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060B1 - Liftable laundry basket - Google Patents

Liftable laundry bas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060B1
KR101891060B1 KR1020180067103A KR20180067103A KR101891060B1 KR 101891060 B1 KR101891060 B1 KR 101891060B1 KR 1020180067103 A KR1020180067103 A KR 1020180067103A KR 20180067103 A KR20180067103 A KR 20180067103A KR 101891060 B1 KR101891060 B1 KR 10189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basket
support
basket
laundr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18006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0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0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5/00Laundry systems or arrangements of apparatus or machines; Mobile laundries 
    • D06F95/002Baskets or bags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or transporting laundry;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able laundry basket, which can be lifted and lowered to enhance convenience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a user to bend the waist when treating laundry can be piled up on a support, and can be easily lifted to remarkably enhance treatability and convenience of preservation and carriag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de top narrow bottom type laundry basket having an internal space gradually getting larger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a wide top narrow bottom type support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aundry basket by main walls; variable shelves installed at one or more sides within the support, functioning as shelves to support the laundry basket when the laundry basket is lifted, and releasing a shelf function thereof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and a manipulation unit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variable shelves and selectively supporting or releasing support of the variable shelves.

Description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LIFTABLE LAUNDRY BASKET}{Liftable Laundery Basket}

본 발명은 세탁물 바구니를 승강 가능케 하여 세탁물 취급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세탁물 바구니 및 지지체의 중첩적재가 가능하고, 세탁물 바구니 들어올리기를 보다 가볍게 수행할 수 있어 보관, 운반 취급성 및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levate the laundry baskets to improve convenience in which the user does not have to bend his / her back when handling laundry, so that the laundry baskets and the supporting bodies can be stacked and the laundry basket can be lifted more lightly, To a laundry basket capable of being elevated so that the handling and convenience of handling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일반적으로 세탁물 바구니에 담긴 세탁물을 건조대에 널기 위하여는 허리를 굽혔다 펴기를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특히 노약자나 허리가 약한 여성들에게는 허리에 무리를 주는 어려움이 있다.Generally, in order to put laundry in a laundry basket on a clothes rack, it is inconvenient to repeatedly bend and unfold the waist. Especially,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person or the weak waist to put on the back.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세탁물 바구니가 승강 가능한 기술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5219호(2014. 05. 29.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 등으로 개시되어 있다.A technique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a laundry basket against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65219 (published on Apr. 25, 20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상기 선행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래바구니(200)가 지지부(100) 및 조작부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서,1, the laundry basket 200 is lifted and supported by a support 100 and an operation unit,

상기 지지부(100)는 바닥플레이트(120)의 네 귀퉁이에 수직 설치되는 프레임부재(130) 및 트러스부재(140)를 이용하여 내부공간(110)을 형성하고, 네 귀퉁이의 프레임부재(130)에는 지지톱니가 형성되고, 빨래바구니(200)에는 상기 지지톱니에 대응하는 이동톱니 및 관통공(220)이 형성된다.The supporting part 100 forms an internal space 110 by using a frame member 130 and a truss member 14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bottom plate 120 and the frame member 130 of four corners And the laundry basket 200 is provided with moving teeth and through holes 220 corresponding to the supporting teeth.

또한, 상기 조작부는 와이어, 링크부재 및 그립부(210)에 위치되는 와이어버튼(321)을 이용하여 지지톱니에 대한 이동톱니의 물림 및 이탈을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ng portion is structured so as to be able to manipulate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moving teeth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teeth by using the wire, the link member, and the wire button 321 located in the grip portion 210. [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빨래바구니를 들어올려 임의의 높이에서 멈추면 지지톱니에 대한 이동톱니의 물림 지지에 의하여 빨래바구니가 멈춤높이로 지지되고, 그립부에 위치하는 버튼(321) 조작에 의하여 지지톱니로부터 이동톱니를 이탈시킴으로 빨래바구니를 하강시킬 수 있어 빨래바구니의 높낮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When the laundry basket is lifted up at an arbitrary height, the laundry basket is supported at the stopping height by the support of the moving jaws against the supporting jaws. By the operation of the button 321 located at the gripping portion, It is a technology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height of the laundry basket because the laundry basket can be lowered by removing the moving tooth.

이러한 선행기술은 지지부(100)에서 빨래바구니의 승강을 안내하며 지지톱니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재(130)가 수직 고정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빨래바구니의 네 귀퉁이가 수직형태로 형성되어야 하고, 결국 빨래바구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면이 수직하는 사각바구니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prior art, the frame member 130, which support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aundry basket in the supporting part 100 and has the supporting teeth, is vertically fixed so that the four corners of the corresponding laundry basket are formed in a vertical shape, As shown in FIG. 1, the laundry basket is formed in a rectangular basket shape in which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are vertical.

일반적으로 바구니는 입구인 상부가 넓고 바닥면인 하부가 좁으며, 전후좌우면이 기울기를 갖는 상광하협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baskets are broadly used as tops of entrance, narrow bottom of floor, and slope of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이러한 상광하협 형태의 바구니는 적재시 최하위 이후부터 둘레면의 기울기에 따라서는 바구니 1개의 적재공간이 바구니 전체 높이의 일부분만으로 가능하여 적재보관, 운반시의 공간점유를 줄이고 취급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In this type of basket, it is possible to use only a part of the height of the basket as a loading space of one basket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peripheral surface from the lowest position in loading, thereby reducing space occupation during loading and transportation and facilitating handling It is because.

그러나, 선행기술은 지지부의 수직형 프레임부재(130)가 트러스부재(140) 등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수직하는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밖에 없음으로 지지부(100) 및 빨래바구니(200)는 상광하협형태 및 끼워넣기식 중첩적재가 불가능하여 보관, 운반시 공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점에서 취급 관리 효율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vertical frame member 130 of the supporting part is fixedly installed with the truss member 140 or the like, it can not be formed in a vertical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supporting part 100 and the laundry basket 200 are formed in The handling efficiency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t all because the space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is excessively required due to the impossibility of the superimposed loading.

또한, 세탁물 바구니의 승강시 지지톱니에 대한 이동톱니의 슬라이드 마찰로 인하여 마찰저항이 발생됨으로써 빨래바구니 들어올리는 동작에서 빨래바구니의 무게에 더하여 추가 부담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사용감 및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Further, frictional resistance is generated due to sliding friction of the moving teeth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teeth during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aundry basket, so that an additional burden is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weight of the laundry basket in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aundry basket, have.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톱니가 외부로 노출되어 어린이가 접근할 경우 다칠 위험성이 있으며 외관상으로도 위협감을 주는 등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when the vertically installed support teeth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danger of being hurt when the child approaches, and the appearance is threatened and the merchantability is deteriorated.

