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701B1 - Hybrid range hood - Google Patents

Hybrid range h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701B1
KR101873701B1 KR1020170177105A KR20170177105A KR101873701B1 KR 101873701 B1 KR101873701 B1 KR 101873701B1 KR 1020170177105 A KR1020170177105 A KR 1020170177105A KR 20170177105 A KR20170177105 A KR 20170177105A KR 101873701 B1 KR101873701 B1 KR 101873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supply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1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텍
Priority to KR102017017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7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H01L35/0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ybrid rang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ybrid range hood comprises: a discharge suction unit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direction of a range, which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to discharge smell, heat, fine dust, and various kinds of gases generated during cook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ing a discharge motor and a discharge fan; an inflow discharge unit to discharge inflow air supplied from an inflow air supply unit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suction unit; and a thermoelectric generation unit disposed in the inflow discharge unit to generate electricity from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flow and discharge areas. Accordingly, the range hood is automatically operated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in accordance with a cooking state of foo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erforming cooking in a clean state. Moreover, external fresh air is supplied in a non-cooking state by the range hood and the inflow air supply unit,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facilitating circulation and ventilation of the indoor air. In particular, provided is an effect of solving a problem of holding a congested state of the air of a kitchen and not discharging the smell of food since the external air is not supplied to a kitchen side and circul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by difficulty in air supply in the case of an apartment or house not having a window on the kitchen side.

Description

복합기능 레인지후드{Hybrid range hood}Hybrid range hood

본 발명은 복합기능 레인지후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인지후드와 급기공급부와 연동되도록 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한 복합기능 레인지후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range ho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functional range hood that interlocks with a range hood and an air supply unit to discharge air from the room to the outside and supply fresh outside air to the room .

종래에는 주방에서 조리시 발생되는 열기, 증기, 각종 냄새, 또는 유해가스와 같은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외부로 방출하는 레인지후드, 실내를 밝혀주는 조명기기, 및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는 과정에서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가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였다.Conventionally, a range hood for collecting contaminants such as heat, steam, various odors, or noxious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in a kitchen and emitting the contaminants to the outside, lighting equipment for illuminating the room, The air purifier for purifying the indoor air using the apparatus was separately constructed and performed each function.

다시 말하면, 레인지후드는 조리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를 포집하여 실외로 연결된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조리시 발생한 유해가스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In other words, the range hood collects various harmful gases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discharges them to the outside through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thereby preventing the harmful gas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diffusing into the room.

또한, 급기공급부는 팬(Fan)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면서 필터에 의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거나 흡착시켜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In addition, the air supply unit performs a function of filtering air pollutants in the air by a filter while forcibly circulating indoor air by a fan, and adsorbing the pollutants.

이와 같이 종래에는 레인지후드 및 급기공급부가 각각 구성되어 각각의 기능만을 수행하였는바,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는 2가지 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컨트롤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실외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되도록 조작하였다. In order to use the two devices, the user desires to use the device in order to discharge the air from the room to the outside or to use the room outside Air was manipulated to flow into the interior.

상기와 같이 레인지후드와 급기공급부를 별도로 작동시키므로 사용자는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하는 시간에는 레인지후드 만을 작동시켜 음식 냄새, 유증 또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레인지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양보다 거실쪽으로 이동하는 양이 더 많기 때문에 완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ange hood and the air supply unit are separately operated, the user operates only the range hood to discharge the food odor, beak or heat to the outside during the cooking time of the food in the kitche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haust is not completely performed because the amount of the exhaust gas flowing toward the living room is large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15085호(2005.12.07. 공개)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 상기 흡기부로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여과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재순환하는 배기부; 상기 흡기부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재순환시키는 송풍부; 살균이온을 발생시키는 클러스터이온발생기; 실내를 밝히는 조명부; 상기 송풍부, 상기 클러스터이온발생기, 및 상기 조명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및 상기 흡기부, 상기 필터부, 상기 배기부, 상기 송풍부, 상기 클러스터이온발생기, 상기 조명부, 및 상기 제어부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115085 (Dec. 12, 2005) discloses a recirculating range hood equipped with an air purifying function. The recirculating range hood includes an intake unit for sucking indoor air;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into the suction unit; An exhaust unit for recirculating filtered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room again; A blowing unit for recirculating the air sucked into the intake unit to the room through the exhaust unit; A cluster ion generator for generating sterilizing ions; A lighting unit illuminating the room; A cluster ion generator, and the illumina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flow, the cluster ion generator, and the illumin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take unit, the filter unit, the exhaust unit, And a body portion for coupl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필터에 의해 공기는 청정해 지는 장점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음식의 조리시 발생하는 냄새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에는 힘든 문제점이 있다.The prior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an advantage that air is cleaned by the filt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smell and the fine dust which are generated when the food is cooked.

