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983B1 -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 Google Patents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983B1
KR101885983B1 KR1020170009528A KR20170009528A KR101885983B1 KR 101885983 B1 KR101885983 B1 KR 101885983B1 KR 1020170009528 A KR1020170009528 A KR 1020170009528A KR 20170009528 A KR20170009528 A KR 20170009528A KR 101885983 B1 KR101885983 B1 KR 101885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ole
water
porous body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5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5892A (en
Inventor
이필선
Original Assignee
이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필선 filed Critical 이필선
Priority to KR1020170009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983B1/en
Publication of KR20180085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8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제거가 용이한 벤트 구조물을 제시한다. 그 구조물은 방수층으로 덮인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고 증발시키는 벤트 구조물로서, 벤트 구조물은 콘크리트층에 삽입되고 수분을 수용하는 벤트 홀을 포함하는 벤트 몸체 및 벤트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콘크리트 바닥을 덮는 벤트 날개를 포함하고, 벤트 몸체의 둘레에는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복수개의 유입홀을 포함한다.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is proposed to remove moisture from the concrete floor that lowers the water content of the concrete floor and to make the vent structure easy to remove moisture. The vent structure is inserted into a concrete floor including a concrete layer covered with a waterproof layer to receive and evaporate moisture introduced from the concrete layer. The vent structure includes a bent body inserted into the concrete layer and including a vent hole for receiving moisture And a vent blade extending outside the vent body and covering the concrete floor, and a plurality of inflow holes perfora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vent body around the vent body.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 structure for removing water from a concrete floor,

본 발명은 벤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지하, 옥상 등의 콘크리트 바닥에서 방출되는 물, 수증기와 같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such as water and water vapor discharged from a concrete floor such as a building underground, a roof,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지하, 옥상 등의 콘크리트 바닥은 주차장, 창고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콘크리트 바닥은 물과 같은 수분으로 철판이나 철근이 부식되거나 누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수층으로 처리된다. 이때, 콘크리트 바닥의 방수는 물의 유동특성, 방수재료의 특성, 콘크리트 상태, 외부환경요건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바닥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은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방수처리 후의 온도변화나 충격 등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바닥과 방수층 사이에 에어 포켓(air pocket)이 생기거나 방수층에 핀홀(pin hole)이 생기고, 방수층이 찢기거나 파단이 야기될 수 있다. 바닥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의 손상 및 누수가 더욱 증가하기 때문에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Generally, concrete floors such as underground and roof are widely used as parking lots and warehouses. Concrete floors are treated with a waterproof layer to prevent corrosion or leakage of iron or steel with water-like moisture. At this time, the waterproofing of the concrete floor should be proper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flow characteristics of wa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proofing material, the concrete condition,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requirements, and if the water content of the bottom is high, the waterproof layer is difficult to perform properly. Further, due to shrinkage and expansion caused by a temperature change, impact, etc. after the waterproof treatment, air pockets are formed between the floor and the waterproof layer, pinholes are formed in the waterproof layer, and the waterproof layer is torn or broken hav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water content of the floor because the water content of the bottom increases the damage and leakage of the waterproof layer.

국내등록특허 제10-0800927호는 내부에 배출통기수단에 다수개의 연결통기수단을 연결시키고, 배출통기수단의 상면에 발수층을 도포하는 통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방법은 차량의 출입이 잦은 주차장과 같은 장소에는 설치하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 및 유지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국내공개특허 제2009-0022359호는 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 탈기장치를 개시하고 있지만, 상기 장치는 앞의 특허에서 도출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1-0037764호는 모세관 탈기구를 활용하여 수분 등을 방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모세관 탈기구는 직경이 작아, 외부의 이물질등에 의해 막혀, 수분 등의 방출이 어려울 수 있다. Korean Patent No. 10-0800927 discloses a ventilation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on ventilation means ar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means inside and a water-repellent layer is applied to the upper face of the ventilation means. However, the above method is difficult to install in a place such as a parking lot where frequent entrance and exit of the vehicle is made,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high.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22359 discloses a degassing apparatus for releasing moisture to the outside, but the apparatus can not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above pat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water content of the concrete floor by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37764 discloses a method of releasing moisture by utilizing a capillary degassing mechanism. However, since the capillary removal mechanism is small in diameter, it may be clogged by foreign substances or the like, and it may be difficult to release moisture and the lik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제거가 용이한 벤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t structure that removes moisture from the bottom of a concrete, which lower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by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and is easy to remove moistur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은 방수층으로 덮인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고 증발시키는 벤트 구조물로서, 상기 벤트 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층에 삽입되고 상기 수분을 수용하는 벤트 홀을 포함하는 벤트 몸체 및 상기 벤트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을 덮는 벤트 날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벤트 몸체의 둘레에는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을 포함한다. A vent structure for removing water from a concrete floor is a vent structure inserted into a concrete floor including a concrete layer covered with a waterproof layer to receive and evaporate water introduced from the concrete layer, The vent structure includes a vent body inserted into the concrete layer and including a vent hole for receiving the moisture, and a vent blade extending outside the vent body and covering the concrete bottom. At this time, at least one inlet hole penetrating the vent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vent body is formed around the vent body.

