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780B1 - 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780B1
KR101891780B1 KR1020170007248A KR20170007248A KR101891780B1 KR 101891780 B1 KR101891780 B1 KR 101891780B1 KR 1020170007248 A KR1020170007248 A KR 1020170007248A KR 20170007248 A KR20170007248 A KR 20170007248A KR 101891780 B1 KR101891780 B1 KR 10189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coupling
ground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2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5095A (en
Inventor
이경현
Original Assignee
이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현 filed Critical 이경현
Priority to KR1020170007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780B1/en
Publication of KR2018008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0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 그리고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 그리고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und portions is achieved by fastening the socket and the plug through a coupling means for snap- Touch type ground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s
A first grounding part provided inside the socket, a second grounding part provided in the plug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ocket and the plug,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portions is achieved by fastening the socket and the plug by the means.

Description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having a one-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되는, 제1단자부를 구비한 소켓과 제2단자부를 구비한 플러그로 구성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comprising a socket having a first terminal portion and a plug having a second terminal portion,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socket and a plug to each other by fastening a socket and a plug through a coupling means for snap- Touch type grounding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on is made together.

두 단자를 상호 연결시키는 커넥터에서, '접지'는 현실에서는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예방, 회로적으로는 전위가 0인 기준 전위를 설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커넥터가 가령 자동차나 건물 전력 배선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전압이 감전 사고를 일으키기에 충분히 높기 때문에 반드시 접지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In a connector interconnecting two terminals, 'ground' is indispensable in order to prevent electric shock caused by a short circuit in reality, and to set a reference potential with a potential of 0 in a circuit. Especially when the connector is used for automobile or building power wiring, for example, the voltage is high enough to cause an electric shock accident, so it is necessary to have a ground.

일반적인 커넥터에서는 이러한 접지를 접지단에 납땜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 피복을 제거한 전선 가닥을 접지단에 묶는 방식 또는 구멍이나 홈 형태의 접지단에 삽입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다.In a general connector, such a method is variously provided such as a method of connecting such a ground via soldering to a ground terminal, a method of tying a wire strand with a shield to a ground terminal, or a method of inserting into a hole or a groove type ground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들은 접지 연결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접지 불량에 따르는 유지/보수/관리/교체 등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methods are inconvenient in connection with a ground connection, thus requiring a long operation tim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maintenance / repair / management / replacement due to poor grounding is very troublesome.

커넥터의 접지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508319호(2015년03월27일)[실드 전선의 어스 접속 구조](이하 종래기술1) 및 등록특허 제10-1560198호(2015년10월07일)[전기 케이블 접지 구조물](이하 종래기술2) 등이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 art relating to the grounding of a connector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508319 (Mar. 27, 2015) [Ground Connection Structure of Shielded Wi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and Patent No. 10-1560198 October 07) [electric cable grounding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ior Art 2 ").

종래기술1은 신호선과 실드층이 단락될 우려가 없고, 제조 작업성이 좋은 실드 전선의 어스 접속 구조를 제시하고 있고, 종래기술2는 전기 케이블을 접지 케이블 측으로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전기 케이블과 접지 케이블 사이 간격에 대응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는 전기 케이블의 접지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Prior art 1 discloses a ground connection structure of a shielded wire which is free from the risk of shorting between a signal line and a shield layer and has good manufacturing workability. Prior Art 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ic cable is easily connected to a ground cable side, And a grounding structure of an electric cable which can be connect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ing cables.

그러나 종래기술1 및 2를 포함하여, 종래의 기술들은 납땜 방식, 묶음 방식, 삽입 방식 등에 비해 유리한 점을 가지고 있긴 하나, 접지 연결의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따르는 작업시간 지연, 또는 접지 불량 시의 유지/보수/관리/교체 등의 번거로움 등에 의한 공임 및 기타 비용 문제 등은 여전히 남아있다.However, the prior arts including the prior arts 1 and 2 have advantages over the soldering method, the bundling method, the inserting method and the like. However, since the work time delay due to complicated grounding connection or the maintenance / Maintenance, management / replacement, etc. due to troublesome work and other cost problems remain.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Therefore, the need for technology to solve these problems is re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커넥터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portions is made coincident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fastening the socket and the plug through the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socket and the plug of the connector in a snap manner Touch type grounding structure,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connector.

또한 고유의 제1접지부와 제2접지부의 구성에 의해,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자연스럽게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접지를 위해 별도로 회로 구성을 하거나 또는 별도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the first ground portion and the second ground portion inherently ha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round terminal and the second ground terminal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u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ly forming a circuit or performing a separate wiring work.

아울러 제1접지부의 접지단자를 통전커버의 절곡을 통해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지 구조물이나 소자를 생략하고, 이를 통해 부품 수 절감 및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ounding terminal of the first grounding portion through bending of the energizing cover, thereby omitting a separate grounding structure or element,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나아가 제2접지부를 통전케이스의 상면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접지 구조물이나 소자를 생략하고, 이를 통해 부품 수 절감 및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Further, by constituting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urrent-carrying case, a separate grounding structure or element is omitt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simplifying the structure.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소켓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 그리고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지부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 그리고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grounding part provided inside the socket, a second grounding part provided in the plug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ing part, and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ocket and the plug,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portions is achieved by fastening the socket and the plug by the means.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소켓 내부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된 두 벽체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의 일 측에 타 측으로 돌출 구비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플러그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체, 상기 삽입체 하측에 구비된 이격공간 및, 상기 삽입체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제1결합대응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engaging means includes a first engaging portion provided in the socket and including a guide groove formed by two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etaining protrusion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sert,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insert and engaging with the engaging jaw, the insertion engager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guided by the guide, .

