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142B1 - Cleaner for Bedclothes - Google Patents

Cleaner for Bedcloth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142B1
KR101878142B1 KR1020120028782A KR20120028782A KR101878142B1 KR 101878142 B1 KR101878142 B1 KR 101878142B1 KR 1020120028782 A KR1020120028782 A KR 1020120028782A KR 20120028782 A KR20120028782 A KR 20120028782A KR 101878142 B1 KR101878142 B1 KR 10187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anual cleaning
cleaning module
automatic traveling
su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7020A (en
Inventor
김용균
신현선
동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142B1/en
Publication of KR20130107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1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8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용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집되는 집진통, 및 수동 청소를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수동 청소용 모듈; 및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은 회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이 청소기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청소가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침구를 청소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cleaning module having a suction por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nd a handle for manual cleaning; And an automatic traveling module for automatically runn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in a state where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mounted, where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ncludes a driving wheel for rotating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Lt; / RTI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erson does not move the cleaner, the clean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clean the bedding.

Description

침구용 청소기{Cleaner for Bedclothes}{Cleaner for Bedclothes}

본 발명은 침구용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이 수동으로 이동시켜 청소를 할 수도 있고, 사람에 의하지 않고도 이동되어서 자동으로 청소가 가능한 침구용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which can be manually moved by a person, or can be automatically moved without being moved by a person.

일반적으로, 침구류에는 세균이나 진드기 등이 많이 존재하고, 미세 먼지들을 포함한 크고 작은 각종 이물질들이 많이 부착된다. 침구류에 존재하는 세균이나 진드기를 살균 또는 살충(이하에서는 이들을 총괄하여 "살균"이라고도 함)하거나 각종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침구용 살균장치 내지 침구용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here are a lot of bacteria and mites in bedclothes, and a lot of various foreign matters including fine dusts are attached. Bedding sterilizers or bedding cleaners are widely used for sterilizing or insecting bacteria or mites present in bedding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terilization") or remo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이러한 침구용 청소기는, 통상 사람이 청소기의 손잡이를 잡고 청소기의 하부면이 청소하고자 하는 부위에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청소기를 왔다갔다 이동시킴으로써, 침구류의 각종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청소기의 손잡이 근처에는 청소 모드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작동모드 선택버턴이 위치된다.Such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is configured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bedding by moving the vacuum cleaner up and down while a person holding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holds the lower surface of the vacuum cleaner in contact with a portion to be cleaned. Near the handle of the vacuum cleaner,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button is located so that the cleaning mode can be selected.

침구용 청소기를 작동시키면, 흡입모터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침구류의 이물질 등은 흡입구를 통해 빨려들어간다. 흡입구로 흡입되는 이물질은 필터를 통과하여 챔버에 저장된다.When the acupuncture vacuum cleaner is operated, foreign substances such as bedding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due to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The foreign substance sucked into the inlet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and stored in the chamber.

침구류에 붙어있는 일부 먼지 등은 흡입모터에 의한 흡입력만으로는 침구류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으므로, 이물질이 침구류로부터 잘 떨어지도록 침구류를 타격하는 타격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타격부는 모터에 의해 상하로 진동되면서 침구류를 타격한다. Some of the dusts attached to the bedding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edding by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otor, so that a striking part striking the bedding is provided so that the foreign material can be separated from the bedding well. The striking part hits the bedding while being vibrated up and down by the motor.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는 사람이 청소기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사용시에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cupuncture vacuum cleaner requires a person to move the vacuum cleaner,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during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람에 의하지 않더라도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는 침구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which can be cleaned even if it is not a person.

또한 본 발명은 침구용 청소기를 이용해서 침구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는 침구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which can sufficiently sterilize acupuncture using a acupuncture vacuum cleaner.

또한 본 발명은 침구용 청소기를 이용해서 청소를 하지 않는 동안에는 침구용 청소기를 청결하게 할 수 있는 침구용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which can clean the acupuncture vacuum cleaner without using the acupuncture vacuum clean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집되는 집진통, 및 수동 청소를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수동 청소용 모듈; 및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은 회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ual cleaning module having an inle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inlet, and a handle for manual cleaning; And an automatic traveling module for automatically runn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in a state where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mounted, where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ncludes a driving wheel for rotating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Lt; / RTI >

또한 본 발명은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집되는 집진통, 및 수동 청소를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수동 청소용 모듈; 및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구동시키는 모드를 입력가능한 제1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은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을 구동시키는 모드를 입력가능한 제2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입력부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결합되면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입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anual cleaning module including a suction por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foreign objects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nd a handle for manual cleaning. And a manual driving module for automatically driv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while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mounted, where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first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mode for driv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And a second input unit for inputting a mode for driving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wherein the second input unit is activated 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an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are coupled, To provide an acupuncture vacuum clean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이 청소기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청소가 수행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침구를 청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person does not move the cleaner, the clean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user can conveniently clean the bedd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침구를 효율적으로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침구에 대한 청소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edding can be sterilized efficiently, the cleaning power against the bedding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청소를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 침구용 청소기를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lean the bedding cleaner while the cleaning is not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수동 청소용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서 자동 주행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충전 유닛에 의한 충전이 실시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에서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수동 청소용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따른 자동 주행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illustrating a bedding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module for manual cleaning in FIG. 1; FIG.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g. 1 is engaged. Fig.
Fig. 5 is a bottom view of Fig. 4; Fig.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bedding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Fig. 6 is engage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charging is performed by a charging unit.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cut away in FIG. 7;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ottom view of a manual cleaning modul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shown in Fig.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bedding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는 수동 청소를 위한 손잡이부(120)가 구비된 수동 청소용 모듈(100) 및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듈(200)을 포함한다. The acupunctur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nual cleaning module 100 having a handle 120 for manual cleaning and a manual cleaning module 100 having a manual cleaning module 100 mounted thereon, And an automatic running module 200 for automatically running the vehicle.

