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725B1 -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725B1
KR101875725B1 KR1020170047263A KR20170047263A KR101875725B1 KR 101875725 B1 KR101875725 B1 KR 101875725B1 KR 1020170047263 A KR1020170047263 A KR 1020170047263A KR 20170047263 A KR20170047263 A KR 20170047263A KR 101875725 B1 KR101875725 B1 KR 101875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oor lock
smart door
chain network
trans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욱
한동희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7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7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07C9/00031
    • G07C9/0010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인증 받기를 요청하는 노드들이 인증 서버로 인증 요청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인증 요청한 노드가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노드가 인증되었다는 메시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된 노드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보내는 제어 메시지와, 스마트 도어락이 센서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판단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 보내는 알람 메시지는 송신 노드의 개인키로 결합 및 서명함으로써, 자기 부인 방지(Non-Repudiation)를 실현한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은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송신한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도어락과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간의 거리 측정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당성을 한번 더 판단하여 동작 수행을 하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송수신한 모든 데이터는 블록으로 형성되어, n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체인에 n+1번째 블록으로 연결시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변조가 불가능하고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Smart door lock system, smart door lock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the smart door lock}
본 발명은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을 제어하고, 스마트 도어락은 센서들을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 방지 및 알람 메시지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도어락,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접촉식 도어락 장치는 스마트 폰의 대중화로 새로운 기능을 적용한 도어락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스마트 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는 근거리 통신 또는 상용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의 도어 개폐장치를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4893호에 개시된 도어락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키버튼 조작에 상응하여 입력 정보를 입력받고 기 저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 결과정보를 생성한 다음, 등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로 결과정보를 통신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출입자는 메시지에 포함된 제어 명령에 따라 도어락 장치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42122호에 개시된 스마트 폰을 이용한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출입자가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는 인증을 거친 후 비밀번호의 오류 여부를 확인하고 오류 정도가 경미한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재입력 가능하게 하고, 오류 정도가 큰 경우에는 캡쳐된 영상과 도어락 상태정보를 스마트 폰으로 전송하며, 잠금 해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도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은 보안상태로 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도어락 장치의 비밀번호의 인증을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인증결과를 전송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한다
한편,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도어락과 연결되는 서버를 두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TCP/IP 프로토콜 통신을 하여 제어되고 센서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나, 이 모든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들은 위조 및 해킹에 취약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의 인증 여부와 데이터의 보안은 기존에도 일부 암호화 기술이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암호화 방식이 상대적으로 취약하거나 단순하고 특정 소프트웨어에 의존한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온전한 데이터의 보존 및 사용자의 인증 여부 판단에 결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014893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242122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634734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과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간의 제어 메시지 및 알람 메시지를 송수신하도록 하고 블록 체인에 블록의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위변조 및 해킹을 방지하여 데이터의 무결성 및 자기 부인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한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도어락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에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마트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에 대하여 인증하고, 인증된 노드들에 대한 공개키 정보를 구비한 인증 서버; 고유의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인증된 스마트 도어락; 고유의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는 사전 설정등록된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블록 체인에 상기 수신된 블록을 연결시켜 저장한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다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장치를 구성한 센서들은 감지된 정보들을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센서 장치들로부터 감지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지시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문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및 블록체인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제어 모듈은 문의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메시지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GPS 모듈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트랜잭션을 송신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사전 설정된 요건을 만족하면 문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다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장치는, 인체 감지 센서, 초음파 센서, 동작 감지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들은 감지한 정보들을 스마트 도어락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제어 모듈은 센서 장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 상황 및 시도 여부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지시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특징에 따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는, 사전 설정등록된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트랜잭션을 자신의 개인키로 결합하여 서명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상기 전파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작업증명(Proof-of-Work)을 수행하여 블록으로 형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문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및 블록체인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로부터 블록을 수신하면, 수신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블록 체인에 상기 수신된 블록을 연결시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문의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GPS 모듈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트랜잭션을 송신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사전 설정된 요건을 만족하면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다수 개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인체 감지 센서, 초음파 센서, 동작 감지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은 감지한 정보들을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센서 모듈의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 상황 및 시도 여부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 중 인체 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는 스마트 도어락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체 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침입 시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침입 시도를 알리는 제1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제1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2 특징에 따른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 중 동작 감지 센서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문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인 침입을 알리는 제2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는,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메모리에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사전 설정등록된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트랜잭션을 자신의 개인키로 결합하여 서명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로부터 블록을 수신하면, 수신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블록 체인에 상기 수신된 블록을 연결시켜 저장한다.
