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918B1 -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918B1
KR101873918B1 KR1020120003254A KR20120003254A KR101873918B1 KR 101873918 B1 KR101873918 B1 KR 101873918B1 KR 1020120003254 A KR1020120003254 A KR 1020120003254A KR 20120003254 A KR20120003254 A KR 20120003254A KR 101873918 B1 KR101873918 B1 KR 101873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connection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202A (ko
Inventor
윤주영
한규정
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03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9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AP(Access Point)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AC(Access Controller)를 통한 WiFi 로밍 운용 방법은, 단말별 인증 상태에 대한 단말 세션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에 대해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접속 또는 구 AP로부터 새로운 AP로의 로밍 접속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접속과 상기 로밍 접속을 구분하여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vely Controlling Traffic and Managing Station Session in WiFi Roaming Based on AC-AP Association}
본 발명은 WiFi 로밍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CAPWAP(Control and Provisioning of Wireless Access Points) 프로토콜에 따라 터널링 방식으로 연동하는 프리미엄 AC(Access Controller)와 프리미엄 AP(Access Point)에 의해 단말 세션 관리 기능과 트래픽 제어 기능을 분리한 WiFi 로밍 방식에서 효과적으로 트래픽을 제어하고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대한 세션을 관리할 수 WiFi 로밍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WiFi(Wireless Fidelity) 로밍 시스템은 IEEE 802.11a/b/g/n 규격에 근거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일종으로 무선접속중계장치인 AP(Access point)에서 일정거리 이내의 이동 단말에게 고속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AP 를 이용한 WiFi 로밍 방식에서 일반적으로 LWAPP(Lightweight Access Point Protodol) 프로토콜에 따라 AP가 단말 세션 관리 기능과 트래픽 제어 기능을 모두 담당하고 있지만, CAPWAP 프로토콜의 도입으로 AC(Access Controller)가 AP와 터널링 방식으로 연동하여 단말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AP의 부하를 줄여 이동 단말에 원활한 고속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인증/과금 처리 시 일반적으로 AP에서 인증서버(RADIUS)와 연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단말의 이동으로 단말이 새로운 AP로 접속할 때마다 빈번히 새로운 AP에서 인증과 과금 관련 트래픽을 발생하는 등 트래픽 제어와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대한 세션 관리가 비효율적이므로 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의 접속에 대한 MAC 정보 기반의 단말 인증 상태를 AC에서 접속 요청(Assoc.), 인증(Auth.), 및 접속 해제(Disassoc.)로 구분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AC와 AP간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AC와 AP가 동일 서브넷에 존재하지 않아도 터널링 방식으로 연동하여 단말이 이전 구(old) AP로부터 새로운(new) AP로 접속할 때 효과적으로 재인증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인증서버(RADIUS)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WiFi 로밍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AP(Access Point)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AC(Access Controller)를 통한 WiFi 로밍 운용 방법은, 단말별 인증 상태에 대한 단말 세션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에 대해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접속 또는 구 AP로부터 새로운 AP로의 로밍 접속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초기 접속과 상기 로밍 접속을 구분하여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관리되는 상기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 인증(Auth.), 또는 접속 해제(Disassoc.)로 구분 관리하여 이동 단말의 AP를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트래픽을 제어한다.
상기 초기 접속에 대하여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으로 업데이트하고,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통해 상기 인증서버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하고, AP에 이동 단말의 접속을 허용한다.
상기 로밍 접속에 대하여,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재인증을 생략하고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새로운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새로운 AP에 이동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거나,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새로운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으로 업데이트하고,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통해 상기 인증서버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새로운 AP에 이동 단말의 접속을 허용한다.
