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497B1 -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 - Google Patents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497B1
KR101874497B1 KR1020160046447A KR20160046447A KR101874497B1 KR 101874497 B1 KR101874497 B1 KR 101874497B1 KR 1020160046447 A KR1020160046447 A KR 1020160046447A KR 20160046447 A KR20160046447 A KR 20160046447A KR 101874497 B1 KR101874497 B1 KR 10187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broadcast
line
subway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8529A (ko
Inventor
김영수
김노중
김정훈
오정애
Original Assignee
서울교통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교통공사 filed Critical 서울교통공사
Priority to KR102016004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49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04H20/6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for transportation systems, e.g.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4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traffic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의 주(main) 차칸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 및, 상기 지하철의 서브(sub) 차칸별로 각기 설치되고,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 객차 방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송라인은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무선 변환 우회(bypass)하여 인접 차칸의 객차 방송기 간 무선연결하는 해당 AP와 연동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하고, 이전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로부터 무선 전달받아 보조 방송하여 된 것이고, 상기 객차 방송기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무선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에 관한 것으로,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불량 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지하철 방송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System for broadcasting in subway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in passenger car used in it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wireless used in it}
본 발명은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지하철 객차에 각기 설치되어 승객에게 방송하는 객차 방송기 및 지하철 기관사실에 설치되어 비상시 객차 방송기로 비상방송을 무선 송출하는 메인 무선 방송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하철 재난 사고 발생 및 고장 발생시 방송 미 실시 사례가 언론매체 등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즉, 2014년 5월 2일 2호선 상왕십리 열차 추돌사고와, 2016년 1월 6일 4호선 한성대입구역 ~ 성신여대입구역 열차 고장사고 등의 방송 미 실시 사례가 언론매체 등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
이렇게 알려진 방송 미 실시 사례의 원인은 사고 발생 및 고장 발생시 단전이나 전원 퓨즈(fuse) 고장으로 인한 안내방송 불가였다.
예를 들어, 2014년 5월 2일 2호선 상왕십리 열차 추돌사고의 경우 방송 미 실시 사례의 원인은 후방 열차와 전방 열차 충돌사고 발생시, 열차사고 발생 후 사고 발생 상황을 알리는 방송 부재가 되었는데, 충격여파로 인해 전체 20량 중 8량 ~ 11량 부분 단전으로 인한 안내방송 불가였다.
그리고, 2016년 1월 6일 4호선 한성대입구역 ~ 성신여대입구역 열차 고장사고의 경우 방송 미 실시 사례의 원인은 열차 고장으로 운행 중단시, 열차 고장 상황을 알리는 방송 부재가 되었는데, 고장과 더불어 방송장치 전원 퓨즈 고장으로 인한 안내방송 불가였다.
이러한 상왕십리 사고 등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현 지하철 방송 시스템은 사고 발생이나 고장 발생으로 인한 지하철 단전 시나 전원 퓨즈 고장 시, 더불어 비상 방송을 위한 방송기기 등으로 전원 공급 중단된다.
그래서, 비상 방송을 위한 방송기기 등의 동작 불가와 긴급상황의 객차 전달 불가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즉 현 지하철 방송 시스템은 차량방송 제어시스템(예 : 지하철 기관사실의 메인 유선 방송기) 위치가 기관사석 내부에 위치하여, 상왕십리 사고와 같이 기관사석이 분리 시나 충돌 시 고장으로 인해 사용 불가하다.
그리고, 객실 전원이 정상 공급되더라도 차량방송 제어시스템의 위치가 기관사석에 있기 때문에 장애 발생시 방송 불가하다.