또한, 선행기술은 센서를 통해 메탄 가스 또는 프로판 가스등의 가연성 가스, CO와 유화 또는 수소 등의 독성 가스, 또는 프론과 알콜 등 각종 가스 농도를 검출할 수는 있으나, 주방 및 실내 공기의 상태를 체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주방 및 실내의 청정도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 prior art can detect the concentration of various gases such as methane gas or propane gas, toxic gas such as CO, emulsified or hydrogen, or furon and alcohol through the sensor, bu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e of the kitchen and the room 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liness of the kitchen and the room can not be confirmed.

또한, 상기의 선행기술은 실내의 공기만을 순환시켜 공기를 정화하므로 실내의 공기가 정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물론 실내에 음식냄새가 베이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circulates air only in the room to clean the air,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lean the air in the roo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m smells ba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115085호(2005.12.07. 공개)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115085 (disclosed on Dec. 7, 200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센서에 의해 조리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유기화합물을 검지하여 레인지후드를 자동으로 운전함은 물론 레인지후드의 배기시 급기공급부와 연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 공기의 빠르게 순환시켜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fine dust and organic compounds generated during cooking by the temperature sensor, automatically operates the range hood,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ybrid range hood which is capable of quickly discharging the air to the outside and supplying outside fresh air to the room to rapidly circulate the room air and to always provide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급기공급부에서 레인지후드 쪽으로 실외 공기가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레인지후드에 설치된 컨트롤러를 통해 레인지후드와 급기공급부를 구동시켜 실외 공기를 공조흡기덕트 및 공급관을 통해 실내로 공급하고, 급기공급부의 공조배기덕트와 레인지후드의 배기관을 통해 주방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내 및 주방의 공기가 빠르게 순환되어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door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to the range hood to drive the range hood and the air supply unit through a controller installed in the range hood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through the air conditioning air intake duct and the supply pipe, The air in the kitchen is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of the air conditioning duct and the exhaust hood of the range hood so that the air in the room and the kitchen is rapidly circulated and the air conditioner can always maintain a pleasant condi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열기, 미세먼지 및 각종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된 레인지의 상방향에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배기모터, 배기팬을 포함하는 배기흡입부와, 상기 배기흡입부와 이격되어 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급기를 토출하는 급기토출부 및 상기 급기토출부에 구비되어 급기와 배기의 온도차이를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king device which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of a range installed in a room for exhausting odors, heat, fine dust, A supply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supply air supplied from the supply air supply unit and a supply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ir and the exhaust air, And a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전발전부는 배기흡입부와 급기토출부의 경계에 설치되며, 방열판을 급기토출부에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may be provided at a boundary between the exhaust gas suction unit and the air supply discharge unit, and may include a heat radiation plate in the air supply discharge un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판은 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배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배기흡입부와 경계한 급기유로 내면에 복수개로 기립시킨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dissipation plate may be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plates stan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supply duct bounded by the exhaust suction unit so that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is perform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판은 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급기토출부의 공급구를 통해 균일하게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주토출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sink may include a main discharge portion arrang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so that air can be uniformly supplied through a supply port of the supply air discharge portion of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방열판들 사이에 보조방열판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heat sink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t sink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주토출부의 양측으로 방열판을 더 배열하여 역사다리꼴 형상의 보조토출부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t sink may be further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main discharge portion to form an auxiliary discharge portion having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열전발전부는 온도차이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반도체 열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고, 도전체인 열전달부를 배기흡입부 측으로 배열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generates electricity by a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device can be used, and the heat transfer part as a conductive part can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exhaust suction pa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공급구는 급기가 토출되는 통공으로 종횡비가 큰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ly port may b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supply air is discharged, and may have a large aspect rati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기공급부는 급기유로 경로상 외기와 연통되도록 급기팬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unit may include an air supply fa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on the air supply flow path.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기공급부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실내급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가지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외기흡기구와 외기공급구 및 상기 분배기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흡입하여 실외배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내기흡입구와 내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unit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nd a partition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room so as to discharge the air in the room and to supply the room air to the room An outdoor air intake port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o communicate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tributor and an outdoor air supply port and an outdoor air supply port through the distributor; And an air inlet port and an air outlet port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배기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분리되어 섞이지 않도록 내부가 분리되게 구성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급기토출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ributor may be configured to separate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be mixed, so that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space and 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are separately supplied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기공급구는 환기급기유로로 연장되어 급기유로로 분기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supply port may be extended to the ventilation air supply duct and branched to the air supply duc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기흡기구와 연통되는 급기유로구로 급기유로가 연장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flow path may be extended to the air supply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기급기유로에는 제1전동댐퍼 또는 제2전동댐퍼를 더 구비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ctric damper or a second electric damper is further provided in the ventilating / Or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급기유로에 전동댐퍼를 더 구비한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duc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ic damp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레인지후드 및 급기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하거나 또는 이들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hood and the air supply uni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dependently, or may be driven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온도센서에 의하여 음식의 조리 상태에 따라 레인지후드를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 청정한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ange hood can be automatically driven according to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cooking is performed in a clean state.