본 발명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다. 상기 벤트 홀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룬다. 상기 벤트 홀의 단면은 원형, 각형 또는 그들이 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ho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vent body. And the inclined surface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of the vent hole. The cross-section of the vent hole may be circular, angular or any combination thereof.

바람직한 본 발명의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에는 기둥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벤트 홀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있는 실린더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공체는 상기 중공에 그루브가 형성된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의 조합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공체 및 상기 벤트 몸체는 상기 벤트 홀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과 함께 흡수용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벤트 몸체의 외연에는 다공체가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lumnar porous body may be inserted into the vent hole. The vent hole may have a cylindrical porous body through which the hollow penetrates. The porous body may be in the form of a cylinder in which a groove is formed in the hollow. The grooves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combination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line, or a circular or polygonal closed shape. The porous body and the vent body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vent hole, thereby achieving an absorption space. A porous body may be coupled to the outer edge of the vent body.

본 발명의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에 의하면, 벤트 구조물에 복수개의 유입홀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고,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다. According to the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bottom of the concret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in the vent structure, the water content of the bottom of the concrete can be lowered and the w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by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8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fth modified example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xth modified example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venth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igh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벤트 구조물은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벤트 구조물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변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erms pointing to positions, such as top, bottom, front, etc., are only relevant to those shown in the figures. Indeed, the vent structure may be used in any optional orientation, and the spatial orientation of the vent structure varies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of the vent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벤트 구조물에 유입홀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방법으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고, 수분의 배출이 용이한 벤트 구조물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벤트 구조물의 구조를 상세하게 알아보고, 벤트 구조물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추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질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은 콘크리트층에 방수층이 덮인 형태가 대부분이므로, 여기서 콘크리트 바닥의 함수율을 낮춘다는 것은 콘크리트층의 함수율을 낮춘다는 것과 같다고 할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ent structure that can lower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crete bottom and facilitate the discharge of water by providing an inlet hole in the vent structure by a simple structure and method.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e of the vent structure is described in detail, and the process of lowe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concrete bottom by the vent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practice, the concrete floor is mostly covered with a waterproof layer, so lowe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concrete floor is equivalent to lowe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concrete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현하였다.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vent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part of FIG. 2 is enlarged and represent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벤트 구조물(20)은 콘크리트 바닥(10)에 형성된 홈에 설치된다. 벤트 구조물(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간격은 벤트 구조물(20)이 적용되는 콘크리트 바닥(10)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콘크리트 바닥(10)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층(11) 및 방수층(12)을 포함한다. 방수층(12)은 도막방수, 시트방수 및 이들이 복합된 방수공법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도막방수는 건식법 및 습식법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습식법이 부각되고 있으며, 습식법은 주로 수용성 에폭시, 수용성 우레탄, 고무계 에멀젼, 시멘트 액체방수, 몰탈방수와 같은 도막방수 등이 있다. 콘크리트층(11)은 자체의 함수율을 가지며, 콘크리트층(11)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12)은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예컨대 방수처리 후의 온도변화나 충격 등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하여, 콘크리트층(11)과 방수층(12) 사이에 에어 포켓(air pocket)이 생기거나 방수층(12)에 핀홀(pin hole)이 생기고, 방수층(12)이 찢기거나 파단이 야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vent structure 20 is installed in a groove formed in the concrete floor 10. The vent structures 20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pacing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concrete floor 10 to which the vent structure 20 is applied. The concrete floor 10 generally comprises a concrete layer 11 and a waterproof layer 12. The waterproof layer 12 may be a waterproof coating, a waterproof sheet, and a waterproofing method in which the waterproof layer 12 and the waterproof layer 12 are combined. The waterproof layer 12 is divided into a dry method and a wet method. In recent years, the wet method has been emphasized, and the wet method mainly includes water-soluble epoxy, water-soluble urethane, rubber emulsion, cement liquid waterproofing, and film waterproofing such as mortar waterproofing. The concrete layer 11 has its own moisture content, and if the water content of the concrete layer 11 is high, the waterproof layer 12 hardly exhibits its performance. An air pocket is formed between the concrete layer 11 and the waterproof layer 12 or a pin hole is formed in the waterproof layer 12 due to shrinkage and expansion caused by a temperature change, The waterproof layer 12 may be torn or broken.