특히, 사고 발생이나 고장 발생으로 인한 지하철 단전 시나 전원 퓨즈 고장 시, 더불어 비상 방송을 위한 방송기기 등으로 전원 공급 중단되어, 비상 방송을 위한 방송기기 등의 동작 불가와 긴급상황의 객차 전달 불가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이와 관련하여 지하철 사고 발생 및 고장 발생시 비상 방송하는 각종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기술은 대부분 단순히, 지하철 사고나 고장 감지시 메인 지하철 방송을 대신하여 비상 방송하는 것이다(선행문헌 참고, 선행문헌 -> 국내출원 제20-2003-0010851호, 발명의 명칭 : "결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하공간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
하지만, 사고나 고장에 의한 지하철 단전 시나 전원 퓨즈 고장 시 등과 같이 방송기기 등으로 전원 공급이 되지 않은 경우, 이와 연계하여 비상 방송하는 것을 주된 기술로 하여 된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지하철 충돌 사고나 고장 등으로 인한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 등) 불량 상황(특히, 방송 전원 미공급 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지하철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은,
지하철 기관사실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와 연동하여, 평상시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신호 등)를 감시하여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무선으로 우회 전송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객차나 차장실)에서 방송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는,
지하철의 차칸(객차나 차장실)마다 각기 설치되어, 평상시 자신의 차칸에 설치된 차칸 연결케이블의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신호 등)를 감시하여 정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제1 방송라인(상기 "제1 방송라인"은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 방송라인임)으로 전달하고, 이상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제2 방송라인 즉,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해서 우회(bypass)하여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메인 무선 방송기는,
지하철의 기관사실에 설치되어, 지하철 내 비상 상황 발생시(일예: 충돌 사고나 고장으로 인한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 등) 불량 상황(특히, 방송 전원 미공급 상황) 발생시), 상기 객차 방송기 즉, 지하철의 차칸(객차나 차장실)마다 각기 설치된 객차 방송기를 독립된 무선 방송기 동작 기반으로 운영하여 지하철 비상방송을 처리해서 객차 내 승객 등에게 비상방송이 제공되도록 하고, 더불어 그러한 비상방송을 긴급시에는 지하철 차칸 구체적으로는, 독립된 별도의 전원장치를 구비하여 지하철의 차칸마다 각기 설치된 무선 스피커기로 원격 일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신호 등) 이상시 다음번째 연결 차칸(객차나 차장실)에서 방송이 되도록 하고, 지하철 내 비상 상황 발생시 독립된 무선 방송기 동작 기반으로 지하철 비상방송을 처리해서 객차 내 승객 등에게 비상방송이 제공되도록 하며, 긴급시에는 지하철 전 차칸으로 비상방송이 일괄 원격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 불량 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지하철 방송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무선 방송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제1 방송라인 : 본 발명에 따른 제1 방송라인은 지하철의 기관사실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것이다.
2. 제2 방송라인 : 본 발명에 따른 제2 방송라인은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우회하여 인접 차칸의 객차 방송기 간 무선연결하는 해당 AP와 연동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하고, 이전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로부터 무선 전달받아 보조 방송하여 된 것이다.
3. 방송라인 : 본 발명에 따른 방송라인은 방송모드를 의미하거나 방송모드와 연결 구성을 포함한 관련된 전체 구성을 통합하여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은 지하철의 주(main) 차칸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100)와 상기 지하철의 서브(sub) 차칸별로 각기 설치되고,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100)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 객차 방송기(200-1, 200-2, ... ) 및, 상기 제2 방송라인을 기반으로 이전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로부터 무선 전달받은 메인 유선 방송기(100)의 방송정보를 해당 차칸에서 방송(종래 제1 방송라인을 기반으로 한 방송 포함)하는 스피커 제어박스(21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100)는 지하철의 주 차칸(구체적으로는, 기관사실이나 차장실)에 설치된 것으로, 평상시 기관사 등의 지하철 방송을 입력받아 유선의 차칸 연결 케이블을 기반으로 지하철의 차칸에 각기 전달하여 객차의 승객 등에게 방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100)는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의 주 차칸에 더불어 설치된 메인 무선 방송기(300)와 통합 연결된다(커넥터 기반). 그래서, 이러한 통합 연결을 기반으로 메인 유선 방송기(100)의 지하철 방송이나 메인 무선 방송기(300)의 지하철 방송을 선택적으로 객차 방송기(200-1, 200-2, ... )에 송출한다.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100)는 일예로 종래 지하철의 메인 유선 방송기로 구성되고, 기관사 등의 지하철 방송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음성 합성기(Voice Synthesizer), 지하철 방송의 송출 동작을 전체 제어 관리하는 센터 오퍼레이션 박스(Center Operation Box) 및, 전원 공급기(Power Supply)를 포함한다.
