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292B1 -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 Google Patents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292B1
KR101881292B1 KR1020170025381A KR20170025381A KR101881292B1 KR 101881292 B1 KR101881292 B1 KR 101881292B1 KR 1020170025381 A KR1020170025381 A KR 1020170025381A KR 20170025381 A KR20170025381 A KR 20170025381A KR 101881292 B1 KR101881292 B1 KR 101881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hd
cut
stitching
grid
telest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손정균
Original Assignee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명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진명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7002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06K9/323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80Creating or modifying a manually drawn or painted image using a manual input device, e.g. mouse, light pen, direction keys on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과정에서, 상기 UHD동영상들을 스티칭하거나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선택된 일부 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cut-out)할 때, 평면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를 제공하여 스티칭 및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하여 UHD동영상에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스트레이터(telestrator)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A TELESTRATOR FOR PERFORMING STITCHING AND COT-OUT IN UHD VIDEOS}
본 발명은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과정에서, 상기 UHD동영상들을 스티칭하거나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선택된 일부 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cut-out)할 때, 평면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를 제공하여 스티칭 및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하여 UHD동영상에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스트레이터(telestrator)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의 발전으로 인해 UHD(Ultra High Definition)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가 점점 증가하고, 이를 지원하는 광대역 네트워크와 방송기술의 발전으로 UHD동영상을 편집하여 방송을 시청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필요성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UHD동영상을 편집 및 분배하여 송출하는 과정에서 스티칭이나 컷-아웃에 대한 기술이 많이 사용되며, 이를 원격에서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텔레스트레이터의 고도화도 절실한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 텔레스트레이터는 단순한 라인이나 패턴을 이용하여 스포츠중계나 의료영상의 표현에 도움을 주는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이것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거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손으로 그려지고 있기 때문에 화면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렇게 완전히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텔레스트레이션을 반자동으로 다양한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사용하여 깔끔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도형을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티치 및 컷-아웃을 수행하는 것에도 유리하도록 툴을 제공하고자 한다.
스티치의 경우, 예를 들어 두 개의 4k UHD동영상을 서로 횡으로 이어 붙이는 방식으로 스티칭하여 더 넓은 영역을 커버하는 UHD동영상으로 만들거나, 4개의 4k UHD동영상으로 8k UHD동영상 혹은 횡으로 4개의 4k UHD동영상을 이어 붙인 스티칭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실감나는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이용하면 보다 신속하고 깔끔하게 복수의 UHD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아울러 컷-아웃의 경우, UHD동영상에서 관심영역을 HD동영상으로 컷-아웃하여 추출 및 송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관심영역의 지속적인 추적과 관심영역을 포함한 HD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송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때에도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이용하면 보다 신속하고 깔끔하게 UHD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컷-아웃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술적 내용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기술문헌으로, 한국공개특허 제2015-0120944호(2015.10.28.)는 영상 포착 장치 및 조작 가능 장치 가동 아암들의 제어된 이동 중의 충돌 회피에 관한 것으로, 텔레스트레이터 유닛이 복수의 영상들 중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상에서 관심 영역을 표시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기재만 있을 뿐, 본 발명과 같은 스티치나 컷-아웃을 위해 구비되는 아무런 기능이 없으며, 이에 대한 발명의 착상도 없으므로 양 발명은 발명의 착상에 대한 공통점이 거의 없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5-0119055호(2015.10.23.)는 명령 처리를 위한 텔레스트레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이미지에 대한 텔레스트레이션(telestration)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텔레스트레이션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의 복수의 이미지 부분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부분들에 대한 태그들의 세트를 결정하며, 상기 태그들의 세트에 연산자를 적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검색 질의(search query)를 결정하고, 검색 질의를 사용하여 검색이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과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 점에 대해서만 유사할 뿐, 본 발명과 같은 스티치나 컷-아웃을 위해 구비되는 아무런 기능이 없으며, 이에 대한 발명의 착상도 없으므로 양 발명은 발명의 착상에 대한 공통점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은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과정에서, 상기 UHD동영상들을 스티칭하거나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선택된 일부 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cut-out)할 때, 평면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를 제공하여 스티칭 및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하여 UHD동영상에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할 수 있도록 하는 텔레스트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완전히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텔레스트레이션을 반자동으로 다양한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사용하여 