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561B1 -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561B1
KR101873561B1 KR1020110139517A KR20110139517A KR101873561B1 KR 101873561 B1 KR101873561 B1 KR 101873561B1 KR 1020110139517 A KR1020110139517 A KR 1020110139517A KR 20110139517 A KR20110139517 A KR 20110139517A KR 101873561 B1 KR101873561 B1 KR 10187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evice information
peripheral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990A (ko
Inventor
이정욱
강유진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3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5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 간 기기정보를 협상하여 제2 전자기기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검색하는 기기정보 검색부, 상기 제2 전자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하는 기기정보 통신부, 상기 제2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의 기기정보 및 상기 제2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기기정보를 생성하는 기기정보 협상부 및 상기 생성된 통합 기기정보에서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기기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vice information negotiation}
본 발명은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기 간 기기정보를 협상하여 제2 전자기기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가 소형화되면서 휴대할 수 있는 전자기기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도 전자기기 간 1:1 또는 1:n 직접 통신이 실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자기기 간 기기정보를 협상하여 타 전자기기와 함께 협업하여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못하여 전자기기 간의 기기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4-0012824호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 간에 기기정보를 협상하여 전자기기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최적으로 타 기기를 활용할 수 있는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검색하는 기기정보 검색부, 상기 제2 전자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하는 기기정보 통신부, 상기 제2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의 기기정보 및 상기 제2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기기정보를 생성하는 기기정보 협상부 및 상기 생성된 통합 기기정보에서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기기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기기에서 제2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기정보 협상방법은 상기 제1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기기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검색된 전자기기의 기기정보 및 상기 제2 전자기기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기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통합 기기정보에서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전자기기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기기정보 협상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 간에 기기정보를 협상하여 어플리케이션에 최적으로 타 기기를 활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와 연결된다. 제1 전자기기(100) 및 제2 전자기기(200)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다양한 전자기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스마트폰, 패드, 노트북, 가전제품 등 다양할 수 있다.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와 기기정보를 협상하여 제2 전자기기(200)와 연동되어 실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는 기기정보 검색부(110), 기기정보 통신부(120), 기기정보 협상부(130) 및 기기 연동부(140)를 포함한다.
기기정보 검색부(110)는 제1 전자기기(100)의 기기정보를 검색하고, 검색한 기기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기기정보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종류정보 및 버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정보 통신부(120)는 제2 전자기기(2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은 무선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다양한 방식의 케이블을 이용한 유선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기기정보 통신부(120)는 주변에 통신 연결 가능한 전자기기를 검색하고,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의해 제2 전자기기(200)를 연결할 수 있다.
기기정보 협상부(130)는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 제2 전자기기(200)의 기기정보를 수신하고, 제1 전자기기(100)의 기기정보 및 제2 전자기기(200)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기기정보를 생성한다.
기기 연동부(140)는 생성된 통합 기기정보에서 제1 전자기기(100)에서 작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생성된 통합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기기(200)와 연동하여 작동된다. 여기서, 통합 설정정보는 작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기기 연동부(140)는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기기(200)와 연동되어 전자기기가 작동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정보 협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0에서, 제1 전자기기(100)는 제1 전자기기(100)의 기기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기기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320에서,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된다.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와 연결되기 위하여 주변의 제2 전자기기(200)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제1 전자기기(100)는 제2 전자기기(200)의 기기정보를 수신하고, 제2 전자기기(200)의 기기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340에서, 제1 전자기기(100)는 제1 전자기기(100)의 기기정보 및 제2 전자기기(200)의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기기정보가 생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기기정보는 제1 전자기기(100)의 기기정보, 예를 들면, 터치화면 4인치, 스피커 4W, GPS 센서, 중력 센서 등을 포함하고, 제2 전자기기(200)의 기기정보, 예를 들면, 터치화면 9인치, 스피커 20W, 카메라,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제1 전자기기(100)는 제1 전자기기(100)에서 작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생성된 통합 기기정보를 이용하여 통합설정정보가 설정된다.
여기서, 통합 설정정보는 작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는 예를 들면, 작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재생인 경우, 제2 전자기기(200)의 터치화면 9인치와 , 제1 전자기기(100)의 스피커 4W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통합 설정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360에서, 제1 전자기기(100)는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제2 전자기기(200)와 연동되어 어플리케이션이 작동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자기기(100)가 스마트폰이고, 제2 전자기기(200)가 터치화면을 가진 가전인 경우, 우선적으로 스마트폰의 모든 기기정보와 가전의 모든 기기정보가 이용하여 통합 기기정보가 생성된다.
이후, 스마트폰은 동영상 재생을 위한 통합 설정정보로 스마트폰의 스피커와 가전의 터치화면이 설정되고, 설정된 통합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인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자는 비디오는 큰 화면으로 보고, 오디오는 사용자에 더욱 근접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스마트폰과 가전을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술한 기기정보 협상방법은 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구현됨으로써 컴퓨터를 통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CD ROM 등)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들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전자기기
110: 기기정보 검색부
120: 기기정보 통신부
130: 기기정보 협상부
140: 기기 연동부
200: 제2 전자기기

