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216B1 - Stand - Google Patents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216B1
KR101875216B1 KR1020160145050A KR20160145050A KR101875216B1 KR 101875216 B1 KR101875216 B1 KR 101875216B1 KR 1020160145050 A KR1020160145050 A KR 1020160145050A KR 20160145050 A KR20160145050 A KR 20160145050A KR 101875216 B1 KR101875216 B1 KR 101875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electrode terminal
auxiliary
lamp
sig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8016A (en
Inventor
강태원
Original Assignee
강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원 filed Critical 강태원
Priority to KR102016014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216B1/en
Publication of KR20180048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0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를 밝혀주는 램프와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플레이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장치들이 장착된 보조 모듈들이 조립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색상 및 밝기가 조절되는 램프가 장착된 프레임이 체결되는 조명 모듈;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플레이어,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와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램프의 제어에 이용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가 장착되어 있는 메인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과 상기 메인 모듈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모듈을 포함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 in which auxiliary modules equipped with electronic devices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s well as a hologram player for outputting a hologram and a lamp for illuminating a visual field are assembled. To this end, 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tion module to which a frame equipped with a lamp whose color and brightness is adjusted is fastened; A main module having a hologram player outputting a hologram,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hologram player, the lamp, and an input unit receiving a signal used for controlling the lamp; And at least one auxiliary module insert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and the main module.

Description

스탠드{STAND}Stand {STAND}

본 발명은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

스탠드는 책상 등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밝혀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tand is placed on a desk and performs a function of illuminating the user's view.

스탠드의 밝기 및 색상은 사용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Brightness and color of the stand have a big effect on the user.

특히, 오랜 시간 동안,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하는 학생에게, 스탠드는 매우 중요한 조명장치이다.Especially for a student who is sitting at a desk for a long time, the stand is a very important lighting device.

그러나, 종래의 스탠드는 단순히 사용자의 시야를 밝혀주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tand simply performs a function of illuminating the user's view.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2792호 (2016.08.11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6-0002792 (published Aug. 11, 201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690호 (2010.11.01 공개)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10690 (published on November 11, 2010)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야를 밝혀주는 램프와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플레이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장치들이 장착된 보조 모듈들이 조립된,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 in which not only a hologram player for outputting a hologram and a lamp for illuminating a visual field but also auxiliary modules equipped with electronic devices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re assembled .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색상 및 밝기가 조절되는 램프가 장착된 프레임이 체결되는 조명 모듈;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플레이어,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와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램프의 제어에 이용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가 장착되어 있는 메인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과 상기 메인 모듈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 모듈에는 음성 녹음장치, 영상 녹화장치, 영상 출력장치, 음성 출력장치, 알람 장치, 움직임 감지센서, 음성 감지센서, 백색소음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보조 모듈의 상단면과 상기 메인 모듈 각각의 상단면에는 제1 체결부 및 제1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모듈의 하단면과 상기 조명 모듈 각각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 및 제2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모듈에 구비된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 및 상기 제2 전기신호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nd comprising: an illumination module to which a frame equipped with a lamp whose color and brightness is adjusted is coupled; A main module having a hologram player outputting a hologram,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hologram player, the lamp, and an input unit receiving a signal used for controlling the lamp; And at least one auxiliary module insert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and the main modul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voice recording device, a video recording device, a video output device, a sound output device, an alarm device, a motion detection sensor, a voice detection sensor, and a white noise output device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module.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and a top surface of each of the main modules.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module and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illumination modules are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art and a second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which ar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The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the auxiliary module is driven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electric signal connection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기에게 필요한 전자장치가 장착된 보조 모듈들을 직접 선택 및 조립하여 스탠드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예산 한도에서 자신에게 꼭 필요한 전자장치가 장착된 보조 모듈만을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directly select and assemble the auxiliary modules equipped with the electronic device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user, to complete the stand. Therefore, the user can purchase and use only an auxiliary module equipped with an electronic device, which is necessary for him / herself, within his / her budget limit.

