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313B1 -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313B1
KR101884313B1 KR1020110106559A KR20110106559A KR101884313B1 KR 101884313 B1 KR101884313 B1 KR 101884313B1 KR 1020110106559 A KR1020110106559 A KR 1020110106559A KR 20110106559 A KR20110106559 A KR 20110106559A KR 101884313 B1 KR101884313 B1 KR 10188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a content
button
web page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319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110106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31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리모콘 상의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별도의 장치 없이 기존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METHOD FOR COTROLING MEDIA CONTENT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과거 방송서비스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공되었으나 고화질 방송, 인터랙티브 방송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커지면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현재 디지털 방송 표준은 유럽의 DVB-MHP(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와 미국의 ATSCDASE(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 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로 양분되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 디지털 방송 표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하게 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TV 방송의 다채널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각 채널 내에서도 전송량의 증대로 인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발달에 따라 날씨, 뉴스, 증권, 이메일,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EPG), TV 쇼핑, 뱅킹, 전화 서비스 및 인터넷 검색과 같이 단지 방송을 시청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송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최근 미디어에 대한 관심 증가와 HTML 5 스펙으로 인해 많은 웹 페이지 상에서 미디어 컨텐츠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TV 상의 서비스로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공되고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이하, 리모콘 이라 함)를 통해서는 공개특허 2008-0109180 에서 리모콘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 방법 및 문자 입력방법이 개시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컨트롤 하는 방법은 제안되지 않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2009-0060876에서는 마우스 기능을 구비하는 리모컨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도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위해서는 미디어 컨텐츠의 제어 버튼을 포인팅 하는 기존 PC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유지하여야 했다.
도 1은 종래의 TV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에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버튼(101)을 마우스 포인팅을 이용하여 클릭하여야 한다. 하지만 PC 방식의 인터페이스에서 지원되는 마우스와 달리 리모콘으로 지원되는 마우스의 움직임은 정밀도가 떨어져 재생 버튼(101)을 정확하게 포인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마우스 기능을 지원하는 리모콘을 사용해야지만 웹 페지이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제약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에서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리모콘 상의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리모콘 상의 선택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는 단계; 리모콘 상의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 상의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인식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별도의 장치 없이 기존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TV에서 제공하는 웹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어를 위한 리모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는 단계의 상세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기존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미디어 컨텐츠는 웹 페이지상에 표시되는 비디오 동영상, 음악 스트리밍 등 웹 페이지 상에서 재생 가능한 모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어 시스템은 방송 시스템(200) 및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시스템(200)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20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전용선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방송망 및 위성 통신망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시스템(200)은 다양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AV 신호)를 데이터 방송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한다.
또한, 방송 시스템(200)은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스케줄링 기능, 가입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방송 시스템(200)은 상향 채널을 통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통신 서버(예를 들어, 리턴 패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2)은 TV에 연결되어 방송 신호의 디코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셋톱박스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데스크탑, 노트북, 그 밖에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디코딩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 단말(20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TV 시청 등을 위해 사용되는 리모콘을 통해 제어되는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2)에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 이라 함)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2)에서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browser)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고, 리모콘 상의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2)에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의 방향키 버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상의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로 선택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선택영역은 웹 페이지 상에서 사용자의 방향키 버튼의 입력에 따라 이동되며, 제1 선택영역(301-A)과 같이 색으로 표시되거나, 제2 선택영역(301-B)과 같이 블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선택영역(301-A)은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를 나타내며, 제2 선택영역(301-B)은 웹 페이지 상에서의 일반적으로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미디어 플레이어를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가 재생시키기 위해 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링크 또는 미디어 플레이로 선택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선택영역(301-A)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제1 선택영역(301-A)에 링크되어 있는 미디어 컨텐츠가 제2 선택영역(301-B)에 새롭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방향키 버튼을 이용하여 선택영역을 제2 선택영역(301-B)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미디어 컨텐츠로 선택영역이 이동된 경우 사용자는 리모콘 상의 선택 버튼을 입력하여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택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리모콘 상의 임의의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2)은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때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선택 버튼 입력 시 웹 페이지상에 위치하는 선택영역의 좌표를 파악한다.
그 후,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선택영역이 위치한 좌표상의 웹 페이지의 소스를 분석하여, 미디어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로 선택 영역을 이동 시킨 후 선택 버튼 대신 미디어 제어 버튼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선택영역이 위치한 좌표상의 웹 페이지의 소스를 분석하여 미디어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웹 페이지의 소스는 사용자 단말(202)에서 제공하는 웹 브라우저가 사용하는 웹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ASP, JSP, PHP, HTML, XML, WML, VRML, JAVA Script 및 Perl 등 다양하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웹 페이지가 HTML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선택영역 좌표상의 웹 페이지 소스에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태그 영역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태그란, HTML 문서의 모양과 행동양식을 정해주는 하나의 명령어를 의미한다. 따라서, 미디어 태그란 음악이나, 동영상 등을 웹 페이지에 삽입하기 위한 명령어를 의미한다.
