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320B1 -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 Google Patents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320B1
KR101888320B1 KR1020170179591A KR20170179591A KR101888320B1 KR 101888320 B1 KR101888320 B1 KR 101888320B1 KR 1020170179591 A KR1020170179591 A KR 1020170179591A KR 20170179591 A KR20170179591 A KR 20170179591A KR 101888320 B1 KR101888320 B1 KR 101888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ain
endothelial
film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
Original Assignee
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훈 filed Critical 박훈
Priority to KR102017017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30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by excluding light or other outsid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65D88/1625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with stiffening rigid means between the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곡물을 수납하는 포대에 대한 것으로, 곡물포대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강층; 상기 보강층의 외면에 구비되어 UV차단능을 구비하는 필름층; 및 상기 내피층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어 구비되는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층은 일단 및 타단과, 상기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시트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단 및 타단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며, 상기 항균층은 상기 내피층의 내면에서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UV차단능을 구비한다.

Description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The grain sack with blocking UV}
본 발명은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 및 저장하는 과정에서 UV에 대한 곡물의 변질을 방지하여 장기간 곡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UV 차단능을 구비한 곡물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포대는 내부에 쌀,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곡물을 세척하거나 세척된 곡물을 건조시킴과 아울러 곡물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곡물포대는 장시간 운송 및 보관하는 과정에서 UV에 노출되고, UV가 내부로 침투하는 경우 내부에 구비되는 곡물을 변질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곡물포대는 내부에 곡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이송되므로 곡물의 무게를 소정 기간 버틸 수 있도록 강도를 구비해야 하는 데 UV는 곡물포대를 구성하는 고분자 수지 등의 구조를 변화시켜 곡물포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이에 장기간 운송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곡물포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와 함께, 최근 음식물에 대한 신선한 상태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반면 곡물의 소비는 감소하고 있어 곡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곡물포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96104호 (2003.12.24)
본 발명의 목적은 UV차단능을 구비하여 장기간 곡물의 변질없이 곡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곡물포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곡물의 변질없이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곡물포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균성을 구비하여 내부에 곡물 내에 벌레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끄럼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곡물포대의 개폐가 용이하고 작업자의 그립감이 향상된 곡물포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에 곡물을 수납하는 포대에 대한 것으로, 곡물포대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강층; 상기 보강층의 외면에 구비되어 UV차단능을 구비하는 필름층; 및 상기 내피층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어 구비되는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층은 일단 및 타단과, 상기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시트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단 및 타단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며, 상기 항균층은 상기 내피층의 내면에서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UV차단능을 구비한다.
상기 내피층은 상기 곡물과 대면하는 제1 내피층과 상기 제1 내피층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2 내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층은 상기 제1 내피층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향균층, 제1 내피층, 제2 내피층, 보강층 및 필름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향균층은 제1 내피층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피층 상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내피층에는 일단 및 타단이 중첩 연결되어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피층에는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중첩 연결되어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층되되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어긋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외면에 중첩된 필름층은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연장되어 형성된 사각형의 시트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필름층은 상기 보강층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기 전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층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보강층의 일단 및 타단에서 외측으로 1mm 내지 3mm만큼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과 필름층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층의 일단 및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3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름층의 일단 상부측에는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름층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복수개의 홈이 이격되어 직선으로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의 타단 하부측에는 상기 접착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출방지부는 상기 보강층의 타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나란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는 