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638B1 -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638B1
KR101883638B1 KR1020150095541A KR20150095541A KR101883638B1 KR 101883638 B1 KR101883638 B1 KR 101883638B1 KR 1020150095541 A KR1020150095541 A KR 1020150095541A KR 20150095541 A KR20150095541 A KR 20150095541A KR 101883638 B1 KR101883638 B1 KR 101883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pplication program
information
type appl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759A (ko
Inventor
김승범
양준모
김태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누리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누리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누리디엠씨
Priority to KR102015009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6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을 공개한다. 이를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Identifier matching method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팅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연관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타입을 갖는 두 타입의 식별정보를 서로 매칭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고 기술은 매체의 발전에 편승하여 함께 발전했다. 초창기 온라인 광고 기술은 배너 위주의 기술이었으며 사용자의 자발적인 접속에 의존하였다. 네트워크에는 너무나 많은 광고 매체가 등장했으며, 이에 따라 방대한 광고 컨텐츠가 상주함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광고 효과에 의문이 생겼다. 보다 효과적인 광고 기법이 제안되었다. 그것은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맞춤 광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 전환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수단이 쿠키다. 쿠키 기술은 사용자의 다양한 방문기술을 추적할 수 있으며, 써드 파티 쿠키(Third-party cookies)처럼 동일한 인터넷 주소가 아닌 다른 도메인 주소를 가질 수 있는 쿠키들은 좀더 넓게 사용자의 사이트 방문기록을 추적할 수 있게 도와준다.
쿠키 기술은 모바일 환경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의 모바일웹 환경에서 서드파티 쿠키를 이용하여 PC 웹에서와 같이 리타킷팅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많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은 모바일 브라우저보다 애플리케이션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은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사용자에게 PC의 웹이나 모바일 웹에서처럼 쿠키를 기반으로 한 리타깃팅 광고를 제공할 수 없는 장벽에 부딪히게 된 것이다.
한편, 모바일 웹을 애플리케이션 형태(안드로이드, iOS)로 패키징을 하게 되는 경우에, 각각의 앱내 브라우저는 webview와 같은 브라우저 컴포넌트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크롬이나 사파리와 같은 화면이지만 동일한 브라우저가 아니기 때문에 쿠키를 동일하게 유지할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웹의 형태이지만 쿠키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식별과 추적이 불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노력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쿠키를 사용할 수 없는 타입의 응용프로그램에서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 및 이를 일반화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리타깃팅 광고를 실행할 수 있는 신규한 솔루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고유 정보와 쿠키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앱과 브라우저 간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서버에서,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을 유발한 사용자기기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 접속위치는 상기 서버가 지정한 URL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는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쿠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는 임시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임시 식별정보는 상기 서버가 생성한 식별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사용자기기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된 임시 접속위치를 수신하는 송수신단계;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제공하는 도메인에 속한 장치에게 상기 사용자기기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송수신단계는 상기 사용자기기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되며, 상기 접속단계는 상기 사용자기기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는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져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는 쿠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기기에 연관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임시 접속위치는 UR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컴퓨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사용자 식별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된 임시 접속위치를 수신하는 송수신단계;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및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제공하는 도메인에 속한 장치에게 상기 사용자기기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컴퓨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사용자 식별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된 임시 접속위치를 수신하는 송수신단계;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및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제공하는 도메인에 속한 장치에게 상기 사용자기기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으로서:
(a) 광고주 웹 사이트의 추적기 서버가 상기 광고주 웹 사이트의 페이지에 추적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b) 모바일 디바이스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광고주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최초 접속 시 사용자 식별자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추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단계;
(e) 광고 서버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미리 설정된 제 1 광고 콘텐트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 1 광고 콘텐트를 선택하는 단계;
(g) 상기 제 1 광고 콘텐트에 대응하는 상기 광고주 웹 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매칭하는 단계; 및