객차 방송기(200-1, 200-2, ... )는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100)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객차 방송기(200-1, 200-2, ... )는 해당 차칸의 제1 방송라인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일예: 방송 전원)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감시 결과 해당 차칸의 제1 방송라인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100)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해당 차칸의 제1 방송라인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100)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우회해서 즉,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하여,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 이상시 지하철 객차에 보조 방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객차 방송기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는 방송 전원 신호나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로 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를 감시하여 지하철 방송할 방송라인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송 전원의 감시는 해당 방송 전원의 신호 전압을 기반으로 동작하고, 즉 현재 송출 중인 방송 전원의 신호 전압과 기설정된 해당 방송 전원의 정상 신호 전압 간 비교 결과에 따라 수행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신호의 감시는 지하철 방송 음성 신호의 상태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구체적으로는 현재 송출 중인 지하철 방송 음성 신호의 상태와 기설정된 해당 지하철 방송 음성 신호의 정상 상태 간 비교 결과에 따라 수행하여 동작한다(상기 감시의 구체적인 설명은 각기 후술하기로 함). 이때, 상기 방송 전원 이상시 발생된 전압은 상대적으로 고전압이기 때문에, 객차 방송기(200-1, 200-2, ... )(구체적으로는, 객차 방송기의 방송 제어 유닛(CPU 등))이 제어하는 전압 범위로 변환(down) 하여, 상기 변환된 전압을 기반으로 방송 전원의 감시를 수행한다. 그래서, 상기 수행된 방송 전원의 감시 결과를 기반으로, 방송 전원 이상상태를 인식하여 방송 절체 여부와 그에 따른 지하철 방송할 방송라인을 결정한다(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함).
메인 무선 방송기(300)는 지하철의 주 차칸(구체적으로는, 지하철의 기관사실이나 차장실)에 설치되어, 지하철 방송을 비상시(또는, 긴급시) 등에 지하철의 차칸으로 각기 무선 송출하는 것이다. 즉,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300)는 지하철의 기관사실에 설치되어, 지하철 내 비상 상황 발생시(일예: 충돌 사고나 고장으로 인한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 등) 불량 상황(특히, 방송 전원 미공급 상황) 발생시), 상기 객차 방송기(200-1, 200-2, ... ) 즉, 지하철의 차칸(객차나 차장실)마다 각기 설치된 객차 방송기를 독립된 무선 방송기 동작 기반으로 운영하여 지하철 비상방송을 처리해서 객차 내 승객 등에게 비상방송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300)는 그러한 비상방송을 긴급시에는 지하철 차칸 구체적으로는, 독립된 별도의 전원장치를 구비하여 지하철의 차칸마다 각기 설치된 무선 스피커기로 원격 일괄 송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객차 방송기(200-1, 200-2, ... )는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300)의 지하철 방송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해당 차칸에 방송하며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해서, 비상시 독립된 무선 방송기로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긴급시 구체적으로는, 지하철 차칸 연결 케이블 불량시나 방송 전원 인가 불량시 상기 지하철 서브 차칸마다 무선 스피커기(별도의 전원장치와 배터리를 구비함)를 각기 설치하는데, 이때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300)는 상기 지하철 사용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과 간섭 회피하는 상이한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설정 등록하고, 구체적으로 기존 전동차 내에 설치된 망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5Ghz 대역의 와이파이(Wifi) 망으로 구성 설정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긴급시 비상방송을 일괄 원격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 스피커기는 상기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300)의 원격 비상방송을 직접 개별수신하여, 해당 지하철 서브 차칸별로 각기 일괄 비상방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객차 방송기는 지하철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전달받아 해당 차칸에 방송하고 다음번째 연결 차칸으로 전달하는 제1 방송라인의 해당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201, 202),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무선변환 전송부(204), 상기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AP로 전달하는 AP 연결모듈(205), 이전번째 연결 차칸의 AP로부터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전달받는 무선전송 연결모듈(209) 및, 상기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무선 변환 우회하여 차칸 간 전달 방송해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 방송 제어 유닛(206)을 포함한다.
상기 감시부(201, 202)는 지하철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전달받아 해당 차칸에 방송하고 다음번째 연결 차칸으로 전달하는 제1 방송라인의 해당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다. 상기 감시부(201, 202)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감시하여 된 것이거나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를 감시하여 된 것이다.