또한, 선택한 보조 모듈들을 이용해 스탠드를 완성한 이후에도, 또 다른 보조 모듈을 개별적으로 구매한 후, 상기 스탠드에 체결시켜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even after completing the stand using the selected auxiliary modules, it is possible to use another auxiliary module after separately purchasing the auxiliary modules and fastening them to the st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view of 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internal structural view of th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 및 밝기가 조절되는 램프(150)가 장착된 프레임(140)이 체결되는 조명 모듈(110),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플레이어(160),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와 상기 램프(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90) 및 상기 램프(150)의 제어에 이용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121)가 장착되어 있는 메인 모듈(120), 및 상기 조명 모듈(110)과 상기 메인 모듈(120)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모듈(130)을 포함한다.1 to 4, th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llumination module 110 to which a frame 140 equipped with a lamp 150 whose color and brightness is adjusted is fastened, a hologram player A controller 190 for controlling the hologram player 160 and the lamp 150 and an input unit 121 for receiving a signal used for controlling the lamp 150. The main module 120 And at least one auxiliary module 130 insert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110 and the main module 120.

첫째, 상기 램프(150)는 다양한 색상의 빛을 출력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rst, the lamp 150 may be constructed using light emitting diodes capable of outputting light of various colors.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1)를 통해 상기 램프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The user can change the color of the lamp through the input unit 121.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공부 스케줄 또는 업무 스케줄 등에 대응되는 조명의 색상을 설정한 후, 설정된 정보를 상기 메인 모듈(120)에 장착된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t the color of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his / her own study schedule or work schedule, and then store the se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mounted in the main module 120. [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21)를 통해 상기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input the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21.

또한,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망 또는 유선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상기 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상기 제어부(190)와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90)가 제공하는 설정 프로그램을 구동하며, 상기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4, the user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190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using either the wireless network or the wired network, and transmits the setting program, which is provided by the control unit 190, And may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through the setting program.

예를 들어, 사용자가 19시부터 20시까지는 수학 공부를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는 19시부터 20시까지는 수학 및 과학 계열의 공부 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색상이 상기 램프(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has a plan to study mathematics from 19:00 to 20:00, the user can select a color from 19:00 to 20:00 that can help in the study of mathematics and science through the lamp 150 And stores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in the storage unit.

또한, 사용자가 20시부터 21시까지는 영어 공부를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는 20시부터 21시까지는 언어 계열의 공부 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색상이 상기 램프(1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user plans to study English from 20:00 to 21:00, the user can set the information to be outputted through the lamp 150 from 20:00 to 21:0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램프의 색상과 학업 또는 업무의 집중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많은 정보들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학업 또는 업무의 종류와 램프의 색상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선택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맞는 램프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Much information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or of the lamp and the concentration of work or work. Thus, the setting program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type of study or work and the color of the lamp. The user can select the color of the lamp suitable for the user by using various selectio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tting program.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상기 램프(150)를 구동하거나 상기 램프의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may drive the lamp 150 or change the color of the lamp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둘째,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램프(150)를 지지한다.Second, the frame 140 supports the lamp 150.

상기 프레임(140)은 상기 조명 모듈(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frame 140 is rotatably mounted to the lighting module 110.

셋째, 상기 조명 모듈(110)은 상기 프레임(140)을 지지한다.Third, the lighting module 110 supports the frame 140.

상기 조명 모듈(110)에는 상기 프레임(140) 이외에도, 음성 녹음장치, 영상 녹화장치, 영상 출력장치, 음성 출력장치, 알람 장치, 움직임 감지센서, 음성 감지센서, 백색소음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백색소음 출력장치는 자연의 소리를 저장 및 출력하는 장치이다. The lighting module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ice recording device, a video recording device, a video output device, a sound output device, an alarm device, a motion detection sensor, a voice detection sensor, The device can be mounted. The white noise output device is a device for storing and outputting natural sounds.

또한, 상기 프레임(140)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 모듈(140)에 장착될 수 있다.Further, the frame 14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in which the angle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changed, and the frame 140 may be mounted on the lighting module 140.

