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288B1 - Balloting utensil for Voting - Google Patents

Balloting utensil for Vo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288B1
KR101876288B1 KR1020160047068A KR20160047068A KR101876288B1 KR 101876288 B1 KR101876288 B1 KR 101876288B1 KR 1020160047068 A KR1020160047068 A KR 1020160047068A KR 20160047068 A KR20160047068 A KR 20160047068A KR 101876288 B1 KR101876288 B1 KR 101876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ballot
present
hole
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9198A (en
Inventor
홍광춘
문영희
Original Assignee
문영희
홍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희, 홍광춘 filed Critical 문영희
Priority to KR102016004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88B1/en
Publication of KR2017011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1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3/00Apparatus for stamping articles having integral 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 B41K3/62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7/00Holders providing direct manual access to the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 G07C13/02Ballot 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표용 기표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표용구는 기표구멍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중간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투표용지의 후보자 이름을 볼 수 있는 투시구와 상기 투시구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기표도장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투표자가 기표소 내에서 투표를 할 경우, 기표부 바깥으로 기표 또는 기표부의 경계선에 기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point pe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lpoint pen has a body formed with a bore hole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and having a space formed in the middle thereof so as to be able to see a candidate name of the ballot paper, A grip portion formed at an end of a corresponding connecting member, and a reference coating which is combined with the main body and can be marked on the ballot pap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beneficial effect in preventing a voter from voting at the border of the ballot or the outside of the ballot when he / she votes within the ballot box.

Description

투표용 기표용구 {Balloting utensil for Voting}{Balloting utensil for Voting}

본 발명은 투표용 기표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표자가 투표 용지에 자신이 기표하고자 하는 기표란에 정확하게 손쉽게 날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하는 투표용 기표용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ting apparatus for vot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lloting apparatus for voting that functions to help a voter to easily and accurately stamp a ballot on his or her ballot.

일반적으로 투표는 중요 의사의 결정 또는 대표자의 선출시 투표권자의 의사를 표기하는 것으로, 주로 투표용지를 이용한 무기명 투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투표용지는 의사 결정의 선택항목 또는 후보자의 인원에 따라 기표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기표부에 선택항목 명을 표기하여 형성된다.In general, voting is done by voting by a voter, usually by ballot, by a decision of the important physician or by the voting power of the elector in the election of the representative. Normally, And marking the name of the selected item in each of the signature portions.

그러나, 투표용지의 기표부에 기표 날인함에 있어서 노약자 또는 약시자의 경우에 기표부 이외의 곳에 기표 날인하거나 기표부를 구획하는 구획선에 날인하는 사례가 발생하며, 구획선 또는 기표부 이외의 곳에 날인된 표는 무효표로 처리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signing the ballot in the ballot area of the ballot, in case of the elderly person or the ambassador, there is a case where the ballot is stamped on a parting line that seals the ballot or divides the ballot area outside the ballot. It will be treated as an invalid table.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자신의 의지하고는 무관하게 제대로 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is ca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ight to vote could not be exercised irrespective of his or her will.

그리고, 날인을 하는 기구인 스탬프로 하여금 투표자가 손쉽게 날인을 하도록 도움을 주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나 투표용 기표용구에 대한 장치의 발명은 지금까지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 technique relating to a device that helps a stamp to be stamped by a voter, and a device for a voting marking device have not been accomplished so far.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0-0017290호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0-0017290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06-0012487호Korea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06-001248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투표자가 기표를 위하여 기표부 내에 본 발명의 투표용 기표용구를 사용할 경우 정확한 기표 날인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날인의 용이함과 더불어 투표자의 정확한 투표권 행사가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rrecting a seal of a vot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기표용구는 기표구멍이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중간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투표용지의 후보자 이름을 볼수 있는 투시구와 상기 투시구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본체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기표도장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llpoint pen, wherein the ballpoint pen has a body formed with a bore hole, and a spac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alloon body and connected to the body, A grasping portion formed at an end of a connecting member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and a base coating combined with the main body so as to mark the ballot paper.

