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335B1 -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 Google Patents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335B1
KR101886335B1 KR1020170108140A KR20170108140A KR101886335B1 KR 101886335 B1 KR101886335 B1 KR 101886335B1 KR 1020170108140 A KR1020170108140 A KR 1020170108140A KR 20170108140 A KR20170108140 A KR 20170108140A KR 101886335 B1 KR101886335 B1 KR 10188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spoke
cushion
pillars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17010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05Protective gloves resistant to mechanical aggressions, e.g. cutting.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42/00Surgical gloves; Finger-stall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Devices for handling or treatment thereof
    • A61B42/10Surgical gl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구조와 스포크 필라 사이에 지시약을 배치하여 쿠션부를 제작함에 따라 의료용 장갑의 방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장갑으로서, 상기 내피면과 상기 외피면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면부와 제2면부; 상기 제1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및 상기 중공부에 채워진 지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Medical glove for preventing stabbing and perforation}
본 발명은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구조와 스포크 필라 사이에 지시약을 배치하여 쿠션부를 제작함에 따라 의료용 장갑의 방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장갑은 환자 진료와 수술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수술 시 의료진과 환자 사이에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하게 된다. 의료용 장갑은 의료진과 환자 사이에 병원균 전파를 방지하고 수술부위 감염 위험성을 낮추며, 궁극적으로 의료진과 환자의 안전에 기여하는 안전을 위한 유용한 장비이다.
그러나 종래의 의료용 장갑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의료용 장갑은 의사가 자주 사용하는 손가락과 손부위가 날카로운 의료기기에 의해 찢어지거나, 바늘 등에 의해 관통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용 장갑이 찢어지거나 관통되면, 의료진과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미세천공의 경우 수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게 되지만, 의료진은 작은 천공 크기로 인해 대부분 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의료진과 환자 모두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소 90분 마다 의료용 장갑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술과 같은 위급 상황에서 의료용 장갑을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료용 장갑을 두 겹을 착용하여 수술을 진행하기도 하지만, 이는 정밀한 작업을 요구하는 수술에서 의료진에게 불편함을 끼치며, 증가된 압박에 의해 의료진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수술 부위 감염에 의한 사망률은 전체 사망률의 3% 정도이며, 수술 부위 감염과 연관된 사망률은 75%에 이르고 있다. 또한, 주사침 등에 의해 의료진이 다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의료진과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보호성능을 제고하면서도, 정밀한 작업에 지장이 없는 의료용 장갑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구조와 스포크 필라 사이에 지시약을 배치하여 쿠션부를 제작함에 따라 의료용 장갑의 방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장갑으로서, 상기 내피면과 상기 외피면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제1면부; 상기 제1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면부와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2면부;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면부에서부터 상기 제2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에서부터 상기 제1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에 모두 부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및 상기 중공부에 채워진 지시약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 필라는 사선 형태로 연장되거나, S자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장갑으로서, 상기 내피면 또는 상기 외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제1면부; 상기 제1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면부와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2면부;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면부에서부터 상기 제2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에서부터 상기 제1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에 모두 부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및 상기 중공부에 채워진 지시약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 필라는 사선 형태로 연장되거나, S자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장갑으로서, 상기 내피면과 상기 외피면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면부와 제2면부; 상기 제1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및 상기 중공부에 채워진 지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장갑으로서, 상기 내피면 또는 상기 외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면부와 제2면부; 상기 제1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및 상기 중공부에 채워진 지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의, 상기 스포크 필라는, 상기 제1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여 사선 형태로 연장되거나 S자 형태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의 상기 지시약은, 인디고 카민 솔루션(Indigo carmine solution) 등 인체에 무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의 상기 스포크 필라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포크 필라는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의 상기 쿠션부는, 상기 의료용 장갑에서 찔림 및 관통이 빈번히 발생하는 사용자의 손끝 부분이 위치한 부분과, 상기 의료용 장갑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이 위치한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에 관한 것으로, 스포크 필라 구조와 스포크 필라 사이에 지시약을 배치하여 쿠션부를 제작함에 따라 의료용 장갑의 방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의료용 장갑 교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포크 필라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지시약을 통해 미세천공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포크 필라가 사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쿠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스포크 필라가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쿠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쿠션부에 주사기가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쿠션부에 주사기가 삽입되었을 때, 지시약이 배출되는 모습과, 스포크 필라가 쿠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쿠션부가 의료용 장갑에 삽입되었을 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쿠션부가 의료용 장갑에 적용되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구조와, 스포크 필라 사이에 지시약을 배치하여 쿠션부를 제작함에 따라 의료용 장갑의 방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은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111)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료용 장갑(110)으로서, 상기 내피면(111)과 상기 외피면(112) 사이에 쿠션부(12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피면(111)은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사용자가 손을 넣었을 경우 사용자의 손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며, 상기 외피면(112)은 상기 내피면(111) 외부에 마련된 것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부(120)는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1면부(121)와 