 데이터 영역(132b)에 저장된 8 바이트 데이터 중 유효한 5바이트 데이터만을 호스트 데이터영역(132a)에 저장하여 호스트(10)에서 요청한 데이터길이 [05h(LEN)]에 대응하는 업로드 데이터를 구성한다(S112). 이어서 제어부(140)는 정상 태그리드응답패킷[02h(STX) 01h(RID) 80h(CMD) 01h 02h 03h 04h 05h(DATA) 03h(ETX)]을 호스트(10)로 전송하여(S114) 정상적인 리드동작을 종료한다. 이어서 시스템 종료를 판단하고(S116) 아니면 다음 명령을 대기하기 위하여 S104단계로 복귀한다.
S110단계에서 설정된 타임아웃시간(VTO) 예컨대 3초가 경과되어도 태그(2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S118) 타임아웃상태 에러응답패킷[15h(NAK) 01h(RID) 80h(CMD) 16h(ERR) 03h(ETX)]을 전송하고 비정상 리드 동작을 종료한다(S120).
S122단계에서 라이트 명령이 수신되면 태그 라이트동작을 수행한다(S124).
도 12을 참조하면, 라이트명령 응답요청패킷 [05h(ENQ) 01h(RID) 90h(CMD) 00h(ADD) 08h(LEN)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 42h(CS) 03h(ETX)]이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수신된 CS 값과 합산된 [05h(ENQ) 01h(RID) 90h(CMD) 00h(ADD) 08h(LEN)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을 비교하여 에러를 검출한다. 제어부(140)에서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에러를 호스트(10)에 송신한다. 일치하면 90h(CMD) 명령을 수행하여 [00h(ADD) 08h(LEN)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 값을 태그(200)에 전송한다. 이에 태그(200)로부터 라이트 완료호(ack)가 수신된다(S126). 이어서 제어부(140)는 정상 태그라이트응답패킷[06h(ACK) 01h(RID) 90h(CMD) 03h(ETX)]을 호스트(10)로 전송하여(S128) 정상적인 라이트동작을 종료한다. 이어서 시스템 종료를 판단하고(S116) 아니면 다음 명령을 대기하기 위하여 S104단계로 복귀한다.
S126단계에서 설정된 타임아웃시간(VTO) 예컨대 3초가 경과되어도 태그(200)로부터 라이트 완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S130) 라이트 실패상태 에러응답패킷[15h(NAK) 01h(RID) 90h(CMD) 0Dh(ERR) 03h(ETX)]을 전송하고 비정상 리드 동작을 종료한다(S120).
S102단계에서 시스템이 Continuous Mode로 설정되면 태그 자동 리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태그(200)가 무선인식 범위 내에 존재한지를 판단한다(S134). S134단계에서 태그가 인식되면 도 14에 도시된 태그 자동리그 동작을 수행한다(S136),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RTA 및 RTB 레지스터에 설정된 리드 시작 어드레스 값과 데이터 길이 값[00h(ADD) 08h(LEN)]을 태그에 전송한다.
태그(200)에서 [00h(ADD) 08h(LEN)]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를 무선인식 리더기(100)에 전송한다. 무선인식 리더기(100)에서는 업로드 데이터를 구성하고(S140) 연속리드 응답패킷[02h(STX) 01h(RID) A0h(CMD)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 03h(ETX)]을 호스트(10)로 전송한다(S144). 이어서 태그(200)가 여전히 무선인식 범위 내에 존재한지를 판단한다(S144). S144단계에서 태그(200)가 존재하면 S136~S144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한다. 주기적 반복 수행시 4채널 안테나가 지정된 경우에는 CMD필드의 상위 4비트는 “Ah” 값을 유지하고 하위 4비트는 안테나 채널값을 “0h 1h 2h 3h”로 변경하여 안테나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면서 연속 리드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리드 응답패킷은 [02h(STX) 01h(RID) A0h(CMD)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 03h(ETX)] [02h(STX) 01h(RID) A1h(CMD)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 03h(ETX)] [02h(STX) 01h(RID) A2h(CMD)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 03h(ETX)] [02h(STX) 01h(RID) A3h(CMD) 01h 02h 03h 04h 05h 06h 07h 08h(DATA) 03h(ETX)] 으로 생성된다. 호스트에서는 CMD필드 값을 해석하여 연속리드모드에서 4채널 안테나로 태그 데이터가 반복해서 리드되는 데이터임을 알게 된다.