깔끔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도형을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티치 및 컷-아웃을 수행하는 것에도 유리하도록 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치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깔끔하게 복수의 UHD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컷-아웃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깔끔하게 UHD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컷-아웃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는, 평면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를 제공하여,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거나, 또는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특정관심영역을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하기 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그리드를 기반으로 상기 스티칭, 컷-아웃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편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칭은, 상기 그리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UHD동영상을 이동시켜가면서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동기화를 맞추고, 중복된 영역을 제거하여 접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컷-아웃은,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셀(cell)을 선택하여, 특정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특정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리드, 도형, 선, 화살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드로잉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드로잉 패턴을 상기 UHD동영상에 표시하여, 상기 UHD동영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써,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HD동영상의 편집 방법은, 평면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를 제공하여,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거나, 또는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특정관심영역을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 및 상기 그리드를 기반으로 상기 스티칭, 컷-아웃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편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집 단계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드로잉 패턴을 상기 UHD동영상에 표시하여, 상기 UHD동영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써,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과정에서, 상기 UHD동영상들을 스티칭하거나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선택된 일부 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cut-out)할 때, 평면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를 제공하여 스티칭 및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하여 UHD동영상에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종래의 완전히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텔레스트레이션을 반자동으로 다양한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사용하여 깔끔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도형을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스티치 및 컷-아웃을 수행하는 것에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티치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깔끔하게 복수의 UHD영상을 편집할 수 있으며, 컷-아웃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고 깔끔하게 UHD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컷-아웃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통해 UHD동영상을 텔레스트레이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통해 컷-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통해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트레이터(telestrator)(100)는 방송시스템(10)을 통해 송출되는 UHD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그리드, 도형, 패턴,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한다.
한편 방송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 카메라(300)에서 촬영된 복수의 UHD동영상을 편집하여 다양한 방송수신단말(400)로 송출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에 의해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stitching)한 UHD동영상,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 또는 스티칭한 UHD동영상으로부터 일정 영역을 컷-아웃한 UHD동영상을 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은 하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와 상기 방송시스템(10)은 별도의 장비로 구현되어, 상호 간의 연동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편집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방송출력장치(200)의 기능을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에 통합하여,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가 상기 UHD동영상의 편집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방송시스템(1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UHD동영상을 핸들링(handling)하는 사용자(즉, 동영상 편집자)는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UHD동영상에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이용하여 그래픽,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overlay)하고, 상기 오버레이한 UHD동영상을 상기 방송시스템(10)을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다양한 정보가 오버레이 된 UHD동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에 대하여 해당 UHD동영상의 이해도 및 집중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UHD 카메라(300)는 촬영한 UHD동영상을 방송시스템(10)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UHD 카메라(300)와 상기 방송시스템(10)은 동일한 로컬에 위치하여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또는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등과 같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UHD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HD동영상은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UHD동영상을 위한 데이터 규격으로 정의되어 송수신될 수 있다. 