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54B1 - 감압 배농 장치 - Google Patents

감압 배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54B1
KR101870354B1 KR1020160076817A KR20160076817A KR101870354B1 KR 101870354 B1 KR101870354 B1 KR 101870354B1 KR 1020160076817 A KR1020160076817 A KR 1020160076817A KR 20160076817 A KR20160076817 A KR 20160076817A KR 101870354 B1 KR101870354 B1 KR 10187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rainage
cleaning
tub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766A (ko
Inventor
김성민
이석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7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54B1/ko
Priority to PCT/KR2017/006129 priority patent/WO2017222231A1/ko
Publication of KR2017014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8Draining devices having means for processing the drained fluid, e.g. an absorber
    • A61M1/882Draining devices provided with means for releasing antimicrobial or gelation agents in the drained fluid
    • A61M1/00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031
    • A61M1/008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10Bone-marr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2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수염이 발생했을 경우, 골내의 화농성 삼출물, 세균, 그리고 이물질 등을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감압 배농 장치를 제공한다. 감압 배농 장치는 ⅰ) 골내에 삽입되고, 골내의 삼출물이 유입되는 배농챔버, ⅱ) 배농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배농챔버에 세척 용액을 인입하는 세척튜브, ⅲ) 배농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배농챔버의 삼출물을 배출하는 배농튜브 그리고 ⅳ) 일측에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3 관통공과 제4 관통공을 포함하며, 세척튜브의 압력을 조절하는 세척조절유닛과 배농튜브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농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세척튜브는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3 관통공을 통과하고, 배농튜브는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4 관통공을 통과한다.

