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56B1 -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56B1
KR101870356B1 KR1020150142226A KR20150142226A KR101870356B1 KR 101870356 B1 KR101870356 B1 KR 101870356B1 KR 1020150142226 A KR1020150142226 A KR 1020150142226A KR 20150142226 A KR20150142226 A KR 20150142226A KR 101870356 B1 KR101870356 B1 KR 101870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ancial
authentication
user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966A (ko
Inventor
고규범
권오선
권태원
김경현
김성은
김재홍
성치현
손유현
안지혜
오대용
이승호
이찬규
이해동
정혜숙
조현진
한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15014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 단만의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금융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제1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BANKING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BANKING SERVICE}
실시 예는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현금 자동 지급기(CD, Cash Dispenser),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와 같은 금융 단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금융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금융 단말은 금융기관의 각 지점 또는 금융기관과 제휴된 위치에 구비된 장소에 설치된다.
금융 단말은 금융사 직원 없이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보조하는 기기로서, 사용자는 금융 단말을 통해 카드나 통장 등의 매체를 사용하여 현금 및 수표를 출금하거나, 입금, 이체 등의 금융 거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금융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비대면 방식의 본인 인증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은행의 창구에서 금융사 직원을 통해 제공되는 금융 서비스 중 대면 방식의 본인 인증이 필요한 일부의 금융 서비스, 예를 들어 대출 서비스를 금융 단말을 통해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금융 단말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금융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 금융 단말을 통해 주로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원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의 경우, 사용자들은 송달료 납부, 인지대 납부, 보관금 납부 등 법원 업무와 관련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금융 단말을 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금융 단말은 설치 장소나 금융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상관없이 획일적인 거래 화면을 표시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거래 화면 표시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실시 예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금융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제1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은,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금융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거래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1거래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 단말의 맞춤형 거래 화면 제공을 통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 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금융 단말이 설치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5의 초기 거래 화면 표시 단계에서 금융 단말이 표시하는 초기 거래 화면의 예시도들이다.
도 11은 도 5의 본인 인증 처리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인증 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금융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신분증 인증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의 본인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생체 인증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의 본인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 및 이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의 금융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금융 거래 매체와 연계하여, 금융 거래 매체로부터 요청되는 소정의 금융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금융사 서버(100) 및 금융사 시스템(200), 금융사 서버(100)과 소정의 금융망(32, 예를 들어, 당행망)을 통해 연결되는 창구 단말(400) 및 금융 단말(300)(예를 들어, 현금 자동 지급기/현금 자동 입출금기(CD/ATM) 및 키오스크)과, 인터넷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단말(10, 11, 12)(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를 이용한 인터넷 뱅킹 시스템 및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및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통화단말(11, 12)과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를 이용한 텔레 뱅킹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각각의 금융 거래 매체는 금융사 시스템(200)을 통해 소정의 고객으로부터 요청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금융사 시스템(200)은 금융 거래 고객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금융 계좌를 개설하고, 금융 계좌를 기반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금융기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금융사 시스템(200)은 대외계(220), 계정계(230), 정보계(240), DBMS(210, DataBase Management System) 및 인터페이스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금융사 시스템(2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금융사 시스템(2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대외계(220)는 금융사 시스템(200)과 금융사 서버(100) 간의 연결, 금융사 시스템(200)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금융사 시스템(200)(또는 결제시스템) 간 상호접속, 또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통신망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비대면 금융 거래 수단(예를 들어, 인터넷 뱅킹, 텔레 뱅킹 등)에서 금융사 시스템(200)으로 접근, 또는 적어도 하나의 공동망(예를 들어, CD공동망, 금융 공동망)을 통한 다양한 금융 거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계정계(230)는 적어도 하나의 영업점(또는 창구)에서 발생하는 여신 또는 수신 또는 신탁 또는 외국환과 같은 창구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정보계(240)는 본부업무의 처리와 영업점 정보지원 및 고객정보 관리를 처리할 수 있다.
DBMS(210)는 금융사 시스템(200) 내 구성요소에서 각각의 기능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정보(예를 들어, 원장 정보, 고객 정보, 상품 정보 또는 경영 정보 등)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250)은 금융사 시스템(200) 내 구성 요소간 인터페이싱을 제공하는 미들웨어(Middleware)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사 시스템(200)은 설계 의도 또는 금융사 시스템(200)이 구비되는 각 금융기관의 종류(예를 들어, 시중은행, 저축은행, 신탁은행)와 금융사 시스템(200)의 목적 및 특징에 따라, 외국환계 모듈(미도시), 투자금융계 모듈(미도시), 국제계 모듈(미도시)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더 포함되는 것이 가능하며,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금융사 시스템(200)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 사항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기관에 구비되는 금융사 시스템(200)은 금융기관의 지점(또는 영업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창구단말과 소정의 금융망(예를 들어, 당행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창구단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금융 거래 고객에 대한 대면 방식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금융사 시스템(200)은 금융기관의 지점(또는 영업점)에 구비된 CD/ATM/키오스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금융 단말(300), 또는 금융기관과 제휴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금융기관(또는 다른 금융기관 지점)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금융 단말(300), 또는 공공의 장소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금융 단말(300)과 소정의 금융망(예를 들어, CD공동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금융사 시스템(200)은, 금융 단말(30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금융 거래 고객에 대한 비대면 방식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금융사 시스템(200)은 인터넷 뱅킹 서버(20) 및 텔레 뱅킹 서버(22)와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 뱅킹 서버(20) 및 텔레 뱅킹 서버(22)는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단말(10, 11, 12) 또는 유선 전화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융사 시스템(200)은 인터넷 뱅킹 서버(20) 및 텔레 뱅킹 서버(2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금융 거래 고객에게 비대면 방식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TCP/IP 기반 백본망에 연결된 네트워크(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 또는 IEEE 802.11x 기반 무선랜, 또는 IEEE 802.16x 기반 휴대인터넷 등), 소정의 무선망(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이동통신망, 또는 IEEE 802.16x 기반 휴대인터넷, 또는 DataTAC/Mobitex 방식 기반의 무선 데이터 통신망), 소정의 유선 음성통화망(예를 들어,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화단말(예를 들어, 전화기), 또는 소정의 무선 음성통화망(예를 들어, CDMA 기반의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 단말(10, 11, 12)은, 유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 기능이 구비된 개인 컴퓨터(PC) 또는 노트북, 무선랜/휴대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 기능이 구비된 노트북 또는 휴대단말, 이동통신망에 접속 및 브라우징 기능이 구비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금융사 시스템(200)이 구비되는 금융기관은 시중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등, 소정의 금융 계좌가 개설 및 운용되고, 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자통장 및 현금카드 및 직불카드 등을 발급할 수 있는 모든 금융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정 금융기관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소정의 인터페이스 수단(30)은 외부로부터 폐쇄된 소정의 금융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BMS(210)에는 원장 D/B(211), 경영 정보 D/B(212) 및 고객 정보 D/B(213)가 포함된다.
