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09B1 -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 Google Patents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309B1
KR101875309B1 KR1020170017066A KR20170017066A KR101875309B1 KR 101875309 B1 KR101875309 B1 KR 101875309B1 KR 1020170017066 A KR1020170017066 A KR 1020170017066A KR 20170017066 A KR20170017066 A KR 20170017066A KR 101875309 B1 KR101875309 B1 KR 10187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ass
weight
artificial turf
inorganic materia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용주
김동성
채수현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폐고무 또는 고분자수지 등을 주재료로 제조되어 활용되어온 인조잔디 충진재가 유해성물질의 발산 및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해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충진재가 개발되어 적용되었으나 실제 이러한 종래의 바이오매스 기반 충진재의 경우 물에 대해 부유력이 존재함으로써 우천 등 물에 노출되는 환경이 되면 부유됨에 따라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충진재가 흩어지고 유실되어 추가적인 보수 및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와, 수지 소재를 혼합하면서 여기에 분산제, 접착제, 발수제 및 내수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 혼합함으로써, 물에 대하여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NON FLOAT ECO-FRIENDLY FILLING MATERIALS FOR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폐고무 또는 고분자수지 등을 주재료로 제조되어 활용되어온 인조잔디 충진재가 유해성물질의 발산 및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해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충진재가 개발되어 적용되었으나 실제 이러한 종래의 바이오매스 기반 충진재의 경우 물에 대해 부유력이 존재함으로써 우천 등 물에 노출되는 환경이 되면 부유됨에 따라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충진재가 흩어지고 유실되어 추가적인 보수 및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와, 수지 소재를 혼합하면서 여기에 분산제, 접착제, 발수제 및 내수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 혼합함으로써, 물에 대하여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최근 인공조성물, 옥상, 햇빛이 잘 비치지 않는 지역 등 천연잔디를 시공하고 관리하기 어려운 장소에 잔디를 조성하기 위해 인조잔디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잔디는 천연잔디에 비해 유지관리가 편하며, 시공이 용이하며, 사용기간이 길고, 계절적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등 다양한 장점으로 활용 및 적용사례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인조잔디의 품질이 높아지면서 생활 체육시설 뿐만 아니라 공식경기를 위한 국제경기용으로의 적용이 확대되면서 인조잔디의 사용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인조잔디는 2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인조잔디의 길이가 12~13mm를 포함하며 물을 뿌려 사용하는 워터필드(water field) 구장과 인조잔디의 길이가 약 25mm인 것을 사용하고 인조 잔디 사이에 규사와 고무칩 등을 충진하여 사용하는 샌드필드(sand field) 구장으로 구분된다.
대부분의 운동장 등에 적용되고 있는 샌드필드 형태의 인조잔디는 인조잔디의 보호 및 완충성 부여 등을 위해 적용되는 충진재로서 규사를 1차 포설하여 인조잔디 사이에 충전 기반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양한 종류의 충전재를 2차로 포설하여 인조잔디 보호 완충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물질로 만들어진 인조잔디 충진재는 대체로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칩, 재생 고무칩 또는 일반 고무칩 등이 사용되는데, 태양복사열에 의한 온도상승 정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제 기온이 높은 여름철의 경우, 태양광에 의해 인조잔디 구장의 온도는 40℃ 이상으로 높아지는데, 이에 따라 충진재 칩의 연화, 녹는 현상으로 신발바닥에 뭉치거나 또는 고분자물질로부터 휘발성 물질이 발산하여 좋지 않은 냄새 및 유해물질이 발생될 수 있다. 실제 유럽 등에서는 고분자물질로 이루어진 합성 인조잔디 충진재에서 중금속, 벤젠, 톨루엔 등의 유해물질이 검출되었다는 보고로 인하여 기존 인조잔디 충진재를 대체할 친환경 소재의 이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관련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723352호에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재생 분말을 이용한 고무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과거 사용되었던 폐 고무칩의 대체를 위해 최근 사용되고 있는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고무를 가교시켜 만든 고무칩 충진재를 제조 및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EPDM 칩은 가격이 비싸며 손상 시 재활용 할 수가 없다. 또한 EPD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황 후 경화시키기 위해 다량의 첨가제가 투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금속 및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여름철 고온 환경에 노출 시 녹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고분자 물질 기반의 충진재를 대체하기 위한 친환경 충진재의 개발에 대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관련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077734호에는 인조 잔디용 친환경 충진재를 이용한 충진층 및 인조잔디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유해물질 대체 및 고온의 환경에서 인조잔디의 온도의 상승을 막기 위하여 왕겨, 칡 찌꺼기 분쇄물, 황토 등을 별다른 처리 없이 충진재로 활용하는 내용이 기재되어있다.
