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134B1 - 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 - Google Patents

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134B1
KR101875134B1 KR1020170158664A KR20170158664A KR101875134B1 KR 101875134 B1 KR101875134 B1 KR 101875134B1 KR 1020170158664 A KR1020170158664 A KR 1020170158664A KR 20170158664 A KR20170158664 A KR 20170158664A KR 101875134 B1 KR101875134 B1 KR 10187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belt
plate
un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8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우
김윤태
이수현
박평호
이윤기
김준형
김권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한전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to KR102017015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1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1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08B1/005
    • B08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Provided is a belt cleaner having a urethane tip, which can reduce damage of a belt of a belt conveyer and has improved workability when it is installed on the belt conveyer and during repairing work. Here, the belt cleaner comprises a scraper unit, a support unit, an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a receiving unit, a control unit, and a fixing unit. The scraper unit is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a return belt of the belt conveyer and scrapes foreign matters stuck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The support unit includes clamps combined with both end portions of the scraper unit, and a rod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lower end portion connected to the clamp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has an elastic member, which provides elastic restoring force to upwardly move the support unit so that the scraper unit is continuous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therein. The control unit extends towar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unit after passing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and has a pressurizing member, which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ransform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ed to the elastic member is adjusted. The fixing unit is disposed on the belt conveyer and is combined with the receiving unit. Here, the scraper unit is disposed in a width direction of the return belt, and includes a connection frame of which both end portions are combined with the clamps, and a urethane tip which is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frame while surrounding the connection frame and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Description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cleaner having a urethane tip,

본 발명은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의 손상을 줄이고, 벨트컨베이어에 설치 및 보수 시 작업성이 개선된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with reduced belt damage to a belt conveyor and improved workability i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n a belt conveyor.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수송물을 수송 할 때 죽광 넘침과 사행 등에 의하여 리턴 벨트의 상면으로 낙광이나 기타 이물질이 침투되거나, 리턴 벨트의 하면에 수송물 또는 이물질이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낙광이나 기타 이물질이 풀리에 유입 고착되면 리턴 벨트에 파공이 발생하거나, 리턴 벨트가 찢어지거나 절손될 수 있다. Generally, when transporting a transported object by using a belt conveyo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lightening or other foreign matter penetrates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due to overflow of light, and the transported water or foreign matter adher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Particularly, when lightening or other foreign matter is adhered to the pulley, the return belt may be punched, or the return belt may be torn or broken.

따라서, 벨트컨베이어에는 이러한 낙광이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devices for removing such lightening and other foreign substances are used for the belt conveyor.

이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29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리턴벨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반원형의 크리너받이와, 크리너받이의 회전반경 외측에 부설되는 유도링과, 크리너받이가 일체를 이루는 중앙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베이스와, 스프링 베이스에 부착되는 축과 결합되는 베어링과, 리턴벨트와 인터록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턴벨트의 회전형 삼각 클리닝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0032970. In this document, a semicircular type clean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turn belt, a guide ring provided outsi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cleaner base, a spring base formed at the central part where the cleaner base is integrated, A rotating triangular cleaning device of a return belt comprising a bearing engaged and a motor interlocked with the return belt is disclosed.