전술한 제3 특징에 따른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3 특징에 따른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고유한 개인키와 공개키의 쌍을 생성하고,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인증 서버로 상기 개인키와 결합하여 암호화시킨 인증 요청 메시지와 공개키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암호화된 인증 요청 메시지가 공개키로 복호화되어 인증되면,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인증되었다는 메시지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함으로써, 스마트 도어락 및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용 시스템이 전송하는 제어 메시지 및 알람 메시지들을 블록으로 생성하여 블록 체인에 연결시켜 저장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보내는 제어 메시지와, 스마트 도어락이 센서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판단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 보내는 알람 메시지는 송신 노드의 개인키로 결합 및 서명함으로써, 자기 부인 방지(Non-Repudiation)를 실현한다.
또한, 제어되는 스마트 도어락은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송신한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도어락과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간의 거리 측정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당성을 한번 더 판단하여 동작 수행을 하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송수신한 모든 데이터는 블록으로 형성되어, n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체인에 n+1번째 블록으로 연결시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변조가 불가능하고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인증 서버로부터 사전에 인증받은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들이 노드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한 상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 서버가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들을 인증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이 외부의 침입 시도를 알리는 제1 알람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이 집 내부로의 외부인 침입을 알리는 제2 알람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도어락 및 사용자의 스마트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하나의 노드가 되어, 잠금(LOCK) 또는 잠금 해제(OPEN)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 및 외부인의 침입 또는 침입 시도를 알리는 알람(Alarm) 메시지를 트랜잭션 형태로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트랜잭션을 수신한 스마트 도어락 및 단말기는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해당 제어에 맞게 동작한 후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며,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의 블록 체인에 상기 블록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인증 서버로부터 사전에 인증받은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들이 노드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한 상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은 인증 서버(10) 및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된 노드들로 이루어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이루는 노드들로는 스마트 도어락(120) 및 상기 스마트 도어락을 제어하는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1)은 각 노드의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를 외부에 두고, 인증 받기를 요청하는 노드들(예컨대, 스마트 도어락 및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등)이 상기 인증 서버로 인증 요청하면, 상기 인증 서버는 인증 요청한 노드가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노드가 인증되었다는 메시지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된 노드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되고, 인증 서버는 해당 노드의 공개키만을 저장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삭제하여 보안을 유지한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보내는 제어 메시지와, 스마트 도어락이 센서들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판단하여 인증된 사용자에게 보내는 알람 메시지는 송신 노드의 개인키로 결합 및 서명함으로써, 자기 부인 방지(Non-Repudiation)를 실현한다. 또한, 제어되는 스마트 도어락은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송신한 제어 메시지에 대하여 GPS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 도어락과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간의 거리 측정을 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당성을 한번 더 판단하여 동작 수행을 하므로 보안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송수신한 모든 데이터는 블록으로 형성되어, n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블록체인에 n+1번째 블록으로 연결시켜 저장함으로써, 데이터의 변조가 불가능하고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이 이루어진다. 이하, 전술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들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인증 서버(10)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인증받기를 원하는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들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하여 이들을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증 서버(10)의 보안업체의 서버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인증만을 수행하는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120)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은 각각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되어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120)은 현관문이나 회사등의 출입문 등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로부터 도어락의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거나, 무단 침입 감지 및 침입 시도 감지를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인증된 사용자들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는 상기 스마트 도어락(130)의 도어 개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하게 되는데,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이나 휴대용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가 문을 OPEN 하라는 제어 메시지를 transaction 형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스마트 도어락(120)은 수신한 transaction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의 GPS 모듈(121)로부터 GPS 위치 데이터를 확인 후 해당 제어에 맞게 동작하면서 동시에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 다른 노드들은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n개의 블록을 포함한 블록체인의 n+1번째 블록으로 연결하여 저장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 도어락(120)은 스마트 도어락 및 집 내부에 설치된 인체감지센서(142), 초음파 센서(144), 동작감지 센서(146)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들로부터 외부인의 침입 상황 및 침임 시도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된 보안업체 서버로 전송하여 상황 처리 및 즉각적인 피드백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알람 메시지를 블록으로 구성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들에게 알릴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 서버가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들을 인증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각 노드가 인증 서버의 인증을 받고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스마트 도어락(120)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 등과 같은 노드는 각각 고유한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생성한다(단계 200). 다음, 상기 스마트 도어락(120)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 등과 같은 노드는 자신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인증 요청 메시지를 암호화시킨 것과 공개키를 인증 서버로 전송한다(단계 210).
