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428B1 -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428B1
KR101872428B1 KR1020170174329A KR20170174329A KR101872428B1 KR 101872428 B1 KR101872428 B1 KR 101872428B1 KR 1020170174329 A KR1020170174329 A KR 1020170174329A KR 20170174329 A KR20170174329 A KR 20170174329A KR 101872428 B1 KR101872428 B1 KR 101872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ludge
drying
wastewater
converted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시원
Original Assignee
(주)에코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주)에코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70174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8Sludge treatment by fixation or sol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를 건조공정을 통해 악취가스와 증기상태의 폐수 및 건조품으로 구분생성하고, 별도의 후처리과정을 통해 악취가스는 연소시키고, 고형체의 건조품은 발전의 연료로 변환하며, 폐수는 정화 과정을 통해 방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장소에서 획득된 하수슬러지는 취합(S10)공정과 공장설비로의 이송(S20)공정을 통해 건조로(100)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악취를 1차 제거하는 건조(S30)공정을 거치고, 상기 건조로(100)에서 건조된 하수슬러지는 감소된 열량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건조된 하수슬러지와 톱밥 및 열량보조제가 35~45: 50~60: 5~15의 중량%로 혼합되고, 성형(S60) 및 냉각(S70) 공정을 거쳐 발전원료 스펙을 맞추어 발전소(S80)에서 사용되는 건조품으로 변환되며, 상기 건조로(100)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수는 응축(S90)공정에서 냉각되어 집수조로 이송(S100)되고, 혐기성처리(S110)와 호기성처리(S120) 및 침전(S130)공정을 차례로 거친 후, 하층부의 고형체는 건조(S30)공정으로 리턴되고, 상층부의 폐수만 방류하고, 상기 건조(S30)공정에서는 건조로(100)의 외벽(120)에 형성된 스팀유입구(121)를 통해 외벽(120)과 내벽(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11)에 스팀을 공급하고, 모터(130)에 연결된 구동축(140)이 수직방향으로 상·하 적층된 복수의 교반날개(150)를 회전시켜 내벽(110) 내측에 유입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하며, 고온의 직접건조시 하수슬러지가 타면서 열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40℃ 에서 1시간동안 간접식 스팀건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로(100)는 이송(S20)공정에서 하수슬러지를 유입하기 위해 하수슬러지유입구(161)가 구비된 유입컨베이어(160)와, 건조된 건조품을 성형(S60)공정으로 배출하기 위해 건조품배출구(171)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170)가 더 구비되고, 상·하측의 하수슬러지가 원활하게 혼합건조될 수 있도록 순환배출컨베이어(180)를 통해 배출된 상측의 하수슬러지가 순환유입컨베이어(190)를 통해 하측으로 순환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와 폐수를 각각 다른 공정에 의해 정화함으로써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하수슬러지에 열량보조제를 첨가하여 고형체로 변환하여 발전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건조공정을 통해 하수슬러지의 포함된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응축공정에 의해 증기상태의 폐수를 냉각한 후, 혐기성처리와 호기성처리를 통해 폐수를 정화하는 전 과정이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Sewagee sludge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슬러지를 건조공정을 통해 악취가스와 증기상태의 폐수 및 건조품으로 구분생성하고, 별도의 후처리과정을 통해 악취가스는 연소시키고, 고형체의 건조품은 발전의 연료로 변환하며, 폐수는 정화과정을 통해 방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체 에너지 수요의 약 80%는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화석연료 중 약 50%는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국내도 전체 전력 생산의 약 30% 정도는 계속 석탄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환경문제가 21세기의 중요한 테마로 부상하면서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유해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그 규제는 점차 강화되어, 최근에는 SO2와 NOx에 강화된 규제가 적용되고 있고, CO2 규제도 2013년부터는 구체화되고 있다.
바이오메스는 석탄과 석유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풍부한 에너지원이다. 세계 에너지의 약 14%에 해당하는 1,250백만 TOE를 차지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은 전체 에너지의 약 35%를 바이오메스로 공급하고 있고, 선진국도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고 있어서 미국은 약 70백만 TOE, 유럽은 국가마다 다르지만 약 20∼40백만 TOE를 바이오메스가 공급하고 있다. 바이오메스에는 전통적인 농림부산물과 에너지작물(Energy Crop)이 포함되며 화석연료를 제외한 하수슬러지, 폐기물 등이 모두 포함된다.