제2면부(1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면부(121)와 상기 제2면부(122) 사이에 스포크 필라(130)가 마련되고, 상기 중공부에 지시약(140)이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상기 제1면부(121) 또는 상기 제2면부(1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상기 제2면부(122)에서부터 상기 제1면부(121)를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제1면부(121)에서부터 상기 제2면부(122)를 향하여 사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제2면부(122)에서부터 상기 제1면부(121)를 향하여 사선으로 상향 연장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1면부(121)와 상기 제2면부(122)에 모두 부착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상기 제1면부(121)와 상기 제2면부(122)에 모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부(121) 또는 상기 제2면부(12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를 향하여 S자 형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S자 형상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충격 흡수 효과가 향상되며, 주사기(150)의 관통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복수 개의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 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스프링과 같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주사기(150)가 상기 쿠션부(120) 내부로 들어왔을 때,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상기 주사기(150)가 누르는 힘과 반대 반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사선 형상 또는 S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외부의 충격과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를 통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복수 개의 사선 형상 또는 S자 형상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주사기(150)가 상기 쿠션부(120)를 관통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주사기(150)가 상기 쿠션부(120) 내부로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주사기(150)가 상기 쿠션부(120)를 관통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상기 스포크 필라(130)를 모두 통과해야 한다.
즉, 사선 형상 또는 S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상기 스포크 필라(130)에 의해 상기 주사기(150)가 관통되는 경로에 여러 겹의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상기 주사기(150) 관통에 방어막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 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주사기(150)는 상기 쿠션부(120)를 관통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상기 지시약(140)은 상기 제1면부(121)와 상기 제2면부(122)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된 중공부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기 중공부는 상기 스포크 필라(130) 사이의 빈 공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시약(140)은 복수 개로 사선 형상 또는 S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포크 필라(130) 사이의 빈 공간에 채워지는 것이다.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복수 개가 사선 형상 또는 S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스포크 필라(130) 사이에는 빈 공간인 상기 중공부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빈 공간에 상기 지시약(140)이 채워진다.
상기 지시약(140)은 미세천공(microperforation)이 발생한 경우 이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사용자의 신속한 인지를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시약(140)은 인디고 카민 솔루션(Indigo carmine solution)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디고 카민 솔루션은 염기성을 나타내는 지시약으로, 식용 색소로도 허가되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다.
다만, 상기 지시약(14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에 무해하며, 사용자가 인지를 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지시약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수술조건, 수술환경, 의료환경, 연구환경 등을 고려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각각의 환경에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지시약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주사기(150)에 의해 미세천공이 발생하면, 상기 지시약(140)은 상기 미세천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지시약(140)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지시약(140)을 통해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미세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쿠션부(120)는 상기 내피면(111)과 상기 외피면(112)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쿠션부(120)는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외피면(112) 아래와 손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113) 위에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상기 내피면(111)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120)는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서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의료용 장갑(110) 전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상기 쿠션부(120)가 상기 의료용 장갑(110)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쿠션부(120)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곳의 상기 내피면(111)과 상기 외피면(112)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5의 아랫부분은 상기 쿠션부(120)가 마련되지 않은 곳으로, 상기 내피면(111)과 상기 외피면(1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쿠션부(120)의 제1면부(121) 또는 상기 쿠션부(120)의 제2면부(122)는 상기 내피면(111) 또는 상기 외피면(11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피면(111) 또는 상기 외피면(112)에 의해 상기 지시약(140)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쿠션부(120)의 제1면부(121)와 상기 쿠션부(120)의 제2면부(122)는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며, 이때, 상기 제1면부(121) 또는 상기 제2면부(122)는 상기 내피면(111) 또는 상기 외피면(112)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의료용 장갑(110)의 재질은 니트릴 라텍스(NBL)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여기서, 니트릴 라텍스는 천연 고무 원료에 다른 화학원료를 혼합하여 제조한 천연 라텍스이다. 상기 쿠션부(120)의 제1면부(121) 또는 상기 쿠션부(120)의 제2면부(122)도 상기 의료용 장갑(110)과 동일한 재질인 니트릴 라텍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포크 필라(130)도 니트릴 라텍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의료용 장갑(110), 상기 쿠션부(120)의 제1면부(121) 및 상기 쿠션부(120)의 제2면부(122), 상기 스포크 필라(130)를 동일한 재질로 하여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료용 장갑(110) 내부에 상기 스포크 필라(130)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스포크 필라(130) 사이에 상기 지시약(140)을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료용 장갑(110)은 상술한 니트릴 라텍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적합한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쿠션부(120)가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배치되는 위치는,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서 찔림 및 관통이 빈번히 발생하는 사용자의 손끝 부분이 위치한 부분과,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이 위치한 부분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료용 장갑(1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주사침에 의해 피해를 입는 곳은 손끝 부분이며, 그 중 검지 손가락에 가장 많은 피해를 입는다. (통계결과, 엄지 손가락 12.3%, 검지 손가락 28.98%, 중지 손가락 9.42%, 약지 손가락 1.22%, 새끼 손가락 5.74%, 손바닥 9.28% 의 피해가 발생한다. 도 5는 피해가 발생하는 확률을 원으로 표시한 것으로, 원이 클수록 피해 발생 확률이 높다.)