또한, 본 발명은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레인지후드와 급기공급부에 의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의 공기의 순환 및 환기가 용이하고, 급기로 배기기체를 차단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배기기체를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resh outside air by the range hood and the air supply unit even when the food is not cooked, circulating and ventilating the indoor air is easy, and the exhaust gas is blocked by the air supply,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uction.

또한, 레인지후드의 배기시 급기공급부와 연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 공기의 빠르게 순환시켜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ir in the room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terlocking with the air supply part when exhausting the range hood, and fresh air outside is supplied to the room to circulate room air rapidly, thereby creat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주방 쪽에 창문이 없는 아파트 또는 주택의 경우 실외 공기를 주방 쪽으로 공급하지 못하므로 주방의 공기는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공기의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음식 냄새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case of an apartment or a house without a window on the kitchen side, since the outdoor air can not be supplied to the kitchen side, the air in the kitchen stays stagnant and the air is not suppli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discharge of odor is not eas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인지후드와 급기공급부를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 부분을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열전발전부를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급기공급부, 급기유로, 환기급기유로 배치의 일예시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급기공급부의 일예를 평면적으로 표현한 그림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급기토출부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도 6의 급기토출부 중 주토출부를 상세하게 입체적으로 발췌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of a range hood and an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I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air supply unit, the air supply duct, and the ventilation air supply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i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showing the main discharge portion of the supply air discharge portion of FIG. 6 in detail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 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mean, or be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replaced with a technical term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Or "include." , Etc.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the various elem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elements or some of the steps may not be included, or the additional elements or steps may be omitted.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레인지후드와 급기공급부를 측면에서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Ⅱ 부분을 확대하여 표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열전발전부를 단면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급기공급부, 급기유로, 환기급기유로 배치의 일예시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급기공급부의 일예를 평면적으로 표현한 그림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급기토출부를 정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의 도 6의 급기토출부 중 주토출부를 상세하게 입체적으로 발췌하여 나타낸 그림인데, 이를 참조한다.FIG. 1 is a conceptual view of a range hood and an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I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air supply unit, the air supply duct, and the ventilation air supply 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an example of the ai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supply / discharge unit of the supply / discharge unit shown in FIG. 7;

본 발명에 따르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는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열기, 미세먼지 및 각종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된 레인지의 상방향에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배기모터, 배기팬을 포함하는 배기흡입부(100)와, 상기 배기흡입부와 이격되어 급기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급기를 토출하는 급기토출부(200) 및 상기 급기토출부에 구비되어 급기와 배기의 온도차이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발전부(300)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The multifunctional range ho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of a range provided in a room for exhausting odors, heat, fine dust, and various gases generated when food is cooked, A supply air discharge unit 200 for discharging the supply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400 b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exhaust air suction unit 400 and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and exhaust air provided in the air supply discharge unit,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300 for generating electricity.

상기 배기흡입부(100)는 종래와 같이 배기모터, 배기팬(110)을 구비하여 조리시 발생되는 배기 기체 또는 배기(EG)를 흡입하여, 레인지의 화부 상부에 위치하고 큰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인 그릴부(120)를 통과시키고 배기유로(130)를 통해 실외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리시 발생하는 배기 기체는 환경에 따라 다르기는 하나, 통상적으로 40 ~ 80℃정도의 높은 온도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The exhaust suction unit 100 is provided with an exhaust motor 110 and an exhaust fan 110 so as to suck the exhaust gas or exhaust gas EG generated during cooking and filter the large particles The exhaust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but it may have a characteristic of having a high temperature of about 40 to 80 ° C. .

또한, 상기 배기흡입부(100)와 이격되어 급기공급부(400)로부터 급기유로(230)를 통해 공급되는 급기 기체 또는 급기(SG)를 토출하는 급기토출부(200)는 급기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외기(OA)를 실내로 토출하므로, 종래 실내공기를 흡입후 다시 토출하여 배기시 음압이 발생되어 배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기본적으로 해소하게 된다.The supply air discharge unit 200 for discharging the supply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400 through the air supply flow path 230 or the supply air SG separated from the exhaust air suct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400 Since the outside air OA to be supplied is discharged into the room, the problem that the exhaust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negative pressure at the time of exhausting the room air after the room air is sucked again is basically solved.