상기 WiFi 로밍 운용 방법은,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상기 구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해제(Disassoc.)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구 AP에 대한 이동 단말의 접속을 해제한 후, 상기 구 AP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해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과금 정보를 누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P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는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 시에 포함되는 MAC 주소일 수 있으며, 상기 AP의 식별자는 AP로부터 수신하는 AP의 MAC 주소, AP 의 SSID,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WiFi 로밍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의 MAC 정보 기반으로 단말 인증 상태를 AC에서 접속 요청(Assoc.), 인증(Auth.), 및 접속 해제(Disassoc.)로 구분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AC와 AP간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AC와 AP가 동일 서브넷에 존재하지 않아도 터널링 방식으로 연동하여 단말이 이전 구(old) AP로부터 새로운(new) AP로 접속할 때 효과적으로 재인증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인증서버(RADIUS)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로밍 운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C(억세스 콘트롤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C(억세스 콘트롤러)에 관리하는 단말 세션 테이블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1의 AC(억세스 콘트롤러)에서의 트래픽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의 초기 AP 접속 시의 AP-AC 간 트래픽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 단말의 이전 구(old) AP로부터 새로운(new) AP로의 로밍 접속할 때의 AP-AC 간 트래픽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로밍 운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로밍 운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100)은, 이동 단말(110), 무선 AP들(Access Point)(120, 130), 인증서버(140), 및 AC(Access Controller: 접속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무선 AP들(120, 130), 인증서버(140), AC(150)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동하며, 이동 단말(110)은 CAPWAP(Control and Provisioning of Wireless Access Points)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 상에서 터널링 방식으로 연동하는 프리미엄 AC(150)와 프리미엄 AP(120/130)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받아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다른 사용자 단말이나 인터넷 서버 등과 통신하여 필요한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AP(120/130)는 트래픽 제어 기능을 담당하고, AC(150)는 단말 세션 관리 기능을 담당하여 WiFi 로밍을 위한 AP(120/13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인터넷일 수 있고, 네트워크에는 이동 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WCDMA, LTE, WiBro 등의 무선 이동 통신망이나, 유선 전화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AC(150)는 무선 AP들(120, 130)과 동일 라우터에 의해 라우팅 제어를 받는 동일 서브넷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무선 AP들(120, 130)이 접속된 서브넷과 연결된(routed connection) 다른 라우터들의 라우팅 제어를 받는 다른 서브넷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인증서버(14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인증 및 과금을 담당하는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in user services)와 같은 서비스를 수행하는 인증 및 과금 서버에 해당하며, 데이터베이스에 가입자 이동 단말들의 다양한 인증 방식에 의한 인증을 위한 정보를 관리하여 AC(150)의 요청에 따라 인증을 성공시키면 과금을 시작하고 이동 단말(110)의 서비스 이용 기간 동안 AC(150)로부터 과금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과금 통계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인증 방식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인증, DNS(Domain Name Server) 인증,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인증, 화이트 리스트(차단되지 않는 웹사이트 목록)를 참조하거나 HTTP(포트번호 80, 443 등)에 기초한 웹인증,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인증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110)은 무선 AP들을 통해 WiFi(Wireless Fidelity) 프로토콜에 따라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로서, 아이팟, 안드로이드 폰 등의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고,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선 AP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무선 통신이 가능한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모바일 게임기(mobile play-station), 기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또는 이동 단말일 수 있고,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등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가정용 또는 기업용 사회 전반의 다양한 전자 기기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AP들(120, 130)과 연동하여 WiFi 로밍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AC(150)가 이동 단말(110)과 인증서버(140) 서버 사이에서 이동 단말(110)의 인증을 중계하며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고 AP들(120, 130)로의 접속을 제어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110)의 MAC 정보 기반으로 단말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 인증(Auth.), 및 접속 해제(Disassoc.)