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269B1 - 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269B1
KR101877269B1 KR1020140194373A KR20140194373A KR101877269B1 KR 101877269 B1 KR101877269 B1 KR 101877269B1 KR 1020140194373 A KR1020140194373 A KR 1020140194373A KR 20140194373 A KR20140194373 A KR 20140194373A KR 101877269 B1 KR101877269 B1 KR 101877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nd
gain
digital filter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81127A (en
Inventor
김형호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40194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269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1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21/00Adaptive networks
    • H03H21/0012Digital adaptive filters
    • H03H21/002Filters with a particular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48Filter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frequency response or filtering metho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입력된 이동통신신호를 사전 설정된 통과 대역에 따라 필터링하고, 상기 통과 대역 내의 복수의 구분대역 별로 설정되는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구분대역 별로 이득이 조절된 이동통신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 및 상기 구분대역의 신호 별로 목표하는 목표 이득에 상응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에 적용될 상기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A digital filter for filtering an input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ssband and applying a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set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nd bands within the pass band to output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gain adjusted for each of the band bands;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to be applied to the digital filter in accordance with a target gain targeted for each signal of the division band.

Description

이동통신신호의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n control devi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신호의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이동통신서비스 신호, 동일 이동통신서비스 내의 복수의 부대역(Sub-band) 신호, 복수의 FA(Frequency Allocation) 신호, 특정 대역 내의 서로 다른 사업자 신호 등에 의한 혼합 신호가 존재할 때, 그 혼합 신호에 대하여 이동통신서비스 별로, 부대역 별로, FA 별로, 또는 사업자 별로 다른 이득 제어를 해야 할 경우가 많다.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ixed signal composed of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ignals, a plurality of sub-band signals in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plurality of FA (Frequency Allocation) signals, In many cases, the gain control of the mixed signal is often required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each subband, for each FA, or for each provider.

상술한 케이스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경우, 그 혼합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신호 분리한 후, 각각 분리된 신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이득 제어를 하고,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이득 제어된 신호를 다시 합하여야 하므로, 시스템 복잡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ase, in the case of the related art, since the mixed signals are subjected to signal separation for each frequency band, and the gain control is separately performed for the separated signals, There is a problem that system complexity increases.

따라서 낮은 시스템 복잡도를 가지면서도 혼합 신호에 대한 대역 별 이득 제어가 가능한 방식이 요구된다.
Therefore, a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the gain of each band for the mixed signal with low system complexity is required.

본 발명은 대역 내의 혼합 신호에 관하여 구분대역 별 신호 분리 및 개별 이득 제어 과정 없이 입력된 혼합 신호에 대한 대역 별 이득 조절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gain of a mixed signal input to a band without signal separation and individual gain control for each band for a mixed signal in a ban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입력된 이동통신신호를 사전 설정된 통과 대역에 따라 필터링하고, 상기 통과 대역 내의 복수의 구분대역 별로 설정되는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구분대역 별로 이득이 조절된 이동통신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 및 상기 구분대역의 신호 별로 목표하는 목표 이득에 상응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에 적용될 상기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unit for filtering an input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ssband, applying a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set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nd segments in the passband, A digital filter for outputt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to be applied to the digital filter in accordance with a target gain targeted for each signal of the division band.

일 실시예예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대역의 신호 별로 목표하는 각각의 목표 이득 간의 비율에 상응하여 상기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a ratio between target gains for each signal of the segment band.

일 실시예예서, 상기 복수의 구분대역은, 동일 이동통신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대역 내의 복수의 부대역(Sub-band), 복수의 FA(Frequency Allocation) 대역, 서로 다른 복수의 사업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상기 디지털 필터의 통과 대역 내에 수용 가능한 복수의 이동통신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division bands includes a plurality of sub-bands, a plurality of frequency allocation (FA) bands in a service band according to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frequency band allocat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carriers And a service band according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ccommodated in a passband of the digital filter.

일 실시예예서,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필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디지털 필터의 포화 방지를 위해 상기 디지털 필터로 입력되는 이동통신신호의 신호 레벨을 감쇄하는 신호 감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or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attenuator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digital filter with respect to a signal transmission path for attenuating a signal level of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input to the digital filter in order to prevent saturation of the digital filter, have.

일 실시예예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필터로 입력될 이동통신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디지털 필터가 포화될 사전 설정된 임계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신호 감쇄부에 의한 감쇄 동작 활성화 및 상기 신호 감쇄부에 의한 감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o be input to the digital fil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level at which the digital filter is to be saturated, the control unit activates the attenuation operation by the signal attenuator, Lt; / RTI > and / or < / RTI >

일 실시예예서,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필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디지털 필터로부터 출력된 이동통신신호에 동일 이득값을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로부터 출력된 이동통신신호가 상기 구분대역 별로 상기 목표 이득에 도달하도록 하는 이득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by applying the same gain value to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And a gai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target gain to reach the target gain.

