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927B1 - Multifunctional pot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p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927B1
KR101879927B1 KR1020160019537A KR20160019537A KR101879927B1 KR 101879927 B1 KR101879927 B1 KR 101879927B1 KR 1020160019537 A KR1020160019537 A KR 1020160019537A KR 20160019537 A KR20160019537 A KR 20160019537A KR 101879927 B1 KR101879927 B1 KR 101879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main body
pcb
por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5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98347A (en
Inventor
김용석
박재용
김성일
김희원
전재영
Original Assignee
김용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석 filed Critical 김용석
Priority to KR102016001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927B1/en
Priority to PCT/KR2017/000551 priority patent/WO2017142212A1/en
Publication of KR2017009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3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의 상부에 화분포트 또는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화분포트에 식물을 재배할 시 상기 식물이 저면관수방식으로 재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부직포가 구성될 시에는 상기 부직포가 가습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밑판에 LED를 포함하는 PCB를 구성하여 야간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포트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부본체의 수용부에 부직포를 구성할 경우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밑판의 PCB에 구성되는 LED를 작동시켜 야간에는 실내공간에 무드등과 같이 은은하면서도 부드러운 빛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역할, 가습기능 및 조명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t port or a non-woven fabric is selectively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main body part so that the plant can be cultivated in a bottom watering manner when the plant is cultivated in the pot port, and when the nonwoven fabric is constitut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flowerpot that can function as a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of various colors at night by constructing a PCB including an LED on a bottom plat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The port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to maintain the original purpose of cultivating the plant, and when the user selectively configures the nonwoven fabric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upper body, the user can have a humidify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LEDs on the bottom PCB, To provide soft light, and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lanter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pots role, humidity and lighting features the ability to grow plants thereby.

Description

다기능 화분{Multifunctional pot}{Multifunctional pot}

본 발명은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의 상부에 화분포트 또는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화분포트에 식물을 재배할 시 상기 식물이 저면관수방식으로 재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부직포가 구성될 시에는 상기 부직포가 가습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밑판에 LED를 포함하는 PCB를 구성하여 야간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p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tting pot or a nonwoven fabric selectively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main body to allow the plant to be grown in a bottom pot irrigation method when cultivating a plant in the pot pot, The nonwoven fabric may have a humidifying function, and a PCB including LEDs may be formed on a bottom plat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perform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of various colors at night To a multi-functional flowerpot.

일반적으로 화분은 플라스틱 및 흙을 주재료로 하여 사각 또는 원형으로 본체가 구성되며, 주로 관상용 식물을 식재하여 실내에 두고 물을 주며 관리하게 된다.Generally, pollen is made of plastic or soil as its main material, and it is made up of square or circular body. It is mainly planted with ornamental plants, placed in the room, and administered with water.

이러한 화분은 사람들이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사무실 등에 구비되어 인테리어용 화분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화분에 조명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포함되어 식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실내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화분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These pots are used as indoor pots in offices where people spend most of the day, and in recent years, various functions such as lighting function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pots to raise the plants and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interior Many are being developed.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First of all,

