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110B1 - Fruits vessel - Google Patents

Fruits vess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110B1
KR101888110B1 KR1020160144610A KR20160144610A KR101888110B1 KR 101888110 B1 KR101888110 B1 KR 101888110B1 KR 1020160144610 A KR1020160144610 A KR 1020160144610A KR 20160144610 A KR20160144610 A KR 20160144610A KR 101888110 B1 KR101888110 B1 KR 101888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s
side wall
lid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6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06171A (en
Inventor
강석호
안상은
김민영
임상만
강병석
허가영
이주성
김하영
Original Assignee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filed Critical 델몬트 후레쉬 프러듀스 인터내셔널,인크.
Publication of KR2017010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1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1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28Containers joined together by screw-, bayonet-, snap-fit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일 용기는, 일측이 개방되고 일렬로 적층 배열된 복수의 용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한 종류의 과일을 나누어 담기 위한 다단 용기와, 다단 용기의 최상측에 결합된 덮개부와, 덮개부와 복수의 용기 각각에 형성되어 덮개부와 복수의 용기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와,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한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리판을 포함한다. 분리판은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다공판과, 다공판의 하면에 고정된 받침대를 구비하여 과일과 액체 성분을 분리시킨다.A fruit container comprises a multi-stage container for containing at least one kind of fruit, the multi-stage contain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opened in one side and stacked in a line, a lid part coupled to the uppermost side of the multi- And a separating plat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positioned inside the at least one container among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he separation plate has a perforated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drain holes are formed and a pedestal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to separate the fruit and the liquid component.

Description

과일 용기 {FRUITS VESSEL}Fruit containers {FRUITS VESSEL}

본 발명은 과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종류 이상의 과일을 나누어 담을 수 있는 과일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uit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uit container capable of dividing one or more kinds of fruits.

종래의 과일 용기는 가공되지 않은 과일을 포장하고, 운반 또는 이송 과정에서 과일이 파손되지 않도록 과일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Conventional fruit containers are used to pack unprocessed fruit and to protect the fruit from damage during transport or transport.

최근 들어 사용자가 구매 후 바로 먹기 편하도록 껍질이 제거된 과일, 한입 크기로 자른 과일, 또는 세척된 과일 등 일차 가공된 과일도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의 과일 용기는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이거나, 일회용 플라스틱 용기를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어 밀봉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recent years, primary processed fruit such as peeled fruit, bite-size fruit, or washed fruit has been sold for users to purchase immediately after purchase. In this case, most of the fruit containers are disposable plastic containers or disposable plastic containers are covered with a plastic film and sealed.

그러나 전술한 과일 용기는 재사용이 어렵고, 미관이 좋지 못하여 선물용 등으로 부적합하며, 여러 종류의 과일을 나누어 담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fruit containers are difficult to reuse, have poor aesthetics, are unsuitable for gifts, and have difficulties in dividing various kinds of fruits.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과일을 나누어 담을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물 또는 과즙 등의 액체 성분과 과일을 분리하여 액체 성분에 의한 과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과일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ruit container which can be divided into various kinds of fruits, reusable, and capable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fruit by liquid components by separating fruit and liquid components such as water or ju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는, 일측이 개방되고 일렬로 적층 배열된 복수의 용기를 포함하며 적어도 한 종류의 과일을 나누어 담기 위한 다단 용기와, 다단 용기의 최상측에 결합된 덮개부와, 덮개부와 복수의 용기 각각에 형성되어 덮개부와 복수의 용기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와,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한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다공판과 받침대로 구성되어 과일과 액체 성분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판을 포함한다.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ulti-stage container includ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opened at one side and stacked in a row in a row and dividing at least one kind of fruit into a plurality of containers, A lid part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each lid part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ontainers each having a perforated plate and a pedestal inside the at least one container, And a separating plate for separating.

덮개부는 덮개판과 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용기 각각은 바닥부와 측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부는 덮개부의 측벽과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d portion may include a cover plate and a side wall,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and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lid portion and the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체결부는 덮개부의 측벽 내면과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하측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와,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상측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jectio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of the lid portion, an inner surface of a lower side of the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a plurality of recesse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복수의 오목부 각각은 복수의 돌기를 구속하여 수직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돌기 수용부와, 돌기 수용부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복수의 돌기를 구속하지 않아 수직 방향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분리 허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may include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for restrict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to restrict movemen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eparation allowing portion for freely moving vertically without restrain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while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

복수의 돌기는 덮개부의 측벽 가장자리 및 용기의 측벽 가장자리와 이격될 수 있고, 돌기 수용부는 돌기의 상면과 하면을 구속하여 수직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wall edge of the lid part and the side wall edge of the container,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art may confin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o restrict vertical movement.