무선변환 전송부(204)는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것이다. 즉, 지하철의 기관사실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로부터 송출된 방송정보(즉, 지하철 유선 방송정보)를 해당 차칸 연결케이블 이상시 기설정된 무선 전송신호 포맷(format)에 따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것이다.
AP 연결모듈(205)은 상기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AP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렇게 전달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는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로 전송되어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서 방송된다.
무선전송 연결모듈(209)은 이전번째 연결 차칸의 AP로부터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전달받아 방송 제어 유닛에 전달하여,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 이상시 해당 차칸(객차나 차장실)에서 방송이 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일예로, 상기 무선전송 연결모듈(209)은 와이파이(wifi) 연결모듈로 된 것이다.
방송 제어 유닛(206)은 상기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무선 변환 우회하여 차칸 간 전달 방송해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은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204)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감시부(201, 202)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감시하여 된 것일 경우,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이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204)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 처리한다. 이때, 객차 방송기의 방송 제어 유닛(CPU 등)(206)이 제어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203)를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은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이상 상태를 인식해서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204)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 처리한다. 다른 예로,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은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방송 음성 신호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방송 음성 신호 상태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204)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 처리한다. 한편,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은 상기 지하철의 메인 차칸에 설치된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상기 제2 방송라인 기반으로 무선 전달받고,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해당 차칸에 방송하며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204)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하여 비상시 독립된 무선 방송기로 동작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은 차칸 연결케이블의 방송 전원 이상시에도 방송할 수 있도록, 지하철 전 차칸 무선 방송용 별도 백업 전원을 구비하는데 즉,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을 백업하는 전원 백업장치(207)와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의 객차 방송기 공급 동작을 단속하는 스위칭 유닛(208)을 구비하는데, 이때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은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 유닛을 오프(OFF) 하여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의 객차 방송기 공급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 유닛(208)을 온(ON) 하여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의 객차 방송기 공급 동작을 허용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전압 변환부(203)는 객차 방송기의 방송 제어 유닛(CPU 등)(206)이 제어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로부터 입력된 방송 전원 신호 이상시 발생되는 전압은 상대적으로 고전압이기 때문에, 객차 방송기(구체적으로는, 객차 방송기의 방송 제어 유닛(CPU 등)(206))가 제어하는 전압 범위로 변환(down) 하여 상기 변환된 전압을 기반으로 방송 전원 이상상태를 인식해서 방송라인을 절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 변환부(203)는 현재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 이상의 전압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전압 즉, 이상 전압을 기설정된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다운 변환한다. 그래서,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이 상기 변환된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방송 전원 이상상태를 인식해서(구체적으로는,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이 상기 변환된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을 입력받은 경우 방송 전원 이상상태로 인식해서), 차칸 연결케이블 이상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방송이 되도록 한다.
전원 백업장치(207)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을 백업하는 것이다. 즉, 차칸 연결케이블의 방송 전원 이상시에도 방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을 백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일예로, 상기 전원 백업장치(207)는 지하철 전 차칸별로 즉, 객차 방송기별로 각기 개별 구성하여, 평상시 자신의 차칸 연결케이블로부터 공급된 방송 전원을 자신에게 백업하는 개별 전원백업 타입(type)으로 동작한다.
스위칭 유닛(208)은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의 객차 방송기 공급 동작을 단속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위칭 유닛(208)은 상기 방송 제어 유닛(206)의 제어하에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오프 하여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을 객차 방송기로 미공급 즉, 차단하도록 하고,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 유닛(208)을 온 하여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을 객차 방송기로 공급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무선 방송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의 다른 구성(즉, 긴급시 무선 스피커기 기반으로 동작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무선 방송기는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예를 들어, 무선 마이크로폰)(301), 상기 입력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기설정된 무선 전송신호 포맷(format)에 따라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 인터페이스부(304), 상기 무선 전송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차칸 객차 방송기 간 무선 연결하는 해당 AP로 전달하는 AP 연결 모듈(305)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303)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301)은 사용자(예를 들어, 기관사) 지하철 방송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303)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로폰(301)은 일예로, 와이파이(WIFI) 마이크로 된 것이다.