공개특허 KR 10-2014-0065219(2014.05.29)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065219 (Apr. 29, 2019) 등록특허 KR 10-1855644(2018.04.30)Registered Patent No. 10-1855644 (2018.04.3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 바구니를 승강 가능케 하여 세탁물 취급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venience in which a user does not have to bend his /

세탁물 바구니 및 지지체가 중첩적재가 가능하여 보관, 운반시 공간점유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공간활용, 취급관리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basket capable of stacking laundry baskets and a supporting body so as to reduce space occupation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handl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물 바구니 들어올리기를 보다 가볍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감을 향상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basket capable of lifting a laundry basket more lightly so as to improve user's convenience and feeling of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성과 함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및 상품성을 향상토록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undry basket capable of elevating the user's preference and merchandising property by enhancing safety and appearan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는,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내부 공간이 하방으로부터 상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 세탁물 바구니;A laundry basin of a magnifying glass type whose interior space is gradually widened upward from below;

상기 세탁물 바구니가 수납가능한 공간이 주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광하협형 지지체;Wherein the laundry baskets are accommodated in a space defined by peripheral walls;

상기 지지체의 내부 일측 이상에 설치되고 세탁물 바구니 상승시 세탁물 바구니를 받혀주는 선반으로 기능하고 세탁물 바구니 하강시 선반기능이 해제되는 가변선반; 및A variable lath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and functioning as a shelf for receiving a laundry basket when the laundry basket rises, and a shelf function being released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And

상기 가변선반을 선택적으로 지지/지지해제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operation unit for selectively supporting / releasing the variable lathe.

상기 지지체는 주벽에 상기 가변선반 및 조작부를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세탁물 바구니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이 대향하여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ay form a space for installing and accommodating the variable lathe and the operation unit on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a guide wall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laundry basket may be opposed to be protruded.

상기 가변선반은 지지체의 주벽 내부에 일측이 제1힌지부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선반부재, 상기 선반부재가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 상단이 상기 선반부재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부에 결합되어 선반부재를 지지/지지해제하는 까치발, 상기 까치발이 선반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힌지부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되고,The variable lathe includes a shelf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of the support using a first hinge portion, a first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hinge portion so that the shelf member is horizontally positioned, And a second elastic member provided on the second hinge portion so as to support the lathe, wherein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provided on the second hinge portion to support the lathe,

상기 조작부는 상기 까치발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까치발받침 및 상기 까치발받침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장치를 포함하여 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may include a cradle support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cradle, and a lever device for operating the cradle support.

상기 가변선반의 선반부재에는 세탁물 바구니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helf member of the variable lathe may be provided with a seat slant portion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laundry basket.

상기 조작부의 까치발받침은 무게중심이 하향하도록 수직상 중간보다 상부지점이 지지체에 제3힌지부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힌지점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까치발을 받혀주는 받침부, 힌지점 하부의 레버접촉부를 포함하여 되고, 상기 제3힌지부에는 까치발받침을 까치발을 받혀주는 자세로 위치시키는 제3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The claw base of the opera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by a third hinge portion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middle of the vertical phase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ration portion is downwardly received. The bas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claw and a lever contact portion below the hinge point. And the third hi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third elastic member for positioning the claw base in a posture for receiving the claw,

상기 레버장치는 승강하면서 상기 까치발받침의 레버접촉부를 밀어 주기 위한 돌출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부가 형성되는 승강푸셔, 상기 승강푸셔의 연장부 하방에 결합되는 조작대, 상기 승강푸셔의 상부와 지지체의 주벽 사이에 설치되어 하강된 승강푸셔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포함하여 될 수 있다.The lever device includes a lifting pusher having a protrusion for lifting the lever contact portion of the cradle support while raising and lowering and a downwardly extend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pusher, And return means for returning the lifting pusher provided between the peripheral walls of the support and lowered.

상기 까치발받침은 상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지지체의 주벽쪽으로 상기 받침부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atching unit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receiving unit may be formed horizontally from the inclined surface toward a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ing body.

상기 가변선반 및 조작부는 지지체의 내부 양측에 대향하여 설치되고,The variable lathe and the operating portion are provided so as to be opposed to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상기 조작대는 양측 레버장치의 승강푸셔에 결합 연결되고,The operating lever is coupled to the lifting pusher of the both-side lever device,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조작대의 조작을 위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상기 지지체의 주벽에는 상기 까치발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A stopper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claw can be protruded from a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

상기 세탁물 바구니 또는 지지체에는 세탁물 바구니가 지지체 내에 균형을 맞추어 위치되기 위한 정위치 안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baskets or supports may be provided with correct position guid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laundry baskets in a balanced manner within the support body.

상기 정위치 안내수단은 세탁물 바구니의 하부 사방 외주면 또는 지지체의 상부 사방 주벽 내측에 각각 제4힌지부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4힌지부에 설치되는 제4탄성부재에 의하여 펼침 및 절첩가능한 정위치 가이드로 될 수 있다.Wherein the fixed position guiding means comprises a first guide member and a second guide member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ourth hinge portion on the lower four-si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undry basin or inside the upper quadrangular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 Lt; / RTI >

상기 지지체의 상단부에는 지지체로부터 세탁물 바구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턱이 내향 형성되고,Wherein a stopping protrusion is formed inwardly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to prevent the laundry baske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body,

상기 세탁물 바구니의 상단부에는 세탁물 바구니 하강시 지지체 상단에 얹혀지기 위한 걸림턱이 외향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laundry basket may be formed with an outwardly protruding hook for resting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상기 지지체와 세탁물 바구니에는 세탁물 바구니 완전 하강상태에서 세탁물 바구니의 무단상승을 저지하기 위한 안정수단이 상호 대응하여 요철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and the laundry basket may be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abilizing means for preventing the laundry basket from rising to an unauthorized elevation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laundry basket is completely lowered.

