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745B1 -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 Google Patents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745B1
KR101880745B1 KR1020170089050A KR20170089050A KR101880745B1 KR 101880745 B1 KR101880745 B1 KR 101880745B1 KR 1020170089050 A KR1020170089050 A KR 1020170089050A KR 20170089050 A KR20170089050 A KR 20170089050A KR 101880745 B1 KR101880745 B1 KR 101880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le
pipe pile
ji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덕
Original Assignee
신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선 filed Critical 신경선
Priority to KR1020170089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말뚝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부가 지그의 말뚝고정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됨으로써, 볼트공 형성으로 인한 강관 말뚝의 단면 손실 없이 근입 장비의 회전력과 압입력을 강관 말뚝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는 상부에 측면을 가압하여 외주면과 내주면의 단면이 다각형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강관 말뚝의 상기 결합부를 근입 장비에 연결하여 근입 장비의 회전력을 강관 말뚝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그는 근입 장비의 하부에 고정되는 장비고정부; 상기 장비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강관 말뚝의 결합부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말뚝고정부; 및 상기 삽입공의 중앙 상면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강관 말뚝의 결합부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강관 말뚝의 결합부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끼움고정봉;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Jig for rotational penetration pile}
본 발명은 강관 말뚝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부가 지그의 말뚝고정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됨으로써, 볼트공 형성으로 인한 강관 말뚝의 단면 손실 없이 근입 장비의 회전력과 압입력을 강관 말뚝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에 대한 것이다.
각종 건축 구조물이나 교량, 항만 등 토목 구조물의 기초로 강관 말뚝이 많이 이용된다.
특히, 단면이 원형인 원형 강관 말뚝은 단면의 어느 방향으로나 단면 2차 반경이 동일하므로 좌굴 없이 내력을 발휘하고 높은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외부 하중에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적은 단면적으로 두께나 길이를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어 공기와 공사비를 단축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이러한 강관 말뚝은 별도로 천공홀을 미리 천공하지 않고, 강관 말뚝을 회전 또는 압입에 의해 지반에 관입한다.
이에 기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 장비(3)로 강관 말뚝(1)에 회전력을 전달하면서 지반에 관입하기 위해 근입 장비(3)와 강관 말뚝(1) 사이에 지그(2)가 위치되었다. 이러한 지그(2)는 근입 장비(3)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13)를 관통하여 강관 말뚝(1)의 상단에 고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지그(2)와 강관 말뚝(1)의 결합을 위해 강관 말뚝(1)의 단부에 볼트(13) 결합을 위한 볼트공(11)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성이 떨어지고, 볼트(13)의 체결 및 해체 작업이 번거로우며, 단면 손실로 인한 구조적 성능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력이 클수록 관통 결합되는 볼트(13)의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들은 배가될 수 있으며, 볼트(13)에 의해서만 큰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볼트공(11) 주위의 강관 말뚝(1)이 변형이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1744170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관 말뚝 상부에 볼트공을 형성하지 않고 강관 말뚝과 지그를 상호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근입 장비의 회전력과 압입력을 강관 말뚝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강관 말뚝을 가공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편리하고, 강관 말뚝과 지그의 고정 작업이 편리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며, 단면 손실이나 부재의 변형으로 인한 성능 저하의 문제가 없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에 측면을 가압하여 외주면과 내주면의 단면이 다각형인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된 강관 말뚝의 상기 결합부를 근입 장비에 연결하여 근입 장비의 회전력을 강관 말뚝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그는 근입 장비의 하부에 고정되는 장비고정부; 상기 장비고정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강관 말뚝의 결합부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이 형성된 말뚝고정부; 및 상기 삽입공의 중앙 상면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강관 말뚝의 결합부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강관 말뚝의 결합부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끼움고정봉;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말뚝고정부의 측면에는 삽입공에 삽입된 강관 말뚝의 결합부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끼움고정봉은 말뚝고정부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끼움고정봉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끼움고정봉은 삽입공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강관 말뚝 상단에 형성된 다각형의 결합부가 지그의 말뚝고정부 하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호 고정됨으로써, 근입 장비의 회전력과 압입력을 강관 말뚝에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둘째, 강관 말뚝에 볼트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강관 말뚝의 제작이 편리하고, 단면 손실이나 볼트공 주변의 변형으로 인한 구조적 성능 저하의 문제가 없다.
셋째, 강관 말뚝과 지그를 상호 밀착 고정하면 충분하므로, 강관 말뚝과 지그 상호 간의 고정 작업이 편리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종래 강관 말뚝과 지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끼움고정봉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는 상부에 측면을 가압하여 외주면과 내주면의 단면이 다각형인 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된 강관 말뚝(1)의 상기 결합부(12)를 근입 장비(3)에 연결하여 근입 장비(3)의 회전력을 강관 말뚝(1)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그(2)는 근입 장비(3)의 하부에 고정되는 장비고정부(21) 및 상기 장비고정부(2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221)이 형성된 말뚝고정부(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2)는 근입 장비(3)와 강관 말뚝(1) 사이에 위치되어 근입 장비(3)의 회전력을 강관 말뚝(1)에 전달한다.