내피층, 보강층, 필름층, 및 항균층을 관통하여 내부의 곡물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원형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곡물포대 내로 곡물이 유입되는 방향인 세로방향에 대해서 중심부에서 하부측으로 제1 길이만큼 이격되되 상기 곡물포대의 하부측에서 제1 길이의 두배만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세로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가로방향에 대해서는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곡물포대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투명한 개구부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는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과 상기 측면에는 상기 곡물포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피층에서 상기 곡물과 대면하는 일면은 매끈한 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내피층의 일면의 타면은 거친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내피층은 상기 제1 내피층과 대면하는 일면과, 상기 보강층과 대면하는 타면 양측 모두 거친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층은 상기 제2 내피층과 대면하는 일면은 거친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필름층이 구비되는 타면은 매끈한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의 상부 및 하부측에는 상기 곡물포대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곡물포대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에 인접하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다수개의 작은 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를 재질로 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일면에 액상고무잉크가 코팅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층; 및 상기 패드부의 일면의 반대면이 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곡물포대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필름층은 둘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가 분산 고정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벤조펜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엑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톡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호모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루타일-티타늄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필름층은 상기 곡물포대 내부로 물이나 습기의 침투를 막고, 문구나 그림이 인쇄가 되는 OPP 필름 (Oriented polyprophylene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균층은 무기항균제와 폴리에틸렌 용융액를 혼합한 항균제용액을 내피층의 내면에 코팅하여 구비되고, 상기 무기항균제는 규산염 광물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점토 광물 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및 금속 이온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균층은 무기항균제와 폴리에틸렌 용융액를 혼합한 항균제용액을 사출성형하여 섬유형태인 PE항균섬유로 구비한 후, 상기 PE항균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한 후 형성되며, 상기 무기항균제는 규산염 광물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점토 광물 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및 금속 이온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UV차단능을 구비하여 장기간 곡물의 변질없이 곡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곡물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장기간 곡물의 변질없이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곡물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항균성을 구비하여 내부에 곡물 내에 벌레 등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미끄럼방지 부재를 구비하여 곡물포대의 개폐가 용이하고 작업자의 그립감이 향상된 곡물포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곡물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곡물포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곡물포대를 구성하는 각 층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내피층에 항균층이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곡물포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보강층 및 필름층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 및 필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보호층 및 필름층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포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곡물포대의 그립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곡물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곡물포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곡물포대를 구성하는 각 층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는 내부에 곡물을 수납하는 포대 (100)에 대한 것으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내피층 (110); 상기 내피층 (110)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강층 (120); 상기 보강층 (120)의 외면에 구비되어 UV차단능을 구비하는 필름층 (130); 및 상기 내피층 (110)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어 구비되는 항균층 (140);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층 (110)은 일단 및 타단과, 상기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시트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단 및 타단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연결부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항균층 (130)은 상기 내피층의 내면에서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는 UV차단능을 구비한 곡물포대 (100)를 포함한다.