다른 한편으로, 복수의 돌기는 덮개부의 측벽 가장자리 및 용기의 측벽 가장자리와 접할 수 있고, 상면에 보조 돌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돌기 수용부는 보조 돌기가 끼워지는 보조 홈부를 형성할 수 있고, 돌기의 상면을 구속하여 수직 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can contact the side wall edge of the lid part and the side wall edge of the container, and auxiliary protrusions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art can form an auxiliary groove part in which the auxiliary protrusions are fitted, The upper surface can be constrained to restrict vertical movement.

다른 한편으로, 복수의 돌기는 덮개부 또는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돌기 수용부는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깊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깊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 수용부와 분리 허용부 사이에 경사 가이드가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include a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thicknes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id portion or the container and a portion gradually decreasing in thickness,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may have a gradually increasing dep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size increases and a portion where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An inclined guid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다른 한편으로, 체결부는 덮개부의 측벽 내면과,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상측의 외면, 및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하측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lid por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다공판은 받침대의 높이만큼 바닥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받침대는 다단 용기의 방사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는 다공판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받침대와, 다공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3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받침대 각각의 양단은 제2 받침대 및 제3 받침대에 연결될 수 있다.The perforated plate may be spaced from the bottom by the height of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ulti-stage vessel. The pedestal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edestal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erforated plate and a third pedestal formed at an edge of the perforated plate.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pedestal and the third pedestal.

과일 용기는,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한 용기의 측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봉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일 용기는 덮개부의 내부에 수납된 포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 내측에는 포크 고정을 위한 복수의 끼움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fruit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film which is fixed to a side wall edg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The fruit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fork housed inside the cover part.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for fixing the fork can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lid part.

복수의 용기는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순서에 관계없이 일렬로 적층 및 조립되어 다단 용기를 구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tainers can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they can be stacked and assembled in a row in any order to form a multi-stage container.

본 발명의 과일 용기는 복수의 용기에 한 종류 이상의 과일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저장된 과일을 액체 성분과 분리시켜 액체 성분에 의한 과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과일 용기는 포크를 내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The frui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and contain more than one kind of fruit in a plurality of containers, reuse is possible, and the stored fruit can be separated from the liquid component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fruit by the liquid component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fruit container has a built-in fork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과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과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과일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덮개부의 내측과 제1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제1 용기의 하측과 제2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제2 용기의 하측과 제3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분리판의 하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 중 덮개부의 내측과 제1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 중 덮개부의 내측과 제1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part and the first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3;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third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3;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3;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portion and the first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portion and the first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container shown in Fig. 10; Fig.
1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결합 사시도와 결합 단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에 도시한 과일 용기의 분해 사시도와 분해 단면도이다.FIGS. 1 and 2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1,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과일 용기(100)는 과일을 담는 복수의 용기(10, 20, 30)가 일렬로 적층 배열된 다단 용기(40)와, 다단 용기(40)의 최상측에 결합된 덮개부(50)와, 덮개부(50)와 복수의 용기(10, 20, 30)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부(60)와, 복수의 용기(10, 20, 30) 중 적어도 한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리판(70)을 포함한다.1 to 4, the fruit contain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multi-stage container 40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containing fruits are arranged in a line,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and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The container 10 includes a lid 50 coupled to the uppermost side of the lid 50, And a separator plate (70) located inside the at least one container.

과일 용기(100)는 사용자가 과일 용기(100) 개봉 후 바로 먹기 편하도록 껍질이 제거된 과일, 한입 크기로 자른 과일, 또는 세척된 과일 등 일차 가공된 과일을 담을 수 있으나,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fruit container 100 may contain a primary processed fruit such as a peeled fruit, a bite-size fruit, or a washed fru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eat the fruit container 100 immediately after opening the fruit container 100. However, Do not.

다단 용기(40)를 구성하는 복수의 용기(10, 20, 30) 각각은 상측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용기(10, 20, 30)는 같은 직경과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용기(10, 20, 30) 각각은 바닥부(11, 21, 31)와 측벽(12, 22, 32)을 포함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vessels 10, 20 and 30 constituting the multi-stage vessel 4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upper side thereof opened and the plurality of vessels 10, 20 and 3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ame diameter .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30 includes a bottom portion 11, 21, 31 and side walls 12, 22, 32.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세 개의 용기, 즉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로 구성된 다단 용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용기의 개수는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1 to 4, a multi-stage container composed of three containers, that is, the first container 10, the second container 20 and the third container 30 is shown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of containers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Do not.

