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754B1 -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754B1
KR101888754B1 KR1020160140450A KR20160140450A KR101888754B1 KR 101888754 B1 KR101888754 B1 KR 101888754B1 KR 1020160140450 A KR1020160140450 A KR 1020160140450A KR 20160140450 A KR20160140450 A KR 20160140450A KR 101888754 B1 KR101888754 B1 KR 101888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touch
touched
input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743A (ko
Inventor
조아란
Original Assignee
조아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란 filed Critical 조아란
Priority to KR102016014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7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METHOD FOR HANGEUL INPUT USING SWIPE GESTURE}
본 발명은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모음 입력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기이나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는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통상 터치패드(TOUCH PAD)로 이루어진 입력창과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진 표시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터치패드는 서로 다른 입력정보를 갖는 복수개의 입력셀(INPUTTING CELL)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스타일리스 및 터치펜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셀을 터치하고, 입력셀에 대응하는 문자나 기능이 선택되어 표시창에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터치스크린은 화면 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값을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은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위치에 인간의 손 도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처리를 할 수 있도록 화면에서 직접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에는 입력 감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표면초음파전도(SURFACE ACOUSTIC WAVE : SAW) 방식 및 적외선 방식 등의 기술이 적용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 멀티터치(MULTI TOUCH) 기술이 응용될 수 있다.
멀티터치 기술이란, 두 개 이상의 터치를 동시에 인식하는 기술이다. 두 손가락을 이용한 멀티터치 기술은 종래 한 손가락에 의한 단순한 터치 방식보다 스크롤(SCROLL), 줌인(ZOOM IN), 줌아웃(ZOOM OUT) 및 패닝(PANNING) 등 더 많은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입력셀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 입력셀에 자음과 모음의 배치방식에 따라 문자의 입력속도와 편의성이 달라진다.
한글은 영문자와는 달리 자음 숫자에 비해 모음 숫자가 많은 특징이 있어, 모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입력하는 방법이 중요한 사항이다.
또한, 전자제품은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입력에 관한 기술이 발전해왔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사용자들이 영어보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한글의 맞춤화된 터치 입력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타건 횟수가 많아, 한글 문자 입력 시 타건 횟수의 증가로 인한 오타가 많이 발생하였다.
아울러, 한글 문자를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한글 입력방법에 대한 기술이 모색되어 왔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097611호(발명의 명칭 :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와 같은 발명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모음 입력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기존 입력방법과 대비하여 한글 입력효율이 향상된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상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상기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자음입력키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 이외에 "ㅡ", "ㅣ", "", "ㅙ" 또는 "ㅞ"가 표시된 모음입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어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을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일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1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타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3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3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ㅡ"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3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4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4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ㅣ"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5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5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백스페이스(Backspace)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e)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f)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 (g)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h)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i)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e)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f)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 (g)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h)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i)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며,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h)단계에서는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i)단계에서는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다수의 모음 입력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기존 입력방법과 대비하여 한글 입력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스마트 폰이나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단말기에 응용할 경우,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또는 "ㅐ" 등의 모음 키를 사용하지 않아, 자음 및 특수기호 등의 입력키가 보다 넓은 화면 영역을 차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오타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한글 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입력방법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에서는 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를 기본모음이라 호칭한다.
또한, 모음 "ㅐ", "ㅒ", "ㅔ", "ㅖ", "ㅚ", "ㅘ", "ㅙ", "ㅟ", "ㅝ", "ㅞ", "ㅢ" 를 복합모음이라 호칭한다.
또한,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를 기본자음이라 호칭한다.
또한, "ㄲ", "ㄸ", "ㅃ", "ㅆ", "ㅉ" 를 복합자음이라 호칭한다.
특히 종성으로 쓰이는 자음일 경우,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를 홑받침, 자음두개가 모여 받침을 이루는 겨우 겹받침으로 호칭한다.
