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917B1 -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917B1
KR101880917B1 KR1020120056419A KR20120056419A KR101880917B1 KR 101880917 B1 KR101880917 B1 KR 101880917B1 KR 1020120056419 A KR1020120056419 A KR 1020120056419A KR 20120056419 A KR20120056419 A KR 20120056419A KR 101880917 B1 KR101880917 B1 KR 10188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n
basic
network
user
stor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2208A (ko
Inventor
어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917B1/ko
Publication of KR2013013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2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APN(Access Point Name)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패킷 서비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APN(Access Point Name)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PN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APN이 선택될 시,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기반으로 기본 APN을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CKET SERVICE USING ACCESS POINT NAME}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Access Point Name)을 이용한 네트워크 등록을 통해, APN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패킷 서비스(packet service)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이 패킷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예컨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Packet Data Network))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로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표준화되어 있는 GPRS(General Packet Service)가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GPRS에서는 MM(Mobility management) 절차와 SM(Session Management) 절차가 연속적으로 처리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GPRS에 있어서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외부 네트워크(예컨대, Default PDN)와의 통신을 개시할 때, 우선 MM 절차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attach) 처리를 수행한 후, SM 절차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Default PDN)에 접속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GPRS에서는 사용자가 외부 네트워크(Default PDN)와의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기동하고, 이후 실제로 외부 네트워크(Default PDN)에의 접속이 완료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따라서 현재 3GPP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속 지연을 단축하고, 사용자가 항상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송수신 가능한 상태를 의사적(擬似的)으로 제공하는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휴대단말이 네트워크 등록을 위해 전송하는 등록 요구(attach request) 메시지에, 액세스 포인트의 네트워크(Default PDN)를 지정하는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Access Point Name)을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3GPP 표준을 따르는 휴대단말은 네트워크(Default PDN)와 데이터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APN을 해당 외부 네트워크(Default PDN)에 통보해야 한다. 즉,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 절차 시, 외부의 어떤 네트워크에 휴대단말이 접속을 요구하는지를 구별해 주기 위해, 등록 요구 메시지에 네트워크 식별자인 APN 정보를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PN은 데이터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별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에서는 휴대단말에서 요청한 APN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리소스(network resource)를 할당하게 된다. 여기서,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의 경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는 달리 CS(Circuit Service)를 사용하지 않고 PS(Packet Service)만을 사용하므로, 네트워크 등록 시 해당 네트워크(Default PDN)와 데이터 연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네트워크 등록은 휴대단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LTE 시스템에서 휴대단말이 네트워크(Default PDN)와 데이터 연결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등록 이전에 휴대단말에서 APN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휴대단말은 서비스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APN(예컨대, Default PDN용 고정 APN)를 기본적으로 저장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서는 APN을 단순히 데이터 연결을 위한 변수 정도로만 이용되고 있으나, 실제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여러 사업자들은 APN 자체를 과금/서비스의 표준으로 삼고 있는 실정이다. 즉, APN 자체가 하나의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는 단위로 볼 때 각 APN이 과금 표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에 따라 APN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며, 현재 휴대단말에서는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APN(즉, Default PDN용 고정 APN) 외에 사용자가 직접 APN을 입력 또는 선택하는 것에 의해 APN 변경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무선 통신 시스템인 GSM/UMTS(WCDMA)까지는 이러한 APN 변경에 따른 네트워크 등록이 간편하게 이루어졌으나, LTE 시스템으로 진화하면서 APN이 네트워크 등록을 위한 필수 파라미터(parameter)가 됨으로써, 이를 위한 절차의 규정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을 이용한 네트워크 사용을 위해 APN의 동기화 및 에러 복구(error recovery)에 대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휴대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에서 인증 처리가 완료되어 있지 않고, 보안(security)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즉,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APN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보안상의 문제가 발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설정에 따른 APN을 이용하는 경우 현재 보안이 취약한 부분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APN을 네트워크(예컨대, LTE 시스템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등록에 사용하기 위한 보안 강화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본 네트워크로 설정된 APN을 사용자 선택에 의한 APN으로 변경하는 것을 지원하고, APN 변경 시 변경된 APN을 이용하여 정상적이 네트워크 등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TE 시스템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을 이용한 네트워크 등록 처리 시 휴대단말에서 소정의 인증을 통해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완료시킴으로써,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APN이 변경되는 경우에 네트워크에서 휴대단말에서 변경된 APN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등록 절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APN 오류로 인한 서비스 중단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단말의 APN 변경에 따른 원활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휴대단말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APN(Access Point Name)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PN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APN이 선택될 시,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기반으로 기본 APN을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APN 기반의 네트워크 