등록번호 10-1041491호(특) 식물이 식재되는 식재부와, 상기 식재부에 부착되어 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발광되는 엘이디발광부와, 상기 식재부에 구비되어 구동부와 축전지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부와, 상기 태양전지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충전한 후 구동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부와, 상기 엘이디발광부를 구동시켜 조명을 수행하며, 상기 침입감지부로부터 방범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엘이디발광부가 경광되도록 발광제어하는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및 방범 기능을 구비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Registration) No. 10-1041491 (especially) An LE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a planting part for planting plants; an LED light emitting part attached to the planting part and emitting light under the control of a driving part;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driving unit after charging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battery unit,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LED light-emitting unit to perform illumination, and when receiving the security signal from the intrusion detection unit And a driving unit for performing light emission control so that the LED light-emitting unit is lighte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ot with illumination and security functions.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식재부가 구성되면서도 조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엘이디발광부가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식재부에 재배되는 식물에 별도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없는 구성이며, 그로 인해 실내공간의 습도를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y, an LED light-emitting un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lighting function while a planting unit is constructed so that plants can be cultivated, but an apparatus for separately supplying water to plants cultivated in the planting unit is constituted And the water can not be supplied periodically. Therefore,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can not be continuously and easily adjust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화분포트의 하부에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기 화분포트의 수용공간과 상부본체의 수용부에 일측과 타측이 위치되는 심지를 상기 관통구에 구성하여 상기 화분포트에 식물을 재배할 시, 상기 수용부에 담수된 물이 삼투압작용에 의해 심지를 따라 상기 식물이 재배되는 화분포트의 수용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본체의 수용부에 부직포가 구성될 시, 상기 부직포가 수용부에 담수된 물을 흡수하여 지속적으로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야간에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화분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tting port, which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a pot port, So that when the plant is cultivated in the pot port, the water desiccated in the receptacle can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pot port in which the plant is grown along the wick by the osmotic action, When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in the nonwoven fabric portion, the nonwoven fabric absorbs the water desicc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to continuously adjust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and can perform the role of the light emitting diverse colors at night It was completed as a technical task with a focus on providing multifunctional po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상부에 화분포트(100) 또는 부직포(f)가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일측에 삽입홈(270)이 형성되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에 LED(411)를 포함하는 PCB(410)가 구성되는 밑판(400); 상기 삽입홈(270)에 삽입되어 상기 LED(411)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투명부재(500); 상기 본체부(200)의 일측에 상기 PCB(410)와 연결되는 감지센서(700); 로 구성되는 다기능 화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하고,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수용부(220)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투명부재(5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 외측을 감싸도록 제 1절개홈(230)이 내삽되어 형성되는 상부본체(210)와, 상기 상부본체(21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부에 상기 투명부재(5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부 외측을 감싸도록 제 2절개홈(260)이 형성되는 하부본체(250)로 구성되어, 상기 제 1절개홈(230)과 상기 제 2절개홈(260)이 상호 맞닿아 삽입홈(27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분포트(100)에는, 내부에 식물(p)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구(110)와, 상기 관통구(110)에 끼워지되 일측이 상기 화분포트(100)의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220)에 위치되는 심지(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부본체(210)의 상부에는 중앙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된 형상을 하고, 상기 상부본체(210)와 화분포트(100)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화분포트(100)의 이탈을 방지토록 화분포트(100)의 외측을 감싸며, 일측에 상기 수용부(2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입홈(910)이 형성되는 캡(900)이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220)에는 외측에 다수의 순환구(810)가 형성되고, 내부에 황토(820)가 포함된 황토케이스(80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Solu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main body part 200 having a pot port 100 or a nonwoven fabric f on its upper part and an insertion groove 27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base plate 400 having a PCB 410 including LEDs 411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A transparent member (5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70) and e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411) to the outside; A sensing sensor 700 connected to the PCB 41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The main body part 200 has a top open shape and is formed with a receiving part 220 in which water is drained, and a central part of the transparent member 500 is formed at a lower part thereof The upper body 210 is formed by interpolating a first incision groove 230 so as to surround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The upper body 21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And a lower body 250 in which a second incision 260 is form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incision 260. The first incision 230 and the second incision 26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pot port 10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0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ant p and penetrating through the lower part and a through hole 110 formed in the through hole 110 A wick 300 having one sid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ot port 100 and the other side positioned in the receiving unit 220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210 has a central portion passing through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210 and the pot pot 100, A cap 900 having an injection groove 910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supply water to the receiving portion 220 is formed so as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flower pot 100 and the receiving portion 220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irculation openings 810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and an ocher case 800 including the ocher 820 is formed t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LED(411)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200)에는 상기 삽입홈(270)의 양측에 제 1, 2고정부재(610, 620)로 구성되는 고정부재(600)가 끼워지되, 상기 제 1, 2고정부재(610, 6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PCB(410)와 연결되어 LED(410)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63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unit 600 includes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270. The fixing member 600 includes a plurality of LEDs 411, And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is connected to the PCB 410 to selectively adjust the color of the LED 410. The control unit .

상기 제 1고정부재(610) 또는 제 2고정부재(620)에는 감지센서(700)의 작동을 ON - OFF하는 스위치(710)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fixing member 610 or the second fixing member 620 is provided with a switch 710 for turning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700 on and off.

