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431B1 - 마늘의 주아 탈망기 - Google Patents

마늘의 주아 탈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431B1
KR101885431B1 KR1020160130442A KR20160130442A KR101885431B1 KR 101885431 B1 KR101885431 B1 KR 101885431B1 KR 1020160130442 A KR1020160130442 A KR 1020160130442A KR 20160130442 A KR20160130442 A KR 20160130442A KR 101885431 B1 KR101885431 B1 KR 101885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semicircular
lower semicircular
flat wing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314A (ko
Inventor
남병대
Original Assignee
남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병대 filed Critical 남병대
Priority to KR102016013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4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3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2Apparatus for removing awns from the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dis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하기 위한 마늘의 주아 탈망기에 관한 것이다. 마늘의 주아 탈망기는,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모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와 동력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축;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반원통부; 상기 하부 반원통부와 힌지로 연결되고 중앙에 투입구를 갖는 상부 반원통부; 상기 하부 반원통부와 상기 상부 반원통부를 개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개폐부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격되게 부착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하부면(140c)에는 분리된 주아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출 로드는 회전축의 단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회전축에 부착된 돌출 로드가 회전하면서 마늘 줄기와 반복적으로 마찰됨으로써, 사람이 수작업으로 주아를 분리하지 않고 기계에 마늘 줄기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주아를 분리할 수 있는 마늘의 주아 탈망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늘의 주아 탈망기 {Machine for separating bulbil in garlic stem}
본 발명은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하기 위한 마늘의 주아 탈망기에 관한 것이다.
마늘 재배는 통마늘을 낱개로 쪼개고 쪼개어진 마늘쪽을 식재하는 씨마늘 재배법과, 마늘줄기(마늘쫑)에 달린 주아를 파종하고 재배하여 수확한 외통마늘을 종자로 사용하여 다시 파종하여서 쪽이 형성되는 마늘을 수확하는 주아 재배법이 알려져 있다.
씨마늘 재배의 경우에는 수확한 마늘을 낱개로 쪼개서 이를 식재해야 하므로 종자값의 비중이 높은 단점이 있다. 주아 재배의 경우에는 주아를 흩어 뿌려서 재배하고 수확하여 얻은 외통마늘을 종자로 사용하므로, 마늘쪽이 크고 품질이 좋아지며 종자값이 별도로 소비되지 않는 이점이 있어 외통마늘 재배법이 점차 증가되는 추세이다.
주아는 마늘 줄기에 구슬 모양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종래에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일일이 줄기를 까서 분리해야 했다.
그러나, 사람이 수작업으로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하는 것은 일손이 부족한 농가의 현실에서 매우 어려운 일이며 생산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2004-003653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사람이 수작업으로 주아를 분리하지 않고 기계에 마늘 줄기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할 수 있는 마늘의 주아 탈망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늘의 주아 탈망기는,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모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와 동력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축;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반원통부; 상기 하부 반원통부와 힌지로 연결되고 중앙에 투입구를 갖는 상부 반원통부; 상기 하부 반원통부와 상기 상부 반원통부를 개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개폐부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격되게 부착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하부면에는 분리된 주아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출 로드는 회전축의 단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는 상기 회전축의 하부 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반원통부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에도 상기 회전축의 상부 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반원통부와 상기 하부 반원통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축에는 제1의 상기 돌출 로드 및 제2의 상기 돌출 로드가 위치하고, 상기 제1의 돌출 로드로부터는 편평한 판 형상을 갖는 제1 편평 날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의 돌출 로드로부터는 편평한 판 형상을 갖는 제2 편평 날개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편평 날개부의 제1 면은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제1 측면을 향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편평 날개부의 제1 면은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제2 측면을 향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축에 부착된 돌출 로드가 회전하면서 마늘 줄기와 반복적으로 마찰됨으로써, 사람이 수작업으로 주아를 분리하지 않고 기계에 마늘 줄기를 투입하는 것만으로 주아를 분리할 수 있는 마늘의 주아 탈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아 탈망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아 탈망기에서 상부 원통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회전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아 탈망기에서 회전축 부분을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아 탈망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아 탈망기에서 상부 원통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회전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아 탈망기에서 회전축 부분을 위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마늘의 주아 탈망기(이하, 주아 탈망기)(100)는 프레임(110), 모터(120), 회전축(130), 하부 반원통부(140), 상부 반원통부(150), 개폐부재(160), 돌출 로드(170)를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주아 탈망기(100)에 포함되는 각종 부품들의 지지 구조를 형성한다. 프레임(110)은 회전축(13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111)와 제2 지지부(112)를 포함하고, 제1 지지부(111)와 제2 지지부(112) 사이는 이격되어 그 사이에 하부 반원통부(140)가 부착될 수 있다.