(h)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상기 광고주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c) 단계에서 수집된 활동 정보와 연관성을 갖는 제 2 광고 콘텐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동일한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에 있어서,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광고주 웹 사이트의 상품 페이지, 장바구니 페이지, 구매완료 페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추적코드를 삽입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고 콘텐트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기 광고주 웹 사이트에서 (1) 본 상품, (2) 장바구니 상품, 및 (3) 본 상품, 장바구니 상품 및 구매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상품 중 어느 하나에 관련한 광고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면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에 탑재된 광고 모듈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여 상기 광고 서버로 광고 콘텐트를 요구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사용자 화면의 특정 영역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트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터치함으로써 광고주 웹 사이트로 최초 랜딩하는 경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와 미리 저장된 사용자 식별자를 매칭하여 매칭 테이블을 생성함으로써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미리 삽입된 서드 파티 쿠키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단계와,
이 단계 이후에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경우 광고주 웹 사이트의 광고 서버는 상기 서드 파티 쿠키에 의해서 추적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광고주 웹 사이트에서의 선행 활동 정보에 기초한 광고 콘텐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키를 사용할 수 없는 타입의 응용프로그램에서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 및 이를 일반화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고 방법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광고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따르면, 사용자가 웹이 아니라 모바일 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웹에서의 쿠키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앱에서 리타겟팅 광고를 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종래의 리타겟팅 방법이 동일한 브라우저 간에 쿠키를 통해 사용자 식별을 하여 타깃팅 된 광고나 콘텐츠를 제공하였다면, 본 발명은 앱 플랫폼과 인터넷 브라우저에 의한 플랫폼을 크로스하여 리타겟팅 광고를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예컨대 장바구니에 있으나 구매하지 않고 쇼핑몰 사이트를 떠난 경우의 Abandoned Cart를 앱이 실행될 때 앱 화면에서 다시 보여줄 경우에 높은 구매전환율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본 발명의 증진된 광고 효과를 입증하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라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쿠키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어떻게 앱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환경을 구축하는지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추적기 서버가 광고주 웹 사이트에서 쿠키를 삽입하여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사용자 화면의 시나리오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이력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12)을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7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로서 사용자게에 맞춤화된 개인화된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광고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 접속한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0)는 앱 플랫폼(미도시)을 경유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버(20)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설치한다.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서버(20)가 네트워크에 존재하며, 모바일 디바이스(10)가 그 서버들(2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메모리에는 애플리케이션 DB(11)가 구축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브라우저를 통해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표시되는 광고 콘텐트의 URL을 통해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1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유틸리티 애플리케이션, 모바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뉴스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사진 애플리케이션, 쇼핑 애플리케이션, 기타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광고 SDK가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광고 서버(150)가 제공하는 광고 콘텐트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사용자 화면의 특정 영역에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광고가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광고 매체로 기능한다. 애플리케션 소프트웨어는 광고주 서버(150)와 통신하면서 디바이스 정보를 주며 광고 콘텐트를 요청하는 기능, 사용자 화면의 미리 정해진 특정 영역에 광고주 웹 사이트(100)의 랜딩 페이지에 접속하는 링크를 갖는 광고 콘텐트를 표시하는 기능, 광고 로그를 애플리케이션 서버(20)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주 웹 사이트(100)는 상품 정보를 게시하며 구매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쇼핑몰 사이트일 수 있다. 광고주 웹 사이트(100)는 PC 용 웹 사이트일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전용 웹 사이트일 수 있다.
광고주 웹 사이트(100)는 미리 정해진 카테고리와 설계된 프레임을 포함하며, 복수의 웹 페이지로 구성된다. 특히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특정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 페이지, 사용자가 관심 있는 상품을 모아놓는 장바구니 페이지, 구매를 한 상품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구매 완료 페이지가 포함될 수 있다.
운영 서버(120)는 광고주 웹 사이트(100)의 운영과 관리에 관한 장치들과 소프트웨어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광고주 웹 사이트(100)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다수의 데이터베이스(121, 122)를 구축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베이스(121, 122)로는 상품정보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로그 데이터베이스, 과금 데이터베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추적기 서버(110)는 사용자가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 접속하여 행한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한다. 네트워크 시스템 관점에서 보자면, 추적기 서버(110)는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 접속한 모바일 디바이스(10)들의 활동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추적기 서버(110)가 광고주 웹 사이트(100)의 페이지들에 삽입한 추적코드가 방문자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는 매개 수단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적코드는 써드파티 쿠키를 포함한 추적정보 쿠키일 수 있다. 또한 방문자 행동 로그수집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활동에 관한 수집된 로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될 수 있다.
광고 서버(150)는 모바일 디바이스(10)의 요청에 따라 광고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0)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광고 정보를 광고 서버(150)에 요청할 때 디바이스 식별자를 전송해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광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광고 서버(150)는 복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할 광고 DB(151)를 갖는다.