아울러 상기 제1접지부는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의 외면을 감싸는 통전커버, 상기 두 벽체의 하측에 구비되고 장착홈을 가진 판체 및, 상기 통전커버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소켓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ground portion may include a conductive cov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socket, a plate body provided below the two walls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and a plate member bent and extended from the conductive cover, And a ground terminal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through the through hole.

나아가 상기 제2접지부는 상기 플러그의 제2단자부를 감싸고 상기 플러그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의 상면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ground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by an upper surface of a current-conducting case surrounding the second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and capturing the wires of the plug.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자 연결 시 접지가 함께 연결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함으로써, 커넥터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또한 고유의 제1접지부와 제2접지부의 구조 및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접지를 위해 별도로 회로 구성을 하거나 또는 별도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부품 수 절감 및 구조적 단순화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Touch type ground structure in which the grounds are connected together when the terminals are connect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connector, an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the inherent first and second ground portions separate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ircuit construction or separate wiring work, as well as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simplify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결합 예)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
Fig. 1 is a view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ed example)
Figures 2 to 4 are partial block dia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은 커넥터의 소켓과 플러그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과 플러그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y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und portions is achieved by fastening the socket and the plug through a coupling means for snap- Touch-type grounding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formed toget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이하 본 기구(C))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nector having a one-touch type groun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mechanism C ")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략적으로 방향을 특정하면, 각 설명은 각 도면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특히 이하에서 '전방', '전면', '후방', '후면' 등의 표현은 소켓(Cs)과 플러그(Cp)의 결합을 위해 각각(Cs)(Cp)이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a direction is roughly specified, each description is based on the state as shown in each drawing, and in particular, the terms 'front', 'front' Quot; rear ", " rear ", and the like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each of (Cs) and (Cp) advances for the connection of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Unless otherwise stated, the claims are also followed.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로, 소켓(Cs)과 플러그(Cp) 간의 결합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example between a socket Cs and a plug Cp, which is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구(C)는 크게 소켓(Cs)과 플러그(Cp)로 이루어지고, 추가로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이루는 구성들로, 제1접지부(1), 제2접지부(2) 및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mechanism C is mainly composed of a socket Cs and a plug Cp, and further has a configuration of a one-touch type grounding structure. The first grounding portion 1, A ground unit 2 and a coupling means.

각 구성 별로, 소켓(Cs)은 제1단자부(T1)를 구비하고, 플러그(Cp)는 제2단자부(T2)를 구비하는데, 따라서 소켓(Cs)에 플러그(Cp)가 삽입 결합될 때, 제1단자부(T1)와 제2단자부(T2)는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ocket Cs has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plug Cp has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so that when the plug Cp is inserted into the socket Cs,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제1접지부(1)는 소켓(Cs) 내부에 구비되고, 그라운드에 연결되어 전위 기준을 제공하며, 제2접지부(2)는 플러그(Cp) 내부에 구비되어 제1접지부(1)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접지부(1)와 제2접지부(2) 간의 연결은 물리적 연결 및 전기적 연결 모두를 포함하여 해석 가능하고, 특히 제1접지부(1)와 제2접지부(2)는 그 위치가 치환되어, 가령 플러그(Cp)에 제1접지부(1)가 구비되고 소켓(Cs)에 제2접지부(2)가 구비되는 실시도 가능하다.The first ground 1 is provided inside the socket Cs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to provide a potential reference and the second ground 2 is provided inside the plug Cp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1, Lt; / RTI > 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grounding part 1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2 can be interpreted to include both a physical connection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in particular, the first grounding part 1 and the second grounding part 2 It is also possible to replace the position so that the first ground 1 is provided in the plug Cp and the second ground 2 is provided in the socket Cs.

결합수단은 소켓(Cs)과 플러그(Cp)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본 기구(C)는 결합수단으로 소켓(Cs)과 플러그(Cp)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접지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upling means is a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so that the mechanism C is engaged with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by the coupling means, (1) and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전기 회로 구성에 있어서, '접지'는 현실에서는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 예방, 회로적으로는 전위가 0인 기준 전위를 설정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본 기구(C)가 가령 자동차나 건물 전력 배선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전압이 감전 사고를 일으키기에 충분히 높기 때문에 반드시 접지를 구비해야 할 것이다.In the electric circuit configuration, 'ground' is indispensable in order to prevent electric shock accidents caused by electric leakage, and to set the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whose electric potential is zero in a circuit. In particular, when the apparatus (C) is used for automobiles, building electric power wiring, etc., the voltage must be sufficiently grounded because it is high enough to cause an electric shock.

