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898B1 -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898B1
KR101872898B1 KR1020160072612A KR20160072612A KR101872898B1 KR 101872898 B1 KR101872898 B1 KR 101872898B1 KR 1020160072612 A KR1020160072612 A KR 1020160072612A KR 20160072612 A KR20160072612 A KR 20160072612A KR 101872898 B1 KR101872898 B1 KR 101872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emperature
temperature control
control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26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9951A (en
Inventor
강송식
Original Assignee
(주)한우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우물 filed Critical (주)한우물
Priority to KR102016007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898B1/en
Publication of KR2017013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9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8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8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실시 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파이프;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2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3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유닛; 상기 제2파이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유닛;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에 외부 유체를 주입하는 제1중공관; 상기 제1파이프와 제3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막; 및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3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중공관을 포함하는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개시한다.An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A first pip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second pip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third pipe connect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ipe; A second temperat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ipe; A first hollow tube for injecting an external fluid into the first pipe; A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third pipe; And a second hollow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and connected to the third pipe through the barrier membrane,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음용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drinking water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산업이 발전할수록 환경오염은 날로 심각해지고, 그에 따라 수질 오염도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수돗물은 물론 지하수까지도 마음 놓고 마실 수 없는 상태가 되었고, 각 가정에서는 정수기의 사용이 보편화되기에 이르렀다. As the industry develops, environmental pollution becomes more serious and water pollution is accelerating. Therefore, not only tap water but also ground water could not be drunk, and the use of water purifiers became common in each household.

종래의 정수기는 온수탱크가 정수기에 내장된 구조이므로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온수탱크 내에 수용된 물이 장기간 유지될 경우에는 수질악화는 물론 온수탱크의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water purifier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hot water tank is built in a water purifi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water purifier. Further,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hot water tank is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water quality deteriorates and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is contaminated.

이러한 구조를 개선하여 최근에는 직수 타입의 정수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직수 타입의 정수기는 히터의 효율이 떨어져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까지 순간적으로 온도를 가열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고,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Recently, a direct water type water purifier has been introduced. However, the direct water type water purifier has a problem in stability becau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heater is low and the user can instantaneously heat the temperature to a desired temperature.

실시 예는 효율이 향상된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thermostat having improved efficiency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안정성이 향상된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thermostat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a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파이프;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2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3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유닛; 상기 제2파이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유닛;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에 외부 유체를 주입하는 제1중공관; 상기 제1파이프와 제3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막; 및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3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중공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A first pip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second pip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third pipe connect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ipe; A second temperat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ipe; A first hollow tube for injecting an external fluid into the first pipe; A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third pipe; And a second hollow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and connected to the third pipe through the barrier film.

상기 제1중공관의 상단은 상기 제2중공관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low tube may be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상기 제2중공관의 상단은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의 온도조절영역보다 높을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상기 제1중공관의 하단은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의 온도조절영역보다 낮을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low tube may be lower than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과 제2온도조절유닛은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driven separately.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과 제2온도조절유닛은 가열유닛일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a heating unit.

상기 제1파이프내에 배치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제2파이프내에 배치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pipe,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pipe.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제1파이프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재, 및 상기 제1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제2파이프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재, 및 상기 제2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first pipe and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for a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ing member, A second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pipe,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 applying power to the second heating member.

상기 제1전극에 연결된 제1차단센서, 및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된 제2차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센서와 제2차단센서는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픈될 수 있다.A first blocking sensor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blocking sensor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first blocking sensor and the second blocking sensor may be opened whe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excee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정수 처리부; 전술한 구조를 포함하는 온도조절장치; 및 상기 정수 처리부 및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purification unit; A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treatment unit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목표 온도의 60% 내지 70%가 되도록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목표온도의 100%가 되도록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so as to be 60% to 70% of the target temperature and output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to be 100% of the target temperature.

실시 예에 따르면,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heat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온도조절장치의 과열을 감지 및 제어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and control overheating of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thereby improving stability.

또한, 가열에 의한 소음을 개선할 수 있다.In addition, noise caused by heating can be improved.

