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359B1 -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359B1
KR101886359B1 KR1020120030644A KR20120030644A KR101886359B1 KR 101886359 B1 KR101886359 B1 KR 101886359B1 KR 1020120030644 A KR1020120030644 A KR 1020120030644A KR 20120030644 A KR20120030644 A KR 20120030644A KR 101886359 B1 KR101886359 B1 KR 10188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hemical formula
composition
hair
sapon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854A (ko
Inventor
김정기
서대방
문석식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30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359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모의 촉진 또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함으로써 발모, 육모, 양모 촉진, 또는 탈모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saponin extracted from the root of Camellia sinensis}
본 발명은 발모의 촉진 또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함으로써 발모, 육모, 양모 촉진, 또는 탈모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정상적으로 털이 많이 빠지는 탈모증은 화학적 요인, 유전학적인 요인, 오염원, 모근의 영양결핍, 내분비계의 장애,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일어난다. 탈모증은 종래에는 남성형 탈모가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여성 및 젊은 층으로 확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경제 위기가 심화되고 이에 따른 실직이나 구직의 어려움으로 인해 불안감과 스트레스에 노출되면서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탈모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정상인의 경우 머리카락이 하루에 50~70개가 빠지지만,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는 하루에 100개 이상 빠지는 현상을 동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모발학회에 따르면 서양인은 성인의 50% 이상이 대머리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한국 사람은 성인의 15~20% 정도가 될 만큼 흔한 일이다. 국내 탈모인구는 약 900만명으로 추정된다.
심한 탈모현상이 생기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유전적인 배경과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스트레스가 가장 두드러진 탈모 촉진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현상에 관한 명확한 기전은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다만 쥐를 통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트레스는 털집(모낭) 주위에 염증을 일으켜 털의 퇴행기를 앞당기고, 결과적으로 털이 자라는 것을 억제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를 계속 받으면 뇌와 두피에 열이 발생하고 혈액공급이 부족해져 모발은 영양불량 상태가 된다. 스트레스성 열기운이 얼굴로 지나치게 몰리게 되면 두피의 피지선이 자극돼 피지가 모공을 막아 탈모를 유발하거나 두피의 모세혈관을 자극해 두피를 민감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는 스트레스를 예방해 주거나 조절해 주는 약물 사용시 매우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빠르게 진행되는 탈모 예방 외에도 머리카락 성장의 촉진 기능을 나타내는 약물사용을 통해 어느 정도 스트레스성 탈모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치료 또는 발모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많은 물질들이 보고되어 있기는 하지만 현재까지 탈모된 모발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효과가 좋을 뿐 만 아니라, 안정적이고 제조 시 경제성이 있는 발모촉진, 양모 또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품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녹차(Camellia sinensis) 추출물의 효능에 대하여도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알려진 녹차의 효능으로는 항균, 항암, 항산화 작용, 자외선 흡수 작용, 항히스타민 작용, 유해산소 제거, 미백효과, 콜레스테롤 감소, 항고혈압, 알코올과 담배의 해독 및 해소작용, 환경호르몬의 체외 배설 촉진 작용, 당뇨병 완화작용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다양한 효능에 기초하여 녹차 또는 이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제, 식품, 화장품, 위생패드, 껌, 세제 등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녹차 추출물 중 항균, 항암 활성과 관련하여는 폴리페놀이 주요 유효성분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알려진 폴리페놀 종류에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에피갈로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레이트, 에피카테킨, 카테킨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이전의 보고는 녹차 추출물의 항균 및 항염증 활성에 근거하여 다양한 용도의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단순 개시하고 있을 뿐, 본원 발명과 같이 녹차나무의 뿌리로부터 추출한 사포닌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에 대하여는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녹차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종래기술은 다수 존재한다(비특허문헌 1-2).
Hamao M et al., Bioorg Med Chem, 19(20):6033-41, 2011 Esfandiari A et al., J Natl Med Assoc., 97(6):816-8, 2005