모터(120)는 프레임(110)에 부착된다. 모터(120)는 프레임(110)에 부착되는 편평 브라켓(113) 위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130)은 하부 반원통부(140)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모터(120)와 동력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130)은 풀리(126)와 일체로 형성되고, 풀리(126)에는 모터(120)의 축과 연결되는 벨트(127)가 감겨져 모터(120)로부터의 회전력을 회전축(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회전축(130)은 프레임(110)의 제1 지지부(111)에 안착되는 베어링(116)과, 제2 지지부(112)에 안착되는 베어링(1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하부 반원통부(140)는 프레임(110)에 부착되고 수용공간을 갖는 반원통 형으로 형성된다. 하부 반원통부(140)는 제1 측면(140a), 이러한 제1 측면(140a)과 대향되는 제2 측면(140b), 제1 측면(140a)과 제2 측면(140b) 사이의 하부면(140c)으로 형성된다. 하부면(140c)에는 분리된 주아를 배출하기 위해 다수의 개구(141)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개구(141)는 주아를 잘 배출할 수 있는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개구(141)는 하부면(140c)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지만, 제1 측면(140a)과 하부면(140c)이 만나는 부분, 제2 측면(140b)과 하부면(140c)이 만나는 부분, 즉 모서리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상부 반원통부(150)는 하부 반원통부(140)와 힌지(145)로 연결되어 힌지(145)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부 반원통부(150)는 제1 측면(150a), 이러한 제1 측면(150a)과 대향되는 제2 측면(150b), 제1 측면(150a)과 제2 측면(150b) 사이의 상부면(150c)으로 형성된다. 상부 반원통부(150)는 힌지(145)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부 반원통부(140)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상부 반원통부(150)는 가운데 부분에 마늘 줄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51)를 갖는다.
개폐부재(160)는 하부 반원통부(140)를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하부 반원통부(140)와 상부 반원통부(150)를 체결한다.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하기 위해 회전축(130)이 회전하는 동안에는 하부 반원통부(140)와 상부 반원통부(150)가 개폐부재(160)에 의해 폐쇄되고, 마늘 줄기에서 주아의 분리가 완료된 후에는 상부 반원통부(150)를 개방하여 주아가 분리되고 남은 마늘 줄기를 꺼내게 된다.
하부 반원통부(140)의 제1 측면(140a)과 제2 측면(140b)의 상단부에는 회전축(130)의 하부 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부(142)가 형성된다. 상부 반원통부(150)의 제1 측면(150a)과 제2 측면(150b)의 하단부에도 회전축(130)의 상부 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홈부(152)가 형성된다.
상부 반원통부(150)와 하부 반원통부(14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홈부(142)와 제2 홈부(152)는 합쳐져서 회전축(130)이 통과될 수 있는 대략 원형의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회전축(130)은 제1 홈부(142)와 제2 홈부(152)에 삽입되어 상부 반원통부(150)와 하부 반원통부(140)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회전축(130)은 상부 반원통부(150)와 하부 반원통부(140)에 의해 형성되는 원통부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다.
다수의 돌출 로드(170)는 회전축(130)을 따라 이격되게 부착되고 돌출되는 방향이 엇갈리도록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후방은 힌지(145)가 위치하는 쪽을 말하고, 전방은 힌지(145)의 반대쪽 방향을 말한다.
회전축(130)이 회전할 때 돌출 로드(170)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부 반원통부(150)와 하부 반원통부(140)가 폐쇄된 상태에서 원통형의 공간이 생기고 그 가운데를 회전축(130)이 가로질러 통과하게 된다. 그에 따라, 회전축(130)은 원통형의 공간의 가운데에 위치하므로, 돌출 로드(170)가 하부 반원통부(140)의 바닥까지 연장되지 않는 한 회전할 때 다른 부분과 간섭되지 않는다. 돌출 로드(170)는 회전하면서 하부면(140c)으로 투입되는 마늘 줄기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돌출된다.
투입구(151)를 통해 투입된 마늘 줄기는 하부 반원통부(140)에 위치한다. 돌출 로드(170)는 회전하면서 마늘 줄기와 주기적으로 마찰되어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즉, 돌출 로드(170)가 하부 반원통부(140) 측을 지날 때 마늘 줄기와 마찰되고, 상부 반원통부(150) 측을 지날 때는 대체로 마늘 줄기와 마찰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수의 돌출 로드(170)는 회전축(130)의 단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마늘 줄기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마찰이 일어나도록 하여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상부 반원통부(150)와 하부 반원통부(140)가 폐쇄된 상태에서, 투입구(151)의 일측 단부(151a) 및 타측 단부(151b)의 직하방에 대응하는 위치의 회전축(130)에는 제1의 돌출 로드(171) 및 제2의 돌출 로드(172)가 위치한다.