일 실시예예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필터로부터 출력된 이동통신신호가 상기 구분대역 별로 상기 목표 이득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단일의 제어 이득값을 생성하여 상기 이득 조절부로 전달하고,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single control gain value for ca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to reach the target gain for each of the band segments, and transmits the single control gain value to the gain adjuster,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제어 이득값에 근거하여 이득값을 가변시킬 수 있다.
The gain adjuster may vary the gain value based on the control gain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역 내의 혼합 신호에 관하여 구분대역 별 신호 분리 및 개별 이득 제어 과정 없이 입력된 혼합 신호에 대한 대역 별 이득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시스템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ain for each band for the mixed signal inputted without dividing the signal into individual bands and controlling the individual gains with respect to the mixed signals in the bands, thereby reducing system complexity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의 일 형태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Topology)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방식과 대비되는 연관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에 관한 일 실시 형태의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pology of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unit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ssociated technique as compared with a band-specific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gain adjustment method for each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and-specific gain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응용례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특정 노드 유닛(헤드엔드 유닛, 허브 유닛, 리모트 유닛 등)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이외에도 기지국 분산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 내의 특정 노드 유닛(일 예로, 기지국 분산 시스템에서의 헤드엔드 및 RRH(Remote Radio Head) 등)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는 디지털 RF 중계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Hereinafter, a specific node unit (head end unit, hub unit, remote unit, etc.) in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will be described as an application to which the band gain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node-specific distributed units such as a base station distributed system, etc. in addition to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in a specific node unit (e.g., a head end and a remote radio head (RRH) Applicab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band-specific gain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digital RF repeat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신호 분산 전송 시스템의 일 형태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Topology)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opology of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as one embodiment of a signal distribution transmiss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헤드엔드 노드(Headend Node)를 구성하는 BIU(Base station Interface Unit)(10)와 MU(Main Unit)(20), 확장 노드(Extention Node)인 HUB(Hub Unit)(30), 원격의 각 서비스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RU(Remote Unit)(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아날로그 DAS 또는 디지털 DAS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의 혼합형(즉, 일부 노드는 아날로그 처리, 나머지 노드는 디지털 처리를 수행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1,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DAS) includes a base station interface unit (BIU) 10, a main unit (MU) 20, (Hub Unit) 30, which is an extension node, and a plurality of RUs (Remote Unit) 40, which are arranged at remote service locations. Such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may be implemented as an analog DAS or a digital DAS, and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as a mixed type (i.e., some nodes perform analog processing and the remaining nodes perform digital processing).

다만, 도 1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토폴로지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설치 영역 및 적용 분야(예를 들어, 인빌딩(In-Building), 지하철(Subway), 병원(Hospital), 경기장(Stadium) 등)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토폴로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 BIU(10), MU(20), HUB(30), RU(40)의 개수 및 상호 간의 상/하위 단의 연결 관계도 도 1과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에서 HUB(20)는 설치 필요한 RU(40)의 개수에 비해 MU(20)로부터 스타(STAR) 구조로 브랜치(Brach)될 브랜치 수가 제한적인 경우 활용된다. 따라서, 단일의 MU(20)만으로도 설치 필요한 RU(40)의 개수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경우 또는 복수의 MU(20)가 설치되는 경우 등에는 HUB(20)는 생략될 수도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topology of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may be used in an installation area and an application field (for example, an in-building, a subway, a hospital, Stadiums, etc.), various topology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is case, the number of BIU 10, MU 20, HUB 30, RU 40,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IU 10, the HUB 30, and the RU 40 may differ from those of FIG. Also, in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the HUB 20 is utilized when the number of branches to be branched from the MU 20 to the STAR structure is limited, compared to the number of RUs 40 required for installation. Therefore, the HUB 20 may be omitted when the number of the RUs 40 required to be installed can be sufficiently satisfied even with a single MU 20, or when a plurality of MUs 20 are installed.

이하, 도 1의 토폴로지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각 노드 및 그 기능에 대하여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topology of FIG. 1, each node in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applic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turn.

BIU(Base station Interface Unit)(10)는 기지국 등의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와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MU(20)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BTS가 단일의 BIU(10)와 연결되는 케이스를 도시하였지만, BIU(10)는 각 사업자 별, 각 주파수 대역 별, 각 섹터 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A Base Station Interface Unit (BIU) 10 serves as an interface between a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BTS) such as a base station and an MU 20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 FIG. 1, a plurality of BTSs are connected to a single BIU 10, but the BIU 10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service provider, for each frequency band, and for each sector.

일반적으로 BTS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는 고전력(High Power)의 신호이므로, 일반적으로 BIU(10)는 이와 같은 고전력의 RF 신호를 MU(20)에서 처리하기에 적당한 전력의 신호로 변환시켜 이를 MU(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BIU(10)는, 구현 방식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파수 대역 별(또는 각 사업자 별, 섹터 별) 이동통신서비스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콤바인(combine)한 후 MU(20)로 전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Generally, since the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TS is a high power signal, the BIU 10 generally transmits a RF signal of a high power level to the MU 20 And transfers it to the MU 20. 1, the BIU 10 receives a signal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for each frequency band (or for each service provider, sector) as shown in FIG. 1, combines the signals, ), As shown in FIG.