현재까지 탈모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만족할 만한 제품의 개발이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과가 좋을 뿐만 아니라 제조 시 경제성이 있는 발모촉진, 양모 또는 탈모치료용 조성물 및 제품에 대한 요구가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에 발모 촉진, 양모 또는 탈모 예방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여 발모 및 양모를 촉진하고 탈모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발모 또는 양모의 촉진, 탈모의 치료 및 개선에 효과적이며, 특히 스트레스성 탈모 증상의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머리털, 수염, 눈썹, 음모, 겨드랑이 털 기타 부위의 털의 비정상적인 상태에 사용이 가능하며, 사람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이나, 털을 채취하거나 모피를 이용하는 동물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녹차뿌리는 고가의 소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제품 개발시 경제적 타당성이 높다.
본 발명은 발모, 육모 또는 양모를 촉진하고, 탈모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두피 또는 모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saponin)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녹차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차나무 뿌리의 추출물에서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은 녹차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10종류의 사포닌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각각 ‘녹차포닌(rogchaponin) R1 내지 R10’으로 지칭한다. 이들 녹차포닌 R1 내지 R10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의 구조를 가진다.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1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2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3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4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5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6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7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8
Figure 112012024072608-pat00009
Figure 112012024072608-pat00010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또는 경구 투여가 가능하며, 투여 방법에 따라 적절한 제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제형에 따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그 제형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토닉 등의 가용화제, 유액, 크림 등의 유화제, 연고, 분산액, 젤, 에어졸, 무스 등의 피부 외용제의 임의의 제형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그 제품 형태도 탈모 방지, 발모, 육모, 양모 등의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헤어케어용 의약품, 의약부외품 또는 화장용품으로서, 예를 들면 발모촉진제, 육모료, 두피 트리트먼트제, 비누,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팩, 로션, 컨디셔너, 헤어오일, 무스, 크림 등의 피부 외용제 또는 피부 세정제 등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제, 용액제, 유제, 분산제, 미셀, 리포좀, 연고제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경구 또는 비경구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 담체 또는 부형제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면 정제, 산제, 펠렛제, 캡슐제, 좌약제, 용액제, 유제, 현탁제, 액제, 젤리 및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기타 형태에 대해 일반적으로 비독성인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에는 고체상, 반고체상 또는 액체상의 포도당, 유당, 아라비아 고무, 젤라틴, 만니톨, 전분 페이스트, 삼규산 마그네슘염, 활석, 옥수수 전분, 각질(角質), 코로이드성 실리카, 감자 전분, 우레아, 쇄 길이가 중간 정도인 트리글리세리드, 덱스트란 및 제제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타 담체가 포함된다. 또한, 보조제, 안정화제, 증점제, 착색제 및 향료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5~3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최적 투여량은 연령, 개인차, 증상, 사용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되지만, 사람에게 투여하는 경우의 투여량은 통상 0.01~100mg/kg, 바람직하게는 0.1~10mg/kg이며, 이 양을 1일 1회 또는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또는 양모의 촉진, 또는 탈모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은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원료에 대하여 각각 0.0001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나, 첨가되는 양은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람이나 동물에서 현저한 발모, 육모, 양모의 촉진 효과 및 탈모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성 탈모의 예방 및 개선에도 효과적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노인성 탈모증, 장년성 탈모증, 청년성 탈모증, 원형탈모증, 기계성 탈모증, 증후성 탈모증에 의한 탈모 상태의 개선, 또는 발모 및 양모의 촉진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머리털, 수염이나 눈썹, 음모, 겨드랑이 털 기타 부위의 털이 비정상적으로 빠지거나, 발모, 양모를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예를 들어 개, 고양이, 카나리아, 앵무새 등의 애완동물의 털이나 깃의 질과 광택을 개선하고, 양, 여우, 알파카, 앙고라, 고양이, 토끼, 염소, 밍크, 캐시미어 등과 같은 털을 채취하거나 모피를 이용하는 동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바람직하게는 녹차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의 분획,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차나무 뿌리의 추출물에서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사람 또는 동물의 발모 또는 양모의 촉진 방법, 또는 탈모의 예방 및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스트레스성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경구 투여 및 피부 도포 방법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녹차포닌의 분리