무선 전송 인터페이스부(304)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기설정된 무선 전송신호 포맷(format)에 따라 무선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 전송 인터페이스부(304)는 상기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기설정된 지하철 방송정보 비동기 전송모드에 따라 기설정된 셀(Cell) 단위로 스위칭하고, 상기 셀 단위로 스위칭된 지하철 방송정보를 셀 라우팅(Routing) 한다. 이때, 상기 셀 라우팅 하는 것은 상기 셀 라우팅을 우선 동작하는 기설정된 기준 APC(ATM Port Controller)와 상기 기준 APC 이상시 APC 동작을 보조 수행하는 서브 APC로 된 APC 이중화 제어구성으로 구비하여, 상기 기준 APC의 상태를 감시해서 상기 감시 결과 상기 기준 APC의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상태인 경우 상기 서브 APC의 APC 동작을 개시하여 셀 라우팅을 연속적으로 수행해서, 셀 라우팅을 끊김없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무선 연결성능과 안정성을 확보한다.
AP 연결 모듈(305)은 상기 무선 전송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차칸 객차 방송기 간 무선 연결하는 해당 AP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렇게 전달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는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로 전송되어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서 방송된다.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303)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 입력시 상기 무선 전송 인터페이스부(304)의 무선 전송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차칸 객차 방송기로 무선 전송 처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긴급시 지하철 비상방송을 원격 송출하는데(도 4 참조), 이를 위해 기설정된 원격 무선 통신망에 네트워킹(networking)하여 지하철 비상방송을 무선 개별 전송하는 무선 원격통신 모뎀(306)을 가진다. 이때, 상기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303)는 긴급시(예를 들어, 객차 방송기로부터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 이상에 따른 알람시나 긴급 비상방송 원격 송출 명령의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입력시) 지하철 비상방송을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지하철 비상방송을 지하철 사용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과 간섭 회피하는 상이한 기등록된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일예로, 기존 전동차 내에 설치된 망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5Ghz 대역의 와이파이(Wifi) 망)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 원격통신 모뎀의 무선 개별 전송 동작을 제어하여, 지하철 차칸마다 각기 설치된 무선 스피커기로 일괄 원격 송출한다.
무선 원격통신 모뎀(306)은 기설정된 원격 무선 통신망에 네트워킹(networking) 하여 지하철 비상방송을 무선 개별 전송하는 것이다. 즉, 상기 무선 원격통신 모뎀(306)은 기설정된 원격 무선 통신망에 네트워킹(networking) 하여 지하철 비상방송을 무선 개별 전송해서 긴급시 지하철 비상방송을 원격 송출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원격통신 모뎀은 일예로, LTE-R 모뎀으로 된 것이고, 상기 원격 무선 통신망은 LTE통신망으로 된 것이다.
객차 방송 신호 분석기(302)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분석하여 객차 방송 기준 음성 신호 체계 정보(예를 들어, 객차 방송 기준 음성 신호 주파수 정보를 포함)와 레벨(또는, 음량 : 객차 방송 기준 음성 신호의 기준 음량)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한 기설정된 객차 방송 신호 포맷(format)에 따라 변환해서, 상기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303)로 전달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하철 방송 시스템은 먼저,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신호 등) 이상시, 안정적으로 지하철 방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객차 방송기는 지하철의 주 차칸(예: 지하철 기관사실)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객차 방송기는 평상시, 자신의 차칸에 해당하는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또는 데이터) 상태를 감시한다.
상기 감시 결과 자신의 차칸에 해당하는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 결과 자신의 차칸에 해당하는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우회해서 즉,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객차 방송기는 자신의 차칸에 해당하는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감시한다.
상기 감시 결과 자신의 차칸에 해당하는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 결과 자신의 차칸에 해당하는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무선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로부터 입력된 방송 전원 신호 이상시 발생된 전압은 상대적으로 고전압이기 때문에, 객차 방송기(구체적으로는, 객차 방송기의 방송 제어 유닛(CPU 등))가 제어하는 전압 범위로 변환(down) 하여, 상기 변환된 전압을 기반으로 방송 전원 이상상태를 인식해서 방송라인을 절체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 이상의 전압으로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전압 즉, 이상 전압을 기설정된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다운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방송 전원 이상상태를 인식해서(일예로는, 객차 방송기의 방송 제어 유닛이 상기 변환된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을 입력받은 경우 방송 전원 이상상태로 인식해서), 방송라인을 절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객차 방송기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이상 상태를 인식해서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무선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한다.
