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460B1 -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460B1
KR101875460B1 KR1020150056959A KR20150056959A KR101875460B1 KR 101875460 B1 KR101875460 B1 KR 101875460B1 KR 1020150056959 A KR1020150056959 A KR 1020150056959A KR 20150056959 A KR20150056959 A KR 20150056959A KR 101875460 B1 KR101875460 B1 KR 101875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tool
screw locking
hole
screw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8700A (ko
Inventor
이세호
Original Assignee
이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호 filed Critical 이세호
Priority to KR102015005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46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에 따르면,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 매식체에 고정시키며,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나사; 및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암부가 형성된 스크류락킹툴(screw locking tool);을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맞물리고, 상기 암부의 외측면이 상기 어버트먼트 삽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나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임플란트 매식체와 상부보철물이 서로 분리되지 않아 상부보철물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Connecting screw locking mechanism}
본 발명은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에서 상부보철물(Crown)의 연결나사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는 매식의치로서 상실된 치아의 뿌리(치근)가 있던 악골내에 치근과 유사한 구조의 치과용 임플란트(매식체; fixture)를 심어서 치아를 새로이 제작하는 방법으로 인접한 치아를 삭제하지 않아 인접치아의 손상이 없고, 이차적인 충치발생요인이 없어 고정성 의치보다 더 안정적인 방법이다. 또한 다수의 치아가 빠져 가철성 의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치주조직(잇몸)에 힘이 가해져 잇몸에 불편함이 있고 틀니의 크기로 인해 구강 내 이물감이 심하지만, 임프란트는 치아와 비슷한 구조이므로 잇몸의 통증 및 이물감이 전혀 없어 환자들의 삶의 질의 향상과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임플란트 시술을 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그러나, 치과용 임플란트 매식체(2)와 상부보철(crown-이하 상부보철로 한다)(4)을 연결하는 나사(3)는 아무리 꽉 조여도 여러 가지 이유로 지속적으로 풀려서 보철물(1, 4)이 흔들리거나 탈락하는 문제가 상당히 빈번하게 발생하여 치과의사 및 환자를 매우 힘들게 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연구자들 사이에 행해지고 있으나 아직 딱히 확실한 방법이 나오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락킹툴이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기가 삽입홈에 삽입고정되고, 외측면이 삽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연결나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킴으로써, 임플란트 매식체와 상부보철물이 서로 분리되지 않아 상부보철물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이 관통홀의 내부로 삽입되며 끼움부재의 고정홈 내부로 삽입된 스크류락킹툴의 상단을 밀어내어 내부홈에 삽입된 돌기부를 분리시킴으로써, 끼움부재가 스크류락킹툴로부터 편리하게 해체될 수 있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에 따르면,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 매식체에 고정시키며,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나사; 및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암부가 형성된 스크류락킹툴(screw locking tool);을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맞물리고, 상기 암부의 외측면이 상기 어버트먼트 삽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나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은, 육각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탄성력을 갖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돌기의 상단으로 돌출된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중단부는,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암의 중단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 내주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스크류락킹툴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상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을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에 삽입고정시키는 체결기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단부 외주면에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내부홈이 형성된 끼움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실린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끼움부재의 고정홈 내부로 삽입된 스크류락킹툴의 상단을 밀어내어 내부홈에 삽입된 상기 돌기부를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가 스크류락킹툴로부터 해체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홀의 하단면이 상기 고정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의 하단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암의 상단이 테이퍼진 고정홀의 하단면을 따라 상기 고정홀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돌기부가 내부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홀에 삽입된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의 상부 이격거리는, 상기 고정홀의 내부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고정홀에 억지끼움되어 체결기구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홀의 하단면 하단의 직경거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의 상부 이격거리보다 더 크다.
그리고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의 중단부에서 상기 암의 외측면이 이격된 최대 이격거리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 내부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암의 중단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으로 밀착되며 고정되어 상기 연결나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 내주면은, 돌출과 오목이 반복되는 지그재그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암의 중단부가 상기 삽입홀의 지그재그홈에 맞물려 회전되지 않는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임플란트 매식체와 상부보철물이 서로 분리되지 않아 상부보철물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끼움부재가 스크류락킹툴로부터 편리하게 해체될 수 있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임플란트 시술을 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의 어버트먼트 내부에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나타낸 스크류락킹툴의 암이 어버트먼트 삽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의 어버트먼트 내부에 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를 나타낸 스크류락킹툴의 암이 어버트먼트 삽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는 연결나사(10) 및 스크류락킹툴(20)을 포함한다.