한글은 초성과 중성이 결합하여 한 음절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초성과 중성 및 종성이 결합하여 한 음절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성은 자음, 중성은 모음이 선택되고, 종성은 반드시 자음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0)에 자음입력키를 구비하는 입력창(2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10)을 구비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에 기반한 모든 전자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노트북 및 PMP 등의 터치스크린에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입력에 대해 저항막 방식의 경우에는 전위차,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에는 커패시턴스(capacitance), 표면초음파전도 방식의 경우에는 파장, 적외선 방식의 경우에는 IR 광인터럽트 형태의 출력값을 내보내고, 출력값은 최종적으로 (X, Y) 등의 좌표 형태로 변환된다.
터치 입력의 좌표 값은 디스플레이된 문자 입력 구간의 위치와 대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어떤 문자 입력 구간이 선택되었는지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는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지속 시간 또는 압력값도 검출한다
이어서, 좌표값에 따른 문자 입력 구간을 판단하고, 판단된 문자 입력 구간, 터치 지속 시간, 압력값에 따라 사용자가 어떤 문자를 선택하고자 하는지 판단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모듈, 자판 모듈, 입력처리 모듈, 프로세싱 모듈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모듈은 사용자가 직접 터치를 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구조 및 구동 방식에 따라 압력식 저항막 방식(Registive Overlay),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피에조 효과 방식(Piezo Electric) 및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Integral Strain Gua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터치 패널을 사용할 수 있다.
자판 모듈은 사용자에게 자판을 시인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터치 모듈의 하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자판을 터치하면 해당 문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스크린 모듈이 터치되어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자판 모듈은 배열된 자판 모듈의 크기를 넓혀 문자 입력 오타를 줄이기 위해 'ㄱ', 'ㅁ', 'ㅅ', 'ㅇ', 'ㅣ' 및 'ㅡ'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이 적용되는 기기에 따라 자판의 배열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판 모듈에 구비된 버튼과 크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다.
입력처리 모듈은 사용자가 자판 모듈과 터치스크린 모듈을 통한 입력을 터치, 드레그, 멀티터치, 멀티터치 드레그로 분류하고 위치 정보와 분류 정보를 프로세싱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처리 모듈은 터치 판단 모듈과 입력 보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판단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을 터치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터치 판단 모듈은 터치 모듈, 드레그 모듈, 멀티터치 모듈 및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터치를 시작한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드레그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터치를 종료한 지점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종료 지점과 터치 모듈에서 감지된 터치를 시작한 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행한 드레그 동작을 인지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드레그를 수행하고자 하더라도 터치스크린 모듈에 우선 압력을 가하여 터치부터 수행해야 하므로, 드레그 모듈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감지된 터치 시작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고 자신이 감지한 터치 종료 지점에 대한 정보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드레그 동작을 인지한다.
멀티터치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은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모듈에서 둘 이상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한 후,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한 드레그 동작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은 둘 이상의 지점에 대한 터치 종료 지점과 멀티터치 모듈에서 감지된 멀티터치에 대한 터치 시작 지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멀티터치 드레그 동작을 인지한다.
본 발명은 일반 터치 동작과 드레그 동작만을 수행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된 멀티터치 모듈과 멀티터치 드레그 모듈은 생략될 수 있다.
프로세싱 모듈은 입력처리 모듈에 의해 감지된 문자를 병합하고, 이에 대한 영상 신호를 사용자에게 시인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송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문자를 시인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청각 신호로 문자 입력에 따른 비프음 등을 스피커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이를 들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스피커는 프로세싱 모듈에서 전송된 청각 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가 이를 들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스피커는 생략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기기인, 스마트 단말기 등에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지속 시간, 드래깅 지속 시간,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되는 시간을 제1 시간 이하와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및 드래깅 시 해당 터치 시간 또는 드래깅되는 시간에 대한 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 이하는 1~3초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는 3초를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제1 압력 이하와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압력 이하의 경우, 단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겹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압력에 대한 기준은 미리 별도의 옵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시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창(20)에는 자음입력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서 자음입력키(10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자음입력키(100)는 터치스크린(10)의 경계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과 자음입력키(100) 사이의 일정 공간(30)은 자음입력키(100)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처가 실행되는 공간일 수 있다.