한편, 콘크리트층(11)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층(12)의 손상이 더욱 증가한다. 콘크리트층(11)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 또는 수증기 형태로 수분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이 많으면 함수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방수층(12)의 손상이 일어나면, 콘크리트층(11)에 포함된 수분은 방수층(12)을 통하여,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수분이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에 방출되면, 콘크리트 바닥(10)이 미끄러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지고 각종 미생물이 번식하는 등과 같은 문제들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20)은 콘크리트층(11)의 함수율을 낮추어, 콘크리트 바닥(10)으로 수분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crete layer 11 is high, the damage of the waterproof layer 12 further increases. The concrete layer 11 contains water in the form of water or steam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water content is high, the water content is high. When the waterproof layer 12 is damaged, moisture contained in the concrete layer 1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floor 10 through the waterproof layer 12. When the moisture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floor 10, the concrete floor 10 is slippery, thus increas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causing various microbes to breed. The vent structure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wers the water content of the concrete layer 11 and blocks moisture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concrete floor 10. [

벤트 구조물(20)은 벤트 몸체(21) 및 벤트 날개(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23)이 제공된다. 여기서, 증발용 수분(W)은 벤트 구조물(20)에 모이는 수분으로 여타의 다른 수분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벤트 날개(22)는 벤트 몸체(21)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콘크리트 바닥(10)을 덮는다. 벤트 날개(22)는 벤트 구조물(20)이 콘크리트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벤트 구조물(20)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벤트 날개(22)의 외연은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하여, 걸림턱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이 생기면, 차량, 사람의 이동에 방해가 되고, 낙상과 같은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The vent structure 20 includes a vent body 21 and a vent blade 22 and is provided therein with a vent hole 23 in which water for evaporation W is located. Here, the water for evaporation (W) is for collecting moisture in the vent structure (20) and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moisture. The vent blade (22) extends outside the vent body (21) and covers the concrete floor (10). The vent blade 22 secures the vent structure 20 to the concrete stably and prevents the vent structure 20 from being damaged from external impact. The outer edge of the vent blade (22) is made thinner in thickness so as not to create a catching jaw. If the latching jaw is formed, it may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a vehicle or a person, and may cause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all.

벤트 홀(23)의 단면은 원형, 각형 또는 그들이 조합된 것으로, 도면에서는 원형의 벤트 홀(23)을 사례로 들었다. 벤트 홀(23)의 직경(D)은 증발용 수분(W)이 증발하는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정도이다. 만일, 벤트 홀(23)의 직경(D)이 지나치게 작으면, 증발용 수분(W)은 제대로 증발되지 않고, 콘크리트 바닥(10)으로 넘쳐흐르게 된다. 벤트 홀(23)의 직경(D)이 지나치게 크면, 증발용 수분(W)의 부피가 너무 커져 증발속도가 감소한다.The cross-section of the vent hole 23 is circular, squar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 circular vent hole 23 is exemplified in the drawing. The diameter D of the vent hole 23 is a degree enough to secure a time for evaporating the water W for evaporation. If the diameter D of the vent hole 23 is too small, the water for evaporation W does not evaporate properly but overflows to the concrete floor 10. [ If the diameter D of the vent hole 23 is too large, the volum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becomes too large and the evaporation rate decreases.

벤트 몸체(21)에는 두께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25)을 가진다. 여기서, 두께방향이란 벤트 홀(23)로부터 콘크리트층(11) 방향을 말하는 것이며, 유입홀(25)은 벤트 몸체(21)의 둘레를 따라서 존재한다. 유입홀(25)은 두께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관통하거나 일정한 경사를 이루도록 관통될 수 있다. 유입홀(25)에서, 콘크리트층(11)과 접하는 부분은 확장되어서, 콘크리트층(11)으로부터 수분이 유입되는 양을 늘릴 수 있다. 유입홀(25)의 개수 및 배치는 본 발명의 벤트 몸체(21)의 내구성 및 수분의 유입 효율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유입홀(25)의 개수, 위치, 형태는 본 발명의 번트 구조물(20)의 크기, 주변 환경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vent body (21) has at least one inlet hole (25) in the thickness direction. Here, the thickness direction refers to the direction of the concrete layer 11 from the vent hole 23, and the inlet hole 25 exists along the periphery of the vent body 21. The inlet hole 25 may penetrate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or throug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the inflow hole 25,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layer 11 is expanded, so that the amount of water to be introduced from the concrete layer 11 can be increased.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inflow holes 25 can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durability of the vent body 2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flow efficiency of water. The number, position, and shape of the inlet holes 25 can be appropriate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bunt structur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like.

벤트 구조물(20)은 수분에 대한 부식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충격의 흡수가 잘 일어나는 고분자 재질, 예컨대 폴리비닐클로라이드가 적용될 수 있고, 차량 등의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금속,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이 채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벤트 구조물(20)과 콘크리트층(11) 사이에는 벤트 구조물(20)이 안정되게 삽입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을 마련할 수 있다.The vent structure 2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resistant to corrosion against moisture. A polymer material such as polyvinyl chloride to which shock absorption can be applied well can be applied, and a metal such as a stainless steel which can withstand the impact of a vehicle or the like can be employe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means for stably inserting the vent structure 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vent structure 20 and the concrete layer 1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1 변형예는 벤트 홀(23)에 제1 다공체(30)를 삽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벤트 구조물(2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before incorpora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fter incorporation. Here, the first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e vent structure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except that the first porous body 30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23.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벤트 홀(23)에 기둥 형태의 제1 다공체(30)를 삽입한 것이다. 제1 다공체(30)의 형상은 벤트 홀(2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2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1 다공체(30)는 원통형의 기둥이다. 제1 다공체(30)는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로써, 폴리올레핀과 같은 고분자 또는 규산질 다공체와 같은 세라믹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이 층을 이루는 복합층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공지된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균제 등의 기능성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제1 다공체(30)는 벤트 홀(23)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층(11)을 향하는 제1 저면(30a) 및 벤트 홀(23)에 삽입된 상태로 보아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 상면(30b)을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3,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rous body 30 inserted into a vent hole 23 of a vent structure 20. The shape of the first porous member 3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vent hole 23. If the vent hole 2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the first porous member 30 is a cylindrical column. The first porous body 30 is a porous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fine through holes, and may be a ceramic such as a polymer such as polyolefin or a porous ceramic such as a silicate porous body, or a mixture thereof or a composite layer thereof. Any of the known porous materials may be used, and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an antibacterial agent may be mixed according to need. The first porous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23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bottom 10 in a state where the first porous member 30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ttom surface 30a and the vent hole 23 facing the concrete layer 11 And constitutes a first upper surface 30b.