아울러, 상기 급기토출부(200)에 구비되어 급기와 배기의 온도차이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발전부(300)는 배기 기체의 높은 온도와 급기되는 상온과의 온도차이를 전기를 발생시키는 모듈이므로, 급기토출부와 배기흡입부의 경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ermoelectric generator 300, which is provided in the air supply / discharge unit 200 and generates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ir and the exhaust air, is a module for generating electricity by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a high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nd a normal temperature , And it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ir supply discharge portion and the exhaust suction portion.

즉, 배기흡입부(100)는 레인지의 화구(FM : 가스형 레인지는 가스가 연소되어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부분이나 인덕션 타입 또는 전기 가열식의 레인지의 경우에는 전기유도부나 가열되는 열선이 있는 영역을 의미함)의 상부에 위치하고, 급기토출부는 화구의 직상방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열전발전부의 전기발전에 이익이 더 크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exhaust suction unit 100 is an area of a range (FM: gas type range means a region where gas is burnt to emit heat energy, or an induction type or an electric heating type range, And the supply air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ed from the upper right chamber of the firebox, it may have a greater advantage in electric power generation of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여기서, 상기 열전발전부(300)는 급기토출부(200)에 구비되어 급기와 배기의 온도차이로 전기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열전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급기토출부(200)와 배기흡입부(100)의 경계면에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300 is provided in the air supply unit 200 to generate electricity by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supply unit and the exhaust unit.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oelectric efficiency, the air supply unit 200 and the exhaust suction unit 100, respectively.

상기 열전발전부(300)는 온도차이에 의하여 발전하며, 발전된 전기력으로 후술할 전동댐퍼를 열거나 닫고, 조명이나 온도센서 그리고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별도의 이차전지 배터리와 같은 축전지(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generator 300 generates electric power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opens or closes the electric damper to be described later by the generated electric power and supplies power to the illuminatio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ary battery Can be charged.

여기서, 상기 열전발전부는 열에 의하여 발전하는 특징을 가지므로, 조리시 발생하는 주변 온도변화에 따라 발전하는 발전량이 변화하므로, 별도의 온도센서를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그 발전량을 감지하는 제어부는 조리 시작으로 판단하고 급기공급이나 전동댐퍼를 열 수 있다.Here, since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has a feature of generating electricity by heat,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mbient temperature generated during cooking changes. Therefore, even if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is not provided, It is possible to open the supply air supply or the electric damper.

또한, 상기 열전발전부(300)는 온도차이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구성인 한 특별하게 제한할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반도체 열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는데, 고온 영역에 해당하는 배기흡입부 측의 배기 기체(EG)의 고온 환경에 노출되도록 도전체인 열전달부(330)을 두고 여기에 통전되도록 비스무트와 텔루륨의 화합물(Bi2Te3) 등의 반도체로 만든 p-n 접합을 배열하여 발전하며, 별도의 축전지에 충전할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unit 3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generates electricity by a temperature differenc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a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Bi 2 Te 3 ) such as a compound of bismuth and tellurium (Bi 2 Te 3 ) so as to be energized by placing the heat transfer portion 330 as a conductor so as to be exposed to the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of the EG, .

이러한, 상기 반도체 열전소자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높이거나 또는 낮추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펠티어 효과를 반대로 하여 온도차를 주면 기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때 기전력으로 인해 전류가 발행하는 제백 효과를 나타낸다.The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is not limited to raising 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air.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reversed by reversing the Peltier effect, a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At this time, a current is caused by the electromotive force.

상기 제백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축전지에 저장하여 레인지후드의 조명, 전동댐퍼 또는 별도의 온도센서를 구동하거나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The current generated by the whitening effect can be stored in the battery and used to drive or control the lighting of the range hood, the electric damper, or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한편, 상기 열전발전부(300)는 급기와 열교환이나 마찰되는 면적을 최대화하도록 배기흡입부(100)와 경계한 급기유로(230) 내면에 기립한 방열판(310)을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generator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ng plates 310 stand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supply passage 230 in order to maximize the area of heat exchange or friction with the air supply unit.

