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431B1 -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431B1
KR101890431B1 KR1020170092529A KR20170092529A KR101890431B1 KR 101890431 B1 KR101890431 B1 KR 101890431B1 KR 1020170092529 A KR1020170092529 A KR 1020170092529A KR 20170092529 A KR20170092529 A KR 20170092529A KR 101890431 B1 KR101890431 B1 KR 10189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ocking
connecting plate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로브
Priority to KR102017009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05B63/143Arrangement of several locks, e.g. in parallel or series, on one or mor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7/00Accessories for wing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05F7/04Arrangemen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ratt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2Stabilizers, e.g. anti-rattl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안용 주 잠금장치와 별로로 문틀에 설치되는 회동 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포인트에서 함께 밀착되도록 하며, 이러한 밀착 상태의 고정 유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 플레이트의 종방향 설치 범위가 도어의 상하 방향으로 충분히 연장되면서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의 작동 범위와 중첩되어도 상호 방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Structure for Installation of Auxiliary Locking Device for a Hinged Door}
본 발명은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안용 주 잠금장치와 별로로 문틀에 설치되는 회동 레버를 작동시킴으로써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에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포인트에서 함께 밀착되도록 하며, 이러한 밀착 상태의 고정 유지가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로 활용될 수 있는 여닫이문의 잠금장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닫이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물 출입용 도어와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여닫이문(본 명세서에서는 출입용 여닫이 도어(hinged door for enterance) 및 여닫이 창문(hinged window)을 포괄하여 '여닫이문(hinged door)'으로 지칭)에는 다양한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닫이 도어 및 여닫이 창문의 잠금장치의 일반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제10-1237681호(2013.02.26.)의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제20-0271060호(2002.04.09.)의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제20-0476646호 (2015.03.18.)의 '훅 방향 전환식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의 잠금장치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잠금장치들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a)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 힌지(1b)를 통하여 문틀 내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에 설치된 록킹 실린더(1s)가 문틀(1a) 프레임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실린더 포켓(1sa) 내부에 전진 삽입되어 잠금 상태(locked state)가 되거나(도 1b, 및 도 2b 참조), 록킹 실린더(1s)가 실린더 포켓(1sa)에서 빠져 나와서 여닫이문(1) 측으로 후퇴하여서 잠금이 해제되어 비잠금 상태(unlocked state)가 되는(도 1c 참조) 구조로서, 록킹 실린더(1s)의 실린더 포켓(1sa)에 대한 전진 및 후퇴 작동이 여닫이문(1)에 장착된 도어 핸들(1h)의 수동 회전 작동에 의해 수행되거나 기타 다양한 전자식 개폐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잠금장치들은 보안용으로 이용되어 단지 여닫이문이 문틀에서 닫힌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침이 일반적이며,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문의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하나의 포인트 위치에서 잠금 기능을 구현하는 것에 불과하고, 아울러 여닫이문이 닫힌 잠금 상태를 횡단면으로 확대 도시한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록킹 실린더(1s)와 실린더 포켓(1sa)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작동 유격(△g)이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게 되기에,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등에 여닫이문이 문틀로부터 간극을 가지며 분리되어 양호한 기밀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우며, 나아가 덜컹거리며 소음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로서 다양한 전자식 개폐장치의 이용도가 최근 들어서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전자식 개폐장치(전자식 도어록)의 경우에 비밀번호 노출이나 외부에서의 강한 전기 충격 등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실내로의 칩입 경로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잠금 수단이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의 보조 잠금 장치를 고안하여 한국 특허출원 제 10-2016-0102999호로 2016년 8월 12일 출원(KR 10-2017-xxxxxxxx호로 2017. 8. xx. 공개 예정)한 바 있는데, 이에 따르면 첨부 도면 도 2a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 힌지(1b)를 통하여 문틀 내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1a) 사이에 설치되는 여닫이문(1)의 보조 잠금장치로서, 첨부 도면 도 2a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1a)측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을 문틀 프레임(1a)측으로 당김으로써 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비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1a)측에 대하여 비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도록 문틀 프레임(1a) 측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압 롤(120)과,