특히, 생활폐기물인 하수 하수슬러지에 관해 미국은 DOE와 EPRI에서 주관하고 유럽에서는 하수슬러지 혼합연소 연구결과, 대규모의 미분탄 발전소에 적용하는 경우 발전소에 유효할 뿐만 아니라 환경적으로도 매우 유효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우리나라는 2001년 7월부터 일정규모 이상의 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직매립을 금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수슬러지 처리규제의 강화에 따라 폐기처분하여야 할 폐기물에서 가연성 유기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하수슬러지 특성을 이용하여 자원으로 재활용하려는 추세에 있으며, 하수슬러지 대신 바이오 고형물(Biosolids)로 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부는 2011년 하수 하수슬러지 연료화를 포함한 신재생 에너지 보급목표를 1차 에너지 대비 5%, 전력생산량 대비 7%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에너지 관련 9개 공기업과 정부 간 자발적 신재생 에너지 개발공급 협약체결('05.7.25)에 따라 2008년 까지 1.1조원을 목표로 신재생 에너지에 투자하고 있다.
특히 발전회사들은 2011년까지 RDF및 하수하수슬러지 연료전용 발전소 건설을 목표로 하여, 하수 하수슬러지탄 연료화에 대한 석탄화력 발전소 현장 적용을 위해 전력연구원과 공동연구 중에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년간 650만 톤가량 발생하는 하·폐수 하수슬러지를 주축으로 한 유기성 하수슬러지의 대부분이 함수율이 70∼80%여서 곧바로 연료로 활용할 수 없어 효율적인 건조과정을 거쳐야 하며, 건조 후 고위 발열량 또한 2,000∼4,000kcal/kg 정도여서 자소성이 떨어지고, 연소 특성이 기존의 고형의 화석연료와는 전혀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어 그 자체로는 연료로 활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독립적인 연료로 만들어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연소로에서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량을 보강하여 4,500 kcal/kg 이상으로 유지하고, 연소의 특성을 유연탄 혹은 무연탄의 성상과 유사하게 보정해 줄 필요가 있다.
특히, 하수 하수슬러지의 석탄 화력 발전소에 연료화를 위해서는 함수율을 10%이하로 낮추어야 한다. 그러나 하수슬러지 내의 수분은 자유수, 내부수(간극수), 표면수, 결합수 등으로 구분되며 하수슬러지 수분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하수슬러지 표면에 부착하고 있는 자유수와 표면수이고, 하수슬러지의 분자와 분자 사이에 존재하는 수분이 내부수이며, 결합수는 하수슬러지 분자에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하수 하수슬러지 자유수와 표면수는 100±5℃에서 건조되지만 내부수와 결합수는 약 400℃에서 파괴 및 건조가 일어나므로 기존의 건조방법으로는 하수슬러지 내부까지 이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석탄 화력 발전소까지의 운송 및 작업 취급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건조 하수슬러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악취를 제거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2008-91644호(2008.09.18)의 "화력발전소 혼합연소용 하수슬러지탄 제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상기 발명은 105℃ 온도범위에서 건조과정 중 마이크로파 건조기 내에서 분해된 증기가 응축되어 반응기 표면에 결로 현상을 일으키는 단점과, 건조된 하수슬러지 내에서 암모니아 및 황화수소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에서는 필수적으로 탈수공정후 건조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상기 탈수공정에서 셀룰로오스 성분이 상실되면서, 혐기성처리 공정의 효율이 50%이하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공정을 통해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하수슬러지에 첨가된 악취가스를 제거할 수 있는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하수슬러지가 고형체로 변환된 건조품에 열량보조제를 첨가하여 발전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공정을 통해 응축에 의해 증기상태의 폐수를 냉각하여 정화처리한 후, 혐기성처리와 호기성처리를 통해 폐수를 정화하는 전 공정이 환경친화적인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은 