매칭기 서버(130)는 광고 서버(150)에 전송된 모바일 디바이스(10)의 디바이스 식별자와 방문자의 사용자 식별자를 매칭하여 매칭 테이블을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떻게 추적정보 쿠키가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 준다. 도 2(a)는 종래 기술이 부딪힌 기술적 문제점을 나타낸다. 추적코드로서의 쿠키(2)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 브라우저(1)를 통해서 사용자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있다. 기존의 활동 이벤트에 기초하여 인터넷 브라우저(1)를 통해서 리타깃팅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별도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3)로는 쿠키(2)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추적할 수 없다. 요컨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3)가 광고 매체로 기능할 때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품 광고 정보에 쿠키(2)를 활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터넷 브라우저(1)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키(2)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5)를 결합할 수 있다. 이로써 쿠키를 활용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 브라우저(1)를 통한 과거의 사용자 활동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브라우저(1)에서 쿠키(2)를 통해 추적된 상품에 관한 광고 정보가 특정되어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1)를 이용하여 광고주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A”라는 상품을 보았다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을 때의 화면의 어떤 영역에 “A”라는 상품에 대한 광고 콘텐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광고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실행될 때 디바이스 식별자를 취득다. 그리고 상기 매칭 서버가 그 디바이스 식별자를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와 매칭함으로써 쿠키(2)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추적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모바일 디바이스(10)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서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 접속한다. 광고주 웹 사이트(100)의 서버는 사용자가 최초로 접속하는 경우에 사용자 식별자(UID)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0)는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서 활동 이벤트를 하게 된다. 사용자의 활동 이벤트로는 주요하게는 광고주 웹 사이트(100)에 게재된 상품정보를 보는 이벤트(View), 1개 이상의 상품을 장바구니 페이지로 옮기는 이벤트(Basket), 구매를 완료한 이벤트(Order)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적기 서버(110)는 사용자의 주요한 활동 이벤트에 관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동 정보를 수집한다. 활동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품 페이지(101), 장바구니 페이지(102), 구매완료 페이지(103)에 각각 쿠키(115)를 미리 삽입할 수 있다. 쿠키(115)를 이용하여 사용자(모바일 디바이스)의 활동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데, 이때 추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활동 로그는, 사용자 식별자(UID), 광고주 식별자(Shop_id), 활동 이벤트의 유형을 나타내는 Actiointype, 상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정보의 경우에는 구매완료 페이지(103)를 로딩하여 페이지 내 태그정보를 추적기 서버(110)로 전송하며, 이 정보를 파싱하여 가격, 상품 고유 번호(상품 id), 개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상품(View)에 관한 활동 이벤트 로그는 Log(uid, shop_id, action_type, product_id)로 표시될 수 있다. 말하자면 Log(1000000, 100, 'view', 'A001034'의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장바구니에 관한 활동 이벤트 로그도 본 상품에 관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Log(uid, shop_id, action_type, product_id)로 표시된다. Log(1000000, 100, 'basket', 'A001034)와 같다. 구매완료에 관한 활동 이벤트 로그는 Log(uid, shop_id, action_type, {product_id, price, count})로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광고 매체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했을 때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단계별 시나리오를 나타내며, 아래쪽 해당 단계에서의 주요 기능을 함께 표시하였다.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광고 매체로 기능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화면(19)의 특정 영역에 광고 콘텐트(19a, 제 1 광고)가 표시된다(19a). 애플리케이션에 설치된 광고SDK가 디바이스 식별자를 광고서버로 전송하면서 광고를 요청하며, 광고 서버는 이 요청에 대응하여 광고주의 랜딩 URL을 갖는 광고 콘텐트를 광고 SDK에 전송함으로써 도 4(a)의 시나리오처럼 표시될 것이다.