한편, 상기 암호화된 인증 요청 메시지와 공개키를 수신한 인증 서버는 암호화된 인증 요청 메시지를 공개키로 복호화시키고 요청한 노드가 정당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노드에 대하여 인증한다(단계 220). 다음, 인증 서버는 해당 노드가 인증되었다는 메시지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알리고(단계 230), 해당 노드의 공개키만을 저장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삭제하여 보안을 유지한다(단계 240).
전술한 인증 절차를 통하여, 인증 서버에 의해 인증된 노드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 참여하게 된다(단계 2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는, 사용자가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도어락(12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1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도어락(120)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22),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문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123),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124), GPS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126), 센서 모듈(140) 및 블록체인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128)를 구비한다.
상기 센서 모듈(140)은 다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되되, 인체 감지 센서(142), 초음파 센서(144), 동작 감지 센서(146)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한다. 상기 센서 모듈의 일부 센서는 스마트 도어락의 본체 내에 탑재되고, 나머지는 스마트 도어락의 본체와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와 분리되어 설치된 센서들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여 감지 신호들을 스마트 도어락의 제어 모듈로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인체 감지 센서(142) 및 초음파 센서(144)는 스마트 도어락의 본체에 탑재되되,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문의 바깥쪽을 감지할 수 있도록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체 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들을 이용하여 문의 외부에 외부인이 침입 시도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1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트랜잭션의 형태로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작 감지 센서(146)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문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 모듈은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제공된 감지 신호들을 이용하여 문의 내부 공간에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제2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트랜잭션의 형태로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게 된다.
상기 제어 모듈(122)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130)는 도어락에 대한 잠금(LOCK) 또는 잠금 해제(OPEN)를 명령하는 제어 메시지를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 작성하고(단계 300), 상기 트랜잭션을 자신의 개인키로 결합하여 암호화시킨 후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한다(단계 302). 상기 제어 메시지에는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도 함께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상기 암호화된 트랜잭션을 송신 노드인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공개키로 복호화시킴으로써, 인증된 노드로부터 온 것임을 확인하고, 작업 증명(Proof-of-Work)을 수행하여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단계 304).
다음, 스마트 도어락은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트랜잭션의 제어 메시지가 잠금 해제(OPEN)를 명령하는 메시지인지 확인한다(단계 310), 상기 제어 메시지가 잠금 해제를 명령하는 메시지이면, GPS 모듈(121)로부터 자신의 GPS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와 자신의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도어락과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간의 이격 거리(d)를 측정한다(단계 312). 상기 측정된 이격 거리(d)가 사전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해당 트랜잭션은 무효로 한다(단계 316).
상기 측정된 이격 거리가 사전 설정된 범위이내이거나 상기 제어 메시지가 잠금 해제를 명령하는 메시지가 아니면, 스마트 도어락의 제어 모듈은 해당 제어 메시지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트랜잭션으로 작성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단계 318).