다수의 장소에서 획득된 하수슬러지는 취합(S10)공정과 공장설비로의 이송(S20)공정을 통해 건조로(100)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악취를 1차 제거하는 건조(S30)공정을 거치고, 상기 건조로(100)에서 건조된 하수슬러지는 감소된 열량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건조된 하수슬러지와 톱밥 및 열량보조제가 35~45: 50~60: 5~15의 중량%로 혼합되고, 성형(S60) 및 냉각(S70) 공정을 거쳐 발전원료 스펙을 맞추어 발전소(S80)에서 사용되는 건조품으로 변환되며, 상기 건조로(100)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수는 응축(S90)공정에서 냉각되어 집수조로 이송(S100)되고, 혐기성처리(S110)와 호기성처리(S120) 및 침전(S130)공정을 차례로 거친 후, 하층부의 고형체는 건조(S30)공정으로 리턴되고, 상층부의 폐수만 방류하고, 상기 건조(S30)공정에서는 건조로(100)의 외벽(120)에 형성된 스팀유입구(121)를 통해 외벽(120)과 내벽(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11)에 스팀을 공급하고, 모터(130)에 연결된 구동축(140)이 수직방향으로 상·하 적층된 복수의 교반날개(150)를 회전시켜 내벽(110) 내측에 유입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하며, 고온의 직접건조시 하수슬러지가 타면서 열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40℃ 에서 1시간동안 간접식 스팀건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로(100)는 이송(S20)공정에서 하수슬러지를 유입하기 위해 하수슬러지유입구(161)가 구비된 유입컨베이어(160)와, 건조된 건조품을 성형(S60)공정으로 배출하기 위해 건조품배출구(171)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170)가 더 구비되고, 상·하측의 하수슬러지가 원활하게 혼합건조될 수 있도록 순환배출컨베이어(180)를 통해 배출된 상측의 하수슬러지가 순환유입컨베이어(190)를 통해 하측으로 순환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하수슬러지와 폐수를 각각 다른 공정에 의해 정화함으로써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하수슬러지에 열량보조제를 첨가하여 고형체로 변환하여 발전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으며, 혐기성처리공정에서 발생한 메탄가스를 활용하여 건고공정의 연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공정을 통해 하수슬러지의 포함된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응축공정에 의해 증기상태의 폐수를 냉각한 후, 혐기성처리와 호기성처리를 통해 폐수를 정화하는 전 공정이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며, 탈수공정을 거치지 않게 되어 하수슬러지에 셀룰로오스 성분이 그대로 남아있게 되므로 종래 탈수후 건조하는 종래방식에 비해 혐기성 처리공정의 효율이 90% 정도로 현저하게 상승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처리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건조로의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은 하수슬러지를 취합이송하고, 건조공정을 거친 고형체는 열량보조제의 혼합 및 성형공정을 거쳐 발전원료로 변환로 변환되고, 건조공정을 통해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증기상태의 폐수는 별도의 후처리공정을 거쳐 방류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은 도 1의 블록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의 장소에서 획득된 하수슬러지는 취합(S10)공정과 공장설비로의 이송(S20)공정을 통해 건조로(100)에서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악취가스와 증기상태의 폐수로 구분하고, 초기 수분함유량 85%의 하수슬러지를 수분함량 10% 이하의 건조품으로 변환하는 건조(S30)공정을 거치된다.
또한, 건조(S30)공정을 통해 하수슬러지가 변환된 고형체의 건조품은 열량보조제의 조합(S40)과 혼합(S50)공정, 일정한 크기로의 성형(S60)공정, 냉각공정(S70)을 거쳐 발전소(S80)으로 이송됨으로써 발전원료로 이용된다.
상기 건조된 하수슬러지인 건조품은 취합장소 및 시기에 따라 성분과 발열량이 달라지고, 건조공정에서 열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균일한 발열량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공정을 거치게 된다.