하지만, 별도의 처리 없이 활용할 경우 빗물이나 강풍에 부유 및 비산되어 유실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부유된 충전재가 배수구를 막는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친환경 충진재의 개발을 위해 환경유해성이 없는 바이오매스 원료를 기반으로 활용하여 충진재 제조하였으며 이때 완충성과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바이오매스 소재의 형태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가지며 특히, 바이오매스 기반 충진재의 물에 의한 부유성을 제거한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77734호(2001.10.27. 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0723352호(2007.05.30.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기존의 폐고무 또는 고분자수지 등을 주재료로 제조되어 활용되어온 인조잔디 충진재가 유해성물질의 발산 및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해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충진재가 개발되어 적용되었으나 실제 이러한 종래의 바이오매스 기반 충진재의 경우 물에 대해 부유력이 존재함으로써 우천 등 물에 노출되는 환경이 되면 부유됨에 따라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충진재가 흩어지고 유실되어 추가적인 보수 및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와, 수지 소재를 혼합하면서 여기에 분산제, 접착제, 발수제 및 내수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 혼합함으로써, 물에 대하여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는, 바이오매스 소재, 무기 소재, 수지 소재 및 첨가제를 조성물로 포함하되,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10~50중량%, 무기 소재 20~60중량% 및 수지 소재 10~30중량%로 혼합되어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00중량부 기준으로 첨가제 0.5~1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물은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30~50중량%, 무기 소재 40~60중량% 및 수지 소재 10~30중량%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물은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는 해머밀 및 볼밀을 포함하는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40~60mesh로 분쇄된 분쇄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지 소재는 고형분 함량이 10~30%인 속건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는,
바이오매스 소재가 골고루 펼쳐진 판에 첨가제를 투입하고, 수지 소재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가 뭉치도록 유도한 뒤(S1),
상기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가 뭉쳐서 응집된 직후 상기 무기 소재를 뿌려주어, 상기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에 무기 소재가 함께 응집될 수 있도록 하며(S2),
이에 일정압을 가하여, 수지 소재,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를 뭉쳐혼합체를 제조하고(S3),
이후, 혼합체를 150℃의 온도에서 1분간 열풍건조시켜 건조시킨 뒤(S4),
진동스크린에 옮겨 상기 진동스크린에 진동을 가하여, 건조되어 표면이 끈적해진 혼합체의 표면에, 바닥에 잔류된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가 달라붙도록 하고(S5), 잔류된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 중 혼합체 표면에 달라붙지 못하고 잔류한 것들을 상기 진동스크린의 하부로 낙하(S6)시키는 과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에 의하면, 물에 대하여 부유되거나,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소재를 주재료로 제조되어 물에 대한 부유력이 존재하는 까닭에 우천시 물에 노출되는 환경이 되면 물에 부유되어 유실되거나 흩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폐고무, 고분자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충진재의 유해성을 극복하는 바이오매스 기반의 충진재가 가지는 물에 부유되는 취약점을 극복하고 특히, 물에 노출 또는 침수되었을 때 발생되는 내구력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폐고무 또는 고분자수지 등을 주재료로 제조되어 활용되어온 인조잔디 충진재가 유해성물질의 발산 및 환경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해 왕겨 등의 바이오매스 소재를 활용한 충진재가 개발되어 적용되었으나 실제 이러한 종래의 바이오매스 기반 충진재의 경우 물에 대해 부유력이 존재함으로써 우천 등 물에 노출되는 환경이 되면 부유됨에 따라 인조잔디를 구성하는 충진재가 흩어지고 유실되어 추가적인 보수 및 보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와, 수지 소재를 혼합하면서 여기에 분산제, 접착제, 발수제 및 내수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 혼합함으로써, 물에 대하여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는 상기와 같이 바오이매스 소재, 무기 소재, 수지 소재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바이오매스 소재는, 수피, 낙엽, 잔가지 등의 폐기성 임지부산물이나, 천연목질, 비목질 섬유 또는 재활용 고지분쇄물, 코코피트, 오일팜 미세분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소재는 해머밀, 볼밀 등의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데, 이때 분쇄 크기는 40~60mesh 사이의 사이분을 이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40mesh 미만의 분쇄분을 이용하는 경우 인조잔디 충진재로 제조되면, 분쇄분의 크기가 너무 커서 활용성도 부족하고 아래 [표 1]과 같은 최종 형태로의 제조가 어렵다.