한편,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수행 결과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작업 증명(Proof-of-Work) 과정을 통해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해당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구성한 후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단계 320).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는 각각 수신된 블록을 검증하고(단계 322), 일정 개수 이상의 노드가 해당 블록에 대하여 승인하면(단계 324), 각 노드는 자신이 갖고 있는 n개의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 체인에 해당 블록을 n+1번째의 블록으로 연결하여 저장한다(단계 328). 한편, 일정 개수 이상의 노드가 해당 블록에 대하여 승인하지 않으면 해당 블록은 무효화시킨다(단계 326)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도어락이 외부에서의 침입 시도를 알리는 제1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이 외부의 침입 시도를 알리는 제1 알람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스마트 도어락의 본체 또는 이에 인접한 문의 외부에 인체 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이 작동되면(단계 400), 상기 제어 모듈은 인체 감지 센서가 인체를 감지하는지 여부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확인한다(단계 410). 만약 인체 감지 센서가 인체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인체와 스마트 도어락과의 이격 거리(d')를 측정한다(단계 412). 상기 인체와 스마트 도어락과의 이격 거리(d')가 사전 설정된 범위이내이면(예컨대 d'<=50cm), 상기 제어 모듈은 인체 감지 센서로부터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예컨대, 5초 이상) 지속적으로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416). 만약 인체 감지 센서가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이러한 상황을 외부인의 침입 시도로 판단하고 침입 시도를 알리는 제1 알람 메시지를 트랜잭션으로 작성하고,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한 후,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단계 420).
한편,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상기 수신된 트랜잭션에 대하여 작업 증명(Proof-of-Work) 과정을 통해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구성한 후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단계 430).
다음,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상기 수신된 블록을 검증한다(단계 432).
일정 개수 이상의 노드가 해당 블록에 대해 승인하면(단계 440),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자신의 블록 체인에 해당 블록을 추가하여 저장 및 공유한다(단계 444). 만약 일정 개수 이상의 노드가 해당 블록에 대해 승인하지 않는 경우, 해당 블록은 무효화한다(단계 442).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서의 스마트 도어락이 집 내부로의 외부인 침입을 알리는 제2 알람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이 집 내부로의 외부인 침입을 알리는 제2 알람 메시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문의 내부, 즉 집 내부에 동작 감지 센서(14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도어락이 작동되면(단계 500), 상기 제어 모듈은 도어 개폐 장치가 잠금(LOCK)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510). 개폐 장치가 잠금 상태에서, 동작 감지 센서가 임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확인한다(단계 512). 만약 도어 개폐 장치가 잠금 상태에서, 동작 감지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움직임 감지 신호가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514). 만약 움직임 감지 신호가 사전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수신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이러한 이벤트(Event)를 외부인 침입으로 판단하고, 외부인 침입을 알리는 제2 알람 메시지를 트랜잭션으로 작성하고,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한 후,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단계 520).
한편,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상기 수신된 트랜잭션에 대하여 작업 증명(Proof of Work) 과정을 통해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으로 구성한 후 블록 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한다(단계 530).