먼저, 원장 D/B(211)에 구비된 원장정보는 소정의 고객원장, 고객원장과 연계되는 계좌원장 및 계좌원장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금융사 시스템(200) 상의 DBMS(210)에 구비된 원장 D/B(211)에는 고객원장과 계좌원장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원장(예를 들어, 수신원장, 대출원장, 담보원장 등) 또는 원장들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음을 명백하게 이해할 것이며, 또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고객원장은 CIF(Customer Information File)번호, 국가코드, 담당자ID, 영업점번호, 고객분류, 고객이름, 고객주소, 지역구분코드, 전화번호, 사업장번호, 상호, 분류코드, 유효기일, 상태본점정보, 결산일, 현금가용일, 성, 명, 주민등록번호, 회사주소, 회사전화번호, 우송장소, 구좌번호, 사장, 업종, 법정대리인, 최초거래일, TRW, DB, 사용한도, 모회사번호. 국명, 전송, 성별거주자, 직업, 우송주소, 회사명, 후견인명, 후견인전화번호, 법정대리인사업자번호, 건공정구분, 세금구분, 지역코드, 그룹코드 및 우편번호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고객원장은 개인고객, 기업고객, 미성년자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고객에 대한 원장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고객원장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과 특징을 명백하게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또한, 계좌원장은 고객원장과 관계형으로 연계되며, 금융계좌에 대응하는 원장으로서, 계좌번호(또는 증권번호), CIF번호, 점번, 통화, 개설일, 상태, 상품종류, 이율, 비밀번호, 잔액, 타점권잔액1, 타점권잔액2, 통장잔액, 통장번호, 분실일, 분실 장소, 미지금이자, 시간연장건수, 시간연장금액, ARS설정, 최종입금일, 최종출금일, 최종입금액, 최종출금액, 무통장거래건수, 이자이체계좌, 평통연결여부, 최종지급이자, 최종지급거래번호, 개별이율참조 및 최종이자계산일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계좌원장에 대응하는 계좌번호, 기권(월수), 기간(일수), 기간연장, 만기일 및 목표액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정기성 수신정보, 계좌원장에 대응하는 계좌번호, 수탁금액, 액면금액, 연금일 및 주식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신탁 수신정보, 계좌원장에 대응하는 계좌번호, 거래번호, 일자, 점번, 상품종류, 거래종류, 현금액, 타점권, 배치번호(Batch No.), 복합거래, 기산일, 통장라인, 적요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거래내역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계좌원장과 부가정보구성에 포함된 정보의 내용과 특징을 명백하게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다음으로, 고객 정보 D/B(213)에 구비된 고객 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예를 들어, 고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메일주소 등)와, 고객의 회원정보(예를 들어, 고객이 금융기관의 금융거래 고객으로 가입함에 의해 고객에 대응하여 금융사 시스템(200) 상에 구비된 고객원장에 구비된 회원ID 정보, 또는 CIF 번호 등)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융사 시스템(200)은 금융사 서버(100)를 통해, 창구 단말(400), 금융 단말(300) 및 클라이언트 단말(10, 11, 12) 등과 같은 금융 거래 매체와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100)는 통신부(110)와 유효성 확인부(121), 전자문서 생성부(122) 및 전자문서 전송부(123) 등을 포함하는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금융사 서버(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금융사 서버(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창구 단말(400), 금융 단말(300) 또는 인터넷 뱅킹 서버(20), 텔레 뱅킹 서버(22)와 대응하는 통신 채널(30, 32)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금융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창구 단말(400), 금융 단말(300) 또는 인터넷 뱅킹 서버(20), 텔레 뱅킹 서버(22)와 소정의 통신 채널(30, 32)을 연결하고, 금융 거래 매체 각각에 구비된 금융거래 관련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사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또는 금융사 직원이 작성하거나 입력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금융사 서버(100)는 금융사 시스템(200)의 DBMS(210)에 저장된 정보를 대응하는 창구 단말(400), 금융 단말(300) 또는 인터넷 뱅킹 서버(20), 텔레 뱅킹 서버(2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사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전자문서, 금융 거래 매체에서 획득된 이미지 컨텐츠, 생체 정보, 계좌 개설 요청 정보, 금융 서비스 신규 가입 요청 정보, 카드 발급 요청 정보 및 금융사 시스템(200)에 저장된 고객원장에 대한 정보, 계좌원장에 대한 정보, 계좌원장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고객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금융사 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유효성 확인부(121), 전자문서 생성부(122) 및 전자문서 전송부(123) 이외에도, 금융사 서버(100)가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에 대응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uni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효성 확인부(121)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의 유효성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유효성 확인부(121)에 의해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 데이터는 폐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효성 확인부(121)는 수신된 전자문서의 워터 마크, 전자문서의 발급 기관, 전자문서의 유효기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유효성 확인부(121)는 지로납부 정보에 대한 유효성 확인은 외부 서버(600), 예를 들어 지로 납부에 관련된 청구기관 서버(602) 또는 EBPP(Electronic Bill Presentment & Payment) 서버(604)와 연계하여 지로납부 정보가 유효한지 확인할 수도 있다.
유효성 확인부(121)는 사용자 또는 금융사 직원이 작성하거나 입력한 데이터에 대해서도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거래 매체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와 금융사 시스템(200)에 저장된 고객 정보가 매칭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정보와 연계되는 데이터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유효성 확인부(121)는 인증 서버(7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에 대해서도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확인부(121)는 인증 서버(700)가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생체 정보의 인증 기관, 생체 정보의 유효기간의 유효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문서 생성부(122)는 유효성 확인부(121)에서 유효성이 인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문서 전송부(123)는 생성된 전자문서를 금융사 시스템(200)과 연계된 전자문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문서 생성부(122)는 금융 거래 매체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유효성이 인증되면, 입력된 데이터를 워터마킹(Watermarking) 방식으로 포함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전자문서 생성부(122)는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문서파일(예를 들어,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또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파일, 또는 HWP/DOC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파일, 또는 MHT를 포함하는 웹문서 파일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자문서 생성부(122)가 이미지 파일 형식, 소정의 문서파일 형식의 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기술적 특징과, 전자문서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 문서파일에 대한 파일포맷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기 숙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편의상 생략한다.