본 발명의 제1 변형예는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을 활용함으로써, 증발용 수분(W)의 흡수를 빠르게 하고, 증발용 수분(W)의 크기를 미세하게 하여,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를 높인다. 이렇게 되면, 콘크리트층(11)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유입홀(25)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벤트 홀(23)에 침적되지 않고, 제1 다공체(30)에 바로 흡수되어 외부로 증발되므로, 콘크리트층(11)의 수분 제거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orous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fine through holes to accelerate the absorption of the water for evaporation W and make the water W for evaporation finer, (W) evaporation rate is increased. This can increase the rate at which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crete layer 11 is removed. Particularly, the moisture introduced from the inlet hole 25 is not immersed in the vent hole 23 but absorbed directly to the first porous body 30 and evapora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moisture removal of the concrete layer 11 becomes more active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2 변형예는 제2 다공체(32)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1 변형예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before incorpora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fter incorporation. Here, the second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e first modification except for the shape of the second porous body 32.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2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벤트 홀(23)에 실린더형태의 제2 다공체(32)를 삽입한 것이다. 제2 다공체(32)의 형상은 벤트 홀(2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2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2 다공체(32)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2 다공체(32)는 중공인 제1 실린더 홀(33)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다공체(30)와 마찬가지로 제2 저면(32a) 및 제2 상면(32b)이 존재한다. 4,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cylinder-shaped second porous body 32 is inserted into a vent hole 23 of a vent structure 20. The shape of the second porous body 32 matches the shape of the vent hole 23. If the vent hole 2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second porous member 32 is a cylindrical cylinder. The second porous member 32 has a second bottom surface 32a and a second top surface 32b similar to the first porous member 30 except that the first porous member 30 has a hollow first cylinder hole 33.

제1 실린더 홀(33)은 제2 다공체(32)의 내부를 관통하며, 제2 다공체(32)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제1 실린더 홀(33)은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1 실린더 홀(33)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제1 실린더 홀(33)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1 실린더 홀(33)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2 다공체(32)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이와 같이, 제2 다공체(32)는 제1 다공체(30)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cylinder hole 33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econd porous body 32 and functions to widen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porous body 32. The first cylinder hole (33) receiv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evaporation (W). In other words, the first cylinder hole 33 increases the capacity of accommodating the water W for evaporation. Since the water for evaporation W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cylinder hole 33, the area absorbed by the water W for evaporation is increased and the speed at which it is absorbed is increased. Further, the surface area of the first cylinder hole 33 is increased, and the evaporation speed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which is absorbed by the second porous body 32, increases. Thus, the second porous body 32 serves to increase the absorption rate a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as compared with the first porous body 30.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3 변형예는 제3 다공체(34)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2 변형예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의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before incorpora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fter incorporation. Here, the third modified example is the same as the second modified example except for the shape of the third porous article 34.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3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벤트 홀(23)에 실린더형태의 제3 다공체(34)를 삽입한 것이다. 다만, 제3 다공체(34)는 그루브(groove, 35a)를 구비한 점이 제2 다공체(32)와 차이가 있다. 제3 다공체(34)의 형상은 벤트 홀(2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2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3 다공체(34)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3 다공체(34)는 제2 실린더 홀(35)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2 다공체(32)와 마찬가지로 제3 저면(34a) 및 제3 상면(34b)이 존재한다. 5,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se in which a cylinder-shaped third porous body 34 is inserted into a vent hole 23 of a vent structure 20. However, the third porous member 34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porous member 32 in that it has a groove 35a. The shape of the third porous body 34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vent hole 23. If the vent hole 2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third porous body 34 is a cylindrical cylinder. The third porous member 34 has a third bottom surface 34a and a third top surface 34b similar to the second porous member 32 except that the second porous member 32 has the second cylinder hole 35. [

제2 실린더 홀(35)은 제3 다공체(34)의 내부를 관통하며, 그루브(35a)가 있어서 제3 다공체(34)의 표면적이 제2 다공체(32)에 비해 넓어진다. 제2 실린더 홀(35)은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2 실린더 홀(35)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제2 실린더 홀(35)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2 실린더 홀(35)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3 다공체(34)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The second cylinder hole 35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third porous body 34 and has a groove 35a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third porous body 34 is wider than that of the second porous body 32. [ The second cylinder hole 35 receiv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evaporation (W). In other words, the second cylinder hole 35 increases the capacity of accommodating the water W for evaporation. Since the water for evaporation W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ylinder hole 35, the area absorbed by the water W for evaporation is increased and the speed at which it is absorbed is increased. Further, the surface area of the second cylinder hole 35 is increased, a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which is absorbed by the third porous body 34, increases.