건조(S30)공정에서 감소된 열량을 보강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품과 톱밥 및 열량보조제를 35~45: 50~60: 5~15의 중량%로 혼합하며, 성형(S60) 및 냉각(S70) 공정을 거쳐 3500 kcal/kg 이상의 발전원료 스펙을 맞추어 발전소(S80)에서 사용되는 발전원료를 제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건조로(100)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수는 응축(S90)에 의해 냉각되어 혐기성처리(S110) 및 호기성처리(S120), 침전(S130)공정을 차례로 거친 후, 하층부의 고형체는 건조(S30)공정으로 리턴되고, 상층부의 폐수만 방류(S140)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처리과정을 도 2 및 도 3의 공정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취합(S10)된 하수슬러지는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S20)되어 건조로에서 건조(S30)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종래 직접가열 건조방식에서 하수슬러지가 타면서 열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중벽 구조의 간접가열 건조방식을 채택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S30)공정에서는 건조로(100)의 외벽(120)에 형성된 스팀유입구(121)를 통해 외벽(120)과 내벽(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11)에 스팀을 공급하고, 모터(130)에 연결된 구동축(140)이 수직방향으로 상·하 적층된 복수의 교반날개(150)를 회전시켜 내벽(110) 내측에 유입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하되, 고온의 직접건조시 하수슬러지가 타면서 열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40℃ 에서 1시간동안 간접식 스팀건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건조로(100)에서 고체상태로 변환된 건조품은 건조품배출구(171)를 통해 성형(S60)공정으로 이송하고,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수는 하부의 폐수배출구(123)를 통해 응축(S90)공정으로 이송하며, 증기상태로 변환된 악취가스는 상부의 가스배출구(122)를 통해 연소로로 이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때 건조(S30)공정에서 발생한 악취가스, 폐수, 건조품은 각각 분류되어 서로 다른 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며, 특히 건조품은 열량보조제(S40)가 첨가되어 혼합기로 이송된다.
상기 건조로(100)는 이송(S20)공정에서 하수슬러지를 유입하기 위해 하수슬러지유입구(161)가 구비된 유입컨베이어(160)와, 건조된 건조품을 성형(S60)공정으로 배출하기 위해 건조품배출구(171)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17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보다 효율적인 건조를 위해 상기 건조로(100)에는 상·하측의 하수슬러지가 원활하게 혼합건조될 수 있도록 순환배출컨베이어(180)를 통해 배출된 상측의 하수슬러지가 순환유입컨베이어(190)를 통해 하측으로 순환이송하게 된다.
이때, 가스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된 증기상태의 악취가스는 싸이클론(122a)로 이송되어 상층의 가스성분만 연소로로 이송되고, 하층에 침전되는 이물질은 다시 순환배출컨베이어(180)로 순환이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열량보조제 조제(S40)공정은 콩기름 100 중량%에 알코올 10 중량%를 혼합하여 바이오 디젤 100 중량%와 글리세린 10 중량%의 비율로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글리세린 순도 65 중량% 이상을 사용하며, 이러한 열량보조제가 첨가된 건조품은 혼합기로 이송되어 혼합(S50)되고, 성형기로 이송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S60)된다.
상기 열량보조제는 발전원료의 기본스펙인 3500kcal/kg의 조건을 맞추기 위한 본 발명의 필수조건으로서, 발명은 혼합(S50) 공정을 통해 톱밥의 삽입량과 열량보조제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설비사이즈를 줄이면서도 균일한 품질의 발전원료를 양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성형된 하수슬러지와 열량보조제의 혼합물은 냉각기로 이송되어 냉각(S70)되어 발전원료로 변환되어 발전소로 이송됨으로서 발전(S80)의 연료로 사용하게 되는데,
한편, 폐수는 건조(S30) 공정을 거치며 악취가스를 제거하고, 악취가 제거된 폐수는 응축기로 이송되어 응축(S90) 공정을 거치게 되며, 응축(S90)을 거친 폐수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집수조(S100)로 이송된다.
상기 집수조(S100)의 폐수는 원수이송펌프를 통해 혐기성소화조 및 호기성소화조로 차례로 이송되어 각각 혐기성처리(S110) 및 호기성처리(S120)의 공정을 거치며 오염성분이 정화된다.
상기 혐기성처리(S110)공정은 혐기성소화조에 비중이 큰 입자화된 혐기성세균액에 투입하고, 그 상층에 응축(S60)공정에서 증기가 변환된 폐수를 투입하여, 탄수화물이 전환된 유기산 COD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혐기성처리(S110) 공정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메탄가스가 발생하며, 본 발명은 상기 메탄가스를 별도로 추출(S111)하여 상기 건조(S30)공정의 보조원료로 이용한다.
특히, 본 발명은 탈수공정을 거치지 않게 되어, 하수슬러지에 셀룰로오스 성분이 그대로 남아있게 되므로, 종래 탈수후 건조하는 종래방식에 비해 혐기성 처리공정의 효율이 90% 정도로 현저하게 상승된다.