만일 BIU(10)가 BTS의 고전력 신호를 저전력으로 낮춘 후, 각 이동통신서비스 신호를 콤바인하여 MU(20)로 전달하는 경우, MU(20)는 콤바인되어 전달된 이동통신서비스 신호(이하, 이를 중계 신호라 명명함)를 브랜치 별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분산 안테나 시스템이 디지털 DAS로 구현되는 경우, BIU(10)는 BTS의 고전력 RF 신호를 저전력 RF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닛과, 저전력 RF 신호에 대해 IF 신호(Intermediate Frequency signal)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 처리를 하여 이를 콤바인하는 유닛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위와 달리, 만일 BIU(10)가 BTS의 고전력 신호를 저전력으로 낮추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 MU(20)는 전달된 각 중계 신호를 콤바인하고 이를 브랜치 별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f the BIU 10 lowers the high power signal of the BTS to a low power and then combines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MU 20, the MU 20 combines the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ignals Relay signal ") for each branch. In this case, when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is implemented as a digital DAS, the BIU 10 includes a uni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verting a high-power RF signal of the BTS into a low-power RF signal, and a unit that performs an IF (Intermediate Frequency) And converted into a unit for performing a digital signal process and combines them. Alternatively, if the BIU 10 only performs a function of lowering the high power signal of the BTS to low power, the MU 20 may combine the transmitted relay signals and distribute the relay signals for each branch.

상술한 바와 같이, MU(20)로부터 분배된 콤바인된 중계 신호는 브랜치 별(도 1의 Branch #1, … Branch #k, … Branch #N 참조)로 HUB(20)를 통해서 또는 RU(40)로 직접 전달되며, 각 RU(40)는 전달받은 콤바인된 중계 신호를 주파수 대역 별로 분리하고 신호 처리(아날로그 DAS의 경우에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디지털 DAS의 경우에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각 RU(40)에서는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서 자신의 서비스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 단말로 중계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RU(40)의 구체적 기능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 도 2를 통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mbined relay signal distributed from the MU 20 is transmitted to the RU 40 via the HUB 20 with respect to each branch (see Branch # 1, ... Branch #k, ... Branch #N in FIG. 1) And each RU 40 separates the combined combined relay signals by frequency bands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analog signal processing in the case of analog DAS and digital signal processing in the case of digital DAS). Accordingly, each RU 40 transmits a relay signal to a user terminal in its service coverage through a service antenna. The specific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RU 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의 경우, BTS와 BIU(10) 간 그리고 BIU(10)와 MU(20) 간에는 RF 케이블로 연결되고, MU(20)로부터 그 하위단까지는 모두 광 케이블로 연결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각 노드 간의 신호 전송 매체(signal transport medium)도 이와 다른 다양한변형이 가능하다. 일 예로, BIU(10)와 MU(20) 간은 RF 케이블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지만, 광 케이블 또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MU(20)와 HUB(30) 그리고 MU(20)와 직접 연결되는 RU(40) 간에는 광 케이블로 연결되고, 케스케이드(Cascade) 연결된 RU(40) 상호 간에는 RF 케이블, 트위스트 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른 예로, MU(20)와 직접 연결되는 RU(40)도 RF 케이블, 트위스트 케이블, UTP 케이블 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1, a case where an RF cable is connected between the BTS and the BIU 10 and a case where the BIU 10 and the MU 20 are connected by the RF cable, and all the connections from the MU 20 to the lower end are connected by the optical cable, The signal transport medium between each node can also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BIU 10 and the MU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n RF cable, but may be connected through an optical cable or a digital interface. As another example, an optical cable is connected between the MU 20 and the HUB 30 and an RU 40 directly connected to the MU 20, and an RF cable, a twisted cable, a UTP Cable, or the like. As another example, in another example, the RU 40 directly connected to the MU 20 may also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y are connected via an RF cable, a twisted cable, a UTP cable, or the like.

다만,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MU(20), HUB(30), RU(40)는 전광변환/광전변환을 위한 광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단일의 광 케이블로 노드 간 연결되는 경우에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도 2에서의 RU(40)의 기능 설명을 통해서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MU 20, the HUB 30, and the RU 40 may include optical transceiver modules for all-optical conversion / photoelectric conversion, and when interconnecting nodes with a single optical cabl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WDM) devices. This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unctional description of the RU 40 in FIG. 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관리 장치(도 1의 NMS(Network Management Server 또는 System)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NMS를 통해서 원격에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각 노드의 상태 및 문제를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각 노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management apparatus (NMS (Network Management Server or System) in FIG. 1 via the network.) Accordingly, the manager can remotely monitor the status and problem of each node of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through the NMS And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node remotely.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에 관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remote unit in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여기서, 도 2의 블록도는 노드 간 연결이 광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는 디지털 DAS 내의 RU(40)에 관한 일 구현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의 블록도는 순방향 패스를 통해서 서비스 신호를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로 제공하고, 역방향 패스를 통해서 서비스 영역 내의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과 관련된 구성부만을 도시한 것이다.Here, the block diagram of FIG. 2 illustrates one implementation of an RU 40 within a digital DAS in which the inter-node connection is via an optical cable. The block diagram of FIG. 2 shows only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function of providing the service signal to the terminal in the service area through the forward path and processing the terminal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the service area through the reverse path.

또한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노드 유닛은 후술할 리모트 유닛 이외에도 헤드엔드, HUB, 기지국 분산 케이스에서의 RRH 등 다양할 수 있음은 앞서도 설명한 바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분산 안테나 시스템 내의 리모트 유닛을 가정하여 설명한다.Herein, the node unit to which the band gai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may be various other than the remote unit to be described later, such as the RRH in the headend, the HUB, and the distributed case of the base station. Hereinafter, a remote unit in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will be assumed for convenience and concentration of explanation.