도 4(a)에서 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터치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입력수단, 사용자의 손가락은 대표적인 입력 수단 중의 하나이다)이 광고 콘텐트를 터치할 수 있다. 터치이벤트에 따라, 도 4(b)와 같이, 제 1 광고 콘텐트의 URL로 광고주 웹 사이트의 랜딩 페이지(109)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화면이 바뀐다. 이때 매칭 서버는 디바이스 식별자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를 매칭한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거쳐 인터넷 브라우저가 활성화됨으로써 디바이스 식별자와 사용자 식별자의 매칭 테이블이 형성되고, 그 다음부터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광고 서버와 통신하는 광고 매체로 기능한다면 인터넷 브라우저에서의 추적 정보가 앱에서의 광고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테면 모바일 디바이스가 나중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도 4(c)에 나타난 것처럼, 도 3에서 추적기 서버(110)가 수집하고 추적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동 이벤트에 대응하는 제 2 광고 콘텐트(19'a)가 애플리케이션 화면(19')에 표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화면(19)과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화면(19')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일 수도 있고, 다른 화면일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프로세스의 구성을 전체적이고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3에서 설명한 것처럼 광고주 웹 사이트의 추적기 서버가 광고주 웹 사이트의 페이지에 추적코드를 삽입한다(S100). 바람직하게는 상품 페이제, 장바구니 페이지, 구매 완료 페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페이지에 추적코드를 삽입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광고주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S110). 이때의 접속이 최초의 접속인 경우 사용자 식별자(UID)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추적기 서버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동 정보를 수집한다(S120).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어떤 상품을 보는지, 어떤 상품에 선택하여 관심을 보이는지, 어떤 상품을 구매하는지에 관한 활동정보를 추적기 서버가 수집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침으로써 인터넷 브라우저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활동들을 추적하며, 추적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제 모바일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의 국면으로 넘어간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S130). 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광고 매체로서 기능하며,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통해서 광고 콘텐트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광고가 표시되는 화면 구성에 있어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처음 사용자 화면의 특정 영역에서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사용자 화면의 어느 한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광고가 표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고 광고 콘텐트를 화면에 표시할 리퀘스트가 발생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광고 서버로 그 리퀘스트를 전송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광고 콘텐트 리퀘스트와 동시에 광고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를 광고 서버로 전송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바이스 식별자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Android ID, Advertising ID, iOS의 IDFA(Identification for Advertising)를 사용할 수 있다.
리퀘스트를 수신한 광고 서버는 해당 모바일 디바이스로 미리 설정되는(스케줄링 되어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 1 광고 콘텐트를 전송한다(S140). 이로써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화면을 통해서 광고주 웹 사이트에 게재된 상품에 관한 광고 콘텐트가 표시될 수 있다. 제 1 광고 콘텐트에는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한 광고주 랜딩 페이지의 URL을 갖는다.
다음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화면에 표시된 상기 제 1 광고 콘텐트를 터치함으로써 선택한다(S150). 이로써 제 1 광고 콘텐트에 있는 URL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넷 브라우저가 활성화되고 광고주 웹 사이트의 랜딩 페이지로 모바일 디바이스와 화면이 바뀌게 된다. 쉽게 말하자면 앱 화면에서 광고 배너를 터치함으로써 광고주 랜딩 페이지(예컨대 모바일 웹)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광고주 웹 사이트에 접속함에 따라 매칭기 서버는 이 접속을 통해서 입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식별자를 매칭하여 매칭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한다(S160).
이상의 단계를 거침으로써 인터넷 브라우저에서의 추적 코드를 통해서 얻는 사용자의 광고주 웹 사이트에서의 행동정보를 앱 플랫폼까지 확장할 수 있는 기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수단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제 2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광고주 웹 사이트를 통해 상기 (c) 단계에서 수집된 활동 정보와 연관성을 갖는 제 2 광고 콘텐트를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용자 화면의 미리 정해진 광고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S17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와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어떤 애플리케이션이든 상기 S160 단계에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통해 입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식별자와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해 입수하는 사용자 식별자와의 매칭 테이블이 생성된 이상,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이라면 광고 서버는 S170 단계의 사용자의 활동정보와 연관성을 갖는 광고 콘텐트를 앱 광고매체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광고 콘텐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가 광고주 웹 사이트에서 선행하여 (1) 본 상품, (2) 장바구니 상품, 및 (3) 본 상품, 장바구니 상품 및 구매상품과 연관성이 있는 상품 중 어느 하나에 관련한 광고인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구매한 상품이 있는 경우 광고 노출에서 제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광고주 웹 사이트에서 구매한 상품과 함께 구매하면 좋은 추천 상품을 광고로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태블릿 PC일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모바일 디바이스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와 각종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설치되며,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필요한 인터넷 브라우저의 실행과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구동이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피트니스 밴드, 스마트 목걸이를 들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광고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사용자 이력정보와 사용자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시키는 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이력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정보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는 사용자기기(201) 및 광고서버(202)가 관여될 수 있다. 사용자기기(201) 및 광고서버(202)는 각각 컴퓨팅 기능 및 통신 기능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기기(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 입력장치 및 사용자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출력장치는 화상출력 및 오디오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기기(201)는 예컨대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및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특히 사용자기기(201)는 예컨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또는 애플 운영체제에 의해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광고서버(202)는 통신기능을 포함하는 일종의 컴퓨팅 장치로서 '서버'라는 일반명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광고서버(202)는 '도메인1'이라는 특정 도메인에 속해있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광고서버(202)는 예컨대 'xxx.domain1.com'와 같은 '도메인1'에 속해 있는 복수 개의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기기(201)에는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 및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은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컨대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파리, 크롬 브라우져, 돌핀 브라우져와 같은 웹브라우져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는 쿠키(cookie)일 수 있다.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예컨대 안드로이드 앱 또는 애플 앱의 형태고 제공된 것일 수 있다.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의 예로서는 페이스북 앱, 유투브 앱, 각종 쇼핑몰 앱, 및 게임 앱 등을 들 수 있는데 으며, 이러한 예시들에 따른 응용프로그램들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응용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방법은 아래 단계들을 포함하여 실행될 수 있다.