또한, 상기 기표도장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에 위치하며, 스템프 및 날인부가 착설된 헤드부와 상기 지지부재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이동하여 투표용지에 기표할 때 상기 헤드부의 날인부가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eference coating may include a supporting member hinged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nd a head portion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supporting portion being provided with a stamp and a stamping portion, The ball portion of the head portion can be marked on the ballot paper.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스프링이 내장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기표 후 상기 헤드부가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construct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with a built-in spring, so that the head portion is raised to the home position after the check.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가 회동결합되는 본체에는 기표도장이 기표구멍에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body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is pivotally coupled is form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for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 so that the base coating can be vertically positioned in the reference hole.

그리고, 상기 스템프는 상기 기표도장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tamp is detachable from the reference painting.

따라서, 본 발명의 투표용 기표용구를 이용하여 투표자가 원하는 후보자의 투표를 위해 기표할 경우, 기표부 내부에 정확하고 쉽게 기표할 수 있으므로, 기표부 바깥으로의 기표 또는 기표부의 경계선에 기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 것이다. Therefore, when voting for the vote of a candidate desired by a voter using the voting ballpoint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point can be accurately and easily displayed inside the ballpoint box, It has a very useful effect.

또한, 본 발명의 기표용구를 이용한 단순한 동작으로 명백하고 용이한 기표가 가능하므로 고의로 인한 무효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장애인이나 고령의 노약자 등에게도 정확하게 투표를 행사할 수 있게 되어 건전한 투표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make clear and easy signatures by simple operation using the ballpoint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valid votes due to intentionally,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ast ballots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lderly persons, There is also an effect.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표용 기표용구의 사시도.
도 1b는 일반적인 투표 용지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표용 기표용구의 평면도.
도 3은 스템프와 기표도장의 단면도.
도 4는 날인부의 단면도.
도 5a는 날인행위를 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스템프에 버튼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voting ballpoint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diagram of a general ballot.
2 is a plan view of a voting ball-poi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mp and a reference coatin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l portion;
5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ing member is set up to perform a sealing operation;
5B is a view showing that a button is formed on the stamp.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투표용 기표용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point pen.

상기 기표용구는 기표구멍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중간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투표용지의 후보자 이름을 볼수 있는 투시구, 상기 투시구의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본체에 대응되는 연결부재의 끝단에 형성되는 파지부 및 상기 본체와 결합되어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기표도장으로 이루어진다. Wherein the ball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having a bore hole formed therein, a mouthpiec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spac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so as to be able to see a candidate name of the balloon, a connecting member formed parallel to both sides of the mouthpiece, A grip portion formed at an end of the member, and a reference coating which is combined with the main body and allows the ballot to be printed on the ballot pa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it is to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on other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투표용 기표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투표 용지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투표용 기표용구의 평면도이고, 도 3은 기표도장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날인부의 단면도이고, 도 5a는 날인행위를 하기 위해 지지부재를 세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스템프에 버튼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voting ballpoint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view of a general ballpoint sheet, FIG. 2 is a plan view of a voting ballpoint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member is set up to perform a stamping operation, FIG. 5B is a view showing that a button is formed on a stamp,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Fig.

도 1a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투표용 기표용구(100)는 크게, 본체(10)와 기표구멍(70) 및 연결부재(12)와 파지부(13)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1A, the voting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reference hole 70, a connecting member 12, and a grip portion 13 integrally.

상기 본체(1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를 띠고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ain body 10 has a predetermined shape and is generally rectangular in shape.

상기 기표구멍(7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개방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ference hole 7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main body 10.

도 1b,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표구멍(70)은 사용자가 스탬프(90)로 기표부(17)의 사각 테두리 안을 찍을 경우, 상기 스탬프(90)의 유동과 날인 불량을 방지하도록 경사가 형성된 원뿔 형태로 형성된다. 2 and 3, the reference hole 70 is formed so that when the user takes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of the sign portion 17 with the stamp 90, As shown in FIG.