한편, 제3 다공체(34)는 그루브(35a)의 존재로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하는 증발용 수분(W)이 증발하는 표면적이 제2 다공체(32)에 비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표면적이 늘어나면, 제3 다공체(34)는 제2 다공체(32)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가 높아진다. 그루브(35a)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것 또는 원형 및 다각형과 같이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 또는 곡선은 그루브(35a)가 제3 저면(34a)으로부터 제3 상면(34b)까지 연장된 것이다. 그루브(35a)의 폭 및 깊이는 제3 다공체(34)의 크기, 두께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정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ce of the groove 35a, the surface area of the third porous body 34 in which the evaporative water W containing the water for evaporation W evaporates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second porous body 32. [ When the surface area is increased as described above, the absorption rate a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become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porous body 32 in the third porous body 34. [ The groove 35a can have various shapes.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a combination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line, or a closed shape such as a circle and a polygon. Here, the straight line or the curve indicates that the groove 35a extends from the third bottom surface 34a to the third top surface 34b. The width and depth of the groove 35a are determined in advance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third porous article 34.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4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4 변형예는 벤트 홀(23)에 제4 다공체(50)를 삽입하는 것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벤트 구조물(40)은 벤트 몸체(41) 및 벤트 날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43)이 제공된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before incorpora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fter incorporation. Here, in the fourth modified example, the insertion of the fourth porous article 50 into the vent hole 23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The vent structure 40 includes a vent body 41 and a vent blade 42 and a vent hole 43 in which water for evaporation W is located is provided therein.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4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40)의 벤트 홀(43)에 기둥 형태의 제4 다공체(50)를 삽입한 것이다. 제4 다공체(50)는 도 3의 제1 다공체(30)과 동일하다. 즉, 제4 다공체(50)는 벤트 홀(43)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층(11)을 향하는 제4 저면(50a) 및 벤트 홀(43)에 삽입된 상태로 보아 콘크리트 바닥(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4 상면(50b)을 구성한다. 한편, 제4 다공체(50)을 벤트 홀(43)에 삽입하면, 제4 저면(50a) 근처에는 경사면(44)에 의해 흡수용 공간(b)을 형성한다. 흡수용 공간(b)에서 증발용 수분(W)이 충진된다. 증발용 수분(W)은 제4 저면(50a) 및 흡수용 공간(b)으로부터 제4 다공체(50)로 흡수되어, 제4 상면(50b)을 통하여 외부로 증발한다. 흡수용 공간(b)은 증발용 수분(W)이 제4 다공체(50)로 흡수되는 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6, a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columnar fourth porous body 50 is inserted into a vent hole 43 of a vent structure 40. The fourth porous body 50 is the same as the first porous body 30 in Fig. That is, the fourth porous body 50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43 and inserted into the fourth bottom surface 50a and the vent hole 43 facing the concrete layer 11, And constitute the exposed fourth upper surface 50b. On the other hand, when the fourth porous article 50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43, the absorption space b is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44 near the fourth bottom surface 50a. And water (W) for evaporation is filled in the absorption space (b). The water W for evaporation is absorbed into the fourth porous body 50 from the fourth bottom face 50a and the absorption space b and evapora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ourth upper face 50b. The absorption space (b) serves to increase the extent to which the water for evaporation (W) is absorbed by the fourth porous body (50).

본 발명의 제4 변형예는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을 활용함으로써, 증발용 수분(W)의 흡수를 빠르게 하고, 증발용 수분(W)의 크기를 미세하게 하여,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를 높인다. 이렇게 되면, 콘크리트층(11)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흡수용 공간(b)을 둠으로써, 증발용 수분(W)이 제4 다공체(50)에 접하는 면적을 늘려서,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유입홀(45)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은 벤트 홀(43)에 침적되지 않고, 제4 다공체(50)에 바로 흡수되어 외부로 증발되므로, 콘크리트층(11)의 수분 제거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The four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orous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fine through-holes to accelerate the absorption of the water for evaporation (W), finely size the water for evaporation (W) (W) evaporation rate is increased. This can increase the rate at which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crete layer 11 is removed.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absorption space (b),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fourth porous body (50) for evaporation water (W) can be increased to improve the absorption rate of the water for evaporation (W). Particularly, the moisture introduced from the inflow hole 45 is not immersed in the vent hole 43 but absorbed directly to the fourth porous body 50 and evaporat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moisture removal of the concrete layer 11 becomes more active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5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5 변형예는 벤트 홀(43)에 제5 다공체(52)를 삽입하는 것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벤트 구조물(40)은 벤트 몸체(41) 및 벤트 날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43)이 제공된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fth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before incorpora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fter incorporation. Here, in the fifth modification, the insertion of the fifth porous article 52 into the vent hole 43 i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The vent structure 40 includes a vent body 41 and a vent blade 42 and a vent hole 43 in which water for evaporation W is located is provided therein.