등록 후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콜(data call)을 시도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상기 선택된 APN을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의 기본 APN과 비교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재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데이터 콜 셋업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APN(Access Point Name) 변경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APN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APN이 선택될 시,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기반으로 기본 APN을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휴대단말이 네트워크 등록 시 해당 네트워크(예컨대, Default PDN)에 접속하기 위해 읽는(write) 기본 APN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시스템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네트워크(Default PDN) 등록을 위해 기본 설정된 상기 기본 APN은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록 매체는, APN(Access Point Name)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APN이 선택되면 선택된 APN을 이용하여 기본 APN 저장영역의 기본 APN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APN을 이용한 네트워크 등록 및 상기 선택된 APN 기반의 데이터 콜 셋업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서비스 하는 가입자들 리스트 내에 포함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Access Point Name)으로도 정상적인 네트워크 액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APN 변경 정보를 네트워크와 실시간으로 갱신할 수 있으므로, APN 변경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잘못된 APN을 이용하여 서비스가 중단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과 기본 설정된 APN의 비교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네트워크 등록 또는 데이터 콜 셋업을 지원함에 따라 보다 안정하고 신속하게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PN을 이용한 컨텐츠별 과금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요율별 또는 컨텐츠별 APN을 설정하고, 사용자 설정에 따른 APN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예컨대,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도록 하여, APN별 과금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APN 설정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의 사용성, 편의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APN 변경에 따른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APN을 선택하는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할 때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하는 가입자들 리스트 내에 포함되지 않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APN, Access Point Name)으로도 네트워크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을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등록 시 사용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선택 APN을 네트워크 등록 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인증 및 동기화 하는 것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APN은 데이터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별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예컨대, Default PDN(Packet Data Network))에 대한 레퍼런스 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APN은 컨텐츠별 및/또는 요율 별로 구분될 수 있다. APN의 컨텐츠별 구분은 텍스트, 동영상, 영화, 음악, 게임 등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APN의 요율별 구분은 패킷(packet) 당 금액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의 운용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과 그의 운용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N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1단계에서, 휴대단말(UE, User Equipment)(10)과 무선 기지국(eNB, Evolved Node B)(20)과의 사이에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커넥션(connection)이 확립되면, 103단계에서 휴대단말(10)은 LTE 네트워크(LTE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서 교환기(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및 서빙 SAE-GW(System Architecture Evolution-Gateway))(30)에게 등록 요구(attach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105단계에서 휴대단말(10), 교환기(20) 및 가입자 정보 관리서버(HSS, Home Subscriber Server)(50)와의 사이에서, 해당 휴대단말(10)에 대한 인증 처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107단계에서 교환기(30)가 휴대단말(10)의 관리를 위한 권한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위치 업데이트(Update Location) 메시지를 가입자 정보 관리서버(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109단계에서 가입자 정보 관리서버(50)는 교환기(30)에게 휴대단말(10)의 가입자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111단계에서, 휴대단말(10)과 LTE 네트워크(예컨대, Default PDN)의 게이트웨이(PDN SAE-GW)(40) 간에 사용자 평면(U-Plane, User Plane) 루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프로토콜들이 전달되는 개념적인 평면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113단계에서 무선 기지국(20)과 교환기(30) 간에 IP 베어러(bearer)가 설정되며, 115단계에서 교환기(30)는 휴대단말(100)의 등록 요구 메시지에 대응하여, LTE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처리가 완료된 것을 통지하는 등록 응답(attach response) 메시지를 휴대단말(10)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휴대단말(10)은 LTE 네트워크에 등록한 후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1과 같은 방식에서, 휴대단말(10)이 전송하는 등록 요구 메시지에,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의 네트워크(Default PDN)를 지정하는 APN을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서는 휴대단말의 네트워크 등록 시 APN(특히,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APN)을 이용하여 등록하는 것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저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제어부(controller)(170), 그리고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단말과 휴대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network)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1),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5), 위치 산출 모듈(117), 그리고 방송 수신 모듈(1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1)은 이동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디바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그리고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모듈(111)은 네트워크 등록에 따른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무선 신호 송신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랜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internet) 접속 및 다른 휴대단말과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내는 것으로, 휴대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메시지를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5)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그리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5)은 휴대단말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위치 산출 모듈(115)은 3개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산출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휴대단말의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휴대단말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9)은 