다음,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상기 수신된 블록을 검증한다(단계 532). 일정 개수 이상의 노드가 해당 블록에 대해 승인하면(단계 540),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자신의 블록 체인에 해당 블록을 추가하여 저장 및 공유한다(단계 544). 만약 일정 개수 이상의 노드가 해당 블록에 대해 승인하지 않는 경우, 해당 블록은 무효화한다(단계 542).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10 : 인증 서버
12 : 블록체인 네트워크
120 : 스마트 도어락
130 :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140 : 센서 모듈
122 : 제어 모듈
123 : 도어 개폐 장치
124 : 통신 모듈
126 : GPS 모듈
128 : 데이터 저장부

Claims (14)

  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에 대하여 인증하고, 인증된 노드들에 대한 공개키 정보를 구비한 인증 서버;
    고유의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인증된 스마트 도어락;
    고유의 공개키와 개인키의 쌍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공개키와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인증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는 사전 설정등록된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포함한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을 수신하고, 수신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블록 체인에 상기 수신된 블록을 연결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다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장치를 구성한 센서들은 감지된 정보들을 상기 스마트 도어락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센서 장치들로부터 감지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지시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문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및
    블록체인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문의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메시지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GPS 모듈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트랜잭션을 송신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사전 설정된 요건을 만족하면 문의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은 다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된 센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 장치는, 인체 감지 센서, 초음파 센서, 동작 감지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들은 감지한 정보들을 스마트 도어락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 도어락의 제어 모듈은 센서 장치의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 상황 및 시도 여부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지시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는, 사전 설정등록된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트랜잭션을 자신의 개인키로 결합하여 서명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은 상기 전파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작업증명(Proof-of-Work)을 수행하여 블록으로 형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7.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문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개폐 장치;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 모듈;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GPS 모듈; 및
    블록체인을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상기 트랜잭션에 포함된 제어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블록을 생성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로부터 블록을 수신하면, 수신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블록 체인에 상기 수신된 블록을 연결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문의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가 포함된 트랜잭션을 수신하면,
    상기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GPS 모듈로부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트랜잭션을 송신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가 사전 설정된 요건을 만족하면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하여 잠금 해제를 수행하고,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도어락은 다수 개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모듈은, 인체 감지 센서, 초음파 센서, 동작 감지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은 감지한 정보들을 제어 모듈로 제공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센서 모듈의 센서들로부터 감지 정보들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 상황 및 시도 여부에 대한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 중 인체 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는 스마트 도어락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인체 감지 센서 및 초음파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침입 시도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침입 시도를 알리는 제1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제1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을 구성하는 센서들 중 동작 감지 센서는 스마트 도어락이 설치된 문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동작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외부인 침입을 알리는 제2 알람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전 설정등록된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제2 알람 메시지를 포함하는 블록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12.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도어락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에 있어서,