로 구분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AC(150)와 AP(120/130)간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AC(150)와 AP(120/130)가 동일 서브넷에 존재하지 않아도 터널링 방식으로 연동하여 단말(110)이 이전 구(old) AP(120)로부터 새로운(new) AP(130)로 접속할 때 효과적으로 재인증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인증서버(RADIUS)의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AC(150)는 도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C(150)는 인증부(151), 세션테이블 관리부(152), 과금처리부(153), 및 데이터베이스(15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AC(150)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로밍 운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100) 상의 AC(15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며, 그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는 하기하는 바와 같이 도 4 내지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에서, 인증부(151)는, 이동 단말(110)의 접속 요청(association)을 AP(120/130)로부터 전달받으면 이동 단말(110)에 IP 주소를 할당하고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예, MAC 주소 인증 등)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 AP(120/130)에 이동 단말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5)에는 도 3과 같이 이동 단말들(110)의 인증 상태가 접속 요청(Assoc.), 인증(Auth.), 또는 접속 해제(Disassoc.)로 구분 관리되는 단말 세션 테이블이 저장되며, 이동 단말들(110)의 AP(120/130)를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세션테이블 관리부(152)는 이동 단말(110)의 접속 요청(association)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55)의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접속 또는 구 AP(120)로부터 새로운 AP(130)로의 로밍 접속을 판단하고, 상기 초기 접속과 상기 로밍 접속을 구분하여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AP로부터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 시에 포함되는 MAC 주소)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예, AP의 MAC 주소, AP 의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단말 세션 테이블의 해당 단말에 대한 인증 상태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AP의 식별자는 AP의 MAC 주소만을 AP ID로 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AP에서 복수의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사용하여 그 서비스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SSID로 서비스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 시에 AP로부터 수신되는 AP의 MAC 주소와 함께 해당 구분된 SSID를 AP 식별을 위한 BSSID(Basic SSID)로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초기 접속에 대해 인증부(151)에서의 인증에 따라 이동 단말(110)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로밍 접속에 대해 인증부(151)에서의 인증없이 또는 재인증에 따라 구(old) AP(예, 120)로부터 새로운(new) AP(예, 130)로의 접속을 허용하여, 새로운(new) AP(예, 130)를 통한 이동 단말(110)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개시할 수 있다. 로밍 접속 시에는 구(old) AP(예, 120)에 대한 이동 단말(110)의 접속을 해제하고, 과금처리부(153)는, 구(old) AP(예, 120)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해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과금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5)에 누적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로밍 운용을 위한 통신 시스템(100)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AC(150)에서의 트래픽 처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110)의 사용자가 무선 AP가 설치된 지역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경우에, 이동 단말(110)은 가장 가까운 AP(120/130)로 접속(초기 접속/로밍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를 전송하며(S10) AP(120/130)는 AC(150)로 이를 전달한다(S11).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에는 이동 단말(110)의 MAC 주소가 포함되며 이외에도 목적지(120/130) MAC 주소 등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요청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110)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세션 관리를 위해 AP(120/130)는 접속(초기 접속/로밍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에서 MAC 주소를 추출하여 AC(150)로 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AC(150)의 세션테이블 관리부(152)는 이동 단말(110)의 접속 요청(association)에 대해 해당 MAC 주소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155)의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접속 또는 구 AP(120)로부터 새로운 AP(130)로의 로밍 접속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초기 접속에 대하여는, 세션테이블 관리부(152)는 해당 단말과 AP에 대한 엔트리를 단말 세션 테이블에 생성하되,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AP로부터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 시에 포함되는 MAC 주소)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예, AP의 MAC 주소, AP 의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으로 업데이트하고(S21), 인증부(151)가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S30), 상기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한다(S40). 즉, 단말 세션 테이블에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가 접속 요청(Assoc.)에서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된다(S41).
반면, 상기 로밍 접속에 대하여는, 세션테이블 관리부(152)는 데이터베이스(155)의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구 AP(120)를 통해 기 인증이 되었음을 확인하여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재인증을 생략하고(S22),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AP로부터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 시에 포함되는 MAC 주소)와 접속한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예, AP의 MAC 주소, AP 의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40). 즉, 접속된 노드가 구 AP(120)에서 새로운 AP(130)로 변경되었으므로, 인증은 생략하되 단말 세션 테이블에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에 대하여 인증 상태가 인증(Auth.) 상태로 변경된다(S42).