녹차나무의 뿌리는 2005년 11월에 제주도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에서 수집하였으며, 녹차나무는 야부기다(Yabukita) 품종으로 20년 된 것을 선택하였다.
신선한 녹차나무 뿌리 10kg을 작은 조각으로 자르고 80%의 수성 MeOH 8L에 담그어 2일 동안 실온에 두었고, 이러한 추출 방법을 2번 반복하였다. 추출물을 합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고무질의 갈색 잔여물 540g을 수득하였다. 잔여물 100g을 C18 실리카겔 플래시 컬럼(flash column)에서 용리액으로 H2O(각각 4L) 내의 MeOH를 0 내지 100%로 10%씩 증가시킨 것을 사용하여 크로마노크래피로 분리하고 11개의 분획물(A 내지 K)을 얻었다. 이 중 활성인 분획물 G(4g) 및 H(10g)를 합하고, 실리카겔 컬러에서 다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8개의 분획물(GH1 내지 GH8)을 얻었다.
분획물 중 효소 억제 사포닌 분획물인 GH5(1.02g)를 C18 HPLC(용리액; 50~60% 수성 MeCN)로 정제하여 9개의 사포닌인 1(108mg, tR 19.9분), 2(92mg, tR 20.9분), 3(37mg, tR 23.3분), 4(60mg, tR 32.7분), 5(161mg, tR 35.7분), 6(113mg, tR 37.8분), 7(48mg, tR 39.4분), 8(33mg, tR 41.9분), 및 9(56mg, tR 47.9분)를 획득하였다. 또한 C18 HPLC에서 용리액으로 40~49% 수성 MeCN을 사용하여 분석 샘플 1~3을, 용리액 70~80% 수성 MeOH를 사용하여 샘플 4~8을 수득하였다(각각 49mg, 32mg, 12mg, 16mg, 71mg, 20mg, 12mg, 및 9mg). 상기 분획물 9는 HPLC로 용리액으로 55~60% 수성 MeCN을 사용하여 추가 정제하였고, 분석 샘플 9(26mg, tR 43.3분) 및 10(8mg, tR 62.7분)를 수득하였다.
분리된 10종의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각각 ‘녹차포닌(rogchaponin) R1 내지 R10’으로 지칭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녹차포닌 R1: 백색 고체; 녹는점 228 - 229℃; [α]20 D : - 28.83 (c 0.43, MeOH); IR (neat): νmax = 3406, 1738, 1714, 1447, 1249, 1039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69 (3H, s, H-24) , 0.87 (3H, t, J = 7.2 Hz, 2MB-H-4), 0.89 (3H, s, H-29), 1.00 (5H, 3H,s, H-25 and 2H, m, H-6), 1.01 (3H, s, H-26), 1.02 (1H, m, Ha-1), 1.03 (3H, d, J = 7.2 Hz, 2MB-H-5), 1.05 (3H, s, H-30), 1.07 (1H, m, Ha-7), 1.26 (1H, t, J = 10.4 Hz, H-5), 1.35 (1H, dd, J = 13.2, 5.2 Hz, Ha-19), 1.38 (1H, m, 2MB-Ha-3), 1.48 (1H, m, Hb-7), 1.50 (3H, s, H-27), 1.56 (1H, m, 2MB-Hb-3), 1.64 (2H, m, Hb-1, H-9), 1.74 (1H, m, Ha-2), 1.84 (1H, m, Hb-2), 1.91 (3H, s, Ac), 1.96 (3H, s, Ac), 1.98 (2H, m, H-11), 2.23 (1H, m, 2MB-H-2), 2.25 (3H, s, Ac), 2.47 (1H, t, J = 14.2 Hz, Hb-19), 2.77 (1H, dd, J = 14.0, 4.0 Hz, H-18), 3.10 (1H, d, J = 11.2 Hz, Ha-28), 3.26 (1H, d, J = 11.2 Hz, Ha-23), 3.36 (1H, d, J = 11.2 Hz, Hb-28), 3.42 (1H, t J = 8.0, Hz, GlcA-H-2), 3.54 (2H, m, GlcA-H-3 & Ara-H-3), 3.57 (1H, m, GlcA-H-4), 3.58 (1H, m, Ara-Ha-5), 3.60 (1H, d, J = 11.2 Hz, Hb-23), 3.62 (1H, m, Ara-H-2), 3.63 (1H, m, H-3), 3.80 (1H, m, Ara-H-4), 3.82 (1H, m, GlcA-H-5), 3.90 (1H, m, Ara-Hb-5), 4.51 (2H, d, J = 7.2 Hz, GlcA-H-1, Ara-H-1), 5.16 (1H, d, J = 4.8 Hz, H-15), 5.29 (1H, d, J = 4.8 Hz, H-16), 5.30 (1H, d, J = 10.0 Hz, H-21), 5.52 (1H, d, J = 10.0 Hz, H-22), 5.59 (1H, brs, H-12); HR-TOF-ESI-MS: m/z = 1041.5258 [M + H]+ (calcd. for C52H80O21 + H: 1041.5270).
녹차포닌 R2: 백색 고체; 녹는점 229 - 230℃; [α] 20 D : - 37.61 (c 0.545, MeOH); IR (neat): νmax = 3314,, 1727, 1444, 1248, 1038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69 (3H, s, H-24), 0.91 (3H, s, H-29), 1.00 (3H, s, H-25), 1.01 (3H, s, H-26), 1.08 (3H, s, H-30), 1.26 (1H, m, Ha-19), 1.50 (3H, s, H-27), 1.71 (3H, s, Ang-H-5), 1.90 (3H, s, Ac), 1.91 (3H, d, J = 7.6 Hz , Ang-H-4), 1.93 (3H, s, Ac), 2.24 (3H, s, Ac), 2.50 (1H, t, J = 14.0, Hb-19), 2.78 (1H, dd, J = 14.4, 4.0 Hz, H-18), 3.14 (1H, d, J = 10.8 Hz, Ha-28), 3.26 (1H, d, J = 10.8 Hz, Ha-23), 3.39 (1H, d, J = 10.0 Hz, Hb-28), 3.60 (1H, d, J = 10.8 Hz, Hb-23), 3.63 (1H, m, H-3), 4.50 (2H, d, J = 7.2 Hz, GlcA-H-1, Ara-H-1), 5.18 (1H, d, J = 4.4 Hz, H-15), 5.28 (1H, d, J = 4.0 Hz, H-16), 5.38 (1H, d, J = 10.8 Hz, H-21), 5.60 (1H, brs, H-12), 5.61 (1H, d, J = 10.8 Hz, H-22), 6.08 (1H, q, J = 7.6 Hz, Ang-H-3); HR-TOF-ESI-MS: m/z = 1039.5142 [M + H]+ (calcd. for C52H78O21 + H: 1039.5114).
