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852B1 - 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852B1
KR101877852B1 KR1020170022308A KR20170022308A KR101877852B1 KR 101877852 B1 KR101877852 B1 KR 101877852B1 KR 1020170022308 A KR1020170022308 A KR 1020170022308A KR 20170022308 A KR20170022308 A KR 20170022308A KR 101877852 B1 KR101877852 B1 KR 101877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specific
vibration
performance
min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설순욱
신예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8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8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0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2Means for controlling the tone frequencies, e.g. attack or decay; Means for producing special musical effects, e.g. vibratos or glissandos
    • G10H1/06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 G10H1/08Circuits for establishing the harmonic content of tones, or other 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tone colour by combining t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44Tun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performance apparatus and a performanc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nabling sensing to be optimized for a stringed instrument (e.g., guitar) so that sound related information (e.g., string, fret, etc.) corresponding to a specific note input from a user is more accurately detected, and enabling new performance apparatus hardware implementations to be realized.

Description

연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주 감지 장치{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formance apparatus and a performanc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the performance apparatus. [0002]

본 발명은 현악기(예: 기타)를 기반으로 연주제어를 수행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악기(예: 기타)에 최적화된 센싱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음에 대응하는 음관련정보(예: 현(string), 프랫(fret) 등)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연주장치 하드웨어 구현 방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erforming performance control based on a string instrument (e.g., guitar), and more particularly, Related information (e.g., strings, frets, etc.) to be perceived more precisely by the user.

최근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 증가와 매체를 통해 방송되는 오디션 프로그램 열풍 등에 따라 악기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타(guitar)와 같은 현악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As interest in musical instrumen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due to increased interest in leisure activities and audiovisual programs being broadcast through media, demand for string instruments such as guitars is on the rise.

이처럼 현악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현악기(예: 기타)에 대한 다양한 기능이 요구되었으며, 그에 따라 초보자들도 현악기(예: 기타)만 소지하고 있다면 독학으로 연주(연습)할 수 있을 정도로 현악기(예: 기타)에 대한 성능이 향상되었다.As the demand for stringed instruments increases, various functions of stringed instruments (eg, guitar) are required. Therefore, if beginners have only stringed instruments (eg, guitar) : Other).

하지만, 기존 현악기(예: 기타)의 경우, 사용자의 운지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다수의 현(string)과 프랫(fret)이 포함되는 핑거보드(Fingerboard)에 센서를 부착하여 손가락 터치나 누름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tring instrument (for example, others), in order to determine the fingering position of a user, a sensor is attached to a fingerboard including a plurality of strings and a fret, And so on.

이러한 종래 방식은, 현(string)과 프랫(fret)이 접촉하여 형성되는 줄의 길이만큼 특정음을 생성하는 현악기(예: 기타)의 특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현(string)과 프랫(fret)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가락이 터치되거나 눌려진 것으로 인식되거나, 반대로 현(string)과 프랫(fret)이 접촉하였지만 손가락이 핑거보드에 닿지 않게 되어 정확한 운지위치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This conventional method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string instrument (for example, a guitar) generating a specific note by the length of the string form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string and the fret, The finger and the fret contact each other, but the finger does not touch the finger board,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position of the fingertip accurately.

또한, 기존 현악기(예: 기타)는, 다수의 현(string)이 모두 하나의 새들(saddle)에 걸쳐지도록 구현되므로, 어느 현에서 발생되는 진동인지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현(string) 마다 진동감지센서를 연결한다 하더라도, 새들을 통해 현(string)의 진동이 전파되기 때문에 진동감지센서 간의 간섭 발생으로 정확한 센싱이 어려운 한계점이 존재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existing string instruments (e.g., others) are embodied such that a plurality of strings are all laid over one saddle, a problem arises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which vibrations occur in which string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ven if a vibration sensor is connected to each string, vibration of a string is propagated through the saddle, so there is a limitation that accurate sensing is difficult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vibration sensors.

따라서, 현악기(예: 기타)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음에 대응하는 음관련정보(예: 현(string), 프랫(fret) 등)에 대한 센싱이 보다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Thus, techniques for more accurately sensing the sound related information (e.g., strings, frets, etc.)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note input from a user in consideration of string characteristics (e.g.,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현악기(예: 기타)에 최적화된 센싱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음에 대응하는 음관련정보(예: 현(string), 프랫(fret) 등)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연주장치 하드웨어 구현 방안이 실현되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ensing apparatus and a sound sensing method capable of performing sensing optimized for a string instrument (e.g., For example, strings, frets, etc.) to be sensed more accurate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주제어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및 프랫(fret)을 기반으로 연주와 관련되는 음을 생성하는 악기; 및 상기 악기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음과 관련되는 특정현 및 특정프랫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특정현에 대응하는 특정진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특정센싱값과, 상기 특정현 및 상기 특정프랫의 접촉에 따라 연결되는 운지관련회로에 의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음을 확인하는 연주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rform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a musical instrument generating musical notes related to performance based on at least one string and a fret; A specific sensed value sensed by the specific vibration sens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ring and a specific sensed value sensed by the specific string and a specific sens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nsation, And a performance control device for confirming the specific sound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confirmed by a fingering circuit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상기 악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및 프랫(fret)을 구비하는 핑거보드와, 상기 핑거보드에 의해 연결되는 헤드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특정영역에는 상기 헤드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핑거보드 상에 배치되는 각 현(string)을 고정하기 위한 현연결관련부 또는 현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musical instrument comprises a fingerboard having the at least one string and a fret, a head and a body connected by the fingerboard, the specific area of the body being connected to the head, And a current connection-related portion or a high-definition portion for fixing each string disposed on the fingerboard.

상기 현연결관련부는, 상기 각 현(string)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상기 각 현(string)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을 포함하는 새들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각 미니새들에 의해 지지되는 해당 현(string)이 상기 바디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urrent connection-related portion includes a saddle portion having at least one mini saddle supporting a string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trings; And a bridge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mini saddle and allowing a string supported by each mini saddle to enter and fix the body.

상기 새들부는, 상기 각 미니새들이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공백영역에 충전부재가 추가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각 현(string)이 배치되는 제1 방향과 수직하는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각 미니새들의 일면이 모두 접촉되도록 제1 충전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에 형성되는 상기 각 미니새들의 다른면이 모두 접촉되도록 제2 충전부재가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addle portion may be formed such that each of the mini saddles is disposed with a vacant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or integrally formed by adding a filling member to the vacant region, The first filling member is disposed such that all the surfaces of the respective mini saddles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filling member is disposed such that the oth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mini saddles formed in the second direction are all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각 현(string)이 상기 바디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핀; 및 상기 각 브릿지핀에 해당 현(string)이 연결된 후 상기 각 브릿지핀에 대응하는 해당 브릿지홀에 상기 각 브릿지핀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각 현(string)에 특정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bridg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bridge pin for allowing the strings to enter and fix into the body; And su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each string when each bridge pin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bridge hole corresponding to each bridge pin after a corresponding string is connected to each of the bridge pins And a power input member.