연결나사(10)는 임플란트 매식체에 체결되어 어버트먼트(50)를 임플란트 매식체에 고정시키며, 상부에 삽입홈(11)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나사(10)의 삽입홈(11)은 육각모양으로 형성된다.
스크류락킹툴(screw locking tool)(20)은 연결나사(10)의 삽입홈(11)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돌기(21)가 형성된다.
즉, 스크류락킹툴(20)은 어버트먼트(50)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돌기(21)가 삽입홈(11)에 삽입고정되고, 외측면이 삽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연결나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어버트먼트(50)의 삽입홀 내주면은, 돌출과 오목이 반복되는 지그재그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락킹툴(20)은, 암(22)의 중단부가 삽입홀의 지그재그홈에 맞물려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스크류락킹툴(20)의 삽입돌기(21)는 삽입홈(1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되도록 한다.
스크류락킹툴(20)는 상단부 외주면에 돌기부(23)가 돌출형성된다.
스크류락킹툴(20)는 암(22)을 포함한다.
암(22)은 탄성력을 갖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삽입돌기(21)의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암(22)의 중단부는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어 한 쌍의 암(22) 사이의 이격거리가 암(22)의 상부에서 이격된 거리보다 더 크다.
또한, 외측으로 돌출된 암(22)의 중단부는 어버트먼트(50)의 삽입홀 내주면에 밀착고정되어 스크류락킹툴(2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22)의 상부 이격거리는, 고정홀(33)의 내부직경보다 더 크다.
스크류락킹툴(20)는 고정홀(33)에 억지끼움되어 체결기구(30)에 고정된다.
또한, 고정홀(33)의 하단면 하단의 직경거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22)의 상부 이격거리보다 더 크다.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22)의 중단부에서 암(22)의 외측면이 이격된 최대 이격거리는 어버트먼트(50)의 삽입홀 내부 직경보다 더 크다.
즉, 스크류락킹툴(20)는 암(22)의 중단부가 삽입홀의 내측면으로 밀착되며 고정되어 연결나사(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는 체결기구(30)를 더 포함한다.
체결기구(30)는 스크류락킹툴(20)의 상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스크류락킹툴(20)을 어버트먼트(50)의 삽입홀에 삽입고정시킨다.
체결기구(30)는 끼움부재(31) 및 실린더를 포함한다.
끼움부재(31)는 상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홀(33)이 형성되고, 고정홀(33)의 내주면에 돌기부(23)가 삽입되는 내부홈(32)이 형성된다.
이때, 끼움부재(31)는 고정홀(33)의 하단면이 고정홀(33)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의 하단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즉, 스크류락킹툴(20)는 암(22)의 상단이 테이퍼진 고정홀(33)의 하단면을 따라 고정홀(33)의 내부로 이동되고, 돌기부(23) 내부홈(32)에 안착되도록 고정홀(33)에 삽입된다.
실린더는 끼움부재(31)의 상부에 구비되며 고정홀(33)과 연통되는 관통홀(34)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는 피스톤(40)을 더 포함한다.