덮개부(50)는 제1 용기(10)의 측벽(12) 상단에 결합되어 제1 용기(10)를 덮는다. 덮개부(50)는 덮개판(51)과, 덮개판(51)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측벽(52)을 포함한다. 덮개판(51)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덮개판(51)의 중앙에 돌출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돌출부(53)를 잡고 덮개부(50)를 돌려 제1 용기(10)로부터 덮개부(50)를 분리시킬 수 있다.The lid portion 50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to cover the first container 10. The lid portion 50 includes a lid plate 51 and side walls 52 connected to the edges of the lid plate 51. The cover plate 51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nd a protrusion 53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51. The user can grasp the projection 53 and turn the lid 50 to separate the lid 50 from the first container 10. [

체결부(60)는 덮개부(50)와 복수의 용기(10, 20, 30) 각각에 형성되어 이들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체결부(60)는 덮개부(50)와 제1 용기(10)에 형성된 제1 체결부(60A),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에 형성된 제2 체결부(60B), 및 제2 용기(20)와 제3 용기(30)에 형성된 제3 체결부(60C)로 구성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60 is formed in each of the lid 50 and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and functions to integrally join the lid 50 and the containers 10, 20, The fastening part 60 includes a lid part 50 and a first fastening part 60A formed on the first container 1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60B formed on the first container 10 and the second container 20, And a third fastening part 60C formed in the second container 20 and the third container 30. [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덮개부의 내부와 제1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part and the first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3;

도 4와 도 5를 참고하면, 제1 체결부(60A)는 덮개부(50)의 측벽(52)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61)와, 제1 용기(10) 측벽(12)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62)를 포함한다.4 and 5, the first fastening portion 60A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6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2 of the lid portion 50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6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 And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6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복수의 돌기(61) 각각은 한 쌍의 장변과 두 개의 곡선부로 이루어진 대략적인 트랙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장변은 덮개부(50) 측벽의 원주 방향과 나란하며, 복수의 돌기(61)는 덮개부(50) 측벽(52)의 가장자리 및 덮개판(51)의 가장자리와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61)는 덮개부(50) 측벽(5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 may be of a rough track type composed of a pair of long sides and two curved portions.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dge of the side wall 52 of the lid 50 and the edge of the lid plate 51. The pair of long sides may be paralle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of the lid 50,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61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wall 52 of the lid 50.

복수의 오목부(62) 각각은 돌기(61)가 끼워지는 돌기 수용부(621)와, 돌기 수용부(621)의 일측에 연결된 분리 허용부(622)로 구성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62 is composed of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 in which the projection 61 is inserted and a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

돌기 수용부(621)와 분리 허용부(622)는 제1 용기(10) 측벽(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하며, 분리 허용부(622)의 수직 폭은 돌기 수용부(621)의 수직 폭보다 크다. 복수의 오목부(62)는 제1 용기(10) 측벽(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 and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and the vertical width of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 is the same as the vertical width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width. The plurality of recesses 62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복수의 돌기(61)가 복수의 돌기 수용부(621)에 끼워지면 복수의 돌기(61)는 상면과 하면이 구속되어 수직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그리고 덮개부(50)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돌기(61)가 분리 허용부(622)에 위치하면 복수의 돌기(61)는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덮개부(50)를 위로 올려 제1 용기(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 are fitted in the plurality of protrusion receiving portions 621,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 are constrained to restrict vertical movement. Wh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 are located in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 by the rotation of the cover portion 5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1 can freel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cover portion 50 up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container (10).

이때 돌기(61)의 상면 및 하면과 이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621)의 상하 측벽은 요철 구조로 형성되어 돌기(61)와 돌기 수용부(621)의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rotrusion 61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walls of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621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tructure, so that the protrusion 61 and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621 can be more tightly fastened.

제1 체결부(60A)는 이러한 돌기-오목부의 조합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1 용기(10)에 대한 덮개부(50)의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때 덮개부(50)의 측벽(52)과 제1 용기(10)의 측벽(12)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복수의 오목부(62)는 제1 용기(10) 측벽(12)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ortion 60A has a combination structure of the projections and recesses and facilitates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lid portion 50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iner 10. [ The plurality of recesses 62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so as not to create a step on the side wall 52 of the lid part 50 and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 Lt; / RTI >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제1 용기의 하측과 제2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second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도 3과 도 6을 참고하면, 제2 체결부(60B)는 제1 체결부(60A)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체결부(60B)는 제1 용기(10) 측벽(12)의 하측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63)와, 제2 용기(20) 측벽(22)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64)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63)는 바닥부(11) 아래에 위치한다.3 and 6,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0B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60A. That is,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0B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63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63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of the second container 20. [ And includes a concave portion 64.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63) are located below the bottom (11).