또한, 필요시에만 온수를 생성하므로 별도의 온수탱크를 생략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hot water is generated only when necessary, a separate hot water tank can be omitted, and unnecessary power can be saved.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can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조작 버튼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온도조절유닛과 제2온도조절유닛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유입된 정수가 가열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하우징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제2하우징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n integer process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button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inflow purified water is heated,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he terms including ordinal,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정수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는 전처리 필터(11), 제1밸브(12a), 제1유량센서(13), 전해조(14), 제2밸브(12b), 후처리 필터(15), 제2유량센서(16), 제3밸브(12c), 온도조절장치(100), 및 제4밸브(12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배치가 변경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1 to 3,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es a pretreatment filter 11, a first valve 12a, a first flow sensor 13, an electrolytic bath 14, a second valve 12b, A filter 15, a second flow sensor 16, a third valve 12c, a temperature controller 100, and a fourth valve 12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component can be changed or deleted as needed.

전처리 필터(11)는 입수된 원수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제거한다. 예시적으로 전처리 필터(11)는 염소(Cl)와 같이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pretreatment filter 11 primarily removes contaminants from the raw water. Illustratively, the pretreatment filter 11 can remov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raw water, such as chlorine (Cl).

제1유량센서(13)는 전해조(14)에 입수되는 원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The first flow sensor 13 can regulate the amount of raw water that is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bath 14.

전해조(14)는 물을 산성수, 강알카리수, 및 약알카리수로 전기 분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해조(14)는 물을 1차적으로 산성수와 알칼리수로 분리한 후, 알칼리수를 다시 2차 전기 분해하여 산성수, 강알칼리수 및 약알칼리수로 최종 분리할 수 있다. 그러나, 전해조의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전해조는 다른 정수 필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The electrolytic bath 14 can electrolyze water with acidic water, strong alkaline water, and weak alkaline water. Illustratively, the electrolytic bath 14 can be finally separated into acidic water, strong alkaline water and weak alkaline water by first separating the water into acidic water and alkaline water, and then secondary electrolyzing the alkaline water again. However, the constitution of the electrolytic ba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electrolyzer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water filter as needed.

후처리 필터(15)는 약알카리수를 다시 한번 필터링할 수 있다. The post-treatment filter 15 can once again filter the weak alkaline water.

제2유량센서(16)는 온수가 필요한 양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flow sensor 16 can control the amount of hot water required.

온도조절장치(100)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유닛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도조절장치(100)는 냉각유닛일 수도 있다. 즉, 온도조절장치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유닛 및/또는 정수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열유닛으로 설명한다.The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100 may be a heating unit for heating wat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mperature regulating apparatus 100 may be a cooling unit. That is, the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may be a concept including a heating unit for heating purified water and / or a cooling unit for cooling purified water. Hereinafter, the heating unit will be described.

제1 내지 제4밸브(12a 내지 12d)는 입수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제4밸브(12d)는 최종적으로 정수기 외부로 출수되는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4밸브(12d)는 원하는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물을 배수한 후,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출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to fourth valves 12a to 12d can control the amount of water to be obtained. The fourth valve 12d can final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tha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At this time, the fourth valve 12d can be controlled to drain water until the desired temperature is reached, and then to exit when the desired temperature is reached.

제어부(17)는 정수기의 각 구성요소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17)는 도 3의 버튼부(B2 내지 B4)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물 온도 및/또는 물의 양을 선택하면 그에 맞게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 can individuall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water purifi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 can control each component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of the water temperature and / or th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buttons B2 to B4 of FIG.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약 80℃의 고온수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7)는 온도조절장치(100)에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물을 약 80℃로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if the user selects a high temperature of about 80 ° C, the controller 17 may control the heating of the water to about 80 ° C by applying an output signal to the thermostat 100

제어부(17)는 제4밸브(12d)를 제어하여 물의 온도가 80℃에 도달하기 전 때까지는 배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관 및 온도조절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가 제거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 can control the fourth valve 12d to drain the water unti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eaches 80 占 폚. At this time, the air existing inside the piping and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can be removed.