한편,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감시의 다른 예로, 상기 객차 방송기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예를 들어, 방송 음성 신호 주파수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방송 음성 신호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음성 신호 상태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무선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한다.
그 결과, 지하철 기관사실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와 연동하여, 평상시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신호 등)를 감시해서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무선으로 우회 전송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객차나 차장실)에서 방송이 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 불량 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지하철 방송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은 지하철 내 비상 상황 발생시 예를 들어, 충돌 사고나 고장으로 인한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방송 전원 등의 신호 불량 상황(특히, 방송 전원 미공급 상황) 발생시, 객차 방송기 즉, 지하철의 차칸(객차나 차장실)마다 각기 설치된 객차 방송기를 독립된 무선 방송기 동작 기반으로 운영하여 지하철 비상방송을 처리해서 객차 내 승객 등에게 비상방송이 제공되도록 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지하철의 주 차칸(구체적으로는, 지하철의 기관사실이나 차장실)에 설치된 메인 무선 방송기가 비상시 사용자 예를 들어, 기관사 지하철 방송을 지하철의 차칸으로 각기 무선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지하철의 차칸에 각기 설치된 객차 방송기는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제2 방송라인 기반으로 무선 전달받고,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전달받은 경우 제1 방송라인에서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해당 차칸에 방송하며,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한다.
그래서, 비상시 독립된 무선 방송기로 동작한다.
즉, 상기 지하철의 차칸에 각기 설치된 객차 방송기는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제2 방송라인 기반으로 무선 전달받고,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전달받은 경우 제1 방송라인(즉,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제1 방송라인)에서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해당 차칸에 방송하며, 인접 차칸의 객차 방송기 간 무선연결하는 해당 AP와 연동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한다.
그래서, 비상시 독립된 무선 방송기로 동작한다.
그 결과, 지하철 내 비상 상황 발생시 예를 들어, 충돌 사고나 고장으로 인한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방송 전원 등의 신호 불량 상황(특히, 방송 전원 미공급 상황) 발생시, 객차 방송기 즉, 지하철의 차칸(객차나 차장실)마다 각기 설치된 객차 방송기를 독립된 무선 방송기 동작 기반으로 운영하여 지하철 비상방송을 처리해서 객차 내 승객 등에게 비상방송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비상 상황 발생시 객차 내 승객 등에게 안정적으로 비상방송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긴급시(구체적으로는, 지하철 차칸 연결 케이블 불량시나 전원 인가 불량시) 지하철 차칸으로 직접 각기 개별 비상방송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지하철 차칸(객차나 차장실)마다 무선 스피커기 즉, 별도의 전원장치와 배터리를 구비한 무선 스피커기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하철의 기관사실에 설치된 전술한 메인 무선 방송기에 상기 지하철 사용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과 간섭 회피하는 상이한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설정 등록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 전동차 내에 설치된 망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5Ghz 대역의 와이파이(Wifi) 망으로 구성하여, 설정 등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은 긴급시 즉, 메인 무선 방송기가 지하철 내 긴급 상황 감지시, 상기 등록된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비상방송을 일괄 원격 송출한다.
상기 긴급 상황 감지는 예를 들어, 객차 방송기로부터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 이상에 따른 알람 긴급 상황 감지시 또는 긴급 비상방송 원격 송출 명령의 사용자 키 조작에 따른 입력 긴급 상황 감지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긴급 상황 감지를 포함한다.
다음, 지하철 차칸마다 각기 설치된 무선 스피커기가 상기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원격 비상방송을 직접 개별수신하여, 해당 지하철 서브 차칸별로 각기 일괄 비상방송한다.