상기 운지관련회로는, 상기 특정현, 상기 특정프랫 및 상기 브릿지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특정현과 상기 특정프랫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회로가 되며, 상기 특정현과 상기 특정프랫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폐회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gering circuit is formed by the specific string, the specific prat, and the bridge portion. When the particular string is not in contact with the specific prat, the circuit is an open circuit. When the specific string is in contact with the specific prat, And a closed circuit.

상기 연주제어장치는, 상기 특정전압이 인가된 상기 특정현이 상기 특정프랫에 접촉하여 상기 운지관련회로가 상기 폐회로가 되면, 각 프랫(fret)의 전압값 중 다른 전압값을 갖는 해당 프랫을 상기 특정프랫으로 결정하여 상기 운지위치를 확인하는 운지위치확인부; 상기 각 미니새들 별로 연결되는 진동감지센서의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진동감지센서를 검출하여 상기 특정센싱값을 확인하는 진동확인부; 및 상기 운지위치와 상기 특정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음을 확인하는 음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erformance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at having a different voltage value among the voltage values of the respective frets when the specific stitch to which the specific voltage is appli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ecific prat, A fingertip position confirm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fingertip position and determining the fingertip position; A vibration verification unit for detecting the specific vibration sensor based on a sensing value of a vibration sensor connected to each of the mini saddles and confirming the specific sensing value; And a sound confirma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specific sound based on the fingertip position and the specific sensing value.

상기 진동확인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 별 센싱값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진동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악기에서 음이 생성되지 않은 제1 상태, 상기 악기의 특정부분을 두드려서 음이 생성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특정현이 퉁겨져서 음이 생성되는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vibration confirmation unit includes a vibration stat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vibration state of the vibration state based on the vibration state information based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value for each vibration sense sensor, And a third state in which the specific string is distorted to generate a sou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주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및 프랫(fret)을 구비하는 핑거보드; 상기 핑거보드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헤드; 및 상기 핑거보드의 제2 단에 연결되며, 상기 헤드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핑거보드 상에 배치되는 각 현(string)을 고정하기 위한 현연결관련부를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현연결관련부는, 상기 각 현(string)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상기 각 현(string)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을 포함하는 새들부; 상기 미니새들 별로 연결되어 해당 미니새들의 진동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상기 각 현(string)이 상기 바디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핀; 및 상기 각 브릿지핀에 해당 현(string)이 연결된 후 상기 각 브릿지핀에 대응하는 해당 브릿지홀에 상기 각 브릿지핀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각 현(string)에 특정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erformance apparatus comprising: a fingerboard having at least one string and a fret; A head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ingerboard; And a body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ngerboard and having a connection-related part connected from the head to fix a string disposed on the fingerboard, the present connection- A saddle portion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rings and including at least one mini saddle supporting the string; A vibration sensor connected to each of the mini saddles and sensing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of the mini saddle; At least one bridge pin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string into the body; And su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each string when each bridge pin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bridge hole corresponding to each bridge pin after a corresponding string is connected to each of the bridge pins And a power input member.

상기 연주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음과 관련되는 특정현 및 특정프랫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프랫(fret) 및 상기 현연결관련부에 의해 형성되는 운지관련회로를 기반으로 위치정보가 확인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 별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현에 대응하는 특정진동감지센서의 특정센싱값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ngering circuit formed by the at least one string, the fret and the current connection related part when a particular string and a specific pra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particular note are selected through the performance apparatus, And a specific sensing value of the specific vibration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ring is identifi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for each of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상기 운지위치는, 상기 특정현이 상기 특정프랫에 접촉하여 상기 운지관련회로가 상기 폐회로가 되면, 각 프랫(fret)의 전압값 중 다른 전압값을 갖는 해당 프랫을 상기 특정프랫으로 결정한 후 상기 특정프랫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ngertip position is determined such that when the specific string contacts the specific prat and the fingers related circuit becomes the closed circuit, the corresponding prat having a different voltage value among the voltage values of the respective frets is determined as the specific prat, Is determined 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의 연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주제어시스템에 의하면, 현악기(예: 기타)에 최적화된 센싱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음에 대응하는 음관련정보(예: 현(string), 프랫(fret) 등)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연주장치 하드웨어 구현 방안이 실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성취된다.Thu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erform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erformanc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performance of a string instrument (e.g., a guitar) so that sound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note ), Printers (frets, etc.)) are more accurately sensed ar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기존 악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기 내 새들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기 내 새들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기 내 브릿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지관련회로의 일부로 동작되도록 하는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주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erformanc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xisting musical instrument.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addle portion in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addle portion in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ridge unit in an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bstrate to be operated as a part of a finger related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erformanc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Further, when a technical term used herei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that can be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re replaced.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It is to be noted that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extending to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 addition to the appended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주제어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하겠다.First, the performanc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적용될 연주제어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및 프랫(fret)을 기반으로 연주와 관련되는 음을 생성하는 악기(100), 및 악기(1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음과 관련되는 특정현 및 특정프랫이 선택되는 경우, 특정현에 대응하는 특정진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특정센싱값과, 특정현 및 특정프랫의 접촉에 따라 연결되는 운지관련회로에 의해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음을 확인하는 연주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1, the performance control system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musical instrument 100 that generates notes related to performance based on at least one string and a fret, When a specific string and a particular pra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specific note ar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00, the specific sensed value sensed by the specific vibration sens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ring, And a performance control device 200 for recognizing a specific sound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confirmed by the fingering circuit.

악기(100)는, 다수의 현(string)과 프랫(fret)을 기반으로 연주와 관련되는 음을 생성하는 연주장치로서, 특히 현(string)과 프랫(fret)이 접촉하여 형성되는 줄의 길이만큼 특정음을 생성하는 현악기(예: 기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악기(100)가 "기타"인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musical instrument 100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generates sounds related to performance based on a plurality of strings and frets. The musical instrument 100 includes a string having a length of a string formed by contact with a fret, (E.g., a guitar) that produces a specific note as much as possibl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musical instrument 100 will be described as being "other ".

이러한 악기(100)는, 핑거보드(Fingerboard)(110), 헤드(120) 및 바디(130)를 포함한다.The musical instrument 100 includes a fingerboard 110, a head 120, and a body 130.

핑거보드(110)는, 헤드(120)와 바디(130) 사이를 연결하며, 라인그룹(111), 프랫그룹(112), LED그룹(113)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라인그룹(111)은 6개의 현(L1-L6)으로 구성되며, 프랫그룹(112)은 7개의 프랫(F1-F7), LED그룹(113)은 프랫(F1-F7) 별로 6개의 LED로 구성되는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The fingerboard 110 connects between the head 120 and the body 130 and includes a line group 111, a pratt group 112, and an LED group 11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ine group 111 is composed of six strings L1 to L6, the pratt group 112 includes seven pratts F1 to F7, the LED group 113 is connected to the pratt F1- F7) is composed of six LEDs.