이러한 방열판(310)은 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마찰부위를 넓게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다양한 요철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급기토출부의 공급구(320)를 통해 균일하게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주토출부(3201)를 구비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ng plate 31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concavo-convex shapes so as to form a wide friction region of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and supply unit.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plate 310 may uniformly supply air through the supply port 320 of the air supply unit. And a main discharge portion 3201 arrang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main discharge portion 3201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주토출부가 사다리꼴을 형성되므로 하방향(DD)의 시작영역이 공급구가 있는 종말영역에 비하여 방열판이 없는 영역이 넓게 되어 방열효율이 낮아지고 열전효율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시작영역의 방열판이 없는 미방열부에 방열판을 더 배치하여 역사다리꼴 형상의 보조토출부(3202, 3203)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에 의하여 방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급구를 통해 토출되는 급기의 압력이 공급구의 장방방향(LD)의 양단부에서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ain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he area of the starting region of the downward direction (DD) is wider than that of the end region having the supply hole, thereby reducing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and thermoelectric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form the auxiliary discharging portions 3202 and 3203 having the inverted trapezoidal shape by disposing the heat radiating plate in the unheated portion without the heat radiating plate. This can increase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and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supply air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port The problem of lower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D of the supply port can be solved.

상기 공급구(320)는 급기가 토출되는 통공으로 종횡비가 커서 통상 '에어나이프(air knife)'로 이해될 수 있으며, 조리시 발생되는 유해한 기체 성분들을 주방 이용자가 흡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종횡비를 이루는 단방향(SD)에 대한 장방향(LD)이 이용자가 화구를 바라보는 방향과 엇갈리는 특히,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y port 320 can be understood as an 'air knife' having a large aspect ratio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upply air is discharged. In order to prevent the harmful gas components generated during cooking from being sucked by the kitchen user, The longitudinal direction LD with respect to the unidirectional line SD is preferably arrang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looks at the crater.

여기서, 주토출부(3201)을 사다리꼴 형상으로 구비하게 되면 방열판들(310)을 하방향으로 연장하여 배열하는 경우에 하부로 갈수록 방열판들의 간격이 커지게 되어 방열효율이 감소되므로, 이를 보상하도록 방열판들 사이에 보조방열판(3101)을 둘 수 있다. When the main discharge portions 3201 are provided in a trapezoidal shape, the spacing between the heat sinks increases as the heat sinks 310 are extended downward to reduce the heat radiation efficiency. Therefore, An auxiliary heat sink 310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t sinks 3101 and 3102.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체 형상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창살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는 구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열을 발산하기 위한 형상이라면 그 어떤 형상이든 무관하게 형성할 수 있다. Here, the heat dissipation plat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ape, bu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tructure in which the whole shap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 protrusion in the form of a sash is formed on the inner side. Further, any shape for radiating heat can be formed irrespective of the shape.

또한, 상기 급기공급부(400)는 외부공기(OA)를 흡입하여 급기토출부(20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한데, 예를 들어, 급기유로(230) 경로상 외기와 연통되도록 통상적인 급기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열교환기 기능을 하는 환기장치일 수 있다.The supply air supply unit 400 may be a unit that sucks the external air OA and supplies the air to the air supply unit 200. For example, And may further be a ventilator functioning as a heat exchanger.

예컨대,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공조케이스(410)와, 실내의 공기(RA)를 배출하고 실외 공기(OA)를 흡입하여 실내로 실내급기(SA)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4201)을 가지며 공조케이스(4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배기(420)와, 분배기(420)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공조케이스(410)에 설치되는 외기흡기구(430)와 외기공급구(440) 및 분배기(420)를 통해 실내의 공기(RA)를 실외로 흡입하여 실외배기(EA)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내기흡입구(460)와 내기배출구(47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n air conditioning case 41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therein, a partition plate (not shown) for partitioning the interior of the room so as to discharge the room air RA and suck the outdoor air OA and supply the indoor air to the room And an air inlet 430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410 to communicate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tributor 420. The air conditioner 410 is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case 410, The indoor air intake port 460 and the indoor air exhaust port 46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indoor air RA can be sucked out through the outside air supply port 440 and the distributor 420 and discharged to the outdoor exhaust EA 470).