녹차포닌 R3: 백색 고체; 녹는점 233 - 234℃; [α] 20 D : - 28.84 (c 0.208, MeOH); IR (neat): νmax = 3415, 1726, 1368, 1249, 1023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70 (3H, s, H-24), 0.91 (3H, s, H-29), 0.95 (3H, s, H-26), 1.01 (3H, s, H-25), 1.08 (3H, s, H-30), 1.35 (3H, s, H-27), 1.50 (1H, m, Ha-15), 1.74 (3H, s, Ang-H-4), 1.80 (1H, m, Hb-15), 1.90 (3H, s, Ac), 1.93 (3H, d, J = 7.6 Hz , Ang-H-5), 2.20 (3H, s, Ac), 2.66 (1H, dd, J = 14.4, 4.8 Hz, H-18), 3.10 (1H, d, J = 10.8 Hz, Ha-28), 3.27 (1H, d, J = 10.8 Hz, Ha-23), 3.29 (1H, d, J = 10.8 Hz, Hb-28), 3.60 (1H, d, J = 10.8 Hz, Hb-23), 3.64 (1H, m, H-3), 4.51 (2H, d, J = 7.2 Hz, GlcA-H-1, Ara-H-1), 5.10 (1H, brs, H-16), 5.46 (1H, brs, H-12), 5.50 (1H, d, J = 10.4 Hz, H-21), 5.58 (1H, d, J = 10.4 Hz, H-22), 6.08 (1H, q, J = 7.6 Hz, Ang-H-3); HR-TOF-ESI-MS: m/z = 981.5094 [M + H]+ (calcd. for C50H76O19 + H: 981.5059).
녹차포닌 R4: 백색 고체; 녹는점 227 - 228℃; [α] 20 D : - 12.56 (c 0.565, MeOH); IR (neat): νmax = 3421, 1718, 1370, 1257, 1041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71 (3H, s, H-24), 0.88 (3H, s, H-29), 0.86 (3H, t, J = 8.4 Hz, 2MB-H-4), 0.98 (3H, d, J = 6.8 Hz, 2MB-H-5), 1.00 (3H, s, H-26), 1.02 (3H, s, H-25), 1.07 (3H, s, H-30), 1.38 (3H, s, H-27), 1.40 (1H, m, 2MB-Ha-3), 1.58 (1H, m, 2MB-Hb-3), 1.82 (3H, s, Ang-H-5), 1.96 (3H, d, J = 7.2 Hz, Ang-H-4), 2.22 (1H, m, 2MB-H-2), 2.32 (3H, s, Ac), 2.66 (1H, dd, J = 14.0, 4.0 Hz, H-18), 3.12 (1H, d, J = 10.8 Hz, Ha-28), 3.27 (1H, overlapped with solvent, Ha-23), 3.37 (1H, d, J = 10.8 Hz, Hb-28), 3.60 (1H, d, J = 10.4 Hz, Hb-23), 3.64 (1H, m, H-3), 3.99 (1H, d, J = 4.0 Hz, H-15), 4.51 (2H, d, J = 7.2 Hz, GlcA-H-1, Ara-H-1), 5.29 (1H, d, J = 4.0 Hz, H-16), 5.41 (1H, d, J = 10.4 Hz, H-21), 5.52 (1H, brs, H-12), 5.54 (1H, d, J = 10.4 Hz, H-22), 6.15 (1H, q, J = 6.8 Hz, Ang-H-3); HR-TOF-ESI-MS: m/z = 1039.5471 [M + H]+ (calcd. for C53H82O20 + H: 1039.5478).
녹차포닌 R5: 백색 고체; 녹는점 231 - 232℃; [α] 20 D : + 4.35 (c 0.46, MeOH); IR (neat): νmax = 3395, 1711, 1442, 1256, 1039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85 (3H, s, H-29), 0.88 (3H, t, J = 7.2 Hz, 2MB-H-4), 1.01 (3H, s, H-25), 1.02 (3H, d, J = 6.0 Hz , 2MB-H-5), 1.04 (3H, s, H-26), 1.07 (3H, s, H-30), 1.13 (3H, s, H-24), 1.42 (1H, m, 2MB-Ha-3), 1.44 (3H, s, H-27), 1.60 (1H, m, 2MB-Hb-3), 1.85 (3H, s, Ang-H-5), 1.98 (3H, d, J = 6.8 Hz, Ang-H-4), 2.32 (1H, m, 2MB-H-2), 2.62 (1H, dd, J = 14.0, 4.0 Hz, H-18), 3.00 (1H, d, J = 10.4 Hz, Ha-28), 3.27 (1H, d, J = 10.8 Hz, Hb-28), 3.71 (1H, d, J = 4.0 Hz, H-15), 3.79 (1H, d, J = 4.8 Hz, H-16), 3.89 (1H, m, H-3), 4.32 (1H, d, J = 7.6 Hz, GlcA-H-1), 4.50 (1H , d, J = 6.4 Hz, Ara-H-1), 5.47 (1H, brs, H-12), 5.55 (1H, d, J = 10.4 Hz, H-22), 5.86 (1H, d, J = 10.4 Hz, H-21), 6.14 (1H, q, J = 7.2 Hz, Ang-H-3), 9.41 (1H, s, H-23); HR-TOF-ESI-MS: m/z = 995.5282 [M + H]+ (calcd. for C51H78O19 + H: 995.5216).
녹차포닌 R6: 백색 고체; 녹는점 229 - 230℃; [α] 20 D : - 9.56 (c 0.23, MeOH); IR (neat): νmax = 3424, 1728, 1538, 1456, 1229, 1070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86 (3H, t, J = 6.4 Hz, 2MB-H-4), 0.92 (3H, s, H-29), 0.99 (3H, d, J = 7.2 Hz , 2MB-H-5), 1.02 (3H, s, H-25), 1.04 (3H, s, H-26), 1.07 (3H, s, H-30), 1.10 (3H, s, H-24), 1.36 (H, dd, J = 13.6, 4.0 Hz, 2MB-Ha-3), 1.57 (1H, dd, J = 13.6, 7.2 Hz, 2MB-Hb-3), 1.39 (3H, s, H-27), 1.84 (3H, s, Ang-H-5), 1.97 (3H, d, J = 7.2 Hz , Ang-H-4), 2.24 (1H, m, 2MB-H-2), 2.32 (3H, s, Ac), 2.64 (1H, dd, J = 14.4, 4.0 Hz, H-18), 3.12 (1H, d, J = 10.8 Hz, Ha-28), 3.34 (1H, d, J = 10.8 Hz, Hb-28), 3.90 (1H, dd, J = 8.8 & 2.8 Hz, H-3), 3.97 (1H, d, J = 4.8 Hz, H-15), 4.33 (1H, d, J = 7.6 Hz, GlcA-H-1), 4.49 (1H , d, J = 6.8 Hz, Ara-H-1), 5.28 (1H, d, J = 4.4 Hz, H-16), 5.41 (1H, d, J = 10.4 Hz, H-21), 5.54 (1H, d, J = 10.4 Hz, H-22), 5.55 (1H, brs, H-12), 6.16 (1H, q, J = 7.2 Hz, Ang-H-3), 9.40 (1H, s, H-23); HR-TOF-ESI-MS: m/z = 1037.5406 [M + H]+ (calcd. for C53H80O20 + H: 1037.5321).
녹차포닌 R7: 백색 고체; 녹는점 223 - 224℃; [α] 20 D : - 13.01 (c 0.315, MeOH); IR (neat): νmax = 3407, 1714, 1370, 1249, 1039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86 (3H, t, J = 7.4 Hz, 2MB-H-4), 0.89 (3H, s, H-29), 0.98 (3H, s, H-25), 0.99 (3H, d, J = 7.2 Hz , 2MB-H-5), 1.00 (3H, s, H-26), 1.07 (3H, s, H-30), 1.16 (3H, s, H-24), 1.37 (3H, s, H-27), 1.38 (1H, m, 2MB-Ha-3), 1.56 (1H, m, 2MB-Hb-3), 1.82 (3H, s, Ang-H-5), 1.97 (3H, d, J = 7.2 Hz, Ang-H-4), 2.26 (1H, m, 2MB-H-2), 2.31 (3H, s, Ac), 2.66 (1H, dd, J = 14.8, 4.0 Hz, H-18), 3.12 (1H, d, J = 10.8 Hz, Ha-28), 3.34 (1H, d, J = 10.8 Hz, Hb-28), 3.68 (3H, s, 23-COOCH 3 ), 3.96 (1H, d, J = 4.8 Hz, H-15), 4.03 (1H, dd, J = 11.6, 4.4 Hz, H-3), 4.30 (1H, d, J = 8.0 Hz, GlcA-H-1), 4.50 (1H , d, J = 6.8 Hz, Ara-H-1), 5.28 (1H, d, J = 4.4 Hz, H-16), 5.41 (1H, d, J = 10.4 Hz, H-21), 5.54 (1H, brs, H-12), 5.54 (1H, d, J = 10.8 Hz, H-22), 6.16 (1H, q, J = 7.0 Hz, Ang-H-3); HR-TOF-ESI-MS: m/z = 1067.5492 [M + H]+ (calcd. for C54H82O21 + H: 1067.5427).