상기 지지체의 하방에 세탁물 바구니 상승시 지지체를 잡아주기 위한 압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And a pressing part for holding the supporting body when the laundry basket is raised is formed below the supporting body.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에 따르면 세탁물 바구니를 승강 가능케 하여 세탁물 취급시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According to the elevatable laundry bask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aundry basket can be raised and lowered,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in which the user does not have to bend the waist when handling laundry,

세탁물 바구니 및 지지체가 상광하협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중첩적재가 가능하여 보관, 운반시 공간점유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공간활용, 취급관리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laundry baskets and the supporting bodies are constructed in a shape of a vertical wall, it is possible to superimpose them, thereby drastically reducing space occupation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and improving space utilization, handl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또한, 세탁물 바구니를 지지 및 지지해제하기 위한 가변선반 및 가변선반을 가변 가능케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지지체와 세탁물 바구니 사이에 직접 연결 구속이 배제됨으로써 세탁물 바구니 상승동작시의 슬라이드 마찰 및 저항이 없어 세탁물 바구니 들어올리기를 보다 가볍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variable lathe for supporting and releasing the laundry basket and an operation unit for varying the variable lathe are provided, and there is no slide friction or resistance at the time of the upward movement of the laundry basket by eliminating the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and the laundry basket. Since the lifting can be performed more lightly, the convenience and feeling of use of the us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내부가 지지체로 완전하게 커버됨으로써 안전성과 함께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ide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support, safety and appearance are improved, and the user's preference and merchantabi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선행기술 1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지체의 일부 절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결합 및 세탁물 바구니 상승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세탁물 바구니 하강 가변상태도
도 7은 도 5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 및 세탁물 바구니 하강상태의 일부생략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ior art 1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explod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of Figure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Fig. 2 and the laundry basket elevated state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Fig. 6 is a view showing a laundry basket lowering variable state diagram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artially omitt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and laundry basket lowering state of Fig. 8

이하, 본 발명의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laundry basket capable of eleva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1)는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하방으로부터 상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 세탁물 바구니(10), 상기 세탁물 바구니(10)가 수납가능한 공간이 주벽(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광하협형 지지체(20), 상기 지지체(20)의 내부 일측 이상에 설치되고 세탁물 바구니(10) 상승시 세탁물 바구니를 받혀주는 선반으로 기능하고 세탁물 바구니 하강시 선반기능이 해제되는 가변선반(30) 및 상기 가변선반(30)을 선택적으로 지지/지지해제하는 조작부(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2 to 9, the elevatable laundry basket 1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undry compartment 10 in which the inner space is gradually expanded upward from below, a laundry basket 10 And a shelf for supporting the laundry basket when the laundry basket 10 is lifted up, and a shelf for supporting the laundry basket when the laundry basket 10 is lifted up A variable lathe 30 in which the lathe function is released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and an operation portion C for selectively supporting / releasing the variable lathe 30.

여기서, 상기 지지체(20)는 주벽(21)에 상기 가변선반(30) 및 조작부(C)를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세탁물 바구니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23)이 대향하여 돌출형성될 수 있다(도 3, 5, 6 참조).The support 20 includes a guide wall 23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aundry basket and a space for installing and accommodating the variable shelf 30 and the operating portion C in the main wall 21, (See Figs. 3, 5 and 6).

상기 가이드벽(23)은 상기 가변선반(30) 및 조작부(C)를 수용할 수 있도록 돌출정도 및 대향하는 폭의 크기가 결정되며, 세탁물 바구니가 승강시 가변선반(30) 및 조작부(C)에 대한 세탁물 바구니의 간섭을 차단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는다.The guide wall 23 has a protruding degree and a width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accommodate the variable lathe 30 and the operating portion C. The size of the opposite width of the guide wall 23 is determined, And a function of interrupting the interference of the laundry basket with respect to the laundry basket.

상기 가변선반(30)은 지지체의 주벽(21) 내부에 일측이 제1힌지부(H1)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선반부재(31), 상기 선반부재(31)가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H1)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S1), 상단이 상기 선반부재(31)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부(H2)에 결합되어 선반부재(31)를 지지/지지해제하는 까치발(33), 상기 까치발(33)이 선반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힌지부(H2)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S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2, 3, 5, 6 참조).The variable lathe 30 includes a shelf member 31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wall 21 of the supporter by using the first hinge unit H1 so that the shelf member 31 is horizontally positioned, A first elastic member S1 attached to the support portion H1 and a second support member S2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H2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shelf member 31, And a second elastic member S2 installed on the second hinge unit H2 so that the crate 33 supports the shelf member (refer to FIGS. 2, 3, 5 and 6).

상기 제1힌지부(H1)는 지지체의 가이드벽(23)에 선반부재(31)를 회전가능하도록 제1힌지핀(H11)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여기에 결합되는 상기 제1탄성부재(S1)는 선반부재(31)가 세탁물 바구니를 받혀주는 방향인 상향 압력을 가한다(도 5 참조)The first hinge portion H1 can be installed on the guide wall 23 of the support body using the first hinge pin H11 so as to rotate the shelf member 31. The first elastic member S1 apply upward pressure,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elf member 31 receives the laundry basket (see Figure 5)

상기 제2힌지부(H2)는 선반부재(31)의 타측에 까치발(33)을 회전가능하도록 제2힌지핀(H21)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여기에 결합되는 상기 제2탄성부재(S2)는 까치발(33)이 선반부재(31)와 절첩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선반부재를 지지토록 설치된다(도 5 참조).The second hinge portion H2 can be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elf member 31 using the second hinge pin H21 so as to rotate the claw 33.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See Fig. 5) so that the crockery 33 presses the crockery 33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folded with the crockery 31 (see Fig. 5).

상기 제1탄성부재(S1) 및 제2탄성부재(S2)는 토션스프링으로 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elastic member S1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are preferably torsion springs.

상기 가변선반의 선반부재(31)에는 세탁물 바구니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경사부(312)가 형성될 수 있다.The lathe 31 of the variable lathe may be provided with a seat slanting portion 312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laundry basket.

상기 지지체의 주벽(21)에는 상기 까치발(33)의 힌지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5)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A stopper (25) for restricting the hinge rotation of the bracket (33) may be formed on the peripheral wall (21) of the support.

상기 조작부(C)는 상기 까치발(33)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까치발받침(40) 및 상기 까치발받침(40)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장치(50)를 포함하여 된다.The operation unit C includes a cradle support 40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cradle 33 and a lever device 50 for operating the cradle support 40.