여기서, 실외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외기흡기팬(450)을 공조케이스 내부 외기흡기구(430)와 외기공급구(440) 사이나 환기급기유로(441) 경로상 설치할 수 있고,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도록 하는 내기배기팬(480)을 공조케이스 내부 내기흡입구(460)와 내기배출구(470) 사이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side air intake fan 450 for allowing the outside air to be sucked can be installed on the path of the outside air intake port 430, the outside air supply port 440 or the ventilation air supply path 441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The air exhaust fan 480 for discharging air can be installed in the inside air inlet 460 and the air outlet 470 or out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여기서, 상기 분배기의 구획판(4201)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내부가 분리되게 구성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레인지후드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공급하는데, 특히 환기시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온도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외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평판을 소정거리 이격시켜 적층한 것으로 그 사이를 교번하여 실내공기 유로와 실외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환기장치에 사용되는 구획판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 the partition plate 4201 of the distributo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4201, so that the indoor and the outdoor ai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ir and the air supplied to the range hood are separately supplied. In particular, in order to solv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during the ventilation, a plurality of flat plates for heat exchange of indoor and outdoor air are stack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so as to alternately form an indoor air passage and an outdoor air passage And is a partition plate used in a ventilating apparatus,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분배기(420)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내부가 분리되게 구성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급기토출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공급할 수 있는데, 상술한 외기공급구(440)는 환기급기유로(441)로 연장되어 실내로 급기하거나 급기토출부(200)로 연장된 급기유로(230)로 분기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급기유로구(4401)를 외기흡기구(430)와 연통되도록 구비하여 급기토출부에 급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or 420 can separate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and the air supplied to the air discharge unit so that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May be extended to the ventilation air supply passage 441 and may be branched into the air supply passage 230 extending to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200 and the air supply passage 4401 may be branched into the air supply inlet 430 So that the air can be supplied to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한편, 상기 환기급기유로(441)나 급기유로(230)에는 전동댐퍼(250, D1, D2)를 두어 외기를 급기(SG)로 급기토출부(200)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전동댐퍼는 열전소자에 의하여 발전된 전력이나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력으로 구동되어 유로를 차단하거나 열 수 있는 구성으로 종래 전동댐퍼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meantime, the ventilation air supply passage 441 and the air supply passage 230 may be provided with electric dampers 250, D1 and D2 to supply or cut off the outside air to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200 through an air supply SG, Is driven by electric power generated by a thermoelectric element or electric power stored in a battery so that the flow path can be shut off or opened, so that a conventional electric damper can be used.

먼저, 상기 급기유로에 구비된 전동댐퍼(250)를 보면, 조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의 크기에 따라 발전량이 증감하는 열전발전부나 별도로 구비된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설정된 가동온도(예컨대, 60℃ 이상)가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전동댐퍼(250)를 열도록 제어하고, 급기공급부(400)나 급기팬을 가동시켜 급기를 수행하게 되며, 반대로 조리 종료시 열이 감소되어 발전량이 감소하는 열전발전부나 온도센서의 설정된 차단온도(예컨대, 60℃ 미만)가 감지되면, 전동댐퍼를 닫도록 제어하고 급기공급부나 급기팬의 모터를 정지시키게 된다.First, the electric damper 250 provided in the air supply passage is operated at a set operating temperature (for example, 60 [deg.] C) through a thermoelectric generator or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electric damper 250 to be opened and operates the air supply unit 400 or the air supply fan to perform the air supp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king is terminated, (For example, less than 60 占 폚) of th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ng unit or the temperature sensor is detected, the electric damper is closed and the motor of the air supply unit or the air supply fan is stopped.

그리고, 상기 환기급기유로(441)상 구비된 전동댐퍼는 급기공급부의 외기공급구(440)에 인접하여 실내로 외기를 공급하는 환기구(V1, V2, V3)의 앞단에 설치된 제1전동댐퍼(D1)이나 주방, 특히 급기토출부에 인접한 제2전동댐퍼(D2)를 더 구비할 수 있어, 급기공급부가 환기장치로 구비되어 실내환기를 수행하는 것과 무관하게 레인지후드의 급기를 수행할 수 있다.The electric damper provided on the ventilation air supply passage 441 is provided with a first electric damper (not show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ventilation openings V1, V2 and V3 for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room adjacent to the outside air supply opening 440 of the air supply / D1) or a kitchen, particularly a second electric damper (D2) adjacent to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so that the supply of air to the range hood can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fact that the air supply and supply unit is provided as a ventilation unit .

즉, 환기장치가 실내환기를 수행하는 경우에, 조리를 수행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급기토출부가 작동을 정지하고, 전동댐퍼(250)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며, 제1,2전동댐퍼는 모두 열린상태로 원활한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조리를 수행하는 동안은, 급기토출부가 작동하고, 전동댐퍼(25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며, 제1전동댐퍼는 열린상태를, 제2전동댐퍼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급기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ventilator performs the indoor ventilation, while the cooking is not performed,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stops operating and keeps the electric damper 250 in the clos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dampers are all opened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is operated while the electric damper 250 is kept open and the first electric damper is in the open state and the second electric damper is in the closed state The pressure of the supply air supplied to the room can be kept constant.