Description

감압 배농 장치 {DECOMPRESSIVE PUS DRAINAGE APPARATUS}
본 발명은 감압 배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수염은 화농균의 감염이나 외상에 의하여 골수에 생기는 염증이다. 골내로 침투한 세균은 골내에서 콜로니(colony)를 형성하면서 지속적으로 세포독성을 만든다. 골내로 침투한 세균을 제거시키기 위한 방법은 배상성형술(saucerization)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상성형술은 골수염의 병소 부위를 장기간으로 노출시켜 골수 내에 침윤된 고름과 세균을 천천히 배출되면서 상처가 치유되도록 기다려야 하므로 치유기간이 길어지고 2차 감염의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1633731호(2014.03.25.)에 개시되어 있다.
골수염이 발생했을 경우, 골내의 화농성 삼출물, 세균, 그리고 이물질 등을 강제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감압 배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배농 장치는 ⅰ) 골내에 삽입되고, 골내의 삼출물이 유입되는 배농챔버, ⅱ) 배농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배농챔버에 세척 용액을 인입하는 세척튜브, ⅲ) 배농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배농챔버의 삼출물을 배출하는 배농튜브 그리고 ⅳ) 일측에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3 관통공과 제4 관통공을 포함하며, 세척튜브의 압력을 조절하는 세척조절유닛과 배농튜브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농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압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세척튜브는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3 관통공을 통과하고, 배농튜브는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제4 관통공을 통과한다.
배농챔버는 일측에 위치하는 입구부, 타측에 위치하는 흡입부, 그리고 입구부와 흡입부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입구부는 배농챔버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흡입부는 삼출물이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고, 돌출부는 배농챔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튜브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과 배농튜브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입구부에 삽입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절유닛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체와 제1 회전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압체를 포함하고, 제1 가압체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세척튜브에 양압을 형성하고, 배농조절유닛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체와 제2 회전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가압체를 포함하고, 제2 가압체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농튜브에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세척조절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세척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세척제어부와 배농조절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농조절유닛을 제어하는 배농조절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압 배농 장치를 이용하여 골내의 낭종의 내부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낭종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손상 부위를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낭종 상처를 봉합시킨 후에도 골내 압력을 낮게 유지하면서 배농할 수 있으므로 낭종에 의한 골결손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낭종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배농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배농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배농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배농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배농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압 배농 장치(100)를 사용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감압 배농 장치(100)의 사용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감압 배농 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 배농 장치(100)는 배농챔버(10), 마개(20), 압력조절부(30), 제어부(40), 세척튜브(50), 배농튜브(60), 세척용기(70) 그리고 배농용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농챔버(10)는 골내의 병소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배농챔버(10)는 골내의 병소 부위의 화농성 삼출물, 세균 그리고 이물질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배농챔버(10)는 세포독성이 없고, 병소 부위에 삽입했을 경우 불편함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및 실리콘(silicon)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배농챔버(10)는 골내의 병소 부위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여 소형, 중형 그리고 대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세척튜브(50)는 배농챔버(10)에 세척 용액을 인입할 수 있다. 세척튜브(50)의 일측은 배농챔버(10) 내부에 위치하고, 세척튜브(50)의 타측은 세척용기(70)에 위치할 수 있다. 세척용기(70)에 수용된 세척 용액은 화살표 방향으로 세척튜브(50)를 따라 흘러 배농챔버(10)로 인입될 수 있다. 세척 용액은 배농챔버(10)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세척 용액은 생리 식염수 또는 항균 및 골재생 촉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농튜브(60)는 배농챔버(10) 내부에 수용된 삼출물을 배출할 수 있다. 배농튜브(60)의 일측은 배농챔버(10)의 내부에 위치하고, 배농튜브(60)의 타측은 배농용기(80)에 위치할 수 있다. 배농챔버(10)에 수용된 골내의 병소 부위의 화농성 삼출물, 세균 그리고 이물질은 배농튜브(60)를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 배농용기(80)로 수용될 수 있다. 배농용기(80)에 수용된 화농성 삼출물과 세균은 분자 화학적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압력조절부(30)는 일측에 제1 관통공(3015a)과 제2 관통공(3015b)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3 관통공(3017a)과 제4 관통공(3017b)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튜브(50)는 제1 관통공(3015a)에 삽입되어 제3 관통공(3017a)을 통과하여 배농챔버(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30)는 세척튜브(50)에 양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용기(70)의 세척 용액은 세척튜브(50)를 따라 배농챔버(10)에 인입될 수 있다.
배농튜브(60)는 제2 관통공(3015b)에 삽입되어 제4 관통공(3017b)을 통과하여 배농챔버(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압력조절부(30)는 배농튜브(60)에 음압을 형성하여 배농챔버(10)의 내부에 수용된 화농성 삼출물, 세균 그리고 이물질 등을 배농용기(80)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압력조절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압력조절부(30)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골내 배농 방법은 병소 부위를 장기간으로 노출시켜 화농성 삼출물 등을 염증성 내부 압력에 의해서 서서히 배출시키므로 2차 감염의 가능성이 높으며, 화농성 감염 병소가 골내에 자리잡게 되어 자연적인 배출만으로는 치료의 효과가 낮을 수 있다.
반면에, 감압 배농 장치(100)는 배농챔버(10)가 골내에 삽입되어 병소 부위를 봉합할 경우에도 지속적으로 화농성 삼출물 등을 모아 배농할 수 있으므로 치료의 속도가 빠르며 2차 감염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감압 배농 장치(100)는 압력조절부(30)를 이용하여 체내 조직내에 침투되어 있는 화농성 삼출물, 세균, 그리고 이물질들을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고, 낭종 부위를 인위적으로 감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골내 압력을 낮게 유지하면서 배농할 수 있으므로 손상부위를 재생시킬 수 있고 낭종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농챔버(1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배농챔버(10)는 인체의 골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배농챔버(10)는 치과 및 구강외과 영역의 악골과 신경외과 및 정형외과 영역의 인체내 골 병소에 삽입될 수 있다.
배농챔버(10)는 입구부(101), 돌출부(103) 그리고 흡입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부(101)는 배농챔버(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입구부(101)는 제1 오목부(1011)를 포함할 수 있다. 배농챔버(10)가 골내에 삽입되어 봉합될 경우, 제1 오목부(1011)는 점막부위에 맞닿아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배농챔버(10)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흡입부(105)는 배농챔버(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부(105)는 제1 인입홀(1051a, 1051b), 제2 인입홀(1053) 그리고 라운딩부(1055)를 포함할 수 있다. 골내의 병소 부위의 화농성 삼출물, 세균 그리고 이물질은 제1 인입홀(1051a, 1051b)과 제2 인입홀(1053)을 통해 배농챔버(1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제1 인입홀(1051a, 1051b)은 배농챔버(10)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원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인입홀(1053)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제1 인입홀(1051a, 1051b)과 제2 인입홀(1053)의 구조는 골내의 병소 크기에 따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라운딩부(1055)는 배농챔버(1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며, 라운딩된 형상을 가지므로 배농챔버(10)의 골내 삽입성을 높일 수 있다.
돌출부(103)는 입구부(101)와 흡입부(10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돌출부(103)는 돌기(1031a, 1031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031a, 1031b)는 배농챔버(10)의 절단 매듭부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2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20)는 제1 관통홀(201), 제2 관통홀(203) 그리고 함몰부(20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01)에는 세척튜브(50)가 삽입되고, 제2 관통홀(203)에는 배농튜브(60)가 삽입될 수 있다. 마개(20)는 배농챔버(10)의 입구부(101)에 삽입되어 배농챔버(10)를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함몰부(205)는 제1 오목부(1011)와 맞닿아 마개(20)가 배농챔버(10)에 고정될 수 있다. 마개(20)는 실리콘(silicon)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Ⅳ-Ⅳ선을 따라 자른 압력조절부(30)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조절부(30)의 세척조절유닛(301), 배농조절유닛(303), 그리고 제어부(40)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조절유닛(301)은 제1 회전체(3011), 제1 가압체들(3013a, 3013b, 3013c), 제1 관통공(3015a), 제3 관통공(3017a) 그리고 튜브가이드(3019)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튜브(50)는 제1 관통공(3015a)에 삽입되어 튜브가이드(3019)를 따라 위치하고 제3 관통공(3017a)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회전체(3011)는 제1 가압체들(3013a, 3013b, 301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체(3011)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가압체들(3013a, 3013b, 3013c)은 제1 회전체(30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회전체(3011)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가압체(3013c)는 튜브가이드(3019)를 따라 위치한 세척튜브(50)와 맞닿고 제1 가압체(3013c)가 제1 회전체(3011)의 회전에 의해 세척튜브(50)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세척튜브(50)에 가해지는 양압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세척 용액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농조절유닛(303)은 제2 회전체(3031), 제2 가압체들(3033a, 3033b, 3033c), 제2 관통공(3015b), 제4 관통공(3017b) 그리고 튜브가이드(3039)를 포함할 수 있다. 배농조절유닛(303)은 세척조절유닛(30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편의상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가압체(3033c)는 튜브가이드(3039)를 따라 위치한 배농튜브(60)와 맞닿고 제2 가압체(3033c)가 제2 회전체(3031)의 회전에 의해 배농튜브(60)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농튜브(60)에 가해지는 음압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는 화농성 삼출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세척제어부(401)와 배농제어부(403)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제어부(401)는 세척조절유닛(3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배농제어부(403)는 배농조절유닛(303)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세척제어부(401)는 세척조절유닛(301)과 연결되어 세척튜브(50)에 양압을 형성하여 세척튜브(50)에 수용된 세척 용액의 이송량을 제어할 수 있다. 배농제어부(403)는 배농조절유닛(303)과 연결되어 배농튜브(60)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낮은 음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세척조절유닛(301)이 세척 용액을 배농챔버(10)로 인입할 경우, 배농조절유닛(303)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배농챔버(10)로 인입된 세척 용액이 병소 부위에 유출되지 않고 배농튜브(60)를 통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배농챔버(1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제어부(401) 및 배농제어부(403)는 병소 부위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그 압력을 달리하여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배농챔버 20. 마개
30. 압력조절부 40. 제어부
50. 세척튜브 60. 배농튜브
70. 세척용기 80. 배농용기
101. 입구부 103. 돌출부
105. 흡입부 201. 제1 관통홀
203. 제2 관통홀 205. 함몰부
301. 세척조절유닛 303. 배농조절유닛
401. 세척제어부 403. 배농제어부
501. 조절부 1011. 제1 오목부
1031. 돌기 1051. 제1 인입홀
1053. 제2 인입홀 1055. 라운딩부
3011. 제1 회전체 3013. 제1 가압체
3015a. 제1 관통공 3015b. 제2 관통공
3017a. 제3 관통공 3017b. 제4 관통공
3019. 튜브가이드 3031. 제2 회전체
3033. 제2 가압체 3039. 튜브가이드