또한, 상기 로밍 접속에 대하여는, 재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 단말(110)의 접속 요청(association)에 대해 세션테이블 관리부(152)가 로밍 접속인 것을 판단한 경우에(S22), S21에서와 유사하게,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AP로부터 수신하고,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 시에 포함되는 MAC 주소)와 접속한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예, AP의 MAC 주소, AP 의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으로 업데이트하고, 인증부(151)가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S30), 상기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40). 즉, 단말 세션 테이블에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가 접속 요청(Assoc.)에서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위와 같이 AC(150)의 인증부(151)가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경우에, 위와 같이 단말 세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면, 접속한 AP(120/130)를 통해 해당 이동 단말(110)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30 단계에서, 인증부(151)는 이동 단말(110)(예, MAC 주소 등)에 대한 할당된 IP 주소가 없으면 IP 주소를 할당하고,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예, MAC 주소 인증 등)을 수행한다. 즉, AC(150)의 인증부(151)는 단말(110)의 MAC 주소 등 인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인증서버(14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서버(140)는 PAP(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가입자 이동 단말별 인증 정보(예, MAC 주소 등)에 포함되어 있으면 AC(150)로 인증 성공 정보를 응답하며 단말(110)에 대한 과금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필요한 응답을 받음으로써(accounting request), AC(150)의 과금처리부(153)에서 과금정보가 누적되어 통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AC(150)의 인증부(151)가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에는, AP(예, 120)에 이동 단말(110)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메시지(Adding Station)를 주고 받음으로써(S50, S60), 이동 단말(110)은 할당받은 IP 주소를 이용해 AP(예, 12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70).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110)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다른 인접 지역 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110)이 구(old) AP(예, 120)가 커버하는 영역을 벗어나면, 해당 위치에 새로운(new) AP(예, 13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110)은 새로운(new) AP(예, 130)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이전 구(old) AP(예, 120)로 접속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55)에 저장된 단말 세션 테이블에 따라 인증부(151)는 S30에서와 같이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재인증 없이 또는 재인증 후에 새로운(new) AP(예, 130)로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S30).
위와 같은 새로운(new) AP(예, 130)로의 로밍 접속에 대해서는 S40에서와 같이, 세션테이블 관리부(152)가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상기 구 AP(예, 120)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해제(Disassoc.)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인증부(151)는, 구(old) AP(예, 120)와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메시지(Deleting Station)를 주고 받음으로써(S50, S60), 구(old) AP(예, 120)에 대한 이동 단말(110)의 접속을 해제하고(S61), 이에 따라 AC(150)의 과금처리부(153)는, 구(old) AP(예, 120)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해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과금 정보를 누적 계산할 수 있다. 인증부(151)는 새로운(new) AP(예, 130)에는 이동 단말(110)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메시지(Adding Station)를 주고 받음으로써(S50, S60), 이동 단말(110)은 기 할당받은 IP 주소를 이용해 새로운(new) AP(예, 13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70).