녹차포닌 R8: 백색 고체; 녹는점 231 - 232℃; [α] 20 D : - 8.62 (c 0.105, MeOH); IR (neat): νmax = 3411, 1722, 1441, 1242, 1073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84 (3H, s, H-29), 0.85 (3H, s, H-24), 0.88 (3H, t, J = 7.2 Hz, 2MB-H-4), 0.98 (3H, s, H-25), 1.01 (3H, s, H-26), 1.02 (3H, d, J = 7.2 Hz , 2MB-H-5), 1.05 (3H, s, H-23), 1.07 (3H, s, H-30), 1.41 (3H, s, H-27), 1.42 (1H, m, 2MB-Ha-3), 1.60 (H, m, 2MB-Hb-3), 1.84 (3H, s, Ang-H-5), 1.98 (3H, d, J = 7.2 Hz, Ang-H-5), 2.30 (1H, m, 2MB-H-2), 2.62 (1H, m, H-18), 2.99 (1H, d, J = 10.0 Hz, Ha-28), 3.18 (1H, dd, J = 9.2, 5.2 Hz, H-3), 3.30 (1H, overlapped with solvent, Hb-28), 3.73 (1H, d, J = 4.0 Hz, H-15), 3.80 (1H, d, J = 4.0 Hz, H-16), 4.41 (1H, d, J = 7.2 Hz, GlcA-H-1), 4.53 (1H , d, J = 6.8 Hz, Ara-H-1), 5.47 (1H, brs, H-12), 5.55 (1H, d, J = 10.0 Hz, H-22), 5.86 (1H, d, J = 10.0 Hz, H-21), 6.16 (1H, q, J = 7.2 Hz, Ang-H-3); HR-TOF-ESI-MS: m/z = 981.5435 [M + H]+ (calcd. for C51H80O18 + H: 981.5423).
녹차포닌 R9: 백색 고체; 녹는점 232 - 233℃; [α] 20 D : - 24.15 (c 0.31, MeOH); IR (neat): νmax = 3443, 1724, 1459, 1234, 1072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71 (3H, s, H-24), 0.84 (3H, t, J = 7.2 Hz, 2MB-H-4), 0.88 (3H, s, H-29), 0.95 (3H, s, H-26), 0.98 (3H, d, J = 6.8 Hz , 2MB-H-5), 1.01 (3H, s, H-25), 1.09 (3H, s, H-30), 1.32 (1H, m, 2MB-Ha-3), 1.37 (3H, s, H-27), 1.44 (1H, m, Ha-15), 1.57 (H, m, 2MB-Hb-3), 1.80 (1H, m, Hb-15), 1.83 (3H, s, Ang-H-5), 1.97 (3H, d, J = 7.2 Hz, Ang-H-4), 2.20 (1H, m, 2MB-H-2), 2.27 (3H, s, Ac), 2.66 (1H, dd, J = 14.0, 3.6 Hz, H-18), 3.08 (1H, d, J = 10.4 Hz, Ha-28), 3.29 (1H, overlapped with solvent, Ha-23), 3.32 (1H, overlapped with solvent, Hb-28), 3.60 (1H, d, J = 10.0 Hz, Hb-23), 3.63 (1H, m, H-3), 4.51 (2H, d, J = 7.2 Hz, GlcA-H-1, Ara-H-1), 5.15 (1H, brs, H-16), 5.45 (1H, brs, H-12), 5.54 (2H, s, H-21 and H-22), 6.16 (1H, q, J = 7.6 Hz, Ang-H-3); HR-TOF-ESI-MS: m/z = 1023.5556 [M + H]+ (calcd. for C53H82O19 + H: 1023.5529).
녹차포닌 R10: 백색 고체; 녹는점 232 - 233℃; [α] 20 D : - 22.06 (c 0.29, MeOH); IR (neat): νmax = 3433, 1720, 1458, 1229, 1072 cm-1; 1H-NMR (400 MHz, CD3OD): δ = 0.70 (3H, s, H-24), 0.85 (3H, t, J = 7.6 Hz, 2MB-H-4), 0.89 (3H, s, H-29), 0.95 (3H, s, H-26), 0.98 (3H, d, J = 6.8 Hz , 2MB-H-5), 1.01 (3H, s, H-25), 1.09 (3H, s, H-30), 1.36 (3H, s, H-27), 1.37 (1H, m, 2MB-Ha-3), 1.43 (1H, m, Ha -15), 1.55 (1H, m, 2MB-Hb-3), 1.81 (1H, m, Hb-15), 1.83 (3H, s, Ang-H-5), 1.96 (3H, d, J = 7.2 Hz, Ang-H-4), 2.22 (1H, m, 2MB-H-2), 2.27 (3H, s, Ac), 2.66 (1H, dd, J = 14.0, 4.0 Hz, H-18), 3.08 (1H, d, J = 10.8 Hz, Ha-28), 3.29 (1H, overlapped with solvent, Ha-23), 3.32 (1H, overlapped with solvent , Hb-28), 3.60 (1H, d, J = 10.8 Hz , Hb -23), 3.62 (1H, m, H-3), 3.77 (3H, s, GlcA -6-OCH3), 4.51 (2H, d, J = 7.2 Hz , GlcA -H-1, Ara -H-1), 5.16 (1H, brs , H-16), 5.46 (1H, brs, H-12), 5.54 (2H, s, H-21 and H-22), 6.16 (1H, q, J = 7.0 Hz, Ang-H-3); HR-TOF-ESI-MS: m/z = 1037.5684 [M + H]+ (calcd. for C54H84O19 + H: 1037.5685).
[참고예 2]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기재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배합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Labrafac 23 23 23 23 23 23 23
Tween 80 10.5 10.5 10.5 10.5 10.5 10.5 10.5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4.0 4.0 4.0 4.0 4.0 4.0 4.0
스테아르산 7.0 7.0 7.0 7.0 7.0 7.0 7.0
세틸 알코올 2.0 2.0 2.0 2.0 2.0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9.0 9.0 9.0 9.0 9.0 9.0 9.0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3.5 3.5 3.5 3.5 3.5 3.5 3.5
사포닌분획 GH5 1 - - - - - -
녹차포닌 R1 - 1 - - - - -
녹차포닌 R2 - - 1 - - - -
녹차포닌 R3 - - - 1 - - -
녹차포닌 R4 - - - - 1 - -
녹차포닌 R5 - - - - - 1 -
녹차포닌 R6 - - - - - - 1
40 40 40 40 40 40 40
배합성분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1
Labrafac 23 23 23 23 23 23
Tween 80 10.5 10.5 10.5 10.5 10.5 10.5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4.0 4.0 4.0 4.0 4.0 4.0
스테아르산 7.0 7.0 7.0 7.0 7.0 7.0