상기 EDID는 국제기구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정의한 데이터 규격으로, UHD동영상을 포함하여 해당 동영상의 크기, 휘도, 화도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UHD동영상은 EDID 형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규격으로 정의되어 송수신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복수의 UHD 카메라(300)는 상기 방송시스템(1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촬영한 UHD동영상을 상기 방송시스템(10)을 직접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 컷아웃, 텔레스트레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집을 수행하고, 상기 편집한 UHD동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시청자가 구비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400)로 송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 케이블 통신, 위성통신 또는 와이파이(WiFi) 등을 포함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각종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상기 복수의 UHD 카메라(300)와 방송시스템(10), 상기 방송시스템(10)과 방송수신단말(400) 사이의 통신회선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UHD동영상과 관련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UHD 카메라(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방송시스템(10)으로 촬영한 UHD동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UHD 카메라(200)와 방송시스템(10)이 동일한 로컬(즉, 근접한 거리에 위치한 경우)에 위치하지 않고 상이한 로컬(즉, 원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한 경우)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HD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UHD 카메라(300)에서 촬영된 UHD동영상은 상기 UHD 카메라(300)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UHD동영상 송출장비(미도시)를 통해 압축되어 상기 방송시스템(1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UHD동영상을 편집하여 시청자가 구비한 방송수신단말(400)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텔레스트레이터(100)는, 텔레스트레이션, 컷-아웃, 스티칭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UHD동영상을 편집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방송수신단말(400)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UHD 카메라(300)는 촬영의 대상이 되는 전체 영역(예를 들어, 축구경기를 중계하는 경우 축구경기장)을 일정한 범위를 가지는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각 분할된 구역(범위)을 촬영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여 더 넓은 범위를 커버링하는 UHD동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스티칭한 UHD동영상을 상기 방송시스템(10)의 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하는 두 개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4k UHD동영상을 각각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4k UHD동영상을 서로 횡 방향으로 이어붙이는 방식으로 스티칭하여 더 넓은 영역을 커버하는 UHD동영상을 생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하는 네 개의 UHD 카메라(3000로부터 4k UHD동영상을 각각 수신하여 8k UHD동영상 혹은 횡으로 4개의 4k UHD동영상을 스티칭하거나, 또는 8개 혹은 그 이상의 4k UHD동영상을 스티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UHD동영상 또는 상기 스티칭한 UHD동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UHD동영상에서 특정 관심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한 UHD동영상을 상기 방송시스템(10)의 방송출력장치(300)를 통해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거나, 또는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특정 관심영역을 선택하여 컷-아웃을 수행하는 경우, 스티칭 및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스티칭 혹은 컷-아웃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는 평면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선, 화살표, 도형, 텍스트박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UHD동영상에 그래픽 또는 텍스트로 구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써,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UHD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텔레스트레이터(100)는 텔레스트레이션, 스티칭, 컷-아웃 또는 이들의 조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별도의 편집장치(즉, 스티칭 장치, 컷-아웃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텔레스트레이터(100)를 통해 상기 UHD동영상을 다양하게 편집할 수 있다.
즉,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UHD동영상을 텔레스트레이션하거나, 컷-아웃하거나, 스티칭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기 UHD동영상을 실시간을 편집하여, 상기 편집한 UHD동영상을 상기 방송출력장치(300)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UHD동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스티칭 기능을 통해 360o로 회전 가능한 VR(virtual reality) 혹은 AR(augmented reality) UHD동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더욱 실감나는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방송수신단말(400)은 상기 방송시스템(10)에서 인코딩되어 송출되는 UHD동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display)함으로써, 상기 UHD동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방송수신단말(400)은 TV(예: 스마트 TV 또는 IPTV 등), 모바일단말(예: 스마트폰, DMB), 데스크탑 PC 또는 테블릿 PC 등과 같이 UHD동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기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100)를 통해 UHD동영상을 편집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통해 UHD동영상을 텔레스트레이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스트레이터(100)는 디스플레이장치(500)의 편집화면에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UHD동영상에 상기 드로잉 패턴과 툴을 간편하게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함으로써, 간편하게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간 의사소통을 수행하며,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사용자가 특정 드로잉 패턴이나 툴을 선택하여, 상기 편집화면의 UHD동영상에 표시하면 이를 인식하여 상기 표시한 드로잉 패턴이나 툴을 상기 UHD동영상에 오버레이함으로써,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텔레스트레이터(100)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드로잉 패턴이나 툴을 버튼형식(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음)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드로잉 패턴이나 툴은 점선, 실선 또는 쇄선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선(line),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과 같은 다양한 모양의 도형(figure), UHD동영상에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텍스트 박스, 화살표(arrow)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 화살표, 도형,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UHD동영상에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함으로써 텔레스트레이션 된 UHD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UHD동영상을 방송수신단말(400)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UHD동영상에 오버레이 되는 선, 화살표, 도형, 텍스트박스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크기 및 색깔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오버레이되는 선, 화살표, 도형, 글자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하여 크기 및 색깔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통해 컷-아웃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UHD동영상을 토대로 텔레스트레이터(100)를 통해 컷-아웃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UHD동영상에서 특정 관심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관심영역의 UHD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하여, 상기 컷-아웃한 UHD동영상을 송출한다. 