그리고 60mesh를 초과하는 분쇄분을 이용하는 경우, 분쇄분의 크기가 너무 미세해져 [표 1]과 같이 외부로의 돌출 형태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구조적 강성과 완충성이 저하된다.
Figure 112017012877276-pat00001
Figure 112017012877276-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충진재
무기 소재는, 황토나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소재 역시 상술된 바이오매스 소재와 마찬가지로 분쇄된 분쇄분을 이용하며, 그 크기는 40~60mesh 사이의 사이분을 이용한다.
만약, 40mesh 미만이면 분쇄분의 입자가 너무 미세하여 분진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60mesh를 초과하면 후술되는 수지 소재와의 혼합이 용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지 소재는, 속건성 수지로서 천연고무, 라텍스, 폴리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속건성 수지를 수지 소재로서 사용하는 이유는, 후술되는 제조과정 중 수지 소재의 신속한 건조를 위함이며, 다른 성질의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건조되는 속도가 느려짐에 따라 바이오매스 소재 및/또는 무기 소재의 접착이 너무 다량으로 이루어져 상술된 [표 1]의 형태를 갖을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완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수지 소재는, 액체 형태로 이루어져 고형분 함량이 10~30%가 되도록 한다. 이때, 고형분 함량이 10% 미만인 경우 수지 소재(용액)이 퍼지는 현상 때문에 인조잔디 충진재의 강도가 약해지고, 30%를 초과하는 경우 바이오매스 소재와의 결합이 충분하지 못해 상술된 [표 1]의 외형적 특성을 갖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바이오매스 소재, 무기 소재 및 수지 소재는, 각각 바이오매스 소재 10~50중량%, 무기 소재 20~60중량% 및 수지 소재 10~30중량%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바이오매스 소재, 무기 소재 및 수지 소재의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첨가제가 0.5~1중량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를 제조하는 과정은, 첨부된 도면의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바이오매스 소재가 고루 펼쳐진 상태에서 첨가제를 투입시키고 수지 소재를 일정크기의 방울 형태로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가 뭉치도록 유도한다(S1).
그리고 상기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가 뭉쳐서 응집된 직후 무기 소재를 뿌려주어, 상기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에 무기 소재가 함께 응집될 수 있도록 한다(S2).
그리고 프레스 롤이나 프레스 판을 이용하여 일정압을 가함으로써 수지 소재,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가 유기적으로 강하게 뭉치도록 한다(S3).
이후, 150℃의 온도에서 1분간 열풍건조시켜 뭉쳐진 혼합체를 건조(S4)하는데, 이때 혼합체의 표면은 건조됨에 따라 접착성이 증가되어 끈적거림을 유지하게 되며, 혼합체가 위치한 바닥에는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가 고루 펼쳐진 상태이므로, 이를 진동스크린으로 옮겨 상기 진동스크린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바닥에 잔류된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가 더 달라붙게 되고(S5), 달라붙지 못하고 잔류된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는 진동스크린의 저면으로 낙하된다(S6).
이때, 낙하된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는 재활용되어 인조잔디 충진재로 다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스크린은, 본 발명의 쉬운 이해를 위해 옮겨진다는 단어를 선택하였으나, 최초 소재들이 펼쳐지는 판이 사용자 조작에 따라 막혀있다가 메쉬망 형태로 개방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한편, 열풍건조시, 150℃의 온도 미만에서는 건조 속도가 저하됨에 따라 접착이 용이하지 않았고, 150℃의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바이오매스 소재가 탄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150℃의 온도 미만에서 열풍건조가 수행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이 역시 건조 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50℃의 온도를 초과하면서 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도 있을 수 있으나, 시간이 저하된다고 해도 바이오매스 소재가 탄화되는 현상은 발견되었다.
실험예 1. 인조잔디 충진재의 외관 특성
무기 소재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당연히 부유력이 감소하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무기 소재의 함량을 어느 정도까지 유지하는 경우에 원하는 완충성이 있는 외관을 확보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본 평가는, 무기 소재가 외관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수재 소재의 함량은 10중량%로 고정하고, 무기 소재를 10중량%에서 10중량% 단위로 계속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하되, 바이오매스 소재의 함량 역시 무기 소재의 함량에 대응되도록 조절하였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원하는 외관 특성이 나올 때까지 평가하는 방식을 수행하였다.