상기 가압 롤(120)이 문틀 프레임측(1a) 측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문틀 프레임(1a)에 종방향으로 제공된 슬라이딩 포켓(110a)에 설치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가압 롤(120)이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구동 플레이트(110)와,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된 상기 가압 롤(120)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가압 롤(120a)에 맞물려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제공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의 상응한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유도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이동 변위(H)에 의해 유도되는 나머지 제2 가압 롤(120b)의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가압 롤(120b)이 종방향 이동 변위(H)를 통하여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의 접촉 가압 상태 위치와 비접촉 비가압 상태 위치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문틀 프레임(1a)에 설치되는 스위칭 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잠금장치가 제안되었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 장치(100)는, 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 프레임(1a)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0);
하우징의 전면에서 종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하우징(10)에 제1 힌지핀(32)에 의해 설치되는 회동 레버(30);
상기 회동 레버(30)의 제1 힌지핀(32)과 회동 단부 사이의 설정 위치에 제2 힌지핀(40a)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되는 전환 링크바(40);
상기 전환 링크바(40)의 타단부에 제3 힌지핀(40b)에 의해 연결되어서 상기 회동 레버(30)의 종방향 회동 작동을 따라서 하우징(10) 내에서 종방향 직선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20);
상기 회동 레버(30)의 종방향 회동 작동에 의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의 변위가 하우징(10) 내에서의 종방향 직선 슬라이딩 변위로 제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종방향 직선 슬라이딩 변위를 가이드하고 그 높이를 제한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종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홈(52)을 구비한 덮게판(50); 및
상기 슬라이딩 블록(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게판(50)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52) 외부로 돌출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제1 가압 롤(120a)에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52)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 포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가압 롤(120a)은 상기 제2 가압 롤(120b)과 달리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접촉되는 부품이 아니라 상기 슬라이더 포크(25)에 맞물리는 부품이기에 구성 요소의 명칭을 달리 할 수 있으나, 문틀 프레임(1a)에 설치되는 스위칭 장치(10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 다수개의 가압 롤(120) 중에서 제1 가압 롤(120a)과 제2 가압 롤(120b)의 역할이 변경될 수 있기에 본 명세서에서 통일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압 롤(120)은 슬라이더 포크(25)에 맞물리는 과정 또는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접촉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과도한 마찰력이나 마찰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촉되는 외주면이 중심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되는 원통형 로울러(roll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제2 가압 롤(120b)이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의 접촉 가압 상태 위치 또는 비접촉 비가압 상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동 레버(30)를 회동 작동시키도록 설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회동 레버(30)에 인가되기 이전에 회동 레버(30)의 풀림 작동을 억제하기 위한 회동 레버 풀림 회동 억제 수단이 상기 스위칭 장치(100)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제시되었다.
여기에서, 상기 회동 레버 반대 풀림 회동 억제 수단 중 하나인 제1 회동 레버 풀림 회동 억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 장치(100)를 구성하는 회동 레버(30)가 상기 제1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상방 회동하여 제2 힌지핀(40a)이 제1 힌지핀(32) 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회동하는 동안에 제3 힌지핀(40b), 제1 힌지핀(32), 및 제2 힌지핀(40a)이 차례로 상방으로 경사진 직선을 이루는 중립 상태(N.A.)를 가지며(도 7 참조), 상기 중립 상태(N.A.)에 도달하기 이전에 슬라이딩 블록(20) 및 슬라이더 포크(25)의 추가적인 자유로운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에 슬라이딩 가이드홈 상한부(U.L.)가 설정되고, 이로부터 중립 상태(N.A.)까지의 회동 레버(30)의 상방 회동 동안에 슬라이딩 가이드홈 상한부(U.L.)