자음입력키(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남은 별도의 공간에는 자음입력키의 자음을 쌍자음 및 파열음으로 변환시키는 별도의 설정키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0) 상에서 보여지듯이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만으로도 "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원리는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의 "터치"란, 물리적인 접촉뿐만 아니라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터치스크린의 터치검출부가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수준까지 근접하는 동작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입력창(20)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및 일정 공간(3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일 드래깅 제스처란, 하나의 터치로부터 이어지는 드래깅 제스처를 뜻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라는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자음입력키(100) 중 "ㅅ"의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할 수 있다. 이후,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 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깅 되는 길이는 제1 터치되는 지점인 "a"부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인 "b"일 수 있다. 드래깅 길이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옵션사항에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ㅅ+ㅏ = "사"라는 한글이 스마트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드래깅 방향이 각각 다를 경우,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모음이 선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 터치되는 점인 a를 기준으로 각 영역이 설정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10) 상에서 보여지듯이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만으로도 "샤"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원리는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입력창(20)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및 일정 공간(30)이 구비됨을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일 드래깅 제스처란, 하나의 터치로부터 이어지는 드래깅 제스처를 뜻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샤"라는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자음입력키(100) 중 "ㅅ"의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할 수 있다. 이후,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 할 수 있다. 이 때, 드래깅 되는 길이는 제1 터치되는 지점인 "a"부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인 "b"일 수 있다. 드래깅 길이는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옵션사항에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ㅅ"자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ㅅ+ㅑ = "샤"라는 한글이 스마트 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드래깅 방향이 각각 다를 경우,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모음이 선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 터치되는 점인 a를 기준으로 각 영역이 설정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보여지듯이, 자음입력키 위의 시작점(a)와 끝점(b)를 이은 직선 ab와 터치스크린(10) 상에서 보여지는 직선 cd의 각도를 기준으로 제1 터치된 지점의 0°~ 360°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직선 ab의 연장된 가상선과 직선 cd의 각도가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단계 (c)에서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단계 (d)에서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겹모음이 입력되기 위한 제1 시간 또는 제1 압력에 대한 기준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자음과 결합되는 모음이 "ㅏ", 'ㅓ', 'ㅜ', 'ㅗ' 또는 "ㅑ", 'ㅕ', 'ㅠ', 'ㅛ'일지 결정하는 제1 시간 또는 제1 압력은 시스템 환경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의 옵션 프로그램에서 제1 시간 중 제1 압력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타건 횟수가 총 12번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표시된 자음과 모음 위의 1~12까지의 숫자는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만들기 위해 각 입력키들이 차례대로 눌러지는 순서이다.
"대"자를 입력하는 경우, 1번째로 "ㄷ"을 터치하고, 2번째로 "ㅐ"를 터치한다.
"규"자를 입력하는 경우, 3번째로 "ㄱ"을 터치하고, 4번째로 "ㅠ"를 터치한다.
"모"자를 입력하는 경우, 5번째로 "ㅁ"을 터치하고, 6번째로 "ㅗ"를 터치한다.
"폭"자를 입력하는 경우, 7번째로 "ㅍ"을 터치하고, 8번째로 "ㅗ"를 터치하며, 9번째로 "ㄱ"을 터치한다.
"락"자를 입력하는 경우, 10번째로 "ㄹ"을 터치하고, 11째로 "ㅏ"를 터치하며, 12번째로 "ㄱ"을 터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입력방법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및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음입력키(100)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및 "ㅎ"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100) 이외에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는 "ㅡ"(210), "ㅣ" (220), "·" (250), "ㅙ" (230) 또는 "ㅞ" (240)가 표시된 모음입력키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타건 횟수가 총 8번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표시된 자음과 모음 위의 1~8까지의 숫자는 "대규모폭락"이란 단어를 만들기 위해 각 입력키들이 차례대로 눌러지고 드래깅되는 순서이다.
"대"자를 입력하는 경우, 1번째로 "ㄷ"을 터치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 이후, 2번째로 "l"를 터치한다.
"규"자를 입력하는 경우, 3번째로 "ㄱ"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 하되,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여 드래깅한다. 또는, "규"자를 입력하는 경우, 3번째로 "ㄱ"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 하되,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여 드래깅한다.