방송 채널(예컨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예컨대,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 및/또는 상기 방송과 관련된 정보(예컨대,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 등)를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패드(touch pad)(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휴대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이 통화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휴대단말이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내부 또는 외부에서 수집하는 메시지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사용자의 APN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운용되는 표시부(130)의 화면 구성 및 그의 동작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능동형 OLED(Active Matrix OLED, AM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13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패널이 상호 레이어(layer)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touchscreen)'이라 칭함)에, 표시부(1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7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141)로 전송하고, 마이크(143)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41)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14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41)는 휴대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예컨대, 통화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음악 컨텐츠 재생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마이크(143)는 통화모드,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컨대,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전자도서,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컨대, 각 APN,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 등) 및 중요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APN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휴대단말이 접속하는 기본 네트워크에 대한 고정 APN(즉, Default PDN용 고정 APN),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생성되는 APN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상기 고정 APN에 대해 기본 APN 저장영역(Default APN storage)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고정 APN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설정되는 APN을 후술하는 <표 3>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네트워크에서도 각 휴대단말별로 구분하여 관리 및 저장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단말은 인터넷 상에서 상기 저장부(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휴대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17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휴대단말의 모뎀(modem)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APN을 이용한 네트워크 등록 처리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APN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로부터 APN을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선택된 APN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부(150)의 기본 APN 저장영역의 고정 APN을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APN 갱신 전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N과 기본 APN 저장영역의 고정 APN을 비교하여 서로 다른 값을 가질 경우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APN의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시 사용자 선택에 의한 선택된 APN을 기준으로 APN 갱신을 수행하고, 갱신된 APN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재등록을 위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콜(data call) 연결을 시도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네트워크와 연결된 고정 APN과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 간의 동기화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데이터 콜 연결 요청에 대응하는 데이터 콜 셋업(setup) 전에, 고정 APN과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선택된 APN을 다시 비교하는 것에 의한 인증을 수행하고, 고정 APN과 선택된 APN이 서로 일치할 시 데이터 콜 셋업을 진행하고, 만약 고정 APN과 선택된 APN이 서로 다를 시 앞서와 같은 APN 재 갱신을 위한 절차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LTE 시스템에서 휴대단말의 APN 변경에 따른 원활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이러한 제어부(17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17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APN 변경에 따른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새로운 APN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30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새로운 APN을 선택(또는 입력 및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APN 설정(또는 선택) 방법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APN을 비교(303단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05단계). 즉,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N과 Default PDN용 고정 APN(이하, 기본 APN)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본 APN은 LTE 시스템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네트워크(예컨대, Default PDN) 등록을 위해 기본 설정된 AP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에서는 네트워크 등록 시 해당 네트워크(예컨대, Default PDN)에 접속하기 위해 읽는(write) 위치 즉, 저장부(150)의 기본 APN 저장영역(Default APN storage)에 상기 기본 APN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N을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에 갱신(write)할 수 있는데,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 갱신 전에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의 기본 APN과 선택된 APN을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동일하면(305단계의 YES), 이하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N이 기본 APN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305단계의 NO), 선택된 APN을 갱신할 수 있다(307단계). 즉,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다를 시 APN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을 상기 선택된 APN으로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을 선택된 APN으로 갱신한 후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재등록을 위한 네트워크 분리(detach)(309단계) 및 등록(attach)(311단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등록(attach)은 휴대단말이 정상적으로 네트워크에 등록이 되어 정상적으로 데이터 연결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분리(detach)는 휴대단말의 전원이 꺼져 더 이상 정상적인 데이터 연결을 할 수 없는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가입자 식별카드(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USIM(Universal SIM) 카드)를 서로 다른 휴대단말에 이동 장착하는 것에 의해 서로 다른 통신사 사업자(또는 네트워크)(예컨대, SKT, KT)에 의한 각각의 데이터 연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연결을 위해 설정해야 하는 부분이 모바일 네트워크의 APN 설정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예시된 SKT 및 KT 사업자별 가입자 식별카드 종류에 따른 기본 APN(Default PDN용 고정 APN)은 아래 <표 1>과 같이 예시될 수 있다.