이때, 상기 컷-아웃 하기 위해 기반이 되는 UHD동영상은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UHD동영상이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여 생성한 더 넓은 촬영범위를 커버링하는 UHD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텔레스트레이터(100)는 디스플레이장치(500)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편집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편집을 종료한 UHD동영상을 방송출력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편집에 대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컷-아웃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UHD동영상을 일정한 크기의 단위면적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분할한 그리드(grid)를 표시함으로써,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며, 상기 그리드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셀(cell)로 구성된 격자형태의 가상의 안내선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UHD동영상을 컷-아웃하는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속된 셀을 선택함으로써, 관심영역을 정확하고 깔끔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셀은 관심영역을 간편하게 선택하기 위한 기반이 되며, 상기 그리드의 전체 크기 또는 상기 셀이 차지하는 범위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컷-아웃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편집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심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한 방법에 따라 UHD동영상에서 관심영역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관심영역 선택방법에 따라, 상기 편집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을 마우스로 드래그 하거나,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복수의 셀을 터치하여 상기 관심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마우스 드래그 또는 터치뿐만 아니라 전자펜, 동작인식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관심영역을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심영역은 상기 복수의 셀을 선택함으로써, 설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도형(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등)또는 특정 패턴을 선택하여 상기 UHD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화면에 위치시키면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도형의 크기에 해당하는 범위를 컷-아웃을 위한 관심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도형은 고정적인 크기를 가지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크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컷-아웃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그리드, 도형 또는 패턴을 포함하는 컷-아웃 가이드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공되는 컷-아웃 가이드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깔끔하게 UHD동영상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컷-아웃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심영역이 설정되면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해당 관심영역의 중심객체를 검출한 후, 상기 중심객체의 이동을 자동으로 추적하면서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컷-아웃 영상을 발췌하여 방송출력장치(200)를 통해 방송수신단말(400)로 송출한다.
한편 상기 중심객체의 검출 및 추적은, 객체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추적하는 특징점기반 객체추적 방법, 또는 상관필터를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추적하는 상관필터 기반 객체추적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객체검출 및 추적에 대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중심객체 검출 및 추적은 컷-아웃 기술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통해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4개의 4k UHD동영상을 스티칭하여 8k UHD동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다만, 스티칭을 수행하기 위한 UHD동영상의 개수에는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텔레스트레이터(100)를 통해 4개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4k UHD동영상을 스티칭하는 경우,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디스플레이장치(500)의 편집화면에 상기 4k UHD동영상을 각각 출력하고, 상기 출력한 4k UHD동영상에 그리드를 표시한다. 한편 상기 표시되는 그리드의 크기 또는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셀의 크기는 사용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컷-아웃을 수행할 때 표시되는 그리드 또는 셀의 크기보다 더욱 세밀하게 설정하여 스티칭을 더욱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편집화면에서 스티칭하여 더 넓은 범위를 커버링하는 4k UHD동영상을 방송출력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스티칭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티칭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각각의 4k UHD동영상에 표시된 그리드를 기반으로 상기 각 4k UHD동영상을 상, 하, 좌, 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미세하게 이동시켜가면서, 상기 각 4k UHD동영상을 상호 접합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그리드를 활용하여 상호 인접한 4k UHD동영상을 접합하는 경우, 상기 4k UHD동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한 수직 및 수평동기를 간편하게 맞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4k UHD동영상을 정확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드를 활용하여 복수의 4k UHD동영상을 접합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접합되는 부분(즉, 4k UHD동영상이 상호 접합되는 가장자리 부분, 또는 이음새를 의미함)에 중복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그리드의 셀 단위로 상기 중복되는 영역을 추적하여 간편하게 제거해나갈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복되는 영역은 모든 4k UHD동영상에 대해서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4k UHD동영상을 제외한 나머지 4k UHD동영상에 대해서 수행된다.