"모"자를 입력하는 경우, 4번째로 "ㅁ"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
"폭"자를 입력하는 경우, 5번째로 "ㅍ"을 터치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 이후, 이후, 6번째로 "ㄱ"를 터치한다.
"락"자를 입력하는 경우, 7번째로 "ㄹ"을 터치하고, 터치된 상태에서 제1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드래깅한다. 이후, 8번째로 "ㄱ"을 터치한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종래의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한 경우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작성할 경우, 타건 횟수가 12번에서 8번으로 감소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약 33.3%의 기 입력 횟수가 감소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타건횟수가 줄어듬에 따라, 키 입력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타 발생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방법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6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이다.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제2 지점(b=2)이다.
제2 지점(2)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일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1 지점(1)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지점(1)을 터치하는 경우, "·"의 모음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점(2)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타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3 지점(3)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3 지점(3)을 터치하는 경우, "ㅡ"의 모음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3 지점(3)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4 지점(4)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4 지점(4)을 터치하는 경우, "ㅣ"의 모음이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4 지점(4)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5 지점(5)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5 지점(5)을 터치하는 경우, 백스페이스(Backspace) 동작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방법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7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이다.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b(300)이다.
b를 기준으로, 반경(R) 1~10cm 이내의 영역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추가터치점(400)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a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0cm을 가지는 원 형상의 영역이 터치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이 반경 10cm의 영역은 추가터치점(400)을 클릭하는 경우, 기타 모음 입력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구역을 나타낼 수 있다.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1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에 "ㅡ" 모음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2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에"ㅣ" 모음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3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에 "" 모음이 추가될 수 있다.
여기에서, "·"는 아래아를 의미한다.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4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ㅙ"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b(300) 지점에서 드래깅이 정지된 상태에서, 1~3초 이내에 추가터치점(400)을 4번 터치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 "ㅞ"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8은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100) 이외에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기타 모음입력키(200)는 "ㅡ", "ㅣ" 및 "·"가 표시된 모음입력키일 수 있다.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에 따라 모음을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자음입력키로 시작되는 단일 드래깅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모음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방법도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 또는 e이다.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b 또는 f이다.
b를 기준으로, 직경(L) 1~3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ㅙ"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f를 기준으로, 직경(N) 4~8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ㅞ"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서 보여지듯이,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된 복수개의 자음입력키(1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자음입력키를 선택하여 초성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초성 자음에 제1 터치되는 시작지점이 a 일 수 있다.
이 후,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이 되며,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이 b 일 수 있다.
b를 기준으로, 직경 1~3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1번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ㅙ"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b를 기준으로, 직경 1~3cm의 원을 그리는 제스처를 2번 수행하는 경우, 입력된 중성 모음이"ㅞ" 모음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기타 모음 입력방법이 추가된 실시 예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변경된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터치 지속 시간, 드래깅 지속 시간,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지속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되는 시간을 제1 시간 이하와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및 드래깅 시 해당 터치 시간 또는 드래깅되는 시간에 대한 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간 이하는 1~3초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는 3초를 초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래깅 되는 압력 또는 터치 압력값을 제1 압력 이하와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압력 이하의 경우, 단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겹모음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압력에 대한 기준은 미리 별도의 옵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 시 해당 터치 입력에 대한 압력값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창(20)에는 자음입력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서 자음입력키(100)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자음입력키(100)는 터치스크린(10)의 경계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과 자음입력키(100) 사이의 일정 공간(30)은 자음입력키(100)로부터의 드래깅 제스처가 실행되는 공간일 수 있다. 