를 초과하는 상방 변위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덮게판(50)의 상부 영역(50b)의 탄성 압축 변형을 통하여 슬라이딩 블록 및 슬라이더 포크의 추가적인 상방 이동이 탄성적으로 수용되고, 상기 중립 상태를 초과하여 회동 레버가 수직 상향 상태에 이르기까지 추가적으로 상방 회동하는 구간에서는 탄성 압축된 상기 덮게판(50)의 상부 영역(50b)의 탄성 회복 변형을 통하여 제3 힌지핀(40b)을 통하여 링크바(40)에 연결된 슬라이딩 블록(20) 및 슬라이더 포크(25)의 미세 하방 이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미세 하방 이동을 회복할 수 있는 슬라이딩 블록 및 슬라이더 포크의 미세 상방 이동에 따른 상기 덮게판(50) 상부 영역(50b)의 탄성 압축 변형이 재수행될 수 있는 크기의 외력이 회동 레버(30)에 인가되기까지 회동 레버(30)와,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20) 및 이와 일체화된 슬라이더 포크(25)의 반대 방향 작동(하방 회동 및 하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52)의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홈 상한부(U.L.) 위치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레버 풀림 회동 억제 수단 중 다른 하나가 되는 제2 회동 레버 풀림 회동 억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칭 장치(100)를 구성하는 회동 레버(30)가 상기 제1 힌지핀(32)을 중심으로 수직 하향 상태까지 하방 회동하여 제2 힌지핀(40a)이 제1 힌지핀(32) 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동하여 제1 힌지핀(32), 제2 힌지핀(40a), 및 제3 힌지핀(40b)이 차례로 하방으로 삼각형 구조로 배치되는 상태를 가지며, 상기 수직 하향 상태에 도달하기 이전에 슬라이딩 블록(20) 및 슬라이더 포크(25)의 추가적인 자유로운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에 슬라이딩 가이드홈 하한부(L.L)가 설정되고, 이로부터 수직 하향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회동 레버(30)의 하방 회동 동안에 슬라이딩 가이드홈 하한부(L.L.)를 초과하는 하방 변위에 의해 유도되는 상기 덮게판(50)의 하부 영역(50a)의 탄성 압축 변형을 통하여 슬라이딩 블록(20) 및 슬라이더 포크(25)의 추가적인 하방 이동이 탄성적으로 수용되고, 슬라이딩 블록(20) 및 슬라이더 포크(25)의 자유로운 하방 이동이 제한되는 슬라이딩 가이드홈 하한부(L.L) 도달 상태를 초과하여 회동 레버(30)가 수직 하향 상태에 이르기까지 하방 회동하는 구간 중에 회동 레버(30)의 강제적인 추가 하방 미세 이동 및 복원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우징과 회동 레버 사이에 레버 하방 추진 수단 및 레버 복원 수단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상기 레버 복원 수단으로부터 상기 레버 하방 추진 수단을 다시 거쳐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회동 레버(30)에 의해 회동 레버(30)의 강제적인 추가 하방 미세 이동에 의한 상기 덮게판 하부 영역(50a)의 탄성 압축 변형이 재수행되기까지 회동 레버(30)와,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20) 및 이와 일체화된 슬라이더 포크(25)의 반대 방향 작동(상방 회동 및 상방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여기에서, 레버 하방 추진 수단은 본 출원 명세서의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측벽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10s); 상기 걸림 돌기(10s)와 대응하도록 회동 레버(30) 측면에 요입 형성되는 걸림홈(30s)의 출입부에 제공되는 돌출 걸림턱(30sa); 및 상기 돌출 걸림턱(30s)이 상기 걸림 돌기(10s)의 하단부로부터 걸림 상태를 벗어날 때 진행되는 회동 레버(30)의 하방 이동이 수용되도록 제1 힌지핀(32)이 체결되는 회동 레버(30)의 힌지공으로서 제1 힌지핀(30)에 대하여 상하 방향 유격을 포함한 장공부(30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레버 복원 수단은 덮게판 하부 영역(50a)의 탄성 회복 변형; 및 상기 덮게판 하부 영역(50a)의 탄성 회복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걸림홈(30s) 내부의 걸림 돌기 확장 안착부(30s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 발명에서는 도 3a의 문틀 프레임측에 대한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여닫이문의 잠금장치가 문틀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 레버(30)를 상방으로 회동 작동시킴으로써 제1 가압 롤(120a)이 설치된 구동 플레이트(110)가 문틀 프레임(1a)에 종방향으로 제공된 슬라이딩 포켓(110a)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제공하게 되고, 구동 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이동 변위(H)에 의해 유도되는 나머지 제2 가압 롤(120b)의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본 출원 명세서의 첨부 도면 도 2c 및 도 2d의 횡단면도에 나타난 전환 작동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문틀 프레임(1a)과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종단면 상태로 모두 나타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압 롤(120b)의 종방향 이동 변위(H)를 통하여 이와 맞물리도록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에 제공된 다수개의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문틀 프레임측으로 당겨(Pull)져서 비접촉 비가압(비압착/잠금 상태) 상태 위치로부터 접촉 가압 상태(압착/잠금 상태) 위치로의 전환 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방범 기능을 구비한 다수의 도어의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1h)에 의해 개방되는 록킹 실린더(1s)와 실린더 포켓(1sa)에 의한 기본적인 록킹 툴 이외에 추가적인 록킹 툴(1ph, 1p, 1pv)을 구비한 멀티 록킹 시스템을 채용함이 일반적이며, 특히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제2의 록킹 툴(1ph, 1p, 1pv)의 경우에는 록킹 다이얼(1ph)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 피스톤(1p)을 수용하여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피스톤 억셉터(1pv)를 문틀 프레임(1a) 측에 최대한 가깝게 형성하여 간단한 외부 조작에 의해 록킹 피스톤(1p)이 손쉽게 해정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채택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선행 발명에서 다수개의 제2 가압 롤(120b)이 제공된 구동 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설치 범위가 제2의 록킹 툴(1ph, 1p, 1pv)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이 작동 범위와 충첩되어서 상호 방해가 발생하게 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플레이트(110)의 설치 범위를 록킹 피스톤(1p) 상부 영역으로 한정하게 되는 경우에 여닫이문(1)의 하부에 대한 접촉 가압 상태(압착/잠금 상태) 위치로의 전환 작동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1237681(2013.02.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20-0271060(2002.04.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476646(2015.03.18.)