단계(S11)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광고서버(202)에게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은 예컨대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할 광고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예컨대 사용자기기(201)의 MAC 어드레스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기기(201)가 전화기능을 갖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기기(201)에 영구적으로 또는 임시로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일 수 있다. 또는 상ㄱ이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기기(201)의 제조 시리얼 넘버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각 사용자기기(201)에 대하여 유일하게 할당된 임의의 타입의 식별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기기(201)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기기(201)마다 고유하게 할당되어 있는 구글광고식별자(GAID)일 수 있다. 사용자기기마다 유일하게 할당된 광고식별자는 사용자기기(201)가 애플 운영체제 또는 다른 종류의 운영체제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에도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임의의 타입의 식별정보는 사용자기기의 제조사와 운영체제 제공사의 협약에 의해, 또는 운영체제 제공사의 단독의 결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임의의 타입의 식별정보는 운영체제와는 관련없이 다양한 상업적 요구에 의해 다양한 사업주체에 의해 정의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단계(S12)에서 광고서버(202)는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초기서비스 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는 예컨대 임의의 광고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는 결국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에게 전달될 목적으로 준비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13)에서 광고서버(202)는 임시 식별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식별정보는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매칭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임시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그 자체일 수도 있고, 광고서버(202)가 내부적으로 생성한 식별코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식별코드는 생성될 때마다 증가하는 값을 갖는 숫자로 되어 있는 카운터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임시 식별정보는 특정 타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S14)에서 광고서버(202)는 임시 접속위치에 관한 정보를 준비한다. 예컨대 상기 임시 접속위치는 URL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이를 '임시 URL'로 표기하였다. 상기 임시 접속위치가 URL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임시 URL을 통해 접속되는 웹페이지는 광고서버(202)가 관리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인 '도메인1'에 속한 다른 장치가 관리하는 웹페이지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임시 접속위치는 광고서버(202)가 관리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인 '도메인1'에 속한 다른 장치가 관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임시 접속위치가 광고서버(202)에 의해 관리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단계(S15)에서 광고서버(202)는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준비할 수 있다.
단계(S16)에서 광고서버(202)는 준비된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는 결국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에게 제공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송신되는 초기서비스 정보에는 상기 임식 접속위치에 관한 정보, 예컨대 임시 URL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7)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수신된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출은 사용자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하거나 또는 오디오 출력을 통해 표출하거나 또는 진동 출력을 통해 촉각적으로 표출하는 등의 구현 가능한 임의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계(S18))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에 관한 사용자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출되는 광고인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광고가 나타낸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사용자입력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9)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사용자입력이 확인되면,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수신한 임시 접속위치를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인 경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웹브라우져를 실행시켜서 사용자에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상기 웹브라우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S20)에서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은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이고, 상기 임시 접속위치가 광고서버(202)가 제공한 웹페이지인 경우, 상기 웹브라우져는 상기 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웹페이지에는 상기 웹브라우져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초기목표서버(203)에서 제공하는 초기목표 접속위치쪽으로 리다이렉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21)에서 광고서버(202)는 사용자기기(2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력정보(221)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221)는 예컨대 쿠키일 수 있다. 사용자 이력정보(221)가 쿠키인 경우, 상기 쿠키에는 사용자가 방문한 웹페이지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쿠키는 사용자 이력정보라는 속성을 지닐 수 있다. 상기 쿠키는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을 위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인 경우, 광고서버(202)가 상기 웹브라우져와 통신할 수 있도록 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기기(201)에 저장되어 있는 쿠키 중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1을 위해 존재하는 쿠키를 광고서버(202)가 액세스할 수 있다.