만약, 사용자가 약 80ml의 고온수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17)는 제1 내지 제4밸브(12a 내지 12d)와 제1, 2유량센서(13, 16)를 제어하여 물의 양을 제어한 후, 고온수를 출수할 수 있다.If the user selects the high temperature water of about 80 ml,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amount of water by controlling the first to fourth valves 12a to 12d and the first and second flow sensors 13 and 16 , High temperature water can be dispatch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온도조절유닛과 제2온도조절유닛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유입된 정수가 가열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introduced purified water is heated.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실시 예에 따른 온도조절장치(100)는 하우징(110),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는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를 연결하는 제3파이프(140), 제1파이프(120)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유닛(C1), 제2파이프(130)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유닛(C2), 제1파이프(12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하는 제1중공관(126), 제1파이프(120)와 제3파이프(140)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막(129), 및 차단막(129)을 관통하여 제3파이프(140)와 연결되는 제2중공관(127)을 포함한다.4 to 6, a temperature controll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first pipe 120 and a second pipe 130 disposed in the housing 110, a first pipe A third pipe 140 connecting 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a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ipe 120, A first hollow pipe 126 for injecting water into the first pipe 120, a second pipe 120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pe 120 and the third pipe 140, And a second hollow tube 127 connected to the third pipe 140 through the barrier membrane 129.

하우징(110)은 길이방향으로 분리되어 제1파이프(120), 제2파이프(130), 제1온도조절유닛(C1), 제2온도조절유닛(C2) 등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120, the second pipe 130,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C2,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하우징(11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111)이 형성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 및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housing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1 may b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exhaust air and heat in the housing 110 to the outside.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파이프(140)는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의 끝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3파이프(140)는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 사이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채널(141)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The third pipe 140 may connect the ends of 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The third pipe 140 may form a channel 141 through which water can move between 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실시 예에서는 제1파이프(120), 제2파이프(130), 제3파이프(140)가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파이프의 전체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는 각각 복수 개의 U자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파이프의 형상은 물의 가열 시간 및 가열 용량을 조절하기 위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Although the first pipe 120, the second pipe 130, and the third pipe 140 are shown as being U-shaped as a whole in the embodiment, the overall shape of the pipe is not limited thereto. Illustratively, 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may each include a plurality of U-shaped shapes. The shape of the pipe can be suitably adjusted to adjust the heating time and heating capacity of the water.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는 석영관일 수 있고, 제3파이프(140)는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반복적인 가열에도 견딜 수 있는 재질이라면 제1 내지 제3파이프(120, 130, 14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may be quartz and the third pipe 14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However, the materials of the first to third pipes 120, 130, and 14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resistant to repeated heating.

제1온도조절유닛(C1)은 제1파이프(120)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재(미도시), 및 제1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전원전극(121a, 121b, 121c)을 포함한다. 제1가열부재는 전원 인가시 열을 발생시키는 재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includes a first heating member (not shown) for heating the first pipe 120 and at least one first power source electrode 121a, 121b, 121c ). The first heating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generates heat upon power application.

제1가열부재는 제1파이프(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1가열부재는 석영관 히터에 포함되는 공지의 발열체 구조이거나, 또는 제1파이프(120)에 배치되는 코일일 수도 있다. 또한, 그래핀, 탄소 섬유 등을 포함하는 공지의 투명 발열체일 수도 있다.The first heating member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120 or may be disposed outside. Illustratively, the first heating element may be a known heating element structure included in the quartz tube heater, or may be a coil disposed in the first pipe 120. Further, it may be a known transparent heating element including graphene, carbon fiber and the like.

제1전원전극(121a, 121b, 121c)은 제1가열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제1전원전극(121a, 121b, 121c)은 백금(p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전원전극(121a, 121b, 121c)에는 전극단자(122, 123, 124)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원은 전극단자(122, 123, 124)와 제1전원전극(121a, 121b, 121c)을 통해 제1가열부재에 인가될 수 있다.The first power supply electrodes 121a, 121b, and 121c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heating member to apply power. The first power supply electrodes 121a, 121b, and 121c may be platinum (p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de terminals 122, 123, and 124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ower source electrodes 121a, 121b, and 121c, respectively. Therefore, the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heating member through the electrode terminals 122, 123, 124 and the first power source electrodes 121a, 121b, 121c.

전극단자(122, 123, 124)와 제1전원전극(121a, 121b, 121c)은 제1파이프(120)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통전극단자(123)가 제1파이프(120)의 중앙에 연결되고 각 구동전극단자(122, 124)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구동전극단자는 연장전극(P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로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122, 123, and 124 and first power electrodes 121a, 121b, and 121c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ipe 120. Illustratively, the common electrode terminal 123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pipe 120, and a plurality of the driving electrode terminals 122 and 124 may be disposed. The plurality of driving electrode termina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extended electrode P1. With this configuration, the circuits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제2온도조절유닛(C2)은 제1온도조절유닛(C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온도조절유닛(C2)은 제2파이프(130)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재(미도시), 및 제2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구동전극(131a. 131b, 13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통전극단자(133)은 제1온도조절유닛의 공통전극단자(123)와 커넥터(133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C2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C2 includes a second heating member (not shown) for heating the second pipe 130 and at least one second driving electrode 131a, 131b, 131c ). At this time, the common electrode terminal 133 can be connected to the common electrode terminal 123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by the connector 133b.