전자문서 전송부(123)는 전자문서 생성부(122)에 의해 생성된 전자문서를 금융사 시스템(200)과 연계된 소정의 전자문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문서 서버(500)가 금융사 서버(100)의 외부에 구비된 경우, 전자문서 전송부(123)는 전자문서 생성부(122)에 의해 생성된 전자문서를 통신부(110) 통해 전자문서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문서 서버(500)는 전자문서 D/B(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함으로써, 금융 거래 매체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금융사 서버(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서버(700)는 생체 정보 D/B(710)를 포함하고, 금융사 서버(10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생체 정보 D/B(710)는 생체 정보, 생체 정보와 대응하는 고객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관련된 금융 단말(300) 및 관리자 단말(400, 402)과 금융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금융 단말(300)은 금융기관의 지점(또는 영업점)에 구비되며, 소정의 금융망(32)을 통해 금융사 서버(100) 또는 금융사 시스템(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기관의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금융 단말(30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금융 단말(300)은 소정의 금융망을 통해 금융사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금융기관의 지점에 구비되거나, 금융기관의 외부 장소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외부에 구비되는 관리자 단말(400, 402)은 소정의 금융망(32)을 통해 각 지점의 금융 단말(300), 금융사 서버(100) 또는 금융사 시스템(20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점 내부에 구비되는 관리자 단말(402)은 해당 지점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융 단말(300)과 내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소정의 금융망(32)을 통해 각 지점의 금융 단말(300), 금융사 서버(100) 또는 금융사 시스템(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금융사 직원은 금융 단말(300)들의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리자 단말(400, 402)을 이용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금융 단말(300)들로부터 소정의 금융망(32) 또는 지점의 내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 402)은 소정의 금융망(32) 또는 지점의 내부 통신망과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에 의해 금융 단말(300)에 입력되는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 402)에서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메모리부 및 통신부, 출력부, 메모리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금융사 직원은 창구 단말(400)로 출력된 정보에 따른 적절한 금융 서비스를 금융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점 내에 구비되는 관리자 단말은 창구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300)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3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금융 단말(300)은 센서부(310), 입력부(320), 카드 리더부(330), 현금 입출부(331), 수표 입출부(332), 통장 입출부(333), 카드 방출부(334), 통신부(340), 메모리부(350), 출력부(360), 근거리 무선 통신부(370) 및 제어부(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금융 단말(3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금융 단말(3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센서부(310)는 사용자 정보 및 금융 단말(300)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310)는, 정맥 센서(311)(vein scanner/sensor), 지문 인식 센서(312)(finger scan sensor), 얼굴 인식 센서(예를 들어, 카메라(321 참조)), 안구 인식 센서(313)(예를 들어, 홍채 인식 센서(iris scanner), 망막 인식 센서(retina scanner) 등) 및 근접 센서(314)(proximity sensor),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터치 센서(touch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금융 단말(300)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입력부(3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321) 또는 영상 입력부(320),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322), 또는 오디오 입력부(320),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323)(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 신분증, 바코드, 지문, 수표, 현금 및 각종 서류 등 센서 위에 배치되는 내용물을 스캔하는 스캐너(324)(scanner)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324)는 스캔하는 내용물에 따라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324)는 신분증을 스캔하는 신분증 스캐너(324a), 바코드 및 QR코드를 스캔하는 바코드 스캐너(324b), 현금 입출부(331)의 구성으로써, 현금을 스캔하는 현금 스캐너, 수표 입출부(332)의 구성으로써, 수표를 스캔하는 수표 스캐너, 지문 인식 센서(312)의 구성으로써,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 스캐너 및 통장 입출부(333)의 구성으로써, 통장의 내지 등을 스캔하는 통장 스캐너, 금융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증명서류 등을 입력 받기 위한 서류 스캐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3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 또는 사용자 정보로 처리될 수 있다.
카드 리더부(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융 거래를 위해 카드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어오기 위해 상기 카드와 금융 단말(30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330)는 MS(Magnetic Stripe)카드를 금융 단말(300)과 인터페이싱하는 MS 리더부, 접촉식 IC(Integrated Circuit)카드를 금융 단말(300)과 인터페이싱하는 접촉식 IC 리더부, 비접촉식 IC카드를 금융 단말(300)과 인터페이싱 하는 비접촉식 IC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MS 리더부는 소정의 코일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 헤드(Magnetic Head)를 포함할 수 있고, 소정의 정보(예를 들어, 자성화된 이진정보)가 기록된 MS카드가 상기 자기 헤드와 밀착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또는 자기 헤드가 소정의 정보가 기록된 MS카드와 밀착하여 이동)하면, 상기 자기 헤드에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로딩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MS카드의 MS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랙(Track)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금융 단말(300)로 인터페이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식 IC 리더부는 접촉식 IC카드에 구비된 COB(Chip On Board; COB)와 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촉점을 통해 상기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금융 단말(300)로 인터페이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접촉식 IC 리더부는 정전결합(Capacitive Coupling), 전자유도(Inductive Coupling) 등을 이용하여 비접촉식 IC카드와 비접촉식으로 전기적 접점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IC카드의 IC칩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APDU를 이용하는 상기 반이중(Half Duplex) 방식의 트랜잭션을 통해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금융 단말(300)로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금 입출부(331)는 사용자가 금융 단말(300)로 투입을 원하는 현금을 입금 처리하거나, 금융 거래 결과 사용자에게 소정의 현금지급 명령(또는 현금지급 승인결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현금지급 명령(또는 현금지급 승인결과)에 대응하는 현금(또는 사용자가 출금 요청한 현금)을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수표 입출부(332)는 사용자가 금융 단말(300)로 투입을 원하는 수표를 입금 처리하거나, 금융 거래 결과 사용자에게 소정의 수표지급 명령(또는 수표지급 승인결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표지급 명령(또는 수표지급 승인결과)에 대응하는 수표(또는 사용자가 출금 요청한 수표)를 사용자에게 지급할 수 있다.
현금 입출부(331)와 수표 입출부(332)는 상기의 스캐너(324)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금융 단말(300)로 투입되는 현금 및 수표의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통장 입출부(333)는 통장을 삽입하고, 삽입된 통장에 대한 인자 처리 등이 완료되면, 통장을 금융 단말(3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통장 입출부(333)는 통장 상에 구비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를 리딩하거나, 또는 통장에 계좌 정보 또는 예금액 정보 등을 인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장 입출부(333)는 통장 상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이외에 IC칩 등을 구비하여 통장을 인식할 수도 있다.
통장 입출부(333)를 통해 리딩된 통장 상에 구비되는 마그네틱에 저장된 통장 고유 정보를 제어부(380)로 제공하고,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인자할 데이터를 수신한 제어부(380)에서 통장에 인자할 인자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장 입출부(333)로 제공하면, 통장 입출부(333)는 통장의 내지에 통장 이용 내역을 인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통장 입출부(333)는 제어부(380)에서의 통장 발급 처리에 따라 신규 통장을 인자하여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장 입출부(333)는 금융 단말(300)에 격납되어있는 미발급 통장의 겉표지, 서명 페이지 및 내지에 통장 번호, 재발급 정보, 계좌 정보, 예금액 정보, 통장 이용 내역 등을 인자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장 입출부(333)는 인자 처리된 통장을 금융 단말(30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카드 방출부(334)는 MS 카드, 접촉식 IC카드, 비접촉식 IC카드를 발급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방출할 수 있다. 일례로, 카드 방출부(334)는 MS 카드의 MS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랙(Track)에 카드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금융 정보를 수록하고, 카드번호 등을 감열방식으로 카드의 전면 또는 후면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전사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 방출부(334)는 금융 정보가 수록된 카드를 금융 단말(30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방출부(334)는 금융 단말(300) 내부에 저장되는 보안 매체, 예를 들어, OTP(One Time Password) 생성기, 보안 카드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방출부(334)는 보안 매체를 방출할 때, 방출하는 보안 매체의 일련 번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방출부(334)는 스캐너(324)를 구비하여, 저장된 보안 매체를 방출되는 과정에서 보안 매체를 스캔하여 보안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인식을 통해 보안 매체 이미지로부터 보안 매체의 일련 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신분증 스캐너(324a), 카드 리더부(330), 카드 방출부(334)는 하나의 입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입출 장치로 구성된 신분증 스캐너(324a), 카드 리더부(330), 카드 방출부(334)에 의해, 동일한 규격을 따르는 신분증(ID 카드), 체크 카드, 신용카드, 카드형 OTP 토큰, 보안카드 등이 스캔되고, 리딩될 수 있다.