바이오매스 소재 80중량% 70중량% 60중량% 50중량%
무기 소재 10중량% 20중량% 30중량% 40중량%
수지 소재 10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Figure 112017012877276-pat00003
Figure 112017012877276-pat00004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수지 소재 10중량%
바이오매스 소재 60중량%
무기 소재 30중량%
수지 소재 10중량%
그 결과, 처음 무기 소재의 함량을 10중량%로 설정한 경우, 바이오매스 소재는 80중량%가 함유되고, 수지 소재는 10중량%가 함유되었는데, [표 3]의 우측과 같이 완충성을 기대할 수 없는 형태로 제조되었다.
적어도, 완충성과 고벌크성을 기대하려면 바이오매스 소재가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그리고 평가를 지속한 결과,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에서 바이오매스 소재가 외부에 불규칙적으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었다.
아울러, 위와 같은 외관 특성을 갖도록 제조된 것, 즉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로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와, 바이오매스 소재 60중량%, 무기 소재 3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로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를 부유시켜본 결과, 아래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Figure 112017012877276-pat00005

* C는 [표 3]의 좌측과 동일, D는 [표 3]의 우측과 동일
즉,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바이오매스 소재 60중량%, 무기 소재 3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D)의 경우 물에 대하여 부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반대로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C)의 경우 물에 대하여 부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바이오매스 소재는 50중량%를 넘지 않도록 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무기 소재의 함량을 조절하여야지만, 완충성과 고벌크성을 갖는 외관 특성을 충족하면서 물에 대하여 부유력이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본 출원인은 시판되고 있는 바이오매스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충진재(A 및 B)를 대조군으로 하여 위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으로 제조된 인조잔디 충진재(C)와의 부유에 대한 차이점을 평가하였다.
참조예 1. 대조군과의 비교
평가는, 실험예 1과 동일하게 물이 수용된 용기 내부에 각각의 대조군 A 및 B와 실험예 1에 따른 인조잔디용 충진재 C를 입수시킨 뒤,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래 [표 5]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17012877276-pat00006
대조군 A 및 B의 경우 부유됨은 물론, 물과 융합되면서 바이오매스가 풀어져 흩어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만약 이러한 대조군 A 및 B를 인조잔디 충진재로 실적용한다면, 장기간 사용에 따른 흐트러짐에 더하여 물에 접촉되면서 인조잔디 구장이 훼손되는 결과는 당연하다 볼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C는 흐트러짐 현상도 없었고, 부유되지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조성물의 함량이 부유력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예 2에서는, 바이오매스 소재, 무기 소재 및 수지 소재의 각 함량에 따른 부유력 정도를 평가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방법)
실험예 2는, 상술된 실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는 한편, 바이오매스 소재, 무기 소재 및 수지 소재의 각 함량을 다음의 [표 6]과 같이 설정하도록 한다.
단위:중량% 실험군 1 실험군 2 실험군 3 실험군 4 실험군 5 실험군 6
바이오매스 소재 10 20 30 40 50 60
무기
소재
80 70 60 50 40 30
수지
소재
10 10 10 10 10 10
평가 - - 부유안됨 부유안됨 부유안됨 부유됨
위 [표 6]과 같이 수지 소재의 함량은 10중량%로 고정하면서, 바이오매스 소재의 함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는 한편, 무기 소재의 함량을 바이오매스 소재에 대응되도록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각 함량을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결과, 실험군 1 및 2에 따른 인조잔디 충진재의 경우 바이오매스 소재의 표면 노출이 아예 나타나지 않았다. 즉, 완충성 및 고벌크성을 아예 기대할 수 없을 정도였다.
그리고 실험군 6의 경우, 상기의 [표 3]과 같은 형태가 되어 바이오매스 소재가 표면에 노출되긴 하였으나, 돌출되는 형태가 아니어서, 본 출원인이 의도하는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 완충성 및 고벌크성을 달성할 수 있고, 다수 개 적층시 다수의 이격된 간격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태'의 형성이 불가능했다.