세틸 알코올 2.0 2.0 2.0 2.0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9.0 9.0 9.0 9.0 9.0 9.0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3.5 3.5 3.5 3.5 3.5 3.5
녹차포닌 R7 1 - - - - -
녹차포닌 R8 - 1 - - - -
녹차포닌 R9 - - 1 - - -
녹차포닌 R10 - - - 1 - -
녹차뿌리 추출물 - - - - 1 -
40 40 40 40 40 41
[시험예 1]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의 양모 효과
ICR 마우스의 등의 털을 제모기로 제모한 후, 제모크림(비트크림)을 사용하여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대조군(정상군)을 제외한 다른 13개 군에 대해 디니트로클로로벤젠(dinitrochlorobenzene, DNCB)을 처치하여 피부염증을 유발함으로써 피부내 스트레스 조건을 설정하여 털의 생장을 최대로 저하시키고, 본 발명 조성물의 모발 재생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12 및 비교예 1의 크림을 처치하며, 처치일수에 따른 발모된 털의 길이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털 길이(cm) 0일 6일 9일 12일
대조군(정상군) 0.11 0.17 0.19 0.28
실시예 1 0.15 0.20 0.71 1.05
실시예 2 0.14 0.20 0.51 1.06
실시예 3 0.16 0.21 0.65 0.99
실시예 4 0.15 0.19 0.66 0.85
실시예 5 0.17 0.20 0.59 0.98
실시예 6 0.14 0.21 0.61 1.01
실시예 7 0.13 0.22 0.65 1.03
실시예 8 0.15 0.22 0.70 0.89
실시예 9 0.14 0.19 0.55 0.98
실시예 10 0.17 0.22 0.64 0.88
실시예 11 0.16 0.16 0.45 0.94
실시예 12 0.14 0.19 0.55 0.85
비교예 1 0.12 0.19 0.21 0.34
상기 표 2의 결과를 보면, 대조군이나 비교예 1을 처치한 군에 비하여 실시예 1~12를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가 길었다. 실시예 1~12를 처치한 군의 털의 길이는 비교예 1을 처치한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고, 처치 일수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여 제12째 되는 날의 경우 약 1.1 센티미터 정도되었다.
이는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나무 뿌리의 추출물에서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녹차포닌 R1 내지 R10)이 피부 스트레스 하에 형성된 모발 재생억제 조건하에서도 모발 재생을 촉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나무 뿌리의 추출물에서 분리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은 스트레스 하에서 탈모된 모발에 대한 재생 기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의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간세포 손상 억제 효과
ICR 마우스에 1%로 CMC에 현탁된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포닌 R1내지 R12를 1주일간(매일 오전 10시와 오후 5시)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투여하였다. 마지막 투여 2시간 후, 마우스를 틀에 고정시키고 상기 틀을 상온(20℃)의 물로 7cm 수심을 갖는 수침통에 넣었다. 이후 6시간 절식 상태로 방치하여 스트레스를 부과하였다. 마우스의 대동맥에서 약 2ml의 혈액을 채취하고 상온에서 약 2시간 동안 방치시킨 다음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인 혈청을 분리하여 자동혈액분석기(dimension)를 이용하여 혈액 생화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혈액의 분석항목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아스파테이트 트랜스아미나아제(GOT), 알라닌 트랜스아미나아제(GPT), 락테이트 탈수소효소(LDH), 콜레스테롤을 선정하여 간지표를 평가하였다.
GOT, GPT 및 LDH는 간에서 만들어지는 대사에 필요한 정상 효소이나, 스트레스나 알코올 등에 의해 간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면 이들이 혈액으로 유리되어 정상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혈액의 GOT, GPT 및 LDH를 측정하면 간 손상이 얼마나 발생되었는지 그리고 투여한 약물에 의하여 얼마나 간손상이 보호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콜레스테롤은 스트레스에 의해 속발성 고치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Jousilahti et al., 2002; TeschF1e et al., 1977, 2002; Jousilahti et al., 2002; Pintus & Mascia., 1996; Stranges et al., 2004; Wannamethee et al., 1995; Whitehead et al., 1996; Yamada et al., 2003).
본 실험에 양성 대조군으로 비타민C 투여군을 사용하였는데, 비타민C는 스트레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동물 실험에 의하면 스트레스를 많이 주었을 때 비타민의 소모가 급증하였다고 하는 결과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밝혀져 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지각 신경이 이를 포착하여 대뇌를 자극함으로서 전신의 비상체계를 강화하는 작용으로 아드레날린이나 노르아드레날린 등의 호르몬을 분비하고,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하여 부신피질자극 호르몬을 분비시키는데, 이때 부신은 큰 부담이 되어 비타민을 대량으로 소모하면서 스트레스에 대항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스트레스 관련 논문에서 비타민C를 주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며(Effects of an antioxidant vitamin mixture on lipid peroxidation at rest and postexercise. Physiol.174(2).965-9), 본 시험에서는 비타민 C를 CMC에 용해시켜 100mg/kg로 경구투여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3에 나타내었다.
처리물질 혈중 GOT 혈중 GPT 혈중 LDH 콜레스테롤
대조군(정상군) 51 25 408 62
CMC 210 85 1457 78
사포닌 GH5 101 44 705 59
R1 110 40 854 67
R2 125 48 756 70
R3 124 52 910 55
R4 137 60 862 60
R5 141 66 914 58
R6 112 55 780 62
R7 152 59 912 61
R8 154 64 845 59
R9 142 55 869 60
R10 130 69 978 67
녹차뿌리 추출물 124 60 1024 65