즉, 핑거보드(110)는, 현(L1-L6) 및 프랫(F1-F7)을 구비하며, 현(L1-L6)과 프랫(F1-F7)이 각각 교차하는 위치에 운지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해당 LED가 배치되게 된다.That is, the fingerboard 110 is provided with strings L1-L6 and pratts F1-F7, and displays finger positions at positions where the strings L1-L6 and the pratts F1-F7 cross each other The corresponding LEDs for the LEDs are arrang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독학으로 연주(연습)하는 경우, 핑거보드(110) 상의 LED 중 특정 LED가 온(ON)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해당 LED를 기반으로 운지위치를 확인하여 해당 LED와 관련되는 특정현과 특정프랫을 운지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user plays (exercises) by himself, when a specific LED among the LEDs on the finger board 110 becomes ON, the user confirms the fingering position based on the corresponding LED, It becomes possible to fingering a particular prefecture and a specific prat.

이러한 구조를 갖는 악기(100)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음의 입력을 위해 현(L1-L6) 중 특정현을 푸시(Push)하게 되면, 특정현과 관련되는 인접하는 2개의 프랫이 동시에 눌려 센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musical instrument 100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a user pushes a specific string among the strings L1-L6 for inputting a specific note, adjacent two pratts related to the particular string are simultaneously pressed and sensed .

이는, 악기(100)의 하드웨어적인 구조에 의한 것이므로, 특정현이 푸시(Push)됨에 따라 센싱될 수도 있는 2개의 프랫 중 사용자가 선택한 프랫을 내부적인 알고리즘으로 선택해야만 보다 정확도 높은 음관련정보(예: 현(string), 프랫(fret) 등)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is is due to the hardware structure of the musical instrument 10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prat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two prunes, which may be sensed according to the pushing of the specific string, Strings, frets, and the like).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음의 입력을 위해 특정현(L1)을 푸시하여 특정현(L1)과 관련되는 인접하는 2개의 프랫(F5, F6)이 현과 접촉되어 센싱되면, 2개의 프랫 중 바디(130)와 더 가까운 위치의 프랫인 F6을 특정프랫(F6)으로 결정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pushes a specific string L1 for input of a specific note and the two adjacent prunes F5 and F6 associated with the particular string L1 are sensed in contact with the strings, (F6)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irst floor (130) is determined as the specific floor (F6).

즉, 본 발명의 프랫(F1-F7)의 경우, 프랫(F1-F7)의 프랫번호(1,2,3,4,5,6,7)가 클수록 바디(130)에 더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므로, 동일한 현에서 특정음 입력에 의해 센싱되는 프랫(F5, F6)에 대해서는 프랫번호(5)를 갖는 프랫(F5) 보다는 상대적으로 더 높은 프랫번호(6)를 갖는 프랫(F6)이 바디(130)와 더 가까운 위치일 것이므로, 바디(130)와 더 가까운 위치의 프랫(F6)이 특정프랫(F6)으로 선택되게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plat F1-F7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rger the plat number (1,2,3,4,5,6,7) of the plat F1-F7 is, the closer to the body 130 The prat F6 having a relatively higher plat number 6 than the prat F5 having the plat number 5 is pressed against the body (not shown) for the prats F5 and F6, 130, the prat F6 at a position closer to the body 130 will be selected as the specific prat F6.

이는, 특정현(L1)과 관련되는 2개의 프랫(F5, F6)이 센싱된다 하더라도, 실질적인 소리는 바디(130)에 더 가까운 위치의 프랫(F6)의 운지에 의한 현의 길이가 연주음을 결정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프랫이 센싱되었을 때 바디(130)와 더 가까운 위치의 프랫(F6)이 특정프랫으로 선택되어, 유효한 1개의 프랫위치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적인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This is because even if two pratts F5 and F6 related to the specific string L1 are sensed, the actual sound is the length of the string due to the fingertip of the prat F6 at a position closer to the body 130 An internal algorithm is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rat F6 at a position closer to the body 130 is selected as a specific prat when two pratts are sensed so that a valid one prat position can be extracted .

한편, 바디(130)의 특정영역에는, 헤드(120)로부터 연결되어 핑거보드(110) 상에 배치되는 각 현(L1-L6)을 고정하기 위한 현연결관련부(또는 현고정부; 13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현연결관련부(131)는, 새들부(1311) 및 브릿지부(1312)를 포함한다.In the specific region of the body 130, a current connection-related portion (or a high-rigidity portion) 131 for fixing the strings L 1 -L 6 connected from the head 120 and disposed on the fingerboard 110 Respectively. The current connection related portion 131 includes a saddle portion 1311 and a bridge portion 1312. [

이하에서는, 먼저 새들부(1311)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the saddle portion 131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새들부(1311)는, 각 현(L1-L6)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해당 현(L1-L6)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SD1-SD6)을 포함한다.The saddle portion 1311 includes at least one mini saddle SD1-SD6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strings L 1 -L 6 and supporting the strings L 1 -L 6.

이와 관련하여, 도 2에는 기존 악기(100')의 바디(130')에 구비되는 새들부(131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악기(100)의 바디(130)에 구비되는 새들부(131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2 shows an example of a saddle portion 1311 'provided on a body 130' of a conventional musical instrument 100 '. FIG. 3 shows an example of a saddle portion 1311' An example of the saddle portion 1311 is show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악기(100')의 바디(130')의 특정영역에 구비되는 새들부(1311')는, 하나의 새들(saddle)(SD)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현(L1-L6)이 모두 새들(SD)에 걸쳐지도록 구현되게 된다. 2, the saddle portion 1311 'provided in a specific region of the body 130' of the conventional musical instrument 100 'is formed of one saddle SD, (L1-L6) all extend over the saddle (SD).

즉, 하나의 새들(SD)에 모든 현(L1-L6)이 걸쳐지게 되므로, 사용자가 현(string)을 퉁겼을 때 새들(SD) 아래에 연결되는 진동감지센서에 의해 현의 진동이 감지되면, 어느 현에서 발생되는 진동인지를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since all the strings L1-L6 are covered by one saddle SD, if the string vibration is sensed by the vibration sensor connected under the saddle SD when the user straps the string , And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strings.

이에,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현(L1-L6) 마다 진동감지센서를 연결한다 하더라도, 새들(SD)을 통해 현(L1-L6) 간의 진동이 전파되기 때문에 진동감지센서 간의 간섭 발생으로 정확한 센싱이 어려운 한계점이 존재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even if a vibration sensor is connected to each of the strings L1-L6, the vibration between the strings L1-L6 propagates through the saddle SD, There is a limit point in which sensing i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30)의 특정영역에 구비되는 새들부(1311)가, 해당 현(L1-L6)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SD1-SD6)을 포함하도록 구현하였다.3 (a), a saddle portion 1311 provided in a specific region of the body 13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mini saddle (not shown) supporting the strings L1-L6 SD1-SD6).

즉, 하나의 새들(SD)을 현(L1-L6)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6개)로 분할하여 미니새들(SD1-SD6)이 생성되면, 각 미니새들(SD1-SD6)이 해당 현(L1-L6)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위치에서 소정의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도록 하는 형태로 새들부(1311)가 형성된다.That is, when mini saddles SD1-SD6 are generated by dividing one saddle SD into six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urrent L1-L6, each mini saddle SD1- The saddle portion 1311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addle portion 1311 is disposed at a position suitable for supporting the first through third lens groups L1-L6 with a predetermined blank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각 미니새들(SD1-SD6)이 배치되도록 하는 해당 홀(H11-H16)에는, 진동감지센서(VS1-VS6)가 대응하는 개수(6개)로 배치되어, 도 3의 (b)와 같이 각 미니새들(SD1-SD6) 별로 해당 진동감지센서(VS1-VS6)가 연결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vibration detectors VS1 to VS6 are arranged in the corresponding number (six) in the corresponding holes H11 to H16 in which the mini saddles SD1 to SD6 are arranged, The corresponding vibration detection sensors VS1 to VS6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mini saddles SD1 to SD6.