상기 곡물포대 (100)는 시트형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층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중첩되어 연결되며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개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 (100)의 각각의 개구된 부분들은 덮개나 박음질 등을 통하여 폐쇄되고 추후 곡물을 꺼낼 때 이를 개구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내피층 (110)은 복수개의 층으로 구비되되 황색의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강층 (120)은 흰색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층 (110)은 곡물포대 (100) 내부에 수납되는 곡물과 대면하는 제1 내피층 (111)과 상기 제1 내피층 (111)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2 내피층 (112)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층 (140)은 상기 제1 내피층 (111)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내피층 (111)에서 상기 곡물과 대면하는 일면은 매끈한 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내피층 (111)의 일면의 타면은 거친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내피층 (112)은 상기 제1 내피층 (111)과 대면하는 일면과, 상기 보강층과 대면하는 타면 양측 모두 거친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층 (120)은 상기 제2 내피층 (112)과 대면하는 일면은 거친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필름층 (130)이 구비되는 타면은 매끈한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피층 (111)의 일면이 매끈한 면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내피층 (111)의 일면에 구비되는 항균층 (140)는 균일한 표면을 갖도록 코팅되어 구비됨으로써, 균일한 두께로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항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피층 (111)의 타면과 상기 제2 내피층 (112)의 일면은 서로 대면하는 면과, 상기 제2 내피층 (112)의 타면과 보강층 (120)의 일면은 각각 거친면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내피층 (111, 112), 보강층 (120)을 적층하는 경우 마찰력이 발생함으로써, 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적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층 (120)의 타면을 매끈한 면으로 구비됨으로써 필름층 (130)이 균일한 면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곡물포대 (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 (100)는 내피층 (110), 보강층 (120), 필름층 (130), 및 항균층 (140)을 관통하여 내부의 곡물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원형의 개구부 (10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101)는 상기 곡물포대 (100) 내로 곡물이 유입되는 방향인 세로방향 (y)에 대해서 중심부에서 하부측으로 제1 길이 (a)만큼 이격되되 상기 곡물포대 (100)의 하부측에서 제1 길이 (a)의 두배만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세로방향 (y)의 수직한 방향인 가로방향 (x)에 대해서는 중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물포대 (100)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 (101)를 덮도록 구비되는 투명한 개구부필름 (1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 (100)는 상기 개구부 (101)가 구비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후면과 상기 측면에는 상기 곡물포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통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홀은 공기의 통로로 작용하나 수분 등의 물질은 유입되지 않도록 미세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통기홀을 통하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곡물포대 내부에 구비되는 곡물이 보다 신선하게 보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포대 (100)는 내부 곡물의 용량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개구부 (10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개구부 (101)의 위치는 상기 곡물포대 (100)의 가로방향 (x)에 대해서는 중심부에 위치하되, 세로방향 (y)에 대해서는 세로방향 (y) 중심에서 제1 길이 (a)만큼 하부측에 위치하되, 하부측에서 제1 길이 (a)의 두배되는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 (100)에서 개구부 (101)를 통하여 곡물을 확인할 수 있으나, 상기 개구부 (101)는 항균처리, UV차단 능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제어능을 구비하지 않는다. 반면, 전술한 위치에 상기 개구부 (101)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곡물포대 (100)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내부 곡물에 의한 곡물포대 (100)의 형상변형에 의하여 UV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에서 간접적으로 제공되는 항균효과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필름 (160)은 투명한 OPP 필름 (Oriented polyprophylene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구부필름 (160)의 두께는 0.5mm 내지 1mm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필름 (160)은 곡물포대 (100)의 내측에서 개구부 (101)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사기 개구부필름 (160)이 구비되는 부분은 주변과 단차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필름 (160)의 두께가 0.5mm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낮아 외력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어 문제되고, 1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곡물포대 (100)의 주변과의 두께 차이에 의하여 곡물포대의 외관을 손상시키고 사이 개구부필름 (160)이 곡물포대 (100)에 견고하게 부착되지 않아 문제된다.
도 4는 도 1의 제1 내피층에 항균층이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내피층 (111)은 사각형의 시트 형태로 구비되어, 일단 (111a)과 타단 (111b), 및 상기 일단 (111a) 및 타단 (111b) 사이에 구비되는 바디부 (111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항균층 (140)은 상기 제1 내피층 (111)에서 일단 (111a) 및 타단 (111b)을 제외하고 바디부 (111c)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항균층 (140)은 곡물포대 (100)에서 수납된 곡물과 접촉하는 부분인 내피층 (110)의 최내면, 제1 내피층 (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곡물에 발생할 수 있는 균, 예컨대 대장균 등의 번식을 방지하여 곡물을 보다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피층 (111)에서 일단 (111a) 및 타단 (111b)는 서로 연결되는 부분으로 접착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균층 (14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되어 문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일단 (111a) 및 타단 (111b)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으로 상기 곡물포대 (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곡물과는 접촉되지 않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항균층 (140)을 상기 제1 내피층 (111)의 바디부 (111c)에만 구비킴으로써, 항균층 (140)의 구비에 따라 발생하는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제1 내피층 (111)의 일단 (111a) 및 타단 (111b)에서의 접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항균층 (140)은 무기항균제와 폴리에틸렌 용융액를 혼합한 항균제용액을 코팅하여 구비되고, 상기 무기항균제는 규산염 광물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점토 광물 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및 금속 이온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항균층 (140)은 고분자 수지의 일종인 폴리에틸렌을 용융하여 구비되는 폴리에틸렌 용융액 중에 무기항균제를 혼합한 항균제용액을 내피층 (110), 예컨대 제1 내피층 (111)의 내면에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항균제용액은 용융상태로 상기 내피층 (110)의 내면에 닥터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코팅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균층 (140)의 두께는 100㎛ 내지 500㎛일 수 있다.
