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208B1 - 향 추출 및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향 추출 및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208B1
KR101885208B1 KR1020160115697A KR20160115697A KR101885208B1 KR 101885208 B1 KR101885208 B1 KR 101885208B1 KR 1020160115697 A KR1020160115697 A KR 1020160115697A KR 20160115697 A KR20160115697 A KR 20160115697A KR 101885208 B1 KR101885208 B1 KR 101885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ragrance
sample
degree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245A (ko
Inventor
박은혜
이정윤
Original Assignee
박은혜
이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은혜, 이정윤 filed Critical 박은혜
Priority to KR102016011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2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07Control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시료로부터 향 성분을 추출하고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및 극저온 상태에서 상기 대상시료로부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로부터 진공도 및 온도를 조절하여 향 성분 개별기체를 분리하는 추출 및 분리 방법으로서, 향 성분을 분자량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Description

향 추출 및 분리 방법{METHOD FOR EXTRACTING AND SEPARATING FLAVOR COMPONENTS}
본 발명은 대상시료로부터 향 성분을 추출하고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 및 극저온 상태에서 상기 대상시료로부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로부터 진공도 및 온도를 조절하여 향 성분 개별기체를 분리하는 향 추출 및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향기란, 사람의 감각기관이 휘발성 화학물질의 혼합물에 대해 수용체의 특성에 따라 인식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향기 성분, 또는 향 성분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식품이나 화장품, 치약, 목욕제 등의 제품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향 성분을 함유하는 향료의 경우,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천연향료와 석유나 석탄 그리고 목재 등을 원료로 한 합성향료로 분류한다. 천연향료는 식물과 동물에서 각 각 추출하여 사용하며, 식품향료는 거의 식물에서 추출한다. 식물의 향기 원료는 과실, 잎, 꽃, 줄기, 껍질, 뿌리 등의 모든 부위를 대상으로 추출이나 착즙, 수증기 증류법 등을 통해 향 성분을 채취한다. 채취한 향 성분을 정제한 것이 천연향료이다. 대표적인 천연향료에는 바닐라나 레몬, 오렌지 등과 같은 감귤 오일과 민트 오일 등이 있다.
향 성분을 채취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래부터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압착법, 증류법 및 추출법이 있다. 압착법은 예를 들면 감귤류의 과피와 같은 대상시료에 함유된 정유의 채유를 목적으로 행하는 채집법이다. 감귤류 향은 열에 약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에규엘법 (Ecuelle), 해면법 (Sponge) 및 기계적 방법 (machine abrasion)이 사용되고 있다.
증류법 (Distillation) 에는 물 증류, 수증기 증류, 물과 수증기 혼합 증류, 건증류(Dry distillation) 등이 있으며, 예를 들어 식물체에 수증기를 불어넣거나 물을 가열하면 유세포가 파괴되면서 향이 유리되어 수증기와 같이 증류되고, 이를 냉각기를 거쳐서 응축시킨 후에 분리, 정제하는 방법이다. 실제로 향 성분의 비등점은 대개 150∼300 ℃ 정도 되는데, 수증기와 같이 증류하면 비등점이 이보다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향료 성분의 분해나 변질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추출법 (Extraction) 은 열에 불안정하여 수증기 증류를 사용하면 향 성분이 분해, 중합, 수지화되는 경우, 또는 물에 용해되어 채유율이 심하게 저하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크게 비휘발성 용매를 추출하는 방법과 휘발성 용매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나누며, 비휘발성 용매를 추출하는 방법은, 지방이나 지방유가 꽃향 성분을 잘 흡수한다는 성질을 이용한 추출법이다. 이들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냉침법, 온침법,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 성분이 변성되거나 2차 생성물이 혼입될 우려가 없고, 수용성 시료 외에도 적용 가능하고, 낮은 비점의 성분의 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향 성분을 얻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향 성분을 효과적으로 세분화하여 분리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은, 대상시료를 준비하는 단계; 극저온 상태에서 상기 대상시료로부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로부터 진공도 및 온도를 조절하여 향 성분 개별기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극저온 상태는, 극저온 액체 물질 또는 극저온 고체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은, 기체, 액체 또는 이들의 혼합상일 수 있다.