이를 통해, 작은 범위를 커버링하는 복수의 UHD동영상을 더 넓은 범위를 커버링하는 UHD동영상으로 스티칭할 때, 불연속적인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을 심리스하게 접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를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입력받는 UHD동영상 입력부(110), 사용자에게 상기 입력받은 UHD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부(130), 상기 편집한 UHD동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UHD동영상 입력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출력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500)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UHD동영상에 대한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그리드, 도형, 특정 패턴, 선, 화살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드로잉 패턴과 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UHD동영상 편집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500)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별도의 조작도구 없이 간편하게 UHD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UHD동영상 편집을 위한 디스플레이장치(50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편하게 UHD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인식한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UHD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드로잉 패턴을 사용자가 마우스, 전자펜 또는 터치 등을 통해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특정 드로잉 패턴을 해당 UHD동영상에 오버레이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이를 인식하여 상기 편집부(130)를 통해 실질적인 UHD동영상 편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편집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UHD동영상에 선, 도형, 텍스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오버레이하여 텔레스트레이션 UHD동영상을 생성하는 텔레스트레이션부(131),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특정 관심영역을 발췌하여 컷-아웃 UHD동영상을 생성하는 컷-아웃부(132) 및 복수의 UHD동영상을 접합함으로써, 스티칭 UHD동영상을 생성하는 스티칭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편집부(130)를 통해 텔레스트레이션, 컷-아웃, 스티칭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상기 편집 대상이 되는 UHD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다.
또한 텔레스트레이션부(13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텔레스트레이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텔레스트레이션부(13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삼각형 혹은 사각형 등 다양한 도형, 점선 혹은 실선과 같은 다양한 선, 화살표, 텍스트 박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상기 편집대상이 되는 UHD동영상에 오버레이 함으로써,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여,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텔레스트레이션 된 UHD동영상을 출력한다.
즉, 상기 텔레스트레이션부(131)는 텔레스르레이션을 완전히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사용자에게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함으로써, 반자동으로 다양한 그리드, 도형, 패턴 등을 선택하여 UHD동영상에 다양한 정보를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컷-아웃부(132)는 사용자가 컷-아웃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컷-아웃 대상이 되는 UHD동영상에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그리드를 표시한다.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각 셀의 크기는 사용자에 따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컷-아웃 대상이 되는 UHD동영상은 상기 복수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UHD동영상이거나, 또는 하기에서 설명할 스티칭부(133)에서 생성한 스티칭 UHD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UHD동영상에 표시되는 그리드를 이용하여 상기 UHD동영상에서 관심영역을 선택한다. 상기 선택은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 터치, 전자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연속된 복수의 셀을 선택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그리드는 상기 사용자가 UHD동영상으로부터 관심부분을 정확하고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단순히 복수의 셀을 선택함으로써, 신속하고 깔끔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관심부분을 컷-아웃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컷-아웃부(132)는 사용자에 의해 UHD동영상에서 관심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한 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함으로써, 컷-아웃 동영상을 생성하여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컷-아웃부(132)는 작업자의 조작을 토대로 UHD동영상으로부터 일부 특정영역이 관심영역으로 선택된 경우, 해당 관심영역의 중심객체를 선정한다. 상기 선정은 객체의 특징점을 추출함으로서, 중심객체를 선정하는 특징점 기반 객체검출 기법 등과 같이 다양한 객체검출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또한 상기 컷-아웃부(132)는 상기 선정한 중심객체를 동영상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컷-아웃할 관심영역을 지속적으로 각 프레임마다 결정함으로써, 상기 선정한 중심객체를 중심으로 상기 관심영역의 크기를 유지한 상태로 상기 관심영역의 동영상을 추적하면서 컷-아웃 UHD동영상을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컷-아웃부(132)는 상기 컷-아웃 UHD동영상의 해상도가 상기 방송수신단말(400)에서 지원하는 해상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컷-아웃 UHD동영상을 상기 방송수신단말(400)에서 지원하는 해상도(예: UHD, FHD 또는 HD)로 수정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스칭부(133)는 사용자가 복수의 UHD동영상을 상호 접합하여 더 넓은 범위를 커버링하는 UHD동영상을 생성하는 스티칭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스티칭 대상이 되는 복수의 UHD동영상에 복수의 셀로 구성되는 그리드를 표시한다. 