상기 조작부(C)의 까치발받침(40)은 무게중심이 하향하도록 수직상 중간보다 상부지점이 지지체의 가이드벽(23)에 제3힌지부(H3)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힌지점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까치발(33)을 받혀주는 받침부(41), 힌지점 하부의 레버접촉부(45)를 포함하여 되고, 상기 제3힌지부(H3)에는 까치발받침(40)을 까치발(33)을 받혀주는 자세로 위치시키는 제3탄성부재(S3)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도 3, 5, 6 참조)The pointing unit 40 of the operating unit C is coupled to the guiding wall 23 of the supporting member by using the third hinge unit H3 and is located above the hinge point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rating unit C is downward, A support portion 41 for supporting the claw 33 and a lever contact portion 45 under the hinge point and the third hinge portion H3 is provided with a claw 31 for supporting the claw 31, (Refer to Figs. 3, 5 and 6)

상기 제3힌지부(H3)는 지지체의 가이드벽(23)에 까치발받침(40)을 회전가능하도록 제3힌지핀(H31)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여기에 결합되는 상기 제3탄성부재(S3)는 까치발받침(40)이 까치발을 받혀주는 방향으로 기울도록 압력을 가한다.The third hinge portion H3 may be installed on the guide wall 23 of the support using a third hinge pin H31 so as to allow the catching wall 40 to rotate, (S3) presses the claw base 40 to tilt in a direction to receive the claw.

상기 제3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이 바람직하다.The third elastic member is preferably a torsion spring.

상기 까치발(33)의 하단은 기울기 변화와 무관하게 까치발받침(40)에 받혀질 수 있도록 라운드 형성될 수 있다(도 3, 5, 6 참조).The lower end of the claw 33 may be rounded to be received by the claw tray 40 irrespective of the tilt change (see FIGS. 3, 5 and 6).

상기 까치발받침(40)은 상단부에 경사면(43)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43)으로부터 지지체의 주벽(21)쪽으로 상기 받침부(41)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atching base 40 has an inclined surface 43 formed at its upper end and the receiving portion 41 may be formed horizontally from the inclined surface 43 toward the peripheral wall 21 of the supporting body.

상기 레버장치(50)는 승강하면서 상기 까치발받침의 레버접촉부(45)를 밀어 주기 위한 돌출부(512)가 상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부(514)가 형성되는 승강푸셔(51), 상기 승강푸셔의 연장부(514) 하방에 결합되는 조작대(53), 상기 승강푸셔(51)의 상부와 지지체의 주벽(21) 사이에 설치되어 하강된 승강푸셔(51)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55)을 포함하여 될 수 있다(도 3, 5, 6 참조).The lever device 50 includes a lifting pusher 51 having a protrusion 512 for lifting the lever contact portion 45 of the cradle support and lifting the lifting pusher 51 downward, A returning means 55 for returning the lifting pusher 51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pusher 51 and the peripheral wall 21 of the support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514 of the lifting pusher 51; ) (See Figs. 3, 5 and 6).

상기 돌출부(512)는 까치발받침(40)의 기울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성된다.The protrusions 512 are formed in a round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changes in the inclination of the catching base 40.

상기 복귀수단(55)은 인장스프링으로 될 수 있다.The return means 55 may be a tension spring.

상기 가변선반(30) 및 조작부(C)는 지지체(20)의 내부 양측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조작대(53)는 양측 레버장치(50)의 승강푸셔(51)에 결합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20)에는 상기 조작대(53)의 조작을 위한 개방부(26)가 형성될 수 있다(도 4, 5, 6 참조).The variable lathe 30 and the operating portion C are installed to oppose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20 and the operation pedestal 53 is coupled to the lifting pusher 51 of the both side lever device 50, The support 2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6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53 (see FIGS. 4, 5 and 6).

상기 조작대(53)의 조작은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눌러주는 것으로 상기 개방부(26)는 사용자의 발이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edestal 53 is performed by the user using the foot, and the opening 26 is formed so that the user's foot can be put in and out.

상기 세탁물 바구니(10) 또는 지지체(20)에는 세탁물 바구니가 지지체(20) 내에 균형을 맞추어 위치되기 위한 정위치 안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basket (10) or the support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correct position guid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laundry basket in a balanced manner in the support body (20).

상기 정위치 안내수단은 세탁물 바구니(10)의 하부 사방 외주면 또는 지지체의 상부 사방 주벽 내측에 각각 제4힌지부(H4)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4힌지부(H4)에 설치되는 제4탄성부재(S4)에 의하여 펼침 및 절첩가능한 정위치 가이드(61)로 될 수 있다.The right position guiding means may include a fourth elastic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four-si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undry basket 10 or inside the upper quadrangular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er using a fourth hinge portion H4 and installed on the fourth hinge portion H4, Can be formed into the correct position guide 61 that can be folded and folded by the member S4.

상기 정위치 안내수단이 세탁물 바구니에 구비되는 경우(도 2, 4 내지 7 참조), 세탁물 바구니의 주면에는 세탁물 바구니 하강시 정위치 가이드(61)가 인입되는 가이드홈(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정위치 가이드(61)는 상향 절첩 가능하고 하향 회전이 방지되도록 최대 펼침시 바구니 하방 주면과의 각(A1)이 95°로 설정될 수 있다.2, 4 to 7), a guide groove 16 may be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laundry basket for guiding the position guide 61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 The angle A1 with respect to the bottom undersurface of the basket at the time of maximum unfolding may be set to 95 degrees so that the fixed position guide 61 is foldable upward and prevented from rotating downward.

이때, 정위치 가이드(61)는 후술하는 지지체의 멈춤턱(24)에 걸려 세탁물 바구니의 이탈방지를 위한 걸림수단으로 복합적으로 기능한다.At this time, the fixed position guide 61 is hooked on a stop jaw 24 of a support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and functions as a catching means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laundry basket.

또한, 상기 정위치 안내수단은 지지체(20)에 형성될 수 있으며(도 8, 9 참조), 이 경우 세탁물 바구니에는 후술하는 지지체의 멈춤턱(24)에 대응형성되는 걸림편(17)이 형성될 수 있다.8 and 9). In this case, the laundry baske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iece 17 formed corresponding to a detent jaw 24 of a supporting bod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상기 지지체(20)의 상단부에는 지지체(20)로부터 세탁물 바구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턱(24)이 내향 형성되며, 세탁물 바구니에 형성되는 상기 정위치 가이드(61) 또는 걸림편(17)이 상기 멈춤턱(24)에 걸려 세탁물 바구니의 이탈 상승을 저지한다(도 2, 4, 8, 9 참조).A detent jaw 24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laundry basket from the support body 20 is formed inwardly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20 and the fixed position guide 61 or the retaining piece 17 formed in the laundry basket And is caught by the detent jaw 24 to prevent the laundry basket from escaping upward (see Figs. 2, 4, 8, and 9).

또한, 상기 세탁물 바구니(10)의 상단부에는 세탁물 바구니 하강시 지지체 상단에 얹혀지기 위한 걸림턱(14)이 외향 형성되어 하강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laundry basket (10), a locking protrusion (14) for resting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is formed outwardly to set a lowering limit.