본 발명은 상술한 본원 출원인의 선행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 일반적인 보안용 주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 상태가 구현된 이후에 보다 양호한 기밀상태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닫이문과 문틀 사이의 간극을 제어할 수 있는 보조 잠금장치로서 활용 가능한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보조 잠금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 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설치 범위가 제2의 록킹 툴(1ph, 1p, 1pv)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의 작동 범위와 중첩되어도 도 10a(도 9a의 d-d' 단면), 도 10b(도 9a의 e-e' 단면), 및 도 10c(도 9a의 f-f' 단면)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방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를 구비한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인 과제로 삼고 있다.
아울러, 록킹 실린더(1s)와 맞물려 록킹되는 실린더 포켓(1sa)을 문틀 프레임(1a)측에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체결 피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체결 피스가 구동 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설치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틀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 힌지를 통하여 문틀 내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의 개폐 장치로서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측 사이에 제공되는 보안용 주 잠금장치로 2개 이상의 록킹 툴을 구비한 여닫이문의 문틀 프레임 밀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의 설치구조로서,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와,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측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와 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을 문틀 프레임측으로 당김으로써 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와 비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측에 대하여 비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도록 문틀 프레임측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압 롤과,
상기 가압 롤이 문틀 프레임측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문틀 프레임에 종방향으로 제공된 슬라이딩 포켓에 설치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가압 롤이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구동 플레이트 상에 설치된 상기 가압 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가압 롤에 맞물려 종방향 이동 변위를 제공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상응한 종방향 이동 변위를 유도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의 종방향 이동 변위에 의해 유도되는 나머지 제2 가압 롤의 종방향 이동 변위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가압 롤이 종방향 이동 변위를 통하여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접촉 가압 상태 위치와 비접촉 비가압 상태 위치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문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칭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잠금장치를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측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에 있어서,
여닫이문의 개폐 장치로서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측 사이에 보안용 주 잠금장치로서 제공되는 제1 록킹 툴과 제2 록킹 툴이 설치되는 영역의 상부 구간과 하부 구간에 각각 구동 플레이트를 배치하되 이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이 문틀 프레임측에 종방향으로 분리 설치되고,
상하로 분리 설치된 상부 구동 플레이트 및 하부 구동 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며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커넥팅 플레이트로서, 상부 구동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와, 하부 구동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와 종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팅 플레이트;
이격하여 분리 형성된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의 종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 공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의 두께를 초과하는 높이 이상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제1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실린더를 수용하는 실린더 포켓이 설치되는 포켓 설치 홈이 제공되고, 그리고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의 횡방향 작동 범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에는 각각 록킹 피스톤 관통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의 종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 공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의 두께를 초과하는 높이 이상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 일부와 커버 플레이트의 바닥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간격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간격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커버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닫이문이 닫힌 상태에서 일반적인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 상태가 구현된 이후에 여닫이문과 문틀 사이의 간극을 종방향으로 다수개의 포인트에서 긴밀하게 밀착 제어할 수 있는 보조 잠금장치가 멀티 록킹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록킹 툴의 설치 및 작동 범위에 있어서 어떠한 제한이나 방해를 가하지 않고서 여닫이문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기밀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며, 나아가 강풍이 불더라도 여닫이문이 덜컹거리며 소음을 유발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a는 문틀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 힌지를 통하여 문틀 내부에 여닫이문이 설치되는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로서 일반적인 도어 핸들에 의한 잠금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의 a-a'선 단면도로서 일반적인 도어 핸들에 의한 비잠금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문틀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 힌지를 통하여 문틀 내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잠금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로서 잠금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의 b-b'선 단면도로서 비압착/잠금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b-b'선 단면도로서 압착/잠금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잠금장치가 문틀의 일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 레버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 작동시킴으로써 가압 롤이 설치된 구동 플레이트가 문틀 프레임측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비압착/잠금 상태에서 압착/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가압 롤이 설치된 구동 플레이트가 문틀 프레임측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에 의해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가 