상기 항균층 (140)의 두께가 100㎛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곡물포대 (100) 내부에 수납되는 곡물의 균을 제거하기에는 충분한 효과가 발휘되지 않아 문제되고, 500㎛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항균층 (140)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의 두께가 증가되어 상기 곡물포대 (100)의 형상 변형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불필요한 생산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항균층 (140)에서 폴리에틸렌은 매트릭스로 작용하고, 상기 무기항균제는 매트릭스로 구비되는 폴리에틸렌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기항균제는 폴리에틸렌과 결합력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규산염 광물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점토 광물 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및 금속 이온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규산염 광물, 점토 광물 및 금속 이온은 습식 분쇄처리되어 혼합되고, 표면 젖음 (wetting) 처리 후 건조되어 구비된 분말일 수 있다. 상기 규산염 광물, 점토 광물 및 금속 이온은 전술한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상기 폴리에틸렌 매트릭스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높은 항균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항균층 (140)은 무기항균제와 폴리에틸렌 용융액을 이용하여 시트형태로 형성한 후 접착제,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내피층 (110)에 부착시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항균층 (140)은 무기항균제와 폴리에틸렌 용융액를 혼합한 항균제용액을 사출성형하여 섬유형태인 PE항균섬유로 구비한 후, 상기 PE항균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한 후 시트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기항균제는 규산염 광물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점토 광물 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및 금속 이온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로, 상기 항균층 (140)은 숯 또는 은나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항균층 (140)에서 폴리에틸렌 용융액을 중에 숯 또는 은나노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항균층 (140)에서 음이온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상기 곡물의 항균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숯 또는 은나노는 항균층 (140)에서 매트릭스로 기능하는 폴리에틸렌 중에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직경이 50㎚ 내지 100㎚이며, 상기 폴리에틸렌 중량에 대해서 5중량부 내지 7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숯 또는 은나노의 직경 및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보다 초과하는 경우 항균층 (140)에 검은색 또는 은색이 반영되어 문제되고, 미만인 경우에는 숯 또는 은나노의 함유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여 문제된다.
도 5는 도 1의 곡물포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보강층 및 필름층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곡물포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향균층 (140), 제1 내피층 (111), 제2 내피층 (112), 보강층 (120), 및 필름층 (1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향균층 (140)은 제1 내피층 (111)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피층 (111)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내피층 (111)은 일단 및 타단이 중첩 연결되어 제1 연결부 (15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2 내피층 (112)의 일단 및 타단은 서로 중첩 연결되어 제2 연결부 (152)를 구성하고, 상기 보강층 (120)과 상기 필름층 (130)은 서로 중첩되어 고정되고, 일단 및 타단이 중첩 연결되어 제3 연결부 (153)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151)와 상기 제2 연결부 (152)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층되되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어긋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강층 (120)과 상기 보강층 (120)의 외면에 중첩된 필름층 (130)은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연장되어 형성된 사각형의 시트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름층 (130)은 상기 보강층 (120)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기 전에 상기 보강층 (120)의 외면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보강층 (120)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보강층 (120)의 일단 및 타단에서 외측으로 1mm 내지 3mm만큼 돌출 (b)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필름층 (130)은 보강층 (120)에 대해서 세로방향에 대해서는 동일한 길이를 같도록 구비되되, 가로방향에 대해서는 상기 보강층 (120)보다 양측으로 각각 1mm 내지 3mm만큼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층 (130)은 상기 보강층 (120)에 대해서 일단 및 타단에서 외측으로 동일한 길이로, 1mm로 돌출 (b)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 (120)과 필름층 (130)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층 (120)의 일단 및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3 연결부 (1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 (153)는 상기 제2 연결부 (152)에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순차적으로 제1 연결부 (151), 제2 연결부 (152) 및 제3 연결부 (153)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곡물포대 (100)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 (151, 152, 153)은 상하로 적층되되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 (151, 152, 153)은 각각의 층들이 중첩되는 부분으로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두껍게 구비되는 부분인데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 (151, 152, 153)가 서로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주변과의 두께 균형을 맞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층들이 중첩되는 순서에 맞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연결부 (151, 152, 153)를 순차적으로 구비시킴으로써 각각의 층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3 연결부 (153)를 최외각에 위치시킴으로써 곡물포대 (100)를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층 (130)은 둘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가 분산 고정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름층 (130)는 곡물포대 (100)의 최외면에 구비되어 UV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곡물포대 (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곡물을 UV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함으로써, 곡물의 신선도 및 품질을 보다 장시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 (130)에서 폴리에틸렌 필름은 매트릭스로 작용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가 상기 매트릭스 상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UV차단능이 미미하여 문제되고,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틸렌 필름이 갖는 투명성을 저하시켜 외관의 문제가 되고, 플렉서블능이 저하되어 곡물포대 (100)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균열 등이 발생하여 문제된다.