한편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는 이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도 2에 도시됨)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하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은 상기 흡입구(110)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집되어 보관되는 집진통(미도시)이 그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흡입구(11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미도시)도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 내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만을 이용해서 침구에 대한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shown in FIG. 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for sucking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provided therein with a dust collecting box (not shown) in which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suction inlet 110 is collected and stored. A suction motor (not show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to the suction port 110 is also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erefore, the bedding can be cleaned using only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은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드를 선택 가능한 제1입력부(14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20)에 손을 파지한 후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이용해서 침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입력부(140)를 이용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는 사용자가 침구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전원, 흡입 모터, 흡입구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이다.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ncludes a first input unit 140 capable of selecting a mod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t the suction port. The user can perform bedding cleaning us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fter holding the hand on the handle 120. [ At this time, the user can driv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using the first input unit 140. [ This is becaus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ncludes a power supply, a suction motor, and a suction port, which are basically necessary for the user to perform bedding cleaning.

이때 상기 제1입력부(140)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온 또는 오프하는 모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입력부(140)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켜거나 끌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input unit 140 may receive a mode for turning on or of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at is, the user can turn on or of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40.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회전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휠(21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휠(210)은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하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전진 또는 후진은 물론,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측에 구비된 상기 구동 휠(210)의 회전이 정지된 반면, 타측에 구비된 상기 구동 휠(210)이 회전하게 되면 정지된 구동 휠을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져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회전이 좌우 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ncludes a driving wheel 210 that is rotate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he driving wheels 2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so that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can be rotated forward or backward as well as leftward or rightward.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wheel 210 provided at the other side is rotated while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210 provided at one side is stopped, rotation is performed around the stopped driving wheel, 200 can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상기 구동 휠(210)을 동작시키는 모드를 선택 가능한 제2입력부(220)를 구비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2입력부(220)를 통해서 상기 구동 휠(210)의 회전 속도 등을 조절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이동 속도 및 세부 청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includes a second input unit 220 capable of selecting a mode for operating the driving wheels 210. That is, the user can select the moving speed and the detailed cleaning menu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by adjusting the rotating speed of the driving wheel 210 or the like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20.

특히 상기 제2입력부(220)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자동 주행이나 살균 모드 수행 등에 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부(200)에 인접한 위치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드에 관한 정보를 안내하는 표시창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표시창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에 표시등이 켜져서 환해져, 사용자에게 해당 모드가 선택되어 제어가 수행됨을 인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Particularly, the second input unit 220 may receive an input relating to automatic running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execution of the sterilization mode, and the like. A display window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input unit 200 to guide information on a mode that the user can select. At this time, the display window is turned on when the user selects it,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mode is selected and the control is performed by the user.

한편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용이하게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는 버튼(20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버튼(202)을 누르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접촉해 있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상측으로 올려지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 사이에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버튼(202)의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 내부에 구비된 링크에 의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의 접촉면이 융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ncludes a button 202 for easily detach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from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coupled thereto . When the button 202 is pressed,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n contact with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lifted upwards,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completed Can be released. That is, the contact surface of the button 202 with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can be raised by a link provided 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또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결합되는 면에 커넥터부(270)가 구비되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과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신호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portion 270 on the side coupled with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so that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 And control signals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도 2는 도 1에서 수동 청소용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in FIG. 1. FIG.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하면에는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11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112)는 상기 흡입구(110)의 외주면을 따라 마련되어, 상기 흡입구(110)의 외주면이 침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해서, 상기 흡입구(110)가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112)는 상기 흡입구(110)의 외측에 장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가이드(112)가 더러워지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112)를 떼어서 청소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A suction port 110 for sucking foreign matter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 guide 112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10. The guide 112 is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10 to prevent direct contac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port 110 with the bedding to prevent the suction port 110 from being dirty. Meanwhile, the guide 112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ction port 110 so that the guide 112 can be detached and cleaned when the guide 112 is dirty.

한편 상기 흡입구(110)에는 상기 흡입구(110) 내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타격부(114)가 수용된다. 상기 타격부(114)는 침구에 타격을 가해서, 침구 내에 포함된 먼지 등이 침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the suction port 110 receives the hitting portion 114 which is freely movable up and down in the suction port 110. The striking part 114 strikes the bedding so that the dust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bedding can be separated from the bedding and can be easily sucked through the suction opening 110.

특히 상기 타격부(114)는 상기 가이드(112)보다 하측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출편(11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116)이 상기 가이드(112) 보다 하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편(116)이 침구에 직접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striking part 114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ding pieces 116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guide 112. Since the protruding piece 116 extends downward from the guide 112, the protruding piece 116 can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edding.

한편 상기 타격부(114)는 별도의 구동력에 의해서 침구를 타격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타격부(114)의 내측에 별도의 구동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타격부(114)는 구동 모터의 회전에 따라 힘을 전달받아서, 침구를 타격할 수 있도록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hitting portion 114 may be driven to hitting the bedding by a separate driving force. That is, a separate driving motor is provided inside the striking part 114. The striking part 114 receives a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and can move up and down o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as to strike the bedding have.

