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301B1 -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 Google Patents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301B1
KR101881301B1 KR1020170012561A KR20170012561A KR101881301B1 KR 101881301 B1 KR101881301 B1 KR 101881301B1 KR 1020170012561 A KR1020170012561 A KR 1020170012561A KR 20170012561 A KR20170012561 A KR 20170012561A KR 101881301 B1 KR101881301 B1 KR 101881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filter
power devi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5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옹영근
Original Assignee
영훈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훈전기(주) filed Critical 영훈전기(주)
Priority to KR102017001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3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3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A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a power device housing, which is to easily replace a filter without an additional disassembly work in an uninterrupted state of a power device, comprises: a body part which has an opened front surface so as to be installed in one surfac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while passing therethrough, and which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filter therein and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penetrating a rear surface so as to suck air into the power device housing; and a door part which is hinge-coupled to the body par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at an outer side of one surfac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penetrating a front surface thereof so as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Description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본 발명은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장치의 무정전 상태에서 별도의 해체 작업없이 손쉽게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a power device hous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a power device housing capable of easily replacing a filter without disassembly in an uninterrupted state of the power device.

일반적으로 전기, 전가 및 통신장비 등을 수납하는 전력장치 하우징은 내부에 랙 방식으로 다양한 전력장치들을 탑재한다. 전력장치들에서 발생되는 열은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부면 또는 측벽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공기배출구를 통해 열이 포함된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공기의 흐름이 원활할수록 열 배출에 유리하기 때문에, 팬 등을 이용하여 공기 흐름을 강제로 만들어 줄 수 있으며, 별도의 공기 유로 등을 형성하기도 한다.Generally, a power device housing for storing electricity, transfer and communication equipment includes various power devices in a rack manner. At least one or more air outlet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side wall for discharg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power devices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side the power device housing containing he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s. As the air flow is more smooth, it is advantageous for the heat discharg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ke the air flow by using a fan or the like, or to form a separate air flow path or the like.

종래에는 전력장치 하우징의 전면부 등에 설치된 공기 유입구와 상부에 장착된 팬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흐르게 하여 가열된 내부 공기를 강제 냉각하되, 외부의 먼지, 이물질 등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 유입구의 주위에 필터수납 장치을 볼트 결합시켜 필터를 수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Conventionally, an air inlet provided on a front portion of a power unit housing and a fan unit mount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re used to flow outside air to the inside to forcibly cool the heated inside air. However, dust, foreign matter, It is common to store the filter by bolting 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around the air inlet.