즉,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선택영역 내의 웹 페이지의 소스를 분석하여 미디어 태그 유무를 판별하고, 미디어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리모콘의 미디어 제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2)은 리모콘으로부터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이때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인식된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어를 위한 리모콘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은 종래의 일반적인 리모콘과 마찬가지로 멈춤 버튼(401), 재생 버튼(403), 일시 정지 버튼(405), 빨리 감기 버튼(407), 뒤로 감기 버튼(409)과 같은 미디어 제어 버튼(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향키 버튼(410), 선택 버튼(420) 및 음량 버튼(4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미디어 제어 버튼(400)의 종류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 일시 정지, 멈춤, 빨리 감기, 뒤로 감기 중 어느 하나의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방송 시스템(200)이 사용자 단말(20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202)에 미리 탑재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상세한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신호 수신 모듈(500),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502) 및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 모듈(500)은 리모콘으로부터 선택된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수신 모듈(500)에 수신되는 신호로는 사용자가 TV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웹 페이지를 탐색하기 위해 입력하는 방향키 버튼(410)이나, 특정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하는 선택 버튼(420)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가 선택된 후, 사용자가 입력하는 미디어 제어 버튼(400)에 상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502)은 신호 수신 모듈(500)에 선택 버튼(420)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웹 페이지상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은(502)는 사용자가 선택 버튼(420)을 입력할 시 선택영역이 위치하는 좌표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 소스를 웹 페이지 소스 저장부(미도시)로부터 호출한다.
이어서,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502)는 웹 페이지 소스내의 태그를 분석하여, 미디어 태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탐색한다. 예를 들어 HTML 소스 내에 미디어 태그의 일례인 <video> </video> 또는 <audio> </audio> 태그가 존재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502)은 사용자가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였음을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태그 영역에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502)는 선택영역의 좌표에 가장 가까운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미디어 컨텐츠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HTML 소스 내에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 미디어 제어 버튼(400)을 통해 컨트롤 되는 것은 현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미디어 컨텐츠에 해당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가 웹 페이지 상에 존재하더라도, 어떤 미디어 컨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지에 따라 동일한 미디어 제어 버튼(400) 사용하더라도 개별적으로 미디어 컨텐츠의 컨트롤이 가능하다.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은 신호 수신 모듈(500)에 미디어 제어 버튼(400)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디어 제어 버튼(400)의 기능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은 신호 수신 모듈(500)에 미디어 제어 버튼(400)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된다 하더라도,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402)이 웹 페이지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라면 아무런 작업을 수행 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은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만 작동되며, 그 외에는 사용자 단말(102)에 기 설정된 다른 명령이 수행될 수도 있다.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은 입력되는 미디어 제어 버튼(400)의 기능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 일시 정지, 멈춤, 빨리 감기, 뒤로 감기 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수신 모듈(500)에 빨리 감기 버튼(409) 또는 뒤로 감기 버튼(409)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은 미디어 컨텐츠의 현재 재생되는 시점에서 일정 시간 후 또는 전의 영상으로 점프된 영상을 재생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은 신호 수신 모듈(500)에 음량 버튼(430)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504)은 전체 화면 버튼(미도시)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미디어 컨텐츠가 전체 화면 모드(Full Screen Mode)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체 화면 버튼은 기존의 리모컨상의 제어 버튼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가 선택된 이후에 미디어 컨텐츠 인식 및 이의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별도의 선택 과정 없이 방향키 등에 의해 선택영역의 이동 후 미디어 제어 버튼 입력 시에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 인식 및 이의 제어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별도의 장치 없이 기존의 리모콘을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사용자의 미디어 제어 버튼 선택 시 미디어 컨텐츠의 인식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00)에서는 리모컨 상의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이어서, 단계(S610)에서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한다.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웹 페이지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했음을 인식하는 경우, 단계(S620)에서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의 기능에 따라 미디어 컨텐츠를 재생, 일시 정지, 멈춤, 빨리 감기, 뒤로 감기가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는 단계의 상세한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고하여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미디어 컨텐츠를 인식하기 위해 단계(S70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리모콘 상의 선택 버튼 또는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 버튼 또는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단계(S710)에서 웹 페이지 상의 선택영역이 위치한 좌표에 해당하는 웹페이지의 소스를 웹 페이지 소스 저장부(미도시)로부터 호출한다.