문틀 프레임측으로 당겨(Pull)져서 비압착/잠금 상태에서 압착/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선행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장치로서, 가압 롤이 종방향 이동 변위를 통하여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와의 접촉 가압 상태 위치와 비접촉 비가압 상태 위치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문틀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칭 장치의 작동 상태를 분해 사시도를 통하여 단계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멀티 록킹 시스템을 구비한 여닫이문에 선행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를 설치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a에 도시된 멀티 록킹 시스템을 구비한 여닫이문에 선행 발명에 따른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를 설치할 때 요구되는 개선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팅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및 커버 플레이트의 세부 구성 및 조립 상태와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커버 플레이트(230)의 포켓 설치 홈(233)에 실린더 포켓(1sa)이 설치되는 상태를 포함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3은 커버 플레이트(23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커버(240)가 설치된 상태를 포함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설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a는 도 14의 A-A'선 단면을 그리고 도 14의 B-B'선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커넥팅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 사이의 연결 조립과 분해 과정을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틀의 일측에 설치된 도어 힌지(1b)를 통하여 문틀 내부에 설치되는 여닫이문(1)의 개폐 장치로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측 사이에 제공되는 보안용 주 잠금장치로 2개 이상의 록킹 툴('1h, 1s, 1sa', '1ph, 1p, 1pv')을 구비한 여닫이문(1)의 문틀 프레임(1a) 밀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의 설치구조가 제공되는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보조 잠금장치의 일 예는 첨부 도면 도 9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1a)측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을 문틀 프레임(1a)측으로 당김으로써 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비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1a)측에 대하여 비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도록 문틀 프레임(1a)측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압 롤(120)과,
상기 가압 롤(120)이 문틀 프레임(1a)측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문틀 프레임(1a)에 종방향으로 제공된 슬라이딩 포켓(110a)에 설치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가압 롤(120)이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구동 플레이트(110)와,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된 상기 가압 롤(120)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가압 롤(120a)에 맞물려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제공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의 상응한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유도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이동 변위(H)에 의해 유도되는 나머지 제2 가압 롤(120b)의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가압 롤(120b)이 종방향 이동 변위(H)를 통하여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의 접촉 가압 상태 위치와 비접촉 비가압 상태 위치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문틀 프레임(1a)에 설치되는 스위칭 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보조 잠금장치를 여닫이문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측 사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에서는 첨부 도면 도 11a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문의 개폐 장치로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1a)측 사이에 보안용 주 잠금장치로서 제공되는 제1 록킹 툴(1h, 1s, 1sa)과 제2 록킹 툴(1ph, 1p, 1pv)이 설치되는 영역의 상부 구간과 하부 구간에,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장치(1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구동 플레이트(110: 110①, 110②)를 각각 분리 배치하되 이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110a)이 문틀 프레임(1a)측에 종방향으로 분리 설치되고,
상하로 분리 설치된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 및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를 상호 연결하며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110a)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커넥팅 플레이트(210)로서,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종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팅 플레이트(210);
이격하여 분리 형성된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110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20); 및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종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 공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두께를 초과하는 높이 이상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제1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실린더(1s)를 수용하는 실린더 포켓(1sa)이 설치되는 포켓 설치 홈(233)이 제공되고, 그리고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의 횡방향 작동 범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 및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에는 각각 록킹 피스톤 관통공(234, 212b)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과 작동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팅 플레이트(210), 베이스 플레이트(220), 및 커버 플레이트(230)의 세부 구성 및 조립 상태와 작동 상태(상하 이동 상태; UP & DOWN)를 도시하는데, 먼저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분리 설치된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 및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데,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공(112)에 삽입 연결되는 연결핀(211c)을 구비한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공(112)에 삽입 연결되는 연결핀(212c)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종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분리(도 17 참조)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연결 상태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 하단부의 메일(male) 체결구(211a)와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피메일(female) 체결구(212a)의 전후 방향 끼움 방식의 체결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의 중앙부 설정 위치에는 체결 피스 관통공(211b)이 제공되는데 그 상세한 구조와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중앙부 설정 위치에는 록킹 피스톤 관통공(212b)이 제공된다.