결국, 본 발명의 새들부(1311)는, 현(L1-L6)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6개)만큼 미니새들(SD1-SD6)을 생성하여 각 현(L1-L6)이 해당 미니새들(SD1-SD6)에 각각 걸쳐지도록 구현한 후, 각 미니새들(SD1-SD6) 별로 진동감지센서(VS1-VS6)가 대응되도록 연결함으로써, 기존 하나의 새들(DS)에 모든 현(L1-L6)이 걸쳐짐에 따라 발생하던 진동감지센서 간의 간섭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현(L1-L6) 별 진동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saddle portion 1311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mini saddles SD1-SD6 by the number (6)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rings L1-L6, so that each string L1- SD6 to the saddle DS so that all the strings L1 to L6 are connected to the existing saddle DS by connecting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VS1 to VS6 correspondingly to the respective mini saddles SD1 to SD6,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that are generated due to the overloading can be minimized, and more accurate vibration sensing of each string (L1 to L6) can be performed.

한편, 도 3의 (a)와 같이, 새들부(1311)의 각 미니새들(SD1-SD6)이 소정의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게 되면, 현(L1-L6)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미니새들(SD1-SD6)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분실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ini saddles SD1-SD6 of the saddle portion 1311 are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blank area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3A,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mini saddles SD1-SD6 are separated and lost.

이에, 도 4의 (a)와 같이, 미니새들(SD1-SD6)이 배치되는 사이의 공백영역에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충전부재(132)를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일체형으로 새들부(131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충전부재(132)는, 미니새들(SD1-SD6) 사이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이면 별도의 제한을 두지 않는다.4A, a filling member 132 capable of absorbing shock and vibration is additionally disposed in a vacant area between mini saddles SD1-SD6, so that the saddle portion 1311 is integrally formed. . At this time, the filling member 132 does not have any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impacts and vibrations between the mini saddles SD1-SD6.

이와 달리, 도 4의 (b)와 같이, 새들부(1311)는, 각 현(L1-L6)이 배치되는 제1 방향(Y)과 수직하는 제2 방향(X)에 위치하는 각 미니새들(SD1-SD6)의 일면(SD11,SD21,DS31,DS41,DS51,DS61)이 모두 접촉되도록 제1 충전부재(133)가 배치되며, 제2 방향(X)에 형성되는 각 미니새들(SD1-SD6)의 다른면(SD12,SD22,DS32,DS42,DS52,DS62)이 모두 접촉되도록 제2 충전부재(134)가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B, the saddle portion 1311 may be formed in a manner such that each mini saddle 1311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X,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Y in which the strings L 1 -L 6 are arranged, The first filling member 133 is disposed such that all of the first sidewall SD1-SD6 of the first sidewall SD1-SD6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ll the sidewalls SD11, SD21, DS31, DS41, DS51, The second charging member 134 may be disposed so that all of the other surfaces SD12, SD22, DS32, DS42, DS52, and DS62 of the first charging member SD6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고하여, 바디(130)의 특정영역에 구비되는 현연결관련부(131)의 브릿지부(1312)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이하에서는 새들부의 미니새들(SD1-SD6)이 도 3의 (a)와 같이 소정의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것으로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3, the bridge portion 1312 of the current connection-related portion 131 provided in a specific region of the body 130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the mini saddles SD1-SD6 of the saddle portion will be described as being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blank region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3 (a).

브릿지부(1312)는, 사용자가 연주하는 특정음의 운지위치가 판단되도록 위치정보를 센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bridge unit 1312 performs a function of sensing position information so that a fingering position of a specific note played by the user is determined.

보다 구체적으로, 브릿지부(1312)는, 새들부(1311)의 각 미니새들(SD1-SD6)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각 미니새들(SD1-SD6)에 의해 지지되는 해당 현(L1-L6)이 바디(130)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특정음의 운지위치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운지관련회로로서 동작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bridge portion 1312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each of the mini saddles SD1-SD6 of the saddle portion 1311, and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tring L1- L6 to enter and fix the inside of the body 130 to operate as a fingering circuit that enables determination of the fingering position of a specific sound.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사용자의 운지위치를 판단하기 위해 현(L1-L6)과 프랫(F1-F7)이 포함되는 핑거보드(110') 상에 센서를 부착하여 손가락 터치나 누름 여부를 판단하는 등의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2, in order to determine the fingering position of the user, a sensor is mounted on the fingerboard 110 'including the strings L1-L6 and the prisms F1-F7, And a method of judging whether or not to press.

이러한 종래 방식은, 현(L1-L6)과 프랫(F1-F7)이 접촉하여 형성되는 줄의 길이만큼 특정음을 생성하는 악기(100')의 특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현(L1-L6)과 프랫(F1-F7)이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손가락이 터치되거나 눌려진 것으로 인식되거나, 반대로 현(L1-L6)과 프랫(F1-F7)이 접촉하였지만 손가락이 핑거보드(110')에 닿지 않게 되어 정확한 운지위치에 대한 확인이 어려운 한계점이 있다.This conventional method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the musical instrument 100 'that generates a specific sound by the length of the string formed by the strings L1-L6 and the platters F1-F7, And the fingers F1-F7 are contacted but the finger contacts the fingerboard 110 'even if the finger L1-L6 and the platters F1-F7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exact fingering position.

이에, 본 발명에서는 운지관련회로로서 동작하여 특정음의 운지위치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도록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브릿지부(1312)를 다음과 같이 구현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idge unit 1312, which operates as a fingering circuit and provides position information so that it can determine a fingering position of a specific sound, is implemented as follows.

브릿지부(1312)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현(L1-L6)이 바디(130)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핀(13121), 및 각 브릿지핀(13121)에 해당 현(L1-L6)이 연결된 후 각 브릿지핀(13121)에 대응하는 해당 브릿지홀(13122)에 각 브릿지핀(13121)이 삽입되는 경우, 해당 현(L1-L6)에 특정전압(3.3V)이 인가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재(1323)를 포함한다.The bridge portion 1312 includes at least one bridge pin 13121 for allowing each string L1-L6 to enter and fix the inside of the body 130 as shown in Fig. 5A, When each bridge pin 13121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bridge hole 13122 corresponding to each bridge pin 13121 after the corresponding string L1-L6 is connected to the pin 13121, And a power input member 1323 for supplying power to apply a specific voltage (3.3V).