프린터부(335)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를 인쇄 용지(예를 들어, 다양한 규격의 프린터 용지, 플로터 용지, 롤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부(335)는 금융 서비스 신규 가입 요청을 위한 서류를 A4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부(335)는 금융 거래에 따른 명세표를 롤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프린터부(335)는 롤 용지 인쇄 장치, 도트 프린터 유닛, 컬러 핀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유닛, 초고속 건조 방식의 레이저 프린터 유닛 및 잉크젯 통장 프린터 유닛 중 어느 하나이거나, 통장의 겉표지에 인쇄 작동 또는 이송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의 인쇄 장치 또는 수단이 될 수 있다.
통신부(340)는 소정의 금융망(32)을 경유하여 금융사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40)는 설치된 지점의 내부 통신망을 통해 다른 금융 단말(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 402)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창구 단말, 금융 단말(300) 또는 금융사 서버(100)와 대응하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340)는 금융망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을 기반으로 창구 단말, 금융 단말(300) 또는 금융사 서버(100)와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금융 단말(300)에 구비된 금융거래 관련 프로그램에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모리부(350)는 금융 단말(300)이 금융 거래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의 금융 거래 처리 정보, 금융 거래 후 소정의 금융 거래 내역 정보, 금융 단말(300)에 구비된 스캐너(324)를 통해 스캐닝한 이미지 데이터 및 카드 및 보안매체 격납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350)는 금융 단말(3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350)는 금융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금융 단말(3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통신부(340)를 통해 외부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350)에 저장되고, 금융 단말(3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380)에 의하여 금융 단말(3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부(3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6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361), 음향 출력부(364), 햅틱 모듈(36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61)는 금융 단말(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361)는 금융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6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36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3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금융 단말(3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금융 단말(300)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6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61)는 금융 단말(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 단말(3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61)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61)는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부(362)와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각각 사용자에게 입력 인터페이스 또는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금융 단말(300)의 제1 디스플레이부(362)에는 관리자 단말(400, 402)의 카메라로 촬영되는 금융사 직원의 화상이 표시되고, 금융 단말(300)의 제2 디스플레이부(363)에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부(362)에 표시되는 금융사 직원과 화상으로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음향 출력부(364)를 통해 전달되는 질의 사항에 대해 제2 디스플레이부(363) 또는 마이크(322)를 이용하여 금융사 직원에게 응답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364)는 금융 단말(3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은행 직원과의 화상 상담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364)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365)(haptic module)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36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365)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3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36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7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부(370)는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가 구비한 RFID 태그가 포함된 장치를 리딩하여, 해당 장치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기능 구성 상 금융 단말(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제어부(380)는 하드웨어적으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를 들어, 레지스터) 및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출력하는 버스(BUS)와 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금융 단말(300)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기록매체(예를 들어, 메모리부(350))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8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금융 단말(300)이 부팅된 후 상기 금융 단말(300)을 관리하는 소정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및/또는 단말 제어 프로그램 루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3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80)는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금융 단말(3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하, 금융 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구성부를 편의상 상기 제어부(38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80)는 사용자 인증부(381), 전문 생성부(382) 및 전문 처리부(38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81)는 금융 단말(3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81)는 센서부(310) 또는 카메라(321)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를 들어, 정맥 분포 패턴, 홍채 패턴, 망막 패턴, 지문 패턴 등)와 인증 서버(7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381)는 스캐너(324)로 스캐닝된 사용자의 신분증 이미지와 카메라(321)로 촬영된 사용자 얼굴 영상을 관리자 단말(400, 402)에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400, 402)로부터 인증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81)는 금융 단말(300)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본인임을 인증하고, 금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구성으로써, 금융 단말(300)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381)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단말(10, 11, 12)(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 등)로 인증 번호를 전송하고, 금융 단말(300)로 입력되는 번호와 매칭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인증 방식, 금융사 시스템 등에 기 저장된 고객 정보와 스캐닝된 신분증 정보를 대조하는 인증 방식,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식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전문 생성부(382)는 계좌 정보, 카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금융 거래 및 본인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전문 생성부(382)는 복수의 데이터 필드로 구분되고, 데이터 필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값이 입력되는 전자적 형태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문 생성부(382)는 입력된 데이터를 워터마킹(Watermarking) 방식으로 포함하는 이미지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문 생성부(382)는 입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문서파일(예를 들어,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 또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파일, 또는 HWP/DOC 등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워드프로세서 파일, 또는 MHT를 포함하는 웹문서 파일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전문 처리부(383)는 통신부(340)를 통해, 생성된 전자문서를 금융사 서버(100)로 전송하고,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문서 대응하는 정보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문 처리부(383)는 통신부(340)를 통해, 생성된 금융 서비스 신규 가입 요청 전자문서를 금융사 서버(100)로 전송하고,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금융 서비스 신규 가입 요청 전자문서에 대응하는 요청 응답 전자문서를 수신하며, 요청 응답 전자문서에 포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6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융 단말(300)의 제1면에 카메라(321), 신분증 스캐너(324a), 바코드 스캐너(324b), 카드 리더부(330), 카드 방출부(334), 프린터부(335), 제1 디스플레이부(362), 제1 음향 출력부(364a)가 배치되고, 제2면에 정맥 센서(311), 근접 센서(314), 마이크 및 제2 음향 출력부(322, 364b), 사용자 입력부(323), 현금 입출부 및 수표 입출부(331, 332), 통장 입출부(333), 제2 디스플레이부(363), 근거리 무선 통신부(370)가 배치된 금융 단말(300)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면에는 바코드 스캐너(324b)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마이크 및 음향 출력부(322, 364)는 제2면이 아닌 제1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제1면 및 제2면에 각각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금융 단말(300)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점 방향에서 표시되는 화면이 모두 시인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362)는 금융 서비스 이용에 따른 부가 정보 또는 창구 단말(400)의 금융사 직원과의 화상 상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금융 서비스 이용에 따른 중요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 계좌 번호 정보, 서명 정보, 잔액 정보 등), 사용자 인증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사용자 입력 화면(예를 들어, 키보드, 키패드)도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금융 단말(300)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 각각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3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362) 및 제2 디스플레이부(363)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323, 도 3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1면 또는 제2면에는 신분증 스캐너(324a), 카드 리더부(330), 카드 방출부(334), 프린터부(335) 및 통장 입출부(333)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출구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복수의 입출구 중 대응하는 입출구로 금융 거래에 필요한 매체를 투입할 수 있다.
한편, 현금 입출부 및 수표 입출부(331, 332)는 현금 또는 수표가 투입되거나 방출될 때, 제2 면의 형성된 뚜껑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금 입출부 및 수표 입출부(331, 332)는 현금 투입 시에 뚜껑을 열고, 현금 투입이 완료되면 뚜껑을 닫는다.
신분증 스캐너(324a)는 투입되는 신분증을 스캔하고, 스캔이 완료된 신분증을 반환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캐너(324b)는 1차원 및 2차원 바코드(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바코드 스캐너(324b)는 레이저 스캔 및 이미지 스캔을 통해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330)는 투입되는 체크 카드, 신용 카드 등을 리딩할 수 있다. 카드 리더부(330)는 금융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거나, 카드를 인식할 수 없을 때 투입된 카드를 반환할 수 있다.