기표구멍(70)이 원뿔 형태인 이유는 통상 투표자가 기표소에서 투표를 할 경우에,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표용지(15)에 자신이 원하는 후보자 성명 하단의 네모 칸 테두리 안에 스템프 등과 같은 도장을 찍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투표소에서 투표를 할 경우 사용하는 기표용 스탬프가 원형이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check hole 70 is in the conical form is that when a voter makes a vote on the ballot box as shown in FIG. 1B, a stamp such as a stamp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ballot 15 at the bottom of the square This is because, in general, when you vote at a polling place, the sign stamp used is a circle.

따라서, 본 발명의 투표용 기표용구(100)를 투표용지(15)의 소정부위(자신이 찍고자 하는 후보)에 맞대고, 원뿔 형태의 기표구멍(70) 내에 스탬프(90)를 삽입하면 원(圓) 형태의 스탬프(90)의 유동이 억제되어 투표용지(15)의 날인을 하는 해당란인 기표부(17)의 사각 테두리 내에 정확한 날인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스탬프(90)가 자신이 찍고자 하는 후보의 해당란을 벗어나서 다른 후보자의 해당란을 침범하는 등과 같은 잘못된 날인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ballpoint pen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a candidate to be photographed) of the ballot paper 15 and the stamp 90 is inserted into the conical ballpoint hole 70, Shaped stamp 90 can be suppressed to be an accurate seal within the rectangular frame of the sign 17 which is the corresponding column for stamping the ballot paper 15. The stamp 90 can be stamped And to prevent the false seal such as invading the corresponding column of another candidate out of the corresponding column of the candidate.

도 1a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표구멍(70)의 일측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후보자의 성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 투시구(80)가 형성된 연결부재(12)가 있다. As shown in FIGS. 1A and 2, a connection member 12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side of the reference hole 70 and formed with a through-hole 80 opened at the center so as to confirm the name of the candidate .

따라서, 상기 투시구(80)의 개방된 부분은 후보자의 성명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open portion of the mouthpiece 80 is designed so as to sufficiently confirm the name of the candidate.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의 끝단부에는 휴대와 이송의 편의를 위한 파지부(13)를 형성시켜 상기 투시구(80)를 마감한다.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2, a gripping portion 13 is formed for convenience of carrying and transporting, and the sealing port 80 is closed.

상기 투시구(80)는 상기 기표구멍(70)의 일측에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밑면은 개방되고, 약간의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The injection port 8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t one side of the reference hole 70, and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slight inclination is formed.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체(10)의 일측에 스템프(70)가 착설되어 있는 상태로 누워져 있는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As shown in FIG. 2, a stamp 70 is lai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is laid down.

도 1a, 도 1b와 도 2에 도시된 대로, 개방되어 있는 투시구(80)를 통하여 투표용지(15)의 후보자 성명(김후보, 이후보, 박후보)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으므로, 투표를 하는 사람이 착오로 엉뚱한 후보자에게 투표함이 없이, 정확하게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voter can clearly distinguish candidates' names (Kim, Joo, and Park) of the ballot paper 15 through the open ball 80 as shown in FIGS. 1A, 1B and 2, It is to allow a person to misjudge the wrong candidate without having to vo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요소인 기표도장(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the reference painting 40,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기표도장(40)의 단면도이다.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ference painting 40. Fig.

상기 기표도장(40)의 구성적 특징은 상기 기표구멍(7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50)와 상기 지지부재(50)의 상단에 위치하며, 스템프(90) 및 날인부(42)가 착설된 헤드부(30)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30)도 스템프(90)가 삽입되도록 중앙 부위에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stituent feature of the reference coating 40 is a supporting member 50 hinged to both sides of the reference hole 70 and a supporting member 50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member 50 and having a stamp 90 and a stamping portion 42 The head portion 30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 hole (not shown)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ad portion 30 so that the stamp 90 is inserted.

