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191B1 -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 Google Patents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191B1
KR101878191B1 KR1020170110956A KR20170110956A KR101878191B1 KR 101878191 B1 KR101878191 B1 KR 101878191B1 KR 1020170110956 A KR1020170110956 A KR 1020170110956A KR 20170110956 A KR20170110956 A KR 20170110956A KR 101878191 B1 KR101878191 B1 KR 101878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lade
blades
support member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덕수
Original Assignee
송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덕수 filed Critical 송덕수
Priority to KR102017011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33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 F03D1/064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of the section profile of the blades, i.e. aerofoil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05B2240/3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7Multiple rotors
    • F05B2240/374Auxiliary rotors attached to blades of main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의 회전체를 지지하는 타워 마스트(Tower Mast)와; 상기 회전체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후단에 허브를 통해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회전체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축과 연동되는 발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배면에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허브를 연결하는 허브 연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기둥형 막대가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 사이에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되며,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는 허브와 연결되는 반대 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좁아 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들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상기 허브와 체결되는 허브 연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Wind Power Generator Having Back Blade}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체 후방에 위치되고, 경량화된 지지 부재가 배면에 설치된 블레이드들이 허브를 통해 회전체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회전체를 지지하는 격자 모양의 타워 마스트(Tower Mast)를 설치함으로써, 풍력발전기의 무게를 경량화하여 풍력발전기의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풍력발전이란 공기의 유동이 가진 운동 에너지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회전자를 회전시켜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고, 이 기계적 에너지로 전기를 얻는 기술이다.
또한, 풍력발전은 어느 곳에나 산재되어 있는 무공해, 무한정의 바람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대규모 발전 단지의 경우에는 발전 단가도 기존의 발전 방식과 경쟁 가능한 수준의 신 에너지 발전 기술이다.
이와 같은 풍력발전기는 일반적으로 소정 높이를 갖는 타워 상부에 회전 가능한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에 풍력에 의해 회전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레이드를 등 간격으로 구비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력이 전기에너지를 얻기 위한 회전속도를 갖추게 하는 증속기를 포함하고, 상기 증속기를 통한 회전력을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발전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풍력발전기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단일 구조물로 예를 들어 발전용량이 2MW일 경우, 블레이드의 길이가 45m이고, 그 중심을 80m 높이로 끌어올려야 하는데, 무게가 대략 35톤(ton)으로 초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산꼭대기나 해상의 아주 열악한 조건에서 건설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풍력발전기를 제조하여 설치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도 매우 어렵지만 이동된 풍력발전기를 설치하는 과정은 더욱 어렵고 설치 기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국에서 제작된 풍력발전기를 수입하므로 막대한 외화가 낭비되며, 설치되는 풍력발전기에서 소음이 크게 발생하므로 사람들의 주거 공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곳에 설치하게 된다.
아울러, 수입한 풍력발전기의 주요 부품이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외국에서 엔지니어가 직접 와서 수리를 하므로 시간과 경비가 많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풍력발전기를 정지 상태로 장시간 방치하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경량화된 한국형 풍력발전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8500호(등록일자 2015.06.0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체 후방에 위치되고, 경량화된 지지 부재가 배면에 설치된 블레이드들이 허브를 통해 회전체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회전체를 지지하는 격자 모양의 타워 마스트(Tower Mast)를 설치함으로써, 풍력발전기의 무게를 경량화하여 풍력발전기의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의 일측 끝단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풍속에 의해 블레이드가 자동 회전되며, 풍속에 따라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고, 블레이드를 후방에 설치함으로써, 강한 풍속에도 블레이드가 타워 마스트에 충돌하지 않으며, 효과적으로 풍력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는 풍력발전기의 회전체를 지지하는 타워 마스트(Tower Mast)와; 상기 회전체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후단에 허브를 통해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회전체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축과 연동되는 발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배면에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허브를 연결하는 허브 연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기둥형 막대가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 사이에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되며,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는 허브와 연결되는 반대 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좁아 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들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상기 허브와 체결되는 허브 연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의 배면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결 부재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타워 마스트는, 적층 구조로 단면이 "H" 빔 형상의 기둥이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로 설치된 기둥 사이에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되며, 기둥과 기둥이 서로 체결되는 상하부에는 고정 부재와 삽입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타워 마스트는, 상하부 이동이 가능하도록 계단 또는 사다리가 일측면 또는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의 선단 끝부분이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휘어진 곡형으로 블레이드 배면에 양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블레이드의 후단 끝부분이 전방으로 일정 각도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보조 날개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날개에는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힌지장치와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허브에 설치된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안전장치가 제거되면 힌지장치와 풍력에 의해 보조 날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상기 허브에는, 다수의 블레이드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각 조절 모터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동되는 