한편,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는 길이가 길어 고가이기 때문에, 벨트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벨트가 수송하는 수송물이 탄광석과 같이 가루가 많이 발생되는 수송물인 경우, 벨트 표면에 고착되는 고착물 등을 청소하여 벨트 표면이 깨끗하게 관리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탄가루 등이 날리는 환경에서도 벨트 클리닝 장치의 충분한 사용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하며,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벨트 클리닝 장치가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belt of the belt conveyor is long and expensive, it is important to prevent damage to the belt. In addition, when the transported material transported by the belt is a transport material such as a coal mine tha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flour, not only is it possible to clean the surface of the belt by cleaning the fixture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belt, It is important that the belt cleaning apparatus is designed so as to ensure sufficient use durability of the cleaning apparatus and to facilitat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32970호(2002.05.04.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32970 (published April 4, 20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의 손상을 줄이고, 벨트컨베이어에 설치 및 보수 시 작업성이 개선된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lt cleaner device having a urethane tip with reduced belt damage to a belt conveyor and improved workability in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n a belt conveyo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벨트컨베이어의 리턴 벨트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리턴 벨트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부; 상기 스크레이퍼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클램프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단부는 상기 클램프에 연결되는 로드를 가지는 지지부; 상기 스크레이퍼부가 상기 리턴 벨트의 하면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탄성복원력 제공부;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가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에서 제공되는 탄성복원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가지는 조절부; 그리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리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리턴 벨트의 하면에 밀착되는 우레탄 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elt conveyor comprising: a scraper portion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a return belt of a belt conveyor to scrape off foreign matters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A clamp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scraper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clamp; An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moving the supporting portion upward so that the scraper portion is continuously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is housed; And a pressing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extending inward and outwar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deform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A control unit; And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belt conveyor and coupled to the receiving part, wherein the scraper part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urn belt,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ng frame are coupled to the clamp, And a urethane tip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frame and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관통 결합되도록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복수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로드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에 제3관통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복수의 제4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제4관통공에 결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를 내측에 수용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late having a horizontal through-hole, a first through-hole formed at the center so that the pressing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through-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third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to allow the rod to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having a plurality of fourth through holes formed at an edge thereof, A support fram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connec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cover housing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coupling flang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면에 제1고정부를 가지는 제1브래킷과,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면에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가지는 제2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브래킷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is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 first bracket having a first fixing part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bracke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and coupled to the rod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on part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And a second bracket having a second fixing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part,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second brack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pulling upw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각각의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fixing portions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lastic members are provided on the respective first fixing portions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s,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uni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하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향 이동 시 상기 제1브래킷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브래킷의 하면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상기 제1브래킷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하향 이동 시 상기 제1브래킷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로드의 상단부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first fix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extending downward of the first bracket and moving the first bracket upward when the pressing member moves upward, A bearing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a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an upper end of the r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브래킷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공 및 상기 제2브래킷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브래킷 및 상기 제2브래킷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프레임을 더 가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hol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engaging hole being formed through the first bracket, And a guide fram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hole to guide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t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being rota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가압부재에 가압되어 하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로드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제3관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하부로 연장되는 링부를 가지는 제1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링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로드가 수직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압플레이트 및 베이스부의 사이에서 상기 로드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pressed down by the pressing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is moved downward, And a first guide portion having a base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and a ring portion coupled to the third through hole and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A first guide hole for guiding the rod to be vertically moved inwardly is formed in the ring part, and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to enclose the rod between the pressing plate and the base part, and the elasticity of pushing the pressing plate upward It is possible to provide restoring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클램프에 상기 로드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링부의 외측지름보다 큰 내측지름을 가지는 제2안내홀을 가지며, 상기 로드가 상향 이동 시 상기 링부가 상기 제2안내홀로 삽입되면서 상기 로드의 직진 이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가질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s provided to surround the rod in the clamp, and has a second guide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 portion, and when the rod is moved upward, And a second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rectilinear movement of the ro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리턴 벨트에 밀착되어 고착물을 제거하는 팁이 우레탄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리턴 벨트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p for removing the fixture adhered to the return belt is made of a urethane material, so that damage of the return belt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레탄 팁이 리턴 벨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가압력이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함으로써, 우레탄 팁의 부드러운 상향 및 하향 이동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ushing force for bringing the urethane tip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turn belt makes use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o that the urethane tip can be smoothly moved upward and downwar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r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set forth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가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에서 고정부 및 스크레이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elt conveyor.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xing portion and a scraper portion are separated.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inside of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5 and 6 are operational views of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operational views of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connected, conne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Is included. 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refer to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가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에서 고정부 및 스크레이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lt cleaner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belt conveyor,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belt cleaner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100)는 수용부(200), 조절부(300), 지지부(400), 탄성복원력 제공부(500), 스크레이퍼부(600) 그리고 고정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belt cleaner apparatus 100 having a urethane tip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200, an adjusting portion 300, a supporting portion 400, an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500, a scraper portion 600 ) And a fixing portion 700. [

먼저, 수용부(200)는 제1플레이트(210), 제2플레이트(220), 지지프레임(230), 커버하우징(250) 및 결합플랜지(260)를 가질 수 있다.First, the receptacle 200 may have a first plate 210, a second plate 220, a support frame 230, a cover housing 250, and a coupling flange 260.

제1플레이트(210)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210)의 중앙에는 제1관통공(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제2관통공(2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공(21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plate 210 may be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rst through hole 21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plate 210,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12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plate 210.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211.

제2플레이트(220)는 제1플레이트(210)의 하측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210)와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220)의 중앙에는 제3관통공(2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제4관통공(222)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late 220 may be spaced below the first plate 210 and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plate 210. A third through hole 22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220, and a plurality of fourth through holes 222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plate 220.

지지프레임(230)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제2관통공(212) 및 제4관통공(22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은 제1플레이트(210) 및 제2플레이트(220)를 연결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230 may be vertically provided and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212 and the fourth through hole 222. The support frame 230 may connect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커버하우징(250)은 제1플레이트(210) 및 제2플레이트(2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후술할 탄성복원력 제공부(500)를 내측에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다. 커버하우징(250)은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housing 2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and may receive and protec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ver housing 250 may be formed into a hollow cylindrical shape.

제1플레이트(210)의 하면에는 커버하우징(250)의 축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제1링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220)의 상면에는 커버하우징(250)의 축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제2링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하우징(250)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링홈(213) 및 제2링홈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A first ring groove 213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10 to correspond to the axi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ver housing 250. A second ring groove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axi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ver housing 250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22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ver housing 250 can be fixed to the first ring groove 213 and the second ring groove, respectively.

지지프레임(230)의 상단부에는 헤드(2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22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230)의 하단부에는 너트(23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프레임(230)에서 제1플레이트(210) 및 제2플레이트(2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230)은 제1플레이트(210) 및 제2플레이트(220)가 커버하우징(250)을 가압하도록 하는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A head 231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230, and a thread may be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nd. A nut 232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frame 230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late 220.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frame 230 and the support frame 230 can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Thereby providing a binding force to urge the cover housing 250.

결합플랜지(260)는 제1플레이트(210) 및 제2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플랜지(260)는 제1플레이트(210) 및 제2플레이트(220)의 외측면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결합플랜지(260)에는 복수의 제1연결공(26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flange 26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For example, the coupling flange 260 may be welded and coupled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plate 210 and the second plate 220, but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holes 261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flange 260.