복수의 돌기(63) 각각은 대략적인 트랙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오목부(64) 각각은 돌기 수용부(641)와 분리 허용부(642)로 구성된다. 제2 체결부(60B)의 상세 구조는 전술한 제1 체결부(60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63 may be of a track typ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4 is composed of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41 and a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42. Sinc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60B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astening part 60A described abov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제2 용기의 하측과 제3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ontainer and the third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3;

도 3과 도 7을 참고하면, 제3 체결부(60C)는 제1 및 제2 체결부(60A, 60B)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3 체결부(60C)는 제2 용기(20) 측벽(22)의 하측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65)와, 제3 용기(30) 측벽(32)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66)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기(65)는 바닥부(21) 아래에 위치한다.3 and 7, the third fastening portion 60C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ortions 60A and 60B. The third fastening portion 60C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65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of the second container 20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65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2 of the third container 30. [ And includes a concave portion 66.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5 are located below the bottom portion 21.

복수의 돌기(65) 각각은 대략적인 트랙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오목부(66) 각각은 돌기 수용부(661)와 분리 허용부(662)로 구성된다. 제3 체결부(60C)의 상세 구조는 전술한 제1 체결부(60A)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5 may be of a substantially track typ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66 is formed of a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661 and a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62.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third fastening portion 60C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60A described above, so duplicated description is omitted.

이때 제3 용기(30)의 측벽(32) 하측의 내면에도 복수의 돌기(67)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67)는 전술한 돌기들(61, 63, 65)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용기(10, 20, 30)는 모두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 과일 용기(100)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순서에 관계없이 일렬로 적층 및 조립되어 다단 용기(40)를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protrusions 67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32 of the third container 30.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67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rotrusions 61, 63, and 65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to simplify the manufacture of the fruit container 100, and may be stacked and assembled in a row in any order to constitute the multi-stage container 40 .

전술한 체결부(60) 구성에 의해 덮개부(50)와 다단 용기(40)를 일체로 조립하여 복수의 용기(10, 20, 30)를 모두 닫을 수 있다. 그리고 다단 용기(40) 중 원하는 용기를 선택하여 열거나, 복수의 용기(10, 20, 30)를 모두 열 수 있다.The lid portion 50 and the multistage container 40 can be integrally assembled by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portion 60 to close all of the containers 10, 20, and 30. In addition, a desired one of the multi-stage vessels 40 can be opened or opened, or both of the plurality of vessels 10, 20, and 30 can be opened.

도 8은 도 3에 도시한 과일 용기 중 분리판의 하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separation plate of the fruit container shown in FIG. 3;

도 3과 도 8을 참고하면, 분리판(70)은 복수의 용기(10, 20, 30)에 하나씩 나누어 수용될 수 있다. 분리판(70)은 복수의 배수구(71)가 형성된 다공판(72)과, 다공판(72)의 하면에 고정된 받침대(7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8, the separation plate 70 can be housed one by one in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The separation plate 70 is composed of a perforated plate 72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71 and a pedestal 73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rforated plate 72.

받침대(73)는 각 용기(10, 20, 30)의 바닥부(11, 21, 31)와 접촉하며, 다공판(72)은 받침대(73)의 높이만큼 각 용기(10, 20, 30)의 바닥부(11, 21, 31)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The pedestal 73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s 11, 21 and 31 of the vessels 10 and 20 and 30 and the perforated plate 72 is in contact with the vessels 10, 21, and 31 of the housing 11, respectively.

각 용기(10, 20, 30)에 담긴 과일로부터 물기 또는 과일즙과 같은 액체 성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체 성분은 다공판(72)에 형성된 배수구(71)를 통해 흘러 다공판(72) 아래로 모인다. 따라서 분리판(70)은 과일과 액체 성분을 분리하여 과일이 액체 성분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변질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저장된 과일의 신선도를 높일 수 있다.A liquid component such as water or fruit juice may be generated from the fruit contained in each of the vessels 10, 20 and 30. The liquid component flows through the drain port 71 formed in the perforated plate 72, . Therefore, the separating plate 70 can separate fruits and liquid components, prevent deterioration or the like that occurs when the fruits come into contact with the liquid component, and can increase the freshness of stored fruits.

복수의 배수구(71)는 다공판(72)의 방사 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받침대(73)는 방사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받침대(7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73)는 다공판(72)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받침대(732)와, 다공판(72)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3 받침대(7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받침대(731) 각각의 양단은 제2 및 제3 받침대(732, 733)에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rain holes (71) can be aligne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perforated plate (72). The pedestal 73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731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The pedestal 73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edestal 73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erforated plate 72 and a third pedestal 733 formed at an edge of the perforated plate 72. In this case,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73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and third pedestals 732, 733.