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진공 챔버의 진공도는 750 Torr 내지 10-7 Torr 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극저온 상태의 진공 챔버를 통과시켜서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극저온 상태의 진공 챔버는, 각각 진공도 및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진공 챔버의 진공도는 750 Torr 내지 10-7 Torr 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를 통과시켜서 분리하는 것이며, 상기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는 배열순차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도록 조절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는, 각각 진공도 및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상 시료는, 천연물로서 방향성 동물성 시료 또는 방향성 식물성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향 성분이 변성되거나 2차 생성물이 혼입될 우려를 없앨 수 있고, 수용성 시료 외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낮은 비점의 성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시료 내에 포함되어 있는 향 성분을 온전하게 보존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다양하게 혼합되어 있는 향 성분 혼합물을 보다 세분화하여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대상시료로부터 극저온 진공 챔버를 이용하여 대상시료의 수분 및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로부터 향 성분을 분리하는 챔버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 성분 추출 및 분리방법은, 대상시료를 준비하는 단계, 극저온 상태에서 상기 대상시료로부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로부터 진공도 및 온도를 조절하여 향 성분 개별기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대상시료는 방향성 동물성 시료 또는 방향성 식물성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향성 동물성 시료의 예로는, 사향노루 수컷의 분비선, 사향고양이의 작은 주머니(향낭), 비버의 내분비낭(향낭) 및 향유고래의 내장 속에 생기는 병적생성물로 일종의 결석 등일 수 있으며, 이들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것을 각각 사향(musk), 영묘향(civet), 해리향(castorem) 및 용연향(ambergris)으로 불리는 동물성 향료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방향성 식물성 시료는, 향수나 향유의 원료가 될 수 있는 식물을 통산하여 지칭한다. 이러한 향료식물의 대부분은 낮 동안의 일광의 직사로 향기를 발산하지만 개화와 향기의 발산은 몇 가지 다른 유형이 있어 각각 적절한 추출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재스민, 월하향 등은 세포에 거의 방향유를 함유하고 있지 않다가 채취 후 이들 세포가 생활기능을 유지하는 동안에 향분을 계속 생성하여 발산시키기 때문에, 따라서 꽃을 딴 후에 일정한 시간 동안 세포의 사멸을 막고 향분을 충분히 생성, 발생시킨 후에 향을 추출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향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방향성 식물로는, 방향유를 함유하는 식물로서, 약 60과(科)정도가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서도 소나무과 국화과 장미과 미나리과 녹나무과 줄풀과 운향과 등의 식물에 특히 방향유가 많이 들어 있다. 방향성 식물은 이용하는 부분에 따라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꽃에서 향료를 채취하는 것(은방울꽃 재스민 라벤더 라일락 장미), 과실(종자)에서 채취하는 것(바닐라 레몬 회향 아몬드), 잎에서 채취하는 것(박하 레몬그래스 시트로넬라그래스 팔마로자 녹나무 월계수 유칼립투스), 줄기에서 채취하는 것, 뿌리와 뿌리줄기에서 채취하는 것(오리스 칼라머스 베티버), 선태류 등이 본 발명의 대상 시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대상시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대상시료의 향 성분 외의 다른 향 성분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또한 대상시료와 대기중의 접촉 표면적을 넓혀서 대상시료 내의 향 성분이 쉽게 발산 및 확산되어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시료를 가루형태로 잘게 부수는 분쇄단계를 포함하여, 대상시료가 준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향 성분 추출 단계는, 극저온 상태에서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로, 대상시료를 준비하여 극저온의 진공 챔버에 연결하여 대상시료로부터 자연 발산되는 수분 및 향 성분을 응축시킴으로서,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진공저온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극저온 상태는 극저온 액체 물질 또는 극저온 고체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은 기체, 액체 또는 이들의 혼합상일 수 있다. 극저온 상태라 함은, 통상적으로 액체산소의 끓는 점인 약 90K 이하를 말하며, 좁게는 액체 헬륨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는 온도의 영역 (절대온도 4K 이하)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 헬륨, 액체 질소, 액체 산소, 드라이아이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끓는점 및 승화점은 액체 헬륨 -268℃, 액체 질소 -196℃, 액체 산소 -183℃, 드라이아이스 -78℃ 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이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공도'는 대기압 이하의 정압으로, 수은주의 높이를 절대압으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진공도는, 상압인 750 Torr 내지 10-7 Torr 일 수 있다. 