그러나 상기 타격부(114)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 내에 구비된 흡입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흡입력의 크기 또는 발생 빈도에 따라 상기 타격부(114)는 상기 흡입구(11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타격부(114)는 상기 가이드(112)에 의해서 침구를 타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타격부(114)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However, the hitting portion 114 may be freely moved within the suction port 11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 In this case, the hitting portion 114 can be moved in the suction port 110 according to the magnitude or occurrence frequency of the suction force. Particularly, since the movement of the striking part 114 in the striking direction of the bedding by the guide 112 can be restricted, the striking part 114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은 이물을 회전에 의해서 포집하는 회전 부재(130)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130)는 상기 흡입구(11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0)를 통과하는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130)에 포집된 이물 또한 상기 집진통으로 수집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ncludes a rotating member 130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by rotation. The rotary member 130 may be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110. Therefore, by the suction force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foreign matter collected by the rotary member 130 can be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상기 회전 부재(130)는 외주면 마찰에 의해서 머리카락 또는 실을 포집하도록 회전되는 회전봉(132)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침구에는 사람이나 동물에 의한 머리카락이나 털 등의 기다란 형태의 이물들이 다수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사람이 생활하는 통상적인 거실 등의 생활공간에 비해서 사용자 등의 피부가 침구 등에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용자 등의 피부에서 낙하된 머리카락이나 털 등이 침구에 붙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적인 흡입력에 의해서 침구로부터 머리카락이나 털 등이 떨어지기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봉(132)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봉(132)의 외주면에 발생된 마찰에 의해서 머리카락 등이 침구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회전봉(132)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봉(132)에 수집된 머리카락 등은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집진통으로 수거될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130 may include a rotating rod 132 rotated to capture the hair or the yarn by fri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Usually, the bedding may be adhered to a large number of foreign objects such as hair or hair by human or animal. This is because the skin of a user or the lik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edding or the like in comparison with a living space such as a common living room where a person lives. When hair or hair dropped from the skin of a user or the like is attached to the bedding, it is difficult for the hair or hair to fall off the bedding due to the normal suction for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bar 132 is rotated to allow the hair or the like to be detached from the bedding by the friction gene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bar 132, so that the rotation bar 132 can be attached to the rotation bar 132. On the other hand, the hair or the like collected in the rotation bar 132 may be collected into the dust collector by a suction force.

한편 상기 회전 부재(130)는 상기 회전봉(132)의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봉(132)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 바퀴(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바퀴(134)도 상기 회전봉(132)과 같이 회전되면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을 상기 흡입구(11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 바퀴(134)는 외주면이 상기 회전봉(132)에 비해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이빨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된 이빨이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전진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이동력을 제공해서, 사용자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이동시키는 데에 필요로 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The rotating member 13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wheel 13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132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132. The rotating wheel 134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132 to guide foreign objects such as hair to the inlet 110. Further, the rotary wheel 134 may be provided with a tooth whos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truded as compared with the rotary shaft 132. When the user moves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n the advancing direction, the moving force is applied to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so that the user moves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You can reduce the labor you need.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구비된 커넥터부(270)에 연결되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커넥커부(150)가 구비된다. 이때 두 개의 커넥터부(150, 270)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 및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충전이 이루어진 충전지가 구비될 경우에, 상기 충전지에 저장된 전기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전달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두 개의 커넥터부(150, 270)는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면 서로 간에 제어 신호에 관한 통신도 이루어져,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 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서 발생된 신호가 각각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 또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도 전달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150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portion 270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t this time, the two connector units 150 and 270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rechargeable battery pack 100 is equipped with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e electricity stor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is transferred to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so that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can be driven. Further, when the two connector parts 150 and 27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communication with respect to control signals is also performed between them, so that signals generated from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or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re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traveling To the module (200) or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두 개의 커넥터부(150, 270)에 의해서 무선이 아닌 유선의 형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전기 또는 신호를 서로 전달할 수 있다. Sinc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re connected by the two connector portions 150 and 270 in a wired form rather than wirelessly, it is possible to stably transmit electricity or signals to each other.

특히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상기 집진통이 설치되는 부분의 폭(W2) 보다 상기 흡입구(110)가 설치되는 부분의 폭(W1)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집진통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후방, 즉 상기 흡입구(110)가 설치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구비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1 of the portion where the suction port 110 is installed is wider than the width W2 of the portion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wher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installed. Of course, since the dust collecting box is a component accommodat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t is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but the rear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inlet 110 is installed Respectively.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서 이물이 포집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10)의 면적은 넓으면 넓을수록 좋다. 그러나 상기 흡입구(110)가 무한정 넓어지는 경우에는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게 흡입력을 키워야 하는데, 흡입력을 키우기 위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크기와 무게가 무한정 커질 수는 없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0)는 길이 방향보다는 폭 방향으로 충분한 길이 만큼 연장되는 것이, 사용자가 청소를 할 때에 효율적인 청소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foreign object is collected through the inlet 110, the larger the area of the inlet 110, the better. However, when the suction port 110 is infinitely expanded, the suction force must be increased correspondingly in order to perform cleaning. The size and the weight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can not be infinitely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suction force. Accordingly, the suction port 110 is extended by a sufficient length in the width direction rather tha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n efficient cleaning area when the user performs cleaning.

상기 집진통이 설치된 공간은 공간 활용도를 높여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폭이 줄어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구(110)가 설치된 부분(W1)은 청소 성능을 위해서 충분한 폭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구(11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W2)은 공간 효율성 및 사용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서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pace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ncreases the space utilization so that the width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reduced. That is, the portion W1 where the suction port 110 is installed forms a sufficient width for cleaning performance, and the portion W2 where the suction port 110 is not installed removes an unnecessary space for space efficiency and user's mobility can do.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는 충전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충전지는 외부 전원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져, 상기 흡입구(110)를 통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충전지가 구비되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은 외부 전원에 전선을 통해서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이동의 제한이 없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자유롭게 침구를 청소할 수 있다.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may be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t this time, the rechargeable battery is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an provide electricity to generate a suction force through the inlet 110. When the rechargeable battery is provided,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n electric wire, so that there is no restriction of movement required for the user to mov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erefore, the user can freely clean the bedding.

도 3은 도 1에서 자동 주행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n FIG. 1. FIG.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된 상기 흡입구(110)가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을 관통해서 침구에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230)이 구비된다.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30 through which the suction port 110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passes through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nd is exposed to the bedding.