자음입력키(100)가 구비되는 공간의 남은 별도의 공간에는 자음입력키의 자음을 쌍자음 및 파열음으로 변환시키는 별도의 설정키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S10),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S20),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S30),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40) 및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0)단계에서는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0)단계에서는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S11),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S21),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S31),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41) 및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압력이 기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S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135°이상부터 22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ㅜ"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ㅠ"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ㅡ'(210)을 기준으로 315°이상부터 4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45°이상부터 13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ㅏ"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ㅑ"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드래깅 방향이 제2 터치된 'ㅣ'(220)을 기준으로 225°이상부터 315°미만 사이에 해당하는 방향일 경우, (S41)단계에서는 "ㅓ"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고, (S51)단계에서는 "ㅕ"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의 설정창 또는 옵션에서 이러한 실시 예 중 원하는 실시 예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는 각도가 표시될 수 있다. 또는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터치할 수 있다. 이후, 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깅하면, 드래깅되고 있는 각도 또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각도 또는 경로에 해당하는 모음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터치하고, 이후 드래깅 되는 각도 또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는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모음에 해당하는 각도 또는 경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스크린용 펜을 화면에서 뗄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처음 터치된 자음과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결합된 한글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고 있는 시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드래깅 되고 있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 또는 입력창(20)에는 드래깅 되고 있는 압력이나 터치 압력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드래깅 되는 압력이나 터치 압력에 따라 모음이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터치하게 되면, 터치되고 있는 압력에 대한 정보가 터치스크린(10)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을 강하게 누를수록 표시되는 압력값은 커질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0)을 약하게 누를수록 표시되는 압력값은 작아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압력값에 해당하는 각각의 모음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창(20)의 자음입력키를 누르는 상태의 터치 압력값을 사용자는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모음에 해당하는 압력값에서 손가락이나 터치스크린용 펜을 화면에서 뗄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처음 터치된 자음과 터치스크린(10)에서 떨어지기 전 0.1~0.3초에 해당하는 모음이 결합된 한글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록매체는 CD, 자기테이프, 광데이터 저장장치,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및 USB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 언어나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입력창, 터치검출부, 문자 조합수단, 출력창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창은 자음입력키 또는 모음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검출부는 터치스크린 상에서의 터치를 검출하는 수단일 수 있다.
문자조합수단은 터치 및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선택되는 자음과 모음을 조합할 수 있다. 문자조합수단은 터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터치 또는 드래깅 제스처의 수 및 정보에 따라 단모음이나 겹모음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문자조합수단은 그 방향에 따라 추가되는 획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출력창은 조합된 한글을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창과 출력창에서의 터치 입력 및 이에 따라 조합된 한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조합수단은 검출된 터치 입력 및 드래깅 제스처를 기반으로, 기설정된 방식으로 문자를 조합하는 일체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단말기는 중앙처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조합수단은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중앙처리 장치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는 회로기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는 메인보드(mainboard) 또는 마더보드(motherboard)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품이다. 회로기판부는 CPU나 램과 같은 시스템이 작동되기 위한 주요 부품 장착과 주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일 수 있다. 회로기판부는 CPU, 사운드카드, 네트워크 카드, 램 및 저장장치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ASIC회로나 FPGA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복수의 범용 데이터 입출력 소자와 2개의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데이터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복수의 범용 데이터 입출력 소자에 연결되는 범용 데이터 입출력 포트 단자와 UART에 연결되는 UART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부는 유연인쇄 전자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유연인쇄 전자기술는 필름이나 섬유소재 등에 전도성 전자잉크를 분사해 인쇄하듯이 전자회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부는 휘어지면서도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회로기판부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논리 처리하고, 그 출력 결과를 이용하여 연결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는 제어를 위해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배터리 백업 및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는 입력에 대해 실시간 처리 능력을 가짐으로써, 정해진 시간의 입력 조건에 대해 출력을 정해진 조건에 따라 처리 또는 반응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는 중앙처리장치(CPU)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처리부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및 레지스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는 인출(fetch), 해독(decode) 및 실행(execute) 단계로 구성된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명령어를 실행해 나갈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는 해석된 명령에 의미에 따라 연상장치, 주기억장치 및 입출력장치 등에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연산장치는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산술과 AND, OR, NOT 및 XOR와 같은 논리 연산을 하는 장치이다. 또한, 연산장치는 제어장치의 지시에 따라 연산을 수행한다.
레지스터는 주기억장치로부터 읽어온 명령어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연산된 결과를 저장하는 공간이다.