그 결과, 긴급시(예: 지하철 차칸 연결 케이블 불량시나 전원 인가 불량시) 지하철 차칸으로 직접 각기 개별 비상방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방송 전원이나 음성 신호 등) 이상시 다음번째 연결 차칸(객차나 차장실)에서 방송이 되도록 하고, 또는 지하철 내 비상 상황 발생시 독립된 무선 방송기 동작 기반으로 지하철 비상방송을 처리해서 객차 내 승객 등에게 비상방송이 제공되도록 하며, 긴급시에는 지하철 전 차칸으로 비상방송이 일괄 원격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철 차칸 연결케이블이나 신호 불량 상황 발생시 안정적으로 지하철 방송을 수행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인 유선 방송기 200-1, 200-2, ... : 객차 방송기
300 : 메인 무선 방송기 201 : 케이블 전원 감시부
202 : 케이블 음성 감시부 203 : 전압 변환부
204 : 무선변환 전송부 205 : AP 연결모듈
206 : 방송 제어 유닛 207 : 전원 백업장치
208 : 스위칭 유닛 209 : 무선전송 연결모듈

Claims (9)

  1. 지하철의 주 차칸에 설치된 메인 유선 방송기;
    상기 지하철의 서브 차칸별로 각기 설치되고,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 객차 방송기;
    상기 지하철의 서브 차칸별로 설치되어, 상기 각 방송정보를 방송하고, 상기 제1 방송라인에 의해서 인접 차칸 상호 간에 연결된 스피커 제어박스; 및
    상기 지하철의 주 차칸에 설치되어, 지하철 방송을 무선 송출하는 메인 무선 방송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송라인은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무선 변환 우회하여 인접 차칸 객차 방송기 간 무선연결 AP에 의해 순차 전달하여 된 것이고,
    상기 객차 방송기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를 감시하여,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스피커 제어박스에 의한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전달하며, 또한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전달받고, 방송라인 절체 방송하여, 순차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차 방송기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감시하여,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무선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제1 순차 전달하거나,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를 감시하여,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방송 음성 신호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음성 신호 상태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무선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제2 순차 전달하고;

    상기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제1 순차 전달하는 것은,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이상 상태를 인식해서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무선 변환 우회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객차 방송기에 순차 전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서브 차칸마다 각기 설치된 무선 스피커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는,
    상기 지하철 사용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과 간섭 회피하는 상이한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설정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긴급시 비상방송을 일괄 원격 송출하고,

    상기 무선 스피커기는,
    상기 지하철 무선 방송 전용 주파수 대역을 기반으로 상기 메인 무선 방송기의 원격 비상방송을 직접 개별수신하여, 해당 지하철 서브 차칸별로 각기 일괄 비상방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
  5. 지하철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전달받아 해당 차칸에 방송하고 다음번째 연결 차칸으로 전달하는 제1 방송라인의 해당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를 감시하는 감시부;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하는 무선변환 전송부;
    상기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AP로 전달하는 AP 연결모듈;
    이전번째 연결 차칸의 AP로부터 무선 전송신호로 변환 전송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전달받는 무선전송 연결모듈; 및
    상기 제1 방송라인과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보조 방송하는 제2 방송라인을 구비한 방송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송라인은,
    상기 제1 방송라인 이상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무선 변환 우회하여 인접 차칸의 객차 방송기 간 무선연결하는 해당 AP와 연동해서 다음번째 연결 차칸의 AP에 순차 전달하고, 이전번째 연결 차칸의 AP로부터 무선 전달받아 보조 방송하여 된 것이고,

    상기 방송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를 감시하여,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지하철의 서브 차칸별로 설치되어 방송하고, 상기 제1 방송라인에 의해서 인접 차칸 상호 간에 연결된 스피커 제어박스에 의한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전달하며, 또한 상기 지하철의 주 차칸에 설치되어, 지하철 방송을 무선 송출하는 메인 무선 방송기의 지하철 방송을 상기 제2 방송라인으로 전달받고,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방송해서, 순차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감시하여 된 것이거나,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를 감시하여 된 것이고,

    상기 방송 제어 유닛은,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 처리하는 것이거나,