그리고, 조절부(300)는 가압부재(310), 제1고정부재(320), 베어링(330) 및 제2고정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djusting unit 300 may include a pressing member 310, a first fixing member 320, a bearing 330, and a second fixing member 340.

가압부재(310)는 제1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211)을 관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310)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질 수 있으며, 가압부재(310)는 제1관통공(211)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310)가 회전되면 회전방향에 따라 가압부재(310)는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될 수 있다. 가압부재(310)는 볼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310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11 formed in the first plate 210. The pressing member 310 may have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pressing member 310 may be screwed to the first through hole 211. 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member 310 is rotated, the pressing member 310 can be moved upward or downward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The pressing member 310 may have the form of a bolt.

제1고정부재(320)는 제1플레이트(2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재(3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20)는 내주면에 나사산을 가질 수 있으며, 가압부재(3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320)는 너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fixing member 320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310 extending downward of the first plate 210. The first fixing member 320 may have a threa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may be screwed to the pressing member 310. The first fixing member 320 may have the form of a nut.

베어링(330)은 제1고정부재(32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재(320)에 의해 지지되어 후술할 제1브래킷(510)을 지지할 수 있다. 베어링(330)은 스러스트 베어링일 수 있다. The bearing 33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ixing member 320 and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fixing member 320 to support a first bracket 510 to be described later. The bearing 330 may be a thrust bearing.

제2고정부재(340)는 제1브래킷(51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부재(3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4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재(340)는 가압부재(3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330) 및 제2고정부재(340)는 제1브래킷(510)을 상측 및 하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member 340 may be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31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510.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member 34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40 may be screwed to the pressing member 310. The bearing 33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40 can press and fix the first bracket 510 from above and below.

그리고, 지지부(400)는 로드(410)와 클램프(420)를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part 400 may have a rod 410 and a clamp 420.

로드(410)는 제2플레이트(220)의 제3관통공(221)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로드(410)는 제2브래킷(520)의 제6관통공(521)으로 삽입되어 제2브래킷(52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로드(410)와 제2브래킷(520)은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로드(410)의 하단부에는 제1체결홀(4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홀(41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로드(410)는 상단부가 가압부재(310)의 하단부와 분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rod 410 may be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221 of the second plate 220. The rod 410 may be inserted into the sixth through hole 521 of the second bracket 520 to be coupled to the second bracket 520 through which the rod 410 and the second bracket 520 are coupled, Can be moved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rst fastening hole 411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rod 410, and a thread may be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hole 411. The rod 410 may be provided so that its upper en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310.

제2플레이트(220)의 하부에는 제3관통공(221)과 연결되도록 가이드부재(4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450)는 내주면에 복수의 볼(미도시)을 가지는 리니어 부싱일 수 있다. 가이드부재(450)는 로드(410)가 내측에 구비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A guide member 450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plate 220 to be connected to the third through hole 221. The guide member 450 may be a linear bushing having a plurality of balls (not shown) on its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guide member 450 can guide the rod 410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rod 410 disposed inside.

클램프(420)는 로드(410)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클램퍼(421) 및 제2클램퍼(431)를 가질 수 있다. The clamp 42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d 410 and may have a first clamper 421 and a second clamper 431.

제1클램퍼(421)는 후술할 연결프레임(610)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1홀더(422)와, 제1홀더(42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423)를 가질 수 있다. 제1홀더(422)에는 제1체결공(4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공(424)을 통해서는 제1체결부재(425)가 삽입되어 제1체결홀(4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클램퍼(421)는 로드(410)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lamper 421 may have a first holder 422 for allowing a connection frame 610 to be described later to be positioned inside and a first flange 4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holder 422. The first fastening hole 424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lder 422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425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424 to be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421. [ . Thereby, the first clamper 421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d 410.

제2클램퍼(431)는 제1홀더(422)와 함께 연결프레임(610)이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제2홀더(432)와, 제2홀더(432)의 양측에 형성되는 제2플랜지(433)를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clamper 431 includes a second holder 432 for allowing the connection frame 610 to be positioned inward with the first holder 422 and a second flange 43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lder 432 ).

제1플랜지(423) 및 제2플랜지(433)에는 제2체결공(43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공(434)에 제2체결부재(435)가 결합되어 제1클램퍼(421) 및 제2클램퍼(431)는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435)의 양단부에는 너트(436)가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fastening hole 434 may be formed in the first flange 423 and the second flange 433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43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434 to connect the first clamper 421 and the second clamper 431 can be combined. A nut 436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435.

그리고, 탄성복원력 제공부(500)는 제1브래킷(510), 제2브래킷(520) 및 탄성부재(530)를 가질 수 있다.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500 may have a first bracket 510, a second bracket 520, and an elastic member 530.

제1브래킷(510)은 제1플레이트(2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브래킷(510)의 중앙에는 제5관통공(5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21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가압부재(310)는 제5관통공(511)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브래킷(510)의 하면에는 베어링(330)이 밀착될 수 있으며, 제1브래킷(510)의 상면에는 제2고정부재(340)가 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브래킷(510)은 가압부재(310)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51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210. A fifth through hole 51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bracket 510 and a pressing member 310 extending downwardly of the first plate 210 may penetrate through the fifth through hole 511 . As described above, the bearing 330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510,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340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510. Accordingly, the first bracket 51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ressing member 310.