카드 방출부(334)는 MS 카드, 접촉식 IC카드, 비접촉식 IC카드, 보안 매체 등을 금융 단말(300)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프린터부(335)는 금융 단말(300)에서 처리된 문서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정맥 센서(311)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에 올려진 사용자의 손바닥을 스캔할 수 있다.
근접 센서(314)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314)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314)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364a)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 및 제2 음향 출력부(322, 364a)는 수화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3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364)는 금융사 직원과의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버튼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70)는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370)는 이동 단말기의 보안 모듈에 탑재된 애플릿(applet) 형태의 카드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 정보는 카드 번호, 잔액, 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금융 단말(300)과 이를 포함하는 금융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과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실시 예는 실시 예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금융 단말이 설치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5의 초기 거래 화면 표시 단계에서 금융 단말이 표시하는 초기 거래 화면의 예시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한다(S100).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이전에 수행된 금융 거래가 종료된 상태에서 센서부(310) 또는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초기 거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토대로 장소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금융사 서버(100)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별도의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금융 단말(300)은 초기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 입력부(323) 또는 디스플레이부(361)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금융 단말(300)이 설치되는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금융사 서버(100)는 금융 단말(300)로부터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토대로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를 식별하고,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금융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사 서버(100)는 금융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정보를 토대로,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를 일반 점포, 범원 점포, 군부대 점포, 대학교 점포 등으로 구분하고,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금융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관리자로부터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입력 받고, 이를 토대로 장소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 단말(300)의 초기 설정 과정에서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하고, 이를 통해 관리자로부터 위치 식별 코드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면,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 단말(300)의 초기 설정 과정에서,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1000)을 제2디스플레이부(36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장소 선택 화면(1000)은 설치 장소로 일반 점포, 법원 점포, 군부대 점포, 대학교 점포를 선택하기 위한 객체들(1001, 1002, 1003, 1004)을 포함하며, 관리자는 복수의 객체들(1001, 1002, 1003, 1004)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여 금융 단말(300)의 설치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관리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설치 장소가 선택되면,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선택된 장소에 대응하여 위치 식별 코드를 획득하게 된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초기 설정 과정에서 위치 식별 코드가 획득되면 이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하고, 초기 거래 화면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위치 식별 코드를 독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따라서 금융 단말(300)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법원 점포에 설치된 금융 단말(300)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송달료 납부, 인지대 납부, 보관금 납부 등 법원 업무와 관련된 금융 서비스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군부대 점포에 설치된 금융 단말(300)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출금, 카드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등의 금융 서비스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학교 점포에 설치된 금융 단말(300)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등록금 납부 등의 금융 서비스를 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따라서, 자주 이용되는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도록 초기 거래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S100 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은 위치 식별 코드 별로 대응하는 초기 거래 화면을 미리 구성하여 메모리부(350)에 저장하고,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의 위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초기 거래 화면을 메모리부(35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또한, 금융 단말(300)은 위치 식별 코드 별로 대응하는 화면 구성 정보(초기 거래 화면에 포함되는 객체, 각 객체의 표시 위치 등)를 구분하여 메모리부(350)에 저장하고,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의 위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 정보를 메모리부(35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화면 구성 정보를 토대로 토대로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들을 조합하여 초기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일반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300)이 표시하는 초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제2디스플레이부(363)를 통해 초기 거래 화면(1100)을 표시한다. 초기 거래 화면(1100)은, 복수의 금융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금융 단말(300)의 센서부(310)로 사용자의 입력(또는 물체의 접근)이 최초 감지될 때 표시될 수 있다. 초기 거래 화면(110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마이 뱅킹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객체(1101), 사용자가 즐겨 찾는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객체(1102), 업무 또는 화면 번호(예를 들어, 각각의 금융 서비스에 대응되는 화면 번호)를 검색하기 위한 입력창(1103), 상담원과 화상 연결을 시도하는 객체(1104), 사용자가 미리 예약한 업무를 조회하기 위한 객체(1105)가 표시될 수 있다. 초기 거래 화면(1100)의 중앙부에는 대출 신청을 위한 객체(1111), 금융 상품을 상담 또는 가입하기 위한 객체(1112), 신규 계좌를 개설하기 위한 객체(1113), 온라인 뱅킹 또는 폰 뱅킹과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1114), 신용카드와 관련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1115), 다른 업무를 더 표시하기 위한 객체(1116)가 표시될 수 있다. 초기 거래 화면(1100)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모든 계좌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객체(1121), 통장 재발행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객체(1122), 통장 정리 및 이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객체(1123), 체크 카드를 재발급하기 위한 객체(1124), 보안카드를 재발급하기 위한 객체(1125), 이체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객체(1126)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초기 거래 화면(1100)의 최상단에는 표시되는 언어를 변경하기 위한 객체(1131) 및 금융 단말(300)이 제공하는 전체 서비스에 대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1132)가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법원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300)이 표시하는 초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법원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300)은 송달료 납부, 인지대 납부, 보관금 납부 등 법원업무와 관련된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객체(1141)를 포함하도록 초기 거래 화면(11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거래 화면(1100)의 상단부에는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 즉, 법원에 대응하는 로고(114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9는 군부대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300)이 표시하는 초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군부대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300)은 출금, 카드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등 군장병이 자주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객체(1151)를 포함하도록 초기 거래 화면(11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거래 화면(1100)의 상단부에는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 즉, 군부대에 대응하는 로고(1152)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대학교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300)이 표시하는 초기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학교 점포에 설치되는 금융 단말(300)은 등록금 납부 등 대학생이 자주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객체(1161)를 포함하도록 초기 거래 화면(110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초기 거래 화면(1100)의 상단부에는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 즉, 대학교에 대응하는 로고(1162)가 포함될 수 있다.
초기 거래 화면 표시 단계(S100)는, 금융 단말(300)의 센서부(310)로 사용자의 입력(또는 물체의 접근)이 최초 감지되면 수행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초기 거래 화면이 표시된 이후에 디스플레이부(361) 또는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110). 사용자는 금융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되는 거래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를 터치함으로써,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의 선택 입력을 금융 단말(30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의 선택 입력을 입력할 수도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S130).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위한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은 인증 서버(700)(또는 금융사 서버(100))에 저장된 인증 정보(생체 정보)와 생체 센서(정맥 센서(311), 지문 인식 센서(312) 또는 안구 인식 센서(313) 등)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정맥 분포 패턴, 홍채 패턴, 망막 패턴, 지문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금융 단말(300)은 카메라(321)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과 사용자의 신분증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400, 402)로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400, 402)에서 관리자에 의해 인증이 확인되는 경우에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금융 단말(300)은 카메라(321)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안면 영상과 사용자의 신분증 이미지에 포함된 안면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또한, 금융 단말(3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인증 번호를 외부 인증 서버(700)로 전송하고, 외부 인증 서버(700)가 인증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융 단말(300)은 외부 인증 서버(700)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한다. 그러면, 금융사 서버(100)의 DBMS에 저장된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인증 서버(700)가 해당 고객의 클라이언트 단말(10, 11, 12)로 인증 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금융 단말(300)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인증 번호를 외부 인증 서버(700)로 전송한다. 외부 인증 서버(700)는 클라이언트 단말(10, 11, 12)로 전송한 인증 번호와, 금융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인증 번호를 매칭하여 해당 사용자가 고객임을 인증하는 메시지를 금융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금융 단말(300)은 카드 리더부(330), 통장 입출부(333)를 통해 삽입되는 금융 매체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기 저장된 해당 금융 매체의 비밀번호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를 매칭하여 해당 사용자가 삽입된 금융 매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인증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인 인증 처리 단계(S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인 인증 처리 방법은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 내 사용자 인증부(38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도 5의 본인 인증 처리 단계(S120)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인증 방식을 선택하기 위해 금융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본인 인증 처리를 위해 본인 인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한다(S1200).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본인 인증 방식이 복수인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인증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본인 인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인 인증 화면을 통해 어느 하나의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202).