제1의 돌출 로드(171)로부터는 편평한 판 형상을 갖는 제1 편평 날개부(181)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편평 날개부(181)는 제1의 돌출 로드(171)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제2의 돌출 로드(172)로부터는 편평한 판 형상을 갖는 제2 편평 날개부(18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편평 날개부(182)는 제2의 돌출 로드(172)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편평 날개부(181)의 제1 면(181a)은 하부 반원통부(140)의 제1 측면(140a)을 향하면서 회전축(130)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제1의 돌출 로드(171)로부터 연장된다. 제1 편평 날개부(181)가 회전축(130)에 대해 형성하는 각(α)은 3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면(181a)은 제1 편평 날개부(181)가 회전할 때 하부 반원통부(140)에 위치하는 마늘 줄기와 먼저 접하는 면을 말한다. 제2 면(181b)은 제1 면(181a)의 반대면을 말한다.
제2 편평 날개부(182)의 제1 면(182a)은 하부 반원통부(140)의 제2 측면(140b)을 향하면서 회전축(130)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제2의 돌출 로드(172)로부터 연장된다. 제2 편평 날개부(182)가 회전축(130)에 대해 형성하는 각(β)은 30 내지 70°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면(182a)은 제2 편평 날개부(182)가 회전할 때 하부 반원통부(140)에 위치하는 마늘 줄기와 먼저 접하는 면을 말한다. 제2 면(182b)은 제1 면(182a)의 반대면을 말한다.
회전축(130)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 편평 날개부(181)와 제2 편평 날개부(182)는 회전하면서 하부 반원통부(140)의 중앙으로 투입된 마늘 줄기를 하부 반원통부(140)의 제1 측면(140a)과 제2 측면(140b) 쪽으로 분산시켜, 마늘 줄기가 하부 반원통부(140)의 하부면(140c)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회전축(130)이 회전할 때, 마늘 줄기가 다수의 돌출 로드(170) 전체와 충분히 마찰될 수 있게 하여 주아를 잘 분리할 수 있게 한다.
돌출 로드(170)가 회전하면서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하면, 분리된 주아는 하부면(140c)에 형성된 개구(141)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개구(141)는 하부면(140c)의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지만, 제1 측면(140a)과 하부면(140c)이 만나는 부분, 제2 측면(140b)과 하부면(140c)이 만나는 부분, 즉 모서리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개구(141)가 없어 분리된 주아가 이 부분에 모일 수 있다.
제1 편평 날개부(181)와 제2 편평 날개부(182)는 회전하면서 각각 제1 측면(140a)과 제2 측면(140b) 쪽으로 바람을 일으켜 모서리 부분에 있는 주아의 위치를 이동시켜 개구(141)로 잘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아 탈망기(100)는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작업자가 마늘 줄기를 투입구(151)를 통해 투입하기만 하면 회전축(130)이 회전하면서 마늘 줄기에서 주아를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주아는 하부 반원통부(140)에 형성된 개구(141)를 통해 배출되므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현실에서 주아를 분리하기 위한 비용과 노동력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주아 탈망기
110 : 프레임
111 : 제1 지지부
112 : 제2 지지부
116, 117 : 베어링
120 : 모터
130 : 회전축
140 : 하부 반원통부
140a : 제 측면
140b : 제2 측면
140c : 하부면
141 : 개구
142 : 제1 홈부
150 : 상부 반원통부
151 : 투입구
152 : 제2 홈부
160 : 개폐부재
170 : 돌출 로드
181 : 제1 편평 날개부
182 : 제2 편평 날개부

Claims (3)

  1. 마늘의 주아 탈망기에 있어서,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는 모터;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와 동력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회전축;
    상기 프레임에 부착되고 수용 공간을 갖는 하부 반원통부(140);
    상기 하부 반원통부와 힌지로 연결되고 중앙에 투입구를 갖는 상부 반원통부;
    상기 상부 반원통부의 가운데 부분에 부착되어 마늘 줄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51);
    상기 하부 반원통부와 상기 상부 반원통부를 개방 가능하게 체결하는 개폐부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격되게 부착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하부면(140c)에는 분리된 주아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개구(141)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돌출 로드는 상기 회전축의 단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반원통부와 상기 하부 반원통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투입구(151)의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회전축에는 제1의 상기 돌출 로드(171) 및 제2의 상기 돌출 로드(172)가 위치하고, 상기 제1의 돌출 로드(171)로부터는 편평한 판 형상을 갖는 제1 편평 날개부(181)가 상기 제1의 돌출 로드(17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의 돌출 로드(172)로부터는 편평한 판 형상을 갖는 제2 편평 날개부(182)가 상기 제2의 돌출 로드(172)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편평 날개부(181)의 제1 면(181a)은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제1 측면(140a)을 