제1브래킷(510)에는 제1결합공(5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브래킷(510)은 하면에 제1고정부(513)를 가질 수 있다. 제1고정부(513)는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513)는 90도 각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고정부(513)에는 탄성부재(53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요구되는 탄성복원력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The first bracket 510 may have a first engaging hole 512 formed therein and the first bracket 510 may have a first engaging portion 513 on the bottom face thereof. A plurality of first fixing portions 513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ing portions 513 may be form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fixing part 513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530. The number of the fixing parts may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elastic restoring force.

제2브래킷(520)은 제1브래킷(510)의 하측에 제1브래킷(510)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래킷(520)의 중앙에는 제6관통공(521)이 형성될 수 있고, 제6관통공(521)에는 로드(41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브래킷(520)은 로드(4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로드(410)는 가압부재(310)와 분리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브래킷(510)이 가압부재(310)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제2브래킷(520)과 로드(410)는 수직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브래킷(520)은 상면에 제2고정부(522)를 가질 수 있으며, 제2고정부(522)는 제1고정부(5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bracket 5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racket 510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racket 510. A sixth through hole 52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bracket 520 and a rod 410 may be coupled to the sixth through hole 521. The second bracket 520 may be coupled to the rod 410 ). ≪ / RTI > The rod 410 may be separated from the pressing member 310 so that the second bracket 520 and the rod 41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bracket 510 while the first bracket 510 is fixed to the pressing member 310. [ Can be moved independen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bracket 520 may have a second fixing part 522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fixing part 5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part 513. [

탄성부재(530)는 양단부가 제1고정부(513) 및 제2고정부(5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5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인장되도록 하는 힘에 저장하는 인장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530)는 제1브래킷(510) 및 제2브래킷(520)을 서로 잡아당기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530)는 고정된 제1브래킷(510)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브래킷(520)을 상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탄성부재(530)의 설치 개수는 요구되는 탄성복원력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530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513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522, respectively. The elastic member 530 may be a coil spring and may be a tension spring that stores the force to be tensioned.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530 can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pulling the first bracket 510 and the second bracket 520 together. That is, the elastic member 530 can pull the second bracket 520 upward to move free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first bracket 510. The number of the elastic members 530 to be installe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quired elastic restoring force.

또한, 탄성복원력 제공부(500)는 안내프레임(540)을 더 가질 수 있다. 안내프레임(540)은 제1브래킷(510)에 형성되는 제1결합공(512) 및 제2브래킷(520)에 형성되는 제2결합공(523)을 통해 제1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제3결합공(214) 및 제2플레이트(220)에 형성되는 제4결합공(223)에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500 may further have the guide frame 540. [ The guide frame 540 is formed on the first plate 210 through the first engagement hole 512 formed in the first bracket 510 and the second engagement hole 523 formed in the second bracket 520 And may be coupled to the fourth coupling hole 223 formed in the third coupling hole 214 and the second plate 220.

이에 따라, 가압부재(310)가 회전하여 상향 이동되면, 제1고정부재(320) 및 베어링(330)이 상향 이동되면서 제1브래킷(510)도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330)은 스러스트 베어링이 사용됨으로써, 제1고정부재(32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제1브래킷(5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ressing member 310 rotates and moves upward, the first fixing member 320 and the bearing 330 are moved upward, so that the first bracket 510 can also be moved upward. Here, the bearing 330 may be a thrust bearing, so that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first holding member 320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first bracket 510.

그리고, 제1브래킷(510)이 상향 이동됨에 따라 탄성부재(530)가 인장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브래킷(520)도 상향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브래킷(510) 및 제2브래킷(520)은 안내프레임(540)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으면서 상향 이동될 수 있다. As the first bracket 510 is moved upward, the second bracket 520 can also be moved up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when the elastic member 530 is stretched. At this time, the first bracket 510 and the second bracket 520 can be moved upward without being rotated because they are constrained to not be rotated by the guide frame 540.

한편, 가압부재(310)가 회전하여 하향 이동되면, 제2고정부재(340)에 의해 상부가 가압되는 제1브래킷(510)도 하향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브래킷(520)은 하향 이동되는 가압부재(310)에 의해 가압되어 하향 이동되는 로드(410)와 함께 하향 이동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ssing member 310 rotates and moves downward, the first bracket 510, which is pressed upward by the second fixing member 340, can also be moved downward. In this case, the second bracket 520 can be moved downward together with the rod 410 which is pressed down by the pressing member 310 moving downward and is moved downward.

그리고, 스크레이퍼부(600)는 벨트컨베이어(10)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롤러(11)의 하측에서 순환되는 벨트, 즉, 리턴 벨트(1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scraper portion 600 may be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belt, that is, the return belt 12, which is provided on the belt conveyor 10 and is circulated below the roller 11 to be rotated.

스크레이퍼부(600)는 연결프레임(610)과 우레탄(Urethane) 팁(620)을 가질 수 있다.The scraper portion 600 may have a connection frame 610 and a Urethane tip 620.

연결프레임(610)은 리턴 벨트(12)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리턴 벨트(12)의 폭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610)은 리턴 벨트(12)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프레임(610)의 양단부는 리턴 벨트(12)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리턴 벨트(12)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610)의 양단부는 각각 클램프(42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frame 61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turn belt 12 o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urn belt 12. The connecting frame 61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return belt 12 and both ends of the connecting frame 610 may extend outside the return belt 12. Both ends of the connection frame 610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return belt 12 can be fixed to the clamps 420, respectively.