상기 지지부재(5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되어, 상하이동하여 투표용지(15)에 기표할 때, 상기 헤드부(30)의 날인부(42)가 상기 투표용지(15)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upport member 50 is constructed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stamped portion 42 of the head portion 30 can be marked on the ballot 15 when the ballot 15 moves up and down. do.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표도장(40)은 상기 헤드부(30)의 양 끝단에 지지부재(50)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 헤드부(30)와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는 날인부(42)와 상기 날인부(42)의 관통공(41)에 착설되는 스템프(90)로 이루어진 것이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ference coating 40 includes support members 50 at both ends of the head portion 30, and a head portion 30 and a portion 42 And a stamp 90 provided on the through-hole 41 of the stamping portion 42. A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상기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날인부(4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대로, 상기 날인부(42)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광하협 형상으로 마치, 사다리꼴 형태를 띠고 있다. Hereinafter, the seal portion 4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al portion 42 has a trapezoidal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the shape of a light shield.

상기 날인부(42)는 관통공(41)이 중앙에 뚫려 있고, 관통공(41)을 통해 스템프(9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헤드부(30)와 결합된 상기 날인부(42)의 끝단 양측은 지지부재(50)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60)에 의하여 지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안에 스프링(90)이 내장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tamp portion 90 is inserted into the stamp portion 42 through the through hole 41. The stamp portion 42 of the stamp portion 42 engaged with the head portion 30 And both ends are supported and formed by a spring 60 provided inside the support member 50.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member 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pring 90 is embedded therein.

상기 내장된 스프링(60)은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기표를 한 후, 상기 헤드부(30)가 원위치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 built-in spring 6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so that the head portion 30 ascends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the user performs a check.

그리고, 상기 날인부(42)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스프링(60)과 고정되도록 하는 요홈(43)이 형성되는데, 상기 날인부(42)는 상기 요홈(43)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기 스프링(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헤드부(30)가 상승하면 덩달아 함께 상승하는 것이다. At both ends of the seal portion 42, a groove 43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spring 60. The seal portion 42 is fixed by the groove 43 so that the spring 60 The head portion 30 is lifted up together with the head portion 30 rising.

즉, 투표자가 날인을 위하여 스템프(90)에 힘을 가하면, 날인부(42)가 작동가이드(50)를 따라 내려가게 되고, 날인 작업이 끝나서 스템프(90)에서 힘을 빼면, 스프링(6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날인부(42)가 지지부재(50)를 따라 올라가게 되어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게 되어 지지하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voter applies a force to the stamp 90 for stamping, the stamped portion 42 descends along the operation guide 50. When the stamp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stamp 90 is released, The portion 42 that has been sealed by the self-elastic force of the retaining member 50 is lifted up along the support member 50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support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스프링(60)과 고정 연결된 날인부(42)의 이동을 위한 안내 레일과도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member 50 also serves as a guide rail for moving the part 42 fixed to the spring 60.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의 내측에는 돌기(71)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71)는 기표구멍(70)의 양 측면과 힌지(hinge) 결합되어 있어 상기 기표도장(40)을 들어올리면 돌기(71)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 결합과 관련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3, a protrusion 71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member 50 so that the protrusion 71 is hinge-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eference hole 70, When the paint 40 is lifted up, it rotates around the projection 71. [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hinge coupling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12)가 회동결합되는 본체(10)에는 기표도장(40)이 기표구멍(70)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정확한 기표행위를 할 수 있도록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걸림턱(72)이 형성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body 10,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12 is pivotally couple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jaw (not shown) which prevents the excessive rotation so that the reference mark 40 is vertically positioned in the reference hole 70, 72 are formed.

이하에서는,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투표용 기표용구(100)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oting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도 5a는 지지부재(50)를 들어올려 기표도장(40)이 회동하여 삽입된 스템프(90)가 기표구멍(70)에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5A is a view showing that the stamper 90 is rotated vertically by lifting up the support member 50 so that the stamp coating 40 is pivoted and inserted.