피스톤(40)은 실린더의 관통홈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피스톤(40)은, 관통홈의 내부로 삽입되며 끼움부재(31)의 고정홈 내부로 삽입된 스크류락킹툴(20)의 상단을 밀어내어 내부홈(32)에 삽입된 돌기부(23)를 분리시킴에 따라, 끼움부재(31)가 스크류락킹툴(20)로부터 해체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연결나사 11: 삽입홈
20: 스크류락킹툴 21: 삽입돌기
22: 암 23: 돌기부
30: 체결기구 31: 끼움부재
32: 내부홈 33: 고정홀
34: 관통홀 40: 피스톤
50: 어버트먼트

Claims (11)

  1.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 매식체에 고정시키며, 상부에 삽입홈이 형성된 연결나사; 및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암부가 형성된 스크류락킹툴(screw locking tool);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맞물리고, 상기 암부의 외측면이 상기 어버트먼트 삽입홀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나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되,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탄성력을 갖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삽입돌기의 상단으로 돌출된 암을 포함하고,
    상기 암의 중단부는, 측면으로 각각 돌출되고,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암의 중단부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 내주면에 밀착고정되어 상기 스크류락킹툴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나사의 삽입홈은, 육각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삽입돌기는,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상단부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을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에 삽입고정시키는 체결기구;를 더 포함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단부 외주면에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체결기구는,
    상기 스크류락킹툴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는 내부홈이 형성된 끼움부재 및
    상기 끼움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홀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실린더를 포함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는 피스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상기 관통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끼움부재의 고정홈 내부로 삽입된 스크류락킹툴의 상단을 밀어내어 내부홈에 삽입된 상기 돌기부를 분리시킴에 따라, 상기 끼움부재가 스크류락킹툴로부터 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고정홀의 하단면이 상기 고정홀의 내측면에서 외측면의 하단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암의 상단이 테이퍼진 고정홀의 하단면을 따라 상기 고정홀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돌기부가 내부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의 상부 이격거리는, 상기 고정홀의 내부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고정홀에 억지끼움되어 체결기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의 하단면 하단의 직경거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의 상부 이격거리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암의 중단부에서 상기 암의 외측면이 이격된 최대 이격거리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 내부 직경보다 더 크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암의 중단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으로 밀착되며 고정되어 상기 연결나사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삽입홀 내주면은,
    돌출과 오목이 반복되는 지그재그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락킹툴은, 상기 암의 중단부가 상기 삽입홀의 지그재그홈에 맞물려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KR1020150056959A 2015-04-23 2015-04-23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KR101875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59A KR101875460B1 (ko) 2015-04-23 2015-04-23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959A KR101875460B1 (ko) 2015-04-23 2015-04-23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024A Division KR20150047463A (ko) 2015-03-30 2015-03-30 연결나사풀림방지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700A KR20150048700A (ko) 2015-05-07
KR101875460B1 true KR101875460B1 (ko) 2018-07-06

Family

ID=53387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959A KR101875460B1 (ko) 2015-04-23 2015-04-23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4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788A (en) * 1997-02-12 1998-01-06 Milne; Robert H. Dental implant abutment screw lock
KR200306037Y1 (ko) * 2002-11-29 2003-03-03 이용규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스크류 풀림방지장치
US6857874B2 (en) * 2002-05-16 2005-02-22 Man Yong Kim Dental implant structure
KR200386077Y1 (ko) * 2005-03-02 2005-06-07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풀림이 방지되는 임플란트
KR200455126Y1 (ko) * 2011-04-04 2011-08-19 노경선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788A (en) * 1997-02-12 1998-01-06 Milne; Robert H. Dental implant abutment screw lock
US6857874B2 (en) * 2002-05-16 2005-02-22 Man Yong Kim Dental implant structure
KR200306037Y1 (ko) * 2002-11-29 2003-03-03 이용규 인공치아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스크류 풀림방지장치
KR200386077Y1 (ko) * 2005-03-02 2005-06-07 주식회사 케이 디이 씨이 풀림이 방지되는 임플란트
KR200455126Y1 (ko) * 2011-04-04 2011-08-19 노경선 나사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8700A (ko)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91720B2 (ja) 補綴構造体とインプラント構造体との連結
KR101173758B1 (ko) 후크핀 결합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유닛
EP2934367B1 (en) Abutment
CN107847303B (zh) 牙科用种植体
AU2016276171B2 (en) Screwless dental implant connection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2014520599A (ja) 修復のための歯科インプラントおよびアバットメントの結合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2501217A (ja)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KR20130097036A (ko) 가이드홀 내면에 어뷰트먼트 체결용 탄성체 어댑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 픽스처
CA2892288A1 (en) Attachment system for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dental implant abutment
KR10167337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172838B1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20210103921A (ko) 덴쳐용 어태치먼트
KR101331496B1 (ko) 임플란트 장치
TW201729764A (zh) 植牙組件以及牙基牙
EP3585300B1 (en) Dental technology kit
KR102043772B1 (ko) 임플란트 크라운
KR101875460B1 (ko) 연결나사 풀림 방지기구
WO2011069226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holding a denture
KR200456293Y1 (ko) 원바디형 솔리드 어버트먼트
JP6432911B2 (ja) 1つまたは複数の外側環状体を備えたマウントエレメントを有する単一部分または複数部分から成る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KR101239298B1 (ko)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101978322B1 (ko) 임플란트 크라운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