만일 단계(S15)에서 준비된 웹페이지가 광고서버(202)와는 다른 장치이지만 도메인1에 속해 있는 다른 장치가 관리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상기 다른 장치는 사용자 이력정보(221)를 액세스 할 수 있다.
단계(S22)에서 광고서버(202)는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의 접속위치를 초기목표서버(203)가 관리하는 '초기목표 접속위치'로 리다이렉팅 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서버(202)에서 준비한 상기 임시 접속위치가 웹페이지이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인 경우, 상기 초기목표 접속위치는 초기목표서버(203)가 관리하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상기 초기목표 접속위치는 단계(S12)에서 준비한 초기서비스 정보에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가 특정 회사의 물품에 관한 광고인 경우, 상기 초기목표 접속위치는 상기 물품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단계(S23)에서 광고서버(202)는 사용자기기(201)로부터 액세스한 사용자 이력정보(221)에 단계(S11)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매칭할 수 있다.
도 6에서 사용자기기(201)와 광고서버(202)는 직접 연결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실제로 사용자기기(201)와 광고서버(202) 사이에는 한 개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망이 존재할 수 있다.
도 6을 통해 설명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기기(201)로부터 액세스한 사용자 이력정보(221)에 단계(S11)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식별정보가 매칭될 수 있다. 이로써 도 7를 통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맞춤형 서비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게 특화된 광고일 수 있다.
<사용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을 통해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따른 방법의 각 단계들은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일련의 과정이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S31)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은 광고서버(202)에게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은 상술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과 동일한 타입의 앱일 수 있다. 또는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은 상술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과 동일한 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도 6의 단계(S11)에서 제공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도 6의 단계(S23)에서 사용자 이력정보(221)에 연관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동일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요청은 예컨대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할 광고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요청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2)에서 광고서버(202)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된 사용자 이력정보(221)를 기초로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 풀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정보들은 광고서버(202)와는 다른 장치들로부터 수집될 수도 있다. 이 다른 장치들은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1과는 다른 도메인에 속한 장치들일 수도 있고, 도메인1에 속한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는 개인화된 광고일 수 있다.
광고서버(202)가 도 7의 단계(S31)을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획득하면, 광고서버(202)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사용자 이력정보(221)에 연관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6의 단계(S23)에서 사용자 이력정보(221)가 사용자 식별정보에 이미 연관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만일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221)가 쿠키인 경우, 상기 쿠키에는 상기 사용자가 방문한 다양한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쿠키를 확인하면 상기 사용자의 성향에 대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서비서 정보, 에컨대 광고를 준비할 수 있다.
이때 도메인1에 속한 광고서버(202)는, 사용자기기(201)에 저장된 쿠키 중 도메인1을 위해 준비된 쿠키에만 액세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메인1을 위해 준비된 쿠키가 3rd 파티 쿠키인 경우, 상기 쿠키에는 도메인1이 아닌 다른 도메인에 속한 웹페이지들에 관한 정보도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쿠키는 3rd 파티 쿠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단계(S33)에서 광고서버(202)는 상기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와 연관된 목표 접속위치를 준비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목표 접속위치는 URL의 형태로 제공되는 '목표 URL'일 수 있다. 상기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가 예컨대 개인화된 광고인 경우, 상기 목표 URL은 상기 개인화된 광고에 관련된 물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웹페이지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목표 URL을 관리하는 목표서버(204)는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1과 동일한 도메인에 속해있거나 또는 이와 다른 도메인에 속해 있는 서버일 수 있다.
단계(S34)에서 광고서버(202)는 상기 개인화하여 준비된 서비스 정보를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정보에는 상기 준비된 목표 접속위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35)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은 상기 제공받은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할 수 있다.
단계(S36)에서 상기 표출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정보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만일 상기 서비스 정보가 개인화된 광고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광고를 클릭할 수 있다.
