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155B1 -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155B1
KR101878155B1 KR1020170175087A KR20170175087A KR101878155B1 KR 101878155 B1 KR101878155 B1 KR 101878155B1 KR 1020170175087 A KR1020170175087 A KR 1020170175087A KR 20170175087 A KR20170175087 A KR 20170175087A KR 101878155 B1 KR101878155 B1 KR 10187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al expression
user
camera
portable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수범
Original Assignee
허수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수범 filed Critical 허수범
Priority to KR1020170175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1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06K9/00302
    • G06K9/325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4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양호한 정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긍정표정인지 또는 부정표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표정이 부정표정인 경우, 미리 설정된 스마일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전화, 문자메시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여 사회활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현대인들은 대부분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적, 공적으로 관계를 유지한다.
그러나 일상생활 중 정서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때가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행한 행동들은 사적, 공적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양호한 정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긍정표정인지 또는 부정표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표정이 부정표정인 경우, 미리 설정된 스마일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긍정표정인지 또는 부정표정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미리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긍정 표정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얼굴 표정과 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스마일 작업은 텍스트, 사진, 동영상,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스마일 작업은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마일 작업은 상기 판단된 부정표정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되는 경우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락킹하는 락킹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상기 락킹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락킹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표정이 상기 긍정표정인지 또는 상기 부정표정인지 판단하는 락킹해제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된 표정이 상기 긍정표정일 경우 상기 락킹모드를 해제하는 락킹해제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의 사용 절제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사용이 시작된 때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사용절제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사용절제 작업은 메시지, 사진, 동영상,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비교적 양호한 정서 상태를 의식적으로 이끌어 내어 양호한 정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정인식 사용자모드의 제어순서도이고,
도 3은 락킹모드의 제어순서도이며,
도 4는 사용 절제 모드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에 설치되는 카메라(101)를 포함한다. 카메라(101)는 휴대 단말기 본체의 전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 휴대 단말기는 본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02)와 사용자가 정보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104)와 입력 및 처리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103) 및 이들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표시부(102)는 시각적 표시부(102)와 청각적 표시부(102)를 포함한다. 표시부(102)는 진동을 이용한 촉각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부(102)와 입력부(104)는 일체형으로써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정인식 사용자모드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의 표정이 부정적이라고 판단될 경우 사용자의 표정을 인위적으로 밝게 유도할 수 있는 표정인식 사용자모드가 가능하다.
본 표정인식 사용자모드는 먼저 입력부(104)를 통해 표정인식 사용자모드를 설정한다(S10). 표정인식 사용자모드 설정단계는 본 표정인식 사용자모드에 대한 실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하 수행될 긍정표정 여부 판단 단계에서 기초 정보로 사용될 사용자의 긍정표정 사진을 카메라(101)를 통해 미리 캡쳐하여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긍정표정은 웃는 표정, 미소, 밝은표정을 포함한다. 부정표정은 긍정표정이 아닌 모든 표정을 포함한다.
표정인식 사용자모드가 실행되면, 카메라(101)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한다(S20).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시작할 때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간격은 표정인식 사용자모드 설정단계에서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카메라(101)를 통해 사용자의 표정이 인식되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긍정표정인지 또는 부정표정인지 판단한다(S30).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저장부(103)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긍정표정과 사용자 얼굴표정 인식단계에서 인식된 얼굴 표정을 서로 대비하여 판단한다. 이때, 저장부(103)에 저장된 사용자의 긍정표정에서 측정되는 눈, 입술, 광대의 모양 및/또는 길이 그리고 이빨 노출여부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 얼굴표정 인식단계에서 인식된 얼굴 표정을 비교하여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의 긍정표정을 미리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없이 평균적인 사람의 얼굴 표정 데이터를 기초로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맞닿아 형성되는 입술선의 모양을 측정하여 입술선 중심부로부터 양끝을 향할 때 입술선이 상향하는지 하향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된 표정이 부정표정일 경우, 미리 설정된 스마일 작업을 개시한다(S50). 이때, 부정표정으로 인식된 시점에 즉각 스마일 작업을 개시할 수 있으나, 부정표정으로 인식된 시점부터 카메라(101)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일정 시간 동안 부정표정으로 지속되었을 때 스마일 작업을 개시할 수도 있다(S40). 예를 들면,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여부 판단에서 부정표정으로 판단된 시점부터 1분간 연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카메라(101)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고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하였음에도 그 시간 내에 한 번도 긍정표정으로 판단되지 않은 경우 스마일 작업을 개시한다.