상압에서 추출이 이루어지더라도 극저온 물질에 의한 극저온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에서의 진공도는 낮을수록 추출 속도가 빨라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10-2 Torr 내지 10-7 Torr 의 진공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진공도가 상압인 750 Torr 보다 높은 경우에는 진공 상태가 약하여 추출의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진공도가 10-7 Torr 보다 낮은 상태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되는 설비의 비용이 높아지므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로 얻어진 혼합물은, 그 자체로도 향 성분을 충분히 함유하기 때문에 향 성분을 이용하는 제품 등에 바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향 성분 혼합물 추출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극저온 상태의 진공 챔버를 통과시켜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대상 시료로부터 더 많은 양의 향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극저온 상태의 진공 챔버는 각각 진공도 및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진공 챔버 내의 진공도 및 온도 단계를 달리함으로써, 주로 기체 상태인 향 성분들은 추출 단계에서부터 각기 다른 물질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는 물질마다 액체로 응축되는 온도 및 진공도가 각기 다르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향 성분 혼합물을 극저온 진공 상태에서 추출한 다음에,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상시료로부터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더라도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 그 자체로도 향 성분을 충분히 포함하므로 바로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선호하는 향 성분 외에도 다른 향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향 성분을 분리하여 얻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미 향을 추출하는 경우, 향 성분 혼합물에는 장미향 외에도 풀잎 향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순수한 고유의 장미향을 얻기 위해서는 풀잎 향등은 분리해 내는 공정이 요구된다. 또한 고농도의 향 성분을 얻을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도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진공도는, 상압인 750 Torr 내지 10-7 Torr 일 수 있다. 상압에서 추출이 이루어지더라도 극저온 물질에 의한 극저온 상태에서는 어느 정도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분리하고자 하는 향 성분의 분자량에 따라서 서로 다른 진공도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진공도가 상압인 750 Torr 보다 높은 경우에는 진공 상태가 약하여 분리의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진공도가 10-7 Torr 보다 낮은 상태를 사용하는 것은 사용되는 설비의 비용이 높아지므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를 통과시켜서 분리하는 것이며, 상기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는 배열순차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도록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은 액체, 고체 또는 이들의 혼합상 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혼합물의 상태는 극저온이기 때문에 주로 기체상 또는 액상인 향 성분 혼합물을 일시적으로 취하는 것 일뿐, 진공도 및 온도를 달리하면 다시 기화하거나 액화될 수 있다. 또한 향 성분 혼합물을 구성하는 향 성분들은 각각 다른 분자량을 갖고 있고, 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끓는점이 높아지는 성질을 나타내며 이는 분자간 결합을 구성하는 힘이 분자량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이 진공도 및 온도를 달리하는 진공 챔버를 통과할 때, 특히 해당 성분이 갖고 있는 끓는점 이상의 온도를 갖는 진공 챔버를 통과 할 때 그 성분은 기화되므로, 기화된 기체를 따로 분리 수집할 수 있다. 분리하여 수집하는 경우, 다시 극저온 상태를 이용하여 액상 또는 고체상으로 수집할 수도 있으며, 다른 용매를 사용하여 수집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순차적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는 각각 진공도 및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향 성분 혼합물을 분자량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리할 수 있다.
(1) 향 추출 및 분리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 커피향 추출 및 분리
대상시료로서 볶은 커피원두를 준비한 후, 0.5 kg을 0.5 mm 크기로 분쇄하여 분쇄기로 갈은 후에 향 성분 혼합물 추출 챔버에 넣었다. 추출 챔버에 진공 폄프를 연결하여 챔버 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공기 중의 질소 및 산소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 액체 질소를 채워넣었다. 추출 챔버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진공도 10-3 Torr 상태로 만들고, 그 상태를 3시간 동안 유지하여 고체 상태의 커피 향 성분 혼합물을 얻었다. 고체 상태의 커피 향 성분 혼합물이 담긴 챔버를 연결관을 이용하여, 액체 질소로 채워지지 않은 진공도 10-2 Torr 인 분리 챔버에 연결함으로서, 커피 향 성분을 분리하였다. 분리 수득된 커피 향 각 성분의 강도 및 기호도를 관능 평가하였다.
실시예 2: 모과의 향 추출 및 분리
대상시료로서 모과의 껍질을 준비하였다. 모과의 껍질 1 kg을 추출 챔버에 넣고, 추출 챔버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챔버 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공기 중의 질소 및 산소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 액체 질소를 채워 넣었다. 추출 챔버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진공도 10-3 Torr 상태로 만들고, 그 상태를 3시간 동안 유지하여 모과 향 성분 혼합물을 얻었다. 추출된 모과 향 성분 혼합물이 담긴 챔버에 연결관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액체 질소로 채워진 진공도 10-2 Torr 인 1차 분리 챔버에 연결하였으며, 다시 그 챔버에 액체 질소로 채워지지는 않았으나 진공도는 10-2 Torr로 유지되는 2차 분리 챔버를 연결하여 각 챔버에서 모과 향 성분을 분리하였다. 각 분리 챔버에서 수득된 모과 향 각 성분의 강도 및 기호도를 관능 평가하였다.