도 2를 참조하면, RU(40)는, 다운링크 신호 전달 경로(즉, 순방향 패스(Forward path))를 기준으로 할 때, 광/전 변환기(Optical to Electrical Converter)(50), SERDES(Serializer/Deserializer)(44), 디프레이머(Deframer)(52),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7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54), 업 컨버터(Up Converter)(56), PAU(Power Amplification Unit)(5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U 40 includes an optical to electrical converter 50, a serializer (SERDES) 50, and a serial-to-serial converter A deserializer 44, a deframer 52,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70, a digital / analog converter (DAC) 54, an up converter 56, (Amplification Unit) 58.

이에 따라, 순방향 패스에서, 광 케이블을 통해 디지털 전송된 광 중계 신호는 광/전 변환기(50)에 의해 전기 신호(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직렬 디지털 신호는 SERDES(44)에 의해 병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병렬 디지털 신호는 디프레이머(52)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서 주파수 대역 별 처리가 가능하도록 리포맷팅(Reformatting)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중계 신호에 관한 주파수 대역 별 디지털 신호 처리, 디지털 필터링, 게인 컨트롤, 디지털 멀티플렉싱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거친 디지털 신호는,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Digital part)(84)의 최종단을 구성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54)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아날로그 신호는 IF 신호인 바, 업 컨버터(56)를 통해서 본래의 RF 대역의 아날로그 신호로 주파수 상향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본래의 RF 대역으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즉, RF 신호)는 PAU(58)를 거쳐 중폭되어 서비스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송출된다.Thus, in the forward path, the optical relaying signal digitally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cable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serial digital signal) by the optical / electrical converter 50, and the serial digital signal is converted by the SERDES 44 into parallel digital And the parallel digital signal is reformatted by the de-framer 52 so that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0 can process the frequency b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0 performs functions such as digital signal processing, digital filtering, gain control, and digital multiplexing for each frequency band with respect to the relay signal. The digital signal passed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0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via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54 constituting the final stage of the digital part 84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At this time, the analog signal is an IF signal, and is up-converted to an analog signal of the original RF band through the up-converter 56. In this way, the analog signal converted into the original RF band (i.e., the RF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PAU 58 and transmitted through the service antenna (not shown).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즉, 역방향 패스(Reverse path))를 기준으로 할 때, RU(40)는, LNA(Low Noise Amplifier)(68), 다운 컨버터(66),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64),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70), 프레이머(Framer)(62), SERDES(44), 전/광 변환기(Electrical to Optical Converter)(60)를 포함한다.The RU 40 includes a Low Noise Amplifier (LNA) 68, a down converter 66,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68,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70, a framer 62, a SERDES 44, and an electrical to optical converter 6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이에 따라, 역방향 패스에서, 서비스 커버리지 내의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서비스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즉, 단말 신호)는 LNA(68)에 의해 저잡음 증폭되고, 이는 다운 컨버터(66)에 의해 IF 신호로 주파수 하향 변환되며, 변환된 IF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6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로 전달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거친 디지털 신호는 프레이머(62)를 통해서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포맷팅(Formatting)되고, 이는 SERDES(44)에 의해 직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며, 전/광 변환기(60)에 의해 광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광 케이블을 통해서 상위단으로 전송된다.Thus, in the reverse path, the RF signal (i.e., the terminal signal) received via the service antenna (not shown) from the user terminal (not shown) in the service coverage is low noise amplified by the LNA 68, 66, and the converted IF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64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0. [ The digital signal passed through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70 is formatted into a format suitable for digital transmission through the framer 62 and converted into a serial digital signal by the SERDES 44, And is transmitted to the upper end through the optical cable.

또한 도 2에서는 명확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1의 예시에서와 같이 RU(40)가 상호 간 케스케이드(Cascade) 연결된 상태에서, 상위단으로부터 전달된 중계 신호를 케스케이드 연결된 하위단의 인접 RU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단으로부터 디지털 전송된 광 중계 신호를 케이스케이드 연결된 하위단의 인접 RU로 전달할 때에는, 상위단으로부터 디지털 전송된 광 중계 신호는 광/전 변환기(50) -> SERDES(44) -> 디프레이머(52) -> 프레이머(62) -> SERDES(44) -> 전/광 변환기(60) 순서를 거쳐 인접 RU로 전달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도 4를 통해서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FIG. 2, when the RUs 40 are cascade-connected to each other as in the example of FIG. 1, when a relay signal transmitted from an upper end is transmitted to a neighboring RU of a cascaded lower end The following method can be used. For example, when an optical relay signal digitally transmitted from an upper stage is transmitted to a neighboring RU of a lower stage cascaded, the optical relay signal digitally transmitted from the upper stage is transmitted to the optical / electrical converter 50 -> SERDES 44 - The descrambler 52, the framer 62, the SERDES 44, and the photodetector 60 in that order. This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FIG. 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도 2에서, SERDES(44), 디프레이머(52), 프레이머(62),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신호 전달 경로에 SERDES(44)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70)가 공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경로 별로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광/전 변환기(50)와 전/광 변환기(60)가 별도 구비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일의 광 트랜시버 모듈(예를 들어, 단일 SFP(Small Form factor Pluggable)(도 2의 도면부호 82번 참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2, the SERDES 44, the de-framer 52, the framer 62,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70 may be implemented by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lso, although the SERDES 44 and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70 are shown as shared in the downlink and uplink signal propagation paths in FIG. 2, they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path. 2, a separate optical transceiver module (e.g., a single SFP (Small Form Factor Pluggable) (also referred to as a " SFP " 2, reference numeral 82)).