한편, 센서부(310), 사용자 입력부(323), 스캐너(324) 등을 통해 본인 인증을 위한 입력이 먼저 감지되는 경우, 본인 인증 화면 표시 단계(S1200) 및 인증 방식 선택 입력 수신 단계(S120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맥 센서(311)로 사용자의 정맥 분포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부(381)는 본인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정맥 센서(311)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정맥 분포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인증 매체로 사용하는 인증 방식을 본인 인증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인 인증 방식으로는 생체 인증 방식, 화상 연결을 통한 본인 인증 방식, 신분증 인증 방식, 인증 번호 인증 방식 등 다양한 인증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2를 예로 들면,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신분증 인증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객체(1212) 및 생체 인증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객체(1214)를 포함하는 본인 인증 화면(1200)을 제2디스플레이부(363)에 표시할 수 있다. 본인 인증 화면(1200)에는 인증 방법 선택을 유도하는 안내 문구(610)가 더 표시될 수 있으며, 관리자와 화상 상담을 위한 객체(1222), 표시되는 언어를 변경하기 위한 객체(1224) 및 금융 단말(300)이 제공하는 전체 서비스에 대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객체(1226)가 표시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본인 인증 화면(1200)을 확인한 사용자가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입력하면, 이를 토대로 생체 인증 방식 및 신분증 인증 방식 중 어느 하나를 본인 인증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각각의 인증 방식이 선택됨에 따른 본인 인증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신분증 인증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의 본인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생체 인증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의 본인 인증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신분증 인증 방식을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인 인증 화면(1200)에서 신분증 인증 방식에 대응하는 객체(1212)가 선택되면,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신분증 스캐너(324a)로 신분증을 스캔하기 위한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신분증 스캐너(324a)에 신분증이 투입되면, 금융 단말(300)의 신분증 스캐너(324a)는 신분증을 스캔(S1212)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신분증 스캐너(324a)는 투입되는 신분증의 앞면과 뒷면을 모두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신분증에 기재된 정보를 검출(S1214)한다. 신분증에 기재된 정보(이하, 신분증 정보라 함)는 신분증에 인쇄된 증명 사진, 숫자 정보 및 문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숫자 정보는 신분증에 기재되는 주민등록번호, 신분증 발급일자, 운전면허증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정보는 신분증에 기재된 이름, 주소, 발급 기관, 신분증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381)는 스캐너(324)에서 처리된 신분증의 이미지 데이터 및 검출된 신분증 정보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카메라(321)는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S1216)하여 영상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카메라(321)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와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 및 신분증 정보를 통신부(340)를 통해 관리자 단말(400, 402)로 전송(S1218)한다.
관리자 단말(400, 402)은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와 영상 데이터를 표시(S1220)한다. 금융사 직원은 관리자 단말(400, 402)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신분증 이미지와 영상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일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금융사 직원의 입력에 따라, 관리자 단말(400, 402)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캡쳐(capture)할 수 있으며, 이를 신분증 이미지와 관련시켜 관리자 단말(400, 402)의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 402)은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S1222)한다.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금융사 직원의 입력에 따라, 해당 신분증을 발급한 기관의 서버로 신분증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또는 자동차운전면허증을 포함하고, 발급 기관은 행정 자치부 또는 경찰청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 402)은 신분증 정보를 해당 신분증 발급 기관 서버로 전송(S1224)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기 검출된 신분증에 기재된 발급 기관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발급 기관 서버로 신분증에 기재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발급 기관 서버는 신분증에 기재된 정보와 매칭되는 발급 기관 서버 내에 저장된 신분증 정보를 검색(S1226)한다. 그리고, 신분증 정보 검색 결과에 따른 상기 신분증의 진위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진위 확인 전문을 생성한다(S1228). 발급 기관 서버는 발급 기관 서버 내에서 상기 신분증에 기재된 정보와 매칭되는 신분증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신분증이 해당 발급 기관에서 발행한 신분증임을 확인하는 전문을 생성하고, 발급 기관 서버 내에서 상기 신분증에 기재된 정보와 매칭되는 신분증 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신분증이 해당 발급 기관에서 발행한 신분증이 아님을 확인하는 전문을 생성한다.
발급 기관 서버는 생성된 진위 확인 전문을 관리자 단말(400, 402)로 전송(S1230)한다. 이를 수신한 관리자 단말(400, 402)은 진위 확인 전문을 통해, 신분증의 진위를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금융사 직원으로부터 고객 정보 확인 입력이 수신(S1232)되면, 금융사 서버(100)로 신분증 정보를 전송(S11334)한다. 신분증 정보를 수신한 금융사 서버(100)는 고객 정보 D/B(213)에 구비된 고객 정보 중 신분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검색(S1236)하고, 관리자 단말(400, 402)로 신분증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전송(S1238)한다. 여기서, 고객 정보는 고객의 개인정보 또는 고객의 회원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고객 정보로부터 개인정보 또는 회원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자 단말(400, 402)의 화면에 표시(S1240)한다. 이를 확인한 금융사 직원은 관리자 단말(400, 402)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금융 단말(300)의 음향 출력부(364)를 통해 음성으로 고객 정보에 대해 질의할 수 있다. 또는, 금융사 직원은 관리자 단말(400, 402)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금융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61)를 통해 시각적으로 고객 정보에 대해 질의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는 금융사 직원의 질의에 대해 마이크(322)를 통해 음성으로 응답하거나,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입력하여 응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 금융사 직원은 사용자의 신상정보가 일치함을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400, 402)에 사용자 인증 확인을 입력(S1242)한다. 즉, 금융사 직원은 금융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61) 또는 음향 출력부(364)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질의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 단말(400, 402)은, 금융사 직원으로부터 인증 확인을 입력 받으면, 인증 확인 전문을 생성(S1244)하여 금융 단말(300)로 전송(S1246)한다.
인증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S1248)한다.
관리자 단말(400, 402)이 금융사 직원으로부터 인증 확인을 입력 받지 못하거나, 미확인을 입력(S1250) 받으면, 인증 미확인 전문을 생성(S1252)하여, 금융 단말(300)로 전송(S1254)한다.