실시예 3 : 장미꽃잎의 향 추출 및 분리
대상시료로서 장미 꽃에서 꽃잎만을 분리하여 준비하였다. 장미 꽃잎을 추출 챔버에 넣고, 추출 챔버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챔버 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공기 중의 질소 및 산소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 액체 질소를 채워 넣었다. 추출 챔버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진공도 10-3 Torr 상태로 만들고, 그 상태를 3시간 동안 유지하여 장미 꽃잎 향 성분 혼합물을 얻었다. 추출된 장미 꽃잎 향 성분 혼합물이 담긴 챔버에 연결관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액체 질소로 가득 채워진 진공도 10-3 Torr 인 1차 분리 챔버에 연결하였으며, 다시 그 1차 챔버에 액체 질소를 절반 정도 채우고 진공도는 10-2 Torr인 2차 분리 챔버를 연결하였다. 다시 2차 분리 챔버에 이어서 액체 질소로 채워지지 않은 3차 분리 챔버를 연결하여, 각 챔버에서 장미 꽃잎 향 성분을 분리하였다. 각 분리 챔버에서 수득된 장미꽃 향 각 성분의 강도 및 기호도를 관능 평가하였다.
실시예 4 : 소나무 향 추출 및 분리
대상시료로서 소나무 중에서 금송의 줄기를 작은 조각 약 직경 1cm로 쪼개서 준비하였다. 쪼개진 소나무 줄기 조각 1 kg을 추출 챔버에 넣고 추출 챔버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챔버 내를 진공상태로 만들어서 공기 중의 질소 및 산소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에 액체 질소를 채워 넣었다. 추출 챔버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진공도 10-3 Torr 상태로 만들고, 그 상태를 3시간 동안 유지하여 소나무 향 성분 혼합물을 얻었다. 추출된 소나무 꽃잎 향 성분 혼합물이 담긴 챔버에 연결관을 이용하여, 1차적으로 액체 질소로 가득 채워진 진공도 10-3 Torr 인 1차 분리 챔버에 연결하였으며, 다시 그 1차 챔버에 액체 질소를 절반 정도 채우고 진공도는 10-2 Torr인 2차 분리 챔버를 연결하였다. 다시 2차 분리 챔버에 이어서 액체 질소로 채워지지 않은 3차 분리 챔버를 연결하여, 각 챔버에서 소나무 향 성분을 분리하였다. 각 분리 챔버에서 수득된 소나무 향 각 성분의 강도 및 기호도를 관능 평가하였다.
비교예 1-1
커피 원두 2 kg을 0.5 mm 크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분말화된 커피 원두를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기에 충진하고, 400기압의 압력 60℃온도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커피오일과 커피향 함유 오일은 제1 분리조로 이송하고, 탈지 커피 원두 분말은 제거하였다. 제1 분리조에서 100기압 35℃ 조건으로 커피오일을 회수하고, 커피향 함유 오일은 제2 분리조로 이송하였다. 수득한 커피오일 및 커피향 함유 오일의 향 각 성분의 강도 및 기호도를 관능 평가하였다.
비교예 1-2
커피 원두 분말 1kg을 교반기에 넣고 n-헥산 10리터를 채워 2시간 교반하고 필터한 뒤 얻은 여과물을 감압농축한 추출물의 향 각 성분의 강도 및 기호도를 관능 평가하였다.
비교예 1-3
커피 원두 분말 1kg을 착유기에 넣고 추출물을 여과한 추출물의 각 성분의 강도 및 기호도를 관능 평가하였다.