상기 지지체(20)와 세탁물 바구니(10)에는 세탁물 바구니 완전 하강상태에서 위치 이동을 위하여 세탁물 바구니를 들어올릴 경우, 세탁물 바구니의 무단상승을 저지하기 위한 안정수단이 상호 대응하여 요철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laundry basket is lifted up to the support body 20 and the laundry basket 10 for the positional movement in a fully lowered state of the laundry basket, the stabilizing means for preventing the laundry basket from rising can be formed to be concave and convex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안정수단의 일 실시예로, 지지체의 상부 외측으로 돌조(22)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요홈(12)이 세탁물 바구니의 걸림턱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도 8, 9 참조).In one embodiment of the stabilizing means, a ridge 22 is formed out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nd a corresponding groove 12 may be formed around the rim of the laundry basin (see Figs. 8 and 9).

상기 안정수단은 지지체(20)를 잡아준 상태에서 바구니(10)를 들어올려야만 상기 돌조(22) 및 요홈(12)간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바구니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abilizing means can prevent the basket from being torn off simply by lifting the basket 10 while holding the support 20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 22 and the groove 12. [

또한, 상기 지지체(20)에도 손잡이(29)를 마련하여 이용함으로써 세탁물 바구니의 무단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도 8, 9 참조) Further, by using the handle 29 on the support 2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undry basket from being torn off (see Figs. 8 and 9)

상기 지지체(20)의 하방에는 세탁물 바구니 상승시 지지체를 잡아주기 위한 압지부(27)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A pressing part 27 for holding the supporting body when the laundry basket rises can be formed below the supporting body 20 (see FIG. 8).

상기 압지부(27)는 세탁물 바구니를 들어올릴 때 사용자가 밟아 지지체를 잡아줄 수 있음으로 세탁물 바구니의 상승동작시 지지체가 따라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sing portion 27 can hold the pressing member by the user when the laundry basket is lifted, thereby preventing the support body from moving alo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aundry basket.

상기 세탁물 바구니(10)에는 물론 지지체(20)에도 각각 통기 및 살빼기를 위한 통기공(18)(28)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ventilation holes 18 and 28 are formed in the laundry basket 10 as well as in the supporting body 20 for venting and draining.

또한, 상기 지지체(20)의 하방에는 바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wheel (not shown) may be provided below the support 20.

상기 지지체(20)는 조립 편의성을 위하여 두 개 부재로 분할 구성하여 조립될 수 있다(미도시).The support 20 may be divided and assembled into two members for convenience of assembly (not shown).

도 5, 6에서 미설명 부호 'H12', 'H13'은 각각 제1힌지부(H1)의 지지체의 가이드벽(23)에 형성되는 힌지공 및 선반부재(31)에 형성되는 힌지공이고, 'H22', 'H23'은 각각 제2힌지부(H2)의 선반부재(31)에 형성되는 힌지공 및 까치발(33)에 형성되는 힌지공이며, 'H32', 'H33'은 각각 제3힌지부(H3)의 가이드벽(23)에 형성되는 힌지공 및 까치발받침(40)에 형성되는 힌지공이다.In FIGS. 5 and 6, reference numerals H12 and H13 denote hinge holes formed in the guide wall 23 of the support of the first hinge portion H1 and hinge holes formed in the shelf member 31, respectively, 'H22' and 'H23' are hinge holes formed in the hinge hole and the claw 33 formed on the shelf member 31 of the second hinge portion H2, respectively, and 'H32' and 'H33' A hinge hole formed in the guide wall 23 of the hinge portion H3 and a hinge hole formed in the catching base 40. [

상기 세탁물 바구니는 농산물이나 공산품이 담겨지는 바구니로 치환되어 본 발명이 다양한 분야에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당연히 잘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laundry basket may be replaced with a basket containing agricultural products or manufactured goods,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상기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1)의 동작 및 작용상태를 살펴본다.The operation and operation state of the laundry basket 1 capable of ascen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세탁물 바구니(10)(이하 '바구니'로 약칭함)가 지지체(20)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바구니의 상승 및 상승된 바구니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변선반(30)의 전환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variable lathe 30 for stably supporting the basket and the raised basket in a state where the laundry basket 10 (hereinafter abbreviated as "basket")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support body 20 is shown in FIG. 5 And FIG. 6.

사용자가 바구니를 들어올리면 바구니(10)에 의하여 눌려져 하향상태로 있던 상기 선반부재(31)가 제1탄성부제(S1)에 의하여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상향회전하여 수평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선반부재(31)에 힌지결합되고 까치발받침(40)에 걸려 수직상태에 있던 까치발(33)은 선반부재(31)의 수평 전환에 따라 상승과 동시에 상기 제2탄성부재(S2)에 의하여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지지체의 주벽(21)쪽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주벽에 형성된 스토퍼(25)에 저지되기까지 회전한다.When the user lifts the basket, the shelf member 31, which has been pressed down by the basket 10, is rotated upward about the first hinge portion H1 by the first elastic member S1, The crockery 33 which is hinged to the shelf member 31 and hooked to the crockery support 40 and is in the vertical state is lifted up along with the horizontal change of the shelf member 31 and simultaneously is lifted up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second hinge portion H2 toward the peripheral wall 21 of the support body and rotated until it is blocked by the stopper 25 formed on the peripheral wall.

이러한 까치발(33)의 회전은 라운드 형성된 까치발의 선단이 상기 까치발받침(40)의 경사면(43)를 타고 받침부(41)에 위치되도록 한다.The rotation of the claw 33 is such that the tip of the rounded claw is positioned on the receiving portion 41 by the inclined surface 43 of the claw holder 40.

동시에, 상기 까치발받침(40)은 제3탄성부재(S3)에 의하여 제3힌지부(H3)를 중심으로 받침부(41)가 까치발(33)을 안정적으로 받혀주는 자세로 기울기가 변화되며, 이때, 레버장치의 승강푸셔(51)는 까치발받침의 상기 기울기가 유지되고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돌출부(512)가 까치발받침의 상기 레버접촉부(45)를 밀어준다(도 5 참조).At the same time, the claw base 40 is inclined by the third elastic member S3 to a posture in which the claw portion 33 stably supports the claw 33 about the third hinge portion H3, At this time, the lifting pusher 51 of the lever device pushes the lever contact portion 45 of the cradle support (see Fig. 5)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cradle support is maintained and further rotation is prevented.