인증 미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본인 인증을 종료하고, 본인 인증 실패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S1256)한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생체 인증 방식을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인 인증 화면(1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생체 인증 방식에 대응하는 객체(1214)가 선택되면,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고, 생체 샌서(정맥 센서(311), 지문 인식 센서(312) 또는 안구 인식 센서(313) 등)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안내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이를 확인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S1262)받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및 이용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생체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센싱(S1264)한다. 예를 들어, 정맥 센서(311)를 통해 정맥 센서(311)의 센서면 상에 접하는 사용자의 손바닥(또는 팔뚝 등)으로부터 정맥 분포 패턴을 센싱한다. 또한,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센서(312)를 통해 지문 센서(311)의 센서면 상에 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지문 패턴을 센싱한다. 또한, 예를 들어, 홍채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해 홍채 인식 센서의 센서면에 대면하는 사용자 안구로부터 홍채 패턴을 센싱한다. 또한, 예를 들어, 망막 인식 센서(미도시)를 통해 망막 인식 센서의 센서면에 대면하는 사용자 안구로부터 망막의 혈관 패턴을 센싱한다. 이때,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생체 센서에서 처리된 생체 정보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사용자 정보 및 생체 정보를 금융사 서버(100)로 전송(S1266)한다. 금융사 서버(100)로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는 주민등록번호 정보 및 이용 비밀번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700)를 포함하는 금융사 서버(100)의 경우, 금융사 서버(100)의 제어부(120)가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D/B(710)로부터 독출(S1268)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주민등록번호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D/B(710)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그리고, 금융사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독출된 생체 정보와 금융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생체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S1270)한다.
금융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생체 정보가 생체 정보 D/B(710)에서 독출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면, 금융사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생체 정보 D/B(710)로부터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독출(S1272)하고, 고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 확인 전문을 생성(S1274)하여, 금융 단말(300)로 전송(S1276)한다.
인증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사용자 인증을 완료(S1278)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생체 정보가 생체 정보 D/B(710)에 저장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금융사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인증 미확인 전문을 생성(S1280)하여, 금융 단말(300)로 전송(S1282)한다.
인증 미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사용자 인증을 종료하고, 본인 인증 실패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S1284)한다.
한편, 도 14는 금융사 서버(100) 내부에 인증 서버(700)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인증 서버(700)는 금융사 서버(100)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융사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외부의 인증 서버(700)로 생체 정보를 전달하여 인증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외부 인증 서버(700)는 생체 정보 D/B(710)에 저장된 생체 정보들 중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생체 정보를 판단하고, 일치하는 생체 정보가 검색되면, 생체 정보, 검색된 생체 정보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 및 인증 확인 메시지를 금융사 서버(100)로 전달한다. 금융사 서버(100)의 유효성 확인부(121)는 외부의 인증 서버(7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 정보에 대해서도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 확인부(121)는 인증 서버(700)가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생체 정보의 인증 기관, 생체 정보의 유효기간의 유효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서는 생체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S1270)하는 단계가 금융사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생체 정보의 일치 여부를 판단(S1270)하는 단계는 금융 단말(3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주민등록번호 정보, 이용 비밀번호 정보를 금융사 서버(100)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금융사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주민등록번호 또는 이용 비밀 번호와 대응되는 고객 정보를 금융사 서버(100)에서 검색할 수 있다. 금융사 서버(100)의 제어부(120)는 해당 고객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생체 정보 D/B(71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생체 정보를 금융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이를 수신한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인증부(381)는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생체 정보와 생체 센서(311, 312, 313)로 센싱된 생체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본인 인증을 완료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인 인증 처리 단계(S120)가 완료되면, 금융 단말(300)은 본인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인 인증 처리 단계(S120)에 따르면, 본인 인증 처리를 위해 사람의 생체 정보를 이용하는 생체 인증 방식과, 사용자 얼굴과 신분증을 실시간 확인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신분증 인증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생체 인증 방식과 신분증 인즈 방식은 본인 외에는 인증 수행이 불가능하여 대면 인증 방식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 문제로 인해 은행 창구에서 대면 인증 방식으로만 이루어지던 금융 서비스들을 금융 단말(300)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금융 단말(300)에서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는 예금 신청, 펀드 신청, 대출 신청, 대출 연장, 입출금 계좌 신청, 온라인 서비스 신청, 체크 카드 신청, 신용카드 신청, 보안카드/OTP카드 발급 신청 및 증명서 발급 신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110) 이후에 본인 인증 처리 단계(S120)를 수행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인 인증 처리 단계는 초기 거래 화면 표시 단계(S10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본인 인증 처리 단계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여 구성된 초기 거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본인 인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한다(S200).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이전에 수행된 금융 거래가 종료된 상태에서 센서부(310) 또는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본인 인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본인 인증 방식이 복수인 경우, 사용자가 복수의 인증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본인 인증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인 인증 화면을 통해 어느 하나의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10). 본인 인증 방식으로는 생체 인증 방식, 화상 연결을 통한 본인 인증 방식, 신분증 인증 방식, 인증 번호 인증 방식 등 다양한 인증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센서부(310), 사용자 입력부(323), 스캐너(324), 카드 리더부(330), 통장 입출부(333) 등을 통해 본인 인증을 위한 입력이 먼저 감지되는 경우, 감지된 입력에 의해 본인 인증 방식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인 인증 화면 표시 단계(S200) 및 인증 방식 선택 입력 수신 단계(S2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맥 센서(311)로 사용자의 정맥 분포 패턴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부(381)는 본인 인증 방식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정맥 센서(311)를 구동하여 사용자의 정맥 분포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인증 매체로 사용하는 인증 방식을 본인 인증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금융 단말(300)은 카드 리더부(330), 통장 입출부(333)를 통해 금융 매체의 삽입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고, 이를 인증 번호로 사용하는 인증 방식을 본인 인증 방식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에 의해 인증 방식이 선택되면,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220).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은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인 인증 처리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본인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표시한다(S230).
상기 S230 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상기 S21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접근(또는 이용)이 가능한 금융 서비스들 중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거나 또는 최근에 이용한 금융 서비스 내역을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금융 기관에서 제공하는 금융 거래(또는 금융 서비스)들은 각 금융 거래의 특성에 따라서 그 보안 등급이 다르게 설정되며, 보안 등급에 따라서 금융 거래에 접근하거나 금융 거래를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인증 정보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출 등과 같이 대면 인증 방식 또는 대면 인증과 동일한 보안 등급의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이 필요한 금융 거래의 경우, 생체 인식 또는 신분증 인식과 같이 대면 인증을 대체 가능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이 완료된 후에 해당 금융 거래의 접근 또는 완료가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입금, 출금 등과 비대면 인증이 가능한 보안 등급의 금융 거래의 경우, 금융 매체의 비밀 번호를 이용한 본인 인증으로 해당 금융 거래에 접근하거나 해당 금융 거래를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금융사 서버(100)는 금융 단말(30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본인 인증 처리 시,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접근(또는 이용) 가능한 금융 서비스들에 대해 사용자의 이용 내역을 생성하고, 이를 금융 단말(300)로 전달하여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S230 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상기 S21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인증 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거나, 최근에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인증 후 이용한 금융 서비스 내역을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금융사 서버(100)는 사용자의 본인 인증 처리 시 인증 방식을 확인하고, 해당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 후 사용자가 이용한 금융 서비스 내역을 금융 단말(300)로 전송하여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금융사 서버(100)는 사용자가 금융 단말(300)을 이용할 때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인증 방식 별로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을 저장하고, 이후 본인 인증 시 선택된 인증 방식에 따라서 대응하는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을 금융 단말(300)로 전달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이 수신되면, 이를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에 표시될 객체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객체들의 표시 위치 등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61) 또는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240). 사용자는 금융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되는 거래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를 터치함으로써,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의 선택 입력을 금융 단말(30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의 선택 입력을 입력할 수도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S250).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위한 본인 인증 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한다(S300).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이전에 수행된 금융 거래가 종료된 상태에서 센서부(310) 또는 입력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물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초기 거래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S300 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토대로 장소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관리자로부터 금융 단말(300)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입력 받고, 이를 토대로 장소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위치 식별 코드 획득 방법 및 장소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 표시 방법(S30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소 맞춤형 초기 거래 화면 표시 방법(S100)과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초기 거래 화면이 표시된 이후에 디스플레이부(361) 또는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360). 사용자는 금융 단말(300)의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되는 거래 화면에서 어느 하나의 객체를 터치함으로써,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의 선택 입력을 금융 단말(300)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금융 단말(300)의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자신이 이용하고자 하는 금융 서비스의 선택 입력을 입력할 수도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로부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S380).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위한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370).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S370)은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인 인증 처리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초기 거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마이 뱅킹 메뉴(도 7 내지 도 10의 도면부호 1101 참조)가 선택되면(S310), 마이 뱅킹 메뉴에 진입하기 위한 본인 인증을 수행한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본인 인증을 위해 인증 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본인 인증 화면을 디스플레이부(361)에 표시하고(S320), 사용자로부터 인증 방식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S330).
