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547B1 -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547B1
KR101889547B1 KR1020160100218A KR20160100218A KR101889547B1 KR 101889547 B1 KR101889547 B1 KR 101889547B1 KR 1020160100218 A KR1020160100218 A KR 1020160100218A KR 20160100218 A KR20160100218 A KR 20160100218A KR 101889547 B1 KR101889547 B1 KR 101889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maintenance
desalination plant
plant facility
maintenanc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152A (ko
Inventor
이정준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54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6Flash evapo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모듈,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유지 보수 관리 모듈,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작업 오더 모듈을 포함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Work ord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esalination plant}
본 발명은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모듈,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유지 보수 관리 모듈,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작업 오더 모듈을 포함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수담수화는 생활용수나 공업용수로 직접 사용하기 힘든 바닷물로부터 염분을 포함하는 용해물질을 제거하여 순도 높은 음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을 얻어내는 수처리 과정을 말한다. 바닷물은 지구상의 물 중 약 98%의 비율을 차지하므로, 이러한 거대한 양의 바닷물을 인류의 생활에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경제적인 방법으로 염분을 제거하고 담수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 담수화에 사용되는 설비를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 설치하여, 바닷물을 민물로 변환하도록 한다.
해수담수화는 열원을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고 발생한 증기를 응축시켜 담수를 얻는 증발법과, 삼투현상을 역으로 이용하여 반투막을 통과시켜 담수를 생산하는 역삼투법(RO)의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증발법은 다단증발법(MSF)과 다중효용증발법(MED)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결정화법, 용제추출법, 가압흡착법 등을 해수담수화에 적용할 수 있다.
다단증발법(MSF; Multi-Stage Flash)은 해수를 압력이 여러 단계의 열 교환기 내부를 거치게 하면서 발전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증기로 가열해 증발시킨 후, 차가운 해수가 흐르는 관 외벽에서 증기를 응축하는 과정을 통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방식이며, 대용량의 담수화 설비에 사용될 수 있다. 단(stage)에서 열원의 추가없이 계속적으로 낮은 증기 압력에서 해수의 플래싱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중효용증발법(MED; Multi-Effect Distillation)은 이펙트(effect)라는 기기를 이용하여 담수를 생산하며, 고압의 BRP Pump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전력 소모량이 적어 운전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다중효용증발법은 금속관 외부에 해수를 분무하여 내부에 흐르는 증기를 응축하게 하는 것으로, 관 외부의 해수는 끓어서 증기를 발생시키고 다음 단(effect)의 관내부로 들어가 응축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한다. 낮은 온도에서 운전하게 되므로 열효율이 높으며, 전력 소모량이 생산량에 비해 적다.
역삼투압법(RO; Reverse Osmosis)은 해수에 압력을 가한 후 반투막을 이용하여 물과 염분 등 기타 물질을 분리하는 역삼투압 방법을 이용해 담수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이 비교적 용이하고 담수 생산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낮으며 담수화 설비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역삼투압법은, 전처리 설비(Pretreatment syste), 고압펌프(High pressure pump) 및 역삼투압(RO Membrane)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용매인 물을 용질과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해수 담수화는 다양한 방법에 따라서 여러 설비들을 포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해수 담수화 장치의 설비들은 거대한 크기를 갖게 되며, 각각의 설비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야 담수화 플랜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해수 담수화 장치의 설비들의 경우, 여러 설비들을 포함하게 되므로, 기 설정된 주기마다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해수 담수화 장치는 여러 단계의 필터 또는 장치를 거쳐 담수화가 진행되므로, 각각의 단계에 위치하는 장치들이 고장이 나기 전에 미리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여야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해수 담수화 장치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에 설치되는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유지 보수 작업에 필요한 순서를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숙련도 여부에 따라서 유지 보수 작업의 진행 속도 및 진행 정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고 해당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여, 효율적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모듈,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유지 보수 관리 모듈,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작업 오더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담수화 플랜트가 해수 공급 장치, 수도관, 증발 장치, 냉각 장치, 스팀 장치, 역삼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이 인터넷 웹 페이지, 컴퓨팅 장치의 프로그램,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이 담수화 플랜트 설비 위치, 담수화 플랜트 설비 상황,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이상 상황에 대한 내용,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자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이 입력된 상태 데이터 중 필수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이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이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이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에 자동으로 작업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이 유지 보수 작업 절차, 안전 계획, 자원 계획, 설비 측정 포인트, 소요 자재, 공기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이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계층별로 분류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이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인 경우 우선순위별로 시퀀스를 부여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이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인 경우 상기 계층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이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경우, 생산 계획을 반영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조회 및 검색하고, 적합한 유지 보수 작업 순서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작업 진행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진행 관리 모듈이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목표별, 계획별, 실적별, 작업일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추적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이 상기 작업 진행 관리 모듈이 부적합한 유지 보수 작업 순서임을 검증하는 