예를 들어, 도 1에서, 상기 프레임(140)은 힌지 형태로 상기 조명 모듈(110)에 장착되어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 모듈(110) 또는 상기 조명 모듈과 상기 프레임(140)이 연결된 부분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40)이 상하 방향으로도 회전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1, the frame 140 is mounted on the lighting module 110 in the form of a hinge,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lighting module 110 or a portion where the lighting module and the frame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rotatable, so that the frame 140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well.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프레임(140)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조명 모듈(110)에 장착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rame 140 may be mounted to the lighting module 110 via a connection that can be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넷째, 상기 보조 모듈(130)은 상기 조명 모듈(110)과 상기 메인 모듈(120)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조명 모듈(110)과 상기 메인 모듈(1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보조 모듈(130)이 삽입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는, 세 개의 상기 보조 모듈(130)들 및 하나의 더미 모듈(130a)이 상기 조명 모듈(110)과 상기 메인 모듈(120)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스탠드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Fourth, the auxiliary module 130 is insert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110 and the main module 120. At least one auxiliary module 130 is insert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110 and the main module 120. 1, 2, and 4, a stand in which three auxiliary modules 130 and one dummy module 130a are insert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110 and the main module 120, As shown in FIG.

상기 보조 모듈(130)에는 음성 녹음장치, 영상 녹화장치, 영상 출력장치, 음성 출력장치, 알람 장치, 움직임 감지센서, 음성 감지센서, 백색소음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139)가 장착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는, 하나의 전자장치(139)가 구비된 상기 보조 모듈(130)들을 포함하는 스탠드가 본 발명의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139 such as a voice recording device, a video recording device, a video output device, a sound output device, an alarm device, a motion detection sensor, a voice detection sensor, and a white noise output device is mounted on the auxiliary module 130 . 1, 2 and 4, a stand including the auxiliary modules 130 with one electronic device 139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보조 모듈(130)의 상단면과 상기 메인 모듈(120) 각각의 상단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131) 및 제1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는 상기 제1 체결부(131)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 체결부(131)에 구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first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part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main modules 120, respectively. The first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131 or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131.

상기 보조 모듈(130)의 하단면과 상기 조명 모듈(110) 각각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131) 및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132) 및 제2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전기신호 연결부는 상기 제2 체결부(132)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 체결부(132)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lighting modules 110 are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part 132 and a second coupling part 132 which ar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An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part is provided. The second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2 or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2.

상기 제1 체결부(131)와 상기 제2 체결부(132)는 상기 메인 모듈(120)과 상기 보조 모듈(130), 또는 두 개의 상기 보조 모듈(130)들, 또는 상기 보조 모듈(130)과 상기 조명 모듈(110), 또는 상기 보조 모듈(130)과 상기 더미 모듈(130a), 또는 기타 다양한 조합의 모듈들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32 are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120 and the auxiliary module 130 or two auxiliary modules 130 or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illumination module 110, or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dummy module 130a, or various other combinations of modules.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와 상기 제2 전기신호 연결부는 상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조합의 모듈들 간의 전기신호, 예를 들어, 통신신호 또는 제어신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 electrical signals, for example, communication signals or control signals, between the various combinations of modules described above.

상기 보조 모듈(130)에 구비된 상기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 및 상기 제2 전기신호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19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된다.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auxiliary module 130 is driven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90 through the first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unit.

상기 제1 체결부(131)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132)는 양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체결부(132)의 표면에는 돌출부(13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131)에는 상기 돌출부(133)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체결부(131)와 상기 제2 체결부(132)의 형태는 상기에서 설명된 형태와 반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1, 2 and 4, the first fastening part 131 may be formed at an obtuse angle,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32 may be formed at an angled shape. In this case, a protrusion 133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part 132, and a groove into which the protruding part 133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fastening part 131. However, the shapes of the first fastening part 131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132 may be opposite to those described above.

다섯째, 상기 보조 모듈(130)의 상단면과 상기 메인 모듈(120) 각각의 상단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전극 단자(135)와 제2 전극 단자(135a)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모듈(130)의 하단면과 상기 조명 모듈(110) 각각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전극 단자(135)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13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극 단자(134) 및 제4 전극 단자(134a)가 구비된다.Fifth, a first electrode terminal 135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135a to which power is supplied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main modules 120, respectively. A third electrode terminal 134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35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35a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each of the illumination modules 110, And a fourth electrode terminal 134a.

상기 제3 전극 단자(134)와 상기 제4 전극 단자(134a)는 상기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135)와 상기 제2 전극 단자(135 a)는 상기 상단면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전극 단자들(135, 135a, 134, 134a)은 상기에서 설명된 형태와 반대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The third electrode terminal 134 and the fourth electrode terminal 134a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surface,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35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35a are formed in the upper And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surface. However,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 terminals 135, 135a, 134, and 134a may have shapes opposite to those described above.