Figure 112012042374603-pat00001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APN을 선택하는 동작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4는 사용자가 휴대단말을 조작하여 무선 및 네트워크 설정 메뉴로 진입한 경우의 휴대단말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사용자로부터 무선 및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 무선 및 네트워크 설정 메뉴의 하위 뎁스(depth)에 속하는 메뉴들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무선 및 네트워크 설정 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APN 설정을 위해 로밍, 네트워크 및 APN 등에 대한 옵션 설정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메뉴(450)가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 네트워크 메뉴(450)를 선택하면, 휴대단말의 화면은 도 5와 같이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무선 및 네트워크 설정 메뉴에서 APN 설정을 위한 모바일 네트워크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휴대단말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5는 상기 도 4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바일 네트워크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휴대단말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액세스 사용 설정을 위한 데이터 사용 메뉴, 로밍 시 데이터 서비스 연결 설정을 위한 데이터 로밍 메뉴, APN 선택(또는 설정)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메뉴 구성 및 각 메뉴의 이름은 휴대단말 제조사 및 휴대단말 종류마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메뉴에서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APN 설정을 위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550)가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550)를 선택하면, 휴대단말의 화면은 도 6과 같이 전환될 수 있다.
도 6은 모바일 네트워크 메뉴에서 APN 설정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휴대단말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가 선택된 경우의 휴대단말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기본 APN(즉, Default PDN용 고정 APN)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기본 APN 정보만 제공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사용자에 의해 추가 설정된 APN이 있을 경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APN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 진입 시 새 APN 설정 진입을 위한 설정 아이템(610)과 설정된 APN의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 아이템(630)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에서 설정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APN 정보를 선택하거나, 새 APN 설정을 위한 설정 아이템(610)을 선택하거나, 또는 설정된 APN의 초기화를 위한 초기화 아이템(630)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APN 설정을 위해 상기 설정 아이템(610)이 선택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아이템(610)을 선택하면, 휴대단말은 도 7과 같은 APN 편집(또는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즉, 상기 도 6에 나타낸 휴대단말의 화면은 사용자의 설정 아이템(610) 선택에 따라 상기 도 7과 같이 전환될 수 있다.
도 7은 액세스 포인트 이름(또는 APN) 메뉴에서 설정 아이템(610)을 선택했을 때의 휴대단말의 화면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7의 실시 예에서는 이용 중인 통신사 사업자에 맞게 다양한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 메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는 APN 설정을 위한 다양한 옵션 메뉴들을 모두 나타낸 것으로, 실제 휴대단말의 화면에서는 사용자 스크롤(scroll)에 대응하는 일부 옵션 메뉴들이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사 사업자별 새 APN 설정을 위해 옵션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도 7과 같은 화면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옵션을 선택하여 해당 값을 입력하는 절차에 따라 아래의 <표 2>의 예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옵션을 설정할 수 있다. 아래 <표 2>의 경우 앞서 살펴본 <표 1>의 예시에 따라 사용자가 국내의 통신사 사업자인 KT 및 SKT에 대해 APN을 각각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로 한다.