우레탄 팁(620)은 연결프레임(61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프레임(6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우레탄 팁(620)의 상면은 리턴 벨트(12)의 하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우레탄 팁(620)은 리턴 벨트(12)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다. 또한, 리턴 벨트(12)에 대한 우레탄 팁(620)의 가압력으로 탄성부재(530)의 탄성복원력이 이용되므로, 부드러운 가압이 가능하다. 또한, 리턴 벨트(12)에 밀착되어 고착물을 제거하는 팁(620)이 우레탄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리턴 벨트(12)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urethane tip 62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nnection frame 610 and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frame 610. The upper surface of the urethane tip 62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12 through which the urethane tip 620 can scrape off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12. Further, sinc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530 is utiliz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urethane tip 620 with respect to the return belt 12, soft pressing is possible. In addition, since the tip 620 that come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turn belt 12 and removes the fixture is made of a urethane material, damage to the return belt 12 can be prevented.

우레탄 팁(620)은 길이방향에 대한 단면형상이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레탄 팁(620)의 상면이 리턴 벨트(12)와의 마찰력에 의해 닳게 되면, 우레탄 팁(620)의 상면과 하면이 뒤집어지도록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The urethane tip 62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be formed thick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ccordingly,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urethane tip 620 is worn away by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return belt 12,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rethane tip 620 can be installed so as to be turned upside down.

고정부(700)는 벨트컨베이어(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1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700)에는 제2연결공(7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연결공(710)은 결합플랜지(260)에 형성되는 제1연결공(26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공(71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연결공(261) 및 제2연결공(710)으로는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연결공(710)이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합플랜지(260)의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700)에는 설치공(720)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설치공(720)으로는 연결프레임(610)이 관통 삽입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700 may be mounted on the belt conveyor 10 and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elt conveyor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on hole 710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700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7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261 formed in the coupling flange 260 have. The second connection hole 710 may have a shape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coupling member (not shown) including a bol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261 and the second connection hole 710. When the second connection hole 7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The mounting height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260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mounting hole 720 may be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700, and the connection frame 610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720.

이하에서는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5 and 6 are operational views of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310)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는 지지부(400) 및 스크레이퍼부(600)도 하향 이동된 상태가 되며, 우레탄 팁(620)은 리턴 벨트(12)의 하측으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5, the supporting part 400 and the scraper part 600 are also moved downward while the pressing member 310 is moved downward. The urethane tip 620 is moved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return belt 12 As shown in FIG.

이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310)가 회전되어 상향 이동되면, 제1고정부재(320) 및 베어링(330)에 의해 제1브래킷(510)이 상향 이동될 수 있다. 그러면, 탄성부재(530)는 인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이 발생되어 수축되고, 이에 따라 제2브래킷(520)을 상향으로 당겨 올려질 수 있다. 이때, 제2브래킷(520)과 로드(410)는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로드(410)도 상향 이동하게 되며, 스크레이퍼부(600)도 상향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우레탄 팁(620)의 상면은 리턴 벨트(12)의 하면에 밀착되고, 우레탄 팁(620)이 상향 이동되면서 우레탄 팁(620)에 의해 가압되는 리턴 벨트(12)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질 정도로 상호간에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6, the first bracket 510 can be moved upward by the first fixing member 320 and the bearing 330 when the pressing member 310 is rotated and moved upward. Then, the elastic member 530 is stretched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contracted, so that the second bracket 520 can be pulled upward.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bracket 520 and the rod 410 are engaged, the rod 410 also moves upward, and the scraper portion 600 can also be moved up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urethane tip 6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12 and the return belt 12 pressed by the urethane tip 620 is lifted upward while the urethane tip 620 is moved upward Can be firmly adhered to each other.

가압부재(310)에는 게이지(350, 도 3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가압부재(310)가 상향 이동 시에 게이지(350)를 참고하여 우레탄 팁(620)에 의한 리턴 벨트(12)의 가압량은 확인될 수 있다. 3)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pressing member 310 and the return member 1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the urethane tip 620 by referring to the gauge 350 when the pressing member 310 moves upward. Can be confirm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작동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복원력 제공부 및 지지부의 구성이 전술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to 10 show operation examples of a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a urethane ti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and the supporting portion may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복원력 제공부(1500)는 가압플레이트(1510), 제1가이드부(1520) 및 탄성부재(1530)를 가질 수 있다.7 to 10,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1500 may have a pressing plate 1510, a first guide unit 1520, and an elastic member 1530.

제1플레이트(1210) 및 제2플레이트(1220)은 지지프레임(123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plate 1210 and the second plate 1220 can be coupled by the support frame 1230.

가압플레이트(1510)는 제1플레이트(12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압플레이트(1510)의 하면 중앙은 로드(141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플레이트(1510) 및 로드(1410)는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압부재(1310)가 회전되어 하향 이동되면, 가압플레이트(1510)는 가압부재(1310)에 가압되어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로드(1410)도 하향 이동될 수 있다. The pressing plate 1510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plate 1210 and the bottom center of the pressing plate 1510 may be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rod 1410. Accordingly, the pressing plate 1510 and the rod 1410 can be moved toge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pressing member 1310 is rotated and moved downward, the pressing plate 1510 can be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ing member 1310, and the rod 1410 can also be moved downward.