상기 보조 모듈(130)에 장착된 상기 전자장치(139) 및 상기 조명 모듈(110)에 장착된 상기 램프(150)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전극 단자들(135, 135a, 134, 134a)을 통해, 상기 메인 모듈(120)에 장착된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The electronic device 139 mounted on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lamp 150 mounted on the lighting module 1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fourth electrode terminals 135, And is driven by a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main module 120.

여섯째, 상기 더미 모듈(130a)은 상기 조명 모듈(110)과 상기 메인 모듈(120) 사이, 또는 상기 메인 모듈(120)과 상기 보조 모듈 사이(130), 또는 두 개의 상기 보조 모듈(130)들 사이, 또는 상기 보조 모듈(130)과 상기 조명 모듈(110) 사이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더미 모듈(130a)은 또 다른 더미 모듈(130a)들 사이에 체결될 수도 있다.Sixth, the dummy module 130a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110 and the main module 120, or between the main module 120 and the auxiliary module 130, or between the auxiliary modules 130 Or between the auxiliary module 130 and the lighting module 110. Also, the dummy module 130a may be fastened between the other dummy modules 130a.

상기 더미 모듈(130a)에는 전자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가격이 상기 보조 모듈(130) 보다 저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더미 모듈(130a)은 상기 보조 모듈(130)의 개수가 작아, 상기 스탠드의 높이가 낮을 때, 이용될 수 있다. The dummy module 130a is not equipped with an electronic device. Therefore, the price may be lower than the cost of the auxiliary module 130. Accordingly, the dummy module 130a can be used when the number of the auxiliary modules 130 is small and the height of the stand is low.

상기 더미 모듈(130a)에는, 상기 제1 체결부(131),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 상기 제2 체결부(132) 및 상기 제2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된다.The dummy module 130a includes the first coupling part 131, the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the second coupling part 132, and the second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더미 모듈(130a)의 상단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전극 단자(135)와 제2 전극 단자(135a)가 구비되며, 상기 더미 모듈(130a)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전극 단자(135)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135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극 단자(134) 및 제4 전극 단자(134a)가 구비된다.A first electrode terminal 135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135a are provid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dummy module 130a to supply power and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135a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35b are form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dummy module 130a. And a third electrode terminal 134 and a fourth electrode terminal 134a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135a.

일곱째, 상기 메인 모듈(120)에는 상기 전자장치(139)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장착된다.Seventh, the main module 120 is equipp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139.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의 동작 방법이 설명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st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첫째, 상기 제어부(1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망 또는 유선망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First, the controller 190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a wired network, as shown in FIG.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150),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 및 상기 전자장치(139)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190 stores an applic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0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lamp 150, the hologram player 160 and the electronic device 139 Or the like.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의 스케줄에 따라, 상기 램프(150)의 색상을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이 되면, 상기 램프(150)가 상기 색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램프(150)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ets the color of the lamp 150 according to his / her schedule using the setting program, the controller 190 sets the time set by the user The lamp 150 may control the lamp 150 to output the color.

또한, 사용자가 상기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정 시간에 특정 홀로그램을 출력하도록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특정 시간이 되면, 상기 특정 홀로그램을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홀로그램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user sets the specific hologram to be output at a specific time using the setting program, the controller 190 can output the specific hologram through the hologram player 160 have. The user can store various types of holograms desired by the user in the storage unit using the setting program.

또한, 사용자가 상기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들, 예를 들어, 음성 녹음장치, 영상 녹화장치, 영상 출력장치, 음성 출력장치, 알람 장치, 움직임 감지센서, 음성 감지센서, 백색소음 출력장치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를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설정 정보에 포함된 조건이 만족되면, 설정 정보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Further,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use the setting program to set the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voice recording device, a video recording device, a video output device, a voice output device, an alarm device, a motion detection sensor, The controller 190 can control th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application control signal includ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if the condition includ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is satisfied have.