이상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일 응용례로서,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일 형태의 토폴로지 내의 각 노드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1 and 2, each node unit in the topology of one type of the distributed antenna system has been described as an application example to which the band gain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5, a band-specific gain adjus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방식과 대비되는 연관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ssociated technique in contrast to a band-specific gain control sche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방식은, 대역 별 혼합 신호(도 3의 (a) 참조)가 입력되었을 때, 그 혼합 신호를 대역 별 신호로 분리한 후(도 3의 (b-1) 및 (c-1) 참조), 각각 개별적인 이득을 적용하고(도 3의 (b-2) 및 (c-2) 참조), 이와 같이 개별 이득 조절된 대역 별 신호를 다시 합하는 방식(도 3의 (d) 참조)에 의한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각 대역 별로 필터(도 3의 Filter 1 및 Filter 2 참조) 및 이득 조절기(도 3의 Gain 1 및 Gain 2 참조)를 구비하여야 하고, 신호 합산기(도 3의 SUM 참조)도 추가 구비되어야 한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band-specific mixed signal (see FIG. 3 (a)) is input, the band-dependent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ivides the mixed signal into band- (b-2) and (c-2) in FIG. 3), and the individual gain-adjusted band-by-band signals are re-summed (See Fig. 3 (d)). Therefore, a filter (see Filter 1 and Filter 2 in FIG. 3) and a gain adjuster (see Gain 1 and Gain 2 in FIG. 3) must be provided for each band, and a signal adder .

위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신호 분리 과정, 대역 별 신호의 개별 이득 조절 과정, 이득 조절된 대역 별 신호의 합산 과정을 거치지 않고 대역 별 이득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스템 복잡도를 낮추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 4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Unlike the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sepa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individual gain adjustment process of each band, and the gain adjustment of each band without performing the process of summing the gain-controlled band- .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gain for each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gain adjustment method for each b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혼합 신호(도 4의 A 대역의 신호 및 B 대역의 신호 참조)에 대한 대역 별 이득 제어는, 앞서 설명한 신호 분리, 개별 이득 제어, 신호 합산을 수행하지 않고, 디지털 필터에서의 대역 별 필터 계수의 조정에 의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예서는 혼합 신호에 포함된 대역 별 신호에 대하여 다른 이득값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대역 별 필터 계수를 디지털 필터에 적용함으로써, 신호 분리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대역 별 신호에 대한 개별적인 이득 제어를 수행하고 있다. 이하, 도 4의 대역 별 이득 제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nd-by-band gain control of the mixed signal (see the A-band signal and the B-band signal in FIG. 4) is performed by the signal separation, individual gain control, This is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s in the digital filter without performing signal summation.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for applying a different gain value to a band-by-band signal included in a mixed signal to a digital filter, Respectively. Hereinafter, a concret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the band-specific gain control scheme of FIG.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명세서에서, 혼합 신호에 포함되는 각 구분대역 신호는, 동일 이동통신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대역 내의 복수의 부대역(Sub-band), 복수의 FA(Frequency Allocation) 대역, 서로 다른 복수의 사업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상기 디지털 필터의 통과 대역 내에 수용 가능한 서로 다른 이동통신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및 집중을 위해, 혼합 신호에 동일 이동통신서비스 대역 내의 서로 다른 복수의 사업자 신호가 포함되는 경우를 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In this specification, each division band signal included in the mixed signal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ub-bands, a plurality of FA (Frequency Allocation) bands in a service band according to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service band according to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ccommodated in a passband of the digital filt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and concentration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mixed signals include a plurality of different business signals in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an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에 관한 일 실시 형태의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band-specific gai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는, 디지털 필터(11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또한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는, 설계 방식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디지털 필터(110) 전단에 신호 감쇄부(120)와, 디지털 필터(110) 후단에 이득 조절부(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 구성부들은 실시예에 따라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특정 노드 내의 디지털 파트 내에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and-specific gai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filter 110 and a controller 140. The band-specific gain control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ignal attenuator 120 at the front end of the digital filter 110 and a gain control unit 130 at the rear end of the digital filter 110, . The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embodied in a digital part within a particular nod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1 and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디지털 필터(110)는 입력된 이동통신신호를 사전 설정된 통과 대역에 따라 필터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디지털 필터(110)는 상기 통과 대역 내의 복수의 구분대역 별로 설정되는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적용하여, 그 구분대역 별로 이득이 조절된 이동통신신호를 출력한다. 즉, 디지털 필터(110)는 입력된 혼합 대역의 이동통신신호에 대역 별로 셋팅된 필터 계수를 적용하여, 입력된 혼합 대역의 이동통신신호가 필터링 완료되었을 때 각 구분대역 별로 이득 제어 처리된 상태로 출력되도록 한다. 이는 도 4의 도면 도시 내용 및 그 설명을 통해서도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digital filter 110 filters the input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ssband.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filter 110 applies a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set for each of a plurality of band bands in the pass band, and outputs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whose gain is adjusted for each band band . That is, the digital filter 110 applies a filter coefficient set for each b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input mixed band,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input mixed band is filtered, Output. This can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of FIG.