그리고, 제1가이드부(1520)는 베이스부(1521) 및 링부(1522)를 가질 수 있으며, 제1가이드부(1520)는 가압플레이트(151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부(1521)는 제2플레이트(1220)에 형성되는 제3관통공(1221)보다 큰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1220)의 상면에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1520 may have a base portion 1521 and a ring portion 1522 and the first guide portion 1520 may be provided below the pressing plate 1510. The base portion 1521 may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third through hole 1221 formed in the second plate 1220 and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1220.

링부(1522)는 외주면이 제3관통공(12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3관통공(1221)을 통해 제2플레이트(122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portion 15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through hole 1221 and exten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plate 1220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1221. [

또한, 베이스부(1521) 및 링부(1522)에는 제1가이드부(1520)의 길이 방향으로 제1안내홀(15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안내홀(1523)은 로드(1410)의 외측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드(1410)는 제1안내홀(1523)을 관통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A first guide hole 1523 may be formed through the base portion 1521 and the ring portion 15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portion 1520. The first guide hole 1523 may be formed through the rod 1410,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outer ring. Accordingly, the rod 1410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guide hole 1523.

탄성부재(1530)는 가압플레이트(1510) 및 베이스부(1521)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로드(141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53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압축하려고 하는 힘에 저장하는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530)는 가압플레이트(1510)를 상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15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plate 1510 and the base portion 1521 an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rod 1410. The elastic member 1530 may be a coil spring and may be a compression spring that stores the force to be compressed.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1530 can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push the pressing plate 1510 upward.

그리고, 지지부(1400)는 클램프(1420) 및 제2가이드부(1440)를 가질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1400 may have a clamp 1420 and a second guide portion 1440.

클램프(1420)는 스크레이퍼부(1600)의 연결프레임(1610)이 결합되는 제3홀더(1421)와, 제3홀더(1421)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3플랜지(1422)를 가질 수 있다. The clamp 1420 may have a third holder 1421 to which the connecting frame 1610 of the scraper portion 1600 is coupled and a third flange 1422 to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hird holder 1421.

제2가이드부(1440)는 제4플랜지(1441)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안내홀(1442)을 가질 수 있다. 제2안내홀(1442)은 제2가이드부(1440)의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부(1522)의 외측지름보다 큰 내측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portion 14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ourth flange 1441 and may have a second guide hole 1442. The second guide hole 1442 may be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cond guide portion 1440 and may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ing portion 1522.

제2가이드부(1440)에는 로드(141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제2가이드부(1440)는 로드(141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A rod 141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portion 1440 and a second guide portion 1440 may be provided to enclose the rod 1410.

제4플랜지(1441) 및 제3홀더(1421)에는 제1체결공(142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부재(1425)가 제1체결공(1424)을 관통하여 로드(1410)의 제1체결홀(1411)에 결합됨으로써, 로드(1410)는 클램프(1420)와 결합될 수 있다.A first fastening hole 1424 may be formed in the fourth flange 1441 and the third holder 1421 so that the first fastening member 1425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424 and is connected to the rod 1410, The rod 1410 can be engaged with the clamp 1420 by being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hole 1411 of the rod 1410. [

제3플랜지(1422) 및 제4플랜지(1441)에는 제2체결공(1434)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체결공(1434)에 제2체결부재(1435)가 결합되어 제3플랜지(1422) 및 제4플랜지(1441)는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부재(1435)의 양단부에는 너트(1436)가 결합될 수 있다.A second fastening hole 1434 may be formed through the third flange 1422 and the fourth flange 1441 and a second fastening member 143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hole 1434 to form a third flange 1435. [ 1422 and the fourth flange 1441 can be engaged. A nut 1436 can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1435.

또한, 제3홀더(1421)에는 수평방향으로 제3체결공(14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체결공(1426)을 통해 제3홀더(1421)의 내측으로는 제3체결부재(1427)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제3체결부재(1427)는 제3홀더(1421)의 내측에 구비되는 연결프레임(1610)을 가압하여 연결프레임(1610)을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holder 1421 may be provided with a third fastening hole 142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hird fastening member 1427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holder 1421 through the third fastening hole 1426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1427 can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hird holder 1421 The connection frame 1610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connection frame 1610.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elt cleaner apparatus having the urethane ti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8 및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1310)에 가압되어 가압플레이트(1510) 및 로드(1410)가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스크레이퍼부(1600)가 클램프(1420)에 결합될 수 있다.8 and 10A, when the scraper portion 1600 is pressed against the clamp 1420 while the pressing plate 1510 and the rod 1410 are pressed down by the pressing member 1310, Lt; / RTI >

그리고, 도 9 및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1310)가 상향 이동되도록 하면, 압축된 탄성부재(15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압플레이트(1510)가 상향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로드(1410)도 상향 이동될 수 있다. 로드(1410)가 상향 이동 시, 제2가이드부(1440)도 상향 이동되며, 링부(1522)는 제2안내홀(1442)로 삽입되면서 로드(1410)의 직진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우레탄 팁(1620)은 리턴 벨트(12)를 상측으로 밀어 올릴 정도로 되면서 우레탄 팁(1620)과 리턴 벨트(12)는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다. 9 and 10 (b), when the pressing member 1310 is moved upward, the pressing plate 1510 is pushed up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1530 And the rod 1410 can also be moved upward. The second guide portion 1440 is also moved upward when the rod 1410 is moved upward and the rectilinear movement of the rod 1410 can be guided while the ring portion 15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uide hole 1442. At this time, the urethane tip 1620 is enough to push the return belt 12 upward, so that the urethane tip 1620 and the return belt 12 can be tightly adhered to each other.