제1온도조절유닛(C1)은 공통전원(S1)과 제1구동전원(S2)의 전위차에 의해 구동되고, 제2온도조절유닛(C2)은 공통전원(S1)과 제2구동전원(S3)의 전위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온도조절유닛(C1)과 제2온도조절유닛(C2)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regulating unit C1 is driven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common power supply S1 and the first driving power supply S2 and the second temperature regulating unit C2 is driven by the common power supply S1 and the second driving power supply S3 ). That i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C2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제1중공관(126)은 제1파이프(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중공관(126)은 제1파이프(120)의 유입노즐(125)과 연통된다. 따라서, 물은 제1중공관(126)을 통해 제1파이프(12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The first hollow tube (126)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120). The first hollow pipe 126 communicates with the inflow nozzle 125 of the first pipe 120. Thus, water may be injected into the first pipe 120 through the first hollow tube 126.

제2중공관(127)은 제1파이프(120) 내부에 배치되고, 제3파이프(14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파이프(120)와 제3파이프(140) 사이에는 차단막(129)이 배치될 수 있다. 차단막(129)은 고무마개일 수 있으나 물의 흐름을 차폐할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제2중공관(127)은 차단막(129)을 관통하여 제3파이프(140)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hollow pipe 127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120 and connected to the third pipe 140. A shielding film 129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pe 120 and the third pipe 140. The shielding film 129 may be a rubber stopp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hield the flow of water. The second hollow pipe 127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ipe 140 through the barrier membrane 129.

제1온도센서(128)는 제1파이프(120) 내부에 배치되어 제1파이프(120)의 상단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온도센서(128)는 제3파이프(14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신호선(128a)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8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120 to measure an upper temperature of the first pipe 120.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8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128a through the third pipe 140 and exposed to the outside.

제2온도센서(138)는 제2파이프(130) 내부에 배치되어 제2파이프(130)의 상단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2온도센서(138)는 제3파이프(14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신호선(138a)과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38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pipe 130 to measure the upper temperature of the second pipe 130.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38 may be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138a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pipe 140.

도 6을 참고하면, 물(W1)은 제1중공관(126)을 통해 제1파이프(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차단막(129)에 의해 물(W2)은 제1파이프(120) 내부에 점차 차오르게 된다. 이때, 물(W2)은 제1온도조절유닛(C1)의 온도조절영역(H1)을 통과하면서 1차 가열된다. 물(W2)은 가열된 제1파이프(120)의 내벽에 직접 접촉되어 가열되므로 가열 효율이 향상된다.Referring to FIG. 6, the water W1 may flow into the first pipe 120 through the first hollow pipe 126. Then, the water W2 gradually increases inside the first pipe 120 by the blocking film 129. At this time, the water W2 is firstly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emperature regulation region H1 of the first temperature regulation unit C1. The water W2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inner wall of the heated first pipe 120 and heated, thereby improving the heating efficiency.

여기서 온도조절영역(H1)이란 파이프에 직접 열 에너지를 전달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복수 개의 전극단자(122, 123, 124)가 있는 경우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전극단자(122)와 가장 낮은 위치의 전극 단자(124)의 사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1온도조절유닛(C1)이 코일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구조인 경우 온도조절영역은 코일이 감긴 영역일 수 있다.Here, the temperature regulation region (H1) can be defined as a region for directly transmitting heat energy to the pip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122, 123 and 124 as shown in FIG. 5, it may be an area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122 at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electrode terminal 124 at the lowest position.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is a structure that uses a coil,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may be a coiled region.

물(W3)이 제2중공관(127)의 상단까지 차게 되면 제2중공관(127)을 통해 제3파이프(140)로 이동한다. 이때에도 물(W3)이 온도조절영역(H1)을 통과하므로 열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When the water W3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pipe 127, the water moves to the third pipe 140 through the second hollow pipe 127. At this time, since the water W3 passes through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H1, the heat loss can be minimized.