둘째,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입력부(121) 또는 상기 보조 모듈(130)에 구비된 상기 전자장치(139)를 통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Second, the control unit 190 stores the application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21 or the electronic device 139 provided in the auxiliary module 130 in the storage unit.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에 포함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150),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 상기 전자장치(139) 및 또 다른 보조 모듈(130)에 구비된 전자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dition included in the application control signal is satisfied,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lamp 150, the hologram player 160, the electronic device 139 and another auxiliary module 130 Or the electronic device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부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 램프(150), 상기 전자장치(139) 및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를 통해, 직접 자신이 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가 입력된 상기 램프(150), 상기 전자장치(139) 및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를 직접 제어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가 입력된 장치 이외의 장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the user can directly input a desired application control signal through the lamp 150, the electronic device 139, and the hologram player 160. The control unit 190 can directly control the lamp 150, the electronic device 139 and the hologram player 160 to which the application control signal is inputt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control sig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a device other than the device to which the signal is input.

예를 들어,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알람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알람 시간이 되면, 상기 램프(150)를 턴온시키라는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상기 알람 시간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150)를 턴온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alarm time is set through the alarm device and an application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lamp 150 is generated at the alarm time,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alarm device that the alarm time has arrived The control unit may turn on the lamp 150. [0035]

또한,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알람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알람 시간이 되면,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를 턴온시키라는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알람 장치를 통해 상기 알람 시간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160)를 턴온시켜 기 설정된 홀로그램을 출력시킬 수 있다. When the alarm time is set through the alarm device and the application control signal to turn on the hologram player 160 is generated when the alarm time is reach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larm time has arrived via the alarm device , The controller may turn on the hologram player 160 and output a predetermined hologram.

또한,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영상 녹화장치를 구동시켜 영상을 녹화하라는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가 생성된 경우, 상기 움직임 감지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녹화장치를 턴온시켜 영상을 녹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an application control signal for recording an image by driving the image recording device is generat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if motion is detected through the motion detection sensor, So that the image can be recorded.

또한,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상기 음성 녹음장치, 상기 영상 녹화장치, 상기 영상 출력장치, 상기 백색소음 출력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장치를 직접 구동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may directly drive the voice recording device, the video recording device, the video output device, the white noise output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if necessar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조명 모듈 120: 메인 모듈
130: 보조 모듈 130a: 더미 모듈
140: 프레임 150: 램프
160: 홀로그램 플레이어 190: 제어부
200: 통신 단말기
110: illumination module 120: main module
130: auxiliary module 130a: dummy module
140: frame 150: lamp
160: Hologram player 190:
200: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9)