위와 같이 혼합 대역의 이동통신신호가 디지털 필터(110)를 거쳐 출력될 때 각 구분대역 별로 이득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제어부(140)는 그 혼합 신호에 포함된 각 구분대역의 신호에 맞춰 적용될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생성하고(도 5의 필터 계수 생성부(146) 참조), 이러한 대역 별 필터 계수가 디지털 필터(110)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mixed band is outputted through the digital filter 110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40 applies the signals according to the signals of the divided bands included in the mixed signal, (See filter coefficient generation unit 146 in FIG. 5), and controls such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s to be applied to the digital filter 110. FIG.

물론, 경우에 따라서, 디지털 필터(110)로 입력되는 혼합 신호의 각 구분대역 및 그 때의 각 구분대역 별 이득이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라면, 상술한 제어부(140)를 통한 제어 과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상기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최초 셋팅한 상태에서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외의 경우(즉, 입력되는 혼합 신호의 구분대역이 유동적이거나 또는 구분대역 별 이득이 유동적으로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해당 구분대역의 신호에 맞게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적응적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상술한 제어부(140)에 의한 대역 별 필터 계수의 생성 과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Of course, if it is the case that the division band of the mixed signal input to the digital filter 110 and the gain of each division band at that time are fixed, the control process through the controller 140 may be omitted have.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at the initial setting. However, in other cases (that is, when the input band of the mixed signal is flexible or the gain of each band is to be changed flexibly), it is necessary to adaptively change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and ,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filter coefficient for each band by the control unit 140 described above.

이러한 대역 별 필터 계수의 적응적 생성을 위해서, 제어부(140)는 혼합 신호에 포함될 구분대역 별 신호 각각이 목표하는 목표 이득을 참조할 수 있다. 일 예로, 혼합 신호에 서로 다른 두 사업자의 신호가 포함되고 각 사업자 신호 별로 목표 이득이 상이하게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140)는 그 사업자 신호 별로 목표하는 목표 이득에 상응하여 구분대역(즉, 사업자 신호의 각 서비스 대역) 별로 필터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각 사업자 신호의 목표 이득 간의 비율에 상응하여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이후 설명의 수치 예시를 통해서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adaptively generate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s, the controller 140 may refer to a target gain target of each of the band-by-band signals included in the mixed signal. For example, when the mixed signal includes signals of two different providers and the target gains are set differently for each provider signal, the control unit 140 may divide the divided band (i.e., , Each service band of the operator signal).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can generat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s corresponding to the ratio between the target gains of the individual carrier signals. Thi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numerical exampl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신호 감쇄부(120)는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필터(110)의 전단에 배치되어, 디지털 필터(110)로 입력될 이동통신신호의 신호 레벨을 사전에 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 감쇄부(120)는 디지털 필터(110)로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 디지털 필터(110)에 의한 정상적인 필터링 및 대역 별 이득 제어가 가능한 정상 허용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에 디지털 필터(110)의 포화를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필터(110)로 입력되는 신호 레벨이 허용 레벨 이내인 경우 또는 디지털 파트로 신호 입력되기 이전에 상기 허용 레벨 이내로 감쇄하는 상용의 다른 구성부가 존재하는 경우, 신호 감쇄부(120)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The signal attenuation unit 120 may be disposed before the digital filter 110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to attenuate the signal lev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o be input to the digital filter 110 in advanc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attenuator 120 outputs a digital signal to the digital filter 110 when the signal level input to the digital filter 110 exceeds a normal allowable level for normal filtering by the digital filter 110 and band- And may be optionally provided to prevent saturation of the filter 110. Therefore, when the signal level input to the digital filter 110 is within the tolerance level or there are other commercially available components that attenuate within the tolerance level before the signal is input into the digital part, the signal attenuator 120 is omitted It can be done.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신호 감쇄부(120)에 의한 감쇄 동작 또는/및 신호 감쇄 레벨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감쇄부(120)를 구비하되, 제어부(140)는 입력 신호 레벨에 관한 모니터링 정보(이는 도 5에서 입력 레벨 확인부(142)로 수집될 수 있음)에 근거하여 신호 감쇄부(120)에 의한 감쇄 동작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40)는 입력 신호 레벨이 상술한 허용 레벨(즉, 특정 임계 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신호 감쇄부(120)가 그 초과치 만큼 또는 그 이상의 감쇄 레벨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신호 감쇄부(120)는 가변 감쇄기로 구현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ttenuation operation and / or the signal attenuation level by the signal attenuation unit 12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4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signal attenuator 120, and the control unit 140 may include a signal attenuator (not shown) based on the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the input signal level (which may be collected by the input level verifier 142 in FIG. 5) 120 can be controlled to be activated or deactivated.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signal attenuator 120 to operate at an attenuation level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when the input signal level exceeds the tolerance level (i.e., the specific threshold level) have. In this case, the signal attenuator 120 may be implemented as a variable attenuator.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지털 필터(110)의 후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조절부(130)가 추가 구비될 수 있다. 이득 조절부(130)는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필터(110)의 후단에 배치되어, 디지털 필터(110)로부터 출력된 혼합 대역의 이동통신신호가 그 구분대역 별로 앞서 설명한 각각의 목표 이득에 도달하도록 이득을 부여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gain adjusting unit 13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igital filter 110, as shown in FIG. The gain control unit 130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digital filter 110 on the basis of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s of the mixed band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110 are divided into the target gains Can be achieved.