도 7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5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40)의 벤트 홀(43)에 실린더형태의 제5 다공체(52)를 삽입한 것이다. 제5 다공체(52)의 형상은 벤트 홀(4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4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5 다공체(52)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5 다공체(52)는 중공인 제3 실린더 홀(53)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다공체(30)와 마찬가지로 제5 저면(52a) 및 제5 상면(52b)이 존재한다. 이때, 제5 다공체(52)와 벤트 홀(43) 사이의 흡수용 공간(b)은 제4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7, the fifth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a fifth porous article 52 in the form of a cylinder into the vent hole 43 of the vent structure 40. As shown in FIG. The shape of the fifth porous body 52 matches the shape of the vent hole 43. If the vent hole 4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fifth porous article 52 is a cylindrical cylinder. The fifth porous member 52 has a fifth bottom surface 52a and a fifth top surface 52b similar to the first porous member 30 except that the fifth porous member 52 has a hollow third cylinder hole 53. At this time, the absorption space b between the fifth porous body 52 and the vent hole 43 is as described in the fourth modification.

제3 실린더 홀(53)은 제5 다공체(52)의 내부를 관통하며, 제5 다공체(52)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한다. 제3 실린더 홀(53)은 흡수용 공간(b)와 더불어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3 실린더 홀(53)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흡수용 공간(b) 및 제3 실린더 홀(53)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3 실린더 홀(53)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5 다공체(52)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이와 같이, 제5 다공체(52)는 제1 다공체(30)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The third cylinder hole 53 penetrates the interior of the fifth porous body 52 and serves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of the fifth porous body 52. The third cylinder hole 53 accommodate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for evaporation (W) together with the absorption space (b). In other words, the third cylinder hole 53 increases the capacity of accommodating the water W for evaporation. Since the water for evaporation W is accommodated in the absorption space b and the third cylinder hole 53, the area in which the water W for evaporation is absorbed increases and the speed at which it is absorbed is increased. Further, the surface area of the third cylinder hole 53 is increased, a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which is absorbed by the fifth porous body 52, increases. Thus, the fifth porous body 52 serves to increase the absorption rate a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as compared with the first porous body 3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6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합체 전에는 분해사시도, 합체 후에는 단면도로 표현하였다. 여기서, 제6 변형예는 벤트 홀(43)에 제6 다공체(54)를 삽입하는 것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벤트 구조물(40)은 벤트 몸체(41) 및 벤트 날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에는 증발용 수분(W)이 위치하는 벤트 홀(43)이 제공된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xth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before incorporation, and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after incorporation. Here, in the sixth modification, the sixth porous article 54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43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ccordingly, a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ortions will be omitted. The vent structure 40 includes a vent body 41 and a vent blade 42 and a vent hole 43 in which water for evaporation W is located is provided therein.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6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40)의 벤트 홀(43)에 실린더형태의 제6 다공체(54)를 삽입한 것이다. 다만, 제6 다공체(54)는 그루브(groove, 55a)를 구비한 점이 제5 다공체(52)와 차이가 있다. 제6 다공체(54)의 형상은 벤트 홀(43)의 형상에 부합한다. 만일, 벤트 홀(43)의 형상의 단면이 원형이며, 제6 다공체(54)는 원통형의 실린더이다. 제6 다공체(54)는 제4 실린더 홀(55)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5 다공체(52)와 마찬가지로 제6 저면(54a) 및 제6 상면(54b)이 존재한다. 이때, 제6 다공체(54)와 벤트 홀(43) 사이의 흡수용 공간(b)은 제4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8, a sixth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xth porous article 54 in the form of a cylinder inserted into a vent hole 43 of a vent structure 4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sixth porous article 54 differs from the fifth porous article 52 in that it has a groove 55a. The shape of the sixth porous article 54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vent hole 43. If the vent hole 4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sixth porous member 54 is a cylindrical cylinder. The sixth porous member 54 has a sixth bottom surface 54a and a sixth top surface 54b similar to the fifth porous member 52, except that the fourth porous member 54 has a fourth cylinder hole 55. At this time, the absorption space b between the sixth porous body 54 and the vent hole 43 is as described in the fourth modification.

제4 실린더 홀(55)은 제6 다공체(54)의 내부를 관통하며, 그루브(55a)가 있어서 제6 다공체(54)의 표면적이 제5 다공체(52)에 비해 넓어진다. 제4 실린더 홀(55)은 흡수용 공간(b)와 더불어 일정량의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한다. 다시 말해, 제4 실린더 홀(55)은 증발용 수분(W)의 수용하는 능력을 증대시킨다. 증발용 수분(W)는 흡수용 공간(b) 및 제4 실린더 홀(55)에 수용되므로, 증발용 수분(W)이 흡수되는 면적이 커져서 흡수되는 속도가 늘어난다. 또한, 제4 실린더 홀(55)의 표면적이 커져서, 제6 다공체(54)에 흡수된 증발용 수분(W)의 증발속도가 증대한다. The fourth cylinder hole 55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sixth porous article 54 and has a groove 55a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sixth porous article 54 is wider than that of the fifth porous article 52. [ The fourth cylinder hole 55 accommodates a certain amount of water for evaporation (W) together with the absorption space (b). In other words, the fourth cylinder hole 55 increases the capacity of accommodating the water W for evaporation. Since the water for evaporation W is accommodated in the absorption space b and the fourth cylinder hole 55, the area absorbed by the water W for evaporation is increased and the speed of absorption is increased. Further, the surface area of the fourth cylinder hole 55 is increased, and the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which is absorbed by the sixth porous body 54, increases.