물론 상기 관통공(230)의 일단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외측 일단을 형성해서, 상기 관통공(230)의 일단이 개방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관통공(230)의 외주면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내부에 수용되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각각의 모서리가 전체적으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의해서 감싸지는 경우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전후좌우방향으로 진행되더라도 결합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Of course, one end of the through hole 230 may be formed at the outer end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nd one end of the through hole 230 may be opened. However,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30 is received 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can be stably engaged with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n other words, when the respective edges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re wrapped by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as a whol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moves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can carry out the cleaning while stably mov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0050] As shown in FIG.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브이(UV) 램프(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램프(240)는 자외선을 침구 등으로 조사해서, 침구 등에 살균이 이루어져 침구를 소독할 수 있다. 상기 유브이 램프(240)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한 이물 흡입과는 달리 살균에 의한 청소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may include a UV lamp 240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he UV lamp 240 can be steriliz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ith acupuncture or the like to bedding or the like to disinfect the bedding. Unlike the suction of the foreign object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the UV lamp 240 can improve cleaning power by sterilization.

이때 상기 유브이 램프(240)는 상기 관통공(230)의 폭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10)의 폭 만큼 청소 면적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유브이 램프(240)의 폭도 상기 흡입구(110)의 폭과 유사한 정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shaped lamp 240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230.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U-shaped lamp 240 is extended to a degree similar to the width of the inlet 110 because the cleaning area is generated by the width of the inlet 110.

한편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추락방지 센서(Cliff sensor)(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 센서(250)는 통상적으로 일정 높이 이상의 높이차를 감지한 경우에, 청소가 이루어지는 침구의 경계라고 판단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해당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침구의 바깥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may include a cliff sensor 250. When the fall prevention sensor 250 detects a difference in height over a predetermined height, the fall prevention sensor 250 determines that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no longer moving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refore,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bedding.

상기 추락방지 센서(250)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각각의 모서리에 네 개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갖기 때문에, 사각형의 각각의 꼭지점에 상기 추락방지 센서(250)가 구비되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all prevention sensor 250 may be provided at four corners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Since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the fall prevention sensor 250 is provided at each vertex of the rectangle, so that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can be stably driven.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전방에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 센서(2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260)는 적외선 또는 빛 등을 이용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 상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전방에 장애물이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260)에 의한 감지에 의해서 장애물을 피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이동할 수 있다.An obstacle detecting sensor 260 for detecting an obstacle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he obstacle detecting sensor 260 can determine whether an obstacle is located on a moving path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by using infrared rays or light. When the obstacle is located in front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can be moved by avoiding the obstacle by sensing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260.

상기 구동 휠(210)은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양 측에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휠(210)은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구비된 구동 모터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전진 또는 후진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구동 휠(210)이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지만,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일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구동 휠(210)이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Two driving wheels 21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he driving wheel 210 may be individually rotated by a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For example, whe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dvances or retreats, the two driving wheels 210 rotate at the same rotational speed, but whe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rotates to one side, The two drive wheels 210 can be rotated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한편 상기 구동 휠(210)의 일부는 침구와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일부가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휠(210)은 침구와 마찰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이빨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a part of the driving wheel 210 protrud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so that the driving wheel 210 can be in contact with the bedding well. The driving wheel 210 can improve friction with the bedding, and a plurality of teeth can be protruded to enable stable driving.

도 4는 도 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G. 1 is combined,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bottom of FIG.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결합되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침구 위에서 주행되는 동안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함께 이동된다.When the manual driving module 200 an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he manual driv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are coupled together while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is traveling on the bedding .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흡입구(110)와 상기 회전 부재(130)는 상기 관통공(230)을 통해서 침구에 직접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110)를 통한 흡입력은 침구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회전 부재(130)가 회전되면서 침구에 부착된 다양한 이물을 마찰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130)에 부착시킬 수 있다. 5, the inlet 110 and the rotary member 130 may be directly exposed to the bed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30. [ Therefore, the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bedding, and variou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bedding can be attached to the rotating member 130 by friction while the rotating member 130 is rotated.

한편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전방 측은 상기 회전 부재(130)의 회전 바퀴(134)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고, 후방 측은 상기 구동 휠(21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 바퀴(134)는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이기 때문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 휠(210)에 의해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ront side can be supported by the rotary wheel 134 of the rotary member 130, and the rear side can be supported by the driving wheel 210 As shown in FIG. However, since the rotary wheel 134 only plays an auxiliary rol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re substantially moved by the driving wheel 210. [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cupunctur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만을 이용해서 침구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입력부(140)를 이용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전원을 켤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입력부(140)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의해서 발생되는 흡입력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도 경우에 따라 가능하다.First, when the bedding is cleaned using only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e user may turn o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using the first input unit 14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n the first input unit 140.

이후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120)에 손을 파지한 후에, 원하는 침구에 상기 흡입구(110)를 접촉시켜, 침구에 부착된 이물을 흡입할 수 있다.After the user grasps the hand on the handle 120, the user can contact the suction port 110 with the desired bedding so as to suck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bedding.

상기 타격부(114)는 흡입 모터에 의해서 상기 돌출편(116)이 침구를 직접 접촉하면서 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침구에 포함된 먼지가 침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먼지는 상기 흡입구(110)를 통한 흡입력을 통해서 집진통으로 수거될 수 있다. The striking part 114 can be struck by the suction motor while the protruding piece 11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edding, so that the dust contained in the bedding can be separated from the bedding. The separated dust can be collected into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e suction force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상기 회전 부재(130)도 회전되기 때문에 침구에 부착된 먼지는 물론 머리카락 등의 이물이 상기 회전 부재(13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회전 부재(130)는 사용자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이동시키는 것과는 무관하게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을 정지시킨 경우에도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이 흡입력은 물론 상기 회전 부재(130)의 회전에 의한 마찰에 의해서 침구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져서,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될 수 있다. Since the rotating member 130 is also rotated, not only the dust attached to the bedding but also foreign matter such as hair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rotating member 130. In particular, since the rotating member 130 rotates irrespective of the user mov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rota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the user stops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herefor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can be easily sucked from the bedding by the suction force, friction due to rotation of the rotary member 130, and suction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이와는 달리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하지 않고,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in the state wher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coupled to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clea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depending on the user.