투표자가 본 발명의 투표용 기표용구(100)를 사용할 경우, 투표장소에서 제공하는 투표용지(15)에 자신이 선택하여 투표를 행사하고자 하는 후보자 명에 투시구(80)의 공간부를 통하여 맞추게 되면, 투표용지(15)의 아래쪽에 있는 찍을 공간인 기표부(17)에 해당하는 공간에 기표구멍(70)이 맞춰지게 된다. When the voter uses the voting sto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t is provided on the ballot 15 provided at the ballot location, and the candidate is selected through the space of the ballot 80 , The reference hole 70 is aligned with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rtion 17, which is a space for taking a picture on the lower side of the ballot 15.

그러면, 투표자는 지지부재(50)를 손으로 들어 올리면, 힌지 작용에 의하여 회동하여 스탬프(90)가 수직(90°방향)으로 위치한다. Then, when the user lifts the support member 50 by hand, the voter pivots by the hinge action and the stamp 90 is positioned vertically (in the 90 占 direction).

그러면, 투표자는 스템프(90)를 수직 하방으로 힘을 가하여, 투표용지(15)의 해당 후보자 란에 기표한다.Then, the voter presses the stamp 90 downward vertically to mark the corresponding candidate column of the ballot 15.

이러한 방식으로 스템프(90)에 힘이 가해지면 날인부(42)는 스프링(60)을 압축시키면서 후진을 하게 되고, 잉크가 자연스럽게 날인부(42)에 배출되면서 날인되는 것이다.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stamp 90 in this manner, the stamped portion 42 compresses the spring 60 and moves backward, and the ink is discharged into the naturally wound portion 42 and sealed.

상기 날인부(42)는 평소 잉크를 함유하고 있다가 압력을 받으면 잉크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질을 채택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목표하는 날인 횟수를 고려하여 날인부(42)의 두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대략 1만회 정도의 날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ealant 42 should adopt a porous material which normally contains ink and can discharge the ink when pressure is applied. The thickness of the seal portion 42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times the target seal is formed.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about ten thousand sealings are possible.

(여기서, 잉크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날인부(42)에 잉크가 공급, 함유되도록 하는 기술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구성 및 작용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technique of inserting the ink into the sealing portion 42 to supply and contain the ink is well known in the ar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ction, and the like will be omitted.)

여기에 덧붙혀, 상기 기표구멍(70)의 지름은 기표 과정에 있어, 기표부(17)의 경계선(도면부호는 생략)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기표부(17) 크기의 90%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reference hole 70 is formed to be 90% or less of the size of the reference portion 17 so that the boundary line (omitted in the drawing) of the reference portion 17 can be confirmed in the reference process have.

여기서, 상기 지름은 기표구멍(70)이 원뿔형으로 구성되므로 밑으로 갈수록 원의 지름은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되므로, 결국 기표구멍(70)의 최소의 지름에 해당하는 것이다. Here, since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70 corresponds to the minimum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70.

따라서, 사용자가 기표 과정에 있어 개방된 기표구멍(70)를 통하여 살펴보면서, 기표부(17)의 테두리 선의 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사각 형태의 기표부(17) 테두리 선을 접촉하지 않고 기표부(17) 내부에 스탬프(90)로 정확한 기표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user can confirm whether or not the border line of the sign portion 17 is exposed while looking through the opened registration hole 70 in the signing process. Therefore, the border line of the rectangular sign portion 17 is not contact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ccurate marking with the stamp 90 inside the portion 17.

또한, 상기 스템프(9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눌러서 날인을 하기 위한 버튼(95)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button 95 for pushing and stamping by the user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mp 90.

도 5b에 도시된 대로, 사용자가 스템프(90)를 들어올려 상기 스템프(90)의 상부에 형성된 버튼(95)을 누르면 같은 방식으로 날인부(42)가 하향함에 따라 기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5B, when the user lifts up the stamp 90 and presses the button 95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mp 90, the user can mark it as the stamped portion 42 is lowered in the same manner as shown in FIG. 5B.