이와 같이, 상기 가변선반(30)은 제1힌지부(H1) 및 제1탄성부재(S1)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는 선반부재(31), 제2힌지부(H2) 및 제2탄성부재(S2)에 의하여 회전 지지되는 까치발(33), 주벽에 형성되는 스토퍼(25), 제3힌지부(H3) 및 제3탄성부재(S3)에 의하여 회전되는 조작부(C)의 까치발받침(40), 조작부 레버장치(50)의 승강푸셔(51)가 유기적으로 긴밀하게 연동됨으로써 하향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되어 바구니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lathe 30 includes the shelf member 31, the second hinge unit H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S2,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first hinge unit H1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S1. A catching foot 40 of the operating portion C rotated by the third hinging portion H3 and the third resilient member S3, The lifting pusher 51 of the operation lever device 50 is linked closely and organically so that it is switched from the downward state to the horizontal state and the basket can be stably supported.

또한, 상승상태 바구니의 하강은 지지체(20) 하방에 형성된 상기 개방부(26) 안으로 사용자가 발을 넣어 상기 조작부(C)의 레버장치 조작대(53)를 눌러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lowering of the elevated state basket is performed by the user pressing the lever device operation pedestal 53 of the operating portion C into the opening portion 26 formed below the support body 20. [

레버장치(50)의 조작대를 누르면 조작대(53)와 결합되어 있는 승강푸셔(51)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푸셔의 돌출부(512)가 까치발받침의 레버접촉부(45) 하방을 밀게 되어 까치발받침(40)의 기울기를 변화시킨다.When the operation pedal of the lever device 50 is depressed, the lifting pusher 51 coupled with the operating pedestal 53 is lowered so that the projecting portion 512 of the lifting pusher pushes down the lever contact portion 45 of the claw-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catching base 40 is changed.

상기와 같이, 승강푸셔(51)의 하강에 의하여 까치발받침(40)은 상부의 받침부(41)가 주벽쪽으로 기울면서 까치발을 받혀주는 위치에서 빠지게 되고, 까치발(33)은 선단이 까치발받침의 받침부(41)에 연하는 경사면(43)에 위치되어 상부에서 압력이 가해질 경우 하방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불안정 상태로 된다. As the elevating pusher 51 is lowered, the catching pedestal 40 is dropped from the position where the catching portion 41 is tilted toward the main wall to receive the catching claw, Is located on the inclined surface (43) adjacent to the receiving portion (41), and becomes unstable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which can slide downward.

이와 같이, 까치발(33)이 지지력을 잃게 되면서 선반부재(31)가 바구니의 하중에 의하여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어 선반기능이 해제되는 동시에 까치발(33)은 까치발받침의 경사면(41)을 타고 미끄러지며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하향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바구니가 하강하는데 바구니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턱(14)이 지지체의 멈춤턱(24)에 얹혀지게 되면 하강이 멈추어져 지지체(20)에 대한 바구니의 적절한 수납이 이루어진다.The lathe 33 is rotated downward about the first hinge H1 by the load of the basket to release the shelf function and the claw 33 is moved downward The slider is slid on the inclined surface 41 and is rotated downward about the second hinge part H2 and at the same time the hooking jaw 14 formed at the top of the basket is lowered on the stop jaw 24 of the supporting body The lowering is stopped to properly store the baske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20.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대로부터 발을 떼는 순간 하강된 조작대(53) 및 승강푸셔(51)는 상기 복귀수단(55)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복귀된다.When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foot from the operation, the lowered operating pedestal 53 and the lifting pusher 51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turning means 55. [

이상과 같이, 바구니가 지지체(20)에 대하여 직접 연결 구속 없이 바구니의 승강이 이루어짐으로써 바구니의 상승동작시 상호 슬라이드 및 마찰저항 등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사용자의 바구니 들어올림이 보다 가볍게 이루어지며, 바구니의 하강동작은 상기 조작자(53)를 눌러주는 것으르 바구니의 하중에 의하여 단번에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sket is lifted and lowered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20, the slide and friction resistance are not generated at the time of lifting the basket, so that the lifting of the basket is made lighter by the user. The lowering operation is performed at once by pressing the operator 53 by the load of the basket.

또한, 바구니가 지지체에 직접 연결 구속이 배제됨으로써 바구니 및 지지체가 상광하협 형태로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구니 및 지지체의 끼워넣기식 중첩적재가 가능하여 보관, 운반시 공간점유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공간활용, 취급관리 효율성 및 생산성을 현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sket is directly restrained from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the basket and the support body can be formed in a shape of a supersonic layer. Thus, it is possible to stack the basket and the support body in a superimposed manner so as to drastically reduce the space occupation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Utilization, handl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locally.

한편, 상기 바구니(10)가 지지체에 대하여 연결 구속이 배제됨으로써 바구니의 상승동작이 가볍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에, 바구니가 상승시 지지체(20)의 중앙 정위치를 벗어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 상기 선반부재의 안착경사부(312) 및 정위치 안내수단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sket 10 is lifted up from the center of the support body 20 when the basket is lifted up,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basket can be lightened by eliminating the connection constraint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ody. A mounting slope portion 312 of the shelf member and a fixed position guiding means.

상승된 바구니는 상기 선반부재의 안착경사부(312)로 인하여 정위치로 미끄럼 유도될 수 있으나, 선반부재(31)는 지지체에서 대향하는 두 방향 이상에는 설치가 어려우므로 위치안내에 한계가 있다.The elevated basket can be slidably guided to the correct position due to the seating slope portion 312 of the shelf member, but the positioning of the shelf member 31 is limit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helf member in two or mor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support.

상기 정위치 안내수단이 바구니(10)에 설치되는 경우(도 2, 4 내지 7 참조), 정위치 가이드(61)는 바구니 외주면 사방에서 제4탄성부재(S4)에 의하여 펼침상태로 지지됨으로써 지지체에 대한 스페이서로 기능하여 바구니가 지지체(20)의 중앙 정위치를 유지토록 하며, 하강시에는 제4힌지부(H4)를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어 상기 가이드홈(16) 내부로 인입되어 바구니 하강동작에 걸림이 되지 않도록 한다.2, 4 to 7), the stationary position guide 61 is supported in the extended state by the fourth elastic member S4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ket, So that the basket is maintained at the center position of the support body 20 when it is lowered and is rotated upward about the fourth hinge portion H4 to be drawn into the guide groove 16, So that it does not catch on.