그리고, 제1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실린더(1s)와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을 마주하는 대응 영역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여 분리 형성된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110a) 사이에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설치되어서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종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 공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두께(t1)를 초과하는 높이(h1) 이상으로 이격(도 15b 참조)하여 커버 플레이트(230)가 첨부 도면 도 11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게 되는데, 커버 플레이트(230)가 베이스 플레이트(220) 상에서 이격 설치되는 구조는 도 14 및 도 14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도 15b와, 그리고 도 16을 통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면 일부와 커버 플레이트(230)의 바닥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간격재(222; spacer)를 통하여 구현 될 수 있는데, 상기 간격재(222)는 도 1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거나 또는 이와 달리 커버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 될 수 있으며, 또한 간격재(222) 돌출부의 대응면(예컨대 도 11c 및 도 15b에서 커버 플레이트(230)의 하부면) 에는 안착홈(232)이 별도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커버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제1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실린더(1s)를 수용하는 실린더 포켓(1sa)이 고정 설치되는 포켓 설치 홈(233)이 제공되고, 그리고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의 횡방향 작동 범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12b)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버 플레이트(230)에도 록킹 피스톤 관통공(234)이 제공된다.
나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에도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12b)의 제공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록킹 피스톤 관통공(224)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로써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이 문틀 프레임(1a)에 더욱 근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안 구조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르면 도 12와 그리고 요부에 대한 측면도 및 확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30)의 포켓 설치 홈(233)에 실린더 포켓(1sa; 도면부호 '250'으로도 표기)이 적정 위치를 찾아서 조절되어 설치되게 되는데, 그 위치 조절 기능을 위하여 커버 플레이트(230)의 포켓 설치 홈(233)의 중앙부에는 설치 위치 결정용 미세돌기홈 구조가 제공되고, 실린더 포켓(250)의 저면(Bottom)에도 대응하는 형상의 설치 위치 결정용 미세돌기홈(252) 구조가 제공된다. 실린더 포켓(250)의 고정 설치를 위하여 포켓 설치 홈(23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체결 피스(fs2)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2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체결 피스(fs2)가 그 관통 위치가 변화된 상태에서 관통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의 관통 장공(254)이 제공된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3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 커버(240)가 설치되는 것이 외관상으로 양호한 마감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12에는 실린더 포켓(250)이 커버 플레이트(230)의 포켓 설치 홈(233)에 설치되어 체결 피스(fs2)에 의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도 13 및 도 15a(도 14의 A-A' 단면도)에는 커버 플레이트(230)가 체결 피스(fs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문틀 프레임(1a)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230)와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 피스(fs1)에 의해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상하 방향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의 중앙부 설정 위치에는 장공 형태(상하 이동 작동 범위 ≒ 장공의 길이)의 체결 피스 관통공(211b)이 제공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체적인 설치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앞서 설명한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의 횡방향 작동 범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커버 플레이트(230)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34),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12b), 및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24)은 통합적으로 하나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1pv)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록킹 피스톤(1p)의 관통 체결 작동 상태는 도 14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도 15a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도 16을 통하여 확인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는 종방향으로는 상호 분리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전후 방향의 분리구조는 일정 간격을 가진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의 하단부와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상단부 사이에서 하나의 일체화된 커넥팅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를 통하여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도어 설치 공사 현장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채용한 수단이다.