상기 강관 말뚝(1)은 지반에 미리 천공홀을 형성하지 않고 직접 회전시켜 지반에 관입할 수 있다.
상기 강관 말뚝(1)은 단면이 원형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강관 말뚝(1)은 상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결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는 근입 장비(3)의 회전력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12)는 강관 말뚝(1) 상단을 측면에서 가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다각 단면 가공은 강관 말뚝(1)의 단부 내에 단면 형상이 다각형인 심재 금형을 삽입하고, 다각형의 각 면에서 유압으로 가압하여 단면 치수가 정확하게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는 강관 말뚝(1)과의 일체성 및 회전력의 전달 효율 등을 고려하여 육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결합부(12)의 단면 형상이 오각형 이하이면, 원형 가압되는 부분의 변형이 커져 재료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단면계수가 작아져 단면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반대로 상기 결합부(12)의 단면이 칠각형 이상이면, 원형 형상에 가까워지므로, 회전시 슬립(slip)이 발생하여 회전력이 하부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는 강관 말뚝(1)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결합부(12)의 지름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상하로 이음되는 강관 말뚝(1)의 이음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그(2)는 상부의 장비고정부(21)와 하부의 말뚝고정부(22)로 구성된다.
상기 장비고정부(21)는 근입 장비(3)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말뚝고정부(22)는 장비고정부(21)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말뚝고정부(22)는 하부에 상기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2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가 지그(2)의 말뚝고정부(22) 하부에 형성된 삽입공(221)에 삽입되어, 강관 말뚝(1) 상단 전체 외주면을 통해 근입 장비(3)의 회전력이 확실하게 전달된다.
상기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는 삽입공(221)에 밀착되어 압입력을 전달한다.
상기 강관 말뚝(1)은 끼움 결합에 의하여 지그(2)에 결합하면 충분하므로, 결합 과정이 간단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강관 말뚝(1)에 볼트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강관 말뚝(1)의 제작이 편리하고 단면 손실이나 볼트공 주변의 변형으로 인한 구조적 성능 저하의 문제가 없다.
상기 말뚝고정부(22)의 삽입공(221) 입구 내측면은 결합부(1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내측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뚝고정부(22)의 측면에는 삽입공(221)에 삽입된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23)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3)는 결합부(12)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에 따라 지그(2)의 삽입공(221)에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를 삽입하여 결합한 후 근입 장비(3)에 의해 강관 말뚝(1) 양중시, 강관 말뚝(1)이 자중에 의해 지그(2)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볼트(23)로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상단 일측면을 가압하여 삽입공(221) 내에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가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강관 말뚝(1)이 말뚝고정부(22)의 삽입공(221) 내에서 헛돌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23)는 일측에 1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말뚝고정부(22)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와 강관 말뚝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221)의 중앙 상면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끼움고정봉(24)이 구비될 수 있다.
통상 말뚝 시공시 항타기를 설치할 수 있는 말뚝 길이의 제한으로 인하여 상하로 이웃하는 복수의 강관 말뚝(1)을 상호 연결하여 시공하는데, 이음되는 강관 말뚝(1)의 개수가 많아지거나 지반이 단단하면 큰 회전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외주면만을 말뚝고정부(22)가 잡아 회전시킬 경우, 강관 말뚝(1) 상단에 토션이 크게 작용하여 결합부(12)가 비틀리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에 변형이 발생하면 근입 장비(3)의 회전력을 제대로 강관 말뚝(1)으로 전달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는 강관 말뚝(1)의 이음부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음부에 변형이 발생하면 강관 말뚝(1) 간 이음도 곤란해진다.
따라서 삽입공(221)의 중앙 상면에 하부로 돌출 형성된 끼움고정봉(24)을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내부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강관 말뚝(1)의 내부와 외부를 모두 지그(2)에 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력을 확실하게 전달하고 결합부(1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봉(24)의 외주면은 회전력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결합부(12)의 내주면과 동일한 단면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고정봉(24)은 말뚝고정부(22)의 하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봉(24)은 강관 말뚝(1)과 지그(2) 결합시 중심축을 잡아주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고정봉(24)을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내부에 먼저 삽입한 후 결합부(12)가 끼움고정봉(24)에 의해 가이드되어 삽입공(221) 내부로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어, 지그(2)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상기 끼움고정봉(24)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봉(24)의 하단에 테이퍼부(241)가 형성되면,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내에 끼움고정봉(24)을 삽입하기 용이하다.
도 6은 끼움고정봉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고정봉(24)은 삽입공(22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고정봉(24)을 삽입공(22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강관 말뚝(1)의 지름이나 두께에 따라 끼움고정봉(24)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그(2)를 교체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며, 지그(2)와 끼움고정봉(24)을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보다 분리하여 결합하는 것이 제작 면에서도 유리하다.