또한, [표 4]에서 볼 수 있듯이, 물에서 부유력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무기 소재는 적어도 40중량% 이상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실험군 3 내지 5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 충진재의 의도하는 외관 특성이 유지되었고, 물에서도 확실히 가라앉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실험군 3 내지 5만 두고 평가하면, '불규칙적으로 돌출되어 완충성 및 고벌크성을 달성할 수 있고, 다수 개 적층시 다수의 이격된 간격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태'에 가장 충족하는 것은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로 제조된 실험군 5에 따른 인조잔디 충진재였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Claims (7)

  1. 바이오매스 소재, 무기 소재, 수지 소재 및 첨가제를 조성물로 이용하여 물에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에 있어서,
    바이오매스 소재가 골고루 펼쳐진 상태에서 첨가제를 투입시키고 수지 소재를 일정크기의 방울 형태로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여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가 뭉치도록 유도한 뒤(S1),
    상기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가 뭉쳐서 응집된 직후 상기 무기 소재를 뿌려주어, 상기 수지 소재와 바이오매스 소재에 무기 소재가 함께 응집될 수 있도록 하며(S2),
    이에 프레스 롤이나 프레스 판을 이용하여 일정압을 가함으로써 수지 소재,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가 유기적으로 강하게 뭉쳐지도록 하고(S3),
    혼합체를 열풍건조시켜 접착성을 증가시켜 끈적거림을 유지하며(S4),
    진동스크린에 옮겨 상기 진동스크린에 진동을 가하여, 혼합체의 표면에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가 달라붙도록 하고(S5),
    잔류된 바이오매스 소재와 무기 소재 중 혼합체 표면에 달라붙지 못하고 잔류한 것들을 상기 진동스크린의 하부로 낙하된 뒤, 재활용(S6)시키는 과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10~50중량%, 무기 소재 20~60중량% 및 수지 소재 10~30중량%로 혼합되어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100중량부 기준으로 첨가제 0.5~1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30~50중량%, 무기 소재 40~60중량% 및 수지 소재 10~30중량%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50중량%, 무기 소재 40중량% 및 수지 소재 10중량%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매스 소재 및 무기 소재는 해머밀 및 볼밀을 포함하는 분쇄장치를 이용하여 40~60mesh로 분쇄된 분쇄분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 소재는 고형분 함량이 10~30%인 속건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7. 삭제
KR1020170017066A 2017-02-07 2017-02-07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KR101875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066A KR101875309B1 (ko) 2017-02-07 2017-02-07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066A KR101875309B1 (ko) 2017-02-07 2017-02-07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09B1 true KR101875309B1 (ko) 2018-07-05

Family

ID=62920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066A KR101875309B1 (ko) 2017-02-07 2017-02-07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67B1 (ko) * 2011-10-14 2012-07-05 (주)영일에이치앤티 인조잔디용 동결방지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3360B1 (ko) 2013-04-02 2014-02-17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인조잔디용 친환경 기능성 충진재
KR101816473B1 (ko) * 2017-02-07 2018-02-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67B1 (ko) * 2011-10-14 2012-07-05 (주)영일에이치앤티 인조잔디용 동결방지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3360B1 (ko) 2013-04-02 2014-02-17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인조잔디용 친환경 기능성 충진재
KR101816473B1 (ko) * 2017-02-07 2018-02-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211B1 (ko)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탄성 칩 조성물 및 제조방법
US20230243110A1 (en) Compostable artificial turf infill
EP2206833A1 (en) A method of producing an infill material for synthetic-grass structures, corresponding material, and synthetic grass structure
US20210285166A1 (en) Infill For Artificial Turf System
DE10251818B4 (de) Lose, rieselfähige Gummipartikel,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GB2292091A (en) Surfaces for sports grounds
KR101816473B1 (ko)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WO2004015009A1 (en) Compaction material for synthetic lawn,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and use
KR101875309B1 (ko) 부유되지 않는 친환경 완충 인조잔디 충진재
KR101041008B1 (ko) 인조잔디 롱파일 충진용 재생 우레탄칩
KR101811562B1 (ko) 무기물이 충전된 친환경 인조잔디 충전재의 연속 제조 장치
US20170044346A1 (en) Process for making pellet product for use in soil neutralization and other applications
KR101855086B1 (ko)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KR101760231B1 (ko) 무기물이 충전된 친환경 인조잔디 충진재
US20200216673A1 (en) Thermoplastic synthetic turf infill comprising organic filler
KR100909003B1 (ko) 이중층 구조의 인조골재 조성물
EP2207607A1 (en) Equestrian surfacing materials
WO2005073297A1 (en) Compaction expanded material for synthetic lawn, production process for the same and use
KR102579236B1 (ko) 코르크 칩을 이용한 문양 도색 방법 및 이의 방법이 적용된 코르크 바닥 포장재
US20230407579A1 (en) Natural artifical turf infill
US20230374738A1 (en) Artifical turf infill with natural rubber granules
AU699250B2 (en) Treatment of particulate surfaces
US20240068174A1 (en) Production process of a granular infill material and related granular infill material
NZ283700A (en) Treatment of particulate surfaces using a sprayable composition comprising a synthetic polymer material dissolved in a fluid oil component
CA3208044A1 (en) Turf infill material and related tur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