그러나 종래기술은 필터를 교체할 시 높은 전류, 전압에 의해 감전될 수 있어 전력장치들의 전원을 끄고 필터 수납장치와 전력장치 하우징의 볼트 결합을 해제한 후 필터를 교체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filter is replaced, the filter can be charged by a high current and voltage, so that the power of the power devices is turned off, 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and the power device housing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lter is replac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9992호 (2010년 01월 26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39992 (January 26,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 교체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을 방지하면서, 전원을 끄지 않고도 필터를 교체할 수 있는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housing device for a power device housing that can replace a filter without turning off the power while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that may occur when a filter is replaced .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력장치 하우징의 일면에 관통 설치되며, 내부에 필터를 수납하기 위해 형성된 수납공간 및 후면에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되는 다수의 제1 흡입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력장치 하우징의 일면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전력장치 하우징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되는 다수의 제2 흡입공을 포함하는 도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a power device housing, 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to penetrate through a housing of a power device, A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penetrating to suck air into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which are hing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open front face of the main body at one 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And a door portion.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차폐할 경우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접촉되며, 상기 도어부의 전류를 집중시키는 제1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지부재로부터 전류를 전달받아 접지하는 제2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door portion shields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he door portion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second grounding member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from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receiving a current from the first grounding member and grounding the grounding member.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필터를 접착 고정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Velcro tape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adhesively fix the filter housed in the storage space.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로킹홀과,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핸들과, 일단은 상기 로킹핸들의 일단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측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로킹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로킹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상기 로킹고리에 대응하는 로킹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로킹핸들의 회전에 의한 상기 로킹고리와 상기 로킹홈의 걸림결합 및 이탈로, 상기 도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or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hol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oor portion, a locking handle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and rotatably installed at one end thereof and extending rearwardly at one end of the locking handle, And the other end is bent to the side and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locking handle, the body portion has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ring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locking and disengaging engagement between the locking ring and the locking groove allows the door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to be engaged and disengaged.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전면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면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며, 일단은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도어부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가 특정 각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접절식 바 형상의 도어스토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및 필터의 사이에 설치되어 필터를 상기 도어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 및 필터의 사이에 형성되어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도어스토퍼부 타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홀 및 상기 도어스토퍼부의 타단을 관통하면서 상기 슬라이딩 홀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 홀에 상기 도어스토퍼부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는 제1 도어와, 상기 제1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고, 상부에 상기 필터를 접착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되는 절연재질의 제2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도어가 상기 제1 도어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스프링과,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 및 타단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위치 본체, 상기 스위치 본체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돌기에 의해 상방 이동하는 제1 돌기,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어하고 상방 이동한 상기 제1 돌기에 의해 하방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스프링을 작동시키는 제2 돌기, 상기 스위치 본체의 타단으로부터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본체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스위치바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portion is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open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front side so that one end is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ncludes 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filter to press the filter toward the door portion side, and an elastic body formed between the elastic body and the filter to support the filter Wherein the door portion includes a sliding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oor so as to guid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door stopper portion and a sliding hole penetrating the other end of the door stopper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And a sliding protrusion for fixing the door stopper portion, And a second door of an insulating material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slidable up and down to form a Velcro tape for adhering and fixing the fil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door, A first spring provided between the door portion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second door slides upward from the first door, a switch body formed in a bar shape and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movable up and down, A firs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one end and move upward by the sliding protrusion; a second protrusion which protrudes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witch body to control an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A second protrusion for actuating the first spring,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switch bar accommodating a second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enabl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witch body.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 개폐시 상기 필터로부터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상기 제1 도어의 후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다수의 분진흡입공을 포함하는 분진흡입관과, 상기 제1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고, 상기 분진흡입관과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제공하는 분진흡입팬과, 상기 분진흡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분진흡입관으로부터 흡입된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포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oor part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to suck dust scattered from the filter when the door part is opened and closed, and has a plurality of dust suction holes A dust suction fan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and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pipe to provide a suction pressure for sucking dust; and a dust suction fan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pipe, And a dust collecting member for collecting the dust.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흡입공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저장부재와, 상기 냉각수 저장부재 일단에 형성되며, 외부의 냉각수 저장탱크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 공급관과, 상기 냉각수 저장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며, 냉각수 저장탱크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portion may include a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installed inside the door portion and storing cooling water for cooling external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hole, A cooling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cooling water from the tank and a cooling water discharge pip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for discharging the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는 필터를 수납하는 본체부의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므로, 전력장치의 전원을 끄지 않아도 도어부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어 보다 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필터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a power unit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portion that can open and close a front surface of a main body for housing a filter. Therefore, So that the filter can be replaced easily and conveniently.

또한,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는 제1 접재부재 및 제2 접지부재를 통해 본체부 및 도어부의 전류를 접지함으로써, 본체부 및 도어부의 전위를 대지와 동일하게 '0'이 되도록 하여 필터 교체시에 감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the power device housing grounds the currents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door por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members so that the potential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door portion becomes '0'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 shock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가 전력장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부재 및 제2 접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 및 본체부의 결합 및 분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unit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apparatus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ower apparatus housin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ground member and a second ground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oo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unit hous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liding switch ba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a sliding switch ba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do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or uni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exhaustive or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is provided to inform the person completely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forms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u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가 전력장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apparatus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apparatus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는 본체부(100) 및 도어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전력장치는 변압기, 인버터, 수배전반 등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apparatus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0 and a door portion 200. At this time, the power device may be a transformer, an inverter, a switchboard, or the like.

본체부(100)는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력장치 하우징의 일면에 관통 설치되며, 내부에 필터를 수납하기 위해 형성된 수납공간 및 후면에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되는 다수의 제1 흡입공(101)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100 has a front opening shape and is inserted through one 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for housing the filter,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sucking air into the power device housing And includes a first suction hole (101).

이때,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날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날개부재는 본체부(10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서 전력장치 하우징에 위치한다. 본체부(100)와 제1 날개부재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w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along a rim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wing member protrudes outward along the rim of the body portion 100 and extends horizontally and is located in the power device hous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wing member are preferably integrally formed by press molding.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와 힌지 결합되어 전력장치 하우징의 일면 외측에서 본체부(10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면에 전력장치 하우징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되는 다수의 제2 흡입공(201)을 포함한다.The door unit 200 is hinged to the main body 100 to open and close the open front of the main body 100 on one 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201) penetrating therethrough.

도 2를 참조하면, 도 2의 (a)에서는 필터(A)를 수납하고 있는 본체부(100)의 전면이 도어부(200)에 의해 차폐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도 2의 (b)에서는 필터(A)를 수납하고 있는 본체부(100)의 전면이 도어부(200)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2,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ccommodating the filter A is shielded by the door part 200 can be confirmed in FIG. 2 (a) It can be seen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housing the filter A is opened by the door part 200. [

이때, 본체부(100)의 제1 날개부재를 통해 전력장치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용이한 탈착 및 자재비 절감을 위해 볼트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may be installed in the power device housing through the first wing member of the main body 100, and it is preferably bolted to easily detach and reduce the material cost.