단계(S37)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은 상기 목표 접속위치를 이용하여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이고 상기 목표 접속위치가 목표 URL인 경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3)은 상기 웹브라우져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에게 표출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웹브라우져에게 상기 목표 URL을 제공하여 상기 웹브라우져가 상기 목표 URL에 관한 웹페이지를 표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단계(S38)에서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은 목표서버(204)가 관리하거나 제공하는 목표 접속위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 접속위치는 목표서버(204)가 관리하거나 제공하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한편, 단계(S32)에서 준비한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는, 도 6의 단계(S21)에서 액세스한 사용자 이력정보(221)를 기초로 한 것이다. 사용자기기(201)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221)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이력을 더 많이 축적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이력정보(221)가 쿠키인 경우 사용자가 더 많은 웹페이지에 방문할 때마다 쿠키가 포함하는 정보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를 최적화하려면 시간에 따라 진화하는 사용자 이력정보(221)의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따른 일련의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도 도 6의 단계(S21)에서 액세스한 사용자 이력정보(221)의 내용을 갱신하는 방법을 도 8을 통해 설명한다.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면서 개인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갱신하는 방법>
도 8은 도 7로부터 변형된 실시예로서 사용자게에 맞춤화된 개인화된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광고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S41)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광고서버(202)에게 '서비스 정보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요청은 예컨대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출할 광고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요청은 도 6의 단계(S11)에서 전송한 사용자 식별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2)에서 광고서버(202)는 상기 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서비스 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비스 정보는 도 7의 단계(S32)와 마찬가지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와 관련하여 최적화된 개인화된 서비스 정보일 수 있다.
단계(S43)에서 광고서버(202)는 제2임시 식별정보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임시 식별정보는 상기 서비스 정보요청에 매칭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임시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 그 자체일 수도 있고, 광고서버(202)가 내부적으로 생성한 상술한 식별코드일 수 있다. 상기 제2임시 식별정보는 상기 임시 식별정보와 동일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단계(S44)에서 광고서버(202)는 제2임시 접속위치에 관한 정보를 준비한다. 예컨대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는 URL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8에서는 이를 '제2임시 URL'로 표기하였다.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가 URL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2임시 URL을 통해 접속되는 제2웹페이지는 광고서버(202)가 관리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인 '도메인1'에 속한 다른 장치가 관리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는 광고서버(202)가 관리하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광고서버(202)가 속한 도메인인 '도메인1'에 속한 다른 장치가 관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가 광고서버(202)에 의해 관리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단계(S45)에서 광고서버(202)는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제2웹페이지를 준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웹페이지는 광고서버(202)와 동일한 도메인1에 속한 상기 다른 장치가 준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S46)에서 광고서버(202)는 준비된 상기 서비스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상기 서비스 정보는 결국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에게 제공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송신되는 서비스 정보에는 상기 제2임식 접속위치에 관한 정보, 예컨대 제2임시 URL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47)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수신된 상기 서비스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
단계(S48))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서비스 정보에 관한 사용자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49)에서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사용자입력이 확인되면,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상기 수신한 제2임시 접속위치를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인 경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웹브라우져를 실행시켜서 사용자에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211)은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를 상기 웹브라우져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S50)에서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은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이고,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가 광고서버(202)가 제공한 상기 제2웹페이지인 경우, 상기 웹브라우져는 상기 제2웹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웹페이지에는 상기 웹브라우져에 표시되는 콘텐츠가 목표서버(204)에서 제공하는 목표 접속위치쪽으로 리다이렉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51)에서 광고서버(202)는 사용자기기(20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력정보(221)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221)는 예컨대 쿠키일 수 있다. 단계(S51)가 도 6의 단계(S21)가 이루어진 시간 보다 더 늦은 시간에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 이력정보(221)는 갱신된 상태일 수 있다.
단계(S52)에서 광고서버(202)는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의 접속위치를 목표서버(204)가 관리하는 '목표 접속위치'로 리다이렉팅 할 수 있다. 예컨대 광고서버(202)에서 준비한 상기 제2임시 접속위치가 웹페이지이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212)이 웹브라우져인 경우, 상기 목표 접속위치는 목표서버(204)가 관리하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상기 목표 접속위치는 단계(S42)에서 준비한 서비스 정보에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비스 정보가 특정 회사의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광고인 경우, 상기 목표 접속위치는 상기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 웹페이지일 수 있다.