S138단계에서 태그 데이터 수신이 없고 타임아웃 시간이 경과되거나(S146) S144단계에서 태그가 인식되지 않으면 에러응답패킷[15h(NAK) 01h(RID) A3h(CMD) 17h(ERR) 03h(ETX)]을 호스트로 전송하고(S120) 연속리드동작을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는 바이너리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ASC Ⅱ 프로토콜에 의하면 패킷의 맨처음 및 마지막 1바이트를 제외한 나머지 코드들이 2바이트 헥사코드로 구성된 점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 환경설정 레지스터들의 리드 라이트 동작은 생략하였지만 상술한 태그 리드 라이트 동작과 유사한 개념으로 수행된다.
10 : 호스트
100 : 무선인식 리더기
110 : 태그 통신부
120 : 패킷 통신부
130 : 저장부
140 : 제어부
200 : 무선인식 태그

Claims (38)

  1. 무선인식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고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리더기는 태그 통신부, 패킷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인식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상기 패킷 통신부를 통해 태그리드명령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태그 통신부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고, 상기 패킷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로 구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리드명령응답패킷을 송신하는 동작을 구비하고,
    상기 태그리드명령패킷은 응답요구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시작어드레스코드/데이터길이코드/에러검출코드/종료코드를 구비하고, 정상 응답시 리드명령 응답패킷은 시작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가변길이 태그 데이터/종료코드를 구비하며, 비정상 응답시 리드명령 응답패킷은 비정상응답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에러상태코드/종료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한다라는 것은 상기 저장부에 블록단위로 저장된 데이터들 중 상기 태그리드명령패킷에 포함된 가변길이 태그 데이터에서 요청한 바이트 단위의 요청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상기 리드명령응답패킷의 가변길이 태그 데이터 필드에 실어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패킷들의 맨 처음 코드와 마지막 코드는 1바이트 헥사 코드로 구성한 무선인식 리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리드명령동작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정상응답이 곤란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타임아웃상태로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에러상태코드는 타임아웃상태코드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 코드는 호스트에서 복수의 무선인식 리더기들을 IP주소로 관리할 경우에는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지는 무선인식 리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길이코드는 1바이트에서 최대 112바이트까지의 바이트 수 값을 가질 수 있는 무선인식 리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길이 태그 데이터는 1바이트에서 최대 112바이트까지의 임의의 바이트들의 열로 구성된 무선인식 리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휘발성 메모리와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리셋복구환경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명령 레지스터 값을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복사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연속리드동작 환경 설정시 태그인식이 되는 순간부터 태그가 인식되지 않을 때까지, 설정된 시작어드레스와 데이터 길이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고,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고, 상기 패킷 통신부를 통해 구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연속리드응답패킷을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연속리드동작에서 태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태그없음상태’를 에러상태코드로 하는 비정상상태의 응답패킷을 송신하고 연속리드동작을 종료하는 동작을 더 구비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통신부는 태그 송수신부,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의 안테나를 지정하는 안테나 채널정보를 명령코드에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채널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스위칭 수단을 제어하고 선택된 안테나를 통하여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통신부는 태그 송수신부, 복수의 안테나들 및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스위칭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연속리드동작시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면서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고, 정상 응답시 응답패킷의 명령코드에 선택된 안테나 채널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신하는 동작을 더 구비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코드는 1바이트로 구성되고 상위 4비트는 리드명령정보를 포함하고, 하위 4비트는 안테나 채널선택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프로토콜 환경설정에 응답하여 바이너리 패킷 통신 프로토콜 및 asc Ⅱ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구비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에어 프로토콜 커멘드 환경설정에 응답하여 ISO-15693프로토콜 및 필립스 프로토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구비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태그 리드 데이터영역 환경설정에 응답하여 유저 메모리 영역 및 UID 영역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을 더 구비하는 무선인식 리더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검출코드는 체크섬(Check sum)인 무선인식 리더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 동작은
    상기 패킷 통신부를 통해 태그라이트명령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바이트 열의 라이트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라이트 데이터를 상기 태그 통신부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에 라이트하고, 라이트 동작이 정상으로 수행되면 라이트명령응답패킷을 상기 패킷 통신부를 통해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더 구비한 무선인식 리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라이트명령패킷은 응답요구코드/목적지코드/라이트명령코드/시작어드레스코드/데이터길이코드/라이트데이터/에러검출코드를 구비하고, 정상 응답시 라이트명령응답패킷은 시작코드/목적지코드/라이트명령코드/종료코드를 구비한 무선인식 리더기.