이에 대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필터(110)로 입력되는 혼합 대역의 신호는 도 4에서와 유사하게 제1 사업자의 A 대역의 신호와 제2 사업자의 B 대역의 신호이고, 입력된 각 사업자 신호의 신호 레벨은 모두 동일 레벨인 N dB라고 가정한다. 또한 이때, 제1 사업자의 A 대역의 신호의 최종 목표 레벨이 3N dB이고, 제2 사업자의 B 대역의 신호의 최종 목표 레벨이 2N dB라고 가정한다. 위와 같은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디지털 필터(110)에 의한 필터링이 완료되었을 때, A 대역 신호의 레벨은 N dB를 유지하고, B 대역 신호의 레벨은 N*(2/3) dB가 되도록, 각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위 예시에 의할 때, 디지털 필터(110)를 통과한 각 대역 별 신호는 원래 목표하는 목표 레벨에 못 미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이득 조절부(130)에 의해서 3배의 이득을 부여함으로써, 각 대역 별 신호가 최종적으로 목표 레벨인 3N dB 및 2N dB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The signal of the mixed band inputted to the digital filter 110 is a signal of the A band of the first carrier and a signal of the B band of the second carrier similarly to FIG. 4, Lt; / RTI > dB. It is also assumed that the final target level of the signal of the A band of the first carrier is 3N dB and the final target level of the signal of the B band of the second carrier is 2N dB. In the above case, when the filtering by the digital filter 110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40 maintains the level of the A-band signal at N dB and the level of the B-band signal at N * (2/3) dB , The filter coefficient for each band can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the signal for each band passing through the digital filter 110 is lower than the original target level. Therefore, in this case, the gain adjustment unit 130 can give a gain of three times, so that the signal for each band can finally reach the target levels 3N dB and 2N dB.

다만, 상술한 이득 조절부(130)는 구현 방식에 따라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디지털 파트 이후 단에 PA(Power Amplification) 등의 별도의 이득 조절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가 그 예이다. 이와 달리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필터(110) 후단에 별도의 이득 조절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득 조절부(130)는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gain control unit 130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For example, there is a case where a separate gain control means such as PA (Power Amplification) is present at the stage after the digital part based on the signal transmission path. In contrast, in the digital transmission system, if there is no separate gain control means behind the digital filter 110, the gain control unit 130 may be required.

이때, 이득 조절부(130)에 의해 적용될 이득 값은 고정된 단일 값으로 셋팅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디지털 필터(110)로 입력된 혼합 대역의 이동통신신호의 각 구분대역 별 신호 레벨, 디지털 필터(110)에 의한 대역 별 이득 제어 정보, 디지털 필터(110)로부터 출력된 각 구분대역 별 신호 레벨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각 대역 별 목표 이득 간을 비교하여 이득 조절부(130)에 적용될 단일의 이득 값을 산출하고(도 5의 제어 이득 산출부(144) 참조), 산출된 이득 값이 이득 조절부(130)에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ain value to be applied by the gain adjusting unit 130 may be set to a fixed single value, but may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4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signal level of each ban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mixed band inputted to the digital filter 110, the gain control information of each band by the digital filter 110, The control gain calculator 144 calculates a single gain value to be applied to the gain controller 130 by comparing at least one of the output signal levels of each band and the target gains of the respective bands, , And the calculated gain value may be applied to the gain adjustment unit 130. [

상술한 바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역 내의 혼합 신호에 관하여 구분대역 별 신호 분리 및 개별 이득 제어 과정 없이 입력된 혼합 신호에 대한 대역 별 이득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서 시스템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gain of each mixed band signal inputted without dividing the signal into individual bands and controlling the individual gains with respect to the mixed signals in the bands. There is an effec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 디지털 필터
140 : 제어부
142 : 입력 레벨 확인부
144 : 제어 이득 산출부
146 : 필터 계수 생성부
110: Digital filter
140:
142: input level checking unit
144: Control gain calculating section
146: Filter coefficient generating unit

Claims (7)