경우,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재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은,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은,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조회 및 검색하고, 적합한 유지 보수 작업 순서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생성하고 추적 및 관리하여, 담수화 플랜트 설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입력하는 기초 상태 데이터를 최소화하여, 필수 기초 상태 데이터만으로도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작업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생성하고 추적할 수 있으며, 작업 및 서비스 요청에서부터 작업자 실적보고 및 할당관리까지 모두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실제 정비가 이루어지기 전 관련 사항을 정리하여 작업 계획을 세움으로써, 작업 환경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작업수행을 위한 준비 후 정비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 및 작업 오더 모듈이 유지 보수 작업을 생성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 및 작업 오더 모듈이 유지 보수 작업을 생성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의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시스템은, 담수화 플랜트(200)에 접속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 제어 장치(100) 및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담수화 플랜트는, 해수 공급 장치, 수도관, 증발 장치, 냉각 장치, 스팀 장치, 역삼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담수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담수화 플랜트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담수화 플랜트와 일정 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담수화 플랜트와 물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통신만을 송수신하며 위치할 수도 있다.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100)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고,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고,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에 상기 추출한 유지 보수 작업 또는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가 수행하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단말기(300)는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는 컴퓨팅 장치, 스마트 단말기, PDA, 서버 컴퓨터 등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담수화 플랜트 설비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전자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단말기에 설치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인터넷 웹 페이지, 컴퓨팅 장치의 프로그램,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에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에 포함되는 데이터 입력 모듈은, 인터넷 웹 페이지, 컴퓨팅 장치의 프로그램,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의 경우, 담수화 플랜트에서 격지에 위치하여 있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사용할 수 있고,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에 원격으로 접속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입력 모듈(110), 유지 보수 관리 모듈(120), 작업 오더 모듈(130), 작업 진행 관리 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모듈(110)은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데이터 입력 모듈은 수집한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여 추후 작업 순서의 생성에 이용할 수도 있으며, 실시간으로 설비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정상 상태에서 이상 상태가 발생하는 상황에 대한 빠른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기초 상태 데이터는 담수화 플랜트의 유지 보수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상태 데이터를 말하며,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모듈은 단말기(300)에서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담수화 플랜트(20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모듈은, 담수화 플랜트 설비 위치, 담수화 플랜트 설비 상황,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이상 상황에 대한 내용,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자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담수화 플랜트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작업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유지 보수 작업이 있는 경우 해당 유지 보수 작업에 관련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모듈은, 담수화 플랜트로부터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경우 기 설정된 주기별로 해수 담수화 플랜트로부터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경우 이상 상태가 발생할 때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지만, 현장 단말기 및 서버에 과부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모듈은 감시 주기를 지정하고(ex; 100ms) 주기별로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설비가 발생하는 기초 상태 데이터를 감시할 수 있다.
유지 보수 관리 모듈(120)은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는, 기초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지 보수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도록 한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생성하고 추적하기 위하여 다양한 작업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관리 모듈은 6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작업 및 서비스 요청에서부터 작업자 실적보고 및 할당관리까지 관리하게 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사용자의 업무유형에 따라 설계되며 필요에 따른 권한 부여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입력된 상태 데이터 중 필수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필수 정보만으로 작업요청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다수의 기초 상태 데이터를 모두 입력할 수 없는 물리적인 한계가 존재하므로, 작업 순서를 생성하도록 하는 필수적인 기초 상태 데이터만을 입력받아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작업명, 설비/위치, 완료일자를 포함하는 필수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재 담수화 플랜트 설비가 필요로 하는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할 수 있다. 작업명 <해수 공급 장치 점검>, 설비/위치 <해수 공급 장치, BC3-003-8C3-03>, 완료일자 <2016년 9월 1일> 등의 필수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수 공급 장치가 현재 가지고 있는 상태와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경우 유지 보수 작업이 반드시 필요할 수도 있으나 불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유지 보수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한 후,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만 추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는, 기초 상태 데이터로 담수화 플랜트의 설비 상황, 이상 내용, 자재 정보를 입력받고, 담수화 플랜트 중 <해수 공급 장치>의 설비 상황인 <수압 : 100kPa>임을 입력받는다. 이어, 기 설정된 정상 상태 범위가 20~80kPa인 경우, 본 발명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해수 공급 장치의 위치 코드를 확인 후 기초 상태 데이터가 이상 상황임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KPI 지표는 핵심성과지표를 의미하며, 목표 달성의 정도를 계량하는 지표에 해당한다. 특히, 정량적 계측이 어려운 것을 정량화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관리 중요성/통제가능성/측정가능성을 고려하여 KPI 지표를 도출할 수 있다.