또한, 상기 호기성처리(S120)공정은 호기성소화조에서 호기성세균액과 혼합하여 잔존하는 탄수화물 COD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혐기성처리(S110)공정 및 호기성처리(S120)공정을 통해 정화된 폐수는 침전조로 이송되어 침전(S130)에 의해 하층부의 고형체는 건조(S30)공정으로 리턴되고, 상층부의 폐수만 방류조 및 방류펌프를 통해 외부로 방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은 하수슬러지와 폐수를 각각 다른 공정에 의해 정화함으로써 처리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하수슬러지를 열량보조제를 첨가하여 발전의 연료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조공정을 통해 하수슬러지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며, 응축공정에 의해 폐수를 냉각하고 혐기성처리 및 호기성처리를 통해 정화처리하여 방류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건조로 110 : 내벽
111: 공간부 120 : 외벽
121 : 스팀유입구 122 : 가스배출구
122a: 싸이클론 123 : 폐수폐출구
130 : 모터 140 : 구동축
150 : 교반날개 160 : 유입컨베이어
161 : 하수슬러지 유입구 170 : 배출컨베이어
171 : 건조품 배출구 180 : 순환배출컨베이어
190 : 순환유입컨베이어

Claims (6)

  1. 다수의 장소에서 획득된 하수슬러지는 취합(S10)공정과 공장설비로의 이송(S20)공정을 통해 건조로(100)에서 수분을 증발시켜 악취를 1차 제거하는 건조(S30)공정을 거치고, 상기 건조로(100)에서 건조된 하수슬러지는 감소된 열량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건조된 하수슬러지와 톱밥 및 열량보조제가 35~45: 50~60: 5~15의 중량%로 혼합되고, 성형(S60) 및 냉각(S70) 공정을 거쳐 발전원료 스펙을 맞추어 발전소(S80)에서 사용되는 건조품으로 변환되며, 상기 건조로(100)에서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수는 응축(S90)공정에서 냉각되어 집수조로 이송(S100)되고, 혐기성처리(S110)와 호기성처리(S120) 및 침전(S130)공정을 차례로 거친 후, 하층부의 고형체는 건조(S30)공정으로 리턴되고, 상층부의 폐수만 방류하고,
    상기 건조(S30)공정에서는 건조로(100)의 외벽(120)에 형성된 스팀유입구(121)를 통해 외벽(120)과 내벽(11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111)에 스팀을 공급하고, 모터(130)에 연결된 구동축(140)이 수직방향으로 상·하 적층된 복수의 교반날개(150)를 회전시켜 내벽(110) 내측에 유입된 하수슬러지를 건조하며, 고온의 직접건조시 하수슬러지가 타면서 열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40℃ 에서 1시간동안 간접식 스팀건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로(100)는 이송(S20)공정에서 하수슬러지를 유입하기 위해 하수슬러지유입구(161)가 구비된 유입컨베이어(160)와, 건조된 건조품을 성형(S60)공정으로 배출하기 위해 건조품배출구(171)가 구비된 배출컨베이어(170)가 더 구비되고, 상·하측의 하수슬러지가 원활하게 혼합건조될 수 있도록 순환배출컨베이어(180)를 통해 배출된 상측의 하수슬러지가 순환유입컨베이어(190)를 통해 하측으로 순환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100)에서 고체상태로 변환된 건조품은 건조품배출구(171)를 통해 성형(S60)공정으로 이송하고, 증기상태로 변환된 폐수는 하부의 폐수배출구(123)를 통해 응축(S90)공정으로 이송하며, 증기상태로 변환된 악취가스는 상부의 가스배출구(122)를 통해 연소로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보조제는 콩기름 100 중량%에 알코올 10 중량%를 혼합하여 바이오 디젤 100 중량%와 글리세린 10 중량%의 비율로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글리세린 순도 65 중량%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혐기성처리(S110)공정은 혐기성소화조에 비중이 큰 입자화된 혐기성세균액에 투입하고, 그 상층에 응축(S90)공정에서 증기가 변환된 폐수를 투입하여, 탄수화물이 전환된 유기산 COD를 제거하며, 발생된 메탄가스는 건조(S30)공정의 보조연료로 공급되고,
    상기 호기성처리(S120)공정은 호기성소화조에서 호기성세균액과 혼합하여 잔존하는 탄수화물 COD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74329A 2017-12-18 2017-12-18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1872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329A KR101872428B1 (ko) 2017-12-18 2017-12-18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329A KR101872428B1 (ko) 2017-12-18 2017-12-18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428B1 true KR101872428B1 (ko) 2018-07-31