한편, 상기 환기장치가 실내환기를 수행하는 아니하는 경우라면, 조리를 수행하지 아니하는 동안에는 급기토출부가 작동을 정지하고, 전동댐퍼(250)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며, 제1,2전동댐퍼는 모두 닫힌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반대로 조리를 수행하는 동안은, 급기토출부가 작동하고, 전동댐퍼(25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며, 제1,2전동댐퍼는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급기공급부(400)에 투하되는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entilator does not perform indoor ventilation, while the cooking is not being performed, the air supply / discharge unit stops operating and maintains the electric damper 250 in a closed state,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dampers The first and second electric dampers 250 and 250 are maintained in the closed state. On the contrary,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is operated, the electric damper 250 is maintained in the open state, 400 can be minimized.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는 온도센서, 전동댐퍼 등과 전기적으로 연동되어, 조리시나 환기시에 급기공급부와 레인지후드를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시키거나 또는 이들을 동시에 구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PLC, 마이컴,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the electric damper, and the like so that the air supply unit and the range hood can be independently driven or simultaneously driven during cooking or ventilation, and the PLC, microcomputer, .

한편, 본 발명은 급기공급부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주방 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음식을 조리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정화하므로 실내가 항상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In the meantim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ly outside air to the kitchen by the air supply unit, the air in the room is purified by circulating air even when the food is not cooked, so that the indoor can be always kept in a comfortable state.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인지후드의 배기시 급기공급부(20)와 연동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공기의 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항상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ir in the room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interlocking with the air supply part 20 during the exhaust of the range hood, and fresh air outside is supplied to the room to rapidly circulate the air, It has an indoor environment.

특히, 주방 쪽에 창문이 없는 아파트 또는 주택의 경우 실외 공기를 주방 쪽으로 공급하지 못하므로 주방의 공기는 정체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공기의 공급이 어렵기 때문에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음식 냄새의 배출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레인지후드를 설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apartment or house without a window on the kitchen side, since the outdoor air can not be supplied to the kitchen side, the air in the kitchen stays stagnant and the supply of air is difficult, However, if the hybrid range ho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uch problems can be solve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예들 또한 본 발명의 카테고리에 속한다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vari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nd such variations also fall within the category of the present invention.

배기흡입부 100, 급기토출부 200,
열전발전부 300, 급기공급부 400
The exhaust suction unit 100, the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200,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300, the supply unit 400

Claims (16)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열기, 미세먼지 및 각종 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된 레인지의 상방향에 일정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배기모터, 배기팬을 포함하는 배기흡입부;
상기 배기흡입부와 이격되어 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급기를 토출하는 급기토출부; 및
상기 급기토출부에 구비되어 급기와 배기의 온도차이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열전발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흡입부는 레인지 화구의 상부에 위치하며, 급기토출부의 공급구는 화구의 직상방에서 벗어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발전부는 배기흡입부와 급기토출부의 경계에 설치되며, 방열판을 급기토출부에 구비하고, 상기 방열판은 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와 배기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배기흡입부와 경계한 급기유로 내면에 복수개로 기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An exhaust suction unit including an exhaust motor and an exhaust fan, the exhaust suction unit being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range installed in the room to exhaust odors, heat, fine dust, and various gases generated when food is cooked;
An air supply and discharge uni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exhaust suction unit and discharges the supply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And
And a thermoelectric generator provided in the supply air discharge part and generating electricity by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ir and the exhaust air,
Wherein the exhaust suction portion is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ngefinding port, the supply port of the air supply discharge portion is disposed at a position deviating from the upper chamber of the firebox,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is installed at a boundary between the exhaust suction unit and the air supply unit and has a heat radiating plate disposed in the air supply unit. The heat radiat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Wherein the hood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hood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급기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실외 공기의 급기토출부의 공급구를 통해 균일하게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된 주토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dissipation plate has a main discharge portion arranged to have a trapezoidal shape so that air can be uniformly supplied through a supply port of the supply air discharge portion of the outdoor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들 사이에 보조방열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auxiliary heat sink between the heat sink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토출부의 양측으로 방열판을 더 배열하여 역사다리꼴 형상의 보조토출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heat sink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discharge portion to form an auxiliary discharge portion having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발전부는 온도차이에 의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반도체 열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고, 도전체인 열전달부를 배기흡입부 측으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ermoelectric generator generates electricity by a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device can be used, and the heat transfer part as a conductive part is arranged on the exhaust suction part 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급기가 토출되는 통공으로 종횡비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ly port i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supply air is discharged, and the aspect ratio is lar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급부는 급기유로 경로상 외기와 연통되도록 급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unit includes an air supply fan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ir on the air supply flow pat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공급부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공조케이스;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고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실내급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가지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를 통해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외기흡기구와 외기공급구; 및
상기 분배기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흡입하여 실외배기로 배출할 수 있도록 연통되어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내기흡입구와 내기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supply unit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 distributor having a partition plate for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room so as to discharge indoor air and suck outdoor air and supply indoor air to the room;
An outside air intake port and an outside air supply port communicated with the air conditioning case so as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room through the distributor; And
And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so as to be able to suck air from the room through the distributor to the outside and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ai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분리되어 섞이지 않도록 내부가 분리되게 구성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급기토출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istributor separates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be mixed, and separates and supplies the air supplied to the indoor and the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discharging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공급구는 환기급기유로로 연장되어 급기유로로 분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outside air supply port extends to the ventilation air supply flow path and branches to the air supply flow path.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흡기구와 연통되는 급기유로구로 급기유로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air supply flow path extending from the air supply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ir intake por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급기유로에는 제1전동댐퍼 또는 제2전동댐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air damper or the second air damper And a plurality of the functional range hoods.
제 12 또는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로에 전동댐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air supply duct further comprises an electric dam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지후드 및 급기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하거나 또는 상기 레인지후드 및 급기공급부를 동시에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레인지후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nge hood and the air supply unit, and independently drives the range hood and the air supply unit, or simultaneously drives the range hood and the air supply unit.
KR1020170177105A 2017-12-21 2017-12-21 Hybrid range hood KR101873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105A KR101873701B1 (en) 2017-12-21 2017-12-21 Hybrid range h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105A KR101873701B1 (en) 2017-12-21 2017-12-21 Hybrid range h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701B1 true KR101873701B1 (en) 2018-08-02