센서부(310), 사용자 입력부(323), 스캐너(324) 등을 통해 본인 인증을 위한 입력이 먼저 감지되는 경우,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감지된 입력에 의해 본인 인증 방식이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인 인증 화면 표시 단계(S320) 및 인증 방식 선택 입력 수신 단계(S3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에 의해 인증 방식이 선택되면,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340).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방법(S340)은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인 인증 처리 방법(S120)과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본인 인증 처리가 완료되면,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표시한다(S350).
상기 S350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상기 S32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접근(또는 이용)이 가능한 금융 서비스들 중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 내역을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S350단계에서,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상기 S320 단계를 통해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인증 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 내역을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이 수신되면, 이를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에 표시될 객체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객체들의 표시 위치 등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금융사 서버(100)로부터 인증 방식에 따른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이 수신되면, 이를 토대로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에 표시될 객체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각 객체들의 표시 위치 등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디스플레이부(361) 또는 사용자 입력부(323)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S360),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S380). 금융 단말(300)의 제어부(380)는 사용자에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의 본인 인증을 위한 본인 인증 처리를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S370).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금융 단말(300)은 금융 단말(300)이 설치되는 장소에서의 금융 서비스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초기 거래 화면을 구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인증 방식과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금융 서비스가 포함되도록 사용자 맞춤형 거래 화면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금융사 서버 200: 금융사 시스템
300: 금융 단말 310: 센서부
320: 입력부
340: 통신부 350: 메모리부
360: 출력부 370: 근거리 무선 통신부
380: 제어부

Claims (18)

  1. 금융 단말의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융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제1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구성된 제2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를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금융사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초기 설정 과정에서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토대로, 위치 식별 코드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복수의 거래 화면 중 상기 제1거래 화면을 독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화면 구성 정보를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객체를 조합하여 상기 제1거래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본인 인증 방식으로 생체 인식이 선택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 정보를 금융사 서버로 전달하여 본인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금융사 서버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한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본인 인증 방식으로 신분증 인증이 선택됨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상기 사용자를 촬영한 사용자 촬영 영상과, 스캐너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분증을 스캔한 신분증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인증 확인 전문에 따라, 상기 본인 인증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금융사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인증 정보로 접근이 가능한 금융 서비스들과, 상기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을 토대로 상기 제2거래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거래 화면은 상기 제1거래 화면에서 마이 뱅킹 메뉴가 선택되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인증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본인 인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본인 인증 화면을 통해 어느 하나의 인증 방식이 선택되면, 선택된 인증 방식에 따라서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은 상기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이용 가능한 금융 서비스들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이용 내역을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인증 방식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한 경우에 이용한 금융 서비스 내역을 포함하는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14. 디스플레이부, 및
    금융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토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제1거래 화면을 표시하며, 상기 제1거래 화면을 통해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금융 서비스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 정보의 종류에 따라서 구성된 제2거래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금융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금융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금융 단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상기 금융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금융사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금융 단말.
  16. 제14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위치 식별 코드를 입력 받는 금융 단말.
  17. 제14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 식별 코드가 대응되어 있는 복수의 거래 화면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융 단말이 설치된 장소에 대응하는 위치 식별 코드를 토대로, 상기 복수의 거래 화면 중 상기 제1거래 화면을 선택하는 금융 단말.
  18. 제14항에 있어서,
    금융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정보를 획득하는 인증 정보 획득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의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을 상기 금융사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인증 정보로 접근 가능한 금융 서비스들과 상기 금융 서비스 이용 내역을 토대로 상기 제2거래 화면을 구성하는 금융 단말.
KR1020150142226A 2015-10-12 2015-10-12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70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26A KR101870356B1 (ko) 2015-10-12 2015-10-12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26A KR101870356B1 (ko) 2015-10-12 2015-10-12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66A KR20170042966A (ko) 2017-04-20
KR101870356B1 true KR101870356B1 (ko) 2018-06-22

Family

ID=5870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226A KR101870356B1 (ko) 2015-10-12 2015-10-12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583A (ja) * 2007-01-18 2008-07-31 Promise Co Ltd 複合機管理システム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504A (ko) * 2003-03-12 2004-09-20 주식회사 이키오스크 다기능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의 운용방법
KR20060077447A (ko) * 2004-12-30 2006-07-05 박주현 블로그를 이용한 멀티 랭귀지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KR20100061916A (ko) * 2008-12-01 2010-06-1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금융자동화기기를 통한 실명확인 처리 시스템, 방법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583A (ja) * 2007-01-18 2008-07-31 Promise Co Ltd 複合機管理システム及び店舗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66A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76654B (zh) 移动电话atm处理方法和系统
KR100698865B1 (ko) 생체 인증 방법 및 생체 인증 시스템
US20130036017A1 (en) Financial card for online fund transfer and method therefor
US11308481B1 (en) Cardless ATM authentication
KR20170040676A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5114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orizing a transaction
US20140052632A1 (en) Financial card for online fund transfer and method therefor
JP2021124963A (ja) 本人確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25923A (ko) 금융 단말 및 금융 단말 제어 방법
JP2020027378A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898536B1 (ja) 本人確認システム、本人確認方法、情報処理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70055338A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신청 방법
KR101870356B1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JP6878955B2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システム及び自動取引プログラム
KR20170040675A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비밀번호 변경 방법
JP2007179303A (ja) 自動取引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101746086B1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80133681A (ko) 카드발급 장치, 금융기기, 금융기기를 이용한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867865B1 (ko) 무인 보안카드 발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249497B1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037275A (ko) 금융 단말 및 이를 이용한 금융 매체 분실 등록 및 해제 방법
JP7486635B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38133B1 (ko) 다채널을 활용한 금융계좌개설방법
RU186953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амообслуживания пользователей
KR100784833B1 (ko) 일회용 금융거래쿠폰을 발행하는 금융거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