여기서, 전원입력부재(1323)는, 각 브릿지핀(13121)에 연결되는 해당 현(L1-L6)에 특정전압(3.3V)을 인가하기 위한 동판일 수 있으며, 전원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통해 특정전압(3.3V)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전원입력부재(1323)는, 도 5의 (b)와 같이, 브릿지홀(13122)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브릿지홀(13122)로 삽입되는, 브릿지핀(13121)에 걸리는 해당 현(L1-L6)과 접촉(맞닿게)하여 해당 현(L1-L6)으로 특정전압(3.3V)을 공급한다.Here, the power input member 1323 may be a copper plate for applying a specific voltage (3.3V) to the corresponding strings L1-L6 connected to the bridge pins 13121, And a voltage (3.3 V) is supplied. 5 (b), the power input member 1323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ridge hole 13122 and is inserted into the bridge hole 13122 so that the corresponding string L1 L6) to supply a specific voltage (3.3V) to the strings L1-L6.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L1)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현(L1)이며, 프랫(F1)이 특정프랫(F1)인 것으로 언급하여 운지관련회로로서 동작하는 브릿지부(1312)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tructure of the bridge portion 1312 which acts as a fingering circuit by referring to the string L1 as the specific string L1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pratt F1 as the specific pratt F1 A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1312)에서는, 특정현(L1)에 대응하는 브릿지핀(13121a)에 현(L1)을 걸고 브릿지홀(13122a)에 브릿지핀(13121a)이 삽입되면, 특정현(L1)의 끝부분이 브릿지핀(13121a)에 걸려 고정되므로, 브릿지핀(13121a)에 걸리는 특정현(L1)과 전원입력부재(1323)가 접촉(맞닿게)하게 된다.5 (c), in the bridge portion 1312, the string L1 is hooked on the bridge pin 13121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ring L1, the bridge pin 13121a is connected to the bridge hole 13122a, The end portion of the specific string L1 is fixedly caught by the bridge pin 13121a so that the specific string L1 caught by the bridge pin 13121a and the power input member 132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이때, 전원입력부재(1323)에 전원이 연결되어 특정전압(3.3V)이 인가되면, 전원입력부재(1323)로 인가된 특정전압(3.3V)이 특정현(L1)으로 전달되어 특정현(L1)에도 동일하게 특정전압(3.3V)이 인가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a power source is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member 1323 and a specific voltage (3.3V) is applied, the specific voltage (3.3V) applied to the power input member 1323 is transmitted to the specific string L1, A specific voltage (3.3 V) is also applied to the transistors L1 and L1.

전술에 따라 특정현(L1)에 특정전압(3.3V)이 인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프랫(F1)이 접촉하게 되면, 브릿지부(1312)는, 운지관련회로로서 도 5의 (d)와 같이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위치정보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pecific plat F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 in a state in which the specific voltage (3.3 V) is applied to the specific string L1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bridge portion 1312 performs the operation ) To be able to perform the switch function, thereby sen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여기서, 특정프랫(F1)은, 도 6과 같이, 핑거보드(110) 상에 형성되는 해당 프렛홀(H21)에 삽입되는데, 이때 PCB(PRINTED CIRCUIT BOARD)의 뒷면에 돌출되는 특정프랫(F1)의 끝부분은 운지관련회로의 일부로 동작할 수 있도록 납땜되게 된다.6, the specific plat F1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plenum H21 formed on the fingerboard 110. At this time, the specific plat F1 protruding from the back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Is soldered to be able to act as part of the fingering circuit.

이처럼 특정프랫(F1)과 PCB가 연결되면, 특정프랫(F1)도 운지관련회로의 일부로 동작하게 되며, 사용자가 특정음을 연주하기 위해 특정현(L1)을 선택하여 특정전압(3.3V)이 인가된 특정현(L1)이 특정프랫(F1)에 접촉하게 되면, 운지관련회로에서는 특정프랫(F1)에 대해 제1 전압값(HIGH)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고, 접촉하지 않은 다른 프렛에 대해서는 제2 전압값(LOW)의 데이터를 센싱할 수 있게 된다.When a specific plat (F1) is connected to a PCB, a specific plat (F1) also acts as a part of the fingering circuit, and the user selects a particular string (L1) When the applied specific string L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ecific plat F1, data of the first voltage value (HIGH) can be read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plat F1 in the fingering circuit, The data of the second voltage value LOW can be sensed.

결국, 본 발명의 운지관련회로는, 특정현(L1), 특정프랫(F1) 및 브릿지부(1312)에 의해 형성되게 되며, 특정현(L1)과 특정프랫(F1)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회로가 되어 센싱을 준비하게 되며, 특정현(L1)과 특정프랫(F1)이 접촉하는 경우에는 폐회로가 되어 위치정보를 센싱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fingering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specific string L1, the specific plat F1 and the bridge portion 1312. When the specific string L1 and the specific plat F1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specific string L1 and the specific pratt F1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nsor is closed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is sensed.

즉, 운지관련회로는, 특정전압(3.3V)이 인가된 특정현(L1)이 특정프랫(F1)에 접촉하여 폐회로가 되면, 프랫(F1-F7) 중 특정프랫(F1)이 특정전압(3.3V)에 의해 다른 프랫과 달리 제1 전압값(HIGH)을 가지게 될 것이므로, 제1 전압값(HIGH)을 갖는 해당 프랫을 센싱하여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운지위치확인부(210)로 전달하여 운지위치가 확인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specific string L1 to which the specific voltage (3.3V) is appli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ecific pratt (F1) to become a closed circuit, the fingertip related circu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pecific pratt (F1) The first voltage value HIGH is sensed by the first voltage value HIGH and the first voltage value HIGH is sensed by the first voltage value HIGH, So that the fingering position is confirmed.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악기(100)에 구비되는 현(L1-L6) 및 프랫(F1-F7)이 브릿지부(1312)와 연결되어 운지관련회로서 동작하게 됨에 따라, 브릿지부(1312)에 현(L1-L6) 및 프랫(F1-F7)이 연결되기만 한다면,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 연결선 등이 추가적으로 탑재되지 않아도 되므로, 기존과 달리 회로구성 자체를 단순화할 수 있어 센싱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전반적인 센싱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ng L1-L6 and the prongs F1-F7 provid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0 are connected to the bridge portion 1312 to operate as a fingering frame, L1-L6) and the pratt (F1-F7) are connected, it is not necessary to additionally include a separate sensor and connection line for performing the switch function. Therefore, the circuit configuration itself can be simplified, The overall sens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이상으로, 악기(100)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다시 도 1을 참고하여, 연주제어장치(200)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As described above, the musical instrumen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gain after the descrip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100 is completed.

연주제어장치(200)는, 악기(1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음과 관련되는 특정현 및 특정프랫이 선택되는 경우, 악기(100)로부터 센싱되는 정보(특정센싱값,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특정음을 확인한다.The performance control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a specific sensing value, position information) sensed from the musical instrument 100 when a specific string and a specific prattle related to at least one specific note are selected through the musical instrument 100 To identify a specific note.

이러한, 연주제어장치(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지위치확인부(210), 진동확인부(220) 및 음확인부(2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술에서 언급한 특정현(L1), 특정프랫(F1)을 동일하게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The performance control apparatus 200 includes a fingering position confirmation unit 210, a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20, and a sound confirmation unit 230, as shown in FIG. Hereinafter, the specific string L1 and the specific pratt F1 mention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the same manner.