도 5는 이동 단말(110)의 초기 AP 접속 시의 AP-AC 간 트래픽 처리 방식을 좀 더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110)의 사용자가 무선 AP가 설치된 지역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경우에, 이동 단말(110)은 가장 가까운 AP(120)로 접속(초기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를 전송하며AP(120)는 AC(150)로 이를 전달한다(S110).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에는 이동 단말(110)의 MAC 주소(MAC1)가 포함되며 이외에도 목적지(120) MAC 주소 등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요청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110)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세션 관리를 위해 AP(120)는 접속(초기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에서 MAC 주소(MAC1)를 추출하여 MAC 주소(MAC1)에 대한 인증이 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하고, AC(150)로 이를 전달한다. 인증 방식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인증, DNS(Domain Name Server) 인증,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인증, 화이트 리스트(차단되지 않는 웹사이트 목록)를 참조하거나 HTTP(포트번호 80, 443 등)에 기초한 웹인증,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인증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C(150)의 세션테이블 관리부(152)는 이동 단말(110)의 접속 요청(association)에 대해 해당 MAC 주소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155)의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접속 또는 구 AP(120)로부터 새로운 AP(130)로의 로밍 접속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초기 접속임을 확인하고, 해당 단말과 AP에 대한 엔트리를 단말 세션 테이블에 생성하되,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MAC1)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예, AP1,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으로 업데이트한다(S120).
이 후 인증부(151)는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151)는 이동 단말(110)(예, MAC 주소 등)에 대한 할당된 IP 주소가 없으면 IP 주소를 할당하고,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예, MAC 주소 인증 등)을 수행한다. 즉, AC(150)의 인증부(151)는 단말(110)의 MAC 주소 등 인증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인증서버(140)로 전송하여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서버(140)는 PAP(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는 가입자 이동 단말별 인증 정보(예, MAC 주소 등)에 포함되어 있으면 AC(150)로 인증 성공 정보를 응답하며 단말(110)에 대한 과금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필요한 응답을 받음으로써(accounting request), AC(150)의 과금처리부(153)에서 과금정보가 누적되어 통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인증부(151)를 통해 이와 같이 인증이 이루어진 후 해당 단말의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한다(S130). 즉, 단말 세션 테이블에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MAC1)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예, AP1,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인증 상태가 접속 요청(Assoc.)에서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된다.
이와 같이 AC(150)의 인증부(151)가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에는, 위와 같이 단말 세션 테이블을 업데이트한 후, AP(예, 120)에 이동 단말(110)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메시지(Adding Station)를 주고 받음으로써(S50, S60), 이동 단말(110)은 할당받은 IP 주소를 이용해 AP(예, 12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S140). 접속된 AP(120)는 MAC 주소(MAC1)에 대한 인증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트래픽 제어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이동 단말(110)의 이전 구(old) AP(120)로부터 새로운(new) AP(130)로의 로밍 접속할 때의 AP-AC 간 트래픽 처리 방식을 좀 더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110)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다른 인접 지역 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110)이 구(old) AP(예, 120)가 커버하는 영역을 벗어나면, 해당 위치에 새로운(new) AP(예, 13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동 단말(110)은 새로운(new) AP(예, 130)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동 단말(110)은 새로운(new) AP(예, 130)로 접속(로밍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를 전송하며 AP(130)는 AC(150)로 이를 전달한다(S210).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에는 이동 단말(110)의 MAC 주소(MAC1)가 포함되며 이외에도 목적지(120) MAC 주소 등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요청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110)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세션 관리를 위해 새로운(new) AP(130)는 접속(초기 접속) 요청 메시지(association)에서 MAC 주소(MAC1)를 추출하여 MAC 주소(MAC1)에 대한 인증이 되지 않은 상태임을 확인하고, AC(150)로 이를 전달한다. 인증 방식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인증, DNS(Domain Name Server) 인증,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인증, 화이트 리스트(차단되지 않는 웹사이트 목록)를 참조하거나 HTTP(포트번호 80, 443 등)에 기초한 웹인증,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인증 등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C(150)의 세션테이블 관리부(152)는 이동 단말(110)의 접속 요청(association)에 대해 해당 MAC 주소(MAC1)에 대하여 데이터베이스(155)의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접속 또는 구 AP(120)로부터 새로운 AP(130)로의 로밍 접속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로밍 접속임을 확인하고, 데이터베이스(155)의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구 AP(120)를 통해 기 인증이 되었음을 확인하여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재인증을 생략하고(S220),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MAC1)와 접속한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예, AP1,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230). 즉, 접속된 노드가 구 AP(120)에서 새로운 AP(130)로 변경되었으므로, 인증은 생략하되 단말 세션 테이블에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에 대하여 인증 상태가 인증(Auth.) 상태로 변경된다.