나선형 베벨 기어와, 상기 허브 연결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삽입 부재가 복수로 설치되고, 원통형 삽입 부재의 전후방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허브 연결부에는, 상기 나선형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베벨 기어 연결부가 끝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의 금속 기둥과 금속 각재를 이용하여 격자 형상의 타워 마스트(Tower Mast)를 설치하여 종래의 원통형 타워에 비해 제조비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체 후방에 위치되고, 경량화된 지지 부재가 배면에 설치된 블레이드들이 허브를 통해 회전체의 중심축과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블레이드 보다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유지 관리 비용 또한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 후단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함으로써, 강한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후방으로 휨으로 타워와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바람의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요잉 장치의 구성이 필요 없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풍속의 강도에 따라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여 강한 풍속에도 효과적으로 풍력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의 전체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기간 및 단가, 운반 및 설치하는 건설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다수개의 설치된 풍력발전기를 유지 관리하는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배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와 체결되는 지지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날개가 구비된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 연결부와 허브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특정한 구조 또는 기능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의 외관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100)는, 풍력발전기의 무게를 경량화하여 풍력발전기의 설치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풍력발전기의 회전체(20)를 지지하는 타워 마스트(Tower Mast, 10)와, 상기 회전체(20)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22) 후단에 허브(42)를 통해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40), 상기 회전체(20)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축(22)과 연동되는 발전기(50)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40)는 배면에 지지 부재(6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60)와 허브(42)를 연결하는 허브 연결부(62)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100)는 다수의 블레이드(40)가 회전체(20) 후방에 위치되고, 블레이드(40)들이 허브(42)를 통해 회전체(20)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회전체(20)를 지지하는 격자 모양의 타워 마스트(Tower Mast, 10)를 설치된다. 예를 들어, 타워 마스트(10)의 높이가 100m일 경우 블레이드(40)의 길이는 50m ~ 60m이고, 타워 마스트(10)의 높이가 50m일 경우 블레이드(40)의 길이는 25m ~ 30m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워 마스트(10)는, 적층되는 구조로 단면이 "H" 빔 형상의 기둥(14)이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로 설치된 기둥(14) 사이에 보강 부재(15)가 격자로 설치되며, 기둥(14)과 기둥(14)이 서로 체결되는 상하부에는 고정 부재(18)와 삽입 부재(16)가 구비되어 도시되지 않은 볼트와 너트를 통해 체결 고정되거나, 용접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둥(14) 간의 간격은 대략 5m로 총 길이가 100m 이상의 견고한 타워 마스트(10)를 적층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타워 마스트(10)에는 예를 들어, 작업자 또는 관리자들이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계단 또는 사다리(12)가 일측면 또는 내부 중앙에 설치된다.
도 3(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a)와 도 3(b) 그리고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100)의 블레이드(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40)의 선단 끝부분이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휘어진 곡형으로 블레이드(40) 배면에 양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40)의 표면은 가볍고 내식성이 좋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 3(a)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으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3(b)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이 혼합된 복합 재료를 사용할 수 있고, 블레이드(40) 내측에는 도 3(b)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적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바둑판 모양의 금속망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블레이드(40)의 길이가 50m일 경우 블레이드(40)의 넓이는 3m ~ 4m이고, 블레이드(40)의 길이가 25m일 경우 블레이드(40)의 넓이는 2m ~ 2.5m이고, 블레이드(40)의 두께는 재질이 알루미늄 및 금속인 경우 도 3(a)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2mm ~ 3mm이고, 블레이드(40)의 두께는 재질이 합성수지 등의 복합 재료인 경우 도 3(b)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0mm ~ 15mm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배면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40)의 배면에 설치되는 지지 부재(60)는, 금속재로서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기둥형 막대(61)가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61) 사이에 보강 부재(66)가 격자로 설치되고,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61)는 허브(42)와 연결되는 반대 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좁아 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0)의 배면과 상기 지지 부재(60)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결 부재(63)가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도 6(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와 체결되는 지지 부재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6(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100)의 지지 부재(60)에는 보강 부재(66)가 격자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61)들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상기 허브(42)와 연결되는 허브 연결부(62)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허브 연결부(62)에는 지지 부재(60)에 설치된 기둥형 막대(61)에 용접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날개(64)가 복수로 설치된다.
도 7(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날개가 구비된 블레이드의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7(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기(100)의 블레이드(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40)의 선단 끝부분이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휘어진 곡형으로 블레이드(40) 배면에 양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블레이드(40)의 후단 끝부분이 전방으로 일정 각도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40)의 후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보조 날개(70)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날개(70)에는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안전핀이 구비된 안전장치(72)와 힌지장치(74)가 양쪽에 설치되며, 상기 허브(42)에 설치된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안전장치(72)의 안전핀이 제거되면 힌지장치(74)와 풍력에 의해 보조 날개(70)가 개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날개(70)는 풍속이 15m/s 이상일 경우 풍속이 불어오는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설정되므로 강한 풍속에 블레이드(40)가 과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보조 날개(70)가 개방되도록 설정된 15m/s 이하의 풍속인 경우에는 힌지장치(74)의 내부 탄성력에 의해 보조 날개(70)가 닫힌 상태로 복원된다.