운지위치확인부(210)는, 특정전압(3.3V)이 인가된 특정현(L1)이 특정프랫(F1)에 접촉하여 운지관련회로가 폐회로가 되면, 프랫(F1-F7)의 전압값 중 나머지와 다른 제1 전압값(HIGH)을 갖는 해당 프랫을 특정프랫(F1)으로 결정하여 운지위치를 확인하게 된다.When the specific string L1 to which the specific voltage 3.3V is appli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ecific pratt F1 and the fingers related circuit is closed, the fingertip position confirmation unit 210 determines that the voltage value of the prat F1- The corresponding pratt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HIGH different from the rest is determined as the specific pratt F1 and the fingertip position is confirmed.

즉, 악기(100)에 형성되는 운지관련회로로부터 프랫(F1-F7) 중 특정현(L1)과의 접촉에 따라 다른 프랫과 달리 제1 전압값(HIGH)을 갖는 프랫(F1)이 센싱되어 위치정보가 전달될 것이므로, 운지위치확인부(210)는, 운지관련회로로부터 프랫(F1)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프랫(F1)을 특정프랫(F1)으로 결정하여 운지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depending on the contact with the specific string L1 of the platters F1-F7 from the finger related circuit formed on the musical instrument 100, the plat F1 having the first voltage value HIGH is sensed The fingertip position confirmation unit 210 receiv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plat F1 from the fingertip related circuit and determines the received plat F1 as a specific plat F1 to confirm the fingertip position It will be possible.

진동확인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현의 진동에 대응하는 특정센싱값을 확인한다.The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20 confirms the specific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of the specific string selected by the user.

즉, 진동확인부(220)는, 새들부(1311)의 각 미니새들(SD1-SD6) 별로 연결되는 진동감지센서(VS1-VS6)로부터 센싱값이 수신되면, 수신되는 진동감지센서(VS1-VS6) 별 센싱값을 기반으로 특정현에 대응하여 연결되는 특정진동감지센서를 검출한다.That is, when the sensing value is received from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VS1-VS6 connected to the respective mini saddles SD1-SD6 of the saddle portion 1311, the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20 receives the sensing values VS1- VS6) detects a specific vibration sensor connected to a specific string based on the sensed value.

이는, 전술에서 언급한 새들부(1311)가 기존과 달리 미니새들(SD1-SD6)로 구분되며, 각 미니새들(SD1-SD6) 별로 진동감지센서(VS1-VS6)가 대응되도록 연결되어 진동감지센서(VS1-VS6) 간의 간섭 영향이 최소화되었기 때문에, 진동확인부(220)는, 진동감지센서(VS1-VS6)로부터 수신되는 센싱값중 임계값 이상인 해당 센싱값을 센싱한 진동감지센서를 특정진동감지센서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saddle portion 1311 mentioned above is divided into mini saddles SD1 to SD6 unlike the conventional ones and the vibration detecting sensors VS1 to VS6 are connect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mini saddles SD1 to SD6, Since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ensors VS1 and VS6 is minimized, the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20 identifies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that senses a corresponding sensed valu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among the sensed values received from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s VS1 through VS6 And can be detected by a vibration detection sensor.

이러한, 진동확인부(220)는, 진동감지센서(VS1-VS6) 별 센싱값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진동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악기(100)에서 음이 생성되지 않은 제1 상태, 악기(100)의 특정부분(예: 바디)을 두드려서 음이 생성되는 제2 상태, 및 특정현(L1)이 퉁겨져서 음이 생성되는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할 수도 있다.The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20 may be a first state in which the sound is not generat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0 based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for each of the vibration detection sensors VS1 to VS6, A second state in which a note is produced by hitting a specific portion (e.g., a body) of the specific string L1, and a third state in which the specific string L1 is distorted to generate a sound.

여기서, 진동특성정보는, 제1 상태일 때 진동감지센서(VS1-VS6) 별 센싱값의 다양한 제1 진동패턴을 누적하고, 제2 상태일 때 진동감지센서(VS1-VS6) 별 센싱값의 제2 진동패턴을 누적하고, 제3 상태일 때 진동감지센서(VS1-VS6) 별 센싱값의 다양한 제3 진동패턴을 누적하여 생성되는 기준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실험을 거쳐 생성 및 누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Here,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umulates first vibration patterns having various sensing values for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VS1-VS6 in the first state, and accumulates the first vibration patterns for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VS1-VS6 in the second state. And may be a reference value that is generated by accumulating the second vibration pattern and accumulating the third vibration pattern having a different sensing value for each of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VS1 to VS6 in the third state and is preferably generated and accumulated through various experiments something to do.

이에, 진동확인부(220)는, 진동감지센서(VS1-VS6) 별 센싱값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진동특성정보와 제1 내지 제3 진동패턴을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매칭되는 특정진동패턴을 결정하고, 진동특성정보와 특정진동패턴과의 매칭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범위에 포함되면 특정진동패턴에 해당하는 상태(제1 상태/제2 상태/제3 상태)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20 compares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which is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for each of the vibration sensing sensors VS1 to VS6, with the first to third vibration patterns, and determines a specific vibration pattern to be most closely matched (First state / second state / third stat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vibration pattern when the degree of matching betwee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specific vibration pattern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ng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동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 상태를 구분하는 것으로 언급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내지 제3 상태의 조합에 따른 진동패턴을 확인하여 적어도 2개의 상태가 동시에 발생되는 혼합상태도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states are distinguished based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to third stat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mixing state occurring at the same time can also be distinguished.

음확인부(230)는, 진동확인부(22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센싱값과, 운지위치확인부(210)로부터 확인되는 운지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연주한 특정음을 확인한다.The sound confirmation unit 230 confirms a specific sound played by the user based on the specific sensing value received from the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20 and the fingering position confirmed by the fingering position confirmation unit 210.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악기(예: 기타)에 최적화된 센싱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음에 대응하는 음관련정보(예: 현(string), 프랫(fret) 등)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연주장치 하드웨어 구현 방안이 실현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a string instrument (e.g., a guitar), sound related information (e.g., strings, frets, Etc.) to be sensed more precisely, resulting in a new performance device hardware implementation scheme being realiz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의 연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주제어시스템에 따르면, 현악기(예: 기타)에 최적화된 센싱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특정음에 대응하는 음관련정보(예: 현(string), 프랫(fret) 등)가 보다 정확하게 감지되도록 하는, 새로운 연주장치 하드웨어 구현 방안이 실현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pparatus and the performanc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performanc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a string instrument (e.g., a guitar), sound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note input from the user Fret, etc.) can be made to be more accurately sensed, new performance device hardware implementations can be made to be realized, so that,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echnology, Or is likely to be industrially applicable because it is capable of being practically and practically obvious.