향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2 편평 날개부(182)의 제1 면(182a)은 상기 하부 반원통부의 제2 측면(140b)을 향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예각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제1 편평 날개부(181)와 상기 제2 편평 날개부(182)는 회전하면서 상기 투입구(151)를 통해 상기 하부 반원통부(140)의 중앙으로 투입된 마늘 줄기를 상기 하부 반원통부(140)의 제1 측면(140a)과 제2 측면(140b) 쪽으로 분산시켜, 마늘 줄기가 상기 하부 반원통부(140)의 하부면(140c)에 골고루 분포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 편평 날개부(181)와 상기 제2 편평 날개부(182)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 측면(140a)과 상기 제2 측면(140b) 쪽으로 바람을 일으켜 상기 하부 반원통부(140)의 모서리 부분에 있는 주아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141)로 잘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마늘의 주아 탈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원통부(140)의 상기 제1 측면(140a)과 상기 제2 측면(140b)에는 상기 회전축의 하부 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홈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반원통부의 제1 측면(150a)과 제2 측면(150a)에도 상기 회전축의 상부 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홈부(152)가 형성되는 마늘의 주아 탈망기.
  3. 삭제
KR1020160130442A 2016-10-10 2016-10-10 마늘의 주아 탈망기 KR101885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42A KR101885431B1 (ko) 2016-10-10 2016-10-10 마늘의 주아 탈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0442A KR101885431B1 (ko) 2016-10-10 2016-10-10 마늘의 주아 탈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14A KR20180039314A (ko) 2018-04-18
KR101885431B1 true KR101885431B1 (ko) 2018-08-03

Family

ID=6208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0442A KR101885431B1 (ko) 2016-10-10 2016-10-10 마늘의 주아 탈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4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981Y1 (ko) * 2006-05-12 2006-08-14 이재석 콩 탈곡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U (ja) * 1992-06-12 1994-01-11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コンバインの脱穀装置
KR101722816B1 (ko) * 2014-10-22 2017-04-11 남병대 종자용 외통마늘의 뿌리 탈망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981Y1 (ko) * 2006-05-12 2006-08-14 이재석 콩 탈곡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314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E030153T2 (en) Pneumatic seed metering device housing relieving the path of the seeds
RU2008130426A (ru) Дозатор семян с гибким высевающим диском
US8333161B2 (en) Seed furrow closing apparatus
US20070107645A1 (en) Flat type seed meter disk with axially offset surface
CA2901416A1 (en) Weed seed devitalization arrangement
DK2919574T3 (en) Stripper, metering element for a seed drill and single grain drill.
US20070125284A1 (en) Flat type seed meter disk with protruded pick up orifices
FR2991132A1 (fr) Boitier de distribution pour semoir monograine avec rainures ouvertes et semoir utilisant un tel boitier
RU2015137777A (ru) Односемянная сеялка, содержа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ин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высевающий элемент
RU2478274C1 (ru) Пневмомеханический высевающий аппарат
KR101885431B1 (ko) 마늘의 주아 탈망기
US7228807B1 (en) Device for improving the spacing between seeds planted by a John Deere vacuum planter
FR2971391A1 (fr) Boitier de distribution pour semoir monograine avec pales d'agitation et semoir utilisant un tel boitier
KR101655517B1 (ko) 점파식 파종기
US9338939B1 (en) Seed disk for planting canola with a vacuum meter planter
CN207463628U (zh) 一种茶梗茶叶分离机
CN204104331U (zh) 精准穴播装置
CN105660000B (zh) 机械式双体精量点播器
JP6245339B2 (ja) 肥料の固着を防止する施肥装置
KR101228242B1 (ko) 점파식 파종기
US20170086357A1 (en) Seed planting and metering equipment
CN208434305U (zh) 简易播种机
KR20170003409U (ko) 원판형 쟁기가 부착된 파종장치
CN204146010U (zh) 掌上播种器
RU2306693C1 (ru) Битер молотильно-сепарирующего устройства с цилиндрическими выступ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