상기 감지센서(700)는 열감지센서, 인체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자동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detection sensor 700 may be any one of a thermal sensor, a human body sensor, a motion sensor, and an automatic sensor.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화분에 의하면, 화분포트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부본체의 수용부에 부직포를 구성할 경우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밑판의 PCB에 구성되는 LED를 작동시켜 야간에는 실내공간에 무드등과 같이 은은하면서도 부드러운 빛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역할, 가습기능 및 조명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pot por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riginal purpose of cultivating the plant and, when the user selectively constructs the nonwoven fabric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ft light such as a mood in an indoor space at night by operating the LED constituted on the PCB of the base plate as well as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bottom plate, It is an invention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flower pot role,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 light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show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본체부의 상부에 화분포트 또는 부직포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화분포트에 식물을 재배할 시 상기 식물이 저면관수방식으로 재배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부직포가 구성될 시에는 상기 부직포가 가습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성되는 밑판에 LED를 포함하는 PCB를 구성하여 야간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화분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t port or a non-woven fabric is selectively formed on an upper part of a main body part so that the plant can be cultivated in a bottom watering manner when the plant is cultivated in the pot port, and when the nonwoven fabric is constituted, And a multi-functional flowerpot that can function as a light emitting diverse color light at night by constituting a PCB including an LED on a bottom plate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부에 화분포트(100) 또는 부직포(f)가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일측에 삽입홈(270)이 형성되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에 LED(411)를 포함하는 PCB(410)가 구성되는 밑판(400); 상기 삽입홈(270)에 삽입되어 상기 LED(411)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투명부재(500); 상기 본체부(200)의 일측에 상기 PCB(410)와 연결되는 감지센서(700); 로 구성된다.1 to 8, a structure in which a pot port 100 or a nonwoven fabric f is selectively formed on an upper portion and an insertion groove 270 is formed on one side, (200); A base plate 400 having a PCB 410 including LEDs 411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A transparent member (5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70) and e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411) to the outside; A sensing sensor 700 connected to the PCB 41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본체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화분포트(100) 또는 부직포(f)가 삽입되며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 하기될 투명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270)이 형성된다.First, the body part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part thereof is opened and the pot port 100 or the nonwoven fabric f is inserted by the user, and the transparent member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The insertion groove 270 is formed.

한편, 상기 본체부(200)는 도 1,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210)와 상기 상부본체(210)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는 하부본체(250)로 구성될 수 있다.1, 2, 3, 4 and 5, the main body 200 includes an upper body 210 and a lower body 250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

상기 상부본체(21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물을 담수함과 동시에 상부에 상기 화분포트(100) 또는 부직포(f)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수용부(220)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기될 투명부재(500)가 삽입될 시 상기 투명부재(500)의 상부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제 1절개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본체(250)는 상부에 상기 투명부재(500)가 삽입될 시 상기 투명부재(500)의 하부 외측을 감쌀 수 있도록 제 2절개홈(260)이 형성된다.The upper body 2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220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can be filled with water and the pot port 100 or the nonwoven fabric f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A first cutout groove 230 is formed to cover an upper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member 500 when the transparent member 50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 second cutout groove 260 is formed to cover a lower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member 500 when the transparent member 500 is inserted.

즉, 상기 제 1절개홈(230)과 제 2절개홈(260)이 상호 맞닿아 상기 투명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7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본체(250)가 상기 상부본체(210)의 하부에 구성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wer main body 250 may be formed so that the first incision groove 230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260 abut against each other to form an insertion groove 270 into which the transparent member 500 can be inserted And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여기서, 상기 하부본체(250)가 상기 상부본체(210)의 하부에 구성되어 형성되는 삽입홈(270)에 상기 투명부재(500)가 삽입된 후, 상, 하부로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제 1절개홈(230)과 제 2절개홈(260)이 상호 맞닿아 형성하는 삽입홈(270)의 형상은 상기 투명부재(500)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transparent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7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so that the lower body 250 does not flow upward or downward. The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270 formed by contacting the groove 230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260 with each other is preferab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hape of the transparent member 500.

또한, 상기 상부본체(210)의 상부에는 상기 화분포트(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화분포트(100)의 외측을 감싸는 중앙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된 원통의 형상인 캡(900)이 구성되는데, 상기 캡(900)의 일측에는 상기 캡(9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입홈(910)이 형성되되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로 형성된다.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21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entral portion that covers the outside of the pot port 100 and penetrat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pot port 100 can be inserted, An injection groove 9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ap 900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part 220 while the cap 900 is fixed. do.