Family

ID=6307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329A KR101872428B1 (ko) 2017-12-18 2017-12-18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3940A (zh) * 2023-10-08 2023-11-10 国能龙源环保有限公司 污泥干化系统及污泥干化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422A (ja) * 2008-08-04 2010-02-18 Sud-Chemie Catalysts Inc 脂肪酸エステルとグリセリンの製造方法および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バイオディーゼル並びに使用する固体触媒
KR101017900B1 (ko) * 2010-09-10 2011-03-04 부산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 염색폐수 슬러지 고형연료와 그 제조장치
KR20130098082A (ko) * 2012-02-27 2013-09-04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열수분해를 이용한 바이오 가스 생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처리방법
KR101798643B1 (ko) * 2017-02-09 2017-11-20 주식회사 더하다 생활폐기물 고형연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7422A (ja) * 2008-08-04 2010-02-18 Sud-Chemie Catalysts Inc 脂肪酸エステルとグリセリンの製造方法および脂肪酸エステルを含むバイオディーゼル並びに使用する固体触媒
KR101017900B1 (ko) * 2010-09-10 2011-03-04 부산패션칼라산업협동조합 염색폐수 슬러지 고형연료와 그 제조장치
KR20130098082A (ko) * 2012-02-27 2013-09-04 코리아워터텍 주식회사 열수분해를 이용한 바이오 가스 생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물 처리방법
KR101798643B1 (ko) * 2017-02-09 2017-11-20 주식회사 더하다 생활폐기물 고형연료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3940A (zh) * 2023-10-08 2023-11-10 国能龙源环保有限公司 污泥干化系统及污泥干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5869E1 (en) Slurry dewatering and conversion of biosolids to a renewable fuel
CN101844859B (zh) 一种污泥的蒸汽低温热调质干化成套处理装置及方法
JP4510782B2 (ja) 汚泥の再資源化方法及びその装置。
CN104789235B (zh) 污泥催化热解气化制备生物柴油的方法和系统
JPS63502190A (ja) 廃棄物から再利用可能なガスを回収する方法
CN101056968B (zh) 淤浆脱水和将生物固体转化成可再生燃料的方法
CN113182313B (zh) 一种污染物资源化的多源有机固废处置系统及方法
KR101616417B1 (ko) 하이브리드형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CA3233855A1 (en) System for producing biogas using mixed liquid of digestive fluid treated water and organic dry substance
CN201753303U (zh) 一种污泥的蒸汽低温热调质干化成套处理装置
KR101872428B1 (ko) 간접가열식 건조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1051093B1 (ko) 상압에서 유중증발기술을 이용한 고함수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CN110776238A (zh) 一种蒸汽热源污泥烘干系统及其烘干污泥的方法
CN204607928U (zh) 污泥催化热解气化制备生物柴油的系统
CN210394130U (zh) 一种有机固体废弃物干化炭化系统
EP1955981A2 (en) Method of energy appreciation of the products from purification of stillage from ethanol production and the equipment for implementation of this method
EP1356190B1 (en) Process for the utilisation of organic materials in energy production and production of reusable products
CN110903002A (zh) 一种污泥干化热解的一体化无害化终极处置装置
CN220537680U (zh) 提高水泥生产线协同处置市政污泥量的系统
CN220550097U (zh) 市政污泥干化与水泥生产线耦合的系统
JPS5889998A (ja) 汚泥の処理方法
Peltola et al. An advanced process for thermal treatment of municipal sewage sludge
CN116538504A (zh) 一种组装式生活垃圾焚烧工厂以及一种生活垃圾焚烧方法
CN116495969A (zh) 一种市政污泥干化与水泥生产线耦合的系统及方法
CN116768442A (zh) 一种水泥窑协同处置城市污泥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