상기 정위치 안내수단이 지지체(20)에 설치되는 경우(도 8, 9 참조), 정위치 가이드(61)는 지지체(20)의 사방 주벽에 내향설치되고 상기 제4탄성부재(S4)에 의하여 펼침상태로 지지됨으로써 바구니에 대한 스페이서로 기능하여 바구니가 지지체의 중앙 정위치에 위치토록 유도하고, 바구니 하강시에는 바구니의 주면에 밀려 하향 회전하여 간섭이 방지된다.8 and 9), the stationary position guide 61 is installed inward on the four circumferential walls of the support body 20 and by the fourth elastic member S4 So that the basket functions as a spacer for the basket to be positioned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support body. When the basket is lowered, the basket is pushed by the main surface of the basket and rotated downward to prevent interference.

또한, 상기 지지체(20)는 상광하협형의 통형태로 구성되어 주벽(21)이 내부를 완전히 둘러싸며 커버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디자인적으로 상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body 20 is formed in a barrel shape having a top-bottom shape so that the peripheral wall 21 completely surrounds and covers the inside, thereby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look good, and the merchandising property can be remarkably increased in desig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1)는,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aundry basket 1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세탁물 바구니를 승강 가능케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에 있어서, 세탁물 바구니 및 지지체가 상광하협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중첩적재가 가능하여 보관, 운반시 공간점유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공간활용, 취급관리 효율성 및 생산성을 현지히 향상시키며,First, the laundry baskets can be raised and lowered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The laundry baskets and the supporting bodies are structured in the form of a vertical wall to enable superimposing of the laundry baskets. Thus, space occupation during storage and transportation can be drastically reduced, And productivity locally,

둘째, 세탁물 바구니를 지지 및 지지해제하기 위한 가변선반 및 가변선반을 가변 가능케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지지체와 바구니 사이에 직접 연결 구속이 배제됨으로써 세탁물 바구니의 상승동작시의 슬라이드 마찰이 방지되어 바구니 들어올리기를 보다 가볍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Second, a variable lathe for supporting and releasing the laundry basket is provided, and an operating portion for varying the variable lathe is provided. Direct restraint of connection between the support and the basket is eliminated, so that sliding friction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aundry basket is prevented, Can be carried out more light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convenience and feel of the user,

셋째, 내부가 지지체로 완전하게 커버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안전성과 함께 사용자의 선호도 및 상품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대단히 양호하다.Third, since the inside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support, the appearance is improved, safety is improved, user's preference and merchantability are improved, and the industrial applicability is very good.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본 발명의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10: 세탁물 바구니 14: 걸림턱 16: 가이드홈
20: 지지체 21: 주벽 23: 가이드벽
24: 멈춤턱 25: 스토퍼 26: 개방부
27: 압지부 30: 가변선반 31: 선반부재
312: 안착경사부 33: 까치발 C: 조작부
40: 까치발받침 41: 받침부 43: 경사면
45: 레버접촉부 50: 레버장치 51: 승강푸셔
512: 돌출부 514: 연장부 516: 조작대 결합부
53: 조작대 55: 복귀수단 61: 정위치 가이드
H1: 제1힌지부 H2: 제2힌지부 H3: 제3힌지부
H4: 제4힌지부 S1: 제1탄성부재 S2: 제2탄성부재
S3: 제3탄성부재 S4: 제4탄성부재
1: Liftable laundry baske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laundry basket 14: jaw 16: guide groove
20: support body 21: peripheral wall 23: guide wall
24: stop jaw 25: stopper 26:
27: pressing part 30: variable lathe 31: shelf member
312: seat slope part 33: bracket C:
40: a catching base 41: a receiving portion 43:
45: lever contact portion 50: lever device 51: lifting pusher
512: protruding portion 514: extending portion 516:
53: operating pedestal 55: returning means 61: fixed position guide
H1: first hinge part H2: second hinge part H3: third hinge part
H4: fourth hinge S1: first elastic member S2: second elastic member
S3: third elastic member S4: fourth elastic member

Claims (13)