본 발명의 다기능 화분을 화분의 용도로 사용 시에 화분포트(100)에 채워진 흙으로 물을 공급하지 않고 상기 주입홈(910)을 통해 공급토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부여토록 할 수 있다.When the multifunctional pot fl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ot,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soil through the filling groove 910 without supplying water to the pot filled in the pot pot 100,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상기 화분포트(100)는 도 1, 2, 3, 4,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식물(p)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구(11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2, 3, 4, 5 and 6, the pot port 100 is formed with a receiving space therein for cultivating the plant p therein, A through hole 110 penetrating from top to bottom is formed.

여기서, 상기 관통구(110)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through-holes 110 may be formed of one or a plurality of through-holes.

또한, 도 3, 4, 6,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110)에 끼워지되, 일측이 상기 화분포트(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220)에 위치되는 심지(300)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4, 6 and 8, the through-hole 110 is provided with one side thereof locat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pot port 100, A wick 300 is formed.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지(300)의 타측이 물이 담수되는 상기 수용부(220)에 위치되어 삼투압작용에 의해 상기 수용부(220)에 담수된 물을 흡수하여 심지(300)의 일측이 위치되는 상기 화분포트(100)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화분포트(100)의 내부 수용공간에 식물(p)을 재배할 시 재배되는 식물(p)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6, the other side of the wick 300 is located in the receiving part 220 where the water is drained so that the water absorbed in the receiving part 220 is absorbed by the osmotic action, (P) to be cultivated when the plant (p) is cultivated in the interior accommodating space of the pot port (100) by allowing water to be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accommodating space of the pot port (100) where one side of the pot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한편,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220)에 부직포(f)가 구성될 시, 상기 수용부(220)의 저면에 외측에서 내부로 관통되는 다수의 순환구(8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황토(820)가 포함된 황토케이스(800)가 구성된다.7 and 8, when the nonwoven fabric f is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220 to perform the humidifying function, a plurality of A circulation hole 810 is formed, and an ocher case 800 including the ocher 820 is formed therein.

즉, 상기 순환구(810)는 상기 수용부(220)에 장기간동안 담수된 물이 방치되더라도 상기 황토케이스(800)의 내부에 포함된 황토(820)로 상기 순환구(810)를 통해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물을 정화시킴으로서, 상기 부직포(f)는 오염되지 않고 정화된 물을 흡수하여 지속적으로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irculation port 810 is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port 810 with the yellow soil 820 contained in the yellow soil case 800, even if water re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s left in the receiving part 220 So that the nonwoven fabric (f) absorbs the purified water without being contaminated, and the humidity of the indoor space can be continuously controlled.

다시 말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황토케이스(80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용부(220)에 부직포(f)가 구성될 시 상기 수용부(220)의 저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8, the loess can case 80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220 when the nonwoven fabric f is formed in the receiving part 220 by a user.

상기 밑판(400)은 도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250)의 하부에 구성되되, 일측에 LED(411)를 포함하는 제어회로기판인 PCB(410)가 구성된다.2, 3, 4 and 5, the PCB 400, which is a control circuit board including LEDs 411 on one side of the lower body 250, do.

한편, 상기 밑판(400)의 일측에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다수개의 LED(411)가 구성된다.Meanwhile, a plurality of LEDs 411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400.

즉, 상기 LED(411)는 상기 밑판(400)이 하부본체(250)의 하부에 구성될 시 하부본체(25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하기될 투명재질의 투명부재(500)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밑판(400)의 일측에 구성되는 PCB(41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PCB(410)는 하기될 조절부(630)와 연결되어 상기 LED(411)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회로기판인 것이다.That is, the LED 411 is a transparent member 500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be positioned inside the lower body 250 when the lower plate 40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250, The PCB 4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630 to adjust the LED 411 so that the LED 411 can emit light. A control circuit board.

다시 말해, 상기 LED(411)를 포함하는 PCB(410)가 구성되는 밑판(400)은 야간에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조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bottom plate 400, in which the PCB 410 including the LEDs 411 are formed,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illumination for emitting light of various colors at night.

한편, PCB(410)는 도시하진 않았지만 일측에 통상의 전력공급이 가능한 전원선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구성하여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가 있고, 상기 통상의 소모성 배터리 및 충전식 배터리를 적용하여 무선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Meanwhile, the PCB 41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that can supply power to one side of the PCB 410, so that the PCB 410 can be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through a wired line. There is a number.