    내부 메모리에 블록 체인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사전 설정등록된 스마트 도어락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트랜잭션을 자신의 개인키로 결합하여 서명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로부터 블록을 수신하면, 수신된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자신이 갖고 있는 블록 체인에 상기 수신된 블록을 연결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고유한 개인키와 공개키의 쌍을 생성하고,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의 인증 서버로 상기 개인키와 결합하여 암호화시킨 인증 요청 메시지와 공개키를 전송하고,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암호화된 인증 요청 메시지가 공개키로 복호화되어 인증되면, 상기 인증 서버에 의해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가 인증되었다는 메시지를 블록 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노드로 전송됨으로써, 상기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는 블록 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KR1020170047263A 2017-04-12 2017-04-12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875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263A KR101875725B1 (ko) 2017-04-12 2017-04-12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263A KR101875725B1 (ko) 2017-04-12 2017-04-12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725B1 true KR101875725B1 (ko) 2018-07-06

Family

ID=6292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263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5725B1 (ko) 2017-04-12 2017-04-12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725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6924A (zh) * 2018-11-21 2019-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求助方法及装置
CN109377626A (zh) * 2018-12-13 2019-02-22 深圳市云歌人工智能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子锁信息处理及获取电子锁使用权的方法
CN109767530A (zh) * 2018-12-28 2019-05-17 中链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智能锁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9830006A (zh) * 2019-01-02 2019-05-31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开合状态监控装置和智能锁
KR101997673B1 (ko) * 2018-12-06 2019-07-08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CN110189440A (zh) * 2019-05-17 2019-08-30 杭州宇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智能锁监管设备及其方法
KR102025837B1 (ko) * 2018-11-15 2019-09-26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이를 활용한 스마트컨트랙트가 적용된 출입통제 시스템
KR102037848B1 (ko) * 2019-03-27 2019-10-29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운용 방법
JP2020030610A (ja) * 2018-08-22 2020-02-27 ブロックチェーンロック株式会社 スマートロック装置及びプラットフォーム
KR102082178B1 (ko) * 2019-09-06 2020-02-27 주식회사 지비 Plc 기반 ami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그의 보안 관리 방법 및 보안 시스템
KR102096746B1 (ko) * 2019-09-03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보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39132A (ko) * 2018-10-05 2020-04-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저장 용량 확장 방법
WO2020147292A1 (zh) * 2019-01-17 2020-07-23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门禁访问方法、系统、管理终端和门禁终端
KR20200089391A (ko) * 2019-01-17 2020-07-2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KR102213918B1 (ko) 2020-08-19 2021-02-05 윤석찬 사용자 고유 식별키 등록 및 인증을 통한 공유서비스 관리 시스템
CN112365630A (zh) * 2019-07-24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锁具控制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SE1951056A1 (en) * 2019-09-18 2021-03-19 Gunnebo Ab Method, locking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esource and a locking device
KR20210073847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블록체인을 적용한 배전선로 개폐기 제어 시스템
CN113516807A (zh) * 2021-05-18 2021-10-19 深圳市亲邻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门禁管理方法、装置和门禁设备
KR20210127014A (ko) 2020-04-13 2021-10-21 윤석찬 식별키 등록 및 인증을 통한 공유서비스 관리시스템
WO2021214490A1 (en) * 2020-04-24 2021-10-28 Novosound Ltd Secure ultrasound system
US11288908B2 (en) 2019-04-26 2022-03-29 Carrier Corporation Geolocation based security in intrusion systems
US11568694B2 (en) 2018-12-06 2023-01-31 Carrier Corporation Realestate as tradable digital assets through blockchain integ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94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키 발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키 발급 운용 방법
KR101637863B1 (ko) * 2016-01-05 2016-07-0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본인인증용 정보 보안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5484A (ko) * 2015-05-18 2016-11-28 (주)성광유니텍 지능형 스마트 방범도어시스템
KR20170019243A (ko) * 2015-08-11 2017-02-21 (주)혜강씨큐리티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5794A (ko) * 2013-08-01 2015-02-11 주식회사 에스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키 발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키 발급 운용 방법
KR20160135484A (ko) * 2015-05-18 2016-11-28 (주)성광유니텍 지능형 스마트 방범도어시스템
KR20170019243A (ko) * 2015-08-11 2017-02-21 (주)혜강씨큐리티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동 개방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 및 그 제어 방법
KR101637863B1 (ko) * 2016-01-05 2016-07-0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본인인증용 정보 보안 전송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30610A (ja) * 2018-08-22 2020-02-27 ブロックチェーンロック株式会社 スマートロック装置及びプラットフォーム