예컨대 도 17에 도시된 바(상단 조립: 하단 분해)에서의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분해 과정을 살펴보면, 커넥팅 플레이트(210)를 구성하는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 및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를 상하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동(도면에는 상방 이동)시켜서 상호 연결부를 구성하는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 하단부의 메일(male) 체결구(211a)와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피메일(female) 체결구(212a)의 전후 방향 끼움 상태를 분리함으로써(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피메일(female) 체결구(212a)의 전방 들어 올림) 다른 방향에서의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 하단부의 연결핀(212c)의 후방 이동이 유도되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결공(112)으로부터의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 하단부의 연결핀(212c)의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분해 작동이 완료되도록 한다. 이 때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 하단부의 연결핀(212c)의 후방 이동은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24)에 의해 제공되는 여유 공간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수행된다. 이로써 나머지 부품의 순차 분해도 수행 가능하게 되며, 또한 조립은 이미 설명된 분해의 반대 방향 작동에 의해 간단하게 수행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 및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작동 방향 등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방과 하방이라는 방향 개념을 가진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과 같은 장치를 문틀 프레임에 도면에 예시된 방향과 같이 설치하였을 때를 전제로 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장치를 다른 방향으로 설치한 경우에는 상하 방향이 반대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좌우 방향이 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으로 간주되어여 할 것기에, 그 방향 관련 용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됨이 마땅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여닫이문
1a: 문틀 프레임
110: 구동 플레이트
120: 가압 롤
130: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
100: 스위칭 장치
1h, 1s, 1sa: 제1 록킹 툴
1ph, 1p, 1pv: 제2 록킹 툴
110①: 제1 구동 플레이트
110②: 제1 구동 플레이트
110a: 슬라이딩 포켓
210: 커넥팅 플레이트
211: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
212: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
220: 베이스 플레이트
223: 포켓 설치 홈
230: 커버 플레이트
212b, 224, 234: 록킹 피스톤 관통공

Claims (8)

  1. 여닫이문의 개폐 장치로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과 문틀 프레임(1a)측 사이에 보안용 주 잠금장치로서 제공되는 2개 이상의 록킹 툴('1h, 1s, 1sa', 1ph, 1p, 1pv')이 설치되는 영역의 상부 구간과 하부 구간에,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스위칭 장치(1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동되는 구동 플레이트(110: 110①, 110②)를 각각 분리 배치하되 이들을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110a)이 문틀 프레임(1a)측에 종방향으로 분리 설치되고,
    상하로 분리 설치된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 및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를 상호 연결하며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110a)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커넥팅 플레이트(210)로서,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종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팅 플레이트(210);
    이격하여 분리 형성된 상부와 하부의 슬라이딩 포켓(110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20); 및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종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동 공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두께를 초과하는 높이 이상으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커버 플레이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제1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실린더(1s)를 수용하는 실린더 포켓(1sa)이 설치되는 포켓 설치 홈(233)이 제공되고, 그리고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의 횡방향 작동 범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 및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에는 각각 록킹 피스톤 관통공(234, 212b)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장치(100)를 포함한 상기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는 보안용 주 잠금장치로 제공되는 상기 2개 이상의 록킹 툴('1h, 1s, 1sa', '1ph, 1p, 1pv')을 구비한 여닫이문(1)의 문틀 프레임(1a) 밀착 상태를 구현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제공되며, 상기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는,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1a)측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을 문틀 프레임(1a)측으로 당김으로써 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하고,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 비접촉 상태에서 여닫이문(1)의 회전 개방 측면이 문틀 프레임(1a)측에 대하여 비압착 잠금 상태를 구현도록 문틀 프레임(1a)측에 종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압 롤(120)과,