제2 받침대(732)는 원형 또는 제조사의 로고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받침대(73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71)의 정렬 패턴과 받침대(73)의 구성은 전술한 예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second pedestal 73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circle or a logo of the manufacturer, and the third pedestal 73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drain hole 71 and the structure of the pedestal 73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의 과일 용기(100)는 복수의 용기(10, 20, 30)에 여러 종류의 과일을 분리하여 담을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저장된 과일을 액체 성분과 분리시켜 액체 성분에 의한 과일의 변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과일 용기(100)는 사용자 편의를 높이기 위한 포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uit contain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s capable of separating and storing various kinds of fruits in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reusable, separating stored fruits from liquid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fruit caused by the fruit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fruit container 100 may further include a fork 80 for enhancing user convenience.

포크(80)는 덮개부(5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덮개부(50) 내측에는 포크(80) 고정을 위한 복수의 끼움 돌기(54)가 형성될 수 있다.The fork 80 can be received inside the lid 50. 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54 for fixing the fork 80 may be formed inside the lid 50.

한편, 전술한 체결부 구조에서 돌기와 돌기 수용부의 형상은 도시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 중 덮개부의 내측과 제1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s of the projections and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s in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structure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s.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portion and the first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과일 용기에서 돌기(61a)는 덮개부(50) 측벽(52)의 가장자리와 접하며, 상면에 보조 돌기(511)가 형성된 일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rotrusions 61a of the fruit container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in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dge of the side wall 52 of the lid 50 and has auxiliary protrusions 5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오목부(62a)는 돌기(61a)가 끼워지는 돌기 수용부(621a)와, 돌기 수용부(621a)의 일측에 연결된 분리 허용부(622a)로 구성된다. 돌기 수용부(621a)에는 보조 돌기(611)가 끼워지는 보조 홈부(623)가 형성된다. 돌기 수용부(621a)와 분리 허용부(622a)는 니은(ㄴ)자 모양으로 이루어진다.The concave portion 62a is composed of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a into which the projection 61a is inserted and a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a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a.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a is formed with an auxiliary groove portion 623 in which the auxiliary projection 611 is inserted.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a and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a are formed in a shape of a silver (b) shape.

돌기(61a)가 돌기 수용부(621a)에 끼워지면 돌기(61a)는 상면이 구속되어 수직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때 보조 돌기(611)와 보조 홈부(623)에 의해 돌기(61a)와 돌기 수용부(621a)의 체결이 보다 견고해진다. 그리고 덮개부(50)의 회전에 의해 돌기(61a)가 분리 허용부(622a)에 위치하면 돌기(61a)는 수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덮개부(50)를 위로 올려 제1 용기(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When the projection 61a is fitted into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a, the projection 61a is restrained on the upper surface, and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stricted. At this time, the engagement of the projection 61a and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a by the auxiliary projection 611 and the auxiliary groove portion 623 becomes more rigid. When the projection 61a is positioned in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a by the rotation of the lid portion 50, the projection 61a can freel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lift the lid portion 50 upward, 10).

도 9에서는 덮개부(50)와 제1 용기(10)에 형성된 제1 체결부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제2 및 제3 체결부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체결부 구성과 동일하며, 제3 용기의 측벽 하측 내면에도 전술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과일 용기는 돌기와 돌기 수용부의 형상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9 show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cover 50 and the first container 10, the remaining second and third fastening portions are the same a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The above-described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The fruit container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s of the protrusions and the projection accommodating parts, and therefor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 중 덮개부의 내측과 제1 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제1 용기의 저면도이다.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lid part and the first container of the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bottom view of the first container shown in Fig.

도 10과 도 11을 참고하면, 제3 실시예의 과일 용기에서 돌기(61b)는 덮개부(50) 또는 제1 용기(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61b)의 중앙부는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돌기(61b)의 양측 단부는 변화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10 and 11, in the fruit container of the third embodiment, the projection 61b has a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thicknes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id 50 or the first container 10, and a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thickness May be included.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jection 61b may have a constant thickness,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projection 61b may have a varying thickness.

오목부(62b)는 돌기(61b)가 끼워지는 돌기 수용부(621b)와, 돌기 수용부(621b)의 일측에 연결된 분리 허용부(622b)를 포함한다. 돌기 수용부(621b)는 제1 용기(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깊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깊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 수용부(621b)의 중앙부는 일정한 깊이를 가질 수 있고, 돌기 수용부(621b)의 양측 단부는 변화하는 깊이를 가질 수 있다.The concave portion 62b includes a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in which the projection 61b is fitted and a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b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may include a portion where the depth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ainer 10 and a portion where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may have a certain depth,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may have a varying depth.