비타민 C 145 54 950 61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침 스트레스를 받은 군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대조군(Normal)에 비하여 혈중 GOT, GPT, LDH, 총콜레스테롤의 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스트레스에 의하여 간세포가 손상되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스트레스 부과군에 1%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포닌 R1내지 R12나 비타민 C를 투여할 경우, CMC 투여군(vehicle)에 비하여 혈중 GOT, GPT, LDH 및 총콜레스테롤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비타민 C 투여군보다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포닌 R1 내지 R12의 투여군이 대체적으로 효과가 더 좋았다.
[시험예 3]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의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 효과
스트레스의 발생은 활성산소의 분비를 유도하여 간세포나 다른 장기 내 세포들의 파괴를 초래하게 되며, 특별히 일부 활성산소를 DNA를 돌연변이 시켜 암세포화 하는 병리적 기능을 유도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 관련 생체내 방어 효소계의 활성에 관한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포닌 R1내지 R12의 조절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마우스에 스트레스를 부과할 때 증가하는 TAS(total antioxidant status), SOD(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효소), 말론디알데히드(Malondialdehyde(MDA): 체내의 산화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하나로 지질과산화 과정중 생성되는 이차지질과산화물의 일종)에 대한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포닌 R1 내지 R12 투여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상기 시험예 2의 시험 마우스의 간조직 내 TAS를 TAS 키트로, SOD(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효소)는 SOD 키트를 이용하여 EIA 판독기로 분석 하였다. 말론디알데히드(MDA) 측정은 BIOXTECH LPO-586 분석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 내지 6에 나타내었다. 이 때 정상군은 스트레스를 부과하지 않은 대조군이고 나머지 군들은 모두 스트레스를 부과하였으며, CMC는 약물을 현탁시키는데 사용한 비히클만을 사용한 군, 비타민C는 비타민C를 CMC에 용해시켜 100mg/F1g로 투여한 군이다. 또한,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포닌 R1 내지 R12은 CMC에 1%의 농도로 현탁시켜서 투여하였으며, 하기 표 4 내지 6에는 대표적으로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처리한 군을 표기하였다.
TAS(간의 단위 무게(g) 당 TAS mol 수)
TAS 1 2 3 4 평균
대조군(정상군) 15.62 14.42 15.33 14.98 15.08±0.52
CMC 9.32 10.12 9.84 10.03 9.82±0.36**
사포닌 GH5 16.27 16.49 17.00 16.85 16.83±0.34##
비타민 C 16.01 15.89 16.12 16.12 15.95±0.14##
**: 정상군과 비교하여 p<0.01, ##: 스트레스군과 비교하여 p<0.01
SOD 수준(간의 단위 무게(g) 당 SOD mol 수)
SOD 1 2 3 4 평균
대조군(정상군) 97.15 90.01 94.55 96.72 94.60±3.27
CMC 62.35 58.43 55.48 61.07 59.33±3.04**
사포닌 GH5 113.61 101.48 107.48 111.52 108.52±5.37##
비타민 C 105.43 103.05 99.89 98.69 101.7±3.06##
**: 정상군과 비교하여 p<0.01, ##: 스트레스군과 비교하여 p<0.01
MDA 수준(간의 단위 무게(g) 당 MDA mol 수)
MDA 1 2 3 4 평균
대조군(정상군) 4.86 4.98 5.03 4.87 4.93±0.08
CMC 8.98 9.1 9.03 8.91 9.00±0.08**
사포닌 GH5 5.96 6.07 5.87 5.36 5.81±0.31##
비타민 C 5.63 5.99 6.03 5.89 5.88±0.18##
**: 정상군과 비교하여 p<0.01, ##: 스트레스군과 비교하여 p<0.01
표 4 내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스군은 간 세포의 스트레스 관련 항산화효소계 및 이차과산화물의 일종인 MDA의 생성에 있어 정상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p<0.01),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투여한 군은 이를 정상군 범위로 회복시키거나 더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이 항스트레스 외에도 간조직내 항산화계의 활성유도를 동반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의 경우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를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경구 투여할 경우 스트레스에 대한 대항효과를 발휘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포닌 R1 내지 R12를 경구 투여할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 또는 녹차포닌 R1 내지 R12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항효과를 발휘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탈모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와 피부 도포를 병행할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뿌리 사포닌 함유 녹차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 사포닌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는 하기와 같이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 가능한 제품을 만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샴푸
하기 표 7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중량%)
녹차 사포닌 분획 5
라우릴산황산나트륨(3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30%) 30
폴리쿼터늄-10 0.5
디메티콘 2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향료 0.4
염화나트륨 적량
구연산 적량
To 100
[제형예 2] 연고제
하기 표 8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성분 함량(g)
녹차 사포닌 분획 1.0
덱스판테놀 1.5
스테아린산 1.0
유동파라핀 5.0
경납 4.0
세탄올 3.0
프로필렌글리콜 13.0
트리에탄올아민 1.5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025
안식향산프로필 0.015
폴리소르베이트 800.1
정제수 63.0