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벤조펜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엑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톡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호모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루타일-티타늄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필름층은 상기 곡물포대 내부로 물이나 습기의 침투를 막고, 문구나 그림이 인쇄가 되는 OPP 필름 (Oriented polyprophylene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OPP 필름은 매트릭스로 작용하고, 상기 매트릭스 상에 자외선 차단제가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 및 필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보호층 및 필름층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포대는 라미네이트되어 구비된 보강층 (220)과 필름층 (230)에서 이들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부분에 접착제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강층 (220)은 곡물포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필름층 (230)은 상기 보강층 (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곡물포대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미네이트되어 구비된 보강층 (220)과 필름층 (230)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상기 보강층 (220)의 내면은 필름층 (23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접착제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필름층 (230)의 일단 상부측에는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2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260)는 상기 필름층 (23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복수개의 홈이 이격되어 직선으로 정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 (260)는 접착제의 위치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미네이트되어 구비된 보강층 (220)과 필름층 (230)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부분에서 상기 보강층 (220)에는 상기 가이드부 (260)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유출방지부 (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방지부 (270)는 상기 보강층 (220)의 타단 하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접착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출방지부 (270)는 상기 보강층 (220)의 타단에서 상기 가이드부 (260)에 나란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트되어 구비된 보강층 (220)과 필름층 (230)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부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경우, 상기 접착제는 가이드부 (260) 상에 구비되어 위치가 가이드되고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 (260)의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접착제의 일부는 상기 유출방지부 (270) 내로 유입되어 접착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물포대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곡물포대의 그립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물포대 (300)는 상기 곡물포대 (300)의 상부 및 하부측에 상기 곡물포대를 폐쇄하는 덮개부 (300a, 30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곡물포대 (300)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 (300a)에 인접하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부 (3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380)는, 다수개의 작은 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를 재질로 하는 패드부 (381); 상기 패드부 (381)의 일면에 액상고무잉크가 코팅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층 (382); 및 상기 패드부 (381)의 일면의 반대면이 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 (38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 (383)은 상기 곡물포대 (300)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380)는 상기 덮개부 (300a)에 인접하게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 (300a)의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곡물포대 (300)의 이동시 작업자가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립부 (380)는 상기 패드부 (381)에 의하여 탄성력이 제공되어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층 (382)에 의한 마찰력에 의하여 작업시 상기 골물포대 (300)가 미끄러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 (380)는 접착층 (383)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접착층 (383)에 의하여 곡물포대 (300)를 다 제작한 후 마지막에 상기 그립부 (380)룰 상기 곡물포대 (30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곡물포대 110 : 내피층
120 : 보호층 130 : 필름층
140 : 항균층

Claims (16)

  1. 내부에 곡물을 수납하는 포대에 있어서,
    하나 이상으로 황색의 크래프트지로 이루어진 내피층;
    상기 내피층의 외면에 구비되는 보강층;
    상기 보강층의 외면에 구비되어 UV차단능을 구비하는 필름층; 및
    상기 내피층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되어 구비되는 항균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피층은 일단 및 타단과, 상기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는 사각형의 시트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단 및 타단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연장되며, 상기 항균층은 상기 내피층의 내면에서 상기 바디부에 구비되며,