이후, 물(W4)은 제2파이프(13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물은 제2온도조절유닛(C2)의 온도조절영역(H2)을 통과하면서 2차 가열된다.Thereafter, the water W4 flows into the second pipe 130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water is secondarily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emperature regulation region H2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C2.

온도조절장치는 1차 가열에 의해 목표 온도의 60% 내지 70%까지 물을 가열하고, 2차 가열을 통해 목표 온도의 100%까지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2단으로 가열하므로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ler can heat the water to 60% to 70% of the target temperature by the primary heating and to 100% of the target temperature through the secondary heating. Therefore, the temperature can be adjusted quickly and precisely by heating in two stages.

제어부(17)는 제1온도센서(128)와 제2온도센서(138)를 통해 현재 제1파이프(120)와 제2파이프(130)에 채워진 물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목표 온도와 비교하여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제어는 전류량 또는 펄스폭(PWM)을 제어하여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 receive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water filled in the first pipe 120 and the second pipe 130 through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128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138, So that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can be controlled. The temperature control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or the pulse width (PWM).

제2중공관(127)의 상단은 제1온도조절유닛(C1)의 온도조절영역(H1)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제2중공관(127)의 상단은 복수 개의 전극단자(122, 123, 124)가 있는 경우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전극단자(12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127 may be higher than the temperature regulation area H1 of the first temperature regulation unit C1.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127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electrode terminal 122 at the highest position when the plurality of electrode terminals 122, 123, and 124 are present (see FIG. 5).

제2중공관(127)의 상단이 제1온도조절유닛(C1)의 온도조절영역(H1)보다 낮은 경우에는 물의 유입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직접 가열된 제2중공관(127)의 상단에 물이 유입되면 수증기가 발생하면서 소음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중공관(127)의 상단은 제1온도조절유닛(C1)의 온도조절영역보다 약 10cm이상 높게 배치(d1)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127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control area H1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noise may be generated during the inflow of water. That is, when water flows into the upper end of the directly heated second hollow tube 127, steam may be generated and noise may be generat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127 is disposed (d1) at least about 10 cm higher than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제1중공관(126)의 상단은 제2중공관(127)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제1중공관(126)의 하단은 제1온도조절유닛(C1)의 온도조절영역(H1)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중공관(126) 및 제2중공관(127)의 상단과 하단은 온도조절영역(H1)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low tube 126 may be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127.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low tube 126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temperature control area H1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1. That i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hollow tube 126 and the second hollow tube 127 may not overlap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H1. This structure can minimize noise.

도 7은 제1하우징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제2하우징의 외측면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FIG. 7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FIG. 8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도 7을 참고하면, 제1하우징(110b)의 외측면에는 제1차단센서(180)와 제2차단센서(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차단센서(180)는 제1온도조절유닛(C1)에 인가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보다 큰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2차단센서(170) 역시 제2온도조절유닛(C2)에 인가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전류보다 큰 경우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first blocking sensor 180 and a second blocking sensor 17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10b. The first cutoff sensor 180 may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temperature adjustment unit C1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urrent. The second cut-off sensor 170 may also cut off the power supply if the current applied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C2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urrent.

예시적으로 제1차단센서(180)와 제2차단센서(170)는 바이메탈 스위치일 수 있다. 제1차단센서(180)와 제2차단센서(170)는 온도가 약 135℃ 이상 초과하는 경우 접속이 끊어지도록(오픈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후, 온도가 내려가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재접속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first blocking sensor 180 and the second blocking sensor 170 may be bimetal switches. The first blocking sensor 180 and the second blocking sensor 170 may be designed to be disconnected (opened) when the temperature exceeds about 135 캜. Thereafter, when the temperature drops, it can be reconnected manually or automatically.

제3온도센서(190)는 하우징(1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하우징(11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온도조절장치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다.The third temperature sensor 190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The control unit 17 can shut off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exceeds a preset temperature.