이와 같이 상기 의료용 장갑(110)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피해를 입는 곳에 선택적으로 상기 쿠션부(12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피해가 발생하는 부분에 따라 상기 쿠션부(120)의 크기를 변경시켜서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상기 쿠션부(12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쿠션부(120)는 모듈화하여 선택적으로 탈, 부착이 가능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120)는 상기 의료용 장갑(110)의 상기 외피면(112) 또는 상기 내피면(111)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피면(112) 또는 상기 내피면(111)에 탈, 부착 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쿠션부(120)는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서 필요한 부분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쿠션부(120)의 제1면부(121)와 상기 쿠션부(120)의 제2면부(122)는 상술한 니트릴 라텍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지시약(140)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120)의 제1면부(121)와 상기 쿠션부(120)의 제2면부(122)에 탈, 부착 가능한 물질을 부착하여 상기 의료용 장갑(110)의 상기 외피면(112) 또는 상기 내피면(111)에 접하도록 배치하여, 상기 쿠션부(120)를 탈, 부착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쿠션부(120)를 탈, 부착하여 사용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지점에 직접 상기 쿠션부(12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쿠션부(120)만 반복적으로 생산하여 제작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쿠션부(120)를 상기 의료용 장갑(110)의 상기 내피면(111)과 상기 외피면(112) 사이에 끼워 넣는 것은 제작이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쿠션부(120)를 독립적으로 생산하여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탈, 부착하여 사용하면 제작이 간편해지며,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직접 상기 쿠션부(12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쿠션부(120)의 상기 스포크 필라(130) 구조는 사선 형상 또는 S자 형상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주사기(150)가 관통되는 경로에 여러 겹의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상기 주사기(150) 관통에 방어막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스포크 필라(13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 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주사기(150)는 상기 쿠션부(120)를 관통하기가 더욱 어려워지게 되며,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스포크 필라(130)는 스프링과 같이 충격 흡수 역할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의료행위 중에 발생 가능한 주사침 상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술 시 발생할 수 있는 날카로운 물질에 베이는 상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미세천공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미세천공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주사기(150)에 의해 미세천공이 발생하면, 복수 개의 상기 스포크 필라(130)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지시약(140)은 상기 미세천공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지시약(140)은 사용자가 시술 도중 천공이 발생하였을 때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지시약(140)을 통해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미세천공이 발생한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에서 상기 쿠션부(12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의료용 장갑(110) 사용에 있어서, 관통이나 주사침에 의한 베임 등이 많이 발생하는 곳에 선택적으로 상기 쿠션부(120)를 배치 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술한 상처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수술용 장갑과 달리 장갑 교체에 따른 의료 행위, 수술 지연 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장갑교체에 따른 의료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120)를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제작하면, 상기 쿠션부(120)의 제작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의료용 장갑(110)을 원하는 위치에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쿠션부(120)를 상기 의료용 장갑(110)의 상기 내피면(111)과 상기 외피면(112) 사이에 끼워 넣는 것은 제작이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쿠션부(120)를 독립적으로 생산하여 상기 의료용 장갑(110)에 탈, 부착하여 사용하면, 제작이 간편해지며,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직접 상기 쿠션부(12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장, 근본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스포크 필라(130) 구조를 통해 의료용 장갑의 방호력을 증가시켜 의료진과 환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선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는 상기 스포크 필라(130) 구조에 의해 정밀한 의료행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방호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발명의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은 수술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령, 본 발명의 의료용 장갑은 의료,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갑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각종 산업시설에서 정교한 작업을 시행하면서 관통이나 베임 등 상처 발생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한 보호용 장갑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의료용 장갑 111...내피면