또한, 도 1, 2,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210)의 하부에 하부본체(250)가 구성되어 형성되는 삽입홈(270)에는 투명재질의 투명부재(500)가 삽입 구성된다.1, 2, 3, 4 and 5, a transparent member 500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70 formed by the lower body 250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투명부재(500)는 상기 삽입홈(27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LED(411)가 발광하며 상기 투명부재(500)로 발산하는 빛을 분산시켜 실내공간에 은은하면서도 부드러운 빛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transparent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70 so that the LED 411 emits light and disperses light emitted to the transparent member 500 to provide soft light to the interior space .

한편, 도 1, 2,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본체(250)의 일측에 상기 PCB(410)와 연결되는 감지센서(700)가 구성된다.1, 2, 4 and 5, a sensing sensor 700 connected to the PCB 4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main body 250 of the main body 200.

예를 들어, 본 발명인 다기능 화분(10)이 구비된 실내공간에 사람의 움직임 및 체온 등이 감지될 경우 상기 감지센서(700)가 상기 LED(411)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실내공간에 빛을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person's movement and body temperature are detected in an indoor space provided with the multifunctional flowerpo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ensor 700 automatically operates the LED 411 to provide light to the indoor space .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700)는 열감지센서, 인체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자동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ensing sensor 700 may be any one of a heat sensing sensor, a human body sensing sensor, a motion sensing sensor, and an automatic sensing sensor.

한편, 도 1, 2,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50)로 구성되는 본체부(200)에는 상기 삽입홈(270)의 양측에 제 1, 2고정부재(610, 620)로 구성되는 고정부재(6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 1, 2고정부재(610, 6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밑판(400)의 일측에 구성된 PCB(410)와 연결되어 LED(411)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630)가 구성된다.1, 2 and 5, the main body 200 including the upper body 210 and the lower body 250 is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not shown)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270, 610 and 620 can be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The PCB 410 and the PCB 410 are mounted o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And an adjusting unit 630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color of the LED 411 is formed.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부재(500)가 상기 삽입홈(270)에 삽입되어 구성될 시 상기 삽입홈(270)의 양측에 제 1, 2고정부재(610, 620)를 각각 끼움으로써, 상기 투명부재(50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조절부(630)는 상기 PCB(410)와 연결되어 다수의 LED(411)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다양성을 부여하는 것이다.5, when the transparent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7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270, respectively, The control unit 630 may be connected to the PCB 410 so that the color of the LEDs 411 may be selected. Thereby giving a diversity of use.

또한, 상기 조절부(630)는 사용자가 버튼식으로 누름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간편하게 사용자의 터치만으로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터치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3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push and operate the device by a button, or may be configured to be touchable so that the device can be easily operated only by the user's touch.

여기서, 도 1, 2,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정부재(610) 또는 제 2고정부재(620)에는 감지센서(700)의 작동을 ON - OFF하는 스위치(710)가 구성되는데, 상기 조절부(630)와 하기될 스위치(710)는 상기 제 1, 2고정부재(610, 620) 중 어느 하나에 함께 구성하여 사용자가 조작상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2 and 4, the first fixing member 610 or the second fixing member 620 includes a switch 710 for turning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700 on and off, It is preferable that the adjusting unit 630 and the switch 710 to be described below are combined wit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so that the user can have operational convenienc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절부(630)가 제 1고정부재(610)에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usting portion 630 is shown as a first fixing member 610.

즉, 상기 스위치(710)는 사용자가 필요치 않은 상황에 상기 LED(411)가 감지센서(700)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위치(710)를 구성하여 낮과 같이 햇볕이 많이 드는 시간대에는 상기 스위치(710)를 이용하여 OFF(작동중지)하고, 야간에는 ON(작동시작)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고, 수동모드로 사용할 시에는 LED(411)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That is, the switch 710 constitutes a switch 710 to prevent the LED 411 from being operated by the detection sensor 700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does not need it, The LED 411 can be selectively turned OFF when the switch 710 is turned OFF and can be turned ON at night when the switch 710 is operated in the manual mode.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화분에 의하면, 화분포트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상부본체의 수용부에 부직포를 구성할 경우 실내공간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밑판의 PCB에 구성되는 LED를 작동시켜 야간에는 실내공간에 무드등과 같이 은은하면서도 부드러운 빛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역할, 가습기능 및 조명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According to the multifunctional flower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pot por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original purpose of cultivating the plant and, when the user selectively constructs the nonwoven fabric in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upper main bod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oft light such as a mood in an indoor space at night by operating the LED constituted on the PCB of the base plate as well as having a humidifying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umidity of the bottom plate, It is an invention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flower pot role,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 lighting function.