도 8(a)와 (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브 연결부와 허브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0(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허브(42)에는 중간 부분에 피치각 조절 모터(92)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동되는 나선형 베벨 기어(90)가 설치되고, 끝단에 나선형 베벨 기어(90)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베벨 기어 연결부(94)가 구비된 허브 연결부(62), 허브 연결부(62)가 관통되는 원통형 삽입 부재(80)가 복수로 설치되며, 원통형 삽입 부재(80)에는 전후방에 베어링(81)이 설치된다.
삭제
삭제
삭제
예를 들어 풍속이 15m/s 이상일 경우 상기 허브(42)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피치각 조절 모터(92)가 회전 동작되며, 이에 따라 나선형 베벨 기어(90)가 회동하면서, 상기 허브 연결부(62) 끝단에 나선형 베벨 기어(90)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베벨 기어 연결부(94)가 회전하여 블레이드(40)들의 피치각이 함께 조절된다. 즉, 단일의 피치각 조절 모터(92)에 의해 다수의 블레이드(40)의 피치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또한, 풍속이 25m/s 이상인 태풍이 불어오는 경우, 블레이드(40)의 피치각은 대략 150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블레이드(40)가 풍속의 저항을 적게 받게 함으로써 태풍 등으로부터 풍력발전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풍속이 25m/s 이상인 태풍이 불어오는 경우 도시되지 않은 브레이크를 작동하여 블레이드(40)의 회전 동작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각의 금속 기둥과 금속 각재를 이용하여 격자 형상의 타워 마스트(Tower Mast)를 설치하여 종래의 원통형 타워에 비해 제조비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다수의 블레이드가 회전체 후방에 위치되고, 경량화된 지지 부재가 배면에 설치된 블레이드들이 허브를 통해 회전체의 중심축과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블레이드 보다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고, 유지 관리 비용 또한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 후단에 다수의 블레이드를 설치함으로써, 강한 바람에 의해 블레이드가 후방으로 휨으로 타워와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바람을 방향으로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요잉 장치의 구성이 필요 없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속의 강도에 따라 블레이드의 피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 조절 장치를 설치하여 강한 풍속에도 효과적으로 풍력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풍력발전기의 전체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조 기간 및 단가, 운반 및 설치하는 건설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다수개의 설치된 풍력발전기를 유지 관리하는 비용 또한 줄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풍력발전기 10: 타워 마스트(Tower Mast)
20 : 회전체 22 : 회전축
40 : 블레이드 42 : 허브
46 : 허브 연결부 50 : 발전기
60 : 지지 부재 70 : 보조 날개
80 : 원통형 삽입 부재 81 : 베어링
90 : 나선형 베벨 기어 92 : 피치각 조절 모터
94 : 베벨 기어 연결부 h : 삽입홀

Claims (10)

  1. 풍력발전기의 회전체를 지지하는 타워 마스트(Tower Mast)와;
    상기 회전체 중앙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 후단에 허브를 통해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
    상기 회전체 하측에 설치되며 회전축과 연동되는 발전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배면에 지지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와 허브를 연결하는 허브 연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모양의 기둥형 막대가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 사이에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되며, 복수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는 허브와 연결되는 반대 방향으로 점차 간격이 좁아 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된 기둥형 막대들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 상기 허브와 체결되는 허브 연결부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배면과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체결 부재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마스트는,
    적층 구조로 단면이 "H" 빔 형상의 기둥이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로 설치된 기둥 사이에 보강 부재가 격자로 설치되며,
    기둥과 기둥이 서로 체결되는 상하부에는 고정 부재와 삽입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마스트는,
    상하부 이동이 가능하도록 계단 또는 사다리가 일측면 또는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의 선단 끝부분이 전면에서 배면 방향으로 휘어진 곡형으로 블레이드 배면에 양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블레이드의 후단 끝부분이 전방으로 일정 각도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후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보조 날개가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조 날개에는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힌지장치와 안전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허브에 설치된 풍속을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안전장치가 제거되면 힌지장치와 풍력에 의해 보조 날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에는,