작업 오더 모듈(130)은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할 수 있다.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이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한 후, 해당 유지 보수 작업을 어떠한 순서에 따라서 진행하느냐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최적화된 유지 보수 작업 순서를 생성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 및 작업 오더 모듈이 유지 보수 작업을 생성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이 유지 보수 작업을 생성하는 순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먼저 작업번호를 생성한 후, 위치 및 설비를 확인하여 입력받는다. 이어, 작업 생성 요청자를 입력하고, 작업 생성 요청자가 포함된 접수팀을 입력받는다. 이어, 작업이 필요로 하는 설비 상황, 이상 내용, 자재 정보 등의 요청내용을 입력받고, 요청 수리 일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정확한 요청작업 처리를 위한 필수 데이터로, 작업명 및 접수팀을 필수 입력 항목으로 지정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부문에 작업을 요청 및 의뢰할 때 생성한 작업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자체작업에 대한 작업요청 전달은 후술하는 작업 진행 관리 모듈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에 자동으로 작업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을 생성할 때 작업 번호를 생성하여 관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자동으로 작업 번호를 부여하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의 유지 보수 관리 모듈 및 작업 오더 모듈이 유지 보수 작업을 생성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위치/설비/작업팀/일정 등을 포함하는 작업을 생성 및 검색한다. 이어, 작업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검토 및 입력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작업 내용과 자원 검토를 입력받아 최종 승인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유지 보수 작업 절차, 안전 계획, 자원계획, 설비 측정 포인트, 소요 자재, 공기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작업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데, 그 중에서도 상술한 항목들의 내용을 고려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계층별로 분류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유지 보수 작업의 경우 작업 유형, 일자, 대상 자산, 위치 등에 따라 관련 작업을 묶을 수 있으며, 관련 작업에 따라 동종설비 및 구성품에 따라 계층 구조화가 가능하다.
담수화 플랜트에 설치되는 설비의 경우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므로, 담수화 작업의 정도에 따라서 해당 설비를 계층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자산을 계층적으로 분류한 후 추후 단말기에서 자산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때 효율적인 작업을 위하여 계층적 분류 내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유지 보수 작업을 계층별로 분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작업 오더 모듈이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으로 <해수 공급 장치의 공급 중단>, <해수 공급 장치의 볼트 및 너트 확인>, <해수 공급 장치의 수도관 수압 확인> 등을 생성하는 경우, 1계층(기초 작업)으로 <해수 공급 장치의 공급 중단>, 2계층(상세 작업)으로 <해수 공급 장치의 볼트 및 너트 확인>, <해수 공급 장치의 수도관 수압 확인> 등 다양한 계층에 따라 유지 보수 작업을 분류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인 경우 우선순위별로 시퀀스를 부여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1계층, 2계층, 3계층으로 유지 보수 작업을 분류하고, 1계층 - 2계층 - 3계층의 순서에 따라서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해수 공급 장치의 공급 중단>, <해수 공급 장치의 볼트 및 너트 확인>, <해수 공급 장치의 수도관 수압 확인> 등을 생성하는 경우, 1계층(기초 작업)인 <해수 공급 장치의 공급 중단>을 먼저 수행하도록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2계층(상세 작업)인 <해수 공급 장치의 볼트 및 너트 확인>, <해수 공급 장치의 수도관 수압 확인>을 차순위로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계층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인 경우 상기 계층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계층 작업 순서(Work Order)는 여러 작업 순서(work order) 를 하나의 parent work order로 관리할 수 있다. 담수화 플랜트에 포함되는 설비의 경우 많은 수의 설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비마다의 서로 다른 유지 보수 작업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그룹핑 후 유지 보수 작업을 생성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유지 보수 작업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오더 모듈은,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경우, 생산 계획을 반영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담수화 플랜트의 설비관리계획의 경우, 담수화 플랜트의 가동 계획 (또는 생산 계획)을 필수적으로 고려하여아 하며, 이는 담수화 플랜트가 한 번 가동되면 중단이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드시 담수화 플랜트를 가동하여야 하는 계획이 있는 경우, 담수화 플랜트의 유지 보수 작업은 추후에 진행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생산과 가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작업 진행 관리 모듈(140)은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조회 및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 오더 모듈이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는 올바른 순서로 생성될 수도 있으나, 현실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유지 보수 작업 순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작업 진행 관리 모듈은 생성된 유지 보수 작업 순서를 조회 및 검색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 진행 관리 모듈은,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목표별, 계획별, 실적별, 작업일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추적 및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성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는 작업의 특성에 따라서 그 순서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작업이 포함하게 되는 목표, 계획, 실적, 작업일자를 고려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관리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의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은,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은,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조회 및 검색하고, 적합한 유지 보수 작업 순서인지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술한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가 가지고 있는 구성요소를 본 발명의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110 : 데이터 입력 모듈
120 : 유지 보수 관리 모듈
130 : 작업 오더 모듈
140 : 작업 진행 관리 모듈
200 : 담수화 플랜트
300 : 단말기

Claims (18)

  1.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 모듈;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유지 보수 관리 모듈;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작업 오더 모듈; 및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조회 및 검색하는 작업 진행 관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진행 관리 모듈은,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목표별, 계획별, 실적별 및 작업일자별로 구분하여 추적 및 관리하고,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은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계층별로 분류하고, 계층별로 분류된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해 우선 순위별로 시퀀스를 부여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되, 상기 계층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며,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은 담수화 플랜트의 가동 계획을 반영하여 상기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 플랜트는,