Claims (5)

  1. 골내에 삽입되고, 상기 골내의 삼출물이 유입되는 배농챔버,
    상기 배농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농챔버에 세척 용액을 인입하는 세척튜브,
    상기 배농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농챔버의 상기 삼출물을 배출하는 배농튜브, 그리고
    일측에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3 관통공과 제4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튜브의 압력을 조절하는 세척조절유닛과 상기 배농튜브의 압력을 조절하는 배농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압력조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튜브는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3 관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배농튜브는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4 관통공을 통과하고
    상기 배농챔버는, 일측에 위치하는 입구부 및 타측에 위치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배농챔버의 내측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배농챔버가 골내에 삽입되어 봉합될 경우 점막부위에 맞닿아 고정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삼출물이 인입되는 인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인입홀은 상기 배농챔버의 내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원 형상의 제1 인입홀 및 원형 형상의 제2 인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튜브가 삽입되는 제1 관통홀과 상기 배농튜브가 삽입되는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농챔버를 밀봉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감압 배농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배농챔버는
    상기 입구부와 상기 흡입부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배농챔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감압 배농 장치.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세척조절유닛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체와 상기 제1 회전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압체는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튜브에 양압을 형성하고,
    상기 배농조절유닛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가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체는 상기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배농튜브에 음압을 형성하는 감압 배농 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세척조절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세척조절유닛을 제어하는 세척제어부와 상기 배농조절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농조절유닛을 제어하는 배농조절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압 배농 장치.
KR1020160076817A 2016-06-20 2016-06-20 감압 배농 장치 KR101870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17A KR101870354B1 (ko) 2016-06-20 2016-06-20 감압 배농 장치
PCT/KR2017/006129 WO2017222231A1 (ko) 2016-06-20 2017-06-13 감압 배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17A KR101870354B1 (ko) 2016-06-20 2016-06-20 감압 배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66A KR20170142766A (ko) 2017-12-28
KR101870354B1 true KR101870354B1 (ko) 2018-06-22