우선 상기 제1입력부(140)를 이용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전원을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상기 제2입력부(220)를 통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이동을 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상기 커넥터부(150, 2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결합되면 상기 제2입력부(220)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입력부(220)를 통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First, power is applied to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using the first input unit 140.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can start the movement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20. Of course, sinc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or portions 150 and 270, 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coupled to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he second input unit 220 is activated.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20.

청소 개시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구동 휠(210)이 회전되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침구 위에서 이동될 수 있다. When the cleaning start signal is receive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can be moved on the bedding while the driving wheel 210 is rotated.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260)에서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이동되는 경로에 피해야 할 장애물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장애물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장애물을 피해서, 다른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While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moving,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260 detects an obstacle to be avoided in the path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can avoid the obstacle and can be moved along another moving route.

또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추락방지 센서(250)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위치가 침구의 모서리, 즉 침구의 경계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추락방지 센서(250)에서 침구의 경계라고 판단하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해당 방향으로의 이동되는 것을 중지하고, 다른 방향으로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을 이동시켜서, 침구용 청소기가 침구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while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moving, the fall prevention sensor 250 determines whether the position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the edge of the bedding, that is, the boundary of the bedding.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stops moving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nd moves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n the other direction,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bedding.

한편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의한 청소가 수행되면, 상기 유브이 램프(240)가 구동되어 자외선을 침구에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브이 램프(240)를 이용해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 휠(210)은 동일한 위치에 기 설정 시간 이상 머물도록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performs cleaning, the UV lamp 240 is driven to irradiate ultraviolet rays onto the bedding. In this case, when cleaning is performed using the U-shaped lamp 240, it is preferable that the driving wheel 210 moves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o stay at the same position for more than a preset time.

통상적으로 상기 유브이 램프(240)에 의해서 침구를 살균하는 효과가 얻어지려면 기 설정 시간, 예를 들어 30초 이상 동일한 위치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 설정 시간 이하의 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침구에 충분한 빛을 조사할 수 없고, 진드기 등을 제거하는 등의 살균효과를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람에 의해서 수동으로 청소가 이루어지면 침구의 동일한 위치에 30초 이상의 시간을 정지해 있도록 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사용자는 청소를 빨리 끝내기 위해서 청소기를 계속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In general, ultraviolet rays are preferably irradiated at the same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seconds or longer, in order to obtain the effect of sterilizing the bedding by the UV lamp 240. In the case of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for a time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preset time, the bedding can not irradiate sufficient light, and a sterilizing effect such as removing a mite or the like can not be obtained. However, if manual cleaning is done by a person,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keep the bedding at the same position for more than 30 seconds. This is because it is common for the user to move the cleaner continuously to finish cleaning quickl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람의 손이 아닌 자동 주행이라는 기능을 도입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침구를 충분히 살균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브이 램프(240)를 사용해서 청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청소할 때에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속도에 비해서 현저하게 느리게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automatic running rather than a human hand is introduced,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moved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so that the bedding can be sufficiently sterilized. 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U-bulb lamp 240 for cleaning, it is desirable that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s moved at a significantly slower speed than the speed at which the user normally moves the cleaner.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과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서로 결합되어 청소가 이루어지는 동안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만에 의한 청소가 이루어질 때에 수행되는 동작의 대부분은 동일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중복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most of the operations performed when cleaning is performed only by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while cleaning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is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acupunctur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IG. 6 is coupl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 및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보관 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을 이용해서 청소가 수행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보관 모듈(300)에 안착되어, 보관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re mounted and fixed. And can be se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00 while the automatic cleaning module 200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re not cleaned.

상기 보관 모듈(300)에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수용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하면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하면이 감싸져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storage module 300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for receiving and mount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The lower surface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re enclosed in the inner space and ar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보관 모듈(300)에는 상기 흡입구(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 만큼 함몰된 함몰편(32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편(322)의 외주면 형상은 상기 흡입구(110)는 물론, 상기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유브이 램프(240)에 대응되는 면을 포용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module 300 may be provided with a depression 322 recessed by a predetermined dept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ort 1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pression 322 has an area that can accommodate th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rotary member 130 and the U-shaped lamp 240 as well as the suction port 110.

이때 상기 함몰편(322)에는 상기 유브이 램프(24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320)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320)은 상기 유브이 램프(240)에 마주보도록 대응되는 위치에서 자외선을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 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로 반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pression 322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320 for ref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U-shaped lamp 240. The reflector 320 may reflect ultraviolet light to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or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V lamp 240.

또한 상기 보관 모듈(300)은 상기 흡입구(11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브러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러쉬(330)는 상기 함몰편(322) 내에 설치되어, 상기 함몰편(322)의 좌우 폭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면서, 상기 흡입구(110)에 부착된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브러쉬(330)가 좌우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된 흡입 모터가 구비되어서, 상기 브러쉬(330)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구(110)로부터 떨어진 이물을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300 may include a brush 330 that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ort 110. At this time, the brush 330 is installed in the depressed portion 322, and reciprocat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epressed portion 322, thereby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ction port 110. When the brush 330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a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provided to move the foreign object, which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port 110,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330, Can be inhaled.

상기 브러쉬(330)의 양단은 상기 함몰편(322)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가이드 홈의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Both ends of the brush 330 are coupled to guide grooves formed at one side of the depression 322, and can reciprocate along the guide grooves.