색상 및 밝기가 조절되는 램프가 장착된 프레임이 체결되는 조명 모듈;
홀로그램을 출력하는 홀로그램 플레이어,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와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램프의 제어에 이용되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가 장착되어 있는 메인 모듈;
상기 조명 모듈과 상기 메인 모듈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모듈; 및
상기 조명 모듈과 상기 메인 모듈 사이, 또는 상기 메인 모듈과 상기 보조 모듈 사이, 또는 두 개의 상기 보조 모듈들 사이, 또는 상기 보조 모듈과 상기 조명 모듈 사이에 체결되어 높낮이를 조절하되, 전자 장치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더미 모듈;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모듈의 상단면에는 제1 체결부 및 제1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더미 모듈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 및 제2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더미 모듈의 상단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더미 모듈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극 단자 및 제4 전극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모듈에는 음성 녹음장치, 영상 녹화장치, 영상 출력장치, 음성 출력장치, 알람 장치, 움직임 감지센서, 음성 감지센서, 백색소음 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가 장착되는 스탠드.
An illumination module to which a frame equipped with a lamp whose color and brightness is adjusted is fastened;
A main module having a hologram player outputting a hologram,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hologram player, the lamp, and an input unit receiving a signal used for controlling the lamp;
At least one auxiliary module inserted between the lighting module and the main module; And
Wherein the main unit is coupled to the main module and the auxiliary module, or between the auxiliary modules, or between the auxiliary module and the lighting module to adjust the height,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A dummy module,
Wherein the dummy module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ortion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fastening part and a second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which ar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are provided on a lower end surface of the dummy module,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to which power is supplied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dummy module,
A third electrode terminal and a fourth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ummy modul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udio recording device, the video recording device, the video output device, the audio output device, the alarm device, the motion detection sensor, the voice detection sensor, and the white noise output device is mounted on the auxiliary modu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모듈의 상단면과 상기 메인 모듈 각각의 상단면에는 제1 체결부 및 제1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모듈의 하단면과 상기 조명 모듈 각각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 및 제2 전기신호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모듈에 구비된 전자장치는 상기 제1 전기신호 연결부 및 상기 제2 전기신호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되는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fastening part and a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and a top surface of each of the main module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and the lower end surface of each of the illumination modules are provided with a second fastening part and a second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which ar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and the first electric signal connection part,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auxiliary module is driven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first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electrical signal connection uni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양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의 표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모듈의 상단면과 상기 메인 모듈 각각의 상단면에는 전원이 공급되는 제1 전극 단자와 제2 전극 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모듈의 하단면과 상기 조명 모듈 각각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 전극 단자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전극 단자 및 제4 전극 단자가 구비되는 스탠드.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at an obtuse angle,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A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s form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ed,
And a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to which power is supplied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main modules,
And a third electrode terminal and a fourth electrode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auxiliary module and a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illumination module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 단자와 상기 제4 전극 단자는 상기 하단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와 상기 제2 전극 단자는 상기 상단면에 홈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모듈에 장착된 상기 전자장치 및 상기 조명 모듈에 장착된 상기 램프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4 전극 단자들을 통해, 상기 메인 모듈에 장착된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스탠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electrode terminal and the fourth electrode terminal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end face,
Wherein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ar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upper surface,
Wherein the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auxiliary module and the lamp mounted on the lighting module are driven by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main module through the first to fourth electrode termin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에는 상기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무선망 또는 유선망을 통해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 및 상기 전자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module is equipp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Wherein the control unit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wireless network or a wired network to store an applic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lamp, the hologram player, Or the lik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에는 상기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보조 모듈에 구비된 상기 전자장치를 통해 입력된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램프,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어, 상기 전자장치 및 또 다른 보조 모듈에 구비된 전자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스탠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module is equipp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driving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trol unit stores an application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the electronic unit provided in the input unit or the auxiliary module in the storage unit and controls the lamp, the hologram player, the electronic device, and another auxiliar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s provided in the module is control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45050A 2016-11-02 2016-11-02 Stand KR101875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50A KR101875216B1 (en) 2016-11-02 2016-11-02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050A KR101875216B1 (en) 2016-11-02 2016-11-02 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16A KR20180048016A (en) 2018-05-10
KR101875216B1 true KR101875216B1 (en) 2018-07-05

Family

ID=6218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050A KR101875216B1 (en) 2016-11-02 2016-11-02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2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329B1 (en) * 2021-04-06 2021-10-08 (주)바인테크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of light sticks with expanded use environ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18B1 (en) * 2013-10-15 2015-01-19 한국광기술원 Smart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018B1 (en) * 2013-10-15 2015-01-19 한국광기술원 Smart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016A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07587A (en)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age pickup function and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KR200281003Y1 (en) Device of Generating Brainwave Inducing Signal
ATE391972T1 (en) SENSOR SYSTEM
KR101875216B1 (en) Stand
CN105716035A (en) Atmosphere lamp which is provided with remote controller and is capable of sound-pattern interaction
CN108041819A (en) Suitable for the children for learning intelligence auxiliary device of family expenses
CN103929850A (en) Lighting device and controller thereof
KR200466977Y1 (en) Luminaires having fuction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KR101836885B1 (en) Lighting apparatus for reading room's desk
KR102002353B1 (en) Illumination and sound control system based on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KR20180090942A (en) Ped, personal electronic desk (psd, personal smart desk)
CN212708702U (en) Water polo with music playing function
CN104103201A (en) Electronic book capable of adjusting front light color temperature and color temperature control system thereof
Fergusson Light Fidelity (Li-Fi) Prototype with Raspberry Pi
KR10146423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with luminaires
CN109719743A (en) A kind of children education robot having home control function
US10119690B2 (en) Kind of LED light
US20210197072A1 (en) Microprocessed electronic device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by controlling and synchronizing light and sound
RU136209U1 (en) VIDEO ENLARGEMENT SYSTEM INCLUDING ELECTRONIC MANUAL VIDEO ENLARGE
US11602233B2 (en) Digital shadow box
KR200294927Y1 (en) book with sound generator
KR20210060451A (en) Speaker for both lighting devices
KR20180004073A (en) Desk lamp for adjusting luminance per user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KR20100090219A (en) Multy function measuring rule
KR102474960B1 (en) Apparatus for coding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