    상기 내피층은 상기 곡물과 대면하는 제1 내피층과 상기 제1 내피층의 외면에 구비되는 제2 내피층을 포함하고, 상기 항균층은 상기 제1 내피층에 구비되고,
    상기 항균층, 제1 내피층, 제2 내피층, 보강층 및 필름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고,
    상기 항균층은 제1 내피층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내피층 상에 고정되되 상기 제1 내피층에는 일단 및 타단이 중첩 연결되어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내피층에는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중첩 연결되어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적층되되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어긋나도록 정렬되는 UV차단능을 구비한 곡물포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과 상기 보강층의 외면에 중첩된 필름층은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연장되어 형성된 사각형의 시트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필름층은 상기 보강층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기 전에 구비되어 상기 보강층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구비되되 상기 보강층의 일단 및 타단에서 외측으로 1mm 내지 3mm만큼 돌출되어 구비되는 곡물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과 필름층의 일단 및 타단이 중첩되는 부분에는 접착제가 구비되어 상기 보강층의 일단 및 타단을 고정시키는 제3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는 곡물포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의 일단 상부측에는 상기 접착제가 구비되는 영역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필름층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복수개의 홈이 이격되어 직선으로 정렬되어 구비되는 곡물포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의 타단 하부측에는 상기 접착제의 유출을 방지하는 유출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출방지부는 상기 보강층의 타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에 나란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비되는 곡물포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포대는 내피층, 보강층, 필름층, 및 항균층을 관통하여 내부의 곡물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원형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곡물포대 내로 곡물이 유입되는 방향인 세로방향에 대해서 중심부에서 하부측으로 제1 길이만큼 이격되되 상기 곡물포대의 하부측에서 제1 길이의 두배만큼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세로방향의 수직한 방향인 가로방향에 대해서는 중심부에 구비되며,
    상기 곡물포대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투명한 개구부필름이 구비되는 곡물포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포대는 상기 개구부가 구비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 및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과 상기 측면에는 상기 곡물포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통기홀을 더 포함하는 곡물포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피층에서 상기 곡물과 대면하는 일면은 매끈한 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내피층의 일면의 타면은 거친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내피층은 상기 제1 내피층과 대면하는 일면과, 상기 보강층과 대면하는 타면 양측 모두 거친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보강층은 상기 제2 내피층과 대면하는 일면은 거친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필름층이 구비되는 타면은 매끈한 면으로 구비되는 곡물포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포대의 상부 및 하부측에는 상기 곡물포대를 폐쇄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곡물포대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부에 인접하게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그립부가 구비되며,
    상기 그립부는,
    다수개의 작은 공기공이 형성된 부직포를 재질로 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일면에 액상고무잉크가 코팅되어 형성된 미끄럼방지층; 및
    상기 패드부의 일면의 반대면이 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곡물포대에 접착되는 곡물포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둘 이상의 자외선 차단제가 분산 고정되어 있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무기 자외선 차단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상기 폴리에틸렌 필름의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되는 곡물포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드로메트리졸, 디갈로일트리올리에이트, 디소듐페닐디벤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디에칠헥실부타미도트리아존,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메칠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테트라메칠부틸페놀, 4-메칠벤질리덴캠퍼, 멘틸안트라닐레이트, 벤조페논-3,벤조펜논-4, 벤조페논-8,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엑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시톡세이트, 에칠디하이드록시프로필파바,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테레프탈릴리덴디캠퍼설포닉애씨드,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및 호모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루타일-티타늄옥사이드 및 징크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곡물포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곡물포대 내부로 물이나 습기의 침투를 막고, 문구나 그림이 인쇄가 되는 OPP 필름 (Oriented polyprophylene film)으로 이루어지는 곡물포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층은 무기항균제와 폴리에틸렌 용융액를 혼합한 항균제용액을 내피층의 내면에 코팅하여 구비되고, 상기 무기항균제는 규산염 광물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점토 광물 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및 금속 이온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곡물포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층은 무기항균제와 폴리에틸렌 용융액를 혼합한 항균제용액을 사출성형하여 섬유형태인 PE항균섬유로 구비한 후, 상기 PE항균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한 후 형성되며, 상기 무기항균제는 규산염 광물 50중량부 내지 95중량부, 점토 광물 1중량부 내지 40중량부 및 금속 이온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곡물포대.