112...외피면 113...손이 삽입되는 공간
120...쿠션부 121...제1면부
122...제2면부 130...스포크 필라
140...지시약 150...주사기

Claims (6)

  1.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장갑으로서,
    상기 내피면과 상기 외피면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제1면부; 상기 제1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면부와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2면부;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면부에서부터 상기 제2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에서부터 상기 제1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에 모두 부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및
    상기 중공부에 채워진 지시약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 필라는 사선 형태로 연장되거나, S자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2. 사용자의 손이 맞닿는 내피면과, 외부와 노출되는 외피면을 포함하는 의료용 장갑으로서,
    상기 내피면 또는 상기 외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제1면부; 상기 제1면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면부와 밀봉된 중공부를 형성하는 제2면부;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면부에서부터 상기 제2면부 또는 상기 제2면부에서부터 상기 제1면부를 향하여 연장되되, 상기 제1면부와 상기 제2면부에 모두 부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스포크 필라; 및
    상기 중공부에 채워진 지시약을 포함하며,
    상기 스포크 필라는 사선 형태로 연장되거나, S자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약은,
    인디고 카민 솔루션(Indigo carmine solution)인 것을 특징으로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 필라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포크 필라는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의료용 장갑에서 사용자의 손끝 부분이 위치한 부분과,
    상기 의료용 장갑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이 위치한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KR1020170108140A 2017-08-25 2017-08-25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KR10188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40A KR101886335B1 (ko) 2017-08-25 2017-08-25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8140A KR101886335B1 (ko) 2017-08-25 2017-08-25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6335B1 true KR101886335B1 (ko) 2018-08-09

Family

ID=6325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140A KR101886335B1 (ko) 2017-08-25 2017-08-25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3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5962B1 (en) * 1988-10-17 2001-01-23 Gary Karlin Michelson Surgical glove
US20030021903A1 (en) * 1987-07-17 2003-01-30 Shlenker Robin Reneethill Method of forming a membrane, especially a latex or polymer membrane, including multiple discrete layers
JP2008514467A (ja) * 2004-09-30 2008-05-08 アンセル・ヘルスケア・プロダクツ・エルエルシー ライナーにより接着支持されたポリマーシェルおよび製造方法
WO2017070728A1 (en) * 2015-10-30 2017-05-04 Ansell Limited Leak resistant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1903A1 (en) * 1987-07-17 2003-01-30 Shlenker Robin Reneethill Method of forming a membrane, especially a latex or polymer membrane, including multiple discrete layers
US6175962B1 (en) * 1988-10-17 2001-01-23 Gary Karlin Michelson Surgical glove
JP2008514467A (ja) * 2004-09-30 2008-05-08 アンセル・ヘルスケア・プロダクツ・エルエルシー ライナーにより接着支持されたポリマーシェルおよび製造方法
WO2017070728A1 (en) * 2015-10-30 2017-05-04 Ansell Limited Leak resistant art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482A (en) Glove for inhibiting the spread of contagious disease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317759A (en) Surgical glove
US8887314B2 (en) Needle stick prevention device
US5187815A (en) Needlestick protective glove
US6272687B1 (en) Puncture proof surgical gloves
US9216254B2 (en) Medical tape
CN205759059U (zh) 安全型静脉港无损伤针穿刺固定器
KR101886335B1 (ko) 찔림 및 관통 방지를 위한 의료용 장갑
US20200085523A1 (en) Padded Medical Procedure Finger Cot
US9615976B2 (en) Shape and pressure adjustable dressing for puncture wounds
WO1997005794A1 (en) Protective glove
CN211583486U (zh) 防锐器伤一次性无菌外科手套
CN205215244U (zh) 一种采血固定装置
CN106620951A (zh) 婴幼儿留置针固定装置
CN207870983U (zh) 一次性使用灭菌橡胶外科手套
CN203873766U (zh) 一种防刺伤采血针
JP2021518233A (ja) 疼痛管理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216135226U (zh) 一种针灸保护装置
Bierer Universal precautions: necessary safety procedures when handling human blood, body fluids, and specimens
CN210871620U (zh) 一种带有伸缩针套的采血针
Wilson No-needle anesthetic for no-scalpel vasectomy
US20230329376A1 (en) Medical hand guard
CN209825308U (zh) 一种手术或实验用防针刺手套
CN215128907U (zh) 一种便于临床操作用手套
CN211483094U (zh) 一种可拆卸式防刺医用指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