10 : 다기능 화분
100 : 화분포트 110 : 관통구
200 : 본체부
210 : 상부본체 220 : 수용부 230 : 제 1절개홈
250 : 하부본체 260 : 제 2절개홈 270 : 삽입홈
300 : 심지
400 : 밑판 410 : PCB 411 : LED
500 : 투명부재
600 : 고정부재
610 : 제 1고정부재 620 : 제 2고정부재 630 : 조절부
700 : 감지센서 710 : 스위치
800 : 황토케이스 810 : 순환구 820 : 황토
900 : 캡
p : 식물 f : 부직포
10: Multifunctional pots
100: Pot Port 110: Through hole
200:
210: upper body 220: receiving portion 230: first incision groove
250: lower body 260: second incision groove 270: insertion groove
300: Wick
400: Base plate 410: PCB 411: LED
500: transparent member
600: Fixing member
610: first fixing member 620: second fixing member 630:
700: Detection sensor 710: Switch
800: Yellow soil case 810: Circulation hole 820: Yellow soil
900: Cap
p: plant f: nonwoven fabric

Claims (8)

상부에 화분포트(100) 또는 부직포(f)가 선택적으로 구성되고 일측에 삽입홈(270)이 형성되는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의 하부에 LED(411)를 포함하는 PCB(410)가 구성되는 밑판(400); 상기 삽입홈(270)에 삽입되어 상기 LED(411)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투명부재(500); 상기 본체부(200)의 일측에 상기 PCB(410)와 연결되는 감지센서(700); 로 구성되는 다기능 화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하고, 내부에 물이 담수되는 수용부(220)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투명부재(5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부 외측을 감싸도록 제 1절개홈(230)이 내삽되어 형성되는 상부본체(210)와,
상기 상부본체(21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부에 상기 투명부재(500)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부 외측을 감싸도록 제 2절개홈(260)이 형성되는 하부본체(250)로 구성되어,
상기 제 1절개홈(230)과 상기 제 2절개홈(260)이 상호 맞닿아 삽입홈(270)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분포트(100)에는,
내부에 식물(p)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구(110)와, 상기 관통구(110)에 끼워지되 일측이 상기 화분포트(100)의 수용공간에 위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220)에 위치되는 심지(300)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상부본체(210)의 상부에는 중앙부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된 형상을 하고, 상기 상부본체(210)와 화분포트(100)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화분포트(100)의 이탈을 방지토록 화분포트(100)의 외측을 감싸며, 일측에 상기 수용부(2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주입홈(910)이 형성되는 캡(900)이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220)에는 외측에 다수의 순환구(810)가 형성되고, 내부에 황토(820)가 포함된 황토케이스(8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
A main body part 200 having a pot port 100 or a nonwoven fabric f on its upper part and an insertion groove 270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base plate 400 having a PCB 410 including LEDs 411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0; A transparent member (5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70) and emitting light emitted from the LED (411) to the outside; A sensing sensor 700 connected to the PCB 410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00; In the multifunctional pot,
In the main body 200,
A first incision groove 23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member 500 so as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member 500, An upper body 210,
And a lower body 250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210 and having a second cutout 260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o surround a lower outer side of a center portion of the transparent member 500,
Wherein the first incision groove (230)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260) abut against each other to form an insertion groove (270)
In the pot port 100,
(110)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plant (p) therein and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through hole (110), one side of which is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pot port (100) And a wick 300 positioned in the receiving portion 220,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210 has a central portion that passes through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is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210 and the pot pot 100 so as to prevent the pot pot 100 from being separated A cap 900 is formed which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pot port 100 and has an injection groove 910 formed at one side thereof to supply water to the receiving part 220,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irculation openings (810)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part (220) and an ocher case (800) containing the ocher (820) is formed therei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411)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다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200)에는 상기 삽입홈(270)의 양측에 제 1, 2고정부재(610, 620)로 구성되는 고정부재(600)가 끼워지되, 상기 제 1, 2고정부재(610, 6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PCB(410)와 연결되어 LED(411)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6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Ds 411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lors,
A fixing member 600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270 of the main body 20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610 and 620 Wherein the control unit (630) is connected to the PCB (410) to selectively control the color of the LED (4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부재(610) 또는 제 2고정부재(620)에는 감지센서(700)의 작동을 ON - OFF하는 스위치(71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irst fixing member 610 or the second fixing member 620 is provided with a switch 710 for turning on and off the operation of the detection sensor 7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700)는 열감지센서, 인체감지센서, 동작감지센서, 자동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nsing sensor (700) comprises any one of a thermal sensor, a human body sensor, a motion sensor, and an automatic sensor.