Claims (10)

  1. 사포닌을 함유하는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발모 촉진, 육모 촉진 및 양모 촉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사포닌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의 구조를 가지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1

    [화학식 2]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2

    [화학식 3]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3

    [화학식 4]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4

    [화학식 5]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5

    [화학식 6]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6

    [화학식 7]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7

    [화학식 8]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8

    [화학식 9]
    Figure 112018025726948-pat00019

    [화학식 10]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5~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약학 조성물.
  4. 사포닌을 함유하는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발모 촉진, 육모 촉진 및 양모 촉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사포닌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의 구조를 가지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1

    [화학식 2]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2

    [화학식 3]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3

    [화학식 4]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4

    [화학식 5]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5

    [화학식 6]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6

    [화학식 7]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7

    [화학식 8]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8

    [화학식 9]
    Figure 112018025726948-pat00029

    [화학식 10]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5~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사포닌을 함유하는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 뿌리 추출물 또는 녹차나무 뿌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발모 촉진, 육모 촉진 및 양모 촉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사포닌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10의 구조를 가지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1

    [화학식 2]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2

    [화학식 3]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3

    [화학식 4]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4

    [화학식 5]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5

    [화학식 6]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6

    [화학식 7]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7

    [화학식 8]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8

    [화학식 9]
    Figure 112018025726948-pat00039

    [화학식 10]
    Figure 112018025726948-pat0004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의 상태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삭제
KR1020120030644A 2012-03-26 2012-03-26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86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44A KR101886359B1 (ko) 2012-03-26 2012-03-26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644A KR101886359B1 (ko) 2012-03-26 2012-03-26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54A KR20130108854A (ko) 2013-10-07
KR101886359B1 true KR101886359B1 (ko) 2018-08-09

Family

ID=4963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644A KR101886359B1 (ko) 2012-03-26 2012-03-26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677B1 (ko) * 2014-09-04 2017-02-07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포닌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372441B1 (ko) 2018-12-28 2022-03-11 주식회사 큐제네틱스 한약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609B1 (ko) * 2005-05-27 2011-09-07 (주)아모레퍼시픽 녹차오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상태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sfandiari A 외 1명. The effects of tea polyphenolic compounds on hair loss among rodents. J Natl Med Assoc. 2005, Vol. 97, pp. 816-818.*
Robert L. Pastor 외 1명.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A NARRATIVE REVIEW. DIET AND NUTRITION. Vol. 2, No. 6, pp. 531-53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54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779B1 (ko) 더덕 추출물 또는 더덕 사포닌 분획을 포함하는 발모 또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EP3960154A1 (en) Functional composition containing immortalized stem cell-derived exosome-rich culture medium and rosebud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KR101445553B1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132246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KR101322926B1 (ko) 한련초 추출물, 이의 분획물, 터트티에닐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99277B1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1886359B1 (ko) 녹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5124188A (ja) 皮脂合成抑制剤
KR100979269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 피부외용조성물
WO2023022540A1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JP6267957B2 (ja) 皮脂合成抑制剤
KR101541470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27040B1 (ko) 리보플라빈 및 안젤리카잎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38332B1 (ko) 포시티아사이드-에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13803B1 (ko) 밤송이 유래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JP6249598B2 (ja) 皮膚外用剤
KR20150144688A (ko) 파시플로라 인카르나타(Passiflora incarnate)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102274305B1 (ko) 파시플로라 라우리폴리아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