결국, 스템프(90)를 세워서 버튼(95)을 누르기만 하면 되는 심플한 동작으로 누구든지 쉽게 기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anyone can easily make a sign by simply pressing the button 95 with the stamp 90 up.

이러한 스템프(90)의 상부에 장착된 버튼(95)을 눌러 기표하는 버튼식 방식은 손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노약자들도 얼마든지 기표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 button-type button for depressing the button 95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amp 90 has an excellent effect of enabling the handicapped, the patient, and the elderly who are uncomfortable to call.

여기서, 상기 버튼(95)의 크기는 상기 스템프(90)와 육안으로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스템프(90)의 폭보다는 약간 크고 돌출된 형태이며, 버튼(95)의 모양은 원형 또는 다각형이 바람직할 것이다. Here, the size of the button 95 is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tamp 90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stamp 90, and the shape of the button 95 is preferably circular or polygonal something to do.

그 밖에도, 상기 지지부재(50)와 상기 스템프(9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스템프(90)를 본체(10)와 수직 방향인 90°의 각도로 아예 처음부터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되도록 설계하여 상기 지지부재(50)를 들어올릴 필요없이, 투표용지(15)의 기표부(17)에 본 발명의 투표용 기표용구(100)의 기표구멍(70)을 맞추기만 하고 버튼(95)만 눌러서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50 and the stamp 9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tamp 90 is designed to be in a standing state at an angle of 90 degrees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10 The registration hole 70 of the voting stoc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igned with the ballot 17 of the ballot 15 without the need to lift the support member 50, There is also a way to make it possible to sign.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는 기표도장(40)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는 걸림턱(72)을 구성함이 없이 설계해도 무방할 것이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case may be designed without forming the latching protuberances 72 for preventing excessive rotation of the reference coating 4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투표용 기표용구(100)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어느정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voting tab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to some extent.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스템프(90)를 기표도장(40)에서 분리(分離)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tamp 90 to be separated (separated) from the reference stamp 40. Fig.

이 경우(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대로, 상기 날인부(42)는 날인을 위하여 지지부재(50)를 세워 사용자가 손수 스템프(90)로 관통공(41)을 통과시켜 스템프(90)를 하향시키면, 상기 날인부(42)의 내주면에 원주를 중심으로 상기 스템프(90)에 형성된 체결구(91)와 체결되도록 하는 1개 이상의 체결돌기(44)가 형성되어 있다. 3 and 4, the stamping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50 for stamping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handmade stamp 90 (see FIG. 3) One or more fasten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mped portion 42 so as to be fastened to the fasteners 91 formed on the stamp 90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tamped portion 42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41, (44) are formed.

즉,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44)는 후크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a plurality of point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irc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44 is formed in a hook shape.

스템프(90)를 미는 힘에 의하여 스프링(60)이 탄성 작용을 하여 날인부(42)가 후퇴하면 상기 체결돌기(44)는 억지로 힘을 가해서 열리게 됨이 없이 소프트(soft)하게 열리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스템프(90)의 체결구(91)를 통하여 체결되어 걸려지게 함으로서, 스템프(90)의 유동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쉬운 날인을 할수 있게 된다. The spring 60 is elastically mov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stamp 90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44 is softly opened without force when the engaging portion 42 retreats. So that the stamp 9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and the stamp can be easily stamped by being fastened and fastened through the fastener 91 of the stamp 90.