KR1020170179591A 2017-12-26 2017-12-26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KR101888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91A KR101888320B1 (ko) 2017-12-26 2017-12-26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591A KR101888320B1 (ko) 2017-12-26 2017-12-26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320B1 true KR101888320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591A KR101888320B1 (ko) 2017-12-26 2017-12-26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3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062A (ja) * 2003-12-26 2005-07-14 Fuji Seal International Inc 抗菌性フィルム及び抗菌性包装袋
KR20110041820A (ko) * 2009-10-16 2011-04-22 피앤비(주) 곡물 포대 및 그 제조방법
JP2012157703A (ja) * 2012-03-02 2012-08-23 Terumo Corp 積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容器
WO2014074992A2 (en) * 2012-11-09 2014-05-15 Dove Rachel Polymeric film for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containers made therefrom and related methods of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062A (ja) * 2003-12-26 2005-07-14 Fuji Seal International Inc 抗菌性フィルム及び抗菌性包装袋
KR20110041820A (ko) * 2009-10-16 2011-04-22 피앤비(주) 곡물 포대 및 그 제조방법
JP2012157703A (ja) * 2012-03-02 2012-08-23 Terumo Corp 積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容器
WO2014074992A2 (en) * 2012-11-09 2014-05-15 Dove Rachel Polymeric film for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containers made therefrom and related methods of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974B2 (en) Mattress package
US20150183567A1 (en) Mattress package
KR20030007508A (ko) 다층 열접착성 패키징 재료, 그것으로 만들어진 푸드패키지 및 패키징 방법
US7987818B2 (en) Animal litter box
US10202230B2 (en) Animal litter box package body
US20080191001A1 (en) Packaging having protective materials incorporated therein
CA2575267A1 (en) Security bag
KR101888320B1 (ko) Uv 차단능을 구비하고 황색의 크래프트지를 포함한 곡물포대
ITMI20010490A1 (it) Contenitore per dischetti a lettura laser e simili con mezzi di chiusura
CN110304346A (zh) 带拉片的撕膜
TW201628941A (zh) 玻璃板捆包體及玻璃板之捆包方法
KR200453692Y1 (ko) 농산물 포장용기
KR102305454B1 (ko) 화장품 밀폐용기
JP5188409B2 (ja) 板状製品収容容器
JP4735125B2 (ja) 交換の時期がわかる通い箱
CN212830382U (zh) 一种防潮透气包装纸箱
KR200475719Y1 (ko) 식품 포장 용기
ES2670047T3 (es) Envoltura protectora para un objeto cilíndrico
JP4907217B2 (ja) ブリスター包装体、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の包装品
TW410208B (en) Packaging material of laminate type and aseptic packaging container
CN206634402U (zh) 一种超耐磨可喷码uv逆向包装盒
KR20210056834A (ko) 패치형 재활용 손잡이 조립체
IT201800003196U1 (it) Cassetta di imballaggio e confezionamento di frutta o verdura fresca, come ad esempio uva, dotata di protezione dalla contaminazione microbiologica di prodotti botanici
JP7467289B2 (ja) 水回り用内装材
KR102507957B1 (ko) 액체화장품용 재활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