스마일 작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팝업의 형태로 개시되며, 미리 설정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표시부(102)를 통해 나타낸다. 예를 들면, 텍스트는 유머러스한 단문의 메시지일 수 있고, 사진은 유머러스한 사진 또는 가족사진일 수 있고, 동영상은 유머러스한 동영상 또는 가족의 영상일 수 있으며, 오디오는 유머러스한 소리파일이거나 음악파일일 수 있다. 스마일 작업은 팝업으로써 특정 URL의 인터넷 웹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스마일 작업이 개시될 때에도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지속적으로 인식하여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긍정표정으로 인식될 경우 스마일 작업을 종료한다. 한편, 사용자는 임의로 스마일 작업을 종료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일 작업은 본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 미리 설정된 특정인의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을 시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인은 부모님, 친척 또는 친구일 수 있다. 이렇게 정서적으로 가까운 특정인에게 전화연결을 시도함으로써 부정적인 정서를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락킹모드의 제어순서도이다. 본 휴대 단말기는 본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락킹하는 락킹모드가 가능하며, 제어부는 사용자의 얼굴표정 정보를 기초로 락킹모드의 해제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휴대 단말기의 락킹모드가 실행되면(S610),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이때, 사용자는 락킹모드를 해제하여야 휴대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락킹모드의 해제를 위해, 사용자의 얼굴을 카메라를 향하여 위치시킨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카메라(101)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표정을 인식한다(S620). 사용자의 얼굴표정이 인식되면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한다(S630).
긍정표정 여부 판단 단계는 미리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긍정표정과 사용자 얼굴표정 인식단계에서 인식된 얼굴 표정을 서로 대비하여 판단한다. 이때,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긍정표정에서 측정되는 눈, 입술, 광대의 모양 및/또는 길이 그리고 이빨 노출여부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사용자 얼굴표정 인식단계에서 인식된 얼굴 표정을 비교하여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사용자의 긍정표정을 미리 촬영하여 저장하는 단계 없이 평균적인 사람의 얼굴 표정 데이터를 기초로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윗입술과 아랫입술이 맞닿아 형성되는 입술선의 모양을 측정하여 입술선 중심부로부터 양끝을 향하면서 상향하는지 하향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긍정표정인지 부정표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판단된 표정이 부정표정일 경우, 락킹모드를 유지한다. 반면, 판단된 표정이 긍정표정인 경우 락킹모드를 해제한다(S640).
도 4는 사용 절제 모드의 제어순서도이다. 본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시험공부 기간 중 또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사용 절제 모드가 가능하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 사용 절제 모드를 실행하면(S710),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휴대 단말기가 사용되는 경우(S720) 미리 설정된 사용절제 작업을 개시한다(S730). 여기서, 사용절제 작업이 개시되기 위한 전제 조건인 휴대 단말기가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시간은 임의로 미리 설정 가능하다. 사용절제 작업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중에 팝업의 형태로 개시되며, 미리 설정된 메시지, 사진, 동영상,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여 표시부(102)를 통해 나타낸다. 미리 설정된 메시지, 사진, 동영상, 오디오 파일은 각오, 격언, 다짐 등을 담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휴대 단말기의 사용을 종료하였을 경우, 별도의 사용절제 작업은 실행되지 않는다.