일반적인 커넥터에서는 이러한 접지를 접지단에 납땜을 통해 연결하는 방식, 피복을 제거한 전선 가닥을 접지단에 묶는 방식 또는 구멍이나 홈 형태의 접지단에 삽입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구비하고 있다.In a general connector, such a method is variously provided such as a method of connecting such a ground via soldering to a ground terminal, a method of tying a wire strand with a shield to a ground terminal, or a method of inserting into a hole or a groove type ground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들은 접지 연결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접지 불량에 따르는 유지/보수/관리/교체 등이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uch conventional methods are inconvenient in connection with a ground connection, thus requiring a long operation tim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maintenance / repair / management / replacement due to poor grounding is very troublesome.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커넥터의 소켓(Cs)과 플러그(Cp)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통해 소켓(Cs)과 플러그(Cp)를 체결함으로써, 제1 및 제2단자부(T1)(T2)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커넥터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is inconvenience by fastening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through the coupling means for snap-fitting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of the connector, Touch grounding structure is form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portions 1 and 2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T1 and T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소켓(Cs)을, 도 3은 플러그(Cp)를, 도 4는 통전케이스(20)를, 도 5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2소켓(Cs`)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Fig. 2 shows a socket Cs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 plug Cp, Fig. 4 shows a power supply case 20 and Fig. 5 shows a second socket Cs & Fig. Hereinafter, more specific features and addition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attached hereto.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기한 결합수단의 구성 및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결합수단은 소켓(Cs)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31)와 플러그(Cp) 내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대응부(33)로 구성된다.2 to 4, the coupling means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31 provided in the socket Cs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1 provided inside the plug Cp. And the first engagement corresponding portion 33 is 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31)는 상호 이격된 두 벽체(30)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311) 및, 안내홈(311)의 일 측에 타 측으로 돌출 구비된 걸림턱(312)을 포함한다.2,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 includes a guide groove 311 formed by two wall members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guide groove 311 protruding toward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311 And an engagement stop 312 provided.

각 구성 별로, 먼저 벽체(30)는 소켓(Cs)의 내부 공간 중 상부에 형성되며, 안내홈(311)은 상호 이격된 두 벽체(30)의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The wall 30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Cs and the guide groove 311 is a space between the two walls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다음 걸림턱(312)은 안내홈(311)의 일 측, 즉 소켓(Cs)의 내부 상부면에 형성되고, 타 측, 즉 하측으로 돌출되게끔 구비된다.The next stopping step 3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311, that is,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 the other side, that is, the lower side.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대응부(33)는 안내홈(31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체(331), 삽입체(331) 하측에 구비된 이격공간(332) 및, 삽입체(331) 상에 형성되어 걸림턱(31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333)를 포함한다.3, the first engagement corresponding portion 33 includes an insert 331 inserted and guided into the guide groove 311, a spacing space 332 provided below the insert 331, And a latching protrusion 333 formed on the insert 331 and engaged with the latching protrusion 312.

각 구성 별로, 먼저 삽입체(331)는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 형성되고, 소켓(Cs)과 플러그(Cp)의 결합 시 소켓(Cs) 측에 구비된 안내홈(311)에 삽입된다.The insertion body 331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plug Cp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11 provided on the socket Cs side when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are engaged, do.

다음 이격공간(332)은 삽입체(331)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삽입체(331)가 일부는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 연결되고, 또 다른 일부는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서 이격되며, 이 이격된 부분이 이격공간(332)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 이격공간(332)은 삽입체(331) 중, 플러그(Cp)의 상부 외부면에 연결된 일부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격공간(332)은 기 결합된 소켓(Cs)과 플러그(Cp)를 분리할 때 제1결합부(31)의 걸림턱(312)과 제1결합대응부(33)의 걸림돌기(333) 간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The next spacing space 332 is provided below the insert 331 where the insert 331 is partly connect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plug Cp and another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plug Cp And the spaced apart portions form a spacing space 332.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ing space 332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a portion of the insert 331 connect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plug Cp. The spacing space 332 is defined by the engaging protrusion 312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 and the engaging protrusion 333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3 when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like.

다음 걸림돌기(333)는 삽입체(331) 상에,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체(331)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결합부(31)의 걸림턱(312)과 걸림 결합하여, 소켓(Cs)에 삽입된 플러그(Cp)가 임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The next engaging protrusion 333 is formed on the insert 331 and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 331 and engages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312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 to engage with the socket Cs So that the plug Cp inserted into the plug Cp is not separated.