상기 브러쉬(330)는 상기 회전 부재(130)에 접촉이 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부재(130)는 침구에 접촉되면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10)에 비해서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을 위험이 크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330)의 마찰에 의해서 상기 회전 부재(130)에 부착된 이물이 상기 회전 부재(13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The brush 330 is preferably exten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member 130. Since the rotating member 130 rotates while contacting the bedding, there is a greater risk that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rotating member 130 as compared with the suction port 110.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rotating member 130 can be separated from the rotating member 130 by the friction of the brush 330.

상기 보관 모듈(300)에는 상기 구동 휠(210)이 하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된 부분이 수용되는 두 개의 함몰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함몰부(310)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상기 구동 휠(210)의 일부를 수용하기 때문에, 상기 보관 모듈(300)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storage module 300 may include two depressions 310 in which the driving wheel 210 protrudes downward by a predetermined height. Since the two depressions 310 accommodate a part of the driving wheel 210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ire thickness of the storage module 300 from becoming thic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보관 모듈에 장탈착 가능한 충전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 유닛(400)은 상기 두 개의 함몰부(310)의 사이의 안착편(31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편(312)은 상기 충전 유닛(400)의 두께 만큼 함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관 모듈(300)이 상기 충전 유닛(400)으로 인해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harging unit 400 capable of long-term removable to the storage module. 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400 can be seated in the seat piece 312 between the two depressions 310. Since the seating piece 312 is recessed by the thickness of the charging unit 400, the storage module 300 is prevented from being thickened due to the charging unit 400.

상기 충전 유닛(400)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된 충전지에 무선에 의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무선에 의한 충전 방식은 유도 가열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유닛(400)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선(410)이 구비된다.The charging unit 400 may charge the rechargeable battery inclu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wirelessly. Various methods such as induction heating can be used for charging by wireless. The charging unit 400 is provided with a power line 41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한편 상기 충전 유닛(400)은 상기 보관 모듈(300)과 직접 접촉에 의한 커넥터부를 구비해서, 상기 보관 모듈(300)과 유선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브러쉬(330)의 구동을 위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arging unit 400 includes a connector portion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torage module 300, so that the storage module 300 can be wired. Thereby supplying electricity for driving the brush 330.

도 8은 충전 유닛에 의한 충전이 실시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8 is a view showing a mode in which charging by the charging unit is per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충전 유닛(400)은 상기 보관 모듈(300)에 장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8에 도시된 바처럼 상기 충전 유닛(400)을 상기 보관 모듈(300)로부터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가능하다.Since the charging unit 40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torage module 300, when the charging unit 400 is removed from the storage module 300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이때 상기 충전 유닛(400)은 상기 전원선(410)에 의해서 외부 전원에 유선으로 연결된다. 반면에 상기 충전 유닛(400)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된 충전지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을 이용한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harging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by the power line 410 by wire. On the other hand, the charging unit 4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inclu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so that charging using the wireless can be performed.

상기 충전 유닛(400)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서로 결합된 상태의 하부에 놓여진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에 상기 충전 유닛(400)에 의한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충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은 유도 가열 등의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charging unit 400 is placed below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charging by the charging unit 400 may be performed on the rechargeable battery . Various types of charging can be applied, such as induction heating.

도 9는 도 6에서 일부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partially cut away in Fig. 6. Fig. 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상기 보관 모듈(300)에 수용되어서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관 모듈(300)에 상기 충전 유닛(400)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된 충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module 300 and stored. At this time, when the storage module 300 is installed in the charging unit 400, the rechargeable battery inclu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may be charged.

이때 상기 유브이 램프(24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유브이 램프(240)에서 빛이 조사된다. 빛은 상기 반사판(320)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 및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반사되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살균이 수행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U-shaped lamp 240, light is emitted from the U-shaped lamp 240.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on plate 320 and reflected by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to steriliz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

상기 브러쉬(330)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을 하면서 상기 흡입구(110), 상기 가이드(112), 상기 타격부(114) 및 상기 회전 부재(13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부재(130)도 회전이 이루어져서, 상기 브러쉬(330)가 상기 회전 부재(130)의 외주면 전체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brush 330 also reciprocat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inlet 110, the guide 112, the hitting portion 114, and the rotary member 130. The rotating member 130 is also rotated so that the brush 330 can clean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member 130.

특히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된 흡입 모터가 구동되어서, 상기 흡입구(110), 상기 가이드(112), 상기 타격부(114), 상기 회전 부재(130)로부터 제거된 이물질이 상기 흡입 모터를 통해 상기 집진통으로 수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상기 보관 모듈(300)에 보관되는 동안에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의 청소는 물론 충전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driven so that the foreign matter removed from the suction port 110, the guide 112, the hitting portion 114, 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ar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300,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are cleaned,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도 10은 본 발명의 제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500)를 구비해서, 상기 제1입력부(140), 상기 제2입력부(220), 상기 추락방지 센서(250) 및 상기 장애물 감지 센서(260)에서 획득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500 to receive signals obtained from the first input unit 140, the second input unit 220, the fall prevention sensor 250 and the obstacle detection sensor 260 have. The controller 500 may be inclu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은 상기 커넥터부(150, 27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500)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에서 획득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ince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or units 150 and 270, the control unit 500 can receive the signals obtained from the respective components .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장착되면 상기 커넥터부(150, 270)에 의해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결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mounted o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the controller 500 connects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2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따라서 사용자에게 메뉴 선택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1입력부(140)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의 온 또는 오프에 관한 제어 신호만 발생시키고, 상기 제2입력부(220)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의 자동 주행, 살균 모드에 관한 제어 신호만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2입력부(220)에서 상기 보관 모듈(300)의 상기 브러쉬(320) 등의 제어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menu selection to the user, the first input unit 140 generates only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n or off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and the second input unit 220 generates the control signal It is possible to generate only the control signal relating to the automatic running and sterilization mode of the modul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econd input unit 220 controls the brush 320 of the storage module 300.