한편, 제6 다공체(54)는 그루브(55a)의 존재로 증발용 수분(W)을 수용하는 공간 및 증발용 수분(W)이 증발하는 표면적이 제5 다공체(52)에 비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 및 표면적이 늘어나면, 제6 다공체(54)는 제5 다공체(52)에 비해, 증발용 수분(W)의 흡수속도 및 증발속도가 높아진다. 그루브(55a)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이 조합된 것 또는 원형 및 다각형과 같이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 또는 곡선은 그루브(55a)가 제6 저면(54a)으로부터 제6 상면(54b)까지 연장된 것이다. 그루브(55a)의 폭 및 깊이는 제6 다공체(54)의 크기, 두께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정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sixth porous article 54,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ater for evaporation W and the surface area for evaporating the water W for evaporation a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fifth porous article 52 due to the presence of the grooves 55a. Thus, as the space and surface area increase, the sixth porous article 54 has higher absorption rate and evaporation rate of the water W for evaporation than the fifth porous article 52. The groove 55a can have various shapes.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a combination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line, or a closed shape such as a circle and a polygon. Here, the straight line or the curve indicates that the groove 55a extends from the sixth bottom surface 54a to the sixth top surface 54b. The width and depth of the groove 55a are pre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sixth porous article 54.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를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여기서, 벤트 구조물(20)의 외연에 제7 다공체(60)를 배치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내지 제6 다공체(30, 32, 34, 50, 52, 54)도 제7 변형예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eventh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art is enlarged and expressed. Here, as described in FIG. 2, except that the seventh porous article 60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 structure 20. The first to sixth porous bodies 30, 32, 34, 50, 52 and 54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can also be applied to the seventh modification.

도 9에 의하면, 제7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20)의 외연에 제7 다공체(60)가 결합된다. 제7 다공체(60)는 제1 다공체(30)와 같이 미세한 다수의 연속 관통 구멍을 가진 다공성 물질로써, 폴리올레핀과 같은 고분자 또는 규산질 다공체와 같은 세라믹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이 층을 이루는 복합층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공지된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균제 등의 기능성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제7 다공체(60)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콘크리트층(11)으로부터의 수분을 추출하는 데 보다 유리하다.Referring to FIG. 9, in the seventh modification, the seventh porous body 60 is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vent structure 20. The seventh porous body 60 is a porous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fine through-holes, such as the first porous body 30, and may be a ceramic such as a polyolefin or a porous material such as a siliceous porous body, or a mixture thereof or a composite layer thereof. Any of the known porous materials may be used, and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an antibacterial agent may be mixed according to need. The seventh porous body 60 is more advantageous for extracting moisture from the concrete layer 11 by the capillary phenomen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벤트 구조물의 제7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를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여기서, 벤트 구조물(70)의 구조를 제외하고,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eventh modification of 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part is enlarged and expressed. Here, the structure of the vent structure 70 is the sa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에 의하면, 벤트 구조물(70)은 벤트 몸체(71) 및 벤트 날개(72)로 이루어지며, 벤트 날개(72)는 벤트 구조물(70)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벤트 날개(72) 아래의 콘크리트(11)에는 벤트 홀(73)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는 배출홈(74)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 변형예는 벤트 구조물(70)의 형상이 변경되었지만, 벤트 몸체(71)에 유입홀(25)를 가지는 특성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vent structure 70 includes a vent body 71 and a vent blade 72, and the vent blade 72 has a shape in which the vent structures 7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crete (11) under the vent blade (72) is formed with a discharge groove (74) through which moisture evaporating from the vent hole (7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eighth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acteristic that the shape of the vent structure 70 is changed, but the vent hole 71 has the inflow hole 25.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10; 콘크리트 바닥 11; 콘크리트층
12; 방수층
20, 40, 70; 벤트 구조물
21, 41, 71 ; 벤트 몸체
22, 42, 72; 벤트 날개
23, 43, 73; 벤트 홀
44; 경사면
30, 32, 34, 50, 52, 54, 60; 제1 내지 제7 다공체
33, 35, 53, 55; 제1 내지 제4 실린더 홀
10; Concrete floor 11; Concrete layer
12; Waterproof layer
20, 40, 70; Vent structure
21, 41, 71; Vent body
22, 42, 72; Bent wing
23, 43, 73; Vent hole
44; incline
30, 32, 34, 50, 52, 54, 60; The first to seventh porous bodies
33, 35, 53, 55; The first through fourth cylinder holes