내부 공간이 하방으로부터 상향하여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형 세탁물 바구니(10);
상기 세탁물 바구니(10)가 수납가능한 공간이 주벽(21)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광하협형 지지체(20);
상기 지지체(20)의 내부 일측 이상에 설치되고 세탁물 바구니(10) 상승시 세탁물 바구니를 받혀주는 선반으로 기능하고 세탁물 바구니 하강시 선반기능이 해제되는 가변선반(30); 및
상기 가변선반(30)을 선택적으로 지지/지지해제하는 조작부(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변선반(30)은 지지체의 주벽(21) 내부에 일측이 제1힌지부(H1)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선반부재(31), 상기 선반부재(31)가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H1)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S1), 상단이 상기 선반부재(31)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힌지부(H2)에 결합되어 선반부재를 지지/지지해제하는 까치발(33), 상기 까치발(33)이 선반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제2힌지부(H2)에 설치되는 제2탄성부재(S2)를 포함하여 되고,
상기 조작부(C)는 상기 까치발(33)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까치발받침(40) 및 상기 까치발받침(40)을 조작하기 위한 레버장치(50)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A laundry basin (10) having an upwardly inclined upper surface in which an inner space is upwardly widened from below;
A supporter (20) having a supporter (20)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aundry basket (10) is formed by a peripheral wall (21);
A variable lathe 3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20 and functioning as a shelf for receiving the laundry basket when the laundry basket 10 is lifted and releasing the shelf function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And
And an operation portion (C) for selectively supporting / releasing the variable lathe (30)
The variable lathe 30 includes a shelf member 31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wall 21 of the supporter by using the first hinge unit H1 so that the shelf member 31 is horizontally positioned, A bracket 33 which is coupl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H2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shelf member 31 to support and release the shelf member, a first elastic member S1 provided on the support portion H1, , And a second elastic member (S2) installed on the second hinge (H2) so that the bracket (33) supports the shelf member,
Wherein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cradle support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cradle and a lever device for operating the cradle suppo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는 주벽(21)에 상기 가변선반(30) 및 조작부(C)를 설치 및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세탁물 바구니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벽(23)이 대향하여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20 forms a space for installing and accommodating the variable shelf 30 and the operation portion C in the main wall 21 and a guide wall 23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aundry basket, Wherein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선반의 선반부재(31)에는 세탁물 바구니의 안착을 안내하는 안착경사부(31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lf member (31) of the variable lathe is formed with a seating inclined portion (312) for guiding the seating of the laundry bas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C)의 까치발받침(40)은 무게중심이 하향하도록 수직상 중간보다 상부지점이 지지체(20)에 제3힌지부(H3)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힌지점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까치발(33)을 받혀주는 받침부(41), 힌지점 하부의 레버접촉부(45)를 포함하여 되고, 상기 제3힌지부(H3)에는 까치발받침(40)을 까치발(33)을 받혀주는 자세로 위치시키는 제3탄성부재(S3)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장치(50)는 승강하면서 상기 까치발받침의 레버접촉부(45)를 밀어 주기 위한 돌출부(512)가 상부에 구비되고 하방으로 연장부(514)가 형성되는 승강푸셔(51), 상기 승강푸셔의 연장부(514) 하방에 결합되는 조작대(53), 상기 승강푸셔(51)의 상부와 지지체의 주벽(21) 사이에 설치되어 하강된 승강푸셔(51)를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수단(55)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aw base 40 of the operating portion C is coupled to the support body 20 by a third hinge portion H3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operation portion C is lowered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base to a position above the hinge point, 33 and a lever contact portion 45 under the hinge point and the third hinge portion H3 is provided with a magazine holder 40 in a posture for receiving the magazine 33, The third elastic member S3 is provided,
The lever device 50 includes a lifting pusher 51 having a protrusion 512 for lifting the lever contact portion 45 of the cradle support and lifting the lifting pusher 51 downward, A returning means 55 for returning the lifting pusher 51 install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lifting pusher 51 and the peripheral wall 21 of the supporting body a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ension 514 of the lifting pusher 51; Wherein the laundry basket comprises a plurality of wash basin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까치발받침(40)은 상단부에 경사면(43)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43)으로부터 지지체의 주벽(21)쪽으로 상기 받침부(41)가 수평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atching base has an inclined surfac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horizontally from the inclined surface to the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ing bod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변선반(30) 및 조작부(C)는 지지체(20)의 내부 양측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조작대(53)는 양측 레버장치(50)의 승강푸셔(51)에 결합 연결되고,
상기 지지체(20)에는 상기 조작대의 조작을 위한 개방부(26)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of claim 5,
The variable lathe 30 and the operating portion C are provided so as to be opposed to both sides of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20,
The operating pedestal 53 is coupled to the lifting pusher 51 of the both-side lever device 50,
Wherein the support (2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26) fo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t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주벽(21)에는 상기 까치발(33)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5)가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topper (25) is formed on a peripheral wall (21) of the support to limit rotation of the claw head (3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바구니(10) 또는 지지체(20)에는 세탁물 바구니가 지지체(20) 내에 균형을 맞추어 위치되기 위한 정위치 안내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undry basket (10) or the support body (20) is provided with a correct position guid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laundry basket in a balanced manner in the support body (2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위치 안내수단은 세탁물 바구니(10)의 하부 사방 외주면 또는 지지체의 상부 사방 주벽 내측에 각각 제4힌지부(H4)를 이용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4힌지부(H4)에 설치되는 제4탄성부재(S4)에 의하여 펼침 및 절첩가능한 정위치 가이드(61)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of claim 9,
The right position guiding means may include a fourth elastic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four-si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undry basket 10 or inside the upper quadrangular peripheral wall of the supporter using a fourth hinge portion H4 and installed on the fourth hinge portion H4, (61) which can be folded and folded by a member (S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의 상단부에는 지지체로부터 세탁물 바구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턱(24)이 내향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 바구니(10)의 상단부에는 세탁물 바구니 하강시 지지체 상단에 얹혀지기 위한 걸림턱(14)이 외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20, a detent jaw 24 for preventing the detachment of the laundry basket from the support body is formed inward,
Wherein the laundry baskets (10) are provided with hooking jaws (14) to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body when the laundry basket is low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와 세탁물 바구니(10)에는 세탁물 바구니 완전 하강상태에서 세탁물 바구니의 무단상승을 저지하기 위한 안정수단이 상호 대응하여 요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ody (20) and the laundry basket (10) are form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corresponding to the stabilizing means for preventing the laundry basket from rising steadily while the laundry basket is completely low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20)의 하방에는 세탁물 바구니 상승시 지지체를 잡아주기 위한 압지부(2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가능한 세탁물 바구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essing part (27) for holding the supporting body when the laundry basket is raised is formed below the supporting body (20).
KR1020180067103A 2018-06-11 2018-06-11 Liftable laundry basket KR101891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03A KR101891060B1 (en) 2018-06-11 2018-06-11 Liftable laundry bas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03A KR101891060B1 (en) 2018-06-11 2018-06-11 Liftable laundry bas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060B1 true KR101891060B1 (en) 2018-08-22

Family

ID=6345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03A KR101891060B1 (en) 2018-06-11 2018-06-11 Liftable laundry bas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106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3854A (en) * 2020-12-14 2021-03-26 浙江健安家居用品有限公司 Laundry bask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88B1 (en) * 2012-11-14 2014-03-10 이성희 Volume variable container
KR20140065219A (en) 2012-11-21 2014-05-29 신경종 Height variable and movable laundry basket
KR101855644B1 (en) 2018-02-19 2018-05-04 김윤수 Height adjustable laundry bask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88B1 (en) * 2012-11-14 2014-03-10 이성희 Volume variable container
KR20140065219A (en) 2012-11-21 2014-05-29 신경종 Height variable and movable laundry basket
KR101855644B1 (en) 2018-02-19 2018-05-04 김윤수 Height adjustable laundry bask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53854A (en) * 2020-12-14 2021-03-26 浙江健安家居用品有限公司 Laundry basket
CN112553854B (en) * 2020-12-14 2022-11-15 浙江健安家居用品有限公司 Laundry bas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125B2 (en) Infant support with independently repositionable legs
US20220022725A1 (en) Height adjuster mechanism for a dishwasher dish rack
US7287764B2 (en) Child carrier assembly in a shopping cart
CN107428436B (en) Container assembly
US5984327A (en) Handcart
US10022037B2 (e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US20140346937A1 (en) Height adjuster mechanism for a dishwasher dish rack
US8632080B2 (en) Child carrier assembly for a shopping cart
US8641060B2 (en) Coffee caddy
KR101855644B1 (en) Height adjustable laundry basket
KR101891060B1 (en) Liftable laundry basket
US20090140619A1 (en) Device for loading cutlery in dishwasher machines
CN112135550B (en) Sliding pivoting mechanism of shelf of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 and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
US7093899B2 (en) Seating arrangement with an adjustable seating segment
KR101931067B1 (en) Liftable laundry basket
KR100891298B1 (en) Cooking vessel
JP7492740B2 (en) Storage device
JP2009077831A (en) Combination stool and storage
KR101734671B1 (en) Folding cart device
CN114786552B (en) Drawer device for a cleaning vehicle and cleaning vehicle with a drawer device
JP2024063358A (en) Walking car
JP7243128B2 (en) desk
KR102098586B1 (en) Book-truck
KR101844190B1 (en) Height adjustable laundry basket
KR20230099258A (en)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