도 4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밍 접속에 대하여, 재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이동 단말(110)의 접속 요청(association)에 대해 세션테이블 관리부(152)가 로밍 접속인 것을 판단한 경우에,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예, MAC1)와 접속한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예, AP1, SSID, 또는 이들의 조합 등)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으로 업데이트하고, 인증부(151)가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140)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110)에 대한 인증을 통해 인증서버(140)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도 5의 인증 과정 참조), 상기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이때 단말 세션 테이블에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새로운 AP(130)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가 접속 요청(Assoc.)에서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새로운(new) AP(예, 130)로의 로밍 접속에 대해서는 S40에서와 같이, 세션테이블 관리부(152)가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상기 구 AP(예, 120)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해제(Disassoc.)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S230), 인증부(151)는, 구(old) AP(예, 120)와의 접속을 해제하기 위한 메시지(Delete Station)를 주고 받음으로써, 구(old) AP(예, 120)에 대한 이동 단말(110)의 접속을 해제하고, 이에 따라 AC(150)의 과금처리부(153)는, 구(old) AP(예, 120)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해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과금 정보를 누적 계산할 수 있다. 인증부(151)는 새로운(new) AP(예, 130)에는 이동 단말(110)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메시지(Add Station)를 주고 받음으로써, 이동 단말(110)은 AP(예, 120)를 통해 기 할당받은 IP 주소를 이용해 새로운 AP(예, 130)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접속된 새로운 AP(예, 130)는 MAC 주소(MAC1)에 대한 인증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트래픽 제어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위와 같은 세션 관리(인증/과금 등)를 위한 제어/데이터 채널의 트래픽과 이동 단말(110)이 인터넷 서비스 이용시에 발생하는 사용자 트래픽이 모두 중앙 처리 방식에 의해 AC(150)를 거쳐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하 분산을 위한 분산 처리 방식에 의해 이동 단말(110)이 인터넷 서비스 이용시에 발생하는 사용자 트래픽은 AC(150)를 거치지 않고 L2 스위치, 라우터 등 네트워크를 통해서 바로 송수신되도록 하고, 세션 관리를 위한 제어/데이터 채널의 트래픽만 AC(150)를 거쳐 송수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동 단말(110)
무선 AP들(120, 130)
인증서버(140)
AC(150)
인증부(151)
세션테이블 관리부(152)
과금처리부(153)
데이터베이스(155)

Claims (7)

  1. 이동 단말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 AP(Access Point)와 연동하는 네트워크 상의 AC(Access Controller)를 통한 WiFi 로밍 운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AC에서 단말별 인증 상태에 대한 단말 세션 테이블을 데이터베이스에 관리하고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에 대해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을 참조하여 초기 접속 또는 구 AP로부터 새로운 AP로의 로밍 접속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AC에서 상기 초기 접속과 상기 로밍 접속을 구분하여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밍 접속에 대하여,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재인증을 생략하고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새로운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새로운 AP에 이동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네트워크 상의 서버 이외에 제어기로서의 별도의 상기 AC가 네트워크 상에 운영되며, 상기 AC와 AP들이 동일 서브넷에 존재하지 않아도 터널링 방식으로 연동하여 이동 단말이 상기 구 AP로부터 상기 새로운 AP로 접속할 때 재인증을 생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로밍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관리되는 상기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 인증(Auth.), 또는 접속 해제(Disassoc.)로 구분 관리하여 이동 단말의 AP를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로밍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접속에 대하여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접속한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요청(Assoc.)으로 업데이트하고, 네트워크 상의 인증서버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통해 상기 인증서버에서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인증 상태를 인증(Auth.)으로 업데이트하고, AP에 이동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로밍 운용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와 통신으로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인증을 통해 과금을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인증부; 상기 초기 접속 또는 상기 로밍 접속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인증 상태를 업데이트하는 세션테이블 관리부; 및 상기 로밍 접속에 대하여 구 AP에 대한 이동 단말의 접속이 해제되면 구 AP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해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과금 정보를 누적하는 과금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AC에서, 상기 로밍 접속에 대하여, 상기 세션테이블 관리부가 상기 단말 세션 테이블에 해당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와 상기 구 AP의 식별자에 대응된 인증 상태를 접속 해제(Disassoc.)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인증부가 상기 구 AP에 대한 이동 단말의 접속을 해제한 후, 상기 과금 처리부가 상기 구 AP로부터 과금 정보를 수신해 해당 이동 단말에 대한 과금 정보를 누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로밍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AP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접속 요청 단말 식별자는 이동 단말의 접속 요청 시에 포함되는 MAC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로밍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의 식별자는 AP로부터 수신하는 AP의 MAC 주소, AP 의 SSID,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WiFi 로밍 운용 방법.