100: 악기
110: 핑거보드 120: 헤드
130: 바디
200: 연주제어장치
210: 운지위치확인부 220: 진동확인부
230: 음확인부
100: Instrument
110: finger board 120: head
130: Body
200: performance control device
210: fingering position confirmation unit 220: vibration confirmation unit
230: sound confirmation unit

Claims (13)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의 선택 및 적어도 하나의 프랫(fret)의 선택의 조합을 이용하여 음을 생성하는 악기;
상기 악기의 현마다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현의 진동을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들;
상기 악기의 프랫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운지관련회로로서, 상기 운지관련회로는 프랫에 현이 접촉되는 경우에 접촉하는 프랫과 현의 조합에 대응하는 운지위치정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운지관련회로;
상기 악기에서 특정현 및 특정프랫이 선택되어 특정음이 연주되는 경우, 상기 특정현에 대응하는 진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특정현의 진동 센싱값과, 상기 특정현과 상기 특정프랫의 접촉에 따라 결정되는 운지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음의 연주를 확인하는 연주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주제어부는,
상기 악기의 현마다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진동감지센서 별 센싱값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진동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악기에서 음이 생성되지 않은 제1 상태, 상기 악기의 특정부분을 두드려서 음이 생성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특정현이 퉁겨져서 음이 생성되는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하며,
상기 악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및 프랫(fret)이 배치되는 핑거보드와, 상기 핑거보드에 의해 연결되는 헤드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특정영역에는 상기 헤드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핑거보드 상에 배치되는 각 현(string)을 고정하기 위한 현고정부가 포함되며,
상기 현고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상기 각 현(string)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을 포함하는 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새들부는,
상기 각 미니새들이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배치되지만 상기 공백영역에 진동흡수재인 충전부재가 추가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주 감지 장치.
A musical instrument for generating notes us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string selection and at least one fret selection;
Vibration detection sensors individually disposed for each string of the musical instrument and independently sensing vibration of each string;
A fingering related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atts of the musical instrument, the fingering related circuit generating a fingertip position inform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combination of a prat and a string whi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rat when a string is contacted;
A vibration sensing value of a specific string sensed by the vibration sensing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ring and a vibration sensed value of the specific string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specific string and the specific pratt And a performance control unit for confirming the performance of the specific sound through the fingering position information,
Wherein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comprises:
A first state in which no sound is generated in the musical instrument based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for each vibration sensing sensor disposed separately for each string of the musical instrument, A second state, and a third state in which the specific string is distorted to generate a sound,
The musical instrument,
A fingerboard on which the at least one string and a fret are disposed; a head and a body connected by the fingerboard,
A specific region of the body may include a solid portion connected to the head to fix a string disposed on the finger board,
Wherein,
And a saddle portion having at least one mini saddle supporting the string, the saddle portion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strings,
The saddle-
Wherein each of the mini saddles is separately disposed with a vacant area therebetween, but a filling member, which is a vibration absorbing material, is added to the vacant area,
Performance sensing device.
악기의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의 선택 및 적어도 하나의 프랫(fret)의 선택의 조합을 이용하여 음을 생성하는 악기에서 특정현 및 특정프랫이 선택되어 특정음이 연주되는 경우, 상기 특정현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특정현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되는 특정현의 진동 센싱값과, 상기 특정현과 상기 특정프랫의 접촉에 따라 프랫에 연결된 운지관련회로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특정프랫에 대한 운지위치정보를 통해 상기 특정음의 연주를 확인하는 연주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주제어부는,
상기 악기의 현마다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진동감지센서 별 센싱값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진동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악기에서 음이 생성되지 않은 제1 상태, 상기 악기의 특정부분을 두드려서 음이 생성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특정현이 퉁겨져서 음이 생성되는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하며,
상기 악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및 프랫(fret)이 배치되는 핑거보드와, 상기 핑거보드에 의해 연결되는 헤드와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특정영역에는 상기 헤드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핑거보드 상에 배치되는 각 현(string)을 고정하기 위한 현고정부가 포함되며,
상기 현고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상기 각 현(string)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을 포함하는 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새들부는,
상기 각 미니새들이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배치되지만 상기 공백영역에 진동흡수재인 충전부재가 추가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주 감지 장치.
When a particular string and a particular instrument are selected and a particular note is played in an instrument that generates a note using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string of instruments and a selection of at least one fret, On the basis of a vibration sensed value of a specific string sensed by a vibration sensor sensed by the vibration sensor and a signal generated from an finger related circuit connected to the prat according to the contact of the specific string and the specific prat And a performance control unit for confirming the performance of the specific sound through fingertip posi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prat determined,
Wherein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comprises:
A first state in which no sound is generated in the musical instrument based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for each vibration sensing sensor disposed separately for each string of the musical instrument, 2 state, and a third state in which the specific string is strangled to generate a sound,
The musical instrument,
A fingerboard on which the at least one string and a fret are disposed; a head and a body connected by the fingerboard,
A specific region of the body may include a solid portion connected to the head to fix a string disposed on the finger board,
Wherein,
And a saddle portion having at least one mini saddle supporting the string, the saddle portion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at least one strings,
The saddle-
Wherein each of the mini saddles is separately disposed with a vacant area therebetween, but a filling member, which is a vibration absorbing material, is added to the vacant area,
Performance sensing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고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각 미니새들에 의해 지지되는 해당 현(string)이 상기 바디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미니새들은 각각의 진동감지센서 상에 배치되어, 각각의 미니새들 상에 위치한 각각의 현의 진동을 해당 진동감지센서에 전달하는,
연주 감지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nd a bridge portion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t least one mini saddle and allowing a string supported by each mini saddle to enter and fix the body,
Each mini saddle is disposed on a respective vibration sense sensor and transmits vibration of each string located on each mini saddle to the corresponding vibration sense sensor.
Performance sens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부는,
상기 각 미니새들이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배치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각 미니새들이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지만 각각의 미니새들의 일면에 부착되는 하나의 연결지지체를 통해 미니새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형성되는,
연주 감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addle-
Each of the mini saddles is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and arranged with a blank area therebetween, or
Wherein each of the mini-birds is arranged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ingle connecting support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mini-bird,
Performance sensing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는,
상기 각 현(string)이 상기 바디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핀; 및
상기 각 브릿지핀에 해당 현(string)이 연결된 후 상기 각 브릿지핀에 대응하는 해당 브릿지홀에 상기 각 브릿지핀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각 현(string)에 특정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릿지홀에 상기 브릿지핀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브릿지핀은 상기 현이 상기 전원입력부재와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연주 감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ridge unit includes:
At least one bridge pin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string into the body; And
When a string is connected to each bridge pin and each bridge pin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bridge hole corresponding to each bridge pin,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specific voltage to each string An input member,
Wherein when the bridge pin is inserted into the bridge hole, the bridge pin fixes the string to mainta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power input member,
Performance sensing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관련회로는,
상기 특정현과 상기 특정프랫이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회로가 되며, 상기 특정현과 상기 특정프랫이 접촉하는 경우에 폐회로가 완성되는,
연주 감지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ngering-
Wherein the closed circuit is an open circuit when the specific string is not in contact with the specific strut and the closed circuit is completed when the specific string is in contact with the specific strut,
Performance sens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제어부는,
상기 특정전압이 인가된 상기 특정현이 상기 특정프랫에 접촉하여 상기 운지관련회로가 폐회로가 되면, 각 프랫(fret)의 전압값 중 다른 전압값을 갖는 해당 프랫을 상기 특정프랫으로 결정하여 상기 운지위치를 확인하는 운지위치확인부;
상기 각 미니새들 별로 연결되는 진동감지센서의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현에 대응하는 특정진동감지센서를 검출하고 상기 특정진동감지센서의 특정센싱값을 확인하는 진동확인부; 및
상기 운지위치와 상기 특정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음을 확인하는 음확인부를 포함하는,
연주 감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comprises:
When the specific string having the specific voltage is applied to the specific prat and the fingers related circuit is closed, the corresponding prat having a different voltage value among the voltage values of the respective frets is determined as the specific prat, A fingertip position confirmation unit for checking the fingertip position;
A vibration confirmation unit for detecting a specific vibration sensor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tring and checking a specific sensing value of the specific vibration sensor based on a sensing value of a vibration sensor connected to each mini s bird; And
And a sound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the specific sound based on the fingertip position and the specific sensing value.
Performance sensing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헤드와 바디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현과 상기 프랫을 구비하는 핑거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주제어부는,
특정현이 푸시되어 인접하는 2개 이상의 프랫들과 접촉되면, 상기 2개 이상의 프랫들 중 상기 바디와 더 가까운 위치의 프랫을 선택된 특정프랫으로 결정하여 연주되는 특정음을 확인하는,
연주 감지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musical instrument includes a finger board positioned between a head and a body and having the strings and the pratt,
Wherein the performance control unit comprises: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n a particular string is pushed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two or more neighboring prunes, a prat located closer to the body than the two or more prats is selected as the selected particular prat,
Performance sensing device.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및 프랫(fret)을 포함하는 연주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 및 프랫을 구비하는 핑거보드;
상기 핑거보드의 제1 단에 연결되는 헤드; 및
상기 핑거보드의 제2 단에 연결되며, 상기 헤드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핑거보드 상에 배치되는 각 현(string)을 고정하기 위한 현연결관련부를 구비하는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현연결관련부는,
상기 각 현(string)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를 가지며, 상기 각 현(string)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니새들을 포함하는 새들부;
상기 미니새들 별로 연결되어 해당 미니새들의 진동에 대응하는 센싱값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
상기 각 현(string)이 상기 바디 내부로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핀; 및
상기 각 브릿지핀에 해당 현(string)이 연결된 후 상기 각 브릿지핀에 대응하는 해당 브릿지홀에 상기 각 브릿지핀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각 현(string)에 특정전압이 인가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주장치는,
상기 연주장치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 각각에 배치되는 상기 진동감지센서 별 센싱값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진동특성정보를 기반으로 악기에서 음이 생성되지 않은 제1 상태, 악기의 특정부분을 두드려서 음이 생성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특정현이 퉁겨져서 음이 생성되는 제3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하며,
상기 현연결관련부는,
상기 각 미니새들이 공백영역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배치되지만 상기 공백영역에 진동흡수재인 충전부재가 추가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연주장치.
CLAIMS 1. A performance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string and a fret,
A fingerboard having the at least one string and the pratt;
A head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ingerboard; And
And a body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ngerboard and having a current connection related portion for fixing a string connected from the head and disposed on the fingerboard,
The present connection-
A saddle portion having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rings and including at least one mini saddle supporting the string;
A vibration sensor connected to each of the mini saddles and sensing a sens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vibration of the mini saddle;
At least one bridge pin for inserting and fixing the string into the body; And
When a string is connected to each bridge pin and each bridge pin is inserted into a corresponding bridge hole corresponding to each bridge pin,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a specific voltage to each string An input member,
The performance device comprises:
A first state in which no sound is generated in the musical instrument based on the vibra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confirm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per vibration sensing sensor dispos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strings of the performance apparatuses, A second state to be generated, and a third state in which the specific string is strangled to generate a sound,
The present connection-
Wherein each of the mini saddles is separately disposed with a vacant area therebetween, but a filling member, which is a vibration absorbing material, is added to the vacant area,
Performance devic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주장치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특정음과 관련되는 특정현 및 특정프랫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현(string), 프랫(fret) 및 상기 현연결관련부에 의해 형성되는 운지관련회로를 기반으로 운지위치가 확인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 별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특정현에 대응하는 특정진동감지센서의 특정센싱값이 확인되는,
연주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a particular string and a specific pra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specific note are selected through the performance apparatus,
The fingering position is confirmed based on the fingering circuit formed by the at least one string, the fret, and the current connection related part. The specific sensing value of the specific vibration sensing sensor is confirmed,
Performance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지위치는,
상기 특정현이 상기 특정프랫에 접촉하여 상기 운지관련회로가 폐회로가 되면, 각 프랫(fret)의 전압값 중 다른 전압값을 갖는 해당 프랫을 상기 특정프랫으로 결정한 후 상기 특정프랫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값으로 결정되는,
연주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ngertip position,
When the specific stitch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pecific prat and the fingers related circuit is closed, the corresponding prat having the different voltage value among the voltage values of the respective frets is determined as the specific prat, Lt; / RTI >
Performance device.
KR1020170022308A 2017-02-20 2017-02-20 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8778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08A KR101877852B1 (en) 2017-02-20 2017-02-20 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308A KR101877852B1 (en) 2017-02-20 2017-02-20 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852B1 true KR101877852B1 (en) 2018-08-09