또한, 도어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200)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본체부(100)의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날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날개부재는 도어부(200)와 프레스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the door unit 2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protrude upward along the rim of the door unit 200 as shown in FIG. 2, And a second wing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second wing member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or portion 200 by press forming.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는 제1 흡입공(101) 및 제2 흡입공(201)에 의해 흡입된 외부의 공기를 전력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전달함으로써, 전력장치에 의해 가열된 내부의 공기를 순환할 수 있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a power device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external air sucked by the first suction hole 101 and the second suction hole 201 to the in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The internal air heated by the electric power unit can be circulat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temperature inside the electric power unit housing.

또한, 본체부(100)에 필터(A)가 수납되어 있어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때, 같이 유입될 수 있는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의 오염 및 이물질에 의한 전력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전력장치의 수명과 신뢰성 감소를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Since the filter A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which may be introduced when external air flows into the power unit housing, can be remov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power device by the power supply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reduction of the life and reliability of the power device and stably operating the power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접지부재 및 제2 접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ground member and a second ground memb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에서의 도어부(200)는 제1 접지부재(210)를 포함하고, 본체부(100)는 제2 접지부재(1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door portion 200 in the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device hous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round member 210, and the main body portion 100 includes a second ground Member (110).

여기서, 접지란 전자기기, 통신장비, 계측장비 등 전기설비 시스템과 피뢰설비의 접지선을 대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어스(earth)라고도 한다. 접지는 장비와 대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장비에 작용하는 과부하나 낙뢰 등에 의한 서지전압을 대지로 흘려보내 과부하 및 서지전압으로부터 장비의 손상을 방지하고 첨단 전자장비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하도록 해준다.Here, grounding refers to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grounding lines of electrical equipment systems such as electronic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measuring equipment, and lightning protection equipment to the ground,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earth. Grounding i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quipment and the ground to allow the surge voltage to flow to the ground due to an overload that acts on the equipment, such as a lightning strike, to prevent equipment damage from overload and surge voltage, and to prevent malfunctioning of advanced electronic equipment. .

제1 접지부재(210)는 도어부(200)의 내측면으로부터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도어부(200)가 본체부(100)의 전면을 차폐할 경우 본체부(100)의 후면에 접촉되며, 도어부(200)의 전류를 집중시킨다.The first grounding member 210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door part 200 to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When the door part 20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concentrates the electric current of the door unit 200. As shown in FIG.

제2 접지부재(110)는 본체부(100)의 후면으로부터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제1 접지부재(210)로부터 전류를 전달받아 접지한다. 이때, 제2 접지부재(110)는 대지에 맞닿는 접지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부(100)의 전류를 집중시키고, 제1 접지부재(210)로부터 전달받은 도어부(200)의 전류와 함께, 본체부(100)의 전류를 접지하게 된다.The second grounding member 110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receives a current from the first grounding member 210 to ground. At this time, the second grounding member 110 is connected to a grounding line touching the ground, and the current of the main body 100 is concentrated, and together with the current of the door unit 200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nding member 210, The current of the main body 100 is grounded.

구체적으로, 제2 접지부재(110)는 접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어부(200)의 제1 날개부재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를 전력장치 하우징에 결합하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econd grounding member 1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wing member of the door unit 200 to facilitate grounding, and the filter housing unit for a power devic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power devic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 is a bolt.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는 제1 접지부재(210) 및 제2 접지부재(110)에 의해 전류를 접지함으로써, 본체부(100) 및 도어부(200)의 전위를 대지와 동일하게 '0'이 되도록 하여 필터 교체시에 본체부(100) 또는 도어부(200)에 사용자의 손이 닿아도 감전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apparatus hous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art 100 and a door part 200 (not shown) by grounding the current by the first ground member 210 and the second ground member 110. [ The electric potential of the main body 100 or the door 200 can be set to '0' as in the case of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의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수납공간에 수납된 필터(A)를 접착 고정하는 벨크로 테이프(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main body 100 of 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a power device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filter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velcro tape 103.

이에 따라, 벨크로 테이프(103)를 통해 본체부(100)에 수납된 필터(A)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본체부(100)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필터(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firmly fix the filter A received in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Velcro tape 103 and to prevent the filter A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separated .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 및 본체부의 결합 및 분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door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도어부(200)는 도어부(200)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로킹홀(202)과, 로킹홀(20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핸들(203)과, 일단은 로킹핸들(203)의 일단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측방으로 절곡되며, 로킹핸들(203)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로킹고리(2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oor unit 200 includes a locking hole 202 formed through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oor 200, a locking handle 203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202 and rotatably installed therein And a locking ring 204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cking handle 203 and extends rearward and the other end is bent sideways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ocking handle 203.