돌기(61b)가 돌기 수용부(621b)에 끼워지면 돌기(61b)의 상면과 하면이 구속되어 수직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돌기 전체는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반면, 제3 실시예에서 돌기(61b)는 두께가 점진적으로 변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돌기(61b)는 돌기 수용부(621b)에 끼워짐과 동시에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그 자체로 스토퍼로 기능한다.When the projection 61b is fitted in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on 61b are constrained to restrict vertical movement.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entire projections are form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where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projections 61b include portions whose thickness gradually changes. In this case, the protrusion 61b is fitted in the protrusion receiving portion 621b, and its position is fixed, thereby functioning as a stopper per se.

돌기 수용부(621b)와 분리 허용부(622b)는 경사 가이드(62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경사 가이드(624)는 돌기 수용부(621b)와 분리 허용부(622b)를 연결하는 오목한 부분으로서, 제1 용기(10)의 원주 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진다. 경사 가이드(624)는 돌기 수용부(621b)와 분리 허용부(622b) 사이에서 돌기(61b)의 움직임을 가이드하여 돌기(61b)와 오목부(62b)의 체결 및 분리를 원활하게 한다.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and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b may be connected by an inclined guide 624. [ The inclination guide 624 is a concave portion connecting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and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b and has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tainer 10. [ The inclined guide 624 guides the movement of the projection 61b between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621b and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622b to facilitate the fastening and separation of the projection 61b and the recessed portion 62b.

도 10에서는 덮개부(50)와 제1 용기(10)에 형성된 제1 체결부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나머지 제2 체결부 및 제3 체결부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체결부의 구성과 동일하며, 제3 용기의 측벽 하측 내면에도 전술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과일 용기는 돌기(61b)와 오목부(62b)의 형상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10 show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lid 50 and the first container 10, the remaining second fastening portions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fastening portion, 3 The above-described projections may also be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The fruit container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s of the protrusions 61b and the recesses 62b, and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분해 단면도이다.1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고하면, 제4 실시예의 과일 용기(400)에서 체결부(610)는 한 쌍의 나사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 체결부(610A)는 덮개부(50)의 측벽(52)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671)과, 제1 용기(10) 측벽(12)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67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2, in the fruit container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 610 i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 pair of threads. That i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610A has a combination of a thread 67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52 of the lid 50 and a thread 672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Lt; / RTI >

제2 체결부(610B)는 제1 용기(10) 측벽(12)의 하측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681)과, 제2 용기(20) 측벽(22)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68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제3 체결부(610C)는 제2 용기(20) 측벽(22)의 하측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691)과, 제3 용기(30) 측벽(32)의 상측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69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fastening portion 610B is formed of a combination of a thread 681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12 of the first container 10 and a thread 682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of the second container 20 Lt; / RTI > The third fastening portion 610C is a combination of a thread 691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2 of the second container 20 and a thread 692 formed on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32 of the third container 30 Lt; / RTI >

이때 제3 용기(30) 측벽(32)의 하측 내면에도 나사산(69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용기(10, 20, 30)는 모두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어 과일 용기(400)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순서에 관계없이 일렬로 적층 및 조립되어 다단 용기(40)를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a thread 693 may be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32 of the third container 3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20, and 3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to simplify the manufacture of the fruit container 400 and may be stacked and assembled in a row in any order to constitute the multi- .

체결부(60, 610)는 전술한 돌기-오목부의 조합 구조 및 나사산 구조로 한정되지 않으며, 기구적인 체결과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의 과일 용기(400)는 체결부(610) 구성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fastening portions 60 and 610 are not limited to the combined structure and the threaded structure of the protrusions-recess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structures for mechanically fastening and separating can be applied. Since the fruit container 400 of the fourth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art 610, the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고하면, 제5 실시예의 과일 용기(500)에서 복수의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용기는 다른 용기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도 13에서는 제3 용기(30a)가 제1 및 제2 용기(10, 20)보다 큰 높이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 용기(10, 20)보다 큰 체적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 13, in the fruit container 500 of the fifth embodimen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has a greater height than the other container. In FIG. 13, the third container 30a is formed to have a larger height tha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 and 20 and has a larger volume than the first and second containers 10 and 20, for example.

여러 종류의 과일을 담고자 할 때, 부피가 큰 과일 또는 수량이 많은 과일이 존재할 수 있으며, 제5 실시예의 과일 용기(500)는 이러한 경우에 적합하다. 제5 실시예의 과일 용기(500)는 다단 용기(40)의 크기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When trying to contain different kinds of fruit, there may be bulky fruit or high yield fruit, and the fruit container 500 of the fifth embodiment is suitable for this case. Since the fruit container 500 of the fifth embodiment is the same as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except for the size of the multi-stage container 40, the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과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uit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고하면, 제6 실시예의 과일 용기(600)는 복수의 용기(10, 20, 30) 중 적어도 한 용기를 밀봉하는 밀봉 필름(91, 92, 93)을 포함한다.14, the fruit container 600 of the sixth embodiment includes a sealing film 91, 92, 93 for sealing at least one of the containers 10, 20, 30.