KR1020120003254A 2012-01-11 2012-01-11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87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54A KR101873918B1 (ko) 2012-01-11 2012-01-11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254A KR101873918B1 (ko) 2012-01-11 2012-01-11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02A KR20130082202A (ko) 2013-07-19
KR101873918B1 true KR101873918B1 (ko) 2018-07-04

Family

ID=48993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254A KR101873918B1 (ko) 2012-01-11 2012-01-11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2393A (zh) * 2021-11-17 2022-04-08 锐捷网络股份有限公司 基于认证的通信控制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102628880B1 (ko) * 2022-04-27 2024-01-25 주식회사 케이씨티브이제주방송 와이파이를 활용한 데이터 공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004B1 (ko) * 2002-03-20 2005-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랜의 동일 서브넷 내에서의 로밍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7715B2 (en) * 2006-07-19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P configuration after handoff in WLAN
US8619988B2 (en) * 2008-01-31 2013-12-31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Wi-Fi service with authentication and accounting contro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004B1 (ko) * 2002-03-20 2005-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공중 무선 랜의 동일 서브넷 내에서의 로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02A (ko) 201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9480B2 (en) Provisioning electronic subscriber identity modules to mobile wireless devices
JP4034729B2 (ja) 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通信装置及び方法
US911333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uthentication of a user
US10911958B2 (en) Wireless network management and online signup of services
JP463434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CN102917356B (zh) 将用户设备接入演进的分组核心网络的方法、设备和系统
KR101504173B1 (ko)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과금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40351887A1 (en)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EP3305010B1 (en) Method of creating and deleting vwlan dynamically in a fixed access network sharing environment
CN1989756A (zh) 用于pana的独立于媒体的预认证支持的框架
US8023484B1 (en) Method for obtaining a mobile internet protocol address
KR20140010206A (ko) 라디오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방법
KR101460766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기능을 이용한 보안설정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5516887A (zh) 在独立非公共网络中载入设备
US8036222B1 (en) Method for obtaining a mobile internet protocol address
CN102740290B (zh) 一种预认证和预配置方法及其系统
EP229974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obility security in the next generation network
KR101873918B1 (ko) AC와 AP의 연동 기반의 WiFi 로밍에서의 효과적인 트래픽 제어 및 단말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TWI734270B (zh) 接取私有網路服務之方法及系統
US8279872B1 (en) Method for obtaining a mobile internet protocol address
EP2979436B1 (en) Wlan resource management in an access network system
KR101065121B1 (ko) 인증과 보안 기능이 강화된 이동 중계 장치 및 이를 이용한패킷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8908871B2 (en) Mobile internet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home agent root key
US20240121600A1 (en) Network address assignment/allocation and use in a multi-operator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CN113498055B (zh) 接入控制方法及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