14: 전해조
17: 제어부
100: 온도조절장치
110: 하우징
120: 제1파이프
126: 제1중공관
127: 제2중공관
130: 제2파이프
140: 제3파이프
C1: 제1온도제어유닛
C2: 제2온도제어유닛
14: electrolytic bath
17:
100: Temperature controller
110: Housing
120: first pipe
126: first hollow tube
127: second hollow tube
130: second pipe
140: Third pipe
C1: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C2: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Claims (1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파이프;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2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와 제2파이프를 연결하는 제3파이프;
상기 제1파이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온도조절유닛;
상기 제2파이프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온도조절유닛;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에 외부 유체를 주입하는 제1중공관;
상기 제1파이프와 제3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막; 및
상기 제1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3파이프와 연결되는 제2중공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공관의 하부로 출수된 유체는 상기 제2중공관의 상부로 유입되고,
상기 제2중공관의 상단은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의 온도조절영역보다 높은 온도조절장치.
housing;
A first pip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second pipe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third pipe connecting the first pipe and the second pipe;
A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ipe;
A second temperat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ipe;
A first hollow tube for injecting an external fluid into the first pipe;
A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pipe and the third pipe; And
And a second hollow pipe disposed inside the first pipe and connected to the third pipe through the barrier,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llow pipe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llow pipe,
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관의 상단은 상기 제2중공관의 상단보다 높은 온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first hollow tube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hollow tub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공관의 하단은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의 온도조절영역보다 낮은 온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low tub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control region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과 제2온도조절유닛은 개별 제어되는 온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are individually contro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과 제2온도조절유닛은 가열유닛인 온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are heating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내에 배치되는 제1온도센서, 및
상기 제2파이프내에 배치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first pipe, and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second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제1파이프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재, 및 상기 제1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은 상기 제2파이프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재, 및 상기 제2가열부재에 전원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전극을 포함하는 온도조절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emperature adjusting unit includes a first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first pipe and at least one first electrode for a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ing member,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unit includes a second heating member for heating the second pipe, and at least one second electrode for applying power to the second heating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에 연결된 제1차단센서, 및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된 제2차단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차단센서와 제2차단센서는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오픈되는 온도조절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blocking sensor coupl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nd a second blocking sensor coupled to the second electrode,
Wherein the first shut-off sensor and the second shut-off sensor are opened whe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is exceeded.
정수 처리부;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온도조절장치; 및
상기 정수 처리부 및 온도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A water purification unit;
10. A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ater purification unit and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목표 온도의 60% 내지 70%가 되도록 상기 제1온도조절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목표온도의 100%가 되도록 상기 제2온도조절유닛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정수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temperature adjustment unit so as to be 60% to 70% of the target temperature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temperature adjustment unit so as to be 100% of the target temperature.
KR1020160072612A 2016-06-10 2016-06-10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1018728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12A KR101872898B1 (en) 2016-06-10 2016-06-10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2612A KR101872898B1 (en) 2016-06-10 2016-06-10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51A KR20170139951A (en) 2017-12-20
KR101872898B1 true KR101872898B1 (en) 2018-08-02

Family

ID=6093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2612A KR101872898B1 (en) 2016-06-10 2016-06-10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8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828A (en) 2022-11-07 2024-05-14 (주)원봉 Outflow water temperature convert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21Y1 (en) * 1989-05-19 1992-01-23 한율희 Suppry device for hot water
KR101894465B1 (en) * 2012-08-31 2018-09-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ing type hea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5828A (en) 2022-11-07 2024-05-14 (주)원봉 Outflow water temperature convert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9951A (en)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16167B2 (en) Method for regulating a membrane filtering installation
DK1417444T3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heating of fluid
CN103486723A (en) Electric water heater with water purifying function and water purifying method
KR101872898B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and purifier including the same
KR20200013927A (en) Hot water supply device and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KR102491063B1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supplying sterilized water
KR101936733B1 (en) Water purifier and method for descaling of water purifier
JP2006322687A (en) Hot water supply apparatus with sterilizing function
KR100785113B1 (en) a ion water producting device
JPH10180259A (en) Water purifying and sterilizing device
KR10128627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lowpath system in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WO2005056154A1 (en) Fully automated water processing control system
CN108821398B (en) EDR desalination system
KR102046475B1 (en) Apparatus for sterilizing pipes and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g the same
KR20170125451A (en) Operating method of hot water dispenser
KR102299619B1 (en) Water stream type cold water purifier
CN105709599A (en) Filter element, water purification device provided with filter element, and waste water discharge method of filter element
CN204063264U (en) Water system
KR102495572B1 (en) Instantaneous water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80076462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N113860581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ontrol method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RU207624U1 (en) LIQUID TREATMENT DEVICE
KR101506152B1 (en) Ionizer
KR20120137156A (en) Flowpath system in water electrolysis apparatus
KR102709208B1 (en) Direct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