본체부(100)는 본체부(100)의 후면에 로킹고리(204)에 대응하는 로킹홈(102)이 관통 형성된다.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102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ring 204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따라서, 로킹핸들(203)의 회전에 의한 로킹고리(204) 및 로킹홈(102)의 걸림결합 및 이탈로 도어부(200) 및 본체부(1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locking ring 204 and the locking groove 102 by the rotation of the locking handle 203 enables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door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도 4의 (a)는 로킹고리(204) 및 로킹홈(102)의 걸림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로킹핸들(203)을 파지한 후 상방으로 들어올리면 로킹홈(102)으로부터 로킹고리(204)가 이탈되어 도어부(200)와 본체부(100)가 분리된다.4A shows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of the locking ring 204 and the locking groove 102 is release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grips the locking handle 203 and lifts it upward, 102, the locking ring 204 is disengaged and the door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are separated.

도 4의 (b)는 도 4의 (a)에서 로킹핸들(203)을 회전시켜 로킹고리(204) 및 로킹홈(102)이 걸림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상태에서 로킹핸들(203)을 파지한 후 상방으로 들어올려도 도어부(200)와 본체부(100)는 분리되지 않는다.4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ring 204 and the locking groove 102 are engaged by rotating the locking handle 203 in FIG. 4 (a). In this state, The door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때, 로킹핸들(203)은 도어부(200)와 본체부(100)의 결합 또는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므로,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 소재를 사용하되, 특히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locking handle 203 is a portion gripped by the user for joining or separating the door portion 200 and the body portion 100, an insulating material is used to prevent electric shock,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stic having a low cost.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apparatus hous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in bod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a sliding switch ba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5 to 8, a filter accommodating apparatus for a power unit hous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구체적으로, 도 5의 (a)는 도어부가 본체부의 전면을 차폐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어부가 본체부의 전면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의 (c)는 도어부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어부의 제1 도어 및 제2 도어의 설명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5 (a)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part shields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FIG. 5 (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part opens the front face of the main body part. 5 (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portion is sli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of the door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어부(200)는 본체부(100)의 전면의 하측에 힌지 결합되어 전면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다.The door unit 200 is hinged to a low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is opened in a front lower direction.

또한, 일단은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도어부(200)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도어부(200)가 특정 각도 이상으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접절식 바 형상의 도어스토퍼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어스토퍼부(300)를 더 설치함으로써, 도어부(200)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만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어부(200)의 손상방지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door stopper 300 is coupl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door unit 200 to prevent the door unit 200 from being opened beyond a predetermined angle. ). ≪ / RTI > By additionally providing the door stopper portion 300, the door portion 200 can be open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damage and stability of the door portion 200 can be secured.

이때, 필터(A)는 본체부(100)의 수납공간에 수납되어 있고, 도어부(200)는 도어스토퍼부(300)에 의해 개방되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도어부(200)와 본체부(100)의 사이로 사용자가 손을 넣어 본체부(100)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필터(A)를 이탈시키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A is hou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oor 200 is limited in the opening range by the door stopper 300, It is troublesome for the user to put his / her han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filter A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100.

이에 따라, 본체부(100)는 본체부(100) 및 필터(A)의 사이에 설치되어 필터(A)를 가압하는 탄성체(120)와, 탄성체(120) 및 필터(A)의 사이에 형성되어 필터(A)를 지지하는 지지판(130)을 더 포함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in body portion 100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filter A and is formed between the elastic body 120 for pressing the filter A and the elastic body 120 and the filter A And the support plate 130 for supporting the filter A, thereby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지지판(130)은 탄성체(120)의 탄성력을 필터(A)에 균일하게 제공하기 위해 필터(A)를 지지하는 것으로, 금속, 목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대표적인 절연체 소재이며,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체(120)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의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지도록 조립이 용이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130 supports the filter A to uniformly provid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120 to the filter A. The support plate 13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metal, wood, plastic, etc.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insulator material which is easy to process and mold and is inexpensive. The elastic body 120 may be a spring that is easy to assemble to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body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어부(200)가 본체부(100)의 전면을 차폐하고 있을 시에는 차폐된 도어부(200)가 필터(A)를 가압하므로 탄성체(120)는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도어부(200)가 본체부(100)의 전면을 개방할 시에는 개방된 도어부(200)에 의해 필터(A)의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탄성체(120)는 압축이 해제되며, 탄성체(120)의 탄성력에 의해 필터(A)는 도어부(2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door portion 200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elastic body 120 maintains the compressed state because the shielded door portion 200 presses the filter A, The pressing force of the filter A is released by the opened door portion 200 when the door portion 200 opens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ccordingly, the elastic body 120 is released from compression, The filter A is moved toward the door 200 side.