Family

ID=6078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817A KR101870354B1 (ko) 2016-06-20 2016-06-20 감압 배농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70354B1 (ko)
WO (1) WO20172222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7188B (zh) * 2018-04-20 2020-11-13 张福辛 一种腘窝囊肿治疗装置
CN114392407B (zh) * 2022-02-08 2022-09-09 山东大学 一种肝胆外科腔镜操作用引流一体化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7B2 (ja) 1992-07-10 2001-02-19 株式会社ニッショー 洗浄吸引カテ−テル
JP2009525088A (ja) 2006-02-02 2009-07-09 コロプラスト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吸引システム
KR100982769B1 (ko) * 2008-02-13 2010-09-16 가자마 이엔티 (주) 의료용 세정 석션장치
US20120289895A1 (en) * 2011-03-28 2012-11-15 Achilleas Tsoukalis Fluids Exchanging System for Medical Us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0301A (ja) * 1998-06-16 2000-01-07 Shigenobu Takane 薬剤注腸装置
US6893414B2 (en) * 2002-08-12 2005-05-17 Breg, Inc. Integrated infusion and aspiration system and method
KR100899868B1 (ko) * 2007-01-26 2009-05-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막힘없고 세척기능 있는 배액관을 가진 밀폐형 흡인 배액장치 및 그 이용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577B2 (ja) 1992-07-10 2001-02-19 株式会社ニッショー 洗浄吸引カテ−テル
JP2009525088A (ja) 2006-02-02 2009-07-09 コロプラスト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吸引システム
KR100982769B1 (ko) * 2008-02-13 2010-09-16 가자마 이엔티 (주) 의료용 세정 석션장치
US20120289895A1 (en) * 2011-03-28 2012-11-15 Achilleas Tsoukalis Fluids Exchanging System for Medical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66A (ko) 2017-12-28
WO2017222231A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6470B2 (ja) 組織部位へ減圧治療を施す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11565033B2 (en) Wound debridement by irrigation with ultrasonically activated microbubbles
JP5385406B2 (ja) デブリドマン機構を用いる減圧治療システムおよび方法
ES2511965T3 (es) Aparato de limpieza de heridas in situ
US82161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ound treatment
JP6158209B2 (ja) 減圧ドレッシングおよび関連の弁を有する減圧組織治療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6230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n incisional wound
CN102470200B (zh) 采用解凝固阻挡层的减压敷料、系统和方法
JP6282693B2 (ja) 減圧治療および創面切除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7534402A (ja) 圧力で創傷を洗浄する装置
US20100049166A1 (en) Medical product for treatment of sinusitis
JP2022506830A (ja) 創傷床マクロ変形の洗浄を可能にする突出層を有するドレッシング
WO2003018098A3 (en) Vacuum assisted tissue treatment system
KR101870354B1 (ko) 감압 배농 장치
CA2543936A1 (en) Wound cleansing apparatus with scaffold
AU20072060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a wound using ultrasonic debridement
SU5879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ботки инфицированных ран и полостей
US5964733A (en) Suction device for medical purposes
KR101685509B1 (ko) 드레인 튜브의 막힘 확인 방법 및 상처 부위의 체적 재산출 방법
EP2892581B1 (de) Medizinischer drainageschlauch
JP2005034483A (ja) 減圧治療用創傷被覆パッドおよび減圧治療装置
EP2156853A1 (en) Medical product for treatment of sinusitis
CN217612241U (zh) 用于治疗骨髓炎的超声振动灌洗装置
CN219332216U (zh) 一种用于促进医疗美容创面修复的装置
RU42955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обработки ра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