한편 스티칭의 경우에는 서로 다른 영역을 촬영한 UHD동영상을 세밀하게 접합하여 보다 넓은 범위를 가지는 UHD동영상을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UHD동영상에 표시되는 상기 그리드의 셀에 대한 크기는 상기 컷-아웃을 수행할 때 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셀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해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UHD동영상에 표시되는 그리드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을 세밀하게 이동시켜, 상기 각각의 UHD동영상에 대한 수평 및 수직 동기화를 맞추어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을 상호 접합하여 스티칭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티칭부(133)는 상기 접합한 결과 동일한 동영상이 중복되어 오버랩되는 부분이 있는 경우, 어느 한 UHD동영상에서 상기 오버랩되는 부분을 자동적으로 삭제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이 심리스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티칭부(133)는 상기 스티칭한 UHD동영상을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송출되고 있는 과정에서, 상기 UHD동영상들을 스티칭하거나,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선택된 일부 관심영의 UHD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 할 때, 평명이나 입체적인 그리드를 제공하여 스티칭 및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서, 상기 ㅅ티칭 및 컷-아웃을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하여 상기 UHD동영상에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신속하고 깔끔하게 텔레스트레이션 UHD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편집부(130)를 통해 텔레스트레이션되거나, 컷-아웃되거나, 스티칭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편집된 UHD동영상을 방송시스템(10)의 방송출력장치(200)로 출력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방송시스템(10)의 방송출력장치(20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140)는 상기 편집부(130)를 통해 편집된 UHD동영상의 해상도가 방송수신단말(400)에서 지원하는 해상도와 일지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편집된 UHD동영상을 상기 방송수신단말(400)에서 지원하는 해상도(예: UHD, FHD 또는 HD)로 수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편집하여, 편집된 UHD동영상을 출력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편집하여, 편집된 UHD동영상을 출력하는 절차는 우선,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 카메라(300)로부터 UHD동영상을 수신한다(S11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 카메라(300)는 인접한 서로 다른 영역을 각각 촬영하여, 상기 촬영한 UHD동영상을 텔레스트레이터(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UHD 카메라(300)들은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와 동일한 로컬에 위치하여 상기 UHD동영상을 직접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이한 로컬에 위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UHD동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500)에 출력한다(S120).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상기 출력한 UHD동영상을 편집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UHD동영상이 편집되어 현재 송출되고 있는 UHD동영상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편집된 UHD동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상기 UHD 카메라(300)의 설치규모, 개수, 편집규모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편집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장치(500)에 표시함으로써, 출력하고(S130),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UHD동영상에 대한 편집을 수행한다(S140).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편집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이 실시간으로 복수의 방송수신단말(400) 송출되고 있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UHD동영상을 토대로 컷-아웃 또는 스티칭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편집대상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에 그리드를 표시함으로써, 컷-아웃 또는 스티칭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컷-아웃 또는 스티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토대로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그리드, 도형, 선, 화살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제공하여, 상기 UHD동영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드로잉함으로써, 상기 UHD동영상을 신속하고 깔끔하게 텔레스트레이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컷-아웃, 스티칭, 텔레스트레이션은 각각 수행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적어도 2개 이상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사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에 대한 편집이 종료된 경우(S150), 편집된 UHD동영상을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하여, 방송수신단말(400)로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S160).