Claims (10)

방수층으로 덮인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바닥에 삽입되어, 상기 콘크리트층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수용하고 증발시키는 벤트 구조물로서,
상기 벤트 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층에 삽입되고 상기 수분을 수용하는 벤트 홀을 포함하는 벤트 몸체; 및
상기 벤트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콘크리트 바닥을 덮는 벤트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벤트 몸체의 둘레에는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벤트 몸체의 하부는 상기 벤트 홀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벤트 홀에는 기둥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되며, 상기 다공체 및 상기 벤트 몸체는 상기 경사면과 함께 흡수용 공간을 이루어 증발용 수분을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
A vent structure inserted into a concrete floor including a concrete layer covered with a waterproof layer to receive and evaporate water introduced from the concrete layer,
The vent structure may include:
A vent body inserted into the concrete layer and including a vent hole for receiving the moisture; And
And a vent blade extending outside the vent body and covering the concrete floor,
And at least one inlet hole penetrating the vent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vent body,
The lower portion of the vent body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end portion of the vent hole,
Wherein a columnar porous body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and the porous body and the vent body together with the inclined surface fill an absorption space to fill water for evapo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벤트 몸체의 두께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ow hol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vent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의 단면은 원형, 각형 또는 그들이 조합된 것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nt hole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 square cross se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홀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있는 실린더 형태의 다공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The vent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ylindrical porous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vent hole is inserted into the vent h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체는 상기 중공에 그루브가 형성된 실린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7] The vent structure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porous body is in the form of a cylinder having grooves formed in the hollow.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상기 직선과 곡선의 조합 또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폐쇄된 모양 중에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8] The vent structure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groov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combination of the straight line and the curved line, or a circular or polygonal closed shap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 몸체의 외연에는 다공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벤트 구조물.The vent structur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a porous body is coupled to an outer edge of the vent body.
KR1020170009528A 2017-01-20 2017-01-20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KR101885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528A KR101885983B1 (en) 2017-01-20 2017-01-20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528A KR101885983B1 (en) 2017-01-20 2017-01-20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892A KR20180085892A (en) 2018-07-30
KR101885983B1 true KR101885983B1 (en) 2018-08-06

Family

ID=6304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528A KR101885983B1 (en) 2017-01-20 2017-01-20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9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14293A (en) * 2021-02-03 2021-05-18 广州宏成科技信息有限公司 Ceramic solar wall surface locking equip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288A (en) * 2000-07-12 2002-01-23 Ohbayashi Corp Deaerating plug and deaerating method for concrete using it
KR200313164Y1 (en) * 2003-02-04 2003-05-16 시지이엔씨주식회사 Relief point structure for treatment of up-lifting water pressure affecting underground structure
KR101595860B1 (en) * 2013-07-12 2016-02-19 정재호 Drying apparatus for Inside the floor rooftop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389B1 (en) * 2000-05-12 2002-09-27 벤텍스 주식회사 A cooling touched fiber with quick dry and absorbent property
KR101117482B1 (en) * 2009-10-07 2012-02-29 오두영 capillary tube type deaeration device, and waterproofing or floor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1288A (en) * 2000-07-12 2002-01-23 Ohbayashi Corp Deaerating plug and deaerating method for concrete using it
KR200313164Y1 (en) * 2003-02-04 2003-05-16 시지이엔씨주식회사 Relief point structure for treatment of up-lifting water pressure affecting underground structure
KR101595860B1 (en) * 2013-07-12 2016-02-19 정재호 Drying apparatus for Inside the floor roof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892A (en)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156B2 (en) Condensation inhibition system for structural waterproofing
US5343661A (en) Mortar and debris collection device and system
KR101885983B1 (en)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concrete floor
JP5374000B1 (en) Water storage structure
RU2433915C2 (en) Composite plate and method of its drying
US20140166129A1 (en) Drainage system for use in basements and a method for its installation and use
US3937399A (en) Jet action chemical feeding method
KR101703553B1 (en) Vent structure for removing moisture of underground floor
KR20190063359A (en)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to aquifer
CA2466265A1 (en) Pollutant containment system
US7017309B2 (en) Waterproof sealing system for a building foundation
US200701807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 drainage conduit
KR101117482B1 (en) capillary tube type deaeration device, and waterproofing or floor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reof
KR102368680B1 (en) Plumbing equipment of fire water for architecture
DE102008028463B4 (en) Device for draining and dehumidifying walls
JP2022130705A (en) Deaeration device, waterproof structure and parking lot
DE202014008919U1 (en) Packing and device for temporary storage of seepage and rainwater and its use
EP0874094B1 (en) Wall drying insert
KR102432040B1 (en) Drain infiltrating water structure of underground parking
KR20100000340U (en) Ventilator
US20150096247A1 (en) Channelized rainscreen framework for construction of cementitious exterior walls
JP2014152469A (en) Water storage structure
KR20190041636A (en) Underground wall structure with advanced vanti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at
DE809482C (en) Dehumidifying device, especially for walls, walls or the like.
KR102195854B1 (en) Section Recovery Polyurea Waterproofing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s that induce evaporation of Penetrated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