벨트 클리너 장치(1000)는 벨트컨베이어(10)의 리턴 벨트(12)의 순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elt cleaner apparatuses 1000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lation direction of the return belt 12 of the belt conveyor 10. [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벨트컨베이어 12: 리턴 벨트
100, 1000: 벨트 클리너 장치 200: 수용부
210, 1210: 제1플레이트 220, 1220: 제2플레이트
230, 1230: 지지프레임 250: 커버하우징
260: 결합플랜지 300: 조절부
310, 1310: 가압부재 320: 제1고정부재
330: 베어링 340: 제2고정부재
400, 1400: 지지부 410, 1410: 로드
420, 1420: 클램프 450: 가이드부재
500, 1500: 탄성복원력 제공부 510: 제1브래킷
520: 제2브래킷 530, 1530: 탄성부재
540: 안내프레임 600, 1600: 스크레이퍼부
610, 1610: 연결프레임 620, 1620: 팁
700: 고정부 1440: 제2가이드부
1510: 가압플레이트
10: belt conveyor 12: return belt
100, 1000: Belt cleaner device 200:
210, 1210: first plate 220, 1220: second plate
230, 1230: Support frame 250: Cover housing
260: coupling flange 300:
310, 1310: pressing member 320: first fixing member
330: bearing 340: second fixing member
400, 1400: Supports 410, 1410: Rod
420, 1420: clamp 450: guide member
500, 1500: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510: first bracket
520: second bracket 530, 1530: elastic member
540: Guide frame 600, 1600: Scraper section
610, 1610: connection frame 620, 1620: tip
700: fixing part 1440: second guide part
1510: Pressing plate

Claims (8)

벨트컨베이어의 리턴 벨트의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리턴 벨트의 하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퍼부;
상기 스크레이퍼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클램프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단부는 상기 클램프에 연결되는 로드를 가지는 지지부;
상기 스크레이퍼부가 상기 리턴 벨트의 하면에 지속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탄성복원력 제공부;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가 내측에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측 및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부재에서 제공되는 탄성복원력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가압부재를 가지는 조절부; 그리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에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레이퍼부는
상기 리턴 벨트의 폭 방향으로 구비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리턴 벨트의 하면에 밀착되는 우레탄 팁을 가지고,
상기 수용부는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관통 결합되도록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복수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측에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로드가 관통 삽입되도록 중앙에 제3관통공이 형성되며, 가장자리에 복수의 제4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제4관통공에 결합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를 내측에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하우징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축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제1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커버하우징의 축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제2링홈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하우징은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상기 제1링홈 및 상기 제2링홈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탄성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며, 하면에 제1고정부를 가지는 제1브래킷과,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3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와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면에 상기 제1고정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고정부를 가지는 제2브래킷과,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제1브래킷에 관통 형성되는 제1결합공 및 상기 제2브래킷에 관통 형성되는 제2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브래킷 및 상기 제2브래킷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브래킷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하측으로 연장 구비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상향 이동 시 상기 제1브래킷을 상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1브래킷의 하면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을 가지며,
상기 베어링은 상기 제1고정부재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이 상기 제1브래킷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이고,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상향 이동 시에 상기 우레탄 팁에 의한 상기 리턴 벨트의 가압량이 확인되도록 하는 게이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
A scraper portion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of the belt conveyor to scrap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A clamp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scraper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lower end connected to the clamp;
An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having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moving the supporting portion upward so that the scraper portion is continuously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A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is housed;
And a pressing member extend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extending inward and outwar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deform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member A control unit; And
And a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belt conveyor and to which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The scraper portion
A connecting frame which is provi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turn belt and has both ends thereof coupled to the clamp,
And a urethane tip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frame while covering the connection frame, the urethane tip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turn belt,
The receiving portion
A first plate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t the center so that the pressing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formed at the edge,
A second plate spaced apart from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having a third through hole at a center thereof to allow the rod to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having a plurality of fourth through holes at an edge thereof,
A support fram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be coupl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the fourth through hole and connecting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 cover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and protect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portion therein;
And a coupling flang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coupled with the fixing portion,
A first ring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corresponds to an axi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ver housing. A second ring groove corresponding to an axi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ver housing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cover housing has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fixed to the first ring groove and the second ring groove, respectively,
Wherei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ing unit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is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ressing member, A first bracket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rod position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and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rod, A second bracket having a second fixing part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nd a first coupling hol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connect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the first coupling hole penetrating the first bracket, The guide bracket is inserted into a second engagement hole formed through the second bracket to guide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being rotated. With a lame,
The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pulling the second bracket upward,
Wherein the adjusting unit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extending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bracket and moving the first bracket upward when the pressing member moves upward, And a bearing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Wherein the bearing is a thrust bearing that prevents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first holding member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bracket,
Wherein the pressure member is provided with a gauge for confirming a pressing amount of the return belt by the urethane tip when the pressing member moves up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각각의 상기 제1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에 결합되어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lastic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fixing portions coupl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Wherein the belt has a urethane t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가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재가 하향 이동 시 상기 제1브래킷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로드의 상단부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레탄 팁을 가지는 벨트 클리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And a second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racket and moving the first bracket downward when the pressing member moves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158664A 2017-11-24 2017-11-24 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 KR1018751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64A KR101875134B1 (en) 2017-11-24 2017-11-24 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8664A KR101875134B1 (en) 2017-11-24 2017-11-24 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134B1 true KR101875134B1 (en) 2018-07-06