Figure 112012042374603-pat00002
상기 <표 2>의 예시와 같이 통신사 사업자별로 APN 설정을 위해 입력되는 옵션이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새 APN에 대한 설정이 완료될 시 메뉴 조작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 설정한 APN을 한 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선택된 APN을 기본 APN으로 갱신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은 앞서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N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다수의 APN들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정된 APN들은 저장부(150)에 아래 <표 3>의 예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Figure 112012042374603-pat00003
상기 <표 3>의 예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부(15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본 APN(예컨대, APN #0)를 비롯하여, 사용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APN들(예컨대, APN #1 내지 APN #n)이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APN 선택이 있으면, 상기 <표 3>의 예시와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택된 APN으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데이터 통신을 시도할 때의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앞서와 같은 절차에 따라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을 갱신한 후,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콜(data call)을 시도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801단계). 예를 들어, 사용자는 앞서의 도 4 내지 도 7의 예시에 대응하여 특정 APN을 선택하거나, 새 APN을 설정한 후 데이터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데이터 콜 시도가 입력되면, 사용자 선택에 따른 APN을 비교(803단계)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05단계). 즉, 제어부(170)는 데이터 콜 연결 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 기본 APN과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선택된 APN 간의 비동기(asynchronous)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즉 동기화(synchronous)를 위해 데이터 콜 셋업(setup) 전에 APN을 다시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동일하면(805단계의 YES), 데이터 콜 셋업을 위한 프로시저(procedure)를 진행할 수 있다(813단계).
제어부(170)는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805단계의 NO), 선택된 APN을 재 갱신할 수 있다(807단계). 즉, 제어부(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다를 시 APN 재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을 상기 선택된 APN으로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어부(170)는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을 선택된 APN으로 갱신한 후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재등록을 위한 네트워크 분리(detach)(809단계) 및 등록(attach)(811단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선택된 APN을 이용한 네트워크 등록(attach) 시 상기 선택된 APN을 이용하여 데이터 콜 셋업 프로시저를 진행할 수 있다(813단계).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무선 통신부 120: 사용자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오디오 처리부
150: 저장부 160: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전원 공급부

Claims (15)

  1. 휴대단말에서 APN(Access Point Name)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APN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APN이 선택될 시, 선택된 APN과 상기 휴대단말이 서비스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APN으로 상기 휴대단말의 저장부에 기본 저장된 기본 APN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기반으로 상기 기본 APN을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APN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저장부의 기본 APN 저장영역(Default APN storage)에 저장된 상기 기본 APN을 비교하여, 그들의 일치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본 APN은 시스템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네트워크(Default PDN) 등록을 위해 기본 설정된 APN이고,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은 상기 휴대단말이 네트워크 등록 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읽는(write)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면,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다를 시 APN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의 상기 기본 APN을 상기 선택된 APN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을 상기 선택된 APN으로 갱신한 후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재등록을 위한 네트워크 분리(detach) 및 등록(attach)을 수행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콜(data call)을 시도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상기 선택된 APN을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의 기본 APN과 비교하는 과정;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재 갱신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데이터 콜 셋업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콜 셋업 전에 네트워크와 연결된 기본 APN과 사용자 선택에 따른 선택된 APN 간의 동기화를 위한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동일하면,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데이터 콜 셋업을 바로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 갱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다를 시 APN 재 갱신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을 상기 선택된 APN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PN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10. 휴대단말에 있어서,
    APN(Access Point Name) 설정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단말이 서비스 가능한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APN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APN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APN 변경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APN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APN이 선택될 시, 선택된 APN과 상기 저장부에 기본 저장된 상기 기본 APN을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기반으로 상기 기본 APN을 갱신하고, 및