    상기 방송 제어 유닛은,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방송 음성 신호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정보를 상기 제1 방송라인으로 전달하고, 상기 감시 결과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방송 음성 신호 상태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 처리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 신호 전압을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변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제어 유닛은,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으로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음성 이상 상태를 인식해서 상기 변환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이 기설정된 정상 방송 전원 신호 제어전압에 미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방송라인에서 제2 방송라인으로 방송라인을 절체하여 상기 무선변환 전송부의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 무선 전송신호 변환 전송 동작을 제어해서 상기 메인 유선 방송기 방송정보를 다음번째 연결 차칸에 전달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방송 전원을 백업하는 전원 백업장치; 및,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의 객차 방송기 공급 동작을 단속하는 스위칭 유닛;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정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 유닛을 오프(OFF) 하여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의 객차 방송기 공급 동작을 차단하고, 상기 제1 방송라인의 차칸 연결케이블 신호 상태가 기설정된 이상 신호 상태인 경우 상기 스위칭 유닛을 온(ON) 하여 상기 백업된 방송 전원의 객차 방송기 공급 동작을 허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철 방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9.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기설정된 무선 전송신호 포맷에 따라 무선 전송하는 무선 전송 인터페이스부;
    상기 무선 전송된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차칸 객차 방송기 간 무선 연결하는 해당 AP로 전달하는 AP 연결 모듈;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는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 입력시 상기 무선 전송 인터페이스부의 무선 전송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사용자 지하철 방송정보를 차칸 객차 방송기로 무선 전송 처리하고,

    상기 중앙 무선 방송 제어기는,
    상기 지하철 방송을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차칸 연결케이블 기반으로 차칸 간 전달 방송하는 제1 방송라인 이상시, 메인 유선 방송기의 방송 정보를 무선 변환 우회하여 인접 차칸 객차 방송기 간 무선연결 AP에 의해 순차 전달하여 된 제2 방송라인으로, 지하철의 서브 차칸별 각기 설치되어 방송라인 절체 방송하여 순차 전달하는 객차 방송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무선 방송기.
KR1020160046447A 2016-04-15 2016-04-15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 KR10187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47A KR101874497B1 (ko) 2016-04-15 2016-04-15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447A KR101874497B1 (ko) 2016-04-15 2016-04-15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29A KR20170118529A (ko) 2017-10-25
KR101874497B1 true KR101874497B1 (ko) 2018-07-04

Family

ID=6029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447A KR101874497B1 (ko) 2016-04-15 2016-04-15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4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529A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8533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an aircraft
CN110022544B (zh) 基于lte-u的车地无线综合承载系统和方法
CN110868695B (zh) 具有冗余数据链路以及电力线的分区无线通信系统和方法
CN110557733A (zh) 一种城市轨道交通lte-m网络系统及故障监测方法
KR102103598B1 (ko) 철도 차량의 무선기반 비상방송 통신 시스템
KR100921818B1 (ko) 지하철 무선 영상 전송 장치에서 고속 로밍 및 이중화 시스템
KR20130080173A (ko) 무선통신시스템과 폴백시스템을 이용한 열차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3583A (ko) 열차의 통신제어시스템
KR101874497B1 (ko) 지하철 방송 시스템과 그에 사용되는 객차 방송기 및 메인 무선 방송기
KR101599368B1 (ko) 비상방송장치
KR102077503B1 (ko) 일반 단말 및 철도 전용 단말의 통신망 접속 관리 방법
CN219107669U (zh) 机车综合无线通信设备及数字列调系统
CN109795526B (zh) 一种基于车载网络的车载台冗余热备份系统及方法
KR101792184B1 (ko) 고속열차용 통합무선통신장치
US118948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KR101792064B1 (ko) 신호 분배기
KR102290657B1 (ko) 철도차량 중련운행 시 자동 비상방송 무선통신시스템
KR102668088B1 (ko) 송신기 위치변화에 따른 열차비상방송방법
EP3832979B1 (en) Partition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redundant data links and power lines
JPH10117401A (ja) 電気鉄道における電力供給システム
KR20090118547A (ko) Trs를 이용한 실시간 열차 고장 정보의 이중화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200248315Y1 (ko) 통신 안정화를 위한 자동 보호 스위칭 시스템
JP3469480B2 (ja) 無線システム
RU2579603C1 (ru) Центральная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системы контроля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связ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поезда
RU155211U1 (ru) Центральная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системы контроля безопасности и связ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поез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