Claims (10)

  1.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작동하기 위해 기기정보를 협상하는 전자기기로서,
    상기 전자기기에 탑재된 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내부 기기정보를 검색하는 기기정보 검색부;
    주변에 통신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를 검색하고, 검색한 상기 주변 기기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기기정보 통신부;
    상기 주변 기기에 탑재된 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기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내부 기기정보에 상기 주변 기기의 기기정보를 통합한 통합 기기정보를 생성하는 기기정보 협상부; 및
    상기 통합 기기정보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결정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기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에 탑재된 장치인,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는 해당 기기의 내부에 탑재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종류정보 및 버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 통신부는
    복수의 주변 기기들이 검색된 경우,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의해 연결할 주변 기기를 결정하는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설정정보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설정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은
    무선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7. 전자기기가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작동하기 위한 기기정보 협상방법에 있어서,
    주변에 통신 연결 가능한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한 주변 기기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주변 기기에 탑재된 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기기정보를 수신하고, 내부에 탑재된 장치들의 정보를 나타내는 내부 기기정보에 상기 주변 기기의 기기정보를 통합한 통합 기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합 기기정보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결정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합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변 기기와 연동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치는 상기 주변 기기에 탑재된 장치인, 기기정보 협상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한 주변 기기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는
    복수의 주변 기기들이 검색된 경우, 상기 복수의 주변 기기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의해 연결할 주변 기기를 결정하는, 기기정보 협상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디폴트 값 또는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상기 통합 설정정보를 설정하는, 기기정보 협상방법.
KR1020110139517A 2011-12-21 2011-12-21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 KR10187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517A KR101873561B1 (ko) 2011-12-21 2011-12-21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517A KR101873561B1 (ko) 2011-12-21 2011-12-21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90A KR20130071990A (ko) 2013-07-01
KR101873561B1 true KR101873561B1 (ko) 2018-07-03

Family

ID=4898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517A KR101873561B1 (ko) 2011-12-21 2011-12-21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5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28B1 (ko) * 2018-09-11 2019-02-13 (주)위즈네트 업데이트 환경의 동적 인식에 따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펌웨어 업데이트 가능한 디바이스 및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508A (ko) * 2013-12-05 2015-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2156A (ja) * 2003-08-21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連動システム、連動制御装置、連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826A1 (fr) * 2001-05-14 2002-1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de command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KR20100071209A (ko) * 2008-12-19 2010-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 태그 기반의 디바이스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10061150A (ko) * 2009-12-01 2011-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외부 기기 연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2156A (ja) * 2003-08-21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連動システム、連動制御装置、連動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28B1 (ko) * 2018-09-11 2019-02-13 (주)위즈네트 업데이트 환경의 동적 인식에 따른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펌웨어 업데이트 가능한 디바이스 및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990A (ko) 2013-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22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6261551B2 (ja) 複合ネットワーク網を介した外部デバイスの機能共有方法及びその装置
US1006380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US10739737B2 (en) Environment customization
JP6210975B2 (ja) ネットワーク電子機器間のデータ共有方法および装置
KR102183413B1 (ko) 콘텐트 표현 방법 및 시스템
KR102309027B1 (ko) 통합 표시 방법 및 휴대장치
US20150067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using electronic devices
US20140168523A1 (en) Display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the same
CN108605374B (zh) 显示设备及设置显示设备的工作信道的方法
US97880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CN104995596A (zh) 在选项卡层级管理音频以用于用户通知及控制
KR102064929B1 (ko) 근접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20092315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무선 장치 탐색 방법
KR20200078441A (ko)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들간 출력 장치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9992439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1105114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by the electronic apparatus
KR102188101B1 (ko) 오디오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30073678A (ko)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6035993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873561B1 (ko) 기기정보 협상을 위한 전자기기 및 방법
JP2015115004A (ja) 端末、サーバ、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276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70142484A1 (en) Display device, user terminal devic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