밀봉 필름(91, 92, 93)은 용기(10, 20, 30)의 측벽(12, 22, 32) 상단에 고정되어 용기(10, 20, 30) 내부를 밀폐시키며, 용기(10, 20, 30) 내부의 과일이나 과즙 등이 용기(10, 20, 30)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한다. 밀봉 필름(91, 92, 93)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쉽게 제거 가능하다.The sealing films 91, 92 and 93 are fixed to the upper ends of the side walls 12, 22 and 32 of the containers 10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s 10, 20 and 30, 30) inside the container (10, 20, 30). The sealing films 91, 92 and 93 are easily removable by the user's force.

제6 실시예의 과일 용기(600)는 밀봉 필름(91, 92, 93)이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fruit container 600 of the sixth embodiment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except that the sealing films 91, 92, and 93 are add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0, 400, 500, 600: 과일 용기
10: 제1 용기 20: 제2 용기
30: 제2 용기 40: 다단 용기
11, 21, 31: 바닥부 12, 22, 32: 측벽
50: 덮개부 51: 덮개판
52: 측벽 53: 돌출부
60, 610: 체결부 61, 63, 65, 67: 돌기
62, 64, 66: 오목부 70: 분리판
71: 배수구 72: 다공판
73: 받침대 80: 포크
100, 400, 500, 600: Fruit containers
10: first container 20: second container
30: Second container 40: Multistage container
11, 21, 31: bottom part 12, 22, 32: side wall
50: lid part 51: cover plate
52: side wall 53:
60, 610: fastening portions 61, 63, 65, 67:
62, 64, 66: recesses 70: separation plates
71: Drain 72: Perforated plate
73: pedestal 80: fork

Claims (14)

바닥부와 측벽을 각각 포함하고 일렬로 적층 배열된 복수의 용기로 구성되며, 적어도 한 종류의 과일을 나누어 담는 다단 용기;
덮개판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 용기의 최상측에 결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측벽 내면과 상기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하측의 내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상측의 외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와 상기 복수의 용기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한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다공판과 받침대로 구성되어 과일과 액체 성분을 분리시키는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은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은, 상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깊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깊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를 구속하는 돌기 수용부와, 상기 돌기 수용부의 일측에 연결된 경사 가이드와, 상기 경사 가이드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돌기를 구속하지 않는 분리 허용부를 포함하는 과일 용기.
A multi-stage contai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each includ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and stacked in a line, the multi-stage container dividing at least one kind of fruit into two;
A lid including a cover plate and a side wall, the lid being coupled to an uppermost side of the multi-stage container;
A plurality of projections located on an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of the lid part and an inner surface of a lower side of a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a plurality of recesses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side of the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containers to each other; And
And a separating plate which is locat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is composed of a perforated plate and a pedestal and separates fruit and liquid components,
Each of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includes a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thickness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id portion or the container and a portion gradually decreasing in thicknes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ncludes a projection accommodating portion that includes a portion that gradually increases in depth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a portion that gradually becomes smaller in depth and that confines the projection, And a separation allow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nclination guide and not restraining the proj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은 상기 받침대의 높이만큼 상기 바닥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다단 용기의 방사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받침대를 포함하는 과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rforated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by a height of the pedestal,
Wherein the pedestal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ulti-stage vess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다공판의 중앙에 위치하는 고리 모양의 제2 받침대와, 상기 다공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3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받침대의 양단은 상기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3 받침대와 접하는 과일 용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edestal includes an annular second pedestal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perforated plate and a third pedestal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perforated plate,
And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pedestal and the third pedes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한 용기의 측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봉 필름을 더 포함하는 과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aling film fixed to a side wall edg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수납된 포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상기 포크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끼움 돌기가 위치하는 과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rk housed within the lid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for fixing the fork are located inside the lid part.
바닥부와 측벽을 각각 포함하고 일렬로 적층 배열된 복수의 용기로 구성되며, 적어도 한 종류의 과일을 나누어 담는 다단 용기;
덮개판과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 용기의 최상측에 결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와 상기 복수의 용기 각각에 제공되어 상기 덮개부와 상기 복수의 용기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 및
상기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한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고, 다공판과 받침대로 구성되어 과일과 액체 성분을 분리시키는 분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는 상기 다단 용기의 방사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제1 받침대와, 상기 다공판의 중앙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제2 받침대와, 상기 다공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3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받침대의 양단은 상기 제2 받침대 및 상기 제3 받침대와 접하는 과일 용기.
A multi-stage contai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each includ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and stacked in a line, the multi-stage container dividing at least one kind of fruit into two;
A lid including a cover plate and a side wall, the lid being coupled to an uppermost side of the multi-stage container;
A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lid part and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o couple the lid part and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o each other; And
And a separating plate which is locat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is composed of a perforated plate and a pedestal and separates fruit and liquid components,
The pedestal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multi-stage vessel, a second pedestal in the form of an annulu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ulti-stage vessel, and a third pedestal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multi-
And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pedestals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pedestal and the third pedest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측벽 내면과 상기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하측의 내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와, 상기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상측의 외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오목부 각각은 상기 돌기를 구속하는 돌기 수용부와, 상기 돌기 수용부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돌기를 구속하지 않는 분리 허용부를 포함하는 과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rojections located on an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of the lid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a lower side of a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a plurality of recesses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side of the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sses includes a projection accommodating portion for constraining the projection and a separation allowing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and does not constrain the proj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 수용부는 상기 용기의 원주 방향을 따라 깊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분과 깊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돌기 수용부와 상기 분리 허용부 사이에 경사 가이드가 위치하는 과일 용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trusion includes a portion gradually increasing in thicknes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id or the container and a portion gradually decreasing in thickness,
Wherein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portion where the depth gradually increas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and a portion where the depth gradually decreases,
Wherein the inclined guide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on receiving portion and the separation allow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덮개부의 측벽 내면과, 상기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상측의 외면, 및 상기 복수의 용기 각각의 측벽 하측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과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read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a side wall of the lid portion,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side of a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nd an inner surface of a lower side of a side wal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용기 중 적어도 한 용기의 측벽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상기 용기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봉 필름을 더 포함하는 과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ealing film fixed to a side wall edge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ntainers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수납된 포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의 내측에 상기 포크의 고정을 위한 복수의 끼움 돌기가 위치하는 과일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ork housed within the lid portion,
And a plurality of fitting protrusions for fixing the fork are located inside the lid part.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용기는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며, 순서에 관계없이 일렬로 적층 및 조립되어 상기 다단 용기를 구성하는 과일 용기.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iners are made in the same shape and are stacked and assembled in a row in any order to constitute the multi-stage contai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44610A 2016-03-10 2016-11-01 Fruits vessel KR1018881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68 2016-03-10
KR20160028968 2016-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71A KR20170106171A (en) 2017-09-20
KR101888110B1 true KR101888110B1 (en) 2018-08-13