따라서, 본체부(100)의 탄성체(120) 및 지지판(130)을 통해 필터(A)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필터(A)가 도어부(200)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필터(A)를 분리할 시 발생할 수 있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The filter A is moved to the door portion 200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ilter A through the elastic body 120 and the support plate 130 of the body portion 100 to separate the filter A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troubles that may occur.

한편,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200)는 제1 도어(200-1)와 제2 도어(200-2)를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c), the door unit 200 includes a first door 200-1 and a second door 200-2.

제1 도어(200-1)는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도어스토퍼부(300) 타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딩 홀(미도시) 및 도어스토퍼부(300)의 타단을 관통하면서 슬라이딩 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홀에 도어스토퍼부(300)를 고정시키는 슬라이딩 돌기(미도시)를 포함하고, 본체부(100)와 힌지 결합된다.The first door 200-1 has sliding holes (not shown) formed on its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guide movement of the other end of the door stopper part 300 and a sliding hole (not shown)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door stopper part 300 And a sliding protrusion (not shown) to be inserted into the sliding hole and fixing the door stopper part 300 to the sliding hole, and is hinged to the main body part 100.

제2 도어(200-2)는 제1 도어(200-1)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고, 상부에 필터(A)를 접착 고정하기 위한 벨크로 테이프(미도시)가 형성되며,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벨크로 테이프는 본체부(100)의 탄성체 및 지지판에 의해 도어부(200)로 이동한 필터(A)를 접착 고정함으로써, 제2 도어(200-2)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필터(A)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cond door 200-2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200-1 and slides up and down. A Velcro tape (not shown) for adhering and fixing the filter A is formed on the upper part, . The Velcro tape is used to fix the filter A moved to the door part 200 by the elastic body and the support plate of the body part 100 and to fix the filter A when the second door 200-2 slides up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제2 도어(200-2)가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은, 사용자가 필터(A)를 이탈시킬 때 사용자와 제2 도어(200-2)가 접촉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감전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son why the second door 200-2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is that since the user and the second door 200-2 may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user releases the filter A,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a plastic that is easy to process and mold and is inexpensive.

또한, 본체부(100) 및 도어부(200)의 사이에는 제1 스프링과 슬라이딩 스위치바가 수용된다.Also, a first spring and a sliding switch bar are accommodat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door part 200.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스프링(410)은 제2 도어(200-2)가 제1 도어(200-1)로부터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8, the first spring 410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slide the second door 200-2 upward from the first door 200-1.

슬라이딩 스위치바(42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 및 타단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스위치 본체(421)와, 스위치 본체(42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돌기에 의해 상방 이동하는 제1 돌기(422)와, 스위치 본체(421)의 타단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스프링(410)의 탄성력을 제어하고 상방 이동한 제1 돌기(422)에 의해 하방 이동하면서 제1 스프링(410)을 작동시키는 제2 돌기(423)와, 스위치 본체(421)의 타단으로부터 하측에 연결되며 스위치 본체(421)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424)을 포함한다.The sliding switch bar 420 includes a switch body 421 formed in a bar shape and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movable up and down, a switch body 421 protruding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switch body 421, 1 protruding up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switch main body 421 and controll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pring 410 and moving downward by the upwardly moved first protrusion 422, And a second spring 424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end of the switch body 421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switch body 421 up and down.

도 7의 (a)는 도어부가 본체부의 전면을 차폐하고 있을 때의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의 (b)는 도어부에 의해 본체부의 전면이 개방되었을 때의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7 (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liding switch bar when the door part shields the front face of the body part, and Fig. 7 (b) Fig.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가 본체부의 전면을 차폐하고 있을 시에는, 제1 돌기(422)는 하측에 위치하고, 제2 돌기(423)는 상측에 위치하고, 제2 돌기(42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410)은 제2 돌기(423)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제2 스프링(424)은 상측으로 이동한 스위치 본체(421)의 타단에 의해 압축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7A, when the door unit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first projection 42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second projection 42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projection 422 The first spring 41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witch body 421 is kept compressed by the second protrusion 423 and the second spring 424 is held by the other end of the switch body 421 moved upward And the compression state is maintained.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에 의해 본체부의 전면이 개방되었을 시에는, 제1 돌기(422)는 상측에 위치하고, 제2 돌기(423)는 하측에 위치하고, 제1 스프링(410)은 제2 돌기(423)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해제되며, 제2 스프링(424)은 하측으로 이동한 스위치 본체(421)의 타단에 의해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7 (b),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ed by the door portion, the first projection 42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the second projection 423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second protrusion 423 is released from the compressed state by the second protrusion 423 and the second spring 424 is compressed by the other end of the switch body 421 moved downward.