    해수 공급 장치, 수도관, 증발 장치, 냉각 장치, 스팀 장치, 역삼투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은,
    인터넷 웹 페이지, 컴퓨팅 장치의 프로그램, 스마트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으로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모듈은,
    담수화 플랜트 설비 위치, 담수화 플랜트 설비 상황,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이상 상황에 대한 내용,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자재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입력된 상태 데이터 중 필수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보수 관리 모듈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은,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에 자동으로 작업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오더 모듈은,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되,
    상기 유지 보수 작업은 유지 보수 작업 절차, 안전 계획, 자원 계획, 설비 측정 포인트, 소요 자재, 공기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한 기초 상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기초 상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담수화 플랜트 설비에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조회 및 검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조회 및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목표별, 계획별, 실적별, 작업일자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추적 및 관리하고,
    상기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 필요한 유지 보수 작업을 계층별로 분류하고, 계층별로 분류된 유지 보수 작업에 대해 우선 순위별로 시퀀스를 부여하여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되, 상기 계층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며,또한 담수화 플랜트의 가동 계획을 반영하여 상기 유지 보수 작업의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방법.
  18. 삭제
KR1020160100218A 2016-08-05 2016-08-05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89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18A KR101889547B1 (ko) 2016-08-05 2016-08-05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18A KR101889547B1 (ko) 2016-08-05 2016-08-05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52A KR20180016152A (ko) 2018-02-14
KR101889547B1 true KR101889547B1 (ko) 2018-08-17

Family

ID=61229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218A KR101889547B1 (ko) 2016-08-05 2016-08-05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5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631B1 (ko) * 2010-08-03 2012-06-1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61719A (ko) * 2013-11-27 2015-06-05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해수 담수화 플랜트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52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wantes et al. Techno-economic comparison of membrane distillation and MVC in a zero liquid discharge application
Shaffer et al. Desalination and reuse of high-salinity shale gas produced water: drivers, technologies, and future directions
Panagopoulos Process simulation and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a zero liquid discharge/multi‐effect desalination/thermal vapor compression (ZLD/MED/TVC) system
Bamufleh et al. Optimization of multi-effect distillation with brine treatment via membrane distillation and process heat integration
Bourouni Availability assessment of a reverse osmosis plant: comparison between reliability block diagram and fault tree analysis methods
Elsayed et al. Integration of thermal membrane distillation networks with processing facilities
Sharaf Thermo-economic comparisons of different types of solar desalination processes
KR101867063B1 (ko)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 장치 및 시스템
Xevgenos et al. Design of an innovative vacuum evaporator system for brine concentration assisted by software tool simulation
KR101889547B1 (ko)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작업 오더 관리 장치 및 방법
Du et al. Economic, energy, exergo-economic, and environmental analyses an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of seawater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s with boron removal
Plata et al. Zero liquid discharge and water reuse in recirculating cooling towers at power facilities: review and case study analysis
Ahmed et al. Optimization of a novel spray flash desalination system integrated with concentrated solar power utiliz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R101855439B1 (ko)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기준 정보 관리 장치
Murray et al. Waiv technology: an alternative solution for brine management: results of a full-scale demonstration trial conducted at a location near Roma in Queensland
KR102423534B1 (ko) 담수화 플랜트 설비의 기준 정보 관리 장치
Khraisheh et al.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DH) desalination and other volume reduction techniques for produced water treatment
CN103577855A (zh) 一种洗衣店使用的衣物洗涤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Wu et al. Treatment of brackish water for fossil power plant cooling
Kocabaş et al. Reducing energy losses of steam boilers caused by blowdown with using the FMEA method
KR20180016153A (ko) 담수화 플랜트 설비 관리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플랫폼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N103914753A (zh) 一种输变电设备绩效管理kpi指标系统
Hong et al. Smart water grid: desalination water management platform
Cao et al. Improved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falling film evaporator for desalination industry by balanced liquid distribution
Chen et al. Stochastic optimization-based approach for simultaneous process design and HEN synthesis of tightly-coupled RO-ORC-HI systems under seasonal uncertain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