추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대응부(33)는 삽입체(331) 상에 형성되되 걸림돌기(333)의 후방에 구비된 누름부(33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명확하게 누름부(334)는 삽입체(331)의 상부에 형성되고, 걸림돌기(333)보다는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누름부(334)는 상부로 돌출되어 소켓(Cs)과 플러그(Cp)의 분리 시 삽입체(331)를 보다 쉽게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3, the first engagement corresponding portion 33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334 formed on the insert 331 and provided at the rear of the locking protrusion 333, have.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ortion 334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 331 and is positioned behind the engaging projection 333. The pressing portion 334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insertion body 331 can be pressed downward more easily when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are separated.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은 커넥터의 소켓(Cs)과 플러그(Cp)를 스냅(Snap) 식으로 착탈 결합시키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coupling mean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 and features constitutes a one-touch type grounding structure in which the socket Cs of the connector and the plug Cp are detachably coupled with each other by snapping,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enhancing user convenience.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제1접지부(1)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grounding unit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구(C)는 제1접지부(1)가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소켓(Cs)의 외면을 감싸는 통전커버(11), 두 벽체(30)의 하측에 구비되고 장착홈(13)을 가진 판체(12) 및, 통전커버(11)에서 절곡 연장되며 소켓(Cs)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15)을 통과하여 장착홈(13)에 결합되는 접지단자(14)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2, the mechanism C includes an energizing cover 11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et Cs, a first grounding portion 1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wo walls 30, And a grounding terminal 13 which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groove 13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5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which is bent by the energizing cover 11 and has a mounting groove 13, (14). ≪ / RTI >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통전커버(11)는 소켓(Cs)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소켓(Cs)과 결합되어 있고, 하부에 소켓(Cs)의 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그라운드 연결부를 구비하여 회로기판 등에 구비된 그라운드(구분 편의성을 위해 접지단자(14)와 명명을 구분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통전커버(11)와 소켓(Cs) 간의 결합을 제공하는 제4결합수단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energizing cover 11 is connected to the socket Cs in the form of wrap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has a ground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ocket Cs in the lower portion, (Which distinguishes the grounding terminal 14 from the grounding terminal 14 for convenience of discrimination). The fourth coupling means for providing coupling between the energizing cover 11 and the socket Cs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 판체(12)는 소켓(Cs)이 내부 공간 중 두 벽체(30)의 하측에 구비되는데, 소켓(Cs)의 후방 내면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판체(12)는 접지단자(14)의 결합을 위한 장착홈(13)을 갖는다.The next plate body 12 is provided with a socket Cs on the lower side of the two-walled body 30 in the inner space and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socket Cs. The plate body 12 has a mounting groove 13 for engaging the ground terminal 14. [

다음 접지단자(14)는,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통전커버(11)와 일체를 이루고, 통전커버(11)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절곡에 의해 소켓(Cs)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15)을 통과하여 장착홈(1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접지단자(14)는 제2접지부(2)와의 접촉 특성이 강화될 수 있도록 장착홈(13)에서 일 측으로 돌출되게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제1접지부(1)가 상부에 제2접지부(2)가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접지단자(14)는 장착홈(1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 the grounding terminal 14 is integral with the current-carrying cover 11 and extends from the current-carrying cover 11. The grounding terminal 14 has a through-hole (not shown)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Cs by bending, 15 and is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3. [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unding terminal 14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to one side in the mounting groove 13 so that the contact property with the second grounding part 2 can be enhanced. In particula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second ground portion 2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ground terminal 14 protrudes downward from the mounting groove 13.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제2접지부(2)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ground unit 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기구(C)는 제2접지부(2)가 플러그(Cp)의 제2단자부(T2)를 감싸고 플러그(Cp)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mechanism C includes a power supply case 20 in which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2 surrounds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of the plug Cp and captures the electric wires of the plug Cp And an upper surface 20U.

참고로, 도 4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통전케이스(20)는 상면(20U), 측면(20S), 하면(20L)에 의해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제2단자부(T2)가 배치되어, 통전케이스(20)가 제2단자부(T2)를 감싸게 된다. 4, a space is formed inside by the upper surface 20U, the side surface 20S and the lower surface 20L,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is formed in this space And the current-carrying case 20 covers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이러한 통전케이스(20)의 특징을 통해 제2단자부(T2)에 결속되어 있는 전선들은 선 정리의 필요에 의해 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은 접지를 위한 제2접지부(2)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플러그(Cp)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을 제2접지부(2)로 구성하여 구조적 단순화를 도모하였다. 물론 제2접지부(2)가 통전케이스(20)의 측면(20S)이나 하면(20L)에 구비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2접지부(1)가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wire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the energization case 20 are caught by the need for straighten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2 for grounding is separately formed The upper surface 20U of the current-carrying case 20 for capturing the wires of the plug Cp is constituted by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2, thereby achieving a structural simplification. Of course,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2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20S or the bottom surface 20L of the current-carrying case 20, but preferably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20U of the current- .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케이스(20)는 제2단자부(T2)를 감싸는 덮개부(21), 덮개부(21)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플러그(Cp)의 전선들을 보호하는 연장부(22) 및, 연장부(22)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플러그(Cp)의 전선들을 움켜쥐듯이 감싸는 전선정리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덮개부(21), 연장부(22), 전선정리부(23)로 구성되는 통전케이스(20)의 각 부는 일체로 성형된다는 것이다.4, the energization case 20 includes a lid portion 21 surrounding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 protrusion 21 extending rearward of the lid portion 21 to protect the wires of the plug Cp And an electric wire arranging part 23 which extends to the rear of the extension part 22 and surrounds the electric wires of the plug Cp so as to grasp the electric wires. In other words,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electrification case 20 constituted by the lid portion 21, the extension portion 22, and the electric wire arranging portion 23 described above are integrally molded.