(2) 향의 강도 및 기호도의 관능평가 분석
실시예 1 및 비교예 1-1 내지 1-3에서 분리 수득된 커피향에 대하여 강도평가 및 기호도 평가를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시료는 15 mL 튜브에 시료를 분주하여 50℃ 오븐에서 예열시켜 평가자에게 제공되었으며 관능검사의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서 시료는 무작위로 순서를 정하였다. 향의 강도는 각 시료에서 발산되는 향의 세기를 평가한 것이며, 향의 기호도라는 것은 커피 고유의 향을 함유하고 있는 정도를 평가한 것이다. 아래 표의 점수는 각 평가자들의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향의 강도
8.4
7.1
6.8
5.5
향의 기호도
8.2
6.5
5.8
6.3
전체 기호도
8.3
6.8
6.3
5.9
(3) 결과
커피 향을 분리하여 추출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비교하여 관능 평가한 결과, 실시예 1에 비하여 비교예들은 향의 강도가 약하며, 고유의 향 외에도 다른 향이 섞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예 1-1의 CO2 초임계점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의 경우, 분자량이 작은 비극성 물질은 잘 용해되지만, 커피 향과 관련된 극성 물질들은 용해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추출된 오일에 그 향 성분이 일부 누락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교예 1-2 또는 1-3의 경우에도, 유기 용매를 사용하거나 착유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물리적 성질을 갖고 있는 향 성분을 전부 추출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은 용매에 따른 용해도 등에 상관 없이 모든 향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 시료의 물리적 특성에 구애 받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향들 중에서도 원하는 향을 분자량에 따라 분리 수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통하여, 기존의 향 추출방법과 달리, 본 발명의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에 의하면 세분화된 향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고, 강도 및 기호도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대상시료를 준비하는 단계;
    극저온 액체 물질 또는 극저온 고체 물질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극저온 상태의 진공 챔버를 통과시켜 상기 대상시료로부터 기체, 액체 또는 이들의 혼합상으로 이루어지는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진공 챔버를 통과하면서 각 진공 챔버의 진공도 및 온도를 조절하여 향 성분 개별기체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 성분 혼합물의 추출은 진공도가 750 Torr 내지 10-7 Torr인 진공 챔버에서 수행되는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향 성분 혼합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극저온 상태의 진공 챔버는 각각 진공도 및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의 분리는 진공도가 750 Torr 내지 10-7 Torr인 진공 챔버에서 수행되는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향 성분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진공 챔버는 순차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도록 배열되게 하는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시료는 방향성 동물성 시료 또는 방향성 식물성 시료인 천연물로서 이루어지는 향 성분 추출 및 분리 방법.
KR1020160115697A 2016-09-08 2016-09-08 향 추출 및 분리 방법 KR101885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697A KR101885208B1 (ko) 2016-09-08 2016-09-08 향 추출 및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697A KR101885208B1 (ko) 2016-09-08 2016-09-08 향 추출 및 분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45A KR20180028245A (ko) 2018-03-16
KR101885208B1 true KR101885208B1 (ko) 2018-08-03

Family

ID=6191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697A KR101885208B1 (ko) 2016-09-08 2016-09-08 향 추출 및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2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2926A (en) * 1991-09-16 1993-02-02 Nestec S.A. Recovery of aroma g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245A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midt Production of essential oils
EP0616821B1 (en) Fragrance extraction
US7576049B2 (en) Solvent based plant extracts
TW201138920A (en) Methods for extracting and isolating constituents of cellulosic material
KR101885208B1 (ko) 향 추출 및 분리 방법
US4820517A (en) Process for obtaining a pepper extract with insecticidal activity
AU2924099A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plant ingredients
KR100903721B1 (ko) 용매 기초 식물 추출물
Ines et al. Aromatic quality of Tunisian sour orange essential oils: Comparison between traditional and industrial extraction
EP3577201B1 (en) Method and test kit for recreation of an odor
Bauer et al. Natural raw materials in the flavor and fragrance industry
KR100937340B1 (ko) 천녀목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WO2018235344A1 (ja) 抗酸化剤、該抗酸化剤を含有する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及び美白剤、並びに、該抗酸化剤及び該美白剤の製造方法
Nur Nadhirah et al. The Superiority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ver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Methods for the Extraction of Aroma from Salacca zalacca (Gaertn.) Voss.
Onyia et al. BIO-INSECTICIDES/REPELLENT FROM CITRUS PEELS EXTRACT AND ITS EFFICACY ON MOSQUITOES
Espina de Castro Extracción de antioxidantes de los residuos de la destilación a vapor e hidrodestilación de la Lavandula angustifolia
JPS60120957A (ja) シソエキスの製造法
Angelini et al. Essential Oils
RU2255606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одово-ягодного пюре для детского и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AU20202052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residual plant components
RU2254761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одово-ягодного пюре для детского и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RU2254783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одово-ягодного пюре для детского и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RU2251945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одово-ягодного пюре для детского и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RU2256382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одово-ягодного пюре для детского и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RU2256384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лодово-ягодного пюре для детского и 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