이러한 구현은 상기 제1입력부(140) 및 상기 제2입력부(220)에 각각 활성화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과 같은 수단을 이용해서, 사용자에게 해당 입력부를 통해서 모드를 입력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활성화 된다라는 의미는 사용자가 상기 제1입력부(140) 또는 상기 제2입력부(220)를 조작해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Such an implementation can inform the user that the mode can be in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input unit by using means such as an indicator that can indicate activation respectively to the first input unit 140 and the second input unit 220 . In this case, it means that the user can operate the first input unit 140 or the second input unit 220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특히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만으로의 동작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제2입력부(220)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비활성화라는 의미는 사용자가 상기 제2입력부(220)를 조작하더라도 제어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In particular, when the manual driving module 200 is disconnected from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is unnecessary, so that the second input unit 220 can be inactivated . Here, the term 'deactivation' means that a control signal is not generated even if the user operates the second input unit 220.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획득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휠(210), 상기 흡입 모터(102), 상기 브러쉬(330), 상기 회전 부재(130) 및 상기 유브이 램프(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wheel 210, the suction motor 102, the brush 330, the rotating member 130, and the U-shaped lamp 240 according to the obtained signal .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과 상기 보관 모듈(300)은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구비된 구성요소는 물론, 상기 보관 모듈(300)에 구비된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Since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and the storage module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or (not shown), the controller 500 controls the components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module 300.

한편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에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0)에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 휠(210)이 구동되어,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구동될 수 있다.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is coupled to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the driving wheel 210 is driven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in the controller 500 so that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200 Can be drive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수동 청소용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자동 주행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1 is a bottom view of a manual clean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bottom view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shown i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구용 청소기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200)이 아닌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상기 유브이 램프(240)가 구비된다.In the acupunctur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BI lamp 240 is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rather tha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200.

상기 유브이 램프(240)에 의해서 침구를 살균하는 효과를 거두려면, 상기 유브이 램프(240)가 동일한 위치에 침구를 기 설정 시간, 즉 대략 30초 이상 동안 빛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용자는 짧은 시간이라도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서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유브이 램프(240)를 통해서 살균을 원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유브이 램프(240)를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100)에 구비해서,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order to achieve the effect of sterilizing the bedding by the U-shaped lamp 240, it is necessary that the U-shaped lamp 240 irradiates the bedding at the same position for a preset time, that is, about 30 seconds or more. However, there is a case where the user sucks foreign matter through the suction port 110 and desires sterilization through the UV lamp 240 even for a short time.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U-beam lamp 240 may be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100 to satisfy the user's desire.

상기 유브이 램프(24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술한 본 발명에서 설명한 내용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 있고, 설명의 편의상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other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above-mentioned Ube lamp 240 is the same as th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bove-described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mitt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수동 청소용 모듈 110: 흡입구
120: 손잡이부 130: 제1입력부
200: 자동 주행 모듈 210: 구동 휠
220: 제2입력부 240: 유브이 램프
250: 추락방지 센서 260: 장애물 감지 센서
300: 보관 모듈 310: 함몰부
320: 반사판 330: 브러쉬
400: 충전 유닛 500: 제어부
100: Manual cleaning module 110: Suction port
120: handle 130: first input
200: automatic traveling module 210: driving wheel
220: second input unit 240:
250: fall prevention sensor 260: obstacle detection sensor
300: Storage module 310: Depression
320: Reflector 330: Brush
400: Charging unit 500:

Claims (29)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집되는 집진통, 및 수동 청소를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수동 청소용 모듈; 및
구동 휠을 구비하며,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 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브이(UV) 램프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 휠은 상기 유브이 램프가 동작할 때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동일한 위치에 기 설정 시간 이상 머물도록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A manual cleaning module having a suction por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nd a handle for manual cleaning; And
And an automatic traveling module having a driving wheel and automatically runn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while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mounted,
The manual cleaning module or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UV lamp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herein the driving wheel is driven so that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stays at the same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hen the U-shaped lamp is ope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은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드를 선택 가능한 제1입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은 상기 구동 휠을 동작시키는 모드를 선택 가능한 제2입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includes a first input unit capable of selecting a mode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in the suction port,
Where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ncludes a second input unit capable of selecting a mode for operating the driving whe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에 장착된 상태에서 청소가 수행되면,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 휠이 구동되어 주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wheel is driv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when cleaning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mounted o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상기 자동 주행 모듈에서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만에 의해서 청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cleanable only by the manual cleaning module while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detached from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은 이물을 회전에 의해서 포집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member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by rot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외주면 마찰에 의해서 머리카락 또는 실을 포집하는 회전되는 회전봉을 포함하는 침구용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rod that rotates to collect the hair or the yarn by fri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의 폭은 상기 집진통이 설치되는 부분 보다 상기 흡입구가 설치되는 부분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wider than a portion wher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에는 상기 흡입구가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을 관통해서 노출되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uction port is exposed through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은 추락방지 센서(Cliff sensor) 및 장애물 감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cliff sensor and an obstacle detection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과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에는 서로 접촉해서 전기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are provided with connector portions for contacting with each other to transmit electric or control signals.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집되는 집진통, 및 수동 청소를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된 수동 청소용 모듈;
구동 휠을 구비하며,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듈; 및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 및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장착되는 보관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보관 모듈은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장착되면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구동 휠에 의한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A manual cleaning module having a suction por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and a handle for manual cleaning;
An automatic traveling module having a driving wheel and automatically runn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while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mounted; And
And a storage module to which the manual cleaning module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re mounted,
The storage module
Wherein when the manual-cleaning module and the automatic-traveling module are installe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is configured to surround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there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by the driving whe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과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서로 접촉해서 연결하는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에는 충전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가능한 충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보관 모듈에 장탈착 가능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상기 보관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에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Further comprising a charging unit capable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The charging unit is removably attachable to the storage module,
Wherein the charging unit is capable of charging 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re mounted on the storage modul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휠은 두 개로 이루어져,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의 하방으로 소정 높이 만큼 돌출되고,
상기 보관 모듈는 상기 두 개의 구동 휠을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함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riving wheel is formed of two pieces and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height below the automatic driving module,
Wherein the storage module is provided with two depressions for respectively receiving the two driving wheel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모듈은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가능한 충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두 개의 함몰부의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storage module includes a charging unit capable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charging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two depressed portion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 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은 자외선을 조사하는 유브이(UV) 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 모듈에는 상기 유브이 램프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자외선을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 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에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nual cleaning module or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may further comprise a UV lamp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Wherein the storage module is provided with a reflector for reflecting ultraviolet ligh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V lamp to the manual cleaning module or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모듈는 상기 흡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브러쉬를 더 포함하는 침구용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torage module further comprises a brush which is moved left and righ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uction port.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흡입구의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brush moves reciprocal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ction port.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가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에 구비된 흡입 모터가 구동되어 이물이 상기 집진통으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when the brush moves back and forth, the suction motor provided 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driven so that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는 이물을 회전에 의해서 포집하는 회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는 상기 회전 부재에 접촉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manual cleaning module further comprises a rotating member for collecting the foreign object by rotation,
Wherein the brush extends to contact the rotating memb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에는 충전지가 마련되고,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가능한 충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충전 유닛은 외부 전원에 전원선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Further comprising a charging unit capable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Wherein the charging uni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by a power line, and when the charging unit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the rechargeable battery is charged.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된 이물이 포집되는 집진통, 수동 청소를 위한 손잡이부, 그리고 충전지가 구비된 수동 청소용 모듈; 및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자동으로 주행시키는 자동 주행 모듈; 및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의 충전지에 충전이 가능한 충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유닛은
외부 전원에 전원선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이 상부에 배치되면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의 충전지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A manual cleaning module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a dust collecting container for collecting foreign objects sucked in from the suction port, a handle for manual cleaning, and a rechargeable battery; And
An automatic traveling module for automatically running the manual cleaning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mounted; And
And a charging unit capable of charging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The charging unit
Wherein the battery pack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by a power line, and 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is charged.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 및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장착되어 고정되는 보관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5. The method of claim 24,
And a storage module to which the manual cleaning module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re mounted and fixed.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보관 모듈에 장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Wherein the charging unit is removably attachable to the storage modul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의 충전지는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과 상기 자동 주행 모듈이 상기 보관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에 충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manual cleaning module
Wherein the automatic cleaning module is capable of being charged when the manual cleaning module and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re mounted on the storage module.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주행 모듈과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 각각에는
상기 자동 주행 모듈과 상기 수동 청소용 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8. The method of claim 27,
Each of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And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automatic traveling module and the manual cleaning module to each other.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유닛은
상기 보관 모듈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보관 모듈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용 청소기.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charging unit
And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storage module through contact with the storage module.
KR1020120028782A 2012-03-21 2012-03-21 Cleaner for Bedclothes KR1018781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82A KR101878142B1 (en) 2012-03-21 2012-03-21 Cleaner for Bedcloth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782A KR101878142B1 (en) 2012-03-21 2012-03-21 Cleaner for Bedcloth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20A KR20130107020A (en) 2013-10-01
KR101878142B1 true KR101878142B1 (en) 2018-08-17

Family

ID=4963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782A KR101878142B1 (en) 2012-03-21 2012-03-21 Cleaner for Bedcloth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14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94A1 (en) * 2020-06-01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WO2021246695A1 (en) * 2020-06-01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915B1 (en) * 2014-03-04 2020-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leaner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KR102014760B1 (en) * 2016-08-31 2019-10-22 주식회사 파인로보틱스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341B1 (en) * 2011-07-07 2012-03-27 주식회사 텍포러스 Seperating type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8980B1 (en) * 2006-09-26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eparable robot cleaner
KR101208979B1 (en) * 2006-09-26 201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Separable robot cleaner
KR101209632B1 (en) * 2010-05-03 2012-12-06 주식회사 일렉파워전자 Vacuum cleaner
KR101483541B1 (en) * 2010-07-15 2015-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Autonomous cleaning device, maintenanc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having them
KR101484942B1 (en) * 2010-08-26 2015-0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341B1 (en) * 2011-07-07 2012-03-27 주식회사 텍포러스 Seperating type vacuum clea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94A1 (en) * 2020-06-01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WO2021246695A1 (en) * 2020-06-01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20A (en)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049573B1 (en) 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2933132B (en) Vacuum cleaner
KR101878142B1 (en) Cleaner for Bedclothes
KR101212873B1 (en) Cleaning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200457354Y1 (en) Multipurpose UV lamp module and robot cleaner having detachably the UV lamp module
JP2007325701A (en) Self-propelled cleaner
KR101452654B1 (en) Electric cleaner
KR101507922B1 (en) Handy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dual stelilization
KR100444717B1 (en) Brush type cleaner having ultraviolet rays sterilizing action
CN103479298A (en) Sterilization base for handheld dust collector
KR20110100481A (en) Vacuum cleaner for pet fur
KR100773980B1 (en) Robot air cleaner combined with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head connected thereto
CN208927145U (en) A kind of farm's shoes chlorination equipment
JP2013090833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JP3183236U (en) Vacuum cleaner
JP2010227466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the same
JP6384950B2 (en) Futon cleaning suction tool and futon cleaning machine
WO2022069872A1 (en) Self-cleaning vacuum cleaner
JP2014161448A (en) Vacuum cleaner
KR20210131907A (en) Handheld cleaner
JP2017012688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JP628630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435189Y1 (en) Robot air cleaner combined with a vacuum cleaner and a vacuum cleaner head connected thereto
JP2020048823A (en) Self-propelled cleaner
JP2005065770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