여기에서 연장부(22)와 전선정리부(23)의 차이를 설명하면, 연장부(22)는 외력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이격될 수도 있는 전선들을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고, 전선정리부(23)는 선 정리를 제공하기 위해 상호 이격될 수도 있는 전선들을 외력을 가해 서로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면서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다.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tending portion 22 and the wire arranging portion 23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prevent disconnection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extending portion 22 is provided with wires tha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electric wire arranging part 23 is provided in a form to enclose electric wires which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provide a straight line, while fixing the electric wire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an external force.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통전케이스(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접지를 구성하기 위한 구조의 단순화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접지와 전선 보호 및 선 정리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비용 절감 및 부품 수 절감에 기여하기도 한다.The electrification cas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stitutions and features not only simplifies the structure for constituting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but additionally can solve the grounding, the protection of the wires and the arrangement of the wires, It also contributes to cost reduction and part count reduction.

한편, 제2접지부(2)의 구성을 위해서는 제2단자부(T2) 중 어느 한 전선은 통전케이스(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바,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grounding unit 2, it is obvious that any one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s T2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carrying case 20, and a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제1접지부(1)와 제2접지부(2)의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제1 및 제2단자부(T1)(T2)의 전기적 연결 시, 제1 및 제2접지부(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자연스럽게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접지를 위해 별도로 회로 구성을 하거나 또는 별도 배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grounding portion 1 and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T1 and T2, 2,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ing portions 1 and 2 is naturally performed together,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separately configure the circuit for grounding or perform separate wiring work.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상기한 결합수단과의 구분 편의성을 위해 이하의 결합수단들은 제2 내지 제5결합수단으로 명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ddition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FIGS. 2 to 4. (For convenience of distinguishing from the above coupling means, the following coupling means are referred to as second to fifth coupling means )

먼저, 본 발명은 통전케이스(20)와 플러그(Cp)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2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 coupling means for providing a more rigid coupling between the current carrying case 20 and the plug Cp.

구체적으로, 제2결합수단은 통전케이스(20) 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41) 및 플러그(Cp) 측에 구비되는 제2결합대응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second coupling means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4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urrent case 20 and a second coupling corresponding portion 43 provided on the plug Cp side.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41)는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에 형성된 'ㄷ'형상의 절개공(411) 및, 이 절개공(411)에 의해 형성되어 절개공(411)의 하측으로 노출된 결속돌기(4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결속돌기(412)는 절개공(411)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이 제2접지부(2)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C and 4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41 includes a cut-off hole 411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0L of the electric current-carrying case 20, And a coupling protrusion 412 which is formed by the cutting hole 411 and is exposed downward of the cutting hole 411. This is because the coupling protrusion 412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incision hole 411 because the upper surface 20U of the current case 20 constitutes the second grounding portion 2. [

또한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대응부(43)는 플러그(Cp)의 내측에 구비되되 제2단자부(T2) 하측에 구비되고 결속돌기(412)가 안착되는 결속홈(431)으로 이루어진다.4C, the second engagement corresponding portion 43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ug Cp, and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412 is seated, (431).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2결합수단은 결속돌기(412)와 결속홈(431) 간의 결합에 의해 통전케이스(20)와 플러그(Cp) 간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제공한다.The second coupling mean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eatures can firmly hold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urrent case 20 and the plug Cp by the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412 and the coupling groove 431, And durability.

다음으로, 본 발명은 통전케이스(20)와 제2단자부(T2)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3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upling means for providing a more rigid coupling between the current-carrying case 20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구체적으로, 제3결합수단은 통전케이스(20) 측에 구비되는 제3결합부(51) 및 제2단자부(T2) 측에 구비되는 제3결합대응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third coupling means includes a third coupling portion 5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urrent case 20 and a third coupling corresponding portion 53 provided 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side.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결합부(51)는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에 형성된 'ㄷ'형상의 제2절개공(511) 및, 이 제2절개공(511)에 의해 형성되어 제2절개공(511)의 상측으로 노출된 스토핑돌기(5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결속돌기(412)는 절개공(411)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제2단자부(T2)가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보다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이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C and 4D, the third engaging portion 51 includes a second cut-off hole 511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0L of the current- And a stopping protrusion 512 formed by the second cutout 511 and exposed above the second cutout 511. The coupling protrusion 412 is exposed above the cutout 411 becaus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is disposed above the lower surface 20L of the current-

또한 제3결합대응부(53)는 제2단자부(T2)의 후면으로 구성되며, 이에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가 결합되고 난 후, 스토핑돌기(512)의 전단이 제2단자부(T2)의 후면을 지지하여, 제2단자부(T2)가 통전케이스(20)의 내부에 후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 간의 결합을 유지시킨다.The third coupling portion 5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so that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the current case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the current-carrying case 20 is maintained by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so that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can not move back inside the current- .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3결합수단은 스토핑돌기(512)가 제2단자부(T2)가 후진 이동 할 수 없도록 고정하여,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본 기구(C)의 구조적 안정감 및 내구성을 제공한다.The third coupling means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eatur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ing projection 512 secures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so that it can not move backward and provides a firm coupling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the current- Thereby providing structural stability and durability of the device (C).

다음으로, 본 발명은 소켓(Cs)과 통전커버(11)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4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comprise a fourth coupling means for providing a more secure and rigid coupling between the socket Cs and the energizing cover 11.