이후, 투표자가 날인(즉, 기표행위)이 끝났으면 스템프(90)를 누르고 있던 힘을 빼서 상기 스템프(90)의 인출을 시도하면, 체결돌기(44)에서 체결구(91)가 역시 소프트(soft)하게 해제되고, 날인부(42)가 스프링(60)에 의한 탄성으로 원 위치 복귀하게 된다.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복귀 시에 스프링(60)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기표도장(40)을 지지하게 되어 다시 원래 상태로 되는 것이다. Thereafter, when the voter stamps (i.e., the signing operation) is completed, when the stamp 90 is pulled out by subtracting the force pressing the stamp 90, the fastener 91 is also softened and the seal portion 4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60. [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upon returning, the spring 60 supports the ballpoint seal 40 by its own elasticity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따라서, 체결돌기(44)는 후크(hook) 형태의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구(91)와의 체결 및 해제 작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이처럼, 스탬프(90)의 기표도장(40)으로의 삽입시키고 상기 스템프(90)를 파지, 하향하여 눌러서 기표를 마친 후, 스템프(90)를 기표도장(40) 바깥으로 인출하는 행위로 투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fastening protrusion 44 is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form of a hook, so that the fastening and releasing operation with the fastening hole 91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In this way, when the stamp 90 is inserted into the reference seal 40 and the stamp 90 is grasped or downwardly pressed to complete the seal, the user pushes the stamp 90 out of the reference seal 40 You can do it.

이와 같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투표용 기표용구(100)는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그 외관도 비교적 깔끔하여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투표자)의 단순한 행위로 정확한 기표행위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분명한 투표권 행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ballpoint pen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and its appearance is comparatively neat, thereby providing a sense of security. Since the ballpoint pen 100 can be accurately operated by a simple action of a user (a voter) Of the United State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 가능한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ltera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이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것이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echnical though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본체 12 : 연결부재 13 : 파지부
15 : 투표용지 17 : 기표부 30 : 헤드부
40 : 기표도장 41 : 관통공 42 : 날인부
43 : 요홈 44 : 체결돌기 50 : 지지부재
60 : 스프링 70 : 기표구멍 71 : 돌기
72 : 걸림턱 80 : 투시구 90 : 스템프
91 : 체결구 95 : 버튼 100: 투표용 기표용구
10: main body 12: connecting member 13:
15: a ballot 17: a sign portion 30: a head portion
40: Signature painting 41: Through hole 42: Sealing part
43: groove 44: fastening protrusion 50: support member
60: spring 70: indicator hole 71: projection
72: hanging jaw 80: mouth 90: stamp
91: fastener 95: button 100:

Claims (5)

투표용 기표용구에 있어서,
상기 기표용구는 기표구멍(70)이 형성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12)의 끝단에 형성되는 파지부(13);
상기 연결부재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투표용지의 후보자 이름을 볼수 있는 투시구(80);
상기 기표구멍(70)에 수직으로 결합되고, 들어올리면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표도장(40);
상기 기표도장(40)이 회동할 수 있도록 중심 역할을 하는 돌기(71);
상기 기표도장(40)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걸림턱(72);으로 구성되어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용 기표용구.
In voting balloons,
The base has a main body (10) in which a reference hole (70) is formed; And
A grip portion 13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12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80) in which a spac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so that a candidate name of the ballot can be seen;
A reference coating (40) vertically coupled to the reference hole (70) and configured to pivot when lifted;
A protrusion 71 serving as a center for rotating the reference coating 40;
And a locking protrusion (72) formed on the main body so as to prevent excessive rotation of the reference coating (40), so that it can be marked on the ballot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표도장(40)은 상기 기표구멍(7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지지부재(50);
상기 지지부재(50)의 상단에 형성되는 헤드부(30);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는 날인부(42);
상기 날인부의 관통공(41)에 착설되는 스탬프(9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5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이동하여 투표용지에 기표할 때 상기 헤드부(30)의 날인부(42)가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용 기표용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ference coating (40) includes a supporting member (50) hinged to both sides of the reference hole (70);
A head portion 30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50;
A portion (42) fixed to the head portion;
And a stamp (90) provided on the through hole (41) of the stamp portion,
Wherein the support member (50) moves up and down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stamped portion (42) of the head portion (30) can be marked on the ballot paper when the ballot is marked on the ballot pap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에는 스프링(60)이 내장되어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기표 후 헤드부(30)가 원위치로 상승하여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용 기표용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spring (60) is built in the support member (50) so that the support member (50) is slidable up and down so that the aftermarket head unit (30) rises to the original position so that it can be marked on the ballot paper.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프(90)는 상기 기표도장(4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투표용지에 기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표용 기표용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amp (90) is removable from the reference stamp (40) so that it can be marked on the ballot paper.