Family

ID=6325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105A KR101873701B1 (en) 2017-12-21 2017-12-21 Hybrid range h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70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19B1 (en) * 2020-10-19 2021-10-2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hood device using the thermoelectric effec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085A (en) 2004-06-03 2005-12-07 주식회사 하츠 Circulating range hood equipped with air cleaner
KR100730403B1 (en) * 2006-02-09 2007-06-19 (주)대성기연 Range hood
JP4357222B2 (en) * 2003-07-04 2009-11-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Heat treatment system for heating cooker
KR101031788B1 (en) * 2010-04-30 2011-04-27 주식회사 제일테크 The ventilator which uses the double tube
KR20130006771U (en) * 2012-05-16 2013-11-26 남용수 / A Diffuzor for remotely controlling air volume and wind direction
KR20160038904A (en) * 2014-06-10 2016-04-08 (주) 터보테크닉스 Pair Glass Window system with heating and cooling air curtain func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57222B2 (en) * 2003-07-04 2009-11-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Heat treatment system for heating cooker
KR20050115085A (en) 2004-06-03 2005-12-07 주식회사 하츠 Circulating range hood equipped with air cleaner
KR100730403B1 (en) * 2006-02-09 2007-06-19 (주)대성기연 Range hood
KR101031788B1 (en) * 2010-04-30 2011-04-27 주식회사 제일테크 The ventilator which uses the double tube
KR20130006771U (en) * 2012-05-16 2013-11-26 남용수 / A Diffuzor for remotely controlling air volume and wind direction
KR20160038904A (en) * 2014-06-10 2016-04-08 (주) 터보테크닉스 Pair Glass Window system with heating and cooling air curtain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319B1 (en) * 2020-10-19 2021-10-28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hood device using the thermoelectric effe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696B1 (en)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having bypass and recirculation function
KR101998489B1 (en) Hybrid range hood
KR100690987B1 (en) Air cleaning system using ventilation unit
KR101250062B1 (en) A ventilating apparatus
KR20170103133A (en) Ventilator
CN214370713U (en) Ventilation system with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KR101348786B1 (en) Heating and cooling devices
CN108302685B (en) Air circulation system having internal air circulation, discharge and suction functions
CN215260129U (en) Fresh air component and air conditioner with same
KR20180001140U (en) mutli-purpose ventilation unit
KR20180014122A (en) Ventilator
KR100587315B1 (en) ventilating system
KR20170129484A (en) Ventilation system using ventilation fan for bathroom
KR20210030589A (en) Air Cleaning System for Kitchen
KR101873701B1 (en) Hybrid range hood
KR100582457B1 (en) Transfering heat exchanger with purification mode
KR101241529B1 (en) Multi-functional air circulater using dual pipe structure for green space
KR20100005319A (en) Air conditioner with plasma generator & peltier element
KR100939591B1 (en) Heat recovery type ventilating device for agricultural facilities for both heating and cooling
KR102115696B1 (en) Waste Heat Recovery Ventilation System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KR20170036433A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llective building
KR102305958B1 (en) Eco-friendly cooling and heating ventilation integrated ceiling condition unit
KR101762354B1 (en) ventilation apparatus with controlling temperature function
KR102266306B1 (en) Generation ventilation system using fan separated type range hood
JP3833041B2 (en) Energy-saving clean 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