단계(S53)에서 광고서버(202)는 사용자기기(201)로부터 액세스한 사용자 이력정보(221)를 이용하여 도 6의 단계(S23)을 통해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도 8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게에 맞춤화된 개인화된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광고서버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서버에서,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을,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며,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정보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을 유발한 사용자기기 또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정보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접속위치는 상기 서버가 지정한 URL인, 정보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는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쿠키인, 정보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서비스 정보는 임시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임시 식별정보는 상기 서버가 생성한 식별코드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인, 정보처리방법.
  7. 사용자기기가,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단계;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된 임시 접속위치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사용자기기가,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및
    상기 사용자기기가,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제공하는 도메인에 속한 장치에게 상기 사용자기기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며,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정보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 및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기기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송신단계 및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되며,
    상기 접속단계는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에서 수행되는,
    정보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웹브라우져이며,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는 쿠키인,
    정보처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는 상기 사용자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기기에 연관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정보처리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접속위치는 URL인, 정보처리방법.
  12. 서버에서,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수신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처리방법.
  13.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을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며,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컴퓨팅장치.
  14.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사용자 식별정보가 포함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을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수신된 초기서비스 정보요청에 대응하여 임시 접속위치를 포함하는 초기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한 사용자기기의 사용자 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정보에 연관시키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며,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15.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단계;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된 임시 접속위치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및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제공하는 도메인에 속한 장치에게 사용자기기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며,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컴퓨팅장치.
  16.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단계;
    상기 송신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된 임시 접속위치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임시 접속위치에 접속하는 접속단계; 및
    상기 임시 접속위치를 제공하는 도메인에 속한 장치에게 사용자기기에 저장된 사용자 이력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으며,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며, 상기 제1타입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제2타입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상기 사용자 이력정보의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095541A 2015-07-03 2015-07-03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83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41A KR101883638B1 (ko) 2015-07-03 2015-07-03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41A KR101883638B1 (ko) 2015-07-03 2015-07-03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59A KR20170004759A (ko) 2017-01-11
KR101883638B1 true KR101883638B1 (ko) 2018-08-02

Family

ID=5783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541A KR101883638B1 (ko) 2015-07-03 2015-07-03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6368A (ja) * 2009-02-13 2010-08-26 Nifty Corp 広告決定方法及び装置
JP5456834B2 (ja) * 2012-04-19 2014-04-02 ヤフー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アプリ及びブラウ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78158B2 (en) * 2012-04-27 2015-03-10 Google Inc. Privacy management across multiple devices
KR101462669B1 (ko) * 2013-01-11 2014-11-21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광고 네트워크 탐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34547A (ko) * 2013-09-26 2015-04-03 주식회사 모코플렉스 애플리케이션간 사용자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6368A (ja) * 2009-02-13 2010-08-26 Nifty Corp 広告決定方法及び装置
JP5456834B2 (ja) * 2012-04-19 2014-04-02 ヤフー株式会社 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アプリ及びブラウ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59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5484B1 (en) System and method of personalizing online marketing campaigns
US2022035854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oss-browser advertising id synchronization
US20210200943A1 (en) Website improvements based on native data from website building system
US20190095929A1 (en) Unification of web page reporting and updating through a page tag
CN103765456B (zh) 社交网络系统数据交换的方法
US2013001872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dvertisement interactions for internet advertising
KR101646234B1 (ko)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인터넷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크로스 플랫폼 리타깃팅 방법
CN104054055A (zh) 以物理设备或软件应用程序的标识符之间的关联为基础使用联网设备识别和跟踪用户活动
US10311490B2 (en) Visual tag editor
WO2013003425A2 (en) Inter-campaign advertising management
CN102449655A (zh) 电子内容的保护服务
CN102804216A (zh) 定向图像广告
US20230334239A1 (en) Generating custom application links
US201403168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item specific user interest
JP2017526080A (ja) オンライン・システムのユーザに対して提示されるコンテンツに基づく代替コンテンツの選択
US20160328754A1 (en) Method and System to Facilitate e-Commerce Transactions at a Host Website
US20170046737A1 (en) Tag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tags on web pages of publishers
EP2772881B1 (en)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 via an advertisement proxy server
KR101883638B1 (ko) 식별정보 매칭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22298A (ko) 광고 중개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US201900574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or Modifying Electronic Shopping Lists from Digital Advertisements
US201901027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evaluating data
US202200671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ation for Digital Displayed Media
WO20141235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oup purchase of on-line advertising
US20180113842A1 (en) Objective-based rendering of content i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