    상기 선택된 APN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콜(data call)을 시도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상기 선택된 APN을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의 기본 APN과 비교하고,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APN을 재 갱신하고, 및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데이터 콜 셋업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휴대단말이 네트워크 등록 시 해당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읽는(write) 기본 APN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시스템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네트워크(Default PDN) 등록을 위해 기본 설정된 상기 기본 APN은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PN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을 비교하고,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동일하면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네트워크 등록 절차를 생략하고,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이 다를 시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의 기본 APN을 상기 선택된 APN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콜 요청에 따라 상기 선택된 APN과 상기 기본 APN을 비교하고, 상기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동일하면 상기 선택된 APN에 의한 데이터 콜 셋업을 바로 처리하고, 상기 선택된 APN과 기본 APN이 다를 시 상기 기본 APN 저장영역을 상기 선택된 APN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5. 휴대단말의 표시부를 통해 APN(Access Point Name)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의한 APN이 선택되면 선택된 APN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이 서비스 가능한 네트워크에 관련하여 저장부의 기본 APN 저장영역에 저장된 기본 APN을 갱신하고, 상기 선택된 APN을 이용한 네트워크 등록 및 상기 선택된 APN 기반의 데이터 콜 셋업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056419A 2012-05-26 2012-05-26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88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19A KR101880917B1 (ko) 2012-05-26 2012-05-26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19A KR101880917B1 (ko) 2012-05-26 2012-05-26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08A KR20130132208A (ko) 2013-12-04
KR101880917B1 true KR101880917B1 (ko) 2018-07-23

Family

ID=4998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19A KR101880917B1 (ko) 2012-05-26 2012-05-26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536B1 (ko) * 2015-07-13 2016-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n 접속 방법과 프로그램 및 이를 실행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86088B1 (ko) * 2016-07-07 2020-03-06 주식회사 케이티 접속점 이름을 변경하는 단말 장치, 디바이스 매니저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CN109995811B (zh) * 2017-12-29 2021-12-28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ios系统的网络切换方法及系统
CN113660711A (zh) * 2021-07-07 2021-11-16 Tcl通讯(宁波)有限公司 一种运营商sim卡的apn过滤方法、存储介质及终端设备
CN117354884A (zh) * 2022-08-08 2024-01-0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apn切换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8798A1 (en) 2009-01-23 2011-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ubscription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 n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481B1 (ko) * 2002-12-03 2005-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패킷 네트워크에서의 접속점 이름 변경장치 및 방법
KR20040059606A (ko) * 2002-12-27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근점 이름 변경에 따른 서비스 방법
KR101257073B1 (ko) * 2009-09-17 2013-04-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그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78798A1 (en) 2009-01-23 2011-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ubscription configuration of access point n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2208A (ko)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15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ubscriber identity module
EP31716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nection to data service
US8903391B2 (en) Adaptive data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ortable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US20160352377A1 (en) SUPPORTING SIM TOOLKIT APPLICATIONS IN EMBEDDED UICCs
US11729840B2 (en) Access point name determination for mission critical services
CN111107520B (zh) 激活和管理用于蜂窝服务的独立设备的机制
KR101880917B1 (ko) 액세스 포인트 이름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003517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bile data configuration access point names
TWI414201B (zh) 通信裝置及通信裝置之裝置發端通信請求之處理方法
US11206609B2 (en) Cell access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540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CN110460988B (zh) 网络列表的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EP2503758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ubscriber identity module
WO2016145901A1 (zh) 一种实现用户识别卡数据更新的方法、用户终端及网元
CA281506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ubscriber identity module
CN108207019B (zh) 注册网络的方法及装置
US20240147223A1 (en) Remote configuration method of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mote configuration mode
CN117378191A (zh) 一种本地服务的提供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16074804A (zh) 通信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2016131308A (ja) 通信端末装置
CN117693991A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5428479A (zh) 设备定位方法、系统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4088595A1 (en) Mobility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15734302A (zh) 小区接入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JP2019146011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