일례로 상기 끼움고정봉(24)의 상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242)를 형성하고, 삽입공(221)의 상면에 상기 체결부(242)가 나사 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고정봉(24)을 회전시켜 체결부(242)와 체결홈부(222)를 상호 나사 결합한 다음, 말뚝고정부(22)의 결합부(12) 내에 끼움고정봉(24)을 결합할 수 있다.
1: 강관 말뚝
11: 볼트공
12: 결합부
2: 지그
21: 장비고정부
22: 말뚝고정부
221: 삽입공
222: 체결홈부
23: 고정볼트
24: 끼움고정봉
241: 테이퍼부
242: 체결부
3: 근입 장비

Claims (6)

  1. 상부에 측면을 가압하여 외주면과 내주면의 단면이 다각형인 결합부(12)가 일체로 형성된 강관 말뚝(1)의 상기 결합부(12)를 근입 장비(3)에 연결하여 근입 장비(3)의 회전력을 강관 말뚝(1)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2)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그(2)는 근입 장비(3)의 하부에 고정되는 장비고정부(21);
    상기 장비고정부(21)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에 상기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공(221)이 형성된 말뚝고정부(22); 및
    상기 삽입공(221)의 중앙 상면에서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갖는 끼움고정봉(24);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2. 제1항에서,
    상기 말뚝고정부(22)의 측면에는 삽입공(221)에 삽입된 강관 말뚝(1)의 결합부(12)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23)가 관통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끼움고정봉(24)은 말뚝고정부(22)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5. 제1항에서,
    상기 끼움고정봉(24)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2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6. 제1항에서,
    상기 끼움고정봉(24)은 삽입공(221)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KR1020170089050A 2017-07-13 2017-07-13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KR10188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50A KR101880745B1 (ko) 2017-07-13 2017-07-13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050A KR101880745B1 (ko) 2017-07-13 2017-07-13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745B1 true KR101880745B1 (ko) 2018-07-20

Family

ID=63103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050A KR101880745B1 (ko) 2017-07-13 2017-07-13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7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0846A (ja) * 2003-03-31 2004-10-28 Daiwa House Ind Co Ltd 回転圧入杭における上下杭のジョイント構造
JP2011032783A (ja) * 2009-08-04 2011-02-17 Kurimoto Ltd 杭継手構造及び連結部材
KR101467142B1 (ko) * 2014-02-14 2014-12-01 반석기초이앤씨(주) 가압 그라우팅이 가능한 강관 말뚝 및 그 관입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1744170B1 (ko) 2016-09-07 2017-06-07 (주)대우건설 구근 확장이 가능한 강관 말뚝 관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0846A (ja) * 2003-03-31 2004-10-28 Daiwa House Ind Co Ltd 回転圧入杭における上下杭のジョイント構造
JP2011032783A (ja) * 2009-08-04 2011-02-17 Kurimoto Ltd 杭継手構造及び連結部材
KR101467142B1 (ko) * 2014-02-14 2014-12-01 반석기초이앤씨(주) 가압 그라우팅이 가능한 강관 말뚝 및 그 관입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KR101744170B1 (ko) 2016-09-07 2017-06-07 (주)대우건설 구근 확장이 가능한 강관 말뚝 관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75167A1 (en) Reinforcing bar splice with threaded collars
KR101803358B1 (ko) 콘크리트말뚝 연결장치 및 방법
EP1218650B1 (en) Connecting device
JP5021437B2 (ja) 鋼管杭接続構造
JP5661165B1 (ja) 杭の接続構造
JP2011208373A (ja) 鋼管杭の機械式継手構造
CN101942812B (zh) 一种桥梁加固方法以及预应力高强钢丝网锚具在桥梁加固中的应用
KR101880745B1 (ko) 회전 관입 말뚝용 지그
JP4953775B2 (ja) プレストレス導入装置およびそのアンカー構造
KR101858024B1 (ko) 철근이음장치
KR20190010074A (ko) 동시 그라우팅용 마이크로파일 천공 케이싱파이프
JP2007016446A (ja) コンクリート杭の接続部構造
KR101939020B1 (ko) 기초 배근 연결용 지압유닛 및 이를 적용한 강관 파일의 기초 공법
KR20100041991A (ko) 전단연결재로서의 철골구조용 스터드 볼트의 결합구조
KR20000066222A (ko) 철근 연결구
CN112127358A (zh) 一种预制混凝土桩的加工方法及预制混凝土桩
KR20200092577A (ko) 침하구조물 인상을 위한 원형강관말뚝 및 그 시공방법
CN215105275U (zh) 一种管桩接桩设备
JP6007863B2 (ja) 回転杭を構成する鋼管の接合構造
KR102192982B1 (ko) 간편 연결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200392061Y1 (ko) 철근 연결 구조
CN213233425U (zh) 有底筒的预制桩用连接件
JP2009191522A (ja) 鋼管杭の継手
KR102465683B1 (ko) 파일의 무용접 이음장치
KR100691756B1 (ko) 철근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