Family

ID=6292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8664A KR101875134B1 (en) 2017-11-24 2017-11-24 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13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37B1 (en) 2019-10-18 2020-02-27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Conveyor transferring system with falling material removal device
KR102211428B1 (en) * 2020-05-20 2021-02-02 최윤석 Belt cleaning device of belt conveyor
KR20210070019A (en) * 2019-12-04 2021-06-14 한국중부발전(주) Belt Cleaner For Belt Conveyor
WO2022112016A1 (en) * 2020-11-27 2022-06-02 KILL-FRECH, Cornelia Conveyor belt scraper system with simple maintenance
RU2805597C1 (en) * 2020-11-27 2023-10-20 КИЛЛЬ-ФРЕХ, Корнелия Easy maintenance conveyor belt scraper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938B1 (en) * 2000-01-14 2002-07-31 장무웅 Scraper for the conveyor belt cleaner
KR200454075Y1 (en) * 2010-07-12 2011-06-15 심낙찬 Conveyor belt cleaner
KR101128375B1 (en) * 2011-12-19 2012-03-23 주식회사 신성세라믹 Conveyor belt cleaner
KR101393314B1 (en) * 2012-08-02 2014-05-09 주식회사 라우텍 Belt Cleaner Pressure Device by using Spring Tension of Vertical Direction
JP5662051B2 (en) * 2010-04-14 2015-01-28 株式会社ハクビ Conveyor belt cleaner
KR20150119727A (en) * 2014-04-16 2015-10-26 주식회사 라우텍 Conveyor Belt Cleaner with Vertical Spring Pressure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938B1 (en) * 2000-01-14 2002-07-31 장무웅 Scraper for the conveyor belt cleaner
JP5662051B2 (en) * 2010-04-14 2015-01-28 株式会社ハクビ Conveyor belt cleaner
KR200454075Y1 (en) * 2010-07-12 2011-06-15 심낙찬 Conveyor belt cleaner
KR101128375B1 (en) * 2011-12-19 2012-03-23 주식회사 신성세라믹 Conveyor belt cleaner
KR101393314B1 (en) * 2012-08-02 2014-05-09 주식회사 라우텍 Belt Cleaner Pressure Device by using Spring Tension of Vertical Direction
KR20150119727A (en) * 2014-04-16 2015-10-26 주식회사 라우텍 Conveyor Belt Cleaner with Vertical Spring Pressure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37B1 (en) 2019-10-18 2020-02-27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Conveyor transferring system with falling material removal device
KR20210070019A (en) * 2019-12-04 2021-06-14 한국중부발전(주) Belt Cleaner For Belt Conveyor
KR102339813B1 (en) * 2019-12-04 2021-12-15 한국중부발전(주) Belt Cleaner For Belt Conveyor
KR102211428B1 (en) * 2020-05-20 2021-02-02 최윤석 Belt cleaning device of belt conveyor
WO2022112016A1 (en) * 2020-11-27 2022-06-02 KILL-FRECH, Cornelia Conveyor belt scraper system with simple maintenance
RU2805597C1 (en) * 2020-11-27 2023-10-20 КИЛЛЬ-ФРЕХ, Корнелия Easy maintenance conveyor belt scraper system
TWI830092B (en) * 2020-11-27 2024-01-21 基爾費曲 柯妮拉 Wiper systems for conveyor belts, belt conveyors, and methods of performing installation, inspection or maintenance work on wiper systems or belt convey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134B1 (en) Apparatus having urethane tip for cleaning belt of belt conveyor
US3993185A (en) Sanitary conveyor
AU2009305573B2 (en) Conveyor belt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US9258936B2 (en) Adsorption head for surface mounting device
KR100863065B1 (en) Conveyer belt cleaner
JP2009234725A (en) Conveyer
KR101371395B1 (en) Apparatus for cleaning conveyor belt
CN202296179U (en) Driving device for acquiring vibration output
KR101954665B1 (en) Spring Pressure Apparatus with Movable Support Body
KR101757901B1 (en) Fixing apparatus of Retracting pulley at Multi-boom
CN110293182B (en)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and pipe expander
KR100754892B1 (en) Belt conveyer cleaner
KR101918718B1 (en) Device for fixing roller
KR20090095806A (en) Device for Adjusting Tension of Conveyor
KR200436533Y1 (en) Fixed device for conveyer cleaner
CN217126038U (en) Scraping device of desulfurized gypsum conveyer belt
KR101579408B1 (en) tension control method for a chain
GB2573540A (en) Moun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793143B1 (en) Cleaner apparatus for conveyor belts
JP2008105823A (en) Skirt device for belt conveyor
CN209797145U (en) Dish material tensioning adjustment mechanism
KR101640128B1 (en) Bearing structure for rotation axis disassemble
CN110871200A (en) Cleaning mechanism and single-card cleaning system
KR101429638B1 (en) Belt conveyor cleaning apparatus
KR100742912B1 (en) Feed convey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