Family

ID=6003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610A KR101888110B1 (en) 2016-03-10 2016-11-01 Fruits vess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1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598A (en) * 2001-08-08 2003-02-26 Nippon Sanso Corp Container with lid
KR200415613Y1 (en)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A laminate type multipurpose keeping container
JP2008164057A (en) * 2006-12-28 2008-07-17 3R Produce:Kk Screw connection mechanism
KR100929785B1 (en) * 2009-06-03 2009-12-07 석종철 Wicker tray for airtight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803U (en) * 2009-09-14 2011-03-22 해태제과식품주식회사 The packing courage lid where the spoon is had
JP6199810B2 (en) * 2014-06-13 2017-09-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598A (en) * 2001-08-08 2003-02-26 Nippon Sanso Corp Container with lid
KR200415613Y1 (en) * 2006-02-23 2006-05-04 안종덕 A laminate type multipurpose keeping container
JP2008164057A (en) * 2006-12-28 2008-07-17 3R Produce:Kk Screw connection mechanism
KR100929785B1 (en) * 2009-06-03 2009-12-07 석종철 Wicker tray for airtight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171A (en)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3611C2 (en) Container set with piling appliance
US20210070537A1 (en) Beverage maker
US8474610B1 (en) Produce container with insert
US20120234833A1 (en) Performance oriented pail
US20060237341A1 (en) Stacking container
US20140042116A1 (en) Container with multiple chambers and multiple openings
CA2835778C (en) Nestable can tray
KR101888109B1 (en) Fruits vessel
KR101554665B1 (en) Bottle equipped with pocket for functional particles
MX2007010253A (en) Sealing container with stackable tops and bottoms.
US11518589B2 (en) Lid and scoop for a container
KR101838914B1 (en) Fruit keeping container
US5975344A (en) Closure having controlled radial flex
KR101888110B1 (en) Fruits vessel
CA2532266A1 (en) Two stacking position square container
KR20180041634A (en) Thermos bottle
US1985998A (en) Container
US9016514B2 (en) Beverage container holder
KR102034693B1 (en) Container for ripening food
KR101751042B1 (en) A Cup Lid
KR102068261B1 (en) Container structure to maintain constant pressure
KR101694762B1 (en) Vessel cover having additive supplier
KR200383322Y1 (en) Vessel made of metal
KR101988294B1 (en) Airtight receptacle with multiple sealing part
EP4036028A1 (en) Container for shipping hazardous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