도 8의 (a)는 도어부에 의해 본체부의 전면이 차폐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의 (b)는 도어부에 의해 본체부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스위치바의 동작 특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8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liding switch bar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shielded by the door part, and FIG. 8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liding switch bar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liding switch bar of Fig.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에 의해 본체부의 전면이 차폐될 시, 도어스토퍼부(300)는 슬라이딩 홀(200-1-a)의 좌측(-x축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제1 돌기(422)는 도어스토퍼부(300)의 타단과 맞닿아 있고, 제2 돌기(423)는 우측(+x축 방향)에 위치하며, 제1 스프링(410)을 압축하고 있다. 제2 스프링(424)은 제1 도어의 내측 단부에 고정되며, 우측에 위치한 스위치 본체(421)의 타단에 의해 압축이 해제되어 있다.8A,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shielded by the door part, the door stopper part 300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x axis direction) of the sliding hole 200-1-a The first protrusion 422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door stopper portion 300 and the second protrusion 423 is located in the right side (+ x axis direction), and the first spring 410 is compressed have. The second spring 424 is fixed to the inner end of the first door and is uncompressed by the other end of the switch body 421 located on the right side.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에 의해 본체부의 전면이 개방될 시, 본체부의 전면이 개방되면서, 도어스토퍼부(300)는 슬라이딩 홀(200-1-a)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스토퍼부(300)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200-1-b)는 제1 돌기(422)를 밀어내어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일차적으로 제1 돌기(42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스위치 본체(421)는 지렛대 운동에 의해 회동되고, 이차적으로 제2 돌기(423)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8 (b),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ed by the door por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ed, and the door stopper portion 300 is moved to the right side along the sliding hole 200-1-a Direction. At this time, the sliding protrusion 200-1-b pushes the first protrusion 422 and moves it to the right by the door stopper part 300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That is, as the first projection 422 moves to the right, the switch body 421 is rotated by the lever movement, and the second projection 423 is moved to the left secondarily.

이에 따라, 제1 스프링(410)은 압축이 해제되어 상측(+y축 방향)으로 전개되고, 제1 스프링(410)의 일단과 맞닿아 있는 제2 도어의 단부를 상측으로 밀어낸다. 제2 스프링(424)은 지렛대 운동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한 스위치 본체(421)의 타단에 의해 압축되는데, 압축된 제2 스프링(424)은 본체부의 전면이 차폐될 시 스위치 본체(421)가 지렛대 운동에 의해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first spring 410 is uncompressed and expanded upward (+ y-axis direction), and pushes the end of the second door,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irst spring 410, upward. The second spring 424 is compressed by the other end of the switch body 421 moved to the left by the leverage movement. Whe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shielded, the compressed second spring 424 presses the switch body 421,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be pivoted by the motion.

즉, 제2 도어는 슬라이딩 스위치바(420)의 동작 특성에 따라 압축이 해제된 제1 스프링(41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으므로, 도어부가 개방될 시 제1 도어로부터 상방으로 밀려나가면서 자동으로 슬라이딩된다.That is, since the second door is provided with the resilient force by the decompressed first spring 410 according to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sliding switch bar 420, the second door is automatically released from the first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Lt; / RTI >

이에 따라,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제2 도어의 상부에 접착 고정된 필터도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더 용이하게 도어부로부터 필터를 이탈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filter adhesively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door by the Velcro tape is also slid upward,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release the filter from the door por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doo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0)는 제1 도어(200-1) 및 제2 도어(200-2)와 함께, 분진흡입관(231), 분진흡입팬(232) 및 분진포집부재(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9, the door unit 2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oor 200-1 and a second door 200-2, a dust suction pipe 231, (232) and a dust collecting member (233).

분진흡입관(231)은 도어부(200) 개폐시 필터로부터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제1 도어(200-1)의 후면 하단부에 설치되고, 외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다수의 분진흡입공을 포함한다.The dust suction pipe 231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200-1 to suck dust scattered from the filter when the door unit 200 is opened and closed, And a plurality of dust suction holes.

분진흡입팬(232)은 제1 도어(200-1)의 후면에 설치되고, 분진흡입관(231)과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제공한다.The dust suction fan 232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200-1 and is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pipe 231 to provide a suction pressure for sucking dust.