    상기 가압 롤(120)이 문틀 프레임(1a)측에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문틀 프레임(1a)에 종방향으로 제공된 슬라이딩 포켓(110a)에 설치되며 전면에 다수개의 가압 롤(120)이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제공되는 구동 플레이트(110)와,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 상에 설치된 상기 가압 롤(120) 중에서 하나 이상의 제1 가압 롤(120a)에 맞물려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제공하여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의 상응한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유도하고, 상기 구동 플레이트(110)의 종방향 이동 변위(H)에 의해 유도되는 나머지 제2 가압 롤(120b)의 종방향 이동 변위(H)를 생성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가압 롤(120b)이 종방향 이동 변위(H)를 통하여 상기 밀착 가이드 플레이트(130)와의 접촉 가압 상태 위치와 비접촉 비가압 상태 위치 사이를 스위칭하도록 문틀 프레임(1a)에 설치되는 스위칭 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하로 분리 설치된 상기 상부 구동 플레이트(110①) 및 상기 하부 구동 플레이트(110②)를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는,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와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가 종방향으로는 상호 분리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만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 하단부는 메일(male) 체결구(211a)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상단부는 전후 방향 끼움 방식의 체결되는 피메일(female) 체결구(212a)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가 체결 피스(fs1)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문틀 프레임(1a)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구조가 제공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체결 피스(fs1)에 의해 상기 커넥팅 플레이트(210)의 상하 방향 이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상기 상부 커넥팅 플레이트(211)의 중앙부 설정 위치에는 장공 형태의 체결 피스 관통공(211b)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중앙부 설정 위치에는 록킹 피스톤 관통공(212b)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 상에서 이격 설치되는 구조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면 일부와 커버 플레이트(230)의 바닥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간격재(222; spacer)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22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간격재(222) 돌출부에 대응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의 하부면에는 안착홈(23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230)의 상부면에는 제1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실린더(1s)를 수용하는 실린더 포켓(1sa)이 고정 설치되는 포켓 설치 홈(233)이 제공되고, 그리고 제2 록킹 툴을 구성하는 록킹 피스톤(1p)의 횡방향 작동 범위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12b) 형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커버 플레이트(230)에도 록킹 피스톤 관통공(23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에도 상기 하부 커넥팅 플레이트(212)의 록킹 피스톤 관통공(212b)의 제공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록킹 피스톤 관통공(22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KR1020170092529A 2017-07-21 2017-07-21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KR10189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29A KR101890431B1 (ko) 2017-07-21 2017-07-21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29A KR101890431B1 (ko) 2017-07-21 2017-07-21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431B1 true KR101890431B1 (ko) 2018-08-21

Family

ID=63453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529A KR101890431B1 (ko) 2017-07-21 2017-07-21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59A1 (ko) * 2018-10-14 2020-04-23 주식회사 필로브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61Y1 (ko) 2006-02-03 2006-05-02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록 장치
KR200450340Y1 (ko) 2010-07-08 2010-09-24 강호중 여닫이문의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961Y1 (ko) 2006-02-03 2006-05-02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배전반의 도어록 장치
KR200450340Y1 (ko) 2010-07-08 2010-09-24 강호중 여닫이문의 잠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559A1 (ko) * 2018-10-14 2020-04-23 주식회사 필로브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US20210388647A1 (en) * 2018-10-14 2021-12-16 Filobe Co., Ltd. Installation structure of auxiliary locking device for hinged door
JP2022515292A (ja) * 2018-10-14 2022-02-17 フィローブ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開き戸の補助ロック装置の取り付け構造
EP3868985A4 (en) * 2018-10-14 2022-07-27 Filobe Co., Ltd. MOUNTING STRUCTURE OF AN AUXILIARY LOCKING DEVICE FOR A SWINGING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8894B2 (en) Arrangement for securing a panel closure
KR101731775B1 (ko) 미닫이 창호의 수평밀착장치
CA3002971C (en) Window tilt latch system
KR101641021B1 (ko) 창호 잠금장치
KR101056704B1 (ko) 슬라이딩 바아의 이동에 의한 랙 기어 운동 단속 장치 및이를 이용한 임의 각도에서 잠금이 가능한 턴 방식의 창호개폐장치
US5836111A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windows
KR101678144B1 (ko) 듀얼 슬라이딩부를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CN108118986B (zh) 门窗
US6152498A (en) Latch assembly
KR101890431B1 (ko) 여닫이문의 보조 잠금장치 설치구조
KR101028157B1 (ko)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EP3868985A1 (en) Installation structure of auxiliary locking device for hinged door
EP3741905B1 (en) Door assembly of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laundry treatment device
KR101812303B1 (ko) 여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1234386B1 (ko) 일체로 개/폐가능하게 연동되는 미서기 창호의 이중창 구조
CN110431281B (zh) 具有中间打开位置的门把手布置
KR101900597B1 (ko)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KR101902494B1 (ko) 미닫이 도어의 이중 잠금장치
JP7233122B2 (ja) ドア・窓制御装置及び方法
JP3661142B2 (ja) 戸体の封止装置
JP7207729B2 (ja) 開き扉の施解錠機構
KR102309326B1 (ko) 록커를 이용한 보조열림기능이 구비된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JP7489832B2 (ja) 建具
JP3469526B2 (ja) 展示ケース及びその扉装置
JP4072010B2 (ja) 補助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