한편 상기 텔레스트레이터(100)는 상기 편집된 UHD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함에 있어서, 해당 UHD동영상을 방송수신단말(400)에서 제공하는 해상도에 맞추어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수신단말(400)이 HD 해상도를 지원하면 상기 편집된 UHD동영상을 HD 해상도로 수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는, 그리드, 다양한 드로잉 패턴과 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을 송출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HD동영상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컷-아웃, 스티칭, 텔레스트레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방송시스템
100 : 텔레스트레이터 110 : UHD동영상 입력부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 편집부
131 : 텔레스트레이션부 132 : 컷-아웃부
133 : 스티칭부 140 : 출력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방송출력장치 300 : UHD 카메라
400 : 방송수신단말 5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0)

  1. 스티칭 또는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guide)를 제공하여,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거나, 또는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특정관심영역에 대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가이드를 기반으로 상기 스티칭, 컷-아웃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편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편집부는 상기 UHD동영상에 그래픽 또는 텍스트로 구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서,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셀(cell)로 구성된 격자형태의 그리드(gr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그리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UHD동영상을 이동시켜가면서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동기화를 맞추고, 상기 그리드의 셀 단위로 중복된 영역을 제거하여 접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셀(cell)을 선택하여 특정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특정관심영역의 중심객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중심객체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리드, 도형, 선, 화살표, 텍스트박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드로잉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5. 삭제
  6. 스티칭 또는 컷-아웃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복수의 UHD동영상을 스티칭하거나, 또는 상기 UHD동영상으로부터 특정관심영역에 대한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면서 컷-아웃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 및
    상기 가이드를 기반으로 상기 스티칭, 컷-아웃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행하는 편집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편집 단계는 상기 UHD동영상에 그래픽 또는 텍스트로 구성되는 다양한 정보를 오버레이함으로서, 텔레스트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복수의 셀(cell)로 구성된 격자형태의 그리드(gr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편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티칭은,
    상기 그리드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UHD동영상을 이동시켜가면서 상기 복수의 UHD동영상에 대한 수직 및 수평 동기화를 맞추고, 상기 그리드의 셀 단위로 중복된 영역을 제거하여 접합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편집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상기 그리드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의 셀(cell)을 선택하여, 특정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특정관심영역의 중심객체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중심객체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추적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편집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리드, 도형, 선, 화살표, 텍스트박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드로잉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HD동영상의 편집 방법.
  10. 삭제
KR1020170025381A 2017-02-27 2017-02-27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KR10188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381A KR101881292B1 (ko) 2017-02-27 2017-02-27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381A KR101881292B1 (ko) 2017-02-27 2017-02-27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292B1 true KR101881292B1 (ko) 2018-07-24

Family

ID=6305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381A KR101881292B1 (ko) 2017-02-27 2017-02-27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2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922A (ja) * 2002-12-02 2004-07-02 Chuo Electronics Co Ltd 複数台のカメラを使用した広域撮影方法
KR20100006003A (ko) * 2008-07-08 2010-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편집 방법 및장치
KR20160082291A (ko) * 2014-12-30 2016-07-08 채수한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JP2017016670A (ja) * 2012-03-06 2017-01-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方法、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922A (ja) * 2002-12-02 2004-07-02 Chuo Electronics Co Ltd 複数台のカメラを使用した広域撮影方法
KR20100006003A (ko) * 2008-07-08 2010-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편집 방법 및장치
JP2017016670A (ja) * 2012-03-06 2017-01-1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デバイス、方法、プログラム
KR20160082291A (ko) * 2014-12-30 2016-07-08 채수한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9939B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946019B1 (ko) 파노라믹 동영상을 생성하는 동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128178A1 (en) A real-time generation method for 360-degree vr panoramic graphic image and video
US114170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138317A1 (en) Augmented remote controller, method for operating the augmented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for the same
US11450044B2 (en)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layered augemented reality
KR101730881B1 (ko)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20051209A (ko)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화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
EP1520401A1 (en) System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CN114286142B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vr场景截屏方法
EP3336845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3799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13296721A (zh) 显示方法、显示装置和多屏幕联动系统
KR101759799B1 (ko) 3차원 이미지 제공 방법
KR102081067B1 (ko) 스튜디오 환경에서의 비디오 믹싱 플랫폼
US9338429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producing video con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video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881292B1 (ko) Uhd동영상의 스티칭 및 컷-아웃용 텔레스트레이터
KR101908954B1 (ko) Uhd 동영상에서 관심영역의 실시간 자동추적을 통한 컷-아웃 장치 및 그 방법
CN112532962A (zh) 一种全景视频字幕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180037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635425B2 (en) Handheld display zoom feature
CN112672057B (zh) 拍摄方法及装置
WO2017029798A1 (en) Wide view image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20130124816A (ko) 전자 장치 및 가상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방법
JP2013207454A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受信方法、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