JP2022160620A (ja) * 2018-08-22 2022-10-19 ブロックチェーンロック株式会社 仮想通貨流通システム
JP7122906B2 (ja) 2018-08-22 2022-08-22 ブロックチェーンロック株式会社 スマートロック装置及びプラットフォーム
JP7342217B2 (ja) 2018-08-22 2023-09-11 ブロックチェーンロック株式会社 仮想通貨流通システム
KR102132391B1 (ko) * 2018-10-05 2020-07-09 서강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저장 용량 확장 방법
KR20200039132A (ko) * 2018-10-05 2020-04-1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저장 용량 확장 방법
KR102025837B1 (ko) * 2018-11-15 2019-09-26 주식회사 트라이앵글랩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이를 활용한 스마트컨트랙트가 적용된 출입통제 시스템
CN109286924A (zh) * 2018-11-21 2019-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求助方法及装置
KR101997673B1 (ko) * 2018-12-06 2019-07-08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US11568694B2 (en) 2018-12-06 2023-01-31 Carrier Corporation Realestate as tradable digital assets through blockchain integration
WO2020116785A1 (ko) * 2018-12-06 2020-06-11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및 그 운용 방법
CN109377626A (zh) * 2018-12-13 2019-02-22 深圳市云歌人工智能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电子锁信息处理及获取电子锁使用权的方法
CN109767530A (zh) * 2018-12-28 2019-05-17 中链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智能锁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9830006A (zh) * 2019-01-02 2019-05-31 东莞盛世科技电子实业有限公司 开合状态监控装置和智能锁
WO2020147292A1 (zh) * 2019-01-17 2020-07-23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门禁访问方法、系统、管理终端和门禁终端
KR20200089391A (ko) * 2019-01-17 2020-07-27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KR102199196B1 (ko) * 2019-01-17 2021-01-06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정보 공유 방법
KR102037848B1 (ko) * 2019-03-27 2019-10-29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운용 방법
US11288908B2 (en) 2019-04-26 2022-03-29 Carrier Corporation Geolocation based security in intrusion systems
CN110189440A (zh) * 2019-05-17 2019-08-30 杭州宇链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智能锁监管设备及其方法
CN112365630B (zh) * 2019-07-24 2022-06-14 华为技术有限公司 锁具控制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2365630A (zh) * 2019-07-24 2021-02-12 华为技术有限公司 锁具控制方法、通信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102096746B1 (ko) * 2019-09-03 2020-04-03 주식회사 스마트엠투엠 항만보안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178B1 (ko) * 2019-09-06 2020-02-27 주식회사 지비 Plc 기반 ami 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 장치와, 그의 보안 관리 방법 및 보안 시스템
SE1951056A1 (en) * 2019-09-18 2021-03-19 Gunnebo Ab Method, locking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resource and a locking device
KR20210073847A (ko) * 2019-12-11 2021-06-21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블록체인을 적용한 배전선로 개폐기 제어 시스템
KR102335558B1 (ko) 2019-12-11 2021-12-07 주식회사 신의이엔지 블록체인을 적용한 배전선로 개폐기 제어 시스템
KR20210127014A (ko) 2020-04-13 2021-10-21 윤석찬 식별키 등록 및 인증을 통한 공유서비스 관리시스템
WO2021214490A1 (en) * 2020-04-24 2021-10-28 Novosound Ltd Secure ultrasound system
KR102213918B1 (ko) 2020-08-19 2021-02-05 윤석찬 사용자 고유 식별키 등록 및 인증을 통한 공유서비스 관리 시스템
CN113516807A (zh) * 2021-05-18 2021-10-19 深圳市亲邻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门禁管理方法、装置和门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725B1 (ko) 블록 체인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 및 도어락 제어용 단말기
EP3657370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uthenticating smart card
CN112214745B (zh) 经认证的外部生物特征读取器和验证设备
US11893850B2 (en) Wireless tag-based lock actu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0683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 control using context-based proof
US20220335764A1 (en) Establishment of secure bluetooth connection to internet of things devices, such as electronic locks
TW201835867A (zh) 用於使用環境資料管理車輛或其他物件之進入之系統及方法
CN112913204A (zh) 对包括电子锁的物联网设备的认证
KR102301742B1 (ko) 키패드 없는 스마트 도어락 키 등록 및 사용방법과 그 출입관리 시스템
KR102154405B1 (ko) 스마트 도어락
JP6999474B2 (ja) 電気錠システムおよび錠制御端末
US72811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security device
US202102166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 user of a compartment installation
EP2747470B1 (en) Authentication and data security for 6LoWPAN wireless networks
CN112102524A (zh) 开锁方法和开锁系统
KR20200033031A (ko) 다수의 출입 기기에서 생성되는 출입 데이터의 분산 저장 및 유효성 검증방법
CN110298947B (zh) 一种开锁方法及电子锁
JP6633401B2 (ja) 電子錠システム
KR10281392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들, 시스템, 및 방법들
CN107077666A (zh) 用于对自助系统处的动作进行授权的方法和装置
WO2018212357A2 (ja) 実行装置、指示装置、それらで実行され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19063B1 (ko) 디바이스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24369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금고 운영 방법
NL2018694B1 (nl) Combinatie van een server, een slotcontroller, ten minste één slot, en een elektronisch apparaat, en werkwijze voor het aansturen van een slot
Dasorwala et al. Smart lock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