분진포집부재(233)는 분진흡입관(231)과 연결되고, 분진흡입관(231)으로부터 흡입된 분진을 포집한다. 구체적으로, 분진포집부재(233)는 분진흡입관(231)과 인접한 위치의 제1 도어(200-1)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분진포집부재(233)에 포집된 분진을 제거하거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분진포집부재(233)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ust collecting member 233 is connected to the dust suction pipe 231 and collects the dust sucked from the dust suction pipe 231. More specifically, the dust collecting member 233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200-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ust suction pipe 231 to remov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member 233, So that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 member 233 can be clean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0)는 필터 교체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함으로써, 분진이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에 유입되어 하우징 내부가 오염되거나 분진에 의해 전력장치의 수명과 신뢰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 교체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호흡기 건강을 지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ks dust generated during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so that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power device housing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is contaminated, The reliabilit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and the respiratory health of the operator performing the filter replacement operation can be maintained.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2 도어(200-2)의 크기는 제1 도어(200-1)의 후면에 설치되는 분진흡입관(231), 분진흡입팬(232), 분진포집부재(233)의 위치 또는 크기에 상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ize of the second door 200-2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dust collection pipe 231, It is preferabl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 or the size of the member 233.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oor uni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0)는 냉각수 저장부재(241), 냉각수 공급관(242) 및 냉각수 배출관(2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door unit 2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241, a cooling water supply pipe 242, and a cooling water discharge pipe 243.

냉각수 저장부재(241)는 도어부(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2 흡입공(201)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저장한다.The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241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portion 200 and stores cooling water for cooling the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hole 201.

냉각수 공급관(242)은 냉각수 저장부재(241) 일단에 형성되며, 외부의 냉각수 저장탱크(B)로부터 냉각수를 공급받는다.The cooling water supply pipe 24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241 and receives cooling water from an external cooling water storage tank B.

냉각수 배출관(243)은 냉각수 저장부재(241)의 타단에 형성되며, 냉각수 저장탱크(B)로 냉각수를 배출한다.The cooling water discharge pipe 243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241 and discharges the cooling water to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B.

즉, 냉각수 저장탱크(B)에서 냉각수를 공급받고, 외부공기를 냉각하는데 사용된 냉각수를 배출함으로써, 냉각수를 순환시켜 지속적으로 외부공기를 냉각하여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That is, by receiving the cooling water from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B and discharging the cooling water used for cooling the outside air, the cooling water is continuously circulated to cool the outside air to low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power device housing.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0의 (a)에서는 냉각수 공급관(242)과 냉각수 배출관(243)에 냉각수 저장탱크(B)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도 10의 (b)에서는 냉각수 저장부재(241)가 내부에 포함된 도어부(200)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면 상에서는 도어부(200)의 측면을 다소 넓게 도시하였으나, 실제 설계시에는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 도어부(200) 측면의 두께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0A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oling water storage tank B is connected to the cooling water supply pipe 242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pipe 243. In FIG 10B, 241 of the door unit 200 can be schematically identified. Although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part 200 is shown somewhat wide at this tim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hickness of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part 20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of the filter accommodating device for the power device housing .

이때, 누전 또는 감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 저장부재(241), 냉각수 공급관(242) 및 냉각수 배출관(243)은 절연체 소재를 사용하되, 특히 가공 및 성형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241, the cooling water supply pipe 242, and the cooling water discharge pipe 243 are made of an insulator material in order to prevent a short circuit or an electric shock, .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0)는 제2 흡입공(201)을 통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전력장치 하우징의 내부에 보다 더 낮은 온도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전력장치 또는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의 가열된 공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oor portion 2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wers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sucked through the second suction hole 201 so that outside air of a lower temperature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heated air inside the power device or the power device housing can be effectively cooled.

또한, 냉각수 저장부재(241)와 외부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접촉하므로,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의 가열된 공기에 의해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는 시간을 늦춰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241 continuously contacts the outside air, the time for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to rise by the heated air inside the power unit housing can be delayed.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e claims of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부
101: 제1 흡입공
102: 로킹홈
103: 벨크로 테이프
110: 제2 접지부재
120: 탄성체
130: 지지판
200: 도어부
200-1: 제1 도어
200-1-a: 슬라이딩홀
200-1-b: 슬라이딩 돌기
200-2: 제2 도어
201: 제2 흡입공
202: 로킹홀
203: 로킹핸들
204: 로킹고리
210: 제1 접지부재
231: 분진흡입관
232: 분진흡입팬
233: 분진포집부재
241: 냉각수 저장부재
242: 냉각수 공급관
243: 냉각수 배출관
300: 도어스토퍼부
410: 제1 스프링
420: 슬라이딩 스위치바
421: 스위치 본체
422: 제1 돌기
423: 제2 돌기
424: 제2 스프링
A: 필터
B: 냉각수 저장탱크
100:
101: first suction hole
102: locking groove
103: Velcro tape
110: second ground member
120: elastomer
130:
200: Door part
200-1: First door
200-1-a: Sliding hole
200-1-b: Sliding projection
200-2: the second door
201: second suction hole
202: Locking hole
203: Locking handle
204: Locking ring
210: first ground member
231: dust suction pipe
232: Dust suction fan
233: dust collecting member
241: cooling water storage member
242: Cooling water supply pipe
243: Cooling water discharge pipe
300: Door stopper part
410: first spring
420: Sliding switch bar
421: Switch body
422: first projection
423: second projection
424: second spring
A: Filter
B: Cooling water storage tank