    다수의 블레이드 피치각을 조절하는 피치각 조절 모터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동되는 나선형 베벨 기어와, 상기 허브 연결부가 삽입되는 원통형 삽입 부재가 복수로 설치되고, 원통형 삽입 부재의 전후방에는 베어링이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허브 연결부에는,
    상기 나선형 베벨 기어와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베벨 기어 연결부가 끝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KR1020170110956A 2017-08-31 2017-08-31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KR101878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56A KR101878191B1 (ko) 2017-08-31 2017-08-31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56A KR101878191B1 (ko) 2017-08-31 2017-08-31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191B1 true KR101878191B1 (ko) 2018-07-13

Family

ID=6291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956A KR101878191B1 (ko) 2017-08-31 2017-08-31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1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83A1 (ko) * 2019-11-19 2021-05-27 장대현 풍력발전용 로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풍력발전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948U (ko) * 1990-03-15 1991-12-05
JP2003201951A (ja) * 2002-01-07 2003-07-18 Fuji Heavy Ind Ltd 水平軸風車の過回転回避機構
JP2005248939A (ja) * 2004-03-02 2005-09-15 Dong Yong Kim シングルロータ方式の水平−垂直軸統合型風力発電機システム
US20060277843A1 (en) * 2005-05-13 2006-12-14 Tracy Livingston Structural tower
US20120070284A1 (en) * 2009-03-17 2012-03-22 Vestas Wind Systems A/S Hinge apparatus for connecting first and second wind turbine blade components comprising a rotary actuator
JP2013029056A (ja) * 2011-07-28 2013-02-07 Juro Sahara 風袋を具備する風車ブレード
KR20130038965A (ko) * 2011-10-11 2013-04-19 류주환 풍력발전기용 로터 고속회전 방지장치
US20150167638A1 (en) * 2011-07-26 2015-06-18 Khalil Abu Al-Rubb Turbine blad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7948U (ko) * 1990-03-15 1991-12-05
JP2003201951A (ja) * 2002-01-07 2003-07-18 Fuji Heavy Ind Ltd 水平軸風車の過回転回避機構
JP2005248939A (ja) * 2004-03-02 2005-09-15 Dong Yong Kim シングルロータ方式の水平−垂直軸統合型風力発電機システム
US20060277843A1 (en) * 2005-05-13 2006-12-14 Tracy Livingston Structural tower
JP2008540918A (ja) * 2005-05-13 2008-11-20 リヴィングストン,トレイシー 構造タワー
US20120070284A1 (en) * 2009-03-17 2012-03-22 Vestas Wind Systems A/S Hinge apparatus for connecting first and second wind turbine blade components comprising a rotary actuator
US20150167638A1 (en) * 2011-07-26 2015-06-18 Khalil Abu Al-Rubb Turbine blade
JP2013029056A (ja) * 2011-07-28 2013-02-07 Juro Sahara 風袋を具備する風車ブレード
KR20130038965A (ko) * 2011-10-11 2013-04-19 류주환 풍력발전기용 로터 고속회전 방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8-540918호(2008.11.20.)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183A1 (ko) * 2019-11-19 2021-05-27 장대현 풍력발전용 로터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풍력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019B2 (en) Shrouded wind turbine system with yaw control
EP2930350B1 (en) Segmented rotor blade with a bolt connection
CN101949356B (zh) 导风式垂直轴风力发电机
KR101181729B1 (ko) 발전효율 증대수단을 구비한 가변 풍차날개 풍력발전기
JP2013519025A (ja) 大規模垂直軸型風力発電装置、風力発電装置および風受けブレード構造体
KR101143144B1 (ko) 다리우스형 풍력발전장치
EP3473851A1 (en) Wind turbine generator
CN104612896A (zh) 海上风电抗台风控制系统
KR101878191B1 (ko) 블레이드가 후방에 구비된 풍력발전기
EP2535563A1 (en) High-efficiency high-power vertical axis wind generator
KR101071240B1 (ko) 풍속 증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물 옥상형 풍력 발전시스템
KR101139295B1 (ko) 가변되는 풍차날개를 구비한 풍력발전기
GB2517935A (en) Wind turbine blade extender
WO2008088921A2 (en) Vertical windmill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1117476B1 (ko) 수직형 풍력발전장치
KR20120107612A (ko) 태양열 풍력발전기
CN114623046A (zh) 用于塔架的塔架节段的系统、相应的塔架节段及风力涡轮
WO2012050540A1 (ru)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турбина (варианты)
KR20140052445A (ko) 방음 수단을 구비한 풍력 터빈 발전기
US20140234097A1 (en) Horizontal-type wind turbine with an upstream deflector
KR101295260B1 (ko) 보조날개를 설치한 풍력발전기
KR20180116613A (ko) 후방에 블레이드가 구비된 풍력발전기
KR20100133338A (ko) 태양광 풍력발전기
CN212250329U (zh) 一种新能源风力发电用的塔架
CN214092144U (zh) 一种风力发电机组叶轮组装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