중앙처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에는 메모리부가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부는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 프로그램 코드와 통신 데이터세트(DATA SET),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코드, 응용 데이터세트 및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와 데이터세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는 배터리, 디스플레이부 및 사운드부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부는 유연인쇄 전자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교체 및 충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캐패시터(CAPACITOR)가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는 유연인쇄 전자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숫자, 문자나 도형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휘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유연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TFT 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및 OLED(유기발광 다이오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에서는 소프트웨어 특성을 이용하여, 버튼의 배치 및 버튼의 크기 등의 입력환경을 사용자에 맞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은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외 기타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제1 지점
2 : 제2 지점
3 : 제3 지점
4 : 제4 지점
5 : 제5 지점
10 : 터치스크린
20 : 입력창
30 : 일정 공간
100 : 자음입력키
200 : 모음입력키
210 : "ㅡ"모음키
220 : "ㅣ"모음키
230 : "ㅙ"모음키
240 : "ㅞ"모음키
250 : "·"모음키
300 : b
400 : 추가터치점

Claims (12)

  1.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b)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c)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어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을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일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1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타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3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3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ㅡ"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3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4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4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ㅣ"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5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5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백스페이스(Backspace)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에 있어서,
    (e)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자음입력키를 제1 터치하여 초성 자음을 결정하고 표시하는 단계;
    (f) 초성 자음 중 어느 하나가 제1 터치된 이후,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을 선택하는 제2 터치 단계;
    (g) 'ㅡ' 및 'ㅣ' 중 어느 하나의 모음이 터치된 상태에서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하는 단계;
    (h)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 이하일 경우, "ㅏ", 'ㅓ', 'ㅜ' 또는 'ㅗ'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i) 제2 터치된 상태부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ㅑ", 'ㅕ', 'ㅠ' 또는 'ㅛ' 모음이 중성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터치된 지점을 교차하는 X축과 Y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터치된 지점의 12시 위치를 0°, 3시 위치를 90°, 6시 위치를 180° 및 9시 위치를 270°로 설정하며,
    소정 방향으로 드래깅되어 드래깅이 끝나는 지점을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일측 방향 또는 왼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1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1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2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15cm 이내의 타측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3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3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ㅡ"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3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4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4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ㅣ" 모음이 추가로 입력되며,
    제4 지점을 기준으로, 반경 5cm 이내의 오른쪽 방향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지점을 제5 지점으로 하고, 상기 제5 지점을 터치하는 경우, 백스페이스(Backspace)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40450A 2016-10-26 2016-10-26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10188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50A KR101888754B1 (ko) 2016-10-26 2016-10-26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450A KR101888754B1 (ko) 2016-10-26 2016-10-26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43A KR20180045743A (ko) 2018-05-04
KR101888754B1 true KR101888754B1 (ko) 2018-08-14

Family

ID=6219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450A KR101888754B1 (ko) 2016-10-26 2016-10-26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7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61B1 (ko) * 2007-02-26 2008-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329A (ko) * 2008-09-02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61B1 (ko) * 2007-02-26 2008-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743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58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virtual keyboards on a user interface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KR102120930B1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상기 사용자 입력 방법이 수행되는 포터블 디바이스
US9952683B1 (en) Keyboard integrated with trackpad
JP6115867B2 (ja) 1つ以上の多方向ボタンを介して電子機器と相互作用できるように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TWI393045B (zh) 瀏覽多個應用視窗的方法、系統及圖形化使用者介面
US10061510B2 (en) Gesture multi-function on a physical keyboard
US11422695B2 (en) Radial based user interface on touch sensitive screen
US20140078063A1 (en) Gesture-initiated keyboard functions
US20060119582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US20120212420A1 (en) Multi-touch input control system
US20150100911A1 (en)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JP2013527539A5 (ko)
US9069391B2 (en) Method and medium for inputting Korean characters using a touch screen
US20150193011A1 (en) Determining Input Associated With One-to-Many Key Mappings
US20140105664A1 (en) Keyboard Modification to Increase Typing Speed by Gesturing Next Character
JP6057441B2 (ja) 携帯装置およびその入力方法
KR101888754B1 (ko)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한 한글 입력방법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482867B1 (ko) 테두리 터치를 이용하는 입력 및 포인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07564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TW201039203A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gestures of touch input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