Claims (7)

전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력장치 하우징의 일면에 관통 설치되며, 내부에 필터를 수납하기 위해 형성된 수납공간 및 후면에 전력장치 하우징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되는 다수의 제1 흡입공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전력장치 하우징의 일면 외측에서 상기 본체부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전력장치 하우징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해 관통되는 다수의 제2 흡입공을 포함하는 도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차폐할 경우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접촉되며, 상기 도어부의 전류를 집중시키는 제1 접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지부재로부터 전류를 전달받아 접지하는 제2 접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
And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housing for receiving air into the housing of the electric power unit.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sp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filter therein, ; And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which are hing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 open front face of the main body at one 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and penetrate the front side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of the power device housing, Comprising: a door portion;
/ RTI >
Wherein the door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oor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and contacts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en the door portion shields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second grounding member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from a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receiving a current from the first grounding member and grounding the second grounding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필터를 접착 고정하는 벨크로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Velcro tape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to adhere and fix the filter housed in the hous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는 로킹홀과,
상기 로킹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핸들과,
일단은 상기 로킹핸들의 일단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측방으로 절곡되며, 상기 로킹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로킹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면에 상기 로킹고리에 대응하는 로킹홈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로킹핸들의 회전에 의한 상기 로킹고리와 상기 로킹홈의 걸림결합 및 이탈로, 상기 도어부와 상기 본체부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장치 하우징용 필터수납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oor portion
A locking hol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door part,
A locking handle inserted in the locking hole and rotatably installed,
And a locking ring which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ne end of the locking handle and extends rearwardly and whose other end is bent sideways and rotates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locking handle,
The main body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ring is formed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locking and disengaging of the locking ring and the locking groove by rotation of the locking handle enables the door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to be engaged and disengaged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12561A 2017-01-26 2017-01-26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KR1018813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61A KR101881301B1 (en) 2017-01-26 2017-01-26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561A KR101881301B1 (en) 2017-01-26 2017-01-26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301B1 true KR101881301B1 (en) 2018-07-26

Family

ID=6304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561A KR101881301B1 (en) 2017-01-26 2017-01-26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30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5348A1 (en) * 2006-04-21 2009-07-23 Knuerr Ag System For Cooling Electrical Components And Devices
KR100939992B1 (en) 2002-11-21 201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Cooling Apparatus, and Electric-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Cooling Apparatus
KR20140002542U (en) * 2012-10-23 2014-05-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mergency cooling door of power conver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992B1 (en) 2002-11-21 2010-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Cooling Apparatus, and Electric-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Cooling Apparatus
US20090185348A1 (en) * 2006-04-21 2009-07-23 Knuerr Ag System For Cooling Electrical Components And Devices
KR20140002542U (en) * 2012-10-23 2014-05-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Emergency cooling door of power convert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ARK BASE PRO 900 USER MANUAL. [online], 2016년 4월, [2018년 1월 18일 검색], 인터넷:<URL: https://www.manualslib.com/manual/1267313/Be-Quiet-Dark-Base-Pro-900.htm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8947B2 (en) Motor control center subunit having moveable line contacts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073330B1 (en) Switchgear
US8721176B2 (en) Rechargeable image detector system and method
CN111432945B (en) High pressure cleaning device
KR101881301B1 (en) Filter housing for power device housings
JP2015024124A (en) Vacuum cleaner
CN110911971A (en) High-tension electricity cabinet with reading function
WO2021155854A1 (en)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x
CN212137045U (en) Power distribution cabinet capable of protecting heat dissipation opening
CN217589954U (en) Novel low-voltage draw-out type switch cabinet
CN110247312A (en) A kind of solid all-insulated switch cabinet disconnecting switch observation window construction
CN216146583U (en) Integrated network equipment box
CN208707091U (en) A kind of 1000V low-voltage direct switchgear with dedusting function
CN111436856B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210744553U (en) Distribution box
CN207910321U (en) A kind of helicopter DC power distribution unit (PDU)
CN209803731U (en) Anticreep explosion-proof power
CN219181809U (en) Detachable cleaning type computer cabinet
CN207947519U (en) Low pressure metal armouring switch safety cabinet
CN113488822A (en) Auxiliary storage equipment for power adapter
CN215499876U (en) Dry-type transformer temperature control device of switch board
JP2009118567A (en) Switchboard
CN218471862U (en) Circuit breaker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14478505U (en) Explosion-proof switch board that leakproofness is good
CN219760449U (en) System integrated control cabinet convenient to install compon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