이어서, 단계(S720)에서 웹 페이지 소스에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미디어 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단계(S730)에서 미디어 태그 영역에 포함된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재생 버튼
200: 방송 시스템 202: 사용자 단말
301-A: 제1 선택영역 301-B: 제2 선택영역
400: 미디어 제어 버튼
401: 멈춤 버튼 403: 재생 버튼
405: 일시 정지 버튼 407: 빨리 감기 버튼
409: 뒤로 감기 버튼 410: 방향키 버튼
420: 선택 버튼 430: 음량 버튼
500: 신호 수신 모듈 502: 미디어 컨텐츠 인식 모듈
504: 미디어 컨텐츠 제어 모듈

Claims (14)

  1.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리모콘 상에 구비된 재생 버튼, 일시 정지 버튼, 멈춤 버튼, 빨리 감기 버튼 및 뒤로 감기 버튼 중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 페이지 상에 재생 가능한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웹 페이지 상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에 비디오 태그 또는 오디오 태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태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디어 태그 영역에 포함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리모콘 상의 방향키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의 선택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리모콘 상의 선택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에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태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디어 태그 영역에 포함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태그 영역에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미디어 컨텐츠 중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에 가장 가까운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는 비디오 동영상, 음악 스트리밍 등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 재생 가능한 모든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은 음량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음량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의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은 전체 화면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전체 화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9. 삭제
  10.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웹 페이지 상의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리모콘 상에 구비된 재생 버튼, 일시 정지 버튼, 멈춤 버튼, 빨리 감기 버튼 및 뒤로 감기 버튼 중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웹 페이지 상에 재생 가능한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웹 페이지 상에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웹 페이지 소스에 비디오 태그 또는 오디오 태그 중 하나를 포함하는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웹 페이지 상에 미디어 태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따라 상기 미디어 태그 영역에 포함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리모콘 상의 방향키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웹 페이지 상에서의 선택영역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미디어 제어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에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태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디어 태그 영역에 포함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컨텐츠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리모콘 상의 선택 버튼에 상응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영역의 좌표에 해당하는 상기 웹 페이지의 소스에 미디어 태그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태그가 포함된 경우 상기 미디어 태그 영역에 포함된 상기 미디어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14. 삭제
KR1020110106559A 2011-10-18 2011-10-18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88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559A KR101884313B1 (ko) 2011-10-18 2011-10-18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559A KR101884313B1 (ko) 2011-10-18 2011-10-18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319A KR20130042319A (ko) 2013-04-26
KR101884313B1 true KR101884313B1 (ko) 2018-08-01

Family

ID=4844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559A KR101884313B1 (ko) 2011-10-18 2011-10-18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9453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6958A (ja) * 2009-05-12 2010-11-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ウェブページ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000062B1 (ko) * 2010-04-21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5101A (ko) * 2002-11-22 2004-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마크업 화면에 매립된 오브젝트 화면의 입력 아이템을포커싱하는 방법 및 그 정보저장매체
KR20100129398A (ko) * 2009-06-01 2010-12-0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웹 페이지 네비게이션 방법 및 웹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6958A (ja) * 2009-05-12 2010-11-2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ウェブページ情報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1000062B1 (ko) * 2010-04-21 2010-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319A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258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ynching supplemental audio content to video content
JP5201692B2 (ja) 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をつけ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7098610B2 (ja) イベントの検出に応じて通常速度ビデオストリームと同時にスローモーションビデオストリーム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350563B1 (ko) Pvr 기능을 위한 트리거된 선언적 오브젝트에서의 pvr 하이퍼링크 기능
CA2738911C (en) Video branching
JP2008167018A (ja) 録画再生装置
JP2006511997A (ja) 映像信号を表示するための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コントローラを有するレジデンシャル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
EP1728385A4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 BROADCAST CHANNEL SERVICE USING EXTENDABLE FLAG LANGUAGE (XML)
US20040117830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US11812100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information based on an image presented on a display
US1167164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presented on a display
JP2008131413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KR102380673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7398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cess customized recording contents
CN102427564A (zh) 基于iptv的时间戳实现方法及系统
US11405681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trick function viewing of media content
KR102284295B1 (ko) 클라우드 기반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4313B1 (ko) 미디어 컨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US1044043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ong play using a media device having a buffer
KR101856852B1 (ko) 채널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의 유튜브 채널 실행 방법 및 장치
US2014007547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supplemental information pertaining to a news segment
KR202300294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0400814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medium interactive feature data and controlling a medium player
KR101472786B1 (ko)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2049119B1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녹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