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101)를 통해 인식되는 사용자 표정을 긍정표정 또는 부정 표정으로 나누어 각 표정에 해당하는 시간정보를 저장부(103)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렇게 저장된 표정에 따른 시간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 등 기간 별로 인지함으로써 자신의 정서상태를 스스로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Claims (7)

  1. 카메라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표정을 인식하는 단계와;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긍정표정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얼굴 표정과 대비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얼굴 표정이 긍정표정인지 또는 부정표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표정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부정표정으로 지속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연결을 시도하는 스마일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표정이 긍정표정으로 판단된 경우 스마일 작업을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락킹하는 락킹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표정이 상기 긍정표정인지 또는 상기 부정표정인지 판단하는 락킹해제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된 표정이 상기 긍정표정일 경우 상기 락킹모드를 해제하는 락킹해제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사용 절제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의 사용이 시작된 때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일정 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메시지, 사진, 동영상, 오디오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사용 절제 작업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75087A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87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87A KR101878155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087A KR101878155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8155B1 true KR101878155B1 (ko) 2018-07-13

Family

ID=6291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087A KR101878155B1 (ko) 2017-12-19 2017-12-19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1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6451A (zh) * 2019-03-19 2020-09-29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可穿戴设备、移动终端及其模式进入方法、存储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651A (ko) * 2005-03-24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사체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기능을 갖는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출력 방법
KR101104726B1 (ko) * 2008-01-02 2012-0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77485A (ko) * 2010-12-30 2012-07-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표정 인식 기반 음원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KR20140113315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콘텐츠 관심도 측정 시스템,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480669B1 (ko) * 2014-03-24 2015-0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얼굴 표정을 이용한 감정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9585B1 (ko) * 2014-06-18 2015-1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행동 모니터링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70034260A (ko) * 2015-09-18 201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이프 로그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77915B1 (ko) * 2015-07-06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단말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651A (ko) * 2005-03-24 200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사체의 감정 상태에 대응하는 메시지 출력 기능을 갖는무선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시지 출력 방법
KR101104726B1 (ko) * 2008-01-02 2012-01-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77485A (ko) * 2010-12-30 2012-07-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표정 인식 기반 음원 제공 시스템 및 서비스
KR20140113315A (ko) * 2013-03-15 2014-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콘텐츠 관심도 측정 시스템, 장치 및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480669B1 (ko) * 2014-03-24 2015-01-2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얼굴 표정을 이용한 감정 인식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79585B1 (ko) * 2014-06-18 2015-12-2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행동 모니터링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777915B1 (ko) * 2015-07-06 2017-09-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통신 단말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70034260A (ko) * 2015-09-18 201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라이프 로그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6451A (zh) * 2019-03-19 2020-09-29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可穿戴设备、移动终端及其模式进入方法、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5631B2 (ja) 画像処理装置、カメラ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EP3125530A1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CN105635625B (zh) 视频通话方法和装置
JP6200483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817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based on smart glasses
RU263658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разговорного интерфейса
CN106233718A (zh) 显示视频通话数据
KR20170023748A (ko) 사진 공유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8599236B2 (en) Utilizing a video image from a video communication session as contact information
WO2015001437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WO2016146060A1 (zh) 照片的分享方法及装置
EP3258414B1 (en) Promp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CN104243665A (zh) 一种拒接来电的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5739696B (zh) 应用程序的管理方法、管理装置及移动终端
EP3026876A1 (en) Method for acquiring recommending information, terminal and server
CN108363939B (zh) 特征图像的获取方法及获取装置、用户认证方法
JP2007280074A (ja) 携帯端末および制御方法
KR101878155B1 (ko)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TWI639945B (zh) 電子設備及其刮鬚提示系統與方法
CN111835617B (zh) 用户头像调整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8073237A (ja) 会議情報表示システム、会議情報表示方法および会議情報表示プログラム
CN111935358A (zh) 一种智能通话方法、装置及其设备
CN113099307A (zh) 数据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798721A (zh) 一种剧集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6526330A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ンプルをキャプチャ及び挿入するマルチメディア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