KR1020160047068A 2016-04-18 2016-04-18 Balloting utensil for Voting KR1018762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068A KR101876288B1 (en) 2016-04-18 2016-04-18 Balloting utensil for Vo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068A KR101876288B1 (en) 2016-04-18 2016-04-18 Balloting utensil for Vo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98A KR20170119198A (en) 2017-10-26
KR101876288B1 true KR101876288B1 (en) 2018-07-09

Family

ID=6030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068A KR101876288B1 (en) 2016-04-18 2016-04-18 Balloting utensil for Vo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28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298B1 (en) * 2021-03-26 2022-02-23 (주)두원시스템 High Performance Stamp Certification Unit
KR102356933B1 (en) * 2021-08-20 2022-02-08 (주)두원시스템 Stamp Certification Unit comprising the front guide to prevent the stamp troublemaking and stamp support structure able to keep parallel when stamp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15Y1 (en) * 1986-07-28 1989-05-06 신승수 Voting paper
JPH0675759U (en) * 1993-04-12 1994-10-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Stamp device
JPH10181171A (en) * 1996-10-25 1998-07-07 Tanikawa Shoji Kk Sealing apparatus
KR200203829Y1 (en) * 2000-06-17 2000-11-15 한문기 Voting tool
KR200239336Y1 (en) * 2001-02-24 2001-09-25 김양주 Slim type folding seal
KR200359339Y1 (en) * 2004-05-27 2004-08-16 전상은 Separate type stamp
KR200461833Y1 (en) * 2011-12-15 2012-08-20 주식회사모나미 A stam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15Y1 (en) * 1986-07-28 1989-05-06 신승수 Voting paper
JPH0675759U (en) * 1993-04-12 1994-10-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Stamp device
JPH10181171A (en) * 1996-10-25 1998-07-07 Tanikawa Shoji Kk Sealing apparatus
KR200203829Y1 (en) * 2000-06-17 2000-11-15 한문기 Voting tool
KR200239336Y1 (en) * 2001-02-24 2001-09-25 김양주 Slim type folding seal
KR200359339Y1 (en) * 2004-05-27 2004-08-16 전상은 Separate type stamp
KR200461833Y1 (en) * 2011-12-15 2012-08-20 주식회사모나미 A st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198A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288B1 (en) Balloting utensil for Voting
NZ569743A (en) A child resistant locking arrangement for a container
CN201595324U (en) Novel plastic lunch box
CN205428305U (en) But story machine of desktop recreation
JP7271018B1 (en) golf ball stamp
US6453573B1 (en) Rubber stamp positioning device
JPS6030765Y2 (en) Tactile ability training device
CN2923322Y (en) Portable seal
CN203040007U (en) Circuit board applied to electrostatic capacitive switch
CN205723284U (en) Sound film key
CN206999952U (en) A kind of repeatable minute book utilized
KR101996224B1 (en) Stamp for voting
JP3185339U (en) Keyboard instrument training aids
KR101876290B1 (en) Balloting assistance utensil
CN207059578U (en) A kind of cards folder
CN220367558U (en) Tablet personal computer for children
CN211264673U (en) Auxiliary device is used in english study
CN219467383U (en) Nursing mark seal
US20070209536A1 (en) Golf ball marker
JP3072767U (en) Cell phone covers
CN210428964U (en) English teaching card placer
CN2229693Y (en) Standardizing device for answering question
CN2539644Y (en) Mapper for bindman
JPH0520534Y2 (en)
CN207164729U (en) Handwriting pad with clamp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