입력된 이동통신신호를 사전 설정된 통과 대역에 따라 필터링하고, 상기 통과 대역 내의 복수의 구분대역 별로 설정되는 필터 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구분대역 별로 이득이 조절된 이동통신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필터-단, 상기 필터 계수는 상기 구분대역 별 신호에 대하여 다른 이득값의 적용이 가능한 필터 계수임;
상기 구분대역의 신호 별로 목표하는 목표 이득에 상응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에 적용될 상기 필터 계수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필터의 후단에 배치되며, 상기 디지털 필터로부터 출력된 이동통신신호에 동일 이득값을 적용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로부터 출력된 이동통신신호가 상기 구분대역 별로 상기 목표 이득에 도달하도록 하는 이득 조절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분대역의 신호 별로 목표하는 각각의 목표 이득 간의 비율에 상응하여 상기 대역 별 필터 계수를 생성하고,상기 디지털 필터로부터 출력된 이동통신신호가 상기 구분대역 별로 상기 목표 이득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단일의 제어 이득값을 생성하여 상기 이득 조절부로 전달하고,
상기 이득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제어 이득값에 근거하여 이득값을 가변시키며,
상기 복수의 구분대역은, 동일 이동통신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대역 내의 복수의 부대역(Sub-band), 복수의 FA(Frequency Allocation) 대역, 서로 다른 복수의 사업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 상기 디지털 필터의 통과 대역 내에 수용 가능한 복수의 이동통신서비스에 따른 서비스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인,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
A digital filter for filtering an input mobile communication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ssband and applying a filter coefficient set for each of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in the passband to output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having a gain adjusted for each of the frequency bands, Wherein the filter coefficient is a filter coefficient capable of applying a different gain value to the signal for each of the division bands;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ilter coefficient to be applied to the digital filter in accordance with a target gain targeted for each signal of the division band; And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is appli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is applied to the target gain A gai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gain of the gain adjusting unit;
, ≪ / RTI &
Wherein 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band-specific filter coefficient corresponding to a ratio between target gains for each of the divided bands, and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filter to reach the target gain for each of the band- And outputs the single control gain value to the gain controller,
The gain control unit may vary the gain value based on the control gain valu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plurality of division bands includes a plurality of sub-bands, a plurality of FA (Frequency Allocation) bands, a frequency band allocat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carriers, And a service band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ccommodated in the pass b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신호 전달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디지털 필터의 전단에 배치되며, 상기 디지털 필터의 포화 방지를 위해 상기 디지털 필터로 입력되는 이동통신신호의 신호 레벨을 감쇄하는 신호 감쇄부를 더 포함하는,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gnal attenuator disposed at a front end of the digital filter with respect to a signal transmission path for attenuating a signal level of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input to the digital filter to prevent saturation of the digital filter,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지털 필터로 입력될 이동통신신호의 신호 레벨이 상기 디지털 필터가 포화될 사전 설정된 임계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신호 감쇄부에 의한 감쇄 동작 활성화 및 상기 신호 감쇄부에 의한 감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대역 별 이득 조절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attenuation operation by the signal attenuator and the attenuation level by the signal attenuator when the signal lev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o be input to the digital filt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level at which the digital filter is saturated, Band gain control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94373A 2014-12-30 2014-12-30 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KR101877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73A KR101877269B1 (en) 2014-12-30 2014-12-30 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73A KR101877269B1 (en) 2014-12-30 2014-12-30 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27A KR20160081127A (en) 2016-07-08
KR101877269B1 true KR101877269B1 (en) 2018-07-11

Family

ID=5650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373A KR101877269B1 (en) 2014-12-30 2014-12-30 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269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062A (en) * 1999-03-23 2000-10-06 Nec Saitama Lt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2001127735A (en) * 1999-09-13 2001-05-11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Inter-fa power level controller of rf receiver of cdma typ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JP2002016461A (en) * 2000-06-30 2002-01-18 Fujitsu Ltd Signal level controller
KR20070100430A (en) * 2003-06-30 2007-10-11 데코링크 와이어리스 엘티디.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rf output level of a repeater
KR20090110669A (en)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Circuit for Compensating Passband Flatnes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assband Flatness
KR20120072262A (en)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gital receiver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201207B1 (en) * 2008-12-02 2012-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in in a receiver using multi-band ofdm system
KR20130081879A (en) * 2012-01-10 2013-07-18 알트론 주식회사 Repeater using digital filter and method for digital filtering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062A (en) * 1999-03-23 2000-10-06 Nec Saitama Ltd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2001127735A (en) * 1999-09-13 2001-05-11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Inter-fa power level controller of rf receiver of cdma typ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ystem
JP2002016461A (en) * 2000-06-30 2002-01-18 Fujitsu Ltd Signal level controller
KR20070100430A (en) * 2003-06-30 2007-10-11 데코링크 와이어리스 엘티디. Method for automatic control of rf output level of a repeater
KR20090110669A (en) * 2008-04-18 2009-10-22 주식회사 에이디알에프코리아 Circuit for Compensating Passband Flatnes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assband Flatness
KR101201207B1 (en) * 2008-12-02 2012-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in in a receiver using multi-band ofdm system
KR20120072262A (en)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igital receiver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30081879A (en) * 2012-01-10 2013-07-18 알트론 주식회사 Repeater using digital filter and method for digital filtering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27A (en)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1664B2 (en) Node unit capable of measuring and compensating transmission delay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144964B1 (en) Digital mapping data transmission method
JP2016519894A (en) Optical power equ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12976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noise suppression for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10716011B2 (en) Downlink digital signal summ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20180198493A1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crest factor reduction module disposed at optimum position
KR20160126610A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remote apparatus thereof
US9584386B2 (en) Node unit capable of measuring delay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877269B1 (en) Device for controlling gain of each band of mobile telecommnication signal
KR102322042B1 (en) A host device preventing distortion of an optical signal due to non-linear noise and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the host device
KR102262534B1 (en) Method for arranging crest factor reduction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2246941B1 (en) Method for arranging crest factor reduction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20160082095A (en) Device for detec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signal and service bandwidth
US10693527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crest factor reduction module disposed at optimum position
KR101836388B1 (en) Digital output overflow processing device
KR102189727B1 (en) Method for arranging crest factor reduction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2189724B1 (en) Method for arranging crest factor reduction device of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1836387B1 (en) Digital transmission overflow processing device
KR102243876B1 (en) Remote unit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KR102189739B1 (en) Node unit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