Family

ID=6325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308A KR101877852B1 (en) 2017-02-20 2017-02-20 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85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683B1 (en) 2019-12-11 2021-03-19 (주)이공감 Playing assist device of a guitar
KR20220089851A (en) 2020-12-22 2022-06-29 (주)이공감 Playing assist device of musical instrument and system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690A (en) * 1999-02-02 2002-10-29 ザ・ギトロン・コーポレイション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KR20090009319U (en) * 2008-03-13 2009-09-17 주철현 Digital Neck
JP2015011134A (en) * 2013-06-27 2015-01-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musical sound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6690A (en) * 1999-02-02 2002-10-29 ザ・ギトロン・コーポレイション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KR20090009319U (en) * 2008-03-13 2009-09-17 주철현 Digital Neck
JP2015011134A (en) * 2013-06-27 2015-01-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musical sound generating method and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683B1 (en) 2019-12-11 2021-03-19 (주)이공감 Playing assist device of a guitar
KR20220089851A (en) 2020-12-22 2022-06-29 (주)이공감 Playing assist device of musical instrument and system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15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igital stringed instrument
US78978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igital stringed instrument
KR101877852B1 (en) Performance apparatus and performance detec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1000838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digital stringed instrument
US845441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nged controllers and instruments
US20140190338A1 (e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musical sound gener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311905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coustic transducer and musical instrument
US20100234109A1 (en) Fr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rets for stringed controllers and instruments
CN102129798A (en) Digital stringed instrument controlled by microcomputer
US9691363B2 (en) Instrument trigger system and methods of use
US7238875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03915087B (e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And Musical Sound Generation Method
US20230386442A1 (en) Detection system and keyboard instrument
US10657941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lesson processing method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1024927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digital note information for a metal-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2009229680A (en) Sound generation system
JP6390082B2 (en) Electronic stringed instrument, finger position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9818387B2 (en) Electron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musical sound generation instru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259429B2 (en) Electric stringed instruments
JP2017116680A (en) Support device for training or recording of string musical instrument
US109099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tive crosstalk detection in an electronic percussion instrument
EP2876637B1 (en) Anchoring system for a string in a musical instrument
JP5238987B2 (en) Music electronics
JP4239860B2 (en) Bowed instrument piece and bowed instrument
KR20120091572A (en) Complementary apparatus for playing the string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