KR1020160019537A 2016-02-19 2016-02-19 Multifunctional pot KR101879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37A KR101879927B1 (en) 2016-02-19 2016-02-19 Multifunctional pot
PCT/KR2017/000551 WO2017142212A1 (en) 2016-02-19 2017-01-17 Multifunctional p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37A KR101879927B1 (en) 2016-02-19 2016-02-19 Multifunctional p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347A KR20170098347A (en) 2017-08-30
KR101879927B1 true KR101879927B1 (en) 2018-07-19

Family

ID=5962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537A KR101879927B1 (en) 2016-02-19 2016-02-19 Multifunctional po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9927B1 (en)
WO (1) WO201714221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36A (en) 2021-03-25 2022-10-05 강의섭 Moss do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32B1 (en) * 2020-09-24 2021-03-0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 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using a wick to the cultivation ornamental plant
KR102340375B1 (en) * 2021-06-04 2021-12-16 이태열 Remotely lighting-controlable flowerpot supporting boar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624A (en) * 1999-01-13 2000-09-26 Aibis:Kk Sight therapeutic device and its drive method
KR20130006516U (en) * 2012-05-03 2013-11-13 백영태 Wall type flowerpot
KR101522138B1 (en) * 2014-02-12 2015-05-20 이주홍 Automatic plant growing device
KR20150141288A (en) * 2014-06-09 2015-12-18 오상훈 Smart flowerpot and smart flowerpot assembly including the flowerpo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676A (en) * 2006-03-18 2007-09-21 주식회사 필룩스 Luminescent flowerpot
KR20130002303U (en) * 2011-10-06 2013-04-16 한인수 A multipurpose with lamp in a 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624A (en) * 1999-01-13 2000-09-26 Aibis:Kk Sight therapeutic device and its drive method
KR20130006516U (en) * 2012-05-03 2013-11-13 백영태 Wall type flowerpot
KR101522138B1 (en) * 2014-02-12 2015-05-20 이주홍 Automatic plant growing device
KR20150141288A (en) * 2014-06-09 2015-12-18 오상훈 Smart flowerpot and smart flowerpot assembly including the flowerpo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황토볼로 물레방아 수반 정원 꾸미기’, 2014.12.23.{http://blog.naver.com/ehddhrl2791/22021792568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36A (en) 2021-03-25 2022-10-05 강의섭 Moss d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212A1 (en) 2017-08-24
KR20170098347A (en)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MI20122055A1 (en) DEVICE FOR DOMESTIC HYDROPONIC CULTIVATION
KR101879927B1 (en) Multifunctional pot
EP3253193B1 (en) Method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 device for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in plant pots and a special plant pot
JP2010017153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101652488B1 (en) Body of indoor landscaping hydroponic equipment
KR20200002432A (en)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KR20130111845A (en) Multifunctional household device for cultivating vegetable and sprout
KR100626998B1 (en) Flowerpot for decoration
KR20130015090A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KR20100004465U (en) Assembly type flowerpot with lighting fixtures
KR200397179Y1 (en) Flowerpot for decoration
CN205232926U (en) Domestic electron vegetables breeding device
KR102035241B1 (en) Smart terrarium system
KR20160095424A (en) Succulents Growing Device
KR20170004396A (en) Vegetable cultivating equipment for home use
KR20130025464A (en) Mini flowerpot
KR20160068428A (en) Tab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TW201532511A (en) Plant cultivation lamp
JP6067393B2 (en) Plant breeding container
CN208402612U (en) Situation type plant setting system
CN201911095U (en) Plant cultivation flowerpot
KR940004155Y1 (en) Apparatus for hydroponics of aquarium
KR101804056B1 (en) Device for frowing sprouts
JP3119789U (en) Illuminated planting container and illuminated top plate containing the planting container
KR20170000173U (en) Fish bowl with flower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