  21. 무선인식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고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 전송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호스트로부터 태그리드명령패킷이 수신되면 무선인식 태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로부터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는 단계;
    상기 블록단위로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는 단계;
    구성한 데이터를 포함한 태그리드응답패킷을 호스트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태그리드명령패킷은 응답요구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시작어드레스코드/데이터길이코드/에러검출코드/종료코드를 구비하고, 정상 응답시 리드명령 응답패킷은 시작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가변길이 태그 데이터/종료코드를 구비하며, 비정상 응답시 리드명령 응답패킷은 비정상응답코드/목적지코드/리드명령코드/에러상태코드/종료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한다라는 것은 블록단위로 리드된 데이터들 중 상기 태그리드명령패킷에 포함된 가변길이 태그 데이터에서 요청한 바이트 단위의 요청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상기 리드명령응답패킷의 가변길이 태그 데이터 필드에 실어서 구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태그리드명령이 수신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정상응답이 곤란할 때에는 자동적으로 타임아웃에러를 발생하고, 호스트에 타임아웃상태코드를 포함하는 비정상 태그리드응답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리셋복구환경설정에 응답하여 휘방성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현재 명령 레지스터 값을 불휘발성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연속리드동작 환경 설정시 태그인식이 되는 순간부터 태그가 인식되지 않을 때까지, 설정된 시작어드레스와 데이터 길이에 대응하는 태그 데이터를 블록단위로 리드하고, 리드된 태그 데이터를 호스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로 구성하고, 구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태그리드응답패킷을 호스트로 송신하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연속리드동작에서 태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태그없음상태’를 에러상태코드로 하는 비정상상태의 응답패킷을 송신하고 연속리드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태그리드명령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의 안테나를 지정하는 안테나 채널정보에 응답하여 복수의 안테나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안테나를 통하여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연속리드동작시 복수의 안테나들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면서 태그 데이터를 리드하고, 정상 응답시 태그리드응답패킷에 선택된 안테나 채널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신하는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방법은
    호스트로부터 태그라이트명령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라이트 데이터를 인식된 무선인식 태그에 라이트하고, 라이트 동작이 정상으로 수행되면 라이트명령응답패킷을 상기 호스트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무선인식 리더기의 제어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70093808A 2017-07-24 2017-07-24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 KR10189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08A KR101891924B1 (ko) 2017-07-24 2017-07-24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08A KR101891924B1 (ko) 2017-07-24 2017-07-24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924B1 true KR101891924B1 (ko) 2018-08-24

Family

ID=6345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08A KR101891924B1 (ko) 2017-07-24 2017-07-24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4685A (zh) * 2020-12-01 2021-03-09 深圳项荣科技有限公司 一种带距离感应的rfid读卡器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396A (ja) * 2009-02-26 2010-09-09 Renesas Electronics Corp 無線タグリーダライタ及びその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396A (ja) * 2009-02-26 2010-09-09 Renesas Electronics Corp 無線タグリーダライタ及びその通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4685A (zh) * 2020-12-01 2021-03-09 深圳项荣科技有限公司 一种带距离感应的rfid读卡器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7313B1 (en) RFID-tag with tuning means
US8814053B2 (en) Mobile payment device with small inductive device powered by a host device
US8248213B2 (en) Deterministic method for efficiently querying and identifying multiple items on a communication channel
US7733227B1 (en) RFID tags circuits and methods for sensing own power to predetermine feasibility of requested action
EP2377067B1 (en) Inclusive or exclusive rfid tag interrogation and query round
US8044774B1 (en) RFID tag chips and tags able to be partially killed and methods
US20060187031A1 (en) Selecting RFID tags using memory-mapped parameters
US20100033310A1 (en) Power negotation for small rfid card
US200700698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multiple tags with different protocols in RFID system
US9317725B1 (en) RFID protocol
JP6516133B2 (ja) 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システム
KR101891924B1 (ko) 무선인식 리더기 및 제어방법과, 시스템의 패킷
US10931331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8036329B2 (en) Sychronization during anti-collision
JP4466678B2 (ja) Rfidタグ並びにrfidタグにおける共振周波数の調整方法
EP2770755B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type identification
JP2004248310A (ja) Rfidタグと質問器(リーダ・ライタ)のデータ処理方法
KR101500188B1 (ko)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충돌 감지 방법 및 장치
KR20110027423A (ko) Rfid 시스템에서 태그 인식 속도 향상 방법
KR100820568B1 (ko) Rfid 태그 및 그의 클럭 주파수 안정화 방법
JP5991119B2 (ja) 通信システム、icカード、icカードの処理プログラム、外部機器、及び通信方法
US20110148598A1 (en) Rfid system
KR20080042625A (ko) 알에프아이디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선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