구체적으로, 제4결합수단은 통전커버(11) 측에 구비되는 제4결합부(61)와 소켓(Cs) 측에 구비되는 제4결합대응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fourth coupling means includes a fourth coupling portion 6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urrent-carrying cover 11 and a fourth coupling mating portion 63 provided on the socket Cs sid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결합부(61)는 통전커버(1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결합돌기(611)로 구성되고, 제4결합대응부(63)는 소켓(Cs)의 측면에 구비된 수용홈(631)으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B, the fourth engaging portion 61 is composed of an engaging projection 61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energizing cover 11, (63) is constituted by a receiving groove (631)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ocket (Cs).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4결합수단은 통전커버(11)와 소켓(Cs)이 결합할 때, 결합돌기(611)가 수용홈(631)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통전커버(11)와 소켓(Cs) 간의 결합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본 기구(C)는 구조적 안정감 및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The fourth coupling mean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eatures can be realized by inserting the coupling protrusion 611 into the receiving groove 631 when the current-carrying cover 11 and the socket Cs are engaged, (Cs), whereby the mechanism (C) can be assured of structural stability and durability.

다음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Cp)와 후방하우징(Ch) 간의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제5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comprise a fifth coupling means for providing a more rigid coupling between the plug Cp and the rear housing Ch.

구체적으로, 먼저 본 기구(C)는 플러그(Cp)의 후방에 결합되되, 플러그(Cp)의 전선을 후방으로 노출하는 케이블공 및, 플러그(Cp)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후방하우징(Ch)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first, the mechanism C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lug Cp and includes a cable hole for exposing the electric wire of the plug Cp to the rear and a rear housing Ch having a housing space into which the plug Cp is inserted ). ≪ / RTI >

이러한 후방하우징(Ch)은 전선의 보호 효과를 보다 강화하는데, 후방하우징(Ch)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전선들은 피복에 의해 감싸져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케이블의 형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housing (Ch) further enhances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electric wi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s exposed to the rear of the rear housing (Ch) are wrapped by a cloth so as to have a shape of a cable which is generally known to us.

이러한 후방하우징(Ch)과 플러그(Cp)를 결합시키기 위한 제5결합수단은 플러그(Cp) 측에 구비되는 제5결합부(71) 및 후방하우징(Ch) 측에 구비되는 제5결합대응부(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fth engaging means for engaging the rear housing Ch with the plug Cp includes a fifth engaging portion 71 provided on the plug Cp side and a fifth engaging portion 71 provided on the side of the rear housing Ch, (73).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A] 우측 쇄선 원 영역 내 도시된 바와 같이, 제5결합부(71)는 플러그(Cp)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날개(711)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right-side chain line area of FIG. 3 (A), the fifth engaging portion 71 is constituted by a blade 711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lug Cp.

또한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결합대응부(73)는 후방하우징(Ch)의 측부 내면에 형성된 슬릿 형태의 걸림부(73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이 슬릿 형태의 걸림부(731) 상에는 날개(711)의 걸림 결합용 돌기가 구비되어 있을 것이라는 예측은 걸림부(731)의 명칭을 통해 부연 설명 없이도 당연하게 추론 가능할 것이다.4A, the fifth engagement corresponding portion 73 is formed of a slit-shaped engagement portion 73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ortion of the rear housing Ch. Here, a prediction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 of the wing 711 is provided on the slit-shaped latching portion 731 can be reasonably deduced without a detailed explanation through the name of the latching portion 731. [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제5결합수단은 플러그(Cp)와 후방하우징(Ch) 간의 결합에 있어서, 플러그(Cp)의 날개(711)가 후방하우징(Ch)의 걸림부(731)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한 플러그(Cp)와 후방하우징(Ch) 간의 결합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본 기구(C)는 향상된 구조적 안정감 및 향상된 내구성을 갖출 수 있다.In the fifth coupling means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eatures, the wings 711 of the plug Cp are inserted into the latching portions 731 of the rear housing Ch in the coupling between the plug Cp and the rear housing Ch Thereby providing a more stable and easy coupling between the plug Cp and the rear housing Ch, whereby the mechanism C can have improved structural stability and improved durability.

다음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Cp)가 소켓(Cs)에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comprise guiding means for guiding the plug Cp to be more stably inserted into the socket Cs.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수단은 소켓(Cs)의 내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켓(Cs)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가이딩부(81) 및, 플러그(Cp)의 하면에 형성된 피가이드부(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2 and 3, the guiding means comprises a guiding portion 8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Cs,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ocket Cs, and a guiding portion 8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g Cp. And a guide portion (82).

도 2에서는 가이딩부(81)의 구성을, 도 3에서는 피가이드부(82)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도 2 및 도 3에서는 가이딩부(81)는 홈의 형태로, 피가이드부(82)는 돌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가이딩부(81)를 홈의 형태로 한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가이딩부(81)를 돌기의 형태로 구성하는 치환 실시도 역시 가능하다.In FIG. 2 and FIG. 3, in particular, the guiding portion 8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and the guided portion 81 82) are formed in the form of protrusions. However,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limit the guiding portion 81 to a groove, and substitution in which the guiding portion 81 is formed as a protrusion is also possible.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가이딩부(81)와 피가이드부(82)를 각각 소켓(Cs)의 하부 내면과 플러그(Cp)의 하면에 구비한 실시를 도시하였는데, 이 또한 가이딩부(81)와 피가이드부(82)의 위치를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측부, 상부, 어디에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결합수단이 각각 소켓(Cs)의 상부 내면과 플러그(Cp)의 상면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복잡성을 해소하기 위해 상부에는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 and 3, the guiding portion 81 and the guided portion 82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lug Cp.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guided portion 82 and the position of the guided portion 82 may be arranged at the side portion, the upper portion, or the like. However, since the coupling means are provid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ug Cp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not to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in order to solve the structural complexity.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제2소켓(Cs`)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제2소켓(Cs`)이 상기한 소켓(Cs)의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단지 제1단자부(T1)가 제2소켓(Cs`)의 하방이 아닌 후방으로 향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통전커버(11)를 생략하여 제1접지부(1)의 구비를 통전커버(11)의 절곡에 의해 형성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FIG.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socket Cs`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socket C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the socket Cs And that the first terminal portion T1 is directed to the rear side rather tha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ocket Cs` and that the conductive cover 11 is omitted so that the first grounding portion 1 is covered by the conductive cover 11 ) In the first embodiment.

이러한 제2소켓(Cs`)의 경우, 그라운드가 제2소켓(Cs`)의 후방에서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판체(12), 장착홈(13), 접지단자(14), 통공(15)으로 구성되는 변형 제1접지부(1`), 그리고 벽체(30)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홈(311), 그리고 안내수단의 일 구성인 가이딩부(81) 등의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second socket Cs ', it is possible to apply the case where the ground is to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econd socket Cs', and as can be seen in FIG. 5, A grounding terminal 14 and a deformed first ground portion 1` formed by the through hole 15 and a guide groove 311 formed by the wall 30 and guiding portions 81 ) Can be similarly appli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 본 기구
Cs: 소켓 T1: 제1단자부
Cp: 플러그 T2: 제2단자부
1: 제1접지부 11: 통전커버
12: 판체 13: 장착홈
14: 접지단자 15: 통공
2: 제2접지부 20: 통전케이스
31: 제1결합부 311: 안내홈
312: 걸림턱
33: 제1결합대응부 331: 삽입체
332: 이격공간 333: 걸림돌기
C: This organization
Cs: socket T1: first terminal portion
Cp: plug T2: second terminal portion
1: first grounding part 11: energizing cover
12: plate body 13: mounting groove
14: ground terminal 15: through hole
2: second grounding part 20: energizing case
31: first coupling portion 311: guide groove
312:
33: first engaging portion 331: insert
332: separation space 333:

Claims (4)

제1단자부(T1)를 구비한 소켓(Cs)과 제2단자부(T2)를 구비한 플러그(Cp)로 이루어져, 제1 및 제2단자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커넥터(C)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C)는
상기 소켓(Cs) 내부에 구비되는 제1접지부(1);
상기 플러그(Cp)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접지부(1)와 연결되는 제2접지부(2); 및
상기 소켓(Cs)과 상기 플러그(Cp)를 착탈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수단으로 상기 소켓(Cs)과 상기 플러그(Cp)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접지부 간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Cp)의 제2단자부(T2)를 감싸고 플러그(Cp)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에 형성된 'ㄷ'형상의 절개공(411) 및 이 절개공(411)에 의해 형성되어 절개공(411)의 하측으로 노출된 결속돌기(412)를 포함하는 제2결합부(41)와,
상기 플러그(Cp)의 내측에 구비되되 제2단자부(T2) 하측에 구비되고 결속돌기(412)가 안착되는 결속홈(431)을 포함하는 제2결합대응부(43)와,
상기 통전케이스(20)의 하면(20L)에 형성된 'ㄷ'형상의 제2절개공(511) 및, 이 제2절개공(511)에 의해 형성되어 제2절개공(511)의 상측으로 노출된 스토핑돌기(512)를 포함하는 제3결합부(51)와,
상기 제2단자부(T2)의 후면으로 구성되며, 이에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가 결합되고 난 후, 스토핑돌기(512)의 전단이 제2단자부(T2)의 후면을 지지하여, 제2단자부(T2)가 통전케이스(20)의 내부에 후진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제2단자부(T2)와 통전케이스(20) 간의 결합을 유지시키는 제3결합대응부(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A connector (C) comprising an electrical plug (Cp) having a socket (Cs) having a first terminal portion (T1)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ortions,
The connector (C)
A first ground unit 1 provided in the socket Cs;
A second ground unit 2 provided in the plug Cp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und unit 1; And
And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ocket (Cs) and the plug (Cp) with the coupling means, electrical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portions,

And an energization case (20) surrounding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of the plug (Cp) and capturing the electric wires of the plug (Cp)

The coupling means
Shaped cutout hole 411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0L of the electric current case 20 and a coupling protrusion 412 formed by the cutout hole 411 and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cutout hole 411 A second engaging portion 41,
A second engagement corresponding portion 43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ug Cp and provided below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including a coupling groove 431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412 is seated,
Shaped second cut-out hole 511 formed in the lower surface 20L of the current-carrying case 20 and a second cut-out hole 511 formed by the second cut-out hole 511 and ex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cut- A third engaging portion 51 including a stopping projection 512,
The front end of the stopping protrusion 512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the front end of the stopping protrusion 512 is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is not allowed to move back inside the current case 20 so that the third coupling corresponding portion 53 for hold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T2 and the current- Contact type ground struc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소켓(Cs) 내부에 구비되고, 상호 이격된 두 벽체(30)에 의해 형성된 안내홈(311) 및, 상기 안내홈(311)의 일 측에 타 측으로 돌출 구비된 걸림턱(312)을 포함하는 제1결합부(31)와,
상기 플러그(Cp)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홈(31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삽입체(331), 상기 삽입체(331) 하측에 구비된 이격공간(332) 및, 상기 삽입체(33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312)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333)를 포함하는 제1결합대응부(33)와,
상기 제1접지부(1)의 통전커버(11)의 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구비되는 결합돌기(611)로 구성되는 제4결합부(61)와,
상기 소켓(Cs)의 측면에 구비어 상기 결합돌기(611)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홈(631)으로 구성되는 제4결합대응부(63)와,
상기 플러그(Cp)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날개(711)로 구성되는 제5결합부(71)와,
후방하우징(Ch)의 측부 내면에 형성된 슬릿 형태의 걸림부(731)로 구성되고, 상기 날개(711)의 걸림 결합용 돌기가 구비되는 제5결합대응부(73)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Cs)의 하부 내면에 형성된 가이딩부(81)와, 상기 플러그(Cp)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딩부(81)에 삽입되는 피가이드부(82)로 구성되어서, 상기 플러그(Cp)가 소켓(Cs)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ans
A guide groove 311 formed in the socket Cs and formed by the two wall members 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hooking protrusion 312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311 A first engaging portion 31,
An insertion body 331 provided in the plug Cp and inserted and guided into the guide groove 311, a spacing space 332 provided below the insertion body 331, And a locking protrusion 333 formed on the locking protrusion 312 and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312,
A fourth engaging portion 61 composed of engaging projections 61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energizing cover 11 of the first grounding portion 1,
A fourth engaging correspondence part 63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formed of a receiving groove 631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611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A fifth engaging portion 71 formed of a wing 711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plug Cp,
And a fifth engaging portion 73 formed of a slit-shaped engaging portion 73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of the rear housing Ch and having a protrusion for engagement of the wing 711,

A guiding portion 81 formed on a lower inner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a guided portion 82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lug Cp and inserted into the guiding portion 81, ) Is guided to be stably inserted into the socket (Cs). ≪ Desc / Clms Page number 13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부(1)는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소켓(Cs)의 외면을 감싸는 통전커버(11), 상기 두 벽체(30)의 하측에 구비되고 장착홈(13)을 가진 판체(14) 및, 상기 통전커버(11)에서 절곡 연장되며 상기 소켓(Cs)의 후면에 구비된 통공(15)을 통과하여 상기 장착홈(13)에 결합되는 접지단자(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grounding part (1)
A power supply cover 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surrounding an outer surface of the socket Cs, a plate body 14 provided below the two walls 30 and having a mounting groove 13, And a ground terminal (14) extending from the socket (Cs) and exten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5) provid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Cs) and coupled to the mounting groove (13)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지부(2)는
상기 플러그의 제2단자부를 감싸고 상기 플러그(Cp)의 전선들을 갈무리하는 통전케이스(20)의 상면(20U)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형 접지 구조를 갖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ground (2)
And a top surface (20U) of an energization case (20) surrounding the second terminal portion of the plug and capturing the electric wires of the plug (Cp).
KR1020170007248A 2017-01-16 2017-01-16 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 KR101891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48A KR101891780B1 (en) 2017-01-16 2017-01-16 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248A KR101891780B1 (en) 2017-01-16 2017-01-16 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095A KR20180085095A (en) 2018-07-26
KR101891780B1 true KR101891780B1 (en) 2018-10-01

Family

ID=6304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248A KR101891780B1 (en) 2017-01-16 2017-01-16 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78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924A (en) 2022-08-12 2024-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749A (en) * 1999-03-24 2000-11-30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a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749A (en) * 1999-03-24 2000-11-30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095A (en)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5889B (en) High-power electric connector
KR101932115B1 (en) Connector
CN110383591B (en) Shielding terminal and shielding connector
CN100514103C (en) Duplex plug adapter module
JP5797283B2 (en) High voltage connector assembly
US10128611B2 (en) Ferrule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nector
CN109845047B (en) Connector structure
JP3104173B2 (en) Shield connector device
CN108780955B (en) Plug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plug connector
CN107732482B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branching element
US10644414B2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H0226348B2 (en)
KR102233071B1 (en) Dispos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printed circuit board
MX2014006852A (en) Cable header connector.
EP065381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ble shield ground clip
CN110383592B (en) Shielding terminal and shielding connector
CN111162403B (en) Connector and wire harness
WO2017090683A1 (en) Shield connector and shielded cable with connector
US6234840B1 (en) Shield connector
KR100790339B1 (en) Female Connector for Electric Vehicle and Male Connector Connected to the Same
KR101891780B1 (en) Connecter equipped with snap type earth structure
CN